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520A -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520A
KR20130081520A KR1020120002541A KR20120002541A KR20130081520A KR 20130081520 A KR20130081520 A KR 20130081520A KR 1020120002541 A KR1020120002541 A KR 1020120002541A KR 20120002541 A KR20120002541 A KR 20120002541A KR 20130081520 A KR20130081520 A KR 20130081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conductor
engine block
wire harnes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20002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1520A/ko
Publication of KR20130081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5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엔진블록에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를 삽입하여 보호하는 프로텍터, 이 프로텍터에 일부 노출되게 매립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도전체, 이 와이어 하네스로부터 분기되는 접지선을 도전체에 연결하는 제 1연결부, 및 이 프로텍터를 엔진블록에 고정함과 동시에 접지선이 연결된 부위와 다른 부위에 해당되는 도전체를 엔진블록에 연결함으로써 접지선을 접지시키는 제 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엔진블록에 나사 결합되는 프로텍터 내측에 도전체를 이중 사출 성형하고 접지선을 도전체에 연결하면서 동일 도전체를 엔진블록에 연결함에 따라 프로텍터의 설치를 통해 와이어 하네스를 접지시킬 수 있어 접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와이어 하네스의 우회 배선을 통한 접지에 따른 원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EARTH DEVIC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블록에 나사 결합되는 프로텍터 내측에 도전체를 이중 사출 성형하고 접지선을 도전체에 연결하면서 동일 도전체를 엔진블록에 연결함에 따라 프로텍터의 설치를 통해 와이어 하네스를 접지시킬 수 있어 접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와이어 하네스의 우회 배선을 통한 접지에 따른 원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와이어고정판 등의 서포트(Support)부재를 사용하여서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도록 한다.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각 전장품들은 전력 구동원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켜 놓지 않으면, 차량의 주행진동으로 인해서 와이어 하네스가 심하게 유동되고, 또한 다른 부품과 마찰을 일으켜서 파손되는 사태가 발생되기 때문에, 반드시 수 개의 와이어 하네스용 프로텍터로 고정시켜야 한다.
아울러, 접지(Earth)란 전압의 기준점을 설치하고 인체의 안전을 확보하거나 기기의 확실한 작동을 위하여 전기장치 또는 전기회로의 적당한 곳을 대지에 의도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으로, 기호로는 E 또는 GND로 표기한다.
자동차에서는 베터리의 +전극에서 전장품(모터)으로 전기가 흐르고, 이 전장품은 차체로 접지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441805호(2008. 09. 02.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기존의 프로텍터가 엔진블록에 설치시, 접지선은 프로텍터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우회 배선되어야 함에 따라, 케이블의 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접지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블록에 나사 결합되는 프로텍터 내측에 도전체를 이중 사출 성형하고 접지선을 도전체에 연결하면서 동일 도전체를 엔진블록에 연결함에 따라 프로텍터의 설치를 통해 와이어 하네스를 접지시킬 수 있어 접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엔진블록에 설치되는 프로텍터를 통해 엔진에 연결된 와이어 하네스를 접지시킬 수 있어 와이어 하네스의 우회 배선을 통한 접지에 따른 원가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는: 차량의 엔진블록에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를 삽입하여 보호하는 프로텍터, 상기 프로텍터에 일부 노출되게 매립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도전체, 상기 와이어 하네스로부터 분기되는 접지선을 상기 도전체에 연결하는 제 1연결부, 및 상기 프로텍터를 상기 엔진블록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접지선이 연결된 부위와 다른 부위에 해당되는 상기 도전체를 상기 엔진블록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접지선을 접지시키는 제 2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도전체의 어느 한 부위를 노출시켜 상기 제 1연결부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제 1연통홀을 통공하고, 상기 도전체의 다른 한 부위를 노출시켜 상기 제 2연결부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제 2연통홀을 통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접지선에 접속되는 링터미널, 및 상기 링터미널과 상기 도전체의 어느 한 부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결속하는 제 1결속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2연결부는, 상기 프로텍터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도전체의 다른 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상기 엔진블록에 형성되는 설치홀부, 및 상기 도전체의 다른 한 부위와 상기 엔진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결속함과 동시에 상기 프로텍터를 상기 엔진블록에 고정 설치하는 제 2결속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는 엔진블록에 나사 결합되는 프로텍터 내측에 도전체를 이중 사출 성형하고 접지선을 도전체에 연결하면서 동일 도전체를 엔진블록에 연결함에 따라 프로텍터의 설치를 통해 와이어 하네스를 접지시킬 수 있어 접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엔진블록에 설치되는 프로텍터를 통해 엔진에 연결된 와이어 하네스를 접지시킬 수 있어 와이어 하네스의 우회 배선을 통한 접지에 따른 원가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의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10)는 프로텍터(20), 도전체(30), 제 1연결부(40) 및 제 2연결부(50)를 포함한다.
프로텍터(20)는 차량에 배선된 와이어 하네스(4)를 삽입하여 외부로부터 와이어 하네스(4)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프로텍터(20)는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물론, 프로텍터(20)는 관[pipe] 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4)를 삽입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하로 분리되어 와이어 하네스(4)의 해당 부위를 에워싸고 나서 결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프로텍터(20)는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서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와이어 하네스(4)는 차량용 엔진의 외형을 형성하는 엔진블록(engine block,2) 표면을 따라 배선된다. 그리고, 와이어 하네스(4)는 엔진블록(2)에 설치되는 점화플러그(도시하지 않음)나 온도센서(도시하지 않음) 등에 연결된다. 그래서, 와이어 하네스(4)는 접지선(6)을 함께 정렬하게 된다.
접지선(6)은 전선 다발인 와이어 하네스(4)로부터 분기되어 차체에 접지되어야 한다.
프로텍터(20)는 접지선(6)과 엔진블록(2)에 연결되는 도전체(30)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전체(30)는 프로텍터(20)에 일부 노출되게 매립되도록 사출 성형된다. 즉, 도전체(30)는 프로텍터(20)에 이중 사출 성형됨으로써 프로텍터(20) 내측에 매립된다. 이때, 도전체(30)의 일부는 프로텍터(2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때, 프로텍터(20)에 매립된 채 접지선(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프로텍터(20)로부터 노출되는 도전체(30)의 해당 부위는 제 1노출부위(32)라고 하고, 엔진블록(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프로텍터(20)로부터 노출되는 도전체(30)의 해당 부위는 제 2노출부위(34)라고 한다.
아울러, 도전체(30)가 프로텍터(20) 내측에 매립된 채 프로텍터(20)로부터 제 1노출부위(32)와 제 2노출부위(34)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프로텍터(20)는 홀이나 홈 형상의 제 1연통홀(22)과 제 2연통홀(24)을 형성한다.
즉, 프로텍터(20)는 도전체(30)의 어느 한 부위, 즉 제 1노출부위(32)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제 1연통홀(22)을 통공하고, 도전체(30)의 다른 한 부위, 즉 제 2노출부위(34)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제 2연통홀(24)을 통공한다.
따라서, 제 1노출부위(32)가 제 1연통홀(22)을 통해 노출되도록, 도전체(30)는 프로텍터(20)의 내측에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제 2노출부위(34)가 제 2연통홀(24)을 통해 노출되도록, 도전체(30)는 프로텍터(20)의 내측에 구비된다.
편의상, 제 1연통홀(22)과 제 2연통홀(24)은 프로텍터(20)의 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양측으로 연통되는 홀 형상인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프로텍터(20)는 축 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상태로, 접지선(6)이 도전체(30)의 제 1노출부위(32)와 최대한 단거리로 연결될 수 있도록, 제 1연통홀(22)은 프로텍터(20)의 축 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 1연통홀(22)이 프로텍터(20)의 축 방향으로 양측 중 어느 일측 가장자리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프로텍터(20)가 엔진블록(2)에 연결되는 부위는 프로텍터(20)의 축 방향으로 중앙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제 2연통홀(24)은 프로텍터(20)의 축 방향으로 중앙에 통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체(30)는 도전성을 갖는 버스바(bus-bar)로 함이 바람직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제 1연결부(40)는 와이어 하네스(4)로부터 분기되는 접지선(6)을 도전체(3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 1연결부(40)는 프로텍터(20)의 제 1연통홀(22)을 통해 접지선(6)과 도전체(30)의 제 1노출부위(3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 2연결부(50)는 프로텍터(20)를 엔진블록(2)에 고정함과 동시에 접지선(6)이 연결된 부위와 다른 부위에 해당되는 도전체(30)를 엔진블록(2)에 연결함으로써 접지선(6)을 접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제 2연결부(50)는 프로텍터(20)의 제 2연통홀(24)을 통해 도전체(30)의 제 2노출부위(34)와 금속재질인 엔진블록(2)을 연결하면서 프로텍터(20)를 엔진블록(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로서, 제 1연결부(40)는 링터미널(42) 및 제 1결속부재(44)를 포함한다.
링터미널(42)은 접지선(6)의 단부에 접속된다.
그리고, 제 1결속부재(44)는 링터미널(42)과 도전체(30)의 어느 한 부위 즉 제 1노출부위(3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1결속부재(44)는 기계결합요소로서, 볼트와 너트로 도시한다. 링터미널(42)과 도전체(30)의 제 1노출부위(32)는 제 1연통홀(22)에 대응되도록 홀(hole)을 통공한다. 이에 따라, 제 1결속부재(44)의 한 요소인 볼트가 제 1연통홀(22), 링터미널(42), 제 1노출부위(32) 및 제 1연통홀(22)에 순서대로 삽입된 후 제 1결속부재(44)의 다른 요소인 너트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접지선(6)은 프로텍터(20)에 매립된 도전체(30)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 2연결부(50)는 설치홀부(52) 및 제 2결속부재(54)를 포함한다.
설치홀부(52)는 프로텍터(20)의 제 2연통홀(24)을 통해 노출되는 도전체(30)의 다른 한 부위 즉, 제 2노출부위(34)에 대응되도록 엔진블록(2)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 2결속부재(54)는 도전체(30)의 다른 한 부위 즉, 제 2노출부위(34)와 엔진블록(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결속함과 동시에 프로텍터(20)를 엔진블록(2)에 고정 설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2결속부재(54)는 기계결합요소로서, 볼트와 너트로 도시한다. 도전체(30)의 제 2노출부위(34)는 제 2연통홀(24)에 대응되도록 홀(hole)을 통공한다. 이에 따라, 제 2결속부재(54)의 한 요소인 볼트가 제 2연통홀(24), 제 2노출부위(34), 제 2연통홀(24) 및 설치홀부(52)에 순서대로 삽입된 후 제 2결속부재(54)의 다른 요소인 너트에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프로텍터(20)는 제 2결속부재(54)에 의해 엔진블록(2)에 고정 설치되고, 접지선(6)은 프로텍터(20)에 매립된 도전체(30)를 통해 엔진블록(2)에 접지된다.
물론, 접지선(6)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도전체(30)의 제 1노출부위(32)에 연결될 수 있고, 프로텍터(20)와 도전체(30)의 제 2노출부위(34)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엔진블록(2)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엔진블록 4: 와이어 하네스
6: 접지선 10: 접지장치
20: 프로텍터 22: 제 1연통홀
24: 제 2연통홀 30: 도전체
32: 제 1노출부위 34: 제 2노출부위
40: 제 1연결부 42: 링터미널
44: 제 1결속부재 50: 제 2연결부
52: 설치홀부 54: 제 2결속부재

Claims (4)

  1. 차량의 엔진블록에 배선되는 와이어 하네스를 삽입하여 보호하는 프로텍터;
    상기 프로텍터에 일부 노출되게 매립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도전체;
    상기 와이어 하네스로부터 분기되는 접지선을 상기 도전체에 연결하는 제 1연결부; 및
    상기 프로텍터를 상기 엔진블록에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접지선이 연결된 부위와 다른 부위에 해당되는 상기 도전체를 상기 엔진블록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접지선을 접지시키는 제 2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도전체의 어느 한 부위를 노출시켜 상기 제 1연결부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제 1연통홀을 통공하고, 상기 도전체의 다른 한 부위를 노출시켜 상기 제 2연결부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제 2연통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결부는,
    상기 접지선에 접속되는 링터미널; 및
    상기 링터미널과 상기 도전체의 어느 한 부위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결속하는 제 1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연결부는,
    상기 프로텍터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도전체의 다른 한 부위에 대응되도록 상기 엔진블록에 형성되는 설치홀부; 및
    상기 도전체의 다른 한 부위와 상기 엔진블록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결속함과 동시에 상기 프로텍터를 상기 엔진블록에 고정 설치하는 제 2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
KR1020120002541A 2012-01-09 2012-01-09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 KR201300815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541A KR20130081520A (ko) 2012-01-09 2012-01-09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541A KR20130081520A (ko) 2012-01-09 2012-01-09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520A true KR20130081520A (ko) 2013-07-17

Family

ID=48993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541A KR20130081520A (ko) 2012-01-09 2012-01-09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15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034B1 (ko) * 2017-06-21 2018-09-12 (주)티에이치엔 접지 일체형의 차량용 고정 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034B1 (ko) * 2017-06-21 2018-09-12 (주)티에이치엔 접지 일체형의 차량용 고정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1293B2 (en) Automobile power supply device
EP2610878B1 (en) Wire harness
US9537294B2 (en) Integrated shielding protector and wire harness
CN107117116B (zh) 线束
US9112287B2 (en) Swaging connection structure
EP2613973B1 (en) Conductive path structure and wire harness
JP5885387B2 (ja) 鉄道車両の高圧機器システム及び鉄道車両
CN108290531B (zh) 线缆引导装置、布线装置、安全气囊模块、方向盘及车辆
EP2735062A1 (en) Connector with shield shell for cable
ES2613836T3 (es) Conducto de alimentación de energía para automóvil con un punto de apoyo de arranque externo
KR100909098B1 (ko) 합선방지를 위한 지중배전선 접속체
CN107004996B (zh) 电线端子组件和适配器套件
US20130095704A1 (en) Cable connecting structure
CN106410543A (zh) 配电装置
US20130284484A1 (en) Protector and wiring harness
JP4412256B2 (ja) 電気接続箱
KR101876859B1 (ko)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KR20130081520A (ko)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장치
KR20150041035A (ko) 퓨즈 유닛
KR20090063723A (ko) 와이어링 하네스 프로텍터
KR101159725B1 (ko) 커넥터 커버 잠금 장치
KR20180076021A (ko) 차량용 정션 블럭
KR20070035192A (ko) 실드 케이블 하우징 조립체
JP6216615B2 (ja) ワイヤハーネス
US20170069410A1 (en) Arrangement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al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