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154A -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154A
KR20130083154A KR1020120003736A KR20120003736A KR20130083154A KR 20130083154 A KR20130083154 A KR 20130083154A KR 1020120003736 A KR1020120003736 A KR 1020120003736A KR 20120003736 A KR20120003736 A KR 20120003736A KR 20130083154 A KR20130083154 A KR 20130083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dicaprylyl carbonate
color
polymethylsilsesquioxa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선
김은정
심민경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003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3154A/ko
Publication of KR20130083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1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와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olymethylsilsesquioxane) 및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disteardimonium hectorite) 중 1종 이상을 함유하여 색상지속성, 발색효과 및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가볍고 부드러운 발림성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Lip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dicaprylyl carbonate}
본 발명은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와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olymethylsilsesquioxane) 및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disteardimonium hectorite) 중 1종 이상을 함유하여 색상지속성, 발색효과 및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가볍고 부드러운 발림성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조성물 중 피부에 사용되는 화장료와는 달리 입술에 사용 가능한 모든 화장료인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색상을 부여하여 아름답고 건강하게 보이도록 한다. 일반적인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에는 동·식물성, 에스테르계 오일 등의 유성 기재에 안료를 분산시키고 이를 왁스상 물질들과 혼합하여 제조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색상의 지속력이 약하고 쉽게 지워지는 문제점이 있어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 지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합성 에스테르 오일 등의 무거운 오일 성분과 페이스트류의 함량을 높여 두꺼운 도포막을 만들면 사용성이 무거워 도포감촉이 나쁘고, 또한 도포 후 피부에 부담감을 주게 된다.
또한 휘발성 오일제를 통해 도포 후 오일은 휘발되어 도포면에 색소와 왁스성분만 남도록 하는 방법과 폴리머를 통한 피막형성제를 이용하여 입술 표면에 폴리머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으나 색상 지속력은 좋지만 제조시 고온과정으로 인해 휘발되어 내용물의 수축을 일으키고 또한 도포시 입술의 답답함과 심한 건조함을 유발한다. 이와 같은 종래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화장료 조성물, 특히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이 본 발명자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03-0040349호(2003.05.22. 공개)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색상 표현력과 지속성을 가지면서 사용상의 부담이 없이 가볍고 매끄럽게 도포되면서 보습효과가 있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를 함유하는 경우, 발색 지속효과가 우수하고 가볍고 부드러운 발림성의 효과를 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를 함유하여 얇지만 지속성 강한 도포막으로 발색 지속효과 및 보습력이 우수하고 입술에 부드럽고 가볍게 도포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를 함유하여 얇지만 지속성 강한 도포막으로 발색 지속효과 및 보습력이 우수하고 가볍고 부드러운 발림성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와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olymethylsilsesquioxane) 및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 중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여 부드러운 사용감과 균일한 발림성을 나타내어 사용성이 개선되고 보습효과가 우수하며 발색 및 색상 지속성이 향상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및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중 1종 이상을 더 함유함으로써 색상지속성과 발색효과 및 보습효과가 더욱 우수하고 가볍고 부드러운 발림성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와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olymethylsilsesquioxane) 및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disteardimonium hectorite) 중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는 다음의 화학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01
상기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는 매우 가볍고 퍼짐성이 좋으며 (1600mm2/10min) 흡수성도 빨라 피부막에 빠르게 스며들어 피부막이 건조되는 것을 막아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벨벳느낌의 부드럽고 매끈한 사용감을 부여하는 특징을 가지고, 휘발성이 없으면서 휘발성 실리콘 오일과 같은 성질을 가져 입술 화장료의 고온공정에도 수축되지 않고 다량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 부착성 및 매끄러운 발림성 향상을 위하여 상기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오일을 입술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30중량%로 함유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3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가벼운 오일의 함량만 높아서 기타 점도 있는 오일이 함량의 저하로 사용성 및 안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0.1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피부 부착성 및 매끄러운 발림성 향상의 목적하는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olymethylsilsesquioxane)을 더 함유하여, 피부 밀착성 및 매끄러운 발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리콘계 수지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olymethylsilsesquioxane)은 일반식 [CH3SiO3/2]n[CH3Si(OH)O2/2]m으로 표시되는 것으로써 Si-O 결합이 3개 존재하는 T-수지를 말하며, 통상적으로 Si-CH3가 붙어있는 오가노 폴리실록산으로 부른다.
상기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파우더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2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전체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화장료 조성물, 특히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성형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0.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목적하는 효과가 미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disteardimonium hectorite) 더 함유하여 색소 분산성을 높여 제형을 안정화 시키고 발색효과도 증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는 헥토라이트의 판상표면에 소수성 물질이 부가된 형태로, 오일상의 겔화 성질을 가지며 오일상에서 일정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포시 마찰에 의해 판상의 구조가 깨지면서 흐름성을 나타낸다.
상기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2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색소분산 효과가 미미하고, 2중량%를 초과하면 제형의 안정도와 사용감이 나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왁스, 오일, 파우더, 안료, 영양성분, 휘발성 용해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및 향 등과 같은 통상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성분(이하 "기타 성분"이라 한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9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왁스로는 고상(固相)의 왁스가 바람직하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오조케라이트, 밀납, 칸데릴라왁스, 카나우바왁스, 세레신, 파라핀, 몬탄왁스, 저팬왁스, 코코아버터 및 합성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 성분으로는 리퀴드 파라핀과 같은 광물성 오일; 스쿠알렌 및 하이드로 스쿠알렌 등의 동물성 오일; 팜오일, 아보카도 오일, 호호바오일, 세사미오일, 올리브오일 및 피마자유 등의 식물성 오일; 부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세틸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부틸스테아레이트, 폴리부텐, 폴리이소부텐, 수첨폴리이소부텐, 각종 폴리올, 트리-2-에틸헥실산 글리세린,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젖산 미리스틸, 옥틸 도데칸올 및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등의 합성 오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파우더 성분으로는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파우더, 예를 들면 백운모, 합성운모, 견운모, 카올린, 이산화티탄, 산화티탄피복 운모, 알루미늄 파우더, 황산화철, 흑산화철, 카본블랙, 황산바륨, 실리카 및 제올라이트 등의 무기 파우더; 및 나일론, PMMA, 폴리스틸렌 파우더, 폴리에틸렌 파우더 및 셀룰로오스 파우더 등의 유기 파우더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료로는 황색 203호, 황색 4호, 황색 5호, 황색 201호, 황색 204호, 적색 103호, 적색 201호, 적색 202호, 적색 218호, 적색 220호, 적색 223호, 적색 226호, 적색 227호, 청색 1호, 청색 2호 등의 바륨 또는 알루미늄 레이크의 유기 안료 및 진주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가열, 혼합 및 교반 등의 처리를 거침으로써 립스틱, 액상루즈 또는 립글로즈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립스틱 제형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왁스성분 밀납 2.1 2.1 2.1 2.1 2.1 2.1 2.1 2.1 2.1
칸델릴라 왁스 4.0 4.0 4.0 4.0 4.0 4.0 4.0 4.0 4.0
오조케라이트 2.0 2.0 2.0 2.0 2.0 2.0 2.0 2.0 2.0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5.0 5.0 5.0 5.0 5.0 5.0 5.0 5.0 5.0
시어버터 2.0 2.0 2.0 2.0 2.0 2.0 2.0 2.0 2.0
오일성분 디카프릴릴 보네이트 20 20 20 - - - - - -
트리카프릴린 - - - - - - - 20 -
디메치콘 - 20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초산 토코페롤 2.0 2.0 2.0 2.0 2.0 2.0 2.0 2.0 2.0
폴리이소부텐 5.0 5.0 5.0 5.0 5.0 5.0 5.0 5.0 5.0
파우더성분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 - 1 - - 1 1 - -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 10 10 - 10 - 10 - -
마이카 1.0 1.0 1.0 1.0 1.0 1.0 1.0 1.0 1.0
실리카 2.0 2.0 2.0 2.0 2.0 2.0 2.0 2.0 2.0
티타네이티드 마이카 3.0 3.0 3.0 3.0 3.0 3.0 3.0 3.0 3.0
기타성분 보존제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0.04
색소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향료 0.3 0.3 0.3 0.3 0.3 0.3 0.3 0.3 0.3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의 제조방법>
1) 상기 표 1의 원료를 평량하여 85℃ 로 가열 용해시켰다.
2) 상기 1) 단계의 용해물을 호모지나이져로 교반시켜 혼합물을 만들었다.
3) 상기 2) 단계의 혼합물을 탈기한 후, -20℃로 냉각하였다.
[ 시험예 1] 색상지속성, 발림성 및 보습성 관능 평가
상기 실시예 1~3및 비교예 1~6의 립메이크업 조성물의 색상지속성, 색상 발색력, 발림성, 보습성을 평가 하였다.
평가 대상은 24~35세 미혼 및 기혼 여성으로서 화장 경력이 최소 2년 이상이며, 일주일에 최소 5회 이상 지속적으로 립 제품을 사용하는 여성인 전문 패널 5명이 항목별 5점 척도(1점: 아주 나쁨, 3점: 보통, 5점: 아주 좋음)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색상지속성 4 5 5 3 4 3 4 3 3
색상발색력 4 4 5 3 3 3 3 3 3
발림성 4 5 5 3 3 3 3 3 4
보습성 4 4 4 3 3 4 4 3 3
총점 16 18 19 12 13 13 14 12 13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3은 비교예 1~6에 비해 색상지속성, 발림성, 색상표현력 및 보습성 항목에서 우수한 만족감을 나타냈으며, 전체적인 평점도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와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을 함께 함유하는 실시예 2에서 보다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및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를 함유하는 실시예 3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와 유사한 점도의 가벼운 사용감의 오일인 트리카프릴린 및 실리콘 오일인 디메치콘을 함유하는 사용한 비교예 5 및 6에 비해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가 함유된 실시예 1의 색상지속성, 발림성, 보습성의 효과가 우수한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함유하는 입술 조성물은 높은 색상 지속성과 발색력 및 발림성과 보습력이 우수하였고,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및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 중 1종 이상을 추가로 혼합하였을 때 그 효과가 보다 향상되었다.
[ 시험예 2] 색상 지속성 평가
상기 실시예 1~3에 의한 립스틱 및 비교예 1~4에 의한 립스틱을 도포 5분후 티슈로 찍어내어 피부에 남은 색을 측정하여 색상 지속성을 테스트하였다.
측정 방법은 스펙트로그래드 Ⅱ 컬러 시스템(spectrograd II color system)[가드너(gardner)사]을 이용하여 L, a, b를 측정한 후, 해석하기 용이한 색상, 명도, 채도로 변환하여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3에서 명도는 수치가 클수록 밝아지는 것을 의미하며, 채도는 수치가 클수록 선명해짐을 의미한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도포직후
명도 8.90 8.91 8.92 8.80 8.78 8.79 8.78 8.70 8.81
채도 6.70 6.90 6.92 6.60 6.65 6.64 6.70 6..59 6.63
색상 11,27 11.40 11.66 11.19 11.21 11.26 11.31 11.10 11.08
티슈찍은후
명도 8.60 8.81 8.8 8.49 8.50 8.50 8.52 8.48 8.47
채도 6.50 6.90 6.91 6.30 6.31 6.30 6.42 6.30 6.29
색상 11.19 11.30 11.60 9.81 9.85 9.83 9.86 9.83 9.80
상기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4 의한 립스틱은 흐릿해지는 정도가 컸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 1~3은 비교예 1~4에 비해 에 의한 립스틱의 색상 변화가 적었다. 특히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및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를 함유하는 실시예 3의 경우 티슈로 찍어낸 뒤의 색상변화가 거의 없어 색상 지속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와 각각 트리카프릴린 및 실리콘 오일인 디메치콘을 사용한 비교예 5 및 6에 비해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가 함유된 실시예 1~3의 색상지속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술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화장료에 비해 부드러운 사용감과 균일한 발림성을 나타내어 사용성이 개선되고 보습효과가 우수하며 발색 및 색상 지속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1.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Dicaprylyl Carbonate)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olymethylsilsesquioxane)을 더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disteardimonium hectorite)를 더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30중량%로 함유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20중량%로 함유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테아디모늄헥토라이트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2중량%로 함유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03736A 2012-01-12 2012-01-12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83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736A KR20130083154A (ko) 2012-01-12 2012-01-12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736A KR20130083154A (ko) 2012-01-12 2012-01-12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738A Division KR20180102035A (ko) 2018-09-05 2018-09-05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154A true KR20130083154A (ko) 2013-07-22

Family

ID=4899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736A KR20130083154A (ko) 2012-01-12 2012-01-12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31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992A (ko) 2015-01-30 2016-08-09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122342A1 (ko) * 2018-12-14 2020-06-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광택감과 색 묻어남 정도가 개선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992A (ko) 2015-01-30 2016-08-09 (주)아모레퍼시픽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122342A1 (ko) * 2018-12-14 2020-06-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광택감과 색 묻어남 정도가 개선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3760A (ko) * 2018-12-14 2020-06-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광택감과 색 묻어남 정도가 개선된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40887B (zh) 唇用化妝品組成物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94641B1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7757A (ko) 오일 분산형 화장료 조성물
EP2701678A2 (en) Cosmetic composition
US20210137818A1 (en) Oil-based hair coloring cosmetic
JP7213531B2 (ja) 凹凸補正化粧料
KR102016904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44904A (ko)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CN105916490B (zh) 唇部用化妆品组合物
KR20170001268A (ko)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유중수 제형 입술 화장료 조성물
KR101072633B1 (ko) 분산형 리퀴드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55164B1 (ko) 오일 분산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83154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59444B1 (ko) 매트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2035A (ko)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6120B1 (ko) 립 메이크업 조성물
KR101780709B1 (ko) 수용성 실리콘 화합물을 함유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9004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9125A (ko) 유분산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5078A (ko) 성형성이 향상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0715611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72726B1 (ko) 모이스쳐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5137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230046377A (ko) 모이스쳐 타입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