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333A -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 - Google Patents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333A
KR20130081333A KR1020120002226A KR20120002226A KR20130081333A KR 20130081333 A KR20130081333 A KR 20130081333A KR 1020120002226 A KR1020120002226 A KR 1020120002226A KR 20120002226 A KR20120002226 A KR 20120002226A KR 20130081333 A KR20130081333 A KR 20130081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keleton
waterproof
wall portion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경
Original Assignee
김보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경 filed Critical 김보경
Priority to KR102012000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1333A/ko
Publication of KR2013008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3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25Wind breakers, i.e. devices providing lateral protection of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6Devices for cleaning flower-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에 생긴 곰팡이나 벌레 등을 제거하거나 화분 청소를 위한 물청소 시에 바닥에 물이 떨어지거나 기타 식물에서 나온 쓰레기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분 물청소에 능숙하지 않은 사람이나, 매번 화분 물청소를 할 때마다 바닥에 흘리거나 떨어진 쓰레기를 제거하는 데에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이 물과 쓰레기 화분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으면서 화분 물청소를 진행할 때 용이하여, 물청소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pollen for easy water cleaning}
본 발명은 식물에 생긴 곰팡이나 벌레 등을 제거하거나 화분 청소를 위한 물청소 시에 바닥에 물이 떨어지거나 기타 식물에서 나온 쓰레기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분을 이중벽으로 만들어 화분의 벽과 벽 사이에 물받이를 삽입한 형태로, 삽입된 물받이를 물청소 시 간단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여 누구든 쉽게 물로 인해 바닥이 젖지 않고 쓰레기를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물청소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화분 물청소에 능숙하지 않은 사람이나, 매번 화분 물청소를 할 때마다 바닥에 흘리거나 떨어진 쓰레기를 제거하는 데에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이 물과 쓰레기 화분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으면서 화분 물청소를 진행할 때 용이하여, 물청소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화분용 물받이는 화분의 아랫부분에서 배출되는 물을 받는 그릇에 불과하였고, 물청소시 떨어지는 물이나 기타 쓰레기를 받아내는 제품은 시중이나 일상생활에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기존에는 화분 물청소를 진행하면 떨어진 물과 쓰레기로 인해 바닥이 지저분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화분 물청소를 위한 특허가 등록되어 있는데, 최근에 등록된 출원번호 2020080006379의 '화분 식재 식물용 방수판'은 주로 방수판을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제작한 형태를 명시하고 있는데, 방수판을 화분에 탈부착시킴으로서 화분 물청소시 물이나 기타 쓰레기들이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보이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분 물청소를 돕는 기구는 화분과 분리된 구조, 화분 물청소 때마다 일일이 화분에 설치해야 하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화분 물청소시 종래의 화분 물청소를 돕는 기구가 없거나, 화분의 크기가 기구에 적합하지 않다면 여전히 물이나 쓰레기를 떨어뜨리면서 화분 물청소를 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분 물청소를 돕기 위한 방수용 천을 화분 내에 보관하고 편리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여, 화분 물청소 시 언제나 쉽게 방수용 천을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했으며, 방수용 천의 구조 자체가 신축성 있게 크기가 조절되며 필요시 화분으로부터 분리도 가능해 본 발명에 해당하는 어떤 크기의 화분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일반 화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화분 물청소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하는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은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을 이루는 몸체부에 있어서;
화분의 내면을 이루는 내벽부, 화분의 겉면을 이루는 외벽부, 방수 기구의 골격을 이루는 골격부, 골격부에 부착된 방수용 천의 집합인 방수부, 내벽부에 부착되어 방수부를 포함한 골격부를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 외벽부와 내벽부 사에에 삽입되어 방수부를 포함한 골격부의 꺼냄을 용이하게 하는 용수철의 집합인 탄성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골격부의 상단과 하단의 원형 골격은 신축성이 있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기존의 원 모양의 반지름의 크기가 신축성 있게 일정 범위에서 증감할 수 있다. 상단과 하단 골격을 연결하는 세로로 된 골격은 플라스틱이나 스텐레스 등 단단하면서도 녹슬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 골격부를 튼튼하게 유지시키며, 상단과 하단 골격의 위치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외벽부는 화분의 겉면을 이루며, 내벽부는 화분 내부의 흙과 맞닿는 위치에 있다. 외벽부의 내부의 바닥 가장자리에는 원 모양을 따라 다수의 용수철들의 집합인 탄성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 탄성부는 외벽부와 내벽부의 사이 공간에 방수부를 포함한 골격부가 함께 삽입되어, 고정부로 인해 고정될 때는 용수철이 압축되어 있지만, 고정부가 열리면 용수철에 가해진 압력이 사라지면서 방수부를 포함한 골격부가 튀어나오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방수부를 포함한 골격부가 튀어나오거나 들어갈 때에는 골격부 상단과 하단이 신축성있게 늘어나거나 줄어듬으로서 화분의 둘레의 변화에 적절한 형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한 방수부는 골격부의 세로로된 골격에 부착되어 있지만, 상단과 하단 골격과는 분리된 구조로,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에 있을 때는 세로로 접혀있지만 튀어나오면 접힌 부위가 펼쳐지면서 골격부의 원주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고정부는 내벽부의 안쪽 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내벽부의 맨 위 가장자리와 외벽부의 맨 위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방수부를 포함한 골격부를 내벽부와 외벽부 사이의 공간에 고정시킨다.
상기한 방수부를 포함한 골격부와 탄성부는 연결되어 있지 않은 구조이므로 얼마든지 방수부를 포함한 골격부를 분리하여 본 발명에 해당하는 어떤 크기의 화분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일반 화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골격부는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의 공간에서 빠져나왔을 때에는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의 공간의 입구와 골격부의 하단 골격의 크기가 맞물리게 제작하여 화분 물청소시, 물이나 쓰레기가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의 공간에 들어가지 않고, 오직 화분 내의 흙에 모여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은 수동 동작으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일 뿐만 아니라, 사전에 방수부를 포함한 골격부를 화분에서 제거하지 않았더라면 방수부를 포함한 골격부가 항상 화분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언제든 화분 물청소를 할 때면 방수 기구가 마련될 수 있어 바닥에 물이나 식물, 화분에서 유래된 쓰레기나 기타 쓰레기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 바닥을 더럽히지 않으면서도 화분 물청소를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부르 포함한 골격부는 본 발명의 화분에서 필요 시 분리도 가능하여, 본 발명에 해당하는 어떤 크기의 화분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일반 화분에서도 융통성 있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화분 물청소를 효율적이면서도 깔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품의 내부 구조를 펼쳐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품의 방수부(13)를 포함한 골격부(12)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품의 고정부(14)와 탄성부(15), 외벽부(11)와 내벽부(10)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겨냥도
도 4는 본 발명품의 외벽부(11)와 내벽부(10)의 배수구멍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부
10 : 내벽부
11 : 외벽부
12 : 골격부
13 : 방수부
14 : 고정부
15 : 탄성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세 예에 의한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의 내부 구조를 펼쳐보인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은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을 이루는 몸체부(1)에 있어서;
화분의 내면을 이루는 내벽부(10), 화분의 겉면을 이루는 외벽부(11), 방수 기구의 골격을 이루는 골격부(12), 골격부에 부착된 방수용 천의 집합인 방수부(13), 내벽부에 부착되어 방수부를 포함한 골격부를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14), 외벽부와 내벽부 사에에 삽입되어 방수부를 포함한 골격부의 꺼냄을 용이하게 하는 용수철의 집합인 탄성부(1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골격부(12)의 상단(12-2)과 하단(12-3)의 원형 골격은 신축성이 있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기존의 원 모양의 반지름의 크기가 신축성 있게 일정 범위에서 증감할 수 있다. 상단(12-2)과 하단(12-3) 골격을 연결하는 세로로 된 골격(12-1)은 플라스틱이나 스텐레스 등 단단하면서도 녹슬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져, 골격부를 튼튼하게 유지시키며, 상단(12-2)과 하단(12-3) 골격의 위치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외벽부(11)는 화분의 겉면을 이루며, 내벽부(10)는 화분 내부의 흙과 맞닿는 위치에 있다. 외벽부(11)의 내부의 바닥 가장자리에는 원 모양을 따라 다수의 용수철들의 집합인 탄성부(15)가 구비되어 있다. 이 탄성부(15)는 외벽부(11)와 내벽부(10)의 사이 공간에 방수부(13)를 포함한 골격부(12)가 함께 삽입되어, 고정부(14)로 인해 고정될 때는 용수철이 압축되어 있지만, 고정부(14)가 열리면 용수철에 가해진 압력이 사라지면서 방수부(13)를 포함한 골격부(12)가 튀어나오도록 되어 있다.(도 3 참고)
상기한 방수부(13)를 포함한 골격부(12)가 튀어나오거나 들어갈 때에는 골격부 상단(12-2)과 하단(12-3)이 신축성있게 늘어나거나 줄어듬으로서 화분의 둘레의 변화에 적절한 형태가 되도록 하며, 좀 더 화분에 잘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도 2참고)
상기한 방수부(13)는 골격부의 세로로된 골격(12-1)에 부착되어 있지만, 상단(12-2)과 하단(12-3) 골격과는 분리된 구조로, 외벽부(11)와 내벽부(10) 사이에 있을 때는 세로로 접혀있지만 튀어나오면 접힌 부위가 펼쳐지면서 골격부(12)의 원주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도 2 참고)
상기한 방수부(13)나 골격부(12)를 형성하는 재료는 명시된 재료 뿐만 아니라도 앞에서 명시한 각 부분의 역할과 특성에 맞고 안전한 재료라면 어떤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한 고정부(14)는 내벽부(10)의 안쪽 면에 부착된 것으로서, 내벽부(10)의 맨 위 가장자리와 외벽부(11)의 맨 위 가장자리를 연결하여 방수부(13)를 포함한 골격부(12)를 내벽부(10)와 외벽부(11) 사이의 공간(16)에 고정시킨다.
상기한 고정부(14)에는 한 고정부(14)당 2개의 경첩(14-2)이 있어, 자유롭게 외벽부(11)와 내벽부(10)의 공간을 열고 닫을 수 있으며, 접힐 수 있으므로 내벽부(10)와 외벽부(11)의 연결에 용이하다. 또한 상기한 고정부(14)의 가장자리(14-1)와 외벽부(11)의 상단 겉면(11-1)에는 자석이 구비되어 있어, 고정부(14)와 외벽부(11)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도 3 참고)
상기한 방수부(13)를 포함한 골격부(12)와 탄성부(15)는 연결되어 있지 않은 구조이므로 얼마든지 방수부(13)를 포함한 골격부(12)를 분리하여 본 발명에 해당하는 어떤 크기의 화분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일반 화분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골격부(12)는 외벽부(11)와 내벽부(10) 사이의 공간(16)에서 빠져나왔을 때에는 외벽부(11)와 내벽부(10) 사이의 공간(16)의 입구와 골격부(12)의 하단 골격(12-3)의 크기가 맞물리게 제작하여 화분 물청소시, 물이나 쓰레기가 외벽부(11)와 내벽부(10) 사이의 공간(16)에 들어가지 않고, 오직 화분 내의 흙에 모여지도록 한다.
상기한 내벽부(10)의 밑부분은 외벽부(10) 내부의 바닥과 접하는데, 이 때 내벽부(10)의 배수구멍(10-1)과 외벽부(11)의 배수구멍(11-2)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하여 화분 흙의 배수에 문제가 없도록 한다.(도 4 참고)
본 발명은 화분 물청소를 할 때 물이나 기타 쓰레기가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상술한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을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1 : 몸체부
10 : 내벽부
10-1 : 내벽부 밑부분의 배수구멍
11 : 외벽부
11-1 : 외벽부 상단 겉면의 자석
11-2 : 외벽부 밑부분의 배수구멍
12 : 골격부
12-1 : 골격부의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세로 골격
12-2 : 골격부의 원형의 상단 골격
12-3 : 골격부의 원형의 하단 골격
13 : 방수부
14 : 고정부
14-1 : 고정부의 경첩
14-2 : 고정부에 부착된 자석
15 : 탄성부
16 : 외벽부(11)와 내벽부(11) 사이의 공간

Claims (3)

  1. 물청소가 용이한 화분에 있어서,
    화분의 내면을 이루는 내벽부, 화분의 겉면을 이루는 외벽부, 방수 기구의 골격을 이루는 골격부, 골격부에 부착된 방수 기능을 하는 방수부, 내벽부에 부착되어 방수부를 포함한 골격부를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 외벽부와 내벽부 사에에 삽입되어 방수부를 포함한 골격부의 꺼냄을 용이하게 하는 용수철의 집합인 탄성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물청소가 용이한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골격부의 신축성과 방수부의 접힘으로 화분의 둘레의 변화에 따라 적절한 모양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화분에서 사용 가능한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
  3. 제 1항에 있어서;
    방수부를 포함한 골격부를 화분 내부에 보관하거나, 또는 화분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
KR1020120002226A 2012-01-08 2012-01-08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 KR201300813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226A KR20130081333A (ko) 2012-01-08 2012-01-08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226A KR20130081333A (ko) 2012-01-08 2012-01-08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333A true KR20130081333A (ko) 2013-07-17

Family

ID=48993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226A KR20130081333A (ko) 2012-01-08 2012-01-08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13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9816A (zh) * 2013-11-01 2014-02-05 安徽省孟府家工艺品有限公司 一种藤柳编织的高脚杯环保花架
CN105850567A (zh) * 2016-05-16 2016-08-17 茹朝贵 一种具有储水功能的花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9816A (zh) * 2013-11-01 2014-02-05 安徽省孟府家工艺品有限公司 一种藤柳编织的高脚杯环保花架
CN105850567A (zh) * 2016-05-16 2016-08-17 茹朝贵 一种具有储水功能的花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5567A (en) Bathroom accessories
US20060186187A1 (en)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articles, such as waste, dirty laundry, and the like
RU173038U1 (ru) Узел в сборе для фильтрации
CA2845358A1 (en) Hanging basket cover
CN203693327U (zh) 一种水杯滤网
KR20130081333A (ko) 물청소에 용이한 화분
KR101793505B1 (ko) 배수구 여과장치
CN209331960U (zh) 一种教室用卫生用具收纳箱
KR20100009482U (ko) 휴대용 주름형 우산꽂이
CN206565583U (zh) 一种新型鞋架
JP2011225331A (ja) 屋内装飾品兼用のゴミ袋保持具
JP2010195595A (ja) コップ回収ボックス
KR20110009107U (ko) 외통에 물받이대가 구비된 화분
KR20160073275A (ko) 착탈 및 걸이식 외부뚜껑과 평판식(v형) 수축확장부와 오목형 모서리 수축확장부로 구성한, 내부공기차단용 내부판을 가진 김치통
KR101331450B1 (ko) 신발주머니
JP3177358U (ja) キッチン排水口のゴミ受け用水切りネット固定器具
JP2012120815A (ja) 石けん箱
KR200471293Y1 (ko) 컵 수거용기
KR100948318B1 (ko) 비누 케이스
CN207544796U (zh) 一种沥水盘
JP3129387U (ja) 買い物袋等を利用した底無し・二枚重ねゴミ入れボックス
CN220353024U (zh) 一种易清理地漏
KR102187796B1 (ko) 최소구성의 초저가 쓰레기 수거장치
CN208726843U (zh) 一种伞状过滤器
CN106494795A (zh) 一种卫生垃圾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