KR101554856B1 -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Google Patents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4856B1 KR101554856B1 KR1020140145717A KR20140145717A KR101554856B1 KR 101554856 B1 KR101554856 B1 KR 101554856B1 KR 1020140145717 A KR1020140145717 A KR 1020140145717A KR 20140145717 A KR20140145717 A KR 20140145717A KR 101554856 B1 KR101554856 B1 KR 1015548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unit
- position fixing
- mobile device
- base plate
- ba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2—Briefcase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은 후방면, 측방면, 및 저면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상면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전방면 또는 저면에 위치하는 받침판부; 상기 전방면에 회동식으로 제공되는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상기 받침판부에 제공되며, 상기 받침판부와 회동식으로 결합되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및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및 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위치가 조절되며,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받침판부의 경사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은 후방면, 측방면, 및 저면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상면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전방면 또는 저면에 위치하는 받침판부; 상기 전방면에 회동식으로 제공되는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상기 받침판부에 제공되며, 상기 받침판부와 회동식으로 결합되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및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및 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위치가 조절되며,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받침판부의 경사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가방 본체부의 전방면 또는 저면에 조절형 받침판부를 제공하되, 가방 본체부에는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를 제공하고 또한 조절형 받침판부에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를 제공하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와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는 지지암부를 이용하여 회동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조절형 받침판부의 위치 및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매우 안정적이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신체건강에 도움을 주며, 도서의 받침대로 사용하는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모바일기기(mobile device) 사용자들은 한손 또는 양손으로 모바일기기를 들어서 잡고 사용한다.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때, 손으로 모바일기기를 들어서 잡고 있는 자세를 유지하며 장시간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면 곧 손과 팔의 근육이 피로해지고 힘들어 하게 된다. 이후, 모바일기기를 잡은 사용자의 손과 팔이 하방으로 쳐지면서 대부분 사용자들은 도 16과 같은 불량한 자세를 유지한 채로 계속 모바일기기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불량한 자세를 유지하며 장시간 모바일기기를 사용함으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는 점차 문제가 많은 구조로 변형된다. 또한 사용자의 눈이 과도하게 하방으로 처져서 안축(眼軸)이 심하게 늘어지며 대상물을 지나치게 가까운 거리에서 봐야하므로 근시나 약시가 되기 쉽다. 이밖에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패드(smart pad), 태블릿컴퓨터(tablet computer, tablet PC), 휴대용게임기(portable game station), 및 이북리더(e-book reader) 등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는 계속 대화면화, 다기능화, 및 고성능화를 추구하면서 기기의 크기와 중량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기기의 무게와 대화면의 시청으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는 더욱 더 열악한 환경 속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기간에 걸쳐 모바일기기를 많이 사용할수록 사용자는 거북목 증후군,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엘보, 시력저하 및 손목터널 증후군 등의 만성적인 질병을 얻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도 16과 같은 사용자의 불량자세로 인해, 고개가 많이 숙여지므로 목부분에 목주름이 많이 생기므로 여성들에게는 미용측면에서도 더욱 나쁜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와 관련된 가방에 대한 선행기술에 대해 살펴보면, 한국등록실용 제 10-0302833호(배낭형 AV 시스템)는 배낭 내부에 AV기기를 넣어서 가정, 야외, 및 차량에서 사용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0-2006-0112902호(가방의 끈에 연결되는 물체 고정 거치대)는 음성통신용 모바일기기를 가방의 멜빵에 거치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한국등록실용 제 10-0453219호(가방에 탈부착이 가능한 태블릿 PC 케이스)는 가방의 일면에 태블릿 PC 등을 거치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또한 미국특허출원 제 12/98580호(Structural support device for laptop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rrying cases)는 가방 또는 숄더백의 내부에 노트북을 휴대하며 백을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백의 전방부를 개방하여 노트북을 사용하기 위한 구성을 개시한다. 한국등록실용공개공보 제 10-2011-0005356호(스마트폰 거치용 손잡이 가방)는 가방의 손잡이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 내에 스마트폰을 꽂아서 세워놓은 구성 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전술한 모바일기기의 사용에 따른 문제점들에 대해 단지 부분적인 대안만 제공해 줄 수 있을 뿐으로, 충분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들은 모든 모바일기기 사용자들이 만족할만한 수준까지 편의를 제공하기에는 아주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방 본체부의 전방면 또는 저면에 조절형 받침판부를 제공하되, 가방 본체부에는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를 제공하고 또한 조절형 받침판부에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를 제공하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와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는 지지암부를 이용하여 연결함으로써, 조절형 받침판부의 위치 및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모바일기기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매우 안정적이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용 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신체건강에 도움을 주며, 도서의 받침대로 사용하는 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전방면, 후방면, 측방면, 및 저면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상면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전방면 또는 저면에 위치하는 받침판부; 상기 전방면에 회동식으로 제공되는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상기 받침판부에 제공되며, 상기 받침판부와 회동식으로 결합되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및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및 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위치가 조절되며,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받침판부의 경사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1. 모바일기기의 사용자들이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때 매우 안정적이며 편리하며,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신체건강에 도움을 준다.
2. 본 발명의 가방에 장착되는 받침판부는 모바일기기 이외에 일반 도서를 얹어 사용할 수 있는 독서대로서의 부가적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과 함께 신체건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을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받침판부가 보관된 위치에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받침판부가 개방된 위치에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받침판부가 최대로 개방된 위치에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지지암부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위치에서 받침판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지지암부가 도 4a의 각도보다 더 회전된 위치에서 받침판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a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위치와 지지암부의 길이 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지지암부의 길이가 최대화되는 구성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받침판부가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로부터 최대로 확장되는 사용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가방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배치를 변경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받침판부와 지지암부가 개방되어 사용되는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a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b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에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d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를 착탈식으로 구성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1에 도시된 받침판부에 걸림턱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걸림턱부재가 위치 가변형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받침판부에 탄성층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지지암부가 길이조절식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받침판부가 확장형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가방의 내부에 지지프레임이 추가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내부에 지지프레임이 추가로 구비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c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내부에 지지프레임이 추가로 구비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일부에 하드쉘 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b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일부에 하드쉘 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불량한 자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가방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바른 자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가방을 책상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바른 자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의 측면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받침판부가 보관된 위치에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받침판부가 개방된 위치에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받침판부가 최대로 개방된 위치에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지지암부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위치에서 받침판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지지암부가 도 4a의 각도보다 더 회전된 위치에서 받침판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a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위치와 지지암부의 길이 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지지암부의 길이가 최대화되는 구성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받침판부가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로부터 최대로 확장되는 사용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가방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배치를 변경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받침판부와 지지암부가 개방되어 사용되는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7a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b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에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d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를 착탈식으로 구성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a는 도 1에 도시된 받침판부에 걸림턱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걸림턱부재가 위치 가변형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받침판부에 탄성층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지지암부가 길이조절식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받침판부가 확장형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가방의 내부에 지지프레임이 추가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내부에 지지프레임이 추가로 구비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c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내부에 지지프레임이 추가로 구비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일부에 하드쉘 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b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일부에 하드쉘 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불량한 자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가방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바른 자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가방을 책상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바른 자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10)은 가방 본체부(body)(100); 받침판부(board)(200); 지지암부(support arm)(220);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multi-position fixing unit)(240); 및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00)는 가방(10)의 주몸체에 해당하며 손으로 들기 위한 손잡이(170) 및 대소형 포켓(미도시) 등이 구비되어 있다. 본체부(100)는 전방면(110), 후방면(120), 측방면(130), 상면(140), 및 저면(150)을 구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가방(10)은 가방(10)의 전방면(110)과 후방면(120)이 손잡이가 위치하는 윗부분에서 경사면을 이루며 합쳐지면서 상면(140)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는 가방도 포함된다.
상술한 도 1에는 일반적인 형태의 가방(10)에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는 본체부(100)의 측방면(130)에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100)의 전방면(130)에 제공될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10)이 보관 중이거나 또는 이동 중인 상태에서, 받침판부(200)가 본체부(100)의 측면에 닫혀져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받침판부(200)는 사용되지 않을 경우(예를 들어, 가방(10)을 보관 중 또는 들고 이동하는 중인 경우) 본체부(100)의 전방면(110)과 나란히 대면한 상태로 인접하여 보관된다. 본체부(100)의 측방면(130)에 제공되는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는 본체부(100)와 회동식(回動式 : pivotaly)으로 결합되고, 받침판부(200)의 양측부(209)에 제공되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받침판부(200)와 회동식으로 결합된다. 지지암부(220)의 일단부는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와 회동식으로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와 회동식으로 결합된다. 지지암부(220)는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를 중심으로 제 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지지암부(220)의 회전에 따라 받침판부(200)도 역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를 중심으로 전방면(110)에 대해 제 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된 후,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받침판부(200)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각도로 조정된 후, 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받침판부가 보관된 위치에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받침판부가 개방된 위치에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며, 도 3c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받침판부가 최대로 개방된 위치에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구성과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도 1 내지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는 예를 들어 공지의 래칫휠 기구(ratchet wheel device) 또는 래칫휠 어셈블리(ratchet wheel assembly)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칫휠 기구 또는 래칫휠 어셈블리는 래칫휠(ratchet wheel: 242), 스토퍼(stopper: 244), 해제캠(disengaging cam: 246), 및 밀핀(push pin: 248)을 포함한다. 래칫휠(242)은 일부 외주면 또는 전체 외주면에 기어(참조부호 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서 해제캠(246)과 회전축을 공유하는 동심축 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밀핀(248)은 소정각도에서 상기 해제캠(246)을 밀어서 회전시키도록 래칫휠(242)의 외주면 내측의 소정위치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스토퍼(244)는 래칫휠(242)의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운동(도 3a 내지 도 3c에서 시계 방향)은 억제하지만, 반대쪽 방향(도 3a 내지 도 3c에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은 자유롭게 허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244)는 복원스프링(245)에 의해 항상 래칫휠(242)의 중심방향으로 편향력을 인가하여 해제캠(246)에 의해 풀리지 않는 한, 항상 래칫휠(242)의 기어와 맞물림 상태를 유지한다. 도 3a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의 주변부 구성만이 확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에는 부분적으로 절개된 지지암부(220)의 일단부와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와 결합된 상태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받침판부(200)가 본체부(100)의 전방면(110)과 나란히 대면하며 보관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 내에 상술한 래칫휠 기구 또는 래칫휠 어셈블리의 주요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수납케이스 내에 포함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도면에 따라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의 작동 순서와 작동 원리의 개념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래칫휠(242), 해제캠(246), 및 스토퍼(244)는 각 도면의 회전축(참조부호 미도시)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고, 상기 회전축은 수납케이스에 고정되며 수납케이스는 본체부(100)의 일측면 상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a의 위치에서, 지지암부(220)가 제 1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암부(220)에 결합된 받침판부(200)도 역시 제 1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고, 그에 따라 받침판부(200)가 전방면(110)으로부터 이격되어 개방된다. 받침판부(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받침판부(200)에 제 2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을 가하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퍼(244)가 래칫휠(242)의 기어와 체결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래칫휠(242)은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는 회전이 방지된다. 그 후, 지지암부(220)의 개방각도 또는 받침판부(200)의 개방위치는 도 3a의 상태로부터 도 3b의 상태까지 제 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조절이 가능하다. 지지암부(220)의 회전이 도 3b의 위치를 넘어서 도 3c의 위치에 도달하면 래칫휠(242)에 제공되는 밀핀(248)이 해제캠(246)을 제 1 방향으로 밀어서 회전시킨다. 그 후, 해제캠(246)은 차례로 스토퍼(244)를 시계방향으로 밀어서 래칫휠(242)의 기어와 이격시키므로 스토퍼(244)와 래칫휠(242)의 기어 간의 체결을 해제한다. 도 3c의 상태에 도달하면, 비로소 지지암부(220)는 제 2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으므로 도 3a의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받침판부(200)는 도 3a의 원래 위치로 되돌아갈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방(10)에 상술한 래칫휠 기구 또는 래칫휠 어셈블리를 적용하는 것은 가방(10)의 사용 시 안전을 위해서 매우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받침판부(200)의 사용 중에 조작 등의 실수로 인해, 지지암부(220)에 결합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가 체결상태로부터 불시에 해제되는 경우, 받침판부(200)는 순식간에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전방면(110) 상에 떨어져서 모바일기기도 함께 낙하되어 파손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손이나 팔도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사용한 후 모바일기기를 받침판부(200)로부터 확실히 내려놓고 받침판부(200)를 제 1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킨 후에 전방면(110)을 향해서 원래 위치(폐쇄 위치)로 되돌려 보낼 수 있으므로, 가방(10) 사용 시의 안전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래칫휠(242)은 본체부(100)에서 측방면(130)의 한쪽에만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양쪽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받침판부(200)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작동되기 위해서는 래칫휠(242)이 측방면(130)의 양쪽에 모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래칫휠 기구 또는 래칫휠 어셈블리가 래칫휠(242), 스토퍼(244), 해제캠(246), 및 밀핀(248) 등의 부품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래칫휠 기구가 반드시 상기 구성요소들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즉, 래칫휠 기구 또는 래칫휠 어셈블리 대신 일방향으로 회전이 허용되며, 그 반대방향으로는 회전이 억제되되, 소정 각도 구간에서 래칫휠(242)의 체결이 해제되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작동 원리를 구현하는 임의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지지암부(220)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위치에서 받침판부(200)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지지암부가 도 4a의 각도 이상으로 더 회전된 상태에서 받침판부의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지지암부(220)가 전방면(110)에 대해 소정각도 a 만큼 제 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받침판부(200)도 제 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전방면(110)에 대해 소정각도 b 만큼 제 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받침판부(200)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의 중심을 기준으로 볼 때 전방면(110)으로부터 높이 H만큼 상승하게 된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의 각 위치와 비교하여 지지암부(220)는 전방면(110)에 대해 회전각도 a' 까지 제 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좀 더 회전되고, 받침판부(200)는 전방면()110)으로부터 높이 H' 까지 좀 더 상승하게 된다. 그 결과, 받침판부(200)는 전방면(110)에 대해 b' 만큼 기울어지며 제 1 방향(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받침판부(200)의 높이는 지지암부(220)의 회전각도에 의해 조절되고, 받침판부(200)의 경사각도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의 회전에 의해 조절된다.
도 5a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의 위치와 지지암부(220)의 길이 간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지지암부(220)의 길이가 최대화되는 구성을 예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5c는 도 5b에 도시된 받침판부(200)가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로부터 최대로 확장되는 사용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받침판부(200)는 그 측면의 전체길이를 D1과 D2로 분할하도록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반면에, 도 5b를 참조하면, 받침판부(200)는 도 5a에 도시된 D1이 최대값(Dmax)을 갖고 D2가 최소값(Dmin)을 갖도록 그 측면의 일단부가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지지암부(220)는 그 길이(L)가 최대 길이(Lmax)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암부(220)를 각도 a 만큼 제 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개방한 후, 받침판부(200)를 제 2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받침판부(200)가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로부터 최대한 외측으로 향하여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의 전방면(110)으로부터의 높이를 도 4a에서의 H보다 더 높은 Hmax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받침판부(200)의 위치도 보다 높게 위치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5b 및 도 5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크기의 가방(10)에서 받침판부(200)의 높이를 최대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특히 신장이나 팔의 길이가 긴 사용자도 본 발명의 가방(10)에 장착된 받침판부(200)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가방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배치를 변경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측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받침판부와 지지암부가 개방되어 사용되는 위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 5a에 도시된 배열과 달리,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가 저면(150)에 가깝게 제공되고, 받침판부(200)가 상면(140)에 가깝게 제공되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즉, 받침판부(200),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 지지암부(220), 및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가 본체부(110)의 측방면의 가상 수직중앙선(미도시)을 기준으로 도 5a와 대략 대칭이 되도록 제공된다. 그에 따라, 받침판부(200), 지지암부(220),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 및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도 5a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회전방향(작동방향)만 다를 뿐, 기타 구성과 작동방법은 도 5a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지지암부(220)가 도 6a의 상태에서 제 2 방향(시계 방향)으로 개방된 후 받침판부(200)가 제 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받침판부(200)의 고정 위치 및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다시 도 4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모바일기기의 사용 시 사용자는 받침판부(200)를 각 도면의 왼쪽 방향으로 기울여 사용하되, 받침판부(200)에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해 제 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모바일기기가 낙하될 수 있다. 즉, 받침판부(200)는 필요한 각도로 조절된 후 그 위치에서 제 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술한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의 구성은 상술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와 마찬가지로 래칫휠 기구 또는 래칫휠 어셈블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받침판부(200)의 양측부(209)에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가 제공되고,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와 지지암부(220)는 회동식으로 결합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판부(200)와 지지암부(220)는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받침판부(200)의 경사각도 또는 경사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의 회전각도는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의 회전각도에 비해 훨씬 제한적으로 허용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이루어지므로,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보다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공지 기술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free stop hinge device) 또는 스윙 힌지 장치(swing hinge device) 또는 마찰 힌지 장치(friction hinge device) 등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7a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에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반구형 오목부(cavity: 262a)를 구비하며, 지지암부(220)와 결합되는 원판(262); 및 상기 복수의 반구형 오목부(262a)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원통형 구멍(264c), 상기 복수의 구멍(264b) 내에 포함되는 복수의 스프링(spring: 264b), 및 상기 복수의 스프링(264b)의 외측단 사이에 제공되는 복수의 볼(ball: 264a)을 구비하며, 받침판부(200)와 결합되는 대응판(264)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의 원판(262) 및 대응판(264)은 동심축(266)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지지암부(220)와 결합된 원판(262)과 받침판부(200)와 결합된 대응판(264)이 회전력을 받아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대응판(264)에 구비된 복수의 볼(264a)의 구면 일부가 원판(262)의 반구형 오목부(262a) 내로 이동하여 대응판(264)과 원판(262)이 체결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원판(262)과 대응판(264)의 회전이 억제된다. 그 후, 대응판(264)과 원판(262)의 체결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소정 크기 이상의 회전 토크(torque)가 대응판(264)엔 인가되면 복수의 볼(264a)이 반구형 오목부(262a)로부터 이탈되어 변위되고, 이어서 복수의 스프링(264b)의 탄성력에 의해 복수의 볼(264a)이 다시 다른 반구형 오목부(262a) 내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추가적인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대응판(264)과 원판(262)은 변위된 위치에서 체결 상태가 유지된다. 이 경우, 대응판(264)이 회전함에 따라 대응판(264)과 결합된 받침판부(200)도 회전 또는 체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대응판(264)과 원판(262)의 상대적인 회전 동작에 의해 받침판부(200)의 경사각도 또는 경사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원판(262)은 소정 두께의 원형 디스크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대응판(264)은 반드시 원형 디스크 형태로 구현될 필요는 없고 도면의 예시와 같이 단지 2개의 볼과 스프링을 수용하는 임의의 형태(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의 제 1 세레이션부재(serration member)(262a')를 구비하는 원판(262'), 제 1 세레이션부재(264')를 구비하는 대응판(264'), 및 상기 원판(262')의 외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세레이션부재(262a')와 상기 제 1 세레이션부재(264')가 맞물리도록 제 1 세레이션부재(262a')를 축방향으로 누르는 코일스프링부재(262b')로 구현된다. 이러한 코일스프링부재(262b')에 의해 제 1 세레이션부재(262a')와 제 1 세레이션부재(264')는 각각에 형성된 치형부들(teeth)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원판(262')과 대응판(264')은 동심축(266')을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암부(220)에 결합된 원판(262')과 받침판부(200)와 결합된 대응판(264')이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때, 제 1 세레이션부재(262a')와 제 1 세레이션부재(264')가 코일스프링부재(262b')에 의해 서로 맞물리면 체결력이 유지되어 원판(262)과 대응판(264) 간의 회전 운동이 억제된다. 그러나, 대응판(264)과 원판(262)의 체결 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대응판(264)에 소정 이상의 회전 토크를 초과하는 회전력이 인가되면, 제 1 세레이션부재(262a')와 제 1 세레이션부재(264')가 체결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변위된다. 이후 코일스프링부재(262b')에 의한 제 1 세레이션부재(262a')와 제 1 세레이션부재(264a') 간에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그 변위된 위치에서 대응판(264)과 원판(262)의 체결 상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들보다 구성을 단순화하기 위해,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원판(262)과 대응판(264) 사이에 다수의 접시스프링(미도시)과 같은 탄성부재를 삽입하여 원판(262)과 대응판(264) 간에 마찰 토크가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금속재나 고분자수지재의 토크 제어부시(미도시)를 파이프형태로 만들어서 동심축(266,266')에 삽입하고 조립공차를 비교적 낮게 허용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마찰식 힌지 부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토크 제어부시와 원판(262, 262') 간의 회전 운동 시에 원판(262, 262')에 마찰 토크가 걸려서 받침판부(200)의 회전운동이 억제된다.
또한, 도 7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대응판(264) 내의 스프링과 볼을 제거하고 상기 원판(262)의 위치에 봉형상의 스토퍼(미도시)를 스프링식으로 구비하여 상기 대응판(264)의 특정 각도에서 해당 구멍에 봉형상의 스토퍼를 끼움으로써, 임의의 위치에서 대응판(264)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공지의 "다공원판 스톱 힌지 기구"(미도시)를 적용하여 다중위치 고정 유닛부를 수동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자라면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 및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다양한 공지기술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 및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상술한 래칫휠 기구 또는 래칫휠 어셈블리는 물론 래칫 힌지 기구를 포함하는 임의의 래칫 구조(이하 통칭하여 "래칫 기구(ratchet mechanism)"라 함)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상술한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기술한 래칫 기구에 따른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구조는 소정 각도를 벗어나면 체결이 해제되고 소정 각도로 되돌리면 체결이 다시 이루어지므로 "한계 각도 고정 힌지 기구"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가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는 본체부(100)의 측방면(130)과 간섭이 발생하거나,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의 두께로 인해 본체부(100)의 폭이 증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가 전방면(110)에 제공되는 경우 측방면(130)과의 간섭이나 본체부(100)의 폭이 증가되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는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래칫휠 기구 또는 래칫휠 어셈블리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이 경우 래칫휠(242)의 직경은 대폭 줄이고 래칫휠(242)의 폭은 증가시켜 래칫휠(242)에 가해지는 회전 토크를 충분히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는 제 1 방향(반시계 방향)으로는 자유롭게 회전이 될 수 있으나 제 2 방향(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은 수동으로 스토퍼(미도시)를 조작하는 방식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서 체결 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는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고정 장착되는 지지판(252)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받침판부(200)의 하측단(205)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와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지지암부(220)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받침판부(200)가 개방되어 사용될 경우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와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개방 각도 범위를 넘어서 회전하면 자동으로 래칫의 걸림이 해제되고, 소정의 각도로 되돌려주면 다시 체결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기술한 바와 같이,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의 회전 및 체결 상태의 해제는 수동식 스토퍼(미도시)를 이용하여 조작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는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고정 장착되는 지지판(252)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받침판부(200)의 일측면(도 9b의 실시예에서는 외측면(204))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와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지지암부(220)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받침판부(200)가 개방되어 사용될 경우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와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개방 각도 범위를 넘어서 회전하면 자동으로 래칫의 걸림이 해제되고, 소정의 각도로 되돌려주면 다시 체결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기술한 바와 같이,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의 회전 및 체결 상태의 해제는 수동식 스토퍼(미도시)를 이용하여 조작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도 9c는 도 9a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c를 참조하면, 상술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는 본체부(100)에 고정 장착되는 지지판(252)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받침판부(200)의 하측단(205)에 제공되되, 받침판부(200)가 본체부(100)의 저면(150)에 제공되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와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지지암부(220)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받침판부(200)가 개방되어 사용될 경우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00)의 저면(150)에는 받침판부(200)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형 수용부(미도시)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실시예를 핸드백과 같은 소형 가방에 적용하는 경우, 받침판부(200)를 본체부(100)의 바닥에 위치시킴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키고, 지지암부(220)의 길이를 비교적 길게 유지함으로써, 소형 가방의 사용자가 받침판부(200)를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와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개방 각도 범위를 넘어서 회전하면 자동으로 래칫의 걸림이 해제되고, 소정의 각도로 되돌려주면 다시 체결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기술한 바와 같이,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의 회전 및 체결 상태의 해제는 수동식 스토퍼(미도시)를 이용하여 조작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술한 도 9a 내지 도 9c에 예시되는 구조에 의해,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와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가 소형 경량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이 차지하는 공간 및 상호 간섭이 최소화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10)의 미관을 개선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d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를 착탈식으로 구성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d를 참조하면,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는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고정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250)에, 예를 들어, 후술하는 플렉시블 래치(flexible latch: 254) 및 캐치 캐비티(catch cavity: 256)와 같은 스냅피트(snap fit) 방식의 체결 장치를 적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판(252)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의 지지판(252)은 플렉시블 래치(254)와 같은 체결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0)는 일측면에 플렉시블 래치(254)와 같은 상기 체결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캐치 캐비티(256)와 같은 수용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252)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0)를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플랙시블 래치(254)와 캐치 캐비티(256)는 예시적인 것으로 당업자라면 상기 지지판(252)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0)가 공지된 임의의 체결 장치를 이용하여 착탈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지지판(252)의 플랙시블 래치(254)를 베이스 플레이트(250)의 캐치 캐비티(256)에 체결함으로써 지지판(252)이 베이스 플레이트(250)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를 회동 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가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도 9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받침판부(200)(구체적으로는,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지지판(252))이 가방(10)의 본체부(100)와 착탈식 구조로 제공되므로, 사용자가 받침판부(200)만을 따로 분리하여 보관하다가 필요에 따라 받침판부(200)를 본체부(100)에 장착한 상태로 휴대 또는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암부(220)는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게 되는 바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10)에서, 상기 받침판부(200) 상에 놓이는 대상은 손, 팔, 및 모바일 기기가 될 수 있으므로 이들의 무게를 감안하면 비교적 큰 하중이 가해질 수 있다. 이들 하중과 지지암부의 길이로 인해, 지지암부(220)를 통해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에 가해지는 회전 모멘트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큰 값이다. 따라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는 비교적 큰 회전력을 견디도록 견고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반해,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에 가해지는 회전력은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에 가해지는 회전력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매우 작으므로 상기 프리 스톱 힌지 장치 또는 스윙 힌지 장치 또는 마찰 힌지 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대체하여 비교적 경량 소형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기기 사용자는 개인별 신장과 자세 취향에 따라 각자가 필요로 하는 가방(10)과 받침판부(200)의 높이 및 개방각도(개방위치)는 가변적일 수 있다. 따라서, 착석 자세에서 볼 때, 사용자 각자의 편의에 따라 본 발명의 가방(10)을 대체로 수평 상태로 무릎 위에 올려놓은 후,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와 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60)에 대한 회전 조작을 통해 각각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받침판부(200)의 사용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받침판부(200) 상에 모바일기기는 물론, 사용자의 손과 팔이 놓이면 미치는 하중이 크게 증가할 수 있으므로 받침판부(200)는 최대 하중을 지지할 만큼 견고하며 강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시에, 받침판부(200)는 휴대성을 감안하여 가벼운 플라스틱 수지, 목재, 및 금속재 등의 경량 판상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또한 요구된다.
한편, 사용자가 받침판부(200) 상에 모바일기기만을 올려놓고 동영상 등을 감상하는 경우와 같이, 손 또는 팔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즉, 모바일기기를 받침판부(200) 상에 올려놓되 손으로 붙잡고 있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모바일기기가 중력에 의해 받침판부(200)의 하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0a는 도 1에 도시된 받침판부에 걸림턱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걸림턱부재가 위치 가변형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0a를 참조하면, 받침판부(200)는 그 내측면(202)의 하부 위치에 모바일기기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부재(206)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턱부재(206)는 일부 튀어나온 부분이 외부 간섭에 의해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받침판부(200)의 내측면(202)과 힌지방식으로 접혀진 후 납작하게 포개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걸림턱부재(206)가 미사용시 돌출되지 않고 보관될 수 있다. 도 10a에서는 걸림턱부재(206)가 받침판부(200)의 하부 위치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걸림턱부재(206)는 받침판부(200) 상에서 필요한 임의의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받침판부(200)의 내측면(202)과 걸림턱부재(206)는 자석부착 방식 등과 같은 공지 기술의 부착 방식에 의해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걸림턱부재(206)의 부착위치는 받침판부(200)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다. 이 경우, 공지의 부착 방식은 벨크로식, 스냅단추식, 볼트너트식, 후크식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공지기술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받침판부에 탄성층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10)에 사용되는 받침판부(200)의 내측면(202) 상에 탄성층부재(208)가 추가로 구비되는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이 경우, 탄성층부재(208)는 받침판부(200)의 내측면(202) 상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전체에 걸쳐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스펀지, 라텍스수지, 연질PVC, 발포성우레탄수지, 또는 에어쿠션 등과 같은 공지된 탄성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층부재(208)는 사용자의 손 또는 팔을 받침판부(200) 위에 올려놓을 때 받침판부(200) 상에서 눌려지는 피부와 골근육을 부드럽게 받쳐주는 쿠션 기능을 제공하여, 혈액순환이 원활하도록 도우면서 사용자가 장시간 모바일기기의 사용으로 인한 피로감과 통증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성층부재(208)는 모바일기기에 미치는 충격과 케이스에 발생할 수도 있는 긁힘을 감소시킬 수 있어 모바일기기 자체를 보호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의 지지암부가 길이조절식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암부(220)는 그 길이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지지암부(220)는 탄성버튼(224)을 구비하는 제 1 암부재(222); 및 복수의 관통공(228)을 구비하는 제 1 암부재(226)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암부재(222)는 내측암(222)이고, 제 1 암부재(226)는 외측암(226)이다. 탄성버튼(224)과 복수의 관통공(228)의 체결 및 해제를 통해 지지암부(220)는 그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제 1 암부재(222)와 제 1암부재(226)의 길이를 적절하게 맞추어 놓은 후 볼트부재와 너트부재를 사용하여 조립하는 방식으로 견고하게 결합시켜 지지암부(2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미도시). 이 밖에 다양한 공지의 길이 조절 방법을 이용하여 제 1 암부재(222)와 제 1 암부재(226) 간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받침판부(200)의 높이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지지암부(220)의 기하학적 구조가 직선 형태로 예시되어 있으나, 기능과 디자인의 필요에 따라 각이 진 형태 또는 굽은 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3은 도 1의 받침판부가 확장형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받침판부(200)는 받침판부(200) 상에 노트북형 덮개판부재(210)(notebook type top board)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판부재(210)는 힌지부재(212)에 의해 받침판부(200)와 노트북 형태로 접혀지는 구조를 가지며, 그에 따라 덮개판부재(210)는 받침판부(200)와 회동식으로 결합된다. 받침판부(200) 상에 비교적 넓은 태블릿PC를 올려놓고 사용하거나, 대형도서류를 올려놓고 독서를 하는 경우, 단지 전술한 받침판부(200)만으로는 대상물을 올려놓을 가용면적이 부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부족한 가용면적을 확장하기 위하여 받침판부(200)에 구비된 덮개판부재(210)를 펼쳐서 받침판부(200) 상의 가용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한편,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가 가방(10)의 본체부(100)에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제공되기 위해서, 본체부(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상기 주요 구성요소들과 결합하여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의 지지프레임(rigid support frame)이 추가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가방의 내부에 지지프레임이 추가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내부에 지지프레임이 추가로 구비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방(10)은 본체부(100)의 전방면(110) 또는 측방면(130)에 제공되는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지지프레임(190)을 상기 가방(10)의 내부에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은 지지프레임(190)의 부착면(198)에 리벳, 또는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조립되거나, 용접, 접합, 및 융착 등의 공지의 방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90)은 플라스틱수지 및 금속의 소재를 사용하여 경량형 판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b를 참조하면, 철사 또는 금속봉재(metal rod)와 판재를 조합하여 구성되는 지지프레임(190)이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90)은 도면에 예시되는 구성 이외에 가방(10)의 디자인과 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c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내부에 지지프레임이 추가로 구비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c를 참조하면,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가방(10)은 본체부(100)의 전방면(110)에 제공되는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지지프레임(190)을 상기 가방(10)의 내부에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는 지지프레임(190)의 부착면(198)에 리벳, 또는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조립되거나, 용접, 접합, 및 융착 등의 공지의 방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90)은 플라스틱수지 및 금속의 소재를 사용하여 경량형 판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가방(10)은 일반적으로 그 겉부분이 직물소재, 합성수지, 가죽소재와 같은 부드러운 소프트쉘 부재의 외피를 씌워서 구성되는 경우 소프트쉘 가방(soft shell bag)이라 지칭되며, 그 겉부분이 플라스틱수지, 또는 금속소재 등 단단하고 강성(剛性: stiffness)이 높은 하드쉘 부재의 외피를 씌워서 구성되는 경우 하드쉘 가방(hard shell bag)이라 지칭된다.
하드쉘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방의 경우에는, 하드쉘의 표면이나 이면에 상술한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를 직접 견고하게 결합시켜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하드쉘 부재 그 자체가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90)이 될 수 있다.
한편, 소프트쉘 가방의 경우에도, 도 14a 내지 도 14c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어느 일측면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하드쉘 부재를 추가로 제공하여 구성함으로써 지지프레임(190)의 기능이 갖추어지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가 가방(1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방(10)이 하드쉘 가방으로 구현되는 경우 가방(10) 자체가 지지프레임(190)의 기능은 물론 가방(10) 내부의 수용품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일부에 별도의 지지프레임이 추가로 구비되는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5b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의 일부에 하드쉘 부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10)은 전방면(110)의 적어도 일부분과 측방면(130)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분적으로 하드쉘 부재(190′)로 대체하여 제공하고, 이러한 하드쉘 부재(190′)의 부착면(198′)에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240)를 리벳, 볼트, 및 너트 등으로 조립하거나, 용접, 접합, 및 융착 등의 방법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쉘 부재와 하드쉘 부재의 접합은 박음질, 융착, 접착제, 리벳, 및 버튼 등의 공지 기술에 의해 다양한 방법 또는 이들 방식을 조합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5b를 참조하면, 도 9a 내지 도 9d의 실시예에 적합한 하드쉘 부재(190′)와 부착면(198′)을 예시하고 있다.
상술한 하드쉘은 고강성 엔지니어링 수지(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또는 FRP수지), 또는 기타 탄소섬유, 케블라섬유 등을 함유한 기능섬유보강재를 적용하여 구성하면, 방탄기능까지 부여할 수 있으므로 총기 사고 등으로부터 신체를 방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14a 내지 도 15b에 도시된 지지프레임(190)은 예시적인 것으로, 가방(10)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가방(10)은 손가방, 서류가방, 스마트패드용 가방, 노트북용 가방, 숄더백, 여성용 핸드백, 크로스백, 및 백팩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가장 넓은 의미의 모든 가방을 포함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가방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바른 자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방(10)은 사용자의 무릎 위 또는 허벅지 부분의 위에 본체부(100)를 걸쳐놓고, 사용자가 받침판부(200)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지지암부(220)를 원하는 각도만큼 열어놓는다. 그 후, 사용자는 받침판부(200)의 경사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고정시킨다. 그 후, 사용자는 개방된 받침판부(200) 위에 모바일기기를 올려놓거나, 모바일기기를 잡아주는 손과 팔을 올려놓으면 편안하고 바른 자세로 모바일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기기 사용자들이 본 발명의 가방(10)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신체 구조 측면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 양태가 매우 안정적이며 편리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방(10)은 받침판부(200) 상에 도서류를 얹어 놓고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독서대로 겸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8은 본 발명의 가방을 책상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모바일기기를 사용하는 바른 자세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방(10)을 책상 위에 수평으로 올려놓은 상태에서 받침판부(200)를 원하는 각도만큼 적절하게 개방해서 고정시키면 모바일기기는 물론 독서대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방(10)이 독서대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역시 사용자의 자세를 바르게 유지하도록 도와주므로 편리성과 함께 신체건강에 도움이 되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10: 가방 100: 본체부 110: 전방면 120: 후방면
130: 측방면 140: 상면 150: 저면 170: 손잡이
190: 지지프레임 198: 부착면 200: 받침판부 202: 내측면
204: 외측면 205: 하측부 206: 걸림턱부재 208: 탄성층부재
220: 지지암부 240: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250: 베이스플레이트 252: 지지판 254: 플렉시블 래치
256: 캐치 캐비티 260: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130: 측방면 140: 상면 150: 저면 170: 손잡이
190: 지지프레임 198: 부착면 200: 받침판부 202: 내측면
204: 외측면 205: 하측부 206: 걸림턱부재 208: 탄성층부재
220: 지지암부 240: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250: 베이스플레이트 252: 지지판 254: 플렉시블 래치
256: 캐치 캐비티 260: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Claims (9)
-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에 있어서,
전방면, 후방면, 측방면, 및 저면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상면을 가지는 본체부;
상기 전방면 또는 저면에 위치하는 받침판부;
상기 전방면에 회동식으로 제공되는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상기 받침판부에 제공되며, 상기 받침판부와 회동식으로 결합되는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및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 및 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를 서로 연결하는 지지암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회전운동에 의해 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위치가 조절되며,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의 회전운동에 따라 상기 받침판부의 경사 각도가 조절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는 상기 전방면에 고정 장착되는 지지판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는 상기 받침판부의 하측단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는 상기 전방면에 고정 장착되는 지지판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는 상기 받침판부의 일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는 상기 전방면에 고정 장착되는 지지판에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제 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는 상기 받침판부의 하측단에 제공되며,
상기 받침판부는 상기 저면에 제공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에는 상기 받침판부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형 수용부가 제공되는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전방면에 고정 장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용 가방.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체결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체결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부재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용 가방.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는 래칫 기구(ratchet mechanism)로 구현되고,
상기 제2 다중위치 고정유닛부는 래칫 힌지 기구, 스윙 힌지 기구, 프리 스톱 힌지 기구, 다공원판 스톱 힌지 기구, 마찰 힌지 기구, 한계 각도 고정 힌지 기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모바일 기기 사용자용 가방. -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5717A KR101554856B1 (ko) | 2014-10-27 | 2014-10-27 |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5717A KR101554856B1 (ko) | 2014-10-27 | 2014-10-27 |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4856B1 true KR101554856B1 (ko) | 2015-09-22 |
Family
ID=54248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5717A KR101554856B1 (ko) | 2014-10-27 | 2014-10-27 |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485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0864A (ko) * | 2020-09-24 | 2022-03-31 | 아이디피주식회사 | 수납 선반 |
DE102023123485A1 (de) | 2022-09-01 | 2024-03-07 | Wolf 1834 | Reiseuhrenständ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37545A (ja) | 1998-11-04 | 2000-05-16 | Nec Corp | 携帯型pcなどのキャリングケース |
KR101350362B1 (ko) | 2012-01-16 | 2014-01-14 | 한보림 |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 |
KR101457359B1 (ko) | 2013-08-06 | 2014-11-10 | 한민형 |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
2014
- 2014-10-27 KR KR1020140145717A patent/KR1015548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37545A (ja) | 1998-11-04 | 2000-05-16 | Nec Corp | 携帯型pcなどのキャリングケース |
KR101350362B1 (ko) | 2012-01-16 | 2014-01-14 | 한보림 |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 |
KR101457359B1 (ko) | 2013-08-06 | 2014-11-10 | 한민형 |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40864A (ko) * | 2020-09-24 | 2022-03-31 | 아이디피주식회사 | 수납 선반 |
KR102416910B1 (ko) * | 2020-09-24 | 2022-07-06 | 아이디피주식회사 | 수납 선반 |
DE102023123485A1 (de) | 2022-09-01 | 2024-03-07 | Wolf 1834 | Reiseuhrenstän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7359B1 (ko) |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
CN103348173B (zh) | 用于平面或平板计算设备的支架或支座 | |
US8752740B2 (en) | Personal armband storage device | |
US9283878B2 (en) | Supporting devices to enhance user comfort in a seated position | |
CN103649615A (zh) | 可携式计算器支撑物 | |
WO2015168665A1 (en) | Mobile electronic device holder | |
KR101536173B1 (ko) | 모바일 기기 사용자용 백팩 | |
US9737132B2 (en) | Movement and securement features for a structure, particularly a wearable article | |
JP3235917U (ja) | 自在に回動伸縮可能なスマートアーム | |
KR101554856B1 (ko) |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 |
KR20220023334A (ko) | 회전기구, 경량형 목 보조기 및 그 조정방법 | |
KR101244983B1 (ko) |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 |
US20130104274A1 (en) | Supporting devices to enhance user comfort in a seated position | |
KR101350362B1 (ko) |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 | |
KR200473826Y1 (ko) |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백팩 | |
KR200468599Y1 (ko) | S자형 곡면 등판부가 구비된 배낭 | |
JP4620798B1 (ja) | 折り畳みテーブル | |
JP3180904U (ja) | ハンドヘルド型モバイル端末固定装置の位置決め装置 | |
CN218457590U (zh) | 一种球拍运动背包 | |
JP6820019B2 (ja) | リュックサック | |
TWM660855U (zh) | 穿戴式支架 | |
KR20120134885A (ko) | 휴대용 전자기기 고정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 | |
EP2572604B1 (en) | Personal armband storage device | |
GB2514674A (en) | A holder for a mobile device | |
JP2002007062A (ja) | 携帯マウスパッ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