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2325A -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및 이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및 이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2325A
KR20130082325A KR1020120003471A KR20120003471A KR20130082325A KR 20130082325 A KR20130082325 A KR 20130082325A KR 1020120003471 A KR1020120003471 A KR 1020120003471A KR 20120003471 A KR20120003471 A KR 20120003471A KR 20130082325 A KR20130082325 A KR 20130082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er
ferrite
sintering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9294B1 (ko
Inventor
홍경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1020120003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294B1/ko
Publication of KR20130082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06Manufacturing of magnetic cores by mechanical means
    • H01F41/0246Manufacturing of magnetic circuits by moulding or by pressing pow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2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ferr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0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01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 H01F1/03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 H01F1/12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 H01F1/34Magnets or magnetic bodies characterised by the magnetic materials therefor;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of inorganic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coercivity of soft-magnetic materials non-metallic substances, e.g. ferri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라이트 소결시 이용되는 세터와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량이며 열전달 효과가 우수한 베이스세터와 플레이트세터를 이용하여 페라이트 시트를 소결함으로써 제품의 불량은 감소시키며, 품질은 향상된 페라이트 시트를 생산할 수 있는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및 이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페라이트 소결시 이용되는 내화갑에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베이스세터 및 상면에 가압성형된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세터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및 이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Light setter for ferrite sintering and method of ferrite sintering used light setter}
본 발명은 페라이트 소결시 이용되는 세터와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베이스세터와 상기 베이스세터의 상부에 위치하여 그 상면에 가압성형된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구비되는 다공질의 플레이트세터로 구성되는 경량세터를 이용하여 페라이트 시트를 소결함으로써 제품의 불량은 감소시키며, 품질은 향상된 페라이트 시트를 생산할 수 있는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및 이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제품은 휴대성, 편의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기능화, 소형화, 고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전자회로를 더욱 복잡하게 구성되도록 하고 있으며, 많은 양의 데이터 처리를 위해 신호가 더욱 고주파화 되고 있다. 전자제품의 복잡화와 고주파수화는 전자파의 발생의 원인이 되며, 발생한 전자파는 주변 전자부품의 오작동 및 파손을 초래한다.
또한, 전자파는 인체에도 나쁜 영향을 주어 국제적으로 그 발생량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제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및 외부 전자파에 대한 전자제품의 오작동을 막기 위해 전자파 흡수체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전자파 흡수체로는 페라이트 시트가 주로 사용되며, 페라이트 시트는 페라이트 분말을 결합제 등과 혼합하여 페라이트 시트 성형체를 성형한 후 상기 페라이트 시트 성형체를 소결시켜 제조된다.
페라이트 시트의 소결 시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페라이트 시트 성형체를 적층시켜 소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양면에 각각 보호 필름(Protect film)과, 접착 테이프(Adhesive Tape)가 접착되어 전자파 흡수체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페라이트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 페라이트 시트 성형체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여 적층시켜 소결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페라이트 시트 성형체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함으로써, 소결이 완료되어 적층된 상태인 페라이트 시트를 각각 손상없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페라이트 시트 성형체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여 소결하는 경우 소결된 페라이트 시트의 표면도 거칠게 형성된다.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페라이트 시트 또는 보호 필름을 접착시키는 경우 보호 필름과의 사이 및 접착 테이프와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접착력이 낮았다.
따라서,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페라이트 시트를 사용하여 제조된 전자파 흡수체는 제품 내구성 및 신뢰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페라이트 시트의 제조 방법은 페라이트 시트로 소결되는 각각의 페라이트 성형체의 표면을 거칠게 가공하는 공정이 추가되므로, 페라이트 시트의 제조 과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관련 선행 기술로는 국내 특허 공개 2001-0090788호 '전자파 흡수재와 그것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사용한 응용'(2001.10.19)이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량의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베이스세터의 상부에 가압성형된 페라이트 분말이 포함된 혼합물이 상면에 놓이는 플레이트세터를 위치시킨 후 소결함으로써 다수의 페라이트 시트를 적층하여 소결하여도 서로 분리가 용이한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세터와 플레이트세터로 구성되는 경량세터의 중량이 가벼워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상기 베이스세터에 형성되는 통기구로 인하여 페라이트 시트의 대량 생산을 위해 여러 층의 세터를 적층하여 소결 할 시 하층의 세터와 상부의 세터 간의 온도편차가 감소되어 균일한 품질의 페라이트 시트를 생산 할 수 있는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페라이트 분말이 포함된 혼합물이 놓이는 플레이트세터는 다공질의 기판형상으로 제조되어 페라이트 시트의 중앙에서 가장자리까지 균일한 소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페라이트 소결시 이용되는 내화갑에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베이스세터 및 상면에 가압성형된 상기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세터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세터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세터는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수평하게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통기구를 형성하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세터는 다공질의 기판형상으로 제조된다.
상기 베이스세터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서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다리 및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서 상기 지지다리에 대응되어 함몰형성되는 결합홈이 더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베이스세터를 다수의 층으로 적재할 시 하층의 플레이트세터 상면에 놓이는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상층의 베이스세터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세터의 면적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보다 작은 면적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페라이트 소결시 이용되는 내화갑에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베이스세터를 준비하는 제1단계와, 상기 페라이트의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가압성형하는 제2단계 및 다공질의 플레이트세터의 상면에 상기 제2단계에서 가압성형된 혼합물을 위치시킨 후 상기 플레이트세터를 베이스세터의 상면에 위치시켜 소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세터에는 지지다리가 상기 베이스세터의 상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다수의 베이스세터를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제2단계에 따른 혼합물을 다량으로 소결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에서 베이스세터 상면에 위치되는 플레이트세터의 면적은 상기 베이스세터보다 작도록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여,
본 발명은 페라이트 소결시 이용되는 베이스세터와 플레이트세터가 경량이어서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고 벨트타입의 소결로 등에서 벨트에 하중을 감소시켜 소결로 설비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베이스세터에는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세터는 다공질의 기판형상으로 제조되어 본 발명에 따른 경량세터를 여러 층으로 적재하여 페라이트 시트를 소결할 시 상층과 하층에 위치한 경량세터 간에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세터의 상면에는 결함홈이 구비되고, 하면에는 지지다리가 구비되어 상기 경량세터를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소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러 층으로 적재된 경량세터 간에 전달되는 온도 분포가 균일할 뿐 아니라, 다공성의 플레이트세터로 인하여 가압성형된 페라이트 분말이 포함된 혼합물의 전체 면적의 온도 분포 또한 균일하게 함으로써 상기 가압성형된 혼합물, 즉 페라이트 시트를 여러층으로 적재하여 소결 시 페라이트 시트가 서로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베이스세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플레이트세터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경량세터를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랑세터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세터와 본 발명의 경량세터를 이용하여 소결시 소결로 내의 온도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종래의 세터와 본 발명의 경량세터를 이용하여 생산된 페라이트 시트의 투자율을 비교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1) 및 이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1)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베이스세터(100)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플레이트세터(200)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경량세터(1)를 적재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랑세터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종래의 세터와 본 발명의 경량세터(1)를 이용하여 소결시 소결로 내의 온도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종래의 세터와 본 발명의 경량세터(1)를 이용하여 생산된 페라이트 시트의 투자율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1)는, 페라이트 소결시 이용되는 내화갑에 다수의 통기구(140)가 형성된 베이스세터(100) 및 상면에 가압성형된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2)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세터(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세터(200)를 포함한다.
상기 내화갑(saggar)은 세라믹 제품을 소성 할 때 불꽃이나, 열 충격 및 냉각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기 위한 내화성 용기를 말한다.
또한, 상기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2)은 소결 후 페라이트 시트가 되는 것으로써 상기 내화갑 및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2)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세터(100)는 다수의 통기구(140)가 형성된 것으로써,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서 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통기구(140)를 형성하는 가로부재(120)와 세로부재(130)로 구성된다.
상기 가로부재(120)와 세로부재(130)는 상기 프레임(110)과 동일한 수평면 상에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1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다리(1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에는 상기 지지다리(150)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함몰형성되는 결합홈(160)이 구비된다.
즉, 다량의 페라이트 시트를 생산하기 위하여 도 4와 같이, 상기 베이스세터(100)를 여러 층으로 적재할 때 상층에 위치하는 베이스세터(100)의 지지다리(150)가 하층에 위치하는 베이스세터(100)의 결합홈(160)에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인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다리(150)는 다수의 베이스세터(100)를 적재할 시 하층의 베이스세터(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세터(200)가 상층에 위치한 베이스세터(100)의 하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세터(200)는 그 상면에 가압성형된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2)을 올려놓은 후 상기 플레이트세터(200)를 다시 베이스세터(100)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상기 가압성형된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2)을 소결하여 페라이트 시트를 생산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다공질의 플레이트세터(200)는 멀라이트(mullite) 재질로서, 상기 멀라이트의 화학적 성분은 Al₂O₃ 및 3Al₂O₃·2SiO₂으로 산화알루미늄과 산화규소의 화합물이다. 여기에 카본(carbon)이나 열경화성 레진(thermosetting resins) 등을 첨가하여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제조되며, 박막필름 테이프 캐스트성형(thick film tape casting) 방식으로 기판을 제작하여 소결하는 방법으로 제작한다.
여기에서, 상기 플레이트세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54 내지 58%의 기공률을 가지도록 제조하며, 바람직하게는 56%의 기공률을 가지도록 제조한다.
이에 따라, 소결로 내에서 상기 플레이트세터(200)의 상면에 놓이는 가압성형된 혼합물(2)의 전체 면적으로 열이 골고루 가해져서 생산되는 페라이트 시트의 전체 면적에서 균일한 투자율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세터(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세터(200)로 인하여 상기 통기구(140)가 막히지 않도록, 상기 플레이트세터(200)의 면적은 상기 베이스세터(100)보다 작게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1)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페라이트 소결시 이용되는 내화갑에 다수의 통기구(140)가 형성된 베이스세터(100)를 준비하는 제1단계(S100)와, 상기 페라이트의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2)을 가압성형하는 제2단계(S200) 및 다공질의 플레이트세터(200)의 상면에 상기 제2단계에서 가압성형된 혼합물(2)을 위치시킨 후 상기 플레이트세터(200)를 베이스세터(100)의 상면에 위치시켜 소결하는 제3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베이스세터(100)에는 상기 지지다리(150)와 이에 대응되는 결함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베이스세터(100)를 안정적으로 적층하여 소결함으로서 다량의 페라이트 시트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세터(200)가 다공질이면서 상기 베이스세터(100)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으로 제조되어 소결로 내의 온도 분포가 균일하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 다른 방법으로 생산되는 페라이트 시트의 전체 면적에서 일정한 투자율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1)를 이용함으로써, 페라이트 시트의 전체 면적에서 균일한 투자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을 위하여 상기 경량세터(1)를 여러 층으로 적재하여 소결 할 시에 상층과 하층에 있는 페라이트 분말이 포함된 혼합물(2)의 작용 온도가 균일하여 상층에서 생산되는 페라이트 시트와 하층에서 생산되는 페라이트 시트가 균일한 투자성을 지니도록 함으로써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경량세터(1)의 중량이 가벼워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고, 벨트식 소결로의 경우 벨트에 가해지는 큰 하중으로 인하여 소결설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래의 표 1은 종래의 세터와 본 발명의 경량세터(1)를 이용하여 페라이트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가압성형된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2)을 소결하는 소결로 내의 온도편차에 관한 것이다.
샘플번호
(세터 및 경량세터)
종래의 세터 경량세터
좌측온도(℃) 우측온도(℃) 좌측온도(℃) 우측온도(℃)
1 948 947 931 933
2 932 930 928 929
3 927 925 926 926
4 925 923 924 925
5 924 923 924 924
6 924 924 925 924
7 926 924 926 927
8 927 926 928 928
상기 표 1의 샘플번호는 종래의 세터 및 본 발명의 경량세터(1)를 적재한 것으로써, 1번이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것이고 8번이 가장 위쪽에 위치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소결로 내에서 종래의 세터 및 본 발명의 경량세터(1)에서 각각의 좌측과 우측의 온도를 측정하여 단일 세터 및 경량세터(1)에서 나타나는 온도편차를 측정한 것이다. 여기에서 샘플번호 1 내지 9는 각각의 적재된 종래의 세터 및 경량세터(1)를 의미한다.
상기 표 1에서, 종래의 세터에서 보이는 온도편차를 확인하면, 최하층에 위치한 샘플번호 1의 세터에서 확인되는 좌측온도는 927℃이고 우측온도는 926℃이며, 최상층에 위치한 샘플번호 8을 보면 세터의 좌측온도는 948℃이고 우측온도는 947℃로써, 샘플번호 1과 8의 온도편차는 세터의 좌측과 우측이 각각 21℃의 온도편차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경량세터(1)에서 보이는 온도편차를 확인하면, 최하층에 위치한 샘플번호 1의 경량세터(1)의 좌측온도는 931℃이고 우측온도는 933℃이며, 최상층에 위치한 샘플번호 8을 보면 경량세터(1)의 좌측온도는 928℃이고 우측온도는 928℃로써, 샘플번호 1과 8의 온도편차는 세터의 좌측이 3℃, 우측이 5℃의 온도편차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도 6은 상기 표 1의 측정 온도를 그래프로 도시한 것으로, 가로축은 샘플번호이고 세로축은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표 1 및 도 6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량세터(1)를 적재하여 소결하면 상층과 하층 간의 온도편차가 종래의 세터에서 확인되는 온도편차와 비교하여 확연히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의 표 2는 종래의 세터와 본 발명의 경량세터(1)를 이용하여 제조한 페라이트 필름의 투자율을 측정한 것이다. 여기서 샘플번호 1 내지 12는 적재된 종래의 세터 및 경량세터(1)에서 각각 소결되는 페라이트 시트를 의미한다.
샘플번호
(페라이트 시트)
경량세터 종래의 세터
μ' μ" μ' μ"
1 91.3 0.93 121.3 1.78
2 88.2 0.89 103.9 1.08
3 89.7 0.94 91.0 0.84
4 93.6 1.03 95.4 0.99
5 91.9 1.01 88.5 0.82
6 94.7 0.92 91.7 1.03
7 88.9 0.79 90.9 0.98
8 89.7 0.94 91.5 0.99
9 91.4 0.95 90.9 0.97
10 93.8 1.12 96.3 1.1
11 91.5 1.01 97.3 1.14
그리고 도 7은 상기 표 2의 투자율 측정값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표 2 및 도 7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최하층에서 소결되는 페라이트 시트(표 2 및 도 7의 샘플번호 1)는 종래의 세터는 121.3이고 경량세터(1)는 91.3이고, 최상층에서 소결되는 페라이트 시트(표 2 및 도 7의 샘플번호 11)는 종래의 세터는 97.3이고 경량세터(1)는 91.5 임을 알 수 있다.
즉, 종래의 세터에서 소결되는 페라이트 시트는 적재된 위치에 따라 투자율이 최대 32.8 만큼 차이가 나고, 경량세터(1)의 경우에는 최대 6.5 만큼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에 페라이트 시트의 투자율은 소결로 내의 온도편차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종래의 세터를 이용할 경우에는 하층에 위치한 세터의 잠열이 증가되어 열손실이 발생하며, 이는 하층에서 소결되는 페라이트 시트의 투자율과 다른 층에서 소결되는 페라이트 시트의 투자율 차이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 : 경량세터 2 : 혼합물
100 : 베이스세터 110 : 프레임
120 : 가로부재 130 : 세로부재
140 : 통기구 150 : 지지다리
160 : 결합홈 200 : 플레이트세터

Claims (13)

  1. 페라이트 소결시 이용되는 내화갑에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베이스세터; 및
    상면에 가압성형된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세터의 상부에 구비되는 플레이트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세터는,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프레임에 수평하게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통기구를 형성하며,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가로부재와 세로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세터는 다공질의 기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세터는,
    멀라이트에 카본 및/또는 열경화성 레진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세터는 기공률이 54 내지 5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세터는,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서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다리; 및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서 상기 지지다리에 대응되어 함몰형성되는 결합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는,
    상기 베이스세터를 다수의 층으로 적재할 시 하층의 플레이트세터 상면에 놓이는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상층의 베이스세터의 하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세터의 면적은 상기 베이스세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9. 페라이트 소결시 이용되는 내화갑에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된 베이스세터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페라이트의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가압성형하는 제2단계; 및
    다공질의 플레이트세터의 상면에 상기 제2단계에서 가압성형된 혼합물을 위치시킨 후 상기 플레이트세터를 베이스세터의 상면에 위치시켜 소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세터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세터는,
    상기 베이스세터 하면의 가장자리에서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다리; 및
    상기 베이스세터 상면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지지다리에 대응되어 함몰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세터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다수의 베이스세터를 적재하여 제2단계에 따른 혼합물을 다량으로 소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세터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세터는 멀라이트에 카본 및/또는 열경화성 레진을 첨가하여 제조하며, 54 내지 58%의 기공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라이트 소결용 경랑세터.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베이스세터 상면에 위치되는 플레이트세터의 면적은 상기 베이스세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세터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
KR1020120003471A 2012-01-11 2012-01-11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및 이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 KR101359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471A KR101359294B1 (ko) 2012-01-11 2012-01-11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및 이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471A KR101359294B1 (ko) 2012-01-11 2012-01-11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및 이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325A true KR20130082325A (ko) 2013-07-19
KR101359294B1 KR101359294B1 (ko) 2014-02-11

Family

ID=4899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471A KR101359294B1 (ko) 2012-01-11 2012-01-11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및 이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2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6953A (zh) * 2019-06-17 2019-08-16 江苏科技大学 一种具有矫顽力梯度分布特征复合钕铁硼磁体的制备方法
WO2021033375A1 (ja) * 2019-08-16 2021-02-25 日本碍子株式会社 焼成用ラック及び焼成用治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371A (ja) * 1998-02-20 1999-11-05 Maruju:Kk 焼成用ラッ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6953A (zh) * 2019-06-17 2019-08-16 江苏科技大学 一种具有矫顽力梯度分布特征复合钕铁硼磁体的制备方法
CN110136953B (zh) * 2019-06-17 2022-04-26 江苏科技大学 一种具有矫顽力梯度分布特征复合钕铁硼磁体的制备方法
WO2021033375A1 (ja) * 2019-08-16 2021-02-25 日本碍子株式会社 焼成用ラック及び焼成用治具
JPWO2021033375A1 (ja) * 2019-08-16 2021-09-13 日本碍子株式会社 焼成用ラック及び焼成用治具
TWI828927B (zh) * 2019-08-16 2024-01-11 日商日本碍子股份有限公司 燒成用框架及燒成用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294B1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053196B (zh) 一种大尺寸高温共烧陶瓷的烧结方法
CN111302812A (zh) 一种陶瓷基板的压烧校平方法
KR101359294B1 (ko) 페라이트 소결용 경량세터 및 이를 이용하여 페라이트를 소결하는 방법
CN113916002B (zh) 片状陶瓷覆压烧结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165558B1 (ko) 박형 세라믹 기판의 소성용 적층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박형 세라믹 기판의 제조방법
WO2005087690A2 (en) Low mass kiln furniture
CN215063756U (zh) 生瓷片烧结辅助治具
KR102305983B1 (ko) 소성용 다중 적재판
KR101900547B1 (ko) 세라믹 기판 제조용 적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기판의 제조 방법
KR101343311B1 (ko) 페라이트 시트의 표면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페라이트 시트 제조 방법
KR101179336B1 (ko) 세라믹 기판의 소성용 버퍼시트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기판의 제조방법
JPH04152107A (ja) セラミックシートの積層成形法
KR101536307B1 (ko) 소결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149786A (ja) 電波吸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2158072A1 (ja) 板状焼成治具
JP3999107B2 (ja) 焼成用補助治具
JP4581575B2 (ja) 板状セラミック体の製造方法及びセラミック焼成用荷重付加部材
CN111231438A (zh) 透明基板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KR20140090337A (ko) 페라이트 그린 시트 소결용 페라이트 세터
CN114133232B (zh) 一种铁氧体隔磁片及其烧结方法
KR20200136192A (ko) 대형 세라믹 성형체 소결 방법
KR20130102232A (ko) 통기성 다공홀 기능성 세라믹셋터
JP4397619B2 (ja) 焼成用補助治具
KR101953433B1 (ko) 세라믹 기판 휨 발생용 도구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세라믹 기판의 휨 발생 방법
KR101547229B1 (ko) 기포가 제거된 적층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