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116A -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116A
KR20130083116A KR1020120003676A KR20120003676A KR20130083116A KR 20130083116 A KR20130083116 A KR 20130083116A KR 1020120003676 A KR1020120003676 A KR 1020120003676A KR 20120003676 A KR20120003676 A KR 20120003676A KR 20130083116 A KR20130083116 A KR 20130083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r
battery
charging
terminal
maximum marg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철
김상순
박철웅
이광섭
장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3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3116A/ko
Priority to EP13150835.0A priority patent/EP2615714A1/en
Priority to US13/739,790 priority patent/US20130181663A1/en
Priority to CN2013100126753A priority patent/CN103208829A/zh
Publication of KR20130083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가 장착된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을 위한 충전 전류를 제공하되 상기 단말기 제어에 따라 설계된 정격 전류 값보다 큰 최대 마진 전류 값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Recharg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of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 시판되고 있는 충전기를 이용하여 보다 빠른 충전 속도와 안정적인 충전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한 형태로 개발되면서 그 이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자 단말기는 이동 통신 기능을 탑재하면서 보다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다. 한편 종래 전다 단말기는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 충족을 위하여 단말기가 지원할 수 있는 사용자 기능을 보다 확대해가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전자 단말기는 음악 파일 저장과 재생 및 청취 기능, 동영상 파일 저장과 재생 및 청취 기능, 문서 열람 기능, 문서 작성 기능, 사진 촬영 기능, 방송 수신 기능 등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해서 전자 단말기는 많은 양의 전원을 사용하게 된다. 종래 전자 단말기는 전원 공급을 위하여 배터리를 채용하고 있으며, 사용된 배터리는 재충전하여 쓸 수 있도록 2차 전지 형태로 배터리를 제작하고 있다.
한편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즉 배터리와 충전기만을 마련하고 배터리를 충전기로 직접 충전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배터리를 단말기에 장착한 상태에서 충전기를 단말기 일측과 연결하여 단말기 내부에 배치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이 있다. 이 두 가지 방법은 사용자의 상황이나 충전에 필요한 장치 소지 상태 등에 따라 적응적으로 이용된다.
상술한 충전기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방법에서 이용되는 충전 회로는 선형 충전기(Linear Charger)가 이용되고 있다. 선형 충전기는 입력 전류만큼 출력 전류가 공급되는 형태로 전압 드롭이 발생하는 만큼의 에너지가 열로 소모되어 충전이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선형 충전기를 대체할 수 있는 스위칭 충전기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단가가 비싸고 크기가 크기 때문에 활용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형 충전기를 이용하여 단말기를 보다 효율적이며 빠르게 충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가 장착된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을 위한 충전 전류를 제공하되 상기 단말기 제어에 따라 설계된 정격 전류 값보다 큰 최대 마진 전류 값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배터리가 장착된 단말기에 충전기가 접속되는 과정, 상기 충전기가 설계된 정격 전류 값보다 큰 최대 마진 전류 값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최대 마진 전류 충전 모드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선형 충전기를 이용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면서도 배터리 충전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말기 충전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도 2에 나타낸 단말기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단말기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 적용에 따른 배터리 충전 상태를 설명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충전 시스템(10)은 단말기(100), 배터리(200), 충전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단말기 충전 시스템(10)은 배터리(200)가 단말기(100)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충전기(300)의 일측이 외부 전원에 연결되고 타측이 단말기(100)에 연결될 수 있다. 충전기(300)는 단말기(100)와의 연결을 위하여 단말기(100)에 마련된 접속부에 대응하는 커넥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10핀 접속부를 가지는 경우 상기 충전기(300)의 커넥터는 10핀 접속부에 접속되는 커넥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기(300)는 단말기(100)에 마련된 선형 충전기(Linear Charger) 타입의 충전 회로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충전기(300)는 LDO(Low Drop Output) 모듈 운용과 같이 충전 회로에서 요청된 입력 전류를 단말기(100)에 공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충전기(300)는 단말기(100) 제어에 따라 충전기(300)가 지원 가능한 정격 전류보다 큰 특정 전류 값으로 배터리(200)를 충전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충전기(300)의 정격 전류 값을 확인하면 해당 정격 전류의 최대 마진 전류 값을 검출하고 최대 마진 전류 값을 이용하여 배터리(200)를 충전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최대 마진은 충전기(300) 설계 과정에서 설정되는 값으로 전류 및 전압의 허용 폭을 정의한 값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충전기(300)가 배터리(200)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충전기(300)의 전압을 드롭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300)가 700mA 5V 기준으로 배터리(200)를 충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상태에서, 단말기(100)는 700mA의 최대 마진 값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최대 마진 전류 값 예를 들면 850mA 크기의 전류로 배터리(200)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기(300)의 5V 전압은 정격보다 큰 전류 공급으로 인하여 전압 드롭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충전기(300)는 5V 전압에서 4.5 ~ 4V 전압으로 드롭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200)는 전원 사용에 따른 방전으로 충전된 전압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200)는 전원 방전 시 4V 미만 3V나 2V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충전기(300)는 4.5 ~ 4V 전압 850mA로 배터리(200)를 충전하는 과정에서 배터리(200)가 점진적으로 충전됨에 따라 배터리 전압이 높아지면 충전전류가 낮아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충전기(300)의 전압은 설계된 값 예를 들면 5V로 복귀하게 된다. 이후 충전기(300)는 설계된 정격 전류 및 정격 전압을 기준으로 배터리(200)를 충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 충전 시스템(10)은 충전기(300)의 정격 전류보다 큰 최대 마진 전류 값으로 배터리(200)를 충전시킴으로써 충전기(300)의 전압을 무너트려 배터리(200) 전압과의 전압차를 줄임으로써 단말기(100)의 충전 회로에서 전압차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을 저감하면서 배터리(200) 충전을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방법은 충전기(300)의 최대 마진 전류를 이용하기 때문에 충전기(300)나 단말기(100) 등에 하드웨어적인 손상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배터리(200)를 빠르게 충전시킬 수 있고, 또한 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에너지 비효율적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충전기 인터페이스(130), 표시부(140), 저장부(150), 오디오 처리부(170) 및 제어부(160)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충전기 인터페이스(130)에 충전기(300)가 연결되고 충전 회로(161)에 배터리(200)가 연결되면 제어부(160)가 충전 회로(161)를 제어하여 충전기(300)로부터 최대 마진의 전류 값으로 배터리(200)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충전기(300)의 최대 마진 전류 값을 이용함으로써 충전기(300)의 공급 전압을 다운시켜 배터리(200)와의 전압 차를 줄임으로써 전압차에 의한 충전 회로(161)의 발열발생을 억제하고 보다 빠른 배터리(200) 충전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에 대하여 효율적인 배터리 충전 기능 지원을 위한 역할과 기능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110)는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추가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단말기(100) 구성에서 생략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 특히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단말기(100)의 이동통신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음성 서비스 채널, 영상 서비스 채널, 데이터 서비스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고, 해당 서비스 채널에 따른 특정 신호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통신부(110)는 외부로부터 충전기(300)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10)는 충전기(300)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웹 서버나 타 단말기와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해당 웹 서버나 타 단말기로부터 현재 충전 접속된 충전기(300)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충전기(300) 정보는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통신부(11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일정 시점에 상술한 웹 서버나 타 단말기에 접속하여 다양한 충전기 관련 정보(153)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저장부(150)에 저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충전기 관련 정보(153)는 충전기(300)의 최대 마진 전류 값을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별도의 충전기 관련 정보(153) 수집을 수행하지 않고 기 설정된 설계안에 따라 충전기(300) 구분 없이 일률적인 최대 마진 전류 값을 적용하여 배터리(200)를 충전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부(110)는 충전기 관련 정보(153) 수집 과정을 생략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호환 가능 여부에 따라 키보드나 키패드, 키 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최대 마진 전류 충전 모드 및 일반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입력 신호는 제어부(160)에 전달될 수 있으며, 해당 모드에 따라 충전기(300)의 전류 이용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최대 마진 전류 충전 모드 및 일반 충전 모드 기능 지원 역시 설계 의도에 따라 제한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디폴트로 최대 마진 전류 충전 모드만을 지원할 수도 있다.
충전기 인터페이스(130)는 충전기(300)가 삽입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 충전기 인터페이스(13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충전기(300)에 마련된 커넥터가 삽입 고정되기 위한 구조의 접속부로 마련될 수 있으며, 커넥터에 형성된 전원 단자들과 접촉되는 단자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추가로 충전기 인터페이스(130)는 충전기(300) 삽입 시 충전기(300)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단자를 통하여 제어부(160)는 충전기(300) 결합 시 해당 충전기(300)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기 식별 정보는 충전기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기 식별 정보는 충전기의 고유 저항 정보나 기타 충전기의 물리적 특성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상기 단자는 충전기의 물리적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단자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을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충전기(300) 운용과 관련된 다양한 화면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40)는 충전기(300)가 현재 최대 마진 전류 값으로 충전되는 경우 최대 마진 전류 충전 모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나 텍스트를 화면의 적어도 한 곳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40)는 충전기(300)가 배터리(200)를 충전하여 배터리(200) 전압이 일정 전압 이상 증가함에 따라 충전기(300)의 전압이 정상으로 복귀하는 경우 일반 충전 모드에 해당하는 이미지나 텍스트를 화면의 적어도 한 곳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충전 모드 변경 확인을 통하여 배터리(20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40)는 충전기(300)가 삽입되면 해당 충전기(300)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해당 충전기(300)의 제원 정보에 해당하는 충전기 관련 정보(153)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충전기(300) 종류별 제원 정보를 웹 서버로부터 또는 타 단말기로부터 또는 제조 시에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150)에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충전 완료 시 충전 완료를 지시하는 정보를 화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40)는 충전 모드 전환을 지시하는 제어맵을 출력할 수 있다. 이 제어맵은 최대 마진 전류 충전 모드와 일반 충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표시부(140)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표시부(140)는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이 중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에는 상술한 제어맵에 해당하는 이미지 등이 출력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표시 패널에 출력 제어맵 운용을 위하여 터치 유효 영역과 터치 무효 영역을 설정하고, 터치 유효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충전 모드는 충전기(300)의 정격 전류 및 정격 전압에 따른 충전을 지원하는 모드로서, 충전기(300)가 지원하는 전류 및 전압에 따라 충전하는 모드이다. 최대 마진 전류 충전 모드는 제어부(160)의 충전 회로(161)의 제어에 따라 충전기(300)의 전류를 최대 마진 전류 값으로 유도하여 배터리(200)에 공급하는 모드이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70)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 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 재생 및 출력을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오디오 처리부(170)는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위한 스피커(SPK)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며 사용자의 음성을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오디오 처리부(170)는 배터리(200) 충전과 관련된 다양한 효과음 및 안내음을 출력할 수 있다. 먼저 배터리(200) 충전을 위하여 단말기(100)가 턴-온 상태에서 충전기(300)가 접속되면 오디오 처리부(170)는 충전기(300) 접속을 알리는 효과음 또는 안내음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70)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현재 설정된 모드 즉 최대 마진 전류 충전 모드가 설정된 경우 이를 안내하는 안내음이나 그에 대응하는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처리부(170)는 최대 마진 전류 충전 모드 진행 과정에서 충전기(300)의 정격 전류 및 정격 전압을 기준으로 배터리(200)를 충전하는 일반 충전 모드 단계로 진입하는 경우 그에 따른 알람음 또는 안내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70)는 배터리(200) 충전이 완료된 경우 충전 완료에 해당하는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오디오 처리부(170)의 안내음이나 효과음 출력은 단말기(100) 설정여부에 따라 실행 또는 생략될 수 있으며, 설계자의 설계 방식에 따라 해당 기능 지원 또는 미지원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기본 운영체제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과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150)는 배터리(200) 충전 제어를 위한 충전 제어 프로그램(151)을 저장할 수 있으며, 충전기 관련 정보(153)를 저장할 수 있다.
충전 제어 프로그램(151)은 본 발명의 배터리(200) 충전 과정에서 최대 마진 전류 충전 모드 및 일반 충전 모드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충전 제어 프로그램(151)은 입력 신호에 따라 최대 마진 전류 충전 모드 및 충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설정하는 루틴, 충전기(300) 접속 시 충전기(300)의 종류를 식별하는 루틴, 충전기(300)의 종류에 따라 충전기 관련 정보(153)를 확인하여 해당 충전기(300)의 최대 마진 전류 값을 검출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제어 프로그램(151)은 해당 충전기(300) 종류에 대한 충전기 관련 정보(153)가 없는 경우 웹 서버 등에 접속하여 해당 충전기(300) 종류에 대한 충전기 관련 정보(153)를 자동으로 획득하도록 제어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 제어 프로그램(151)은 검출된 최대 마진 전류 값이 충전기(300)로부터 배터리(200)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루틴, 공급된 최대 마진 전류 값이 배터리(200)를 충전하는 동안 배터리(200)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는 루틴, 배터리(200) 충전 상태에 따른 안내음이나, 텍스트 또는 이미지 등을 출력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기 관련 정보(153)는 충전기(300) 종류에 따른 제원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충전기 관련 정보(153)는 충전기(300) 종류에 따른 정격 전류 값 및 충전기(300) 종류에 따른 최대 마진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신호 흐름 제어와 정보의 전달, 가공 및 삭제나 수정 등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200) 충전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충전 회로(161)를 포함할 수 있고, 충전 회로(161) 제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선형 충전기(300) 제어를 위한 충전 회로(161)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0) 구성 중 제어부(160)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충전 회로(161)는 입력단(Input)과 출력단(Output)을 포함하며, 입력단(Input)에 각각 병렬로 연결되는 제1 커패시터(C1), 및 제1 저항(R1), 입력단(Input)과 출력단(Output)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칭 소자(SW), 스위칭 소자(SW)의 턴-온 및 턴-오프 제어를 위한 비교기(61), 비교기(61)의 제1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1 노드(N1), 비교기(61)의 제2 입력 단자(-)에 연결되는 제2 노드(N2), 제1 노드(N1)에 연결되는 제너 다이오드(Z1), 제2 노드(N2)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을 포함하는 분배 저항들(R2, R3), 출력단(Output)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 커패시터(C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충전 회로(161)는 입력단(Input)의 입력 전압이 제너 다이오드(Z1)를 거쳐 비교기(61)의 제1 입력 단자(+)에 공급되고, 출력단(Output)에 걸리는 전압을 분배 저항들(R2, R3)에 의하여 분배된 전압이 비교기(61)의 제2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출력단(Output)에 연결되는 배터리(200) 전압이 입력단(Input)에 연결되는 충전기(300)의 공급 전압보다 큰 경우 비교기(61) 출력에 의하여 스위칭 소자(SW)는 턴-오프 상태가 될 수 있다. 반대로 입력단(Input)에 걸리는 전압이 출력단(Output)에 걸리는 전압보다 큰 경우에는 비교기(61) 출력에 따라 스위칭 소자(SW)가 턴-온되어 입력단(Input)의 충전 전류가 출력단(Output)을 통하여 배터리(200)에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입력단(Input)에 연결되는 충전기(300)는 제어부(160) 제어에 따라 일정 충전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60)는 충전기(300) 연결 시, 디폴트로 충전기(300)의 정격 전류보다 최대 마진만큼 큰 전류 값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가 충전기(300)의 정격 전류 정보를 확인할 수 없도록 설계된 경우 제어부(160)는 디폴트로 특정 전류 값을 최대 마진 전류 값으로 설정하고, 해당 최대 마진 전류 값을 충전기(300)로부터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단말기(100) 충전 시 사전 정의된 충전기(300)만을 사용한다는 조건에서 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단말기(100)는 충전기(300)가 삽입되어 해당 충전기(300)가 사전 정의된 충전기(300) 모델이 아닌 경우 사전 정의된 충전기(300) 모델을 이용할 것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나 안내음 출력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해당 충전기(300)가 사전 정의된 충전기(300)가 아니면서 정격 전류 정보를 수집할 수 없는 경우에는 충전기(300)가 제공하는 전류 값을 기반으로 배터리(200)를 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충전기(300)의 정격 전류 정보 수집이 가능한 경우 제어부(160)는 해당 충전기(300)의 정격 전류를 기준으로 최대 마진 전류 값을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충전기(300)로부터 유도되는 충전 전류를 최대 마진 전류 값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기 접속 확인부(161), 충전 모드 운용부(163)를 포함하여 충전 회로(161)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충전기 접속 확인부(161)는 외부 장치가 충전기 인터페이스(130)에 접속되는 경우 접속된 외부 장치가 충전기(300)인지 또는 USB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하여 충전기 접속 확인부(161)는 외부 장치 확인을 위한 단자를 마련하고, 해당 단자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는 과정에서 변경되는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여 외부 장치가 어떠한 장치인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충전기 접속 확인부(161)는 외부 장치가 접속됨에 따라 발생하는 특정 물리적 특성 변화 값 예를 들면 저항 변화 값을 저장부(150)에 사전 저장된 정보 예를 들면 충전기 관련 정보(153)와 비교하여 해당 물리적 특성 변화 값에 대응하는 외부 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충전기 접속 확인부(161)는 접속된 외부 장치가 USB 장치인 경우 USB 장치 지원을 위한 통신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충전기 접속 확인부(161)는 충전기 인터페이스(130)에 충전기(300)가 접속되는 경우 충전 모드 운용부(163)에 충전기(300) 접속을 알람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충전기 접속 확인부(161)는 충전기(300) 종류에 따른 정격 전류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 해당 정보를 충전 모드 운용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충전기 접속 확인부(161)는 충전기(300)의 정격 전류 정보가 없는 경우 사전 설정된 루틴에 따라 접속된 충전기(300) 종류에 따른 정격 전류 정보 즉 충전기 관련 정보(153)를 웹 서버나 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충전기 관련 정보(153) 수집은 설계자의 설계 방식에 따른 것으로 충전기 관련 정보 확인 기능이 없는 경우 충전기 접속 확인부(161)는 충전기(300) 접속 사실만을 충전 모드 운용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충전 모드 운용부(163)는 충전기(300)가 접속되면 충전기(300)가 제공하는 전원을 배터리(200)에 공급하기 위하여 충전 회로(16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충전 모드 운용부(163)는 충전기(300)가 제공하는 충전 전류를 최대 마진 전류 값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충전 회로(161)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충전 모드 운용부(163)는 접속된 충전기(300)의 정격 전류 정보 및 최대 마진 정보를 충전기 접속 확인부(161)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최대 마진 전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 모드 운용부(163)는 결정된 최대 마진 전류 값에 해당하는 충전 전류가 충전기(300)로부터 배터리(200)에 공급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충전 모드 운용부(163)는 충전기 관련 정보(153)를 충전기 접속 확인부(161)로부터 전달받지 못한 경우, 기 설정된 루틴에 따라 충전기(300)의 정격 전류를 임의의 값 예를 들면 사전 정의된 최대 마진 전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충전 모드 운용부(163)는 충전기(300)가 결정된 최대 마진 전류 값에 따른 충전 전류를 제공하도록 충전 회로(16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충전 모드 운용부(163)는 디폴트로 기 설정된 최대 마진 전류 값을 기반으로 배터리(200)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충전 모드 운용부(163)는 충전기(300) 정보 확인 과정에서 해당 충전기(300)가 사전 정의된 충전기(300)가 아닌 경우 사전 정의된 충전기(300)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 또는 안내음 출력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스템(10)은 충전기가 제공할 수 있는 정격 전류 값보다 큰 최대 마진 전류 값으로 충전기(300)의 충전 전류를 배터리(200)에 공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충전기(300)는 정격 전류보다 큰 충전 전류를 공급하게 됨으로 전압 드롭이 발생하게 되면, 본 발명의 충전 회로는 배터리(200)와 충전기(300) 간의 전압차 감소에 따라 발열 발생이 감소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충전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충전 회로(161)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저감시키면서 충전기(300)가 제공할 수 있는 충전 전류를 최대 마진으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서 충전은 보다 신속하게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의 충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 충전 제어 방법은 먼저 501 단계에서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외부 장치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외부 장치 연결이 없는 경우 503 단계로 분기하여 사용자 제어에 따른 단말기(100) 사용자 기능 운용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사용자 제어에 따라 파일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웹 접속 기능, 방송 수신 기능, 통화 기능 등 특정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 흐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501 단계에서 외부 장치가 연결되면 제어부(160)는 505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외부 장치가 충전기(300)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충전기 인터페이스(130)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면 제어부(160)는 외부 장치 접속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 값을 확인하고, 해당 정보 변화와 사전 정의된 정보 비교를 통하여 접속된 장치가 충전기(300)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외부 장치가 충전기(300)가 아닌 경우 507 단계로 분기하여 접속된 외부 장치에 따른 기능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접속된 외부 장치가 USB인 경우 USB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 제어에 따른 정보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USB 방식의 충전기인 경우 USB 방식에 따른 배터리(200) 충전을 지원할 수 도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비디오/오디오 출력 기능을 지원하는 외부 장치의 접속인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현재 재생 중인 비디오/오디오를 외부 장치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505 단계에서 충전기(300)가 접속된 경우, 제어부(160)는 509 단계로 분기하여 접속된 충전기(30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는 단말기(100)의 해당 기능 지원 여부 및 충전기(300)의 종류 정보 알림 지원 기능 여부 등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즉 단말기(100)가 충전기(300)의 접속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거나, 충전기(300)가 별도의 종류 정보 확인을 위한 정보 제공을 하지 않는 경우 509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충전기(300) 접속이 확인되면 또는 충전기(300)의 종류 정보가 확인된 경우 제어부(160)는 511 단계로 분기하여 충전기(300)의 최대 마진 전류 값 충전 및 정격 전류 충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충전기(300)가 접속되면 충전 회로(161)를 제어하여 충전기(300)가 최대 마진 전류 값에 해당하는 충전 전류를 배터리(200)에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최대 마진 전류가 배터리(200)를 충전함에 따라 배터리(200)의 전류가 충전되고 점진적으로 배터리(200)의 전압이 증가하게 된다. 배터리(200)의 전압이 증가하게 되면 충전기(300)의 충전 전류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충전기(300)의 전압도 설계된 정상 전압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충전기(300)는 정격 전류로 배터리(200)를 충전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513 단계에서 배터리(200)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여부 즉 배터리(200) 전압이 충전기(300)의 충전 전류 공급 전압 이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상인 경우 충전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513 단계에서 배터리(200)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511 단계 이전으로 분기하여 이하 과정을 재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은 충전기(300)의 정격 전류 값 및 최대 마진을 확인하여 최대 마진 전류로 배터리(200)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배터리(200)가 충전됨에 따라 전압이 증가하면 충전기(300)의 충전 전류가 줄어들고, 그에 따라 충전기(300)에 설계된 충전 전류 및 전압으로 배터리(200)를 충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충전 제어 방법은 정격 전류보다 높은 충전 전류로 배터리(200)를 신속하게 충전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최대 마진 전류로 배터리(200)를 충전함에 따른 견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충전기(300)의 정격 전류보다 높은 최대 마진 전류로 배터리(200)를 충전시킴에 따라 최대 마진 전류로 배터리(200)를 충전하는 동안 충전기(300)에 전압 드롭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200)가 급속 충전됨에 따라 배터리(200)에 어느 정도 충전 전류가 충전되어 배터리(200) 전압이 증가하게 되면 충전기(300)의 충전 전류가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정격 전압으로 귀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이후 충전기(300)는 설계된 정격 전류 및 정격 전압을 기반으로 하는 일반 모드에 따른 배터리(200)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통신 단말기인 경우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 배터리 충전 시스템 100 :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충전기 인터페이스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60 : 제어부
170 : 오디오 처리부 200 : 배터리
300 : 충전기

Claims (18)

  1. 배터리가 장착된 단말기;
    상기 단말기에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를 충전을 위한 충전 전류를 제공하되 상기 단말기 제어에 따라 설계된 정격 전류 값보다 큰 최대 마진 전류 값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최대 마진 전류 값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 정격 전압보다 낮은 전압 상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됨에 따라 상기 최대 마진 전류 값이 감소하여 정격 전류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상기 정격 전류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 정격 전압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충전기가 접속되는 충전기 인터페이스;
    상기 충전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어 상기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류 크기를 제어하는 충전 회로;
    상기 충전 회로에서 공급된 충전 전류를 장착된 배터리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기가 접속되면 상기 충전기 종류를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기 종류의 정격 전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격 전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기의 최대 마진 전류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정격 전류 정보 수집을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가 최대 마진 전류 값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상태를 지시하는 이미지와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충전기가 정격 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상태를 지시하는 이미지와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회로는
    선형 충전기 지원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시스템.
  10. 배터리가 장착된 단말기에 충전기가 접속되는 과정;
    상기 충전기가 설계된 정격 전류 값보다 큰 최대 마진 전류 값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최대 마진 전류 충전 모드 수행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마진 전류 충전 모드 수행 과정은
    상기 최대 마진 전류 값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 정격 전압보다 낮은 전압 상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가 최대 마진 전류 값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상태를 지시하는 이미지와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충전됨에 따라 상기 최대 마진 전류 값이 감소하여 정격 전류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일반 충전 모드 수행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충전 모드 과정은
    상기 정격 전류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동안 정격 전압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충전기가 정격 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상태를 지시하는 이미지와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기가 접속되면 상기 충전기 종류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확인된 충전기 종류의 정격 전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
    상기 획득된 정격 전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충전기의 최대 마진 전류 값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 정격 전류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기의 충전 전류를 상기 배터리에 전달하는 충전 회로는 선형 충전기 지원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KR1020120003676A 2012-01-12 2012-01-12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8311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676A KR20130083116A (ko) 2012-01-12 2012-01-12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EP13150835.0A EP2615714A1 (en) 2012-01-12 2013-01-10 Method and system for battery charging control of a terminal
US13/739,790 US20130181663A1 (en) 2012-01-12 2013-01-11 Method and system for battery charging control of a terminal
CN2013100126753A CN103208829A (zh) 2012-01-12 2013-01-14 用于终端的电池充电控制的方法和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676A KR20130083116A (ko) 2012-01-12 2012-01-12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116A true KR20130083116A (ko) 2013-07-22

Family

ID=4760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676A KR20130083116A (ko) 2012-01-12 2012-01-12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181663A1 (ko)
EP (1) EP2615714A1 (ko)
KR (1) KR20130083116A (ko)
CN (1) CN10320882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736B1 (ko) * 2013-04-17 2015-01-29 주식회사 그린칩스 배터리 충전 거치대의 급속 충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15613A (ko) * 2014-07-3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30061759A (ko) * 2021-10-29 2023-05-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서비스별 정격전류 기반의 에너지저장장치 용량측정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4375A (zh) * 2012-09-28 2015-04-29 日立工机株式会社 充电装置
CN105900312B (zh) 2014-11-11 2018-05-29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电源适配器和终端
CN108736539B (zh) * 2014-11-11 2022-09-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充电线缆和终端
CN108539804B (zh) * 2017-03-03 2020-07-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池充电控制方法、电池充电控制装置和电子设备
US10579122B2 (en) * 2017-03-06 2020-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rmining use context for a charging device and displaying a contextually appropriate user interface
KR102294017B1 (ko) * 2017-03-07 202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안테나의 임피던스 매칭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0848B2 (ja) * 1994-12-26 2004-07-07 富士通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4129498A (ja) * 2001-12-25 2004-04-22 Fujitsu Ltd 電子装置
KR100656588B1 (ko) * 2006-02-10 2006-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장 배터리의 추가 장착에 대한 식별이 용이한 배터리잔량정보의 표시가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1380748B1 (ko) * 2006-10-10 2014-04-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선택에 따라 배터리 충전모드를 변경하는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339822B1 (ko) * 2007-10-15 2013-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에 따른 단말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단말기
KR20100046562A (ko) * 2008-10-27 201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충전 제어 장치
KR101682386B1 (ko) * 2010-06-29 2016-1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전 방법 및 충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736B1 (ko) * 2013-04-17 2015-01-29 주식회사 그린칩스 배터리 충전 거치대의 급속 충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15613A (ko) * 2014-07-31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충전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30061759A (ko) * 2021-10-29 2023-05-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서비스별 정격전류 기반의 에너지저장장치 용량측정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15714A1 (en) 2013-07-17
CN103208829A (zh) 2013-07-17
US20130181663A1 (en)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3116A (ko)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0261750B2 (en) Using a processing device as a dock for a media player
KR101920236B1 (ko)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2138134B (zh) 智能的具有供电功能的通信端口
KR100750197B1 (ko) 휴대 단말기에서 전원 공급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09766B1 (ko) 외부 장치 접속 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는휴대 단말기
US2014030032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nd charging device supporting the same
TWI451703B (zh) 察覺外部裝置的行動終端以及其控制方法
KR102315042B1 (ko) 역방향 충전 기기
WO2021035736A1 (zh) 充电控制方法及装置、充电测试方法及系统、电子设备
CN108132401A (zh) 充电异常的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CN107196372A (zh) 充电方法及装置
KR2012001868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충전용량 설정방법
KR20150000675A (ko)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WO2022218046A1 (zh) 一种电池充电方法及电子设备
CN108287605A (zh) 充电控制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EP2731224B1 (en) Method for processing power source state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CN116111659A (zh) 充电电路、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08683236A (zh) 一种移动终端otg充电方法及装置
JP2014036504A (ja) 電子機器、充電制御方法、及び充電制御プログラム
CN110518673B (zh) 无线耳机充电电路、无线耳机和无线耳机充电方法
JP2018113759A (ja) 充電可能なバッテリ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及び充電装置
CN112636399B (zh) 充电方法和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4503390A (zh) 用于控制对电子装置的电池的充电的方法及其电子装置
CN113131543A (zh) 充电控制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