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192A -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192A
KR20130081192A KR1020120092385A KR20120092385A KR20130081192A KR 20130081192 A KR20130081192 A KR 20130081192A KR 1020120092385 A KR1020120092385 A KR 1020120092385A KR 20120092385 A KR20120092385 A KR 20120092385A KR 20130081192 A KR20130081192 A KR 20130081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ea
mark
designated
bl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2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72388B1 (ko
Inventor
료코 하시모토
고이치 사토
모힛 자인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1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55Mark-sheet in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44Selective acquisition, locating or processing of specific regions, e.g. highlighted text, fiducial marks or predetermined fie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26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 H04N1/0032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ata reading, recognizing or recording apparatus, e.g. with a bar-code apparatus with an apparatus processing optically-rea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55Mark-sheet input
    • H04N1/00368Location of the scanned marks
    • H04N1/00374Location of the scanned marks on the same page as at least a part of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8Rendering the image unintelligible, e.g. scram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이 기록되고 또한 상기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 마크가 기록된 기록 영역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지정 마크를 나타내는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크기를 넘는 크기의 공백 영역을 특정하는 공백 영역 특정 수단과;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공백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공백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공백 영역에 포함되는 특정 방향에 관한 단일 화상 간의 극간 중의 상기 특정 방향의 임계값 이상의 극간에 의해 상기 비공백 영역을 분할해서 얻은 분할 영역 중, 상기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분할 영역을 은폐하는 은폐 수단을 갖는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평10-91768호 공보에는, 문자 인식을 행하는 것으로 문자의 영역 정보에 대한 은폐용 마커의 굵기로서 적절한 굵기를 설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7-203180호 공보에는, 원고 영역으로부터 마킹 영역까지의 임의의 폭량(幅量)을 지정하고, 지정된 폭량에 의거하여 화상 처리에 따른 사각형 영역을 설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평10-91768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7-203180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의도하는 영역을 고(高)정밀도로 은폐하는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방안에 의하면, 화상이 기록되고 또한 상기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 마크가 기록된 기록 영역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지정 마크를 나타내는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크기를 넘는 크기의 공백 영역을 특정하는 공백 영역 특정 수단과,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공백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공백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공백 영역에 포함되는 특정 방향에 관한 단일 화상 간의 극간(隙間) 중의 상기 특정 방향의 임계값 이상의 극간에 의해 상기 비공백 영역을 분할해서 얻은 분할 영역 중, 상기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분할 영역을 은폐하는 은폐 수단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은폐 수단이 상기 극간에 의해 상기 비공백 영역을 분할해서 얻은 분할 영역 중, 상기 지정 마크 화상이 상기 특정 방향으로 걸쳐진 분할 영역을 은폐한다.
본 발명의 제 3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를,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단일 화상 중, 크기가 최대인 단일 화상의 크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백 영역 특정 수단이,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를 넘는 크기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공백 영역을 특정한다.
본 발명의 제 5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일 화상을, 연속하는 특정 색의 화소의 집합체로 형성된 화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은폐 수단이, 상기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분할 영역의 전(全) 영역을 은폐한다.
본 발명의 제 7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은폐 수단이, 상기 비공백 영역에 포함되는 은폐 대상 영역이 상기 공백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서 특정된 상기 공백 영역을 걸쳐서 인접할 경우, 인접 대상 영역 간의 상기 공백 영역을 더욱 은폐한다.
본 발명의 제 8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영역에 기록된 상기 지정 마크 및 상기 지정 마크 이외의 화상의 속성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지정 마크의 속성 및 상기 지정 마크 이외의 화상의 속성 중 적어도 한쪽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지정 마크 화상을 추출하는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백 영역 특정 수단이,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공백 영역을 특정한다.
본 발명의 제 9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정 마크 화상 중, 상기 은폐 수단에 의한 은폐 대상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지정 마크 화상을 제거하는 제거 수단을 더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0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영역에 기록되는 상기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을, 복수의 특정 화상이 상기 특정 방향으로 나열된 특정 화상군(群)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1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특정 화상을, 각각 문자를 나타내는 복수의 문자 화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2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정 마크를 선분 형상의 마크로 하고, 상기 선분 형상의 마크가 기록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정된 영역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3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정 마크를 프레임 형상의 마크로 하고, 상기 프레임 형상의 마크로 둘러싸인 영역을 지정된 영역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4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정 마크를 프레임 형상의 마크로 하고, 상기 프레임 형상의 마크로 둘러싸인 영역을 정형한 영역을 지정된 영역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5 방안에 의하면, 상기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은폐 수단이, 상기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분할 영역 중, 상기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지정 마크에 의해 지정된 영역에 상당하는 화상 영역의 점유량이 미리 정해진 점유량 이상의 분할 영역을 은폐한다.
본 발명의 제 16 방안에 의하면, 화상이 기록되고 또한 상기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 마크가 기록된 기록 영역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지정 마크를 나타내는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크기를 넘는 크기의 공백 영역을 특정하는 공정과,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에 있어서의, 특정된 상기 공백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공백 영역에 포함되는 특정 방향에 관한 단일 화상 간의 극간 중의 상기 특정 방향의 임계값 이상의 극간에 의해 상기 비공백 영역을 분할해서 얻은 분할 영역 중, 상기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분할 영역을 은폐하는 공정을 갖는 화상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7 방안에 의하면,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처리는, 화상이 기록되고 또한 상기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 마크가 기록된 기록 영역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지정 마크를 나타내는 지정 표시 화상 이외의 화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크기를 넘는 크기의 공백 영역을 특정하는 공정과;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에 있어서의, 특정된 상기 공백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공백 영역에 포함되는 특정 방향에 관한 단일 화상의 극간 중 상기 특정 방향의 임계값 이상의 극간에 의해 상기 비공백 영역을 분할해서 얻은 분할 영역 중, 상기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분할 영역을 은폐하는 공정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제 1, 상기 제 16, 상기 제 17 방안에 의하면, 화상이 기록되고 또한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 마크가 기록된 기록 영역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지정 마크를 나타내는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크기를 넘는 크기의 공백 영역을 특정하고,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에 있어서의 특정된 공백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공백 영역에 포함되는 특정 방향에 관한 단일 화상 간의 극간 중의 특정 방향의 임계값 이상의 극간에 의해 비공백 영역을 분할해서 얻은 분할 영역 중,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서 지정되어 있는 분할 영역을 은폐하는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의도하는 영역이 고정밀도로 은폐된다.
상기 제 2 방안에 의하면, 극간에 의해 비공백 영역을 분할해서 얻은 분할 영역 중, 지정 마크 화상이 특정 방향으로 걸쳐진 분할 영역을 은폐하는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의도하는 영역이 고정밀도로 은폐된다.
상기 제 3 방안에 의하면,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단일 화상 중, 크기가 최대인 단일 화상의 크기를 넘는 크기의 공백 영역을 특정하는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단일 화상이 존재하는 영역을 오류로 공백 영역으로서 특정하는 가능성을 낮게 한다.
상기 제 4 방안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크기를 넘는 크기의 프레임을 이용해서 공백 영역을 특정하는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간이한 구성이면서도 공백 영역이 고정밀도로 특정된다.
상기 제 5 방안에 의하면, 단일 화상을 연속하는 특정 색의 화소의 집합체로 형성된 화상으로 한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간이한 구성이면서도 고정밀도로 극간이 검출된다.
상기 제 6 방안에 의하면,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분할 영역의 전 영역을 은폐하는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미관이 뛰어난 은폐가 실현된다.
상기 제 7 방안에 의하면, 비공백 영역에 포함되는 은폐 대상 영역이 공백 영역을 걸쳐서 인접할 경우, 인접 대상 영역 간의 공백 영역을 더욱 은폐하는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미관이 뛰어난 은폐가 실현된다.
상기 제 8 방안에 의하면, 기록 영역에 기록된 지정 마크 및 지정 마크 이외의 화상의 속성은 서로 상이하고, 지정 마크의 속성 및 지정 마크 이외의 화상의 속성 중 적어도 한쪽에 의거하여 기록 영역의 화상으로부터 지정 마크 화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공백 영역을 특정하는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공백 영역이 고정밀도로 특정된다.
상기 제 9 방안에 의하면, 지정 마크 화상 중, 은폐 대상 영역에 포함되지 않는 지정 마크 화상을 제거하는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미관이 뛰어난 은폐가 실현된다.
상기 제 10 방안에 의하면, 기록 영역에 기록되는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을, 복수의 특정 화상이 특정 방향으로 나열된 특정 화상군으로 한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의도하는 특정 화상이 고정밀도로 은폐된다.
상기 제 11 방안에 의하면, 복수의 특정 화상을, 각각 문자를 나타내는 복수의 문자 화상으로 한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의도하는 문자 화상이 고정밀도로 은폐된다.
상기 제 12 방안에 의하면, 지정 마크를 선분 형상의 마크로 하고, 선분 형상의 마크가 기록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정된 영역으로 한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간이한 구성이면서도 은폐 대상 영역으로서 의도하는 영역이 고정밀도로 지정된다.
상기 제 13 방안에 의하면, 지정 마크를, 프레임 형상의 마크로 하고, 프레임 형상의 마크로 둘러싸인 영역을 지정된 영역으로 한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간이한 구성이면서도 은폐 대상 영역으로서 의도하는 영역이 고정밀도로 지정된다.
상기 제 14 방안에 의하면, 지정 마크를 프레임 형상의 마크로 하고, 프레임 형상의 마크로 둘러싸인 영역을 정형한 영역을 지정된 영역으로 한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간이한 구성이면서도 은폐 대상 영역으로서 의도하는 영역이 고정밀도로 지정된다.
상기 제 15 방안에 의하면,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분할 영역 중,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나타내지는 지정 마크에 의해 지정된 영역에 상당하는 화상 영역의 점유량이 미리 정해진 점유량 이상의 분할 영역을 은폐하는 구성을 갖지 않을 경우에 비해, 의도하지 않은 영역이 은폐될 가능성을 낮게 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판독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전기계의 요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은폐 대상 영역의 지정 방법(그 1)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은폐 대상 영역의 지정 방법(그 2)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은폐 대상 영역의 지정 방법(그 3)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은폐 처리 프로그램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은폐되는 화상을 포함하는 기록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은폐되는 화상을 포함하는 기록 영역에 선분 형상 마크가 기록되었을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은폐되는 화상을 포함하는 기록 영역의 화상으로부터 추출된 선분 형상 마크를 나타내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은폐되는 화상을 포함하는 기록 영역의 화상을 공백 영역과 비공백 영역으로 구분했을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은폐되는 화상을 포함하는 기록 영역의 화상에 있어서의 비공백 영역을 분할했을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은폐되는 화상을 포함하는 기록 영역의 화상에 있어서의 비공백 영역을 은폐했을 경우(은폐 영역으로부터의 돌출 개소를 제거하기 전)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은폐되는 화상을 포함하는 기록 영역의 화상에 있어서의 비공백 영역을 은폐했을 경우(은폐 영역으로부터의 돌출 개소를 제거한 후)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은폐되는 화상을 포함하는 기록 영역의 화상에 있어서의 은폐한 비공백 영역에 끼워져 있는 공백 영역도 더욱 은폐했을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5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해 은폐되는 화상을 포함하는 기록 영역에 지정 프레임이 기록되었을 경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6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은폐 처리의 변형예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그 1).
도 17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은폐 처리의 변형예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그 2).
도 18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은폐 처리의 변형예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그 3).
도 19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은폐 처리의 변형예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그 4).
도 20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에 의한 은폐 처리의 변형예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그 5).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가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처리 장치(10)로서 퍼스널 컴퓨터를 적용하고 있다. 한편,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여도 되고, 후술하는 은폐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능력을 갖는 컴퓨터를 구비한 것이라면 어떤 것이여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10)에는 화상 판독 장치(11)가 접속되어 있다. 화상 판독 장치(11)는, 원고 반송부(12) 및 화상 판독부(14)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원고 반송부(12)와 화상 판독부(14)는 연결부(16)에 의해 연결되고, 원고 반송부(12)는 연결부(16)를 중심으로 하여 화상 판독부(14)와 접근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고, 원고 반송부(12)가 화상 판독부(14)와 이간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후술하는 플래튼 글래스(32)가 노출된다.
원고 반송부(12)는, 기록 영역에 화상이 기록된 원고(P)를 놓기 위한 원고대(20)를 구비하고 있고, 원고대(20) 상에 놓여진 원고(P)는, 취출롤(22)에 의해 한 장씩 취출되어, 반송로(24)를 따라 송급된다. 반송로(24)를 따라 송급된 원고(P)는, 반송롤쌍(26)에 의해 화상 판독부(14)에 의한 원고 판독 위치까지 반송되어, 원고(P)의 한쪽 면에 기록된 화상이 화상 판독부(14)에 의해 판독된 후, 원고 판독 위치보다도 반송 방향 하류측에 설치된 배지(排紙)부(30)에 배지된다.
한편, 화상 판독부(14)는, 상면에 원고(P)를 두기 위한 투명한 플래튼 글래스(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술한 원고 판독 위치는 플래튼 글래스(32)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다. 원고 판독 위치에 있어서의 플래튼 글래스(32)의 하측에는, 원고(P)의 표면을 향해서 조명광을 조사하는 광원(34)과, 원고(P)의 표면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수광하는 제 1 반사 미러(36), 제 1 반사 미러(36)로부터 출사된 반사광의 진행 방향을 굴곡시키기 위한 제 2 반사 미러(38), 및 제 2 반사 미러(38)로부터 출사된 반사광의 진행 방향을 또 다른 방향으로 굴곡시키기 위한 제 3 반사 미러(4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화상 판독부(14)에는, 렌즈(42)와, 수광면 상에 일렬로 배열된 다수 개의 광전 변환 센서를 구비한 광검출부(44)가 설치되어 있고, 화상 판독부(14)는, 제 3 반사 미러(40)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렌즈(42)에 의해 광검출부(44)의 수광면에 결상시킴으로써, 원고(P)의 표면에 기록된 화상을, 광검출부(44)에 의해 다수 개의 화소로 분할하고 또한 R, G, B 각 색 성분으로 분해해서 판독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원(34)으로서 형광 램프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고(P)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다른 광원을 적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광검출부(44)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라인 센서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의 다른 고체 촬상 소자를 적용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판독 장치(10)는, 광원(34), 제 1 반사 미러(36), 제 2 반사 미러(38) 및 제 3 반사 미러(40)가 도 1의 화살표 A 방향(및 그 반대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이에 따라, 원고 반송부(12)가 화상 판독부(14)와 이간하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노출된 플래튼 글래스(32)의 상면에 원고(P)가 놓여진 경우, 광원(34)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을 원고(P)에 조사하면서,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광원(34), 제 1 반사 미러(36), 제 2 반사 미러(38) 및 제 3 반사 미러(4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원고(P)의 표면인 기록 영역(플래튼 글래스(32)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는 측의 면)에 기록된 화상이 기록 영역을 포함해서(기록 영역의 전면에 걸쳐서) 판독된다.
도 2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의 전기계의 요부 구성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 장치(10)는, 화상 처리 장치(10) 전체의 동작을 담당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10A)와, CPU(10A)에 의한 각종 처리 프로그램의 실행 시의 워크 에어리어 등으로서 이용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10B)과, 각종 제어 프로그램이나 각종 파라미터 등이 미리 기억된 ROM(Read Only Memory)(10C)과, 각종 정보를 기억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기억 수단으로서의 2차 기억부(일례로서 하드디스크 장치)(10D)와, 각종 정보를 접수하는 접수부(일례로서 마우스 및 키보드)(10E)와,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일례로서 액정 디스플레이)(10F)와, 프린터(화상 형성 장치)나 퍼스널 컴퓨터(PC), 화상 판독 장치(11) 등의 외부 기기(여기서는 일례로서 화상 판독 장치(11))에 접속되어, 외부 기기로의 화상 정보의 송신이나 외부 기기와의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는 외부 인터페이스(10G)가 구비되어 있고, 이들 각 부는 어드레스 버스, 데이터 버스, 및 제어 버스 등의 버스(10H)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CPU(10A)는, RAM(10B), ROM(10C) 및 2차 기억부(10D)에 대한 액세스, 접수부(10E)를 통해 접수된 각종 정보의 취득, 표시부(10F)에 대한 각종 정보의 표시, 및 외부 인터페이스(10G)를 통한 화상 판독 장치(11)와의 각종 정보의 수수(授受)를 각각 행한다.
이렇게 구성된 화상 처리 장치(10)는, 원고(P)의 기록 영역에 기록된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에 대하여 각종 처리를 실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그 중의 하나로서, 화상 판독 장치(11)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화상 내의 지정된 은폐해야 할 영역(이하, 「은폐 대상 영역」이라고 한다.)에 대하여 은폐 처리를 실시하는 은폐 처리 기능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은폐」에는, 은폐 대상 영역을 시인되지 않도록 특정 색으로 칠한다는 의미 외에, 은폐 대상 영역의 일부가 시인되는 모양이나 무늬 등을 중첩한다는 의미도 포함한다.
화상 처리 장치(10)의 은폐 처리 기능을 동작시키는 전제로서, 우선, 원고(P)의 기록 영역에 기록된 화상에 있어서의 은폐 대상 영역이 지정되지 않으면 안 된다. 은폐 대상 영역을 지정하는 방법으로서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지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각형 프레임(또는 곡선 프레임)의 마크를 나타내는 선(이하, 「지정 프레임」이라고 한다.)을 이용한 지정 방법을 들 수 있다. 지정 프레임을 이용한 지정 방법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기록 영역에 지정 프레임을 기록함으로써 일례로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정 프레임으로 둘러싼 영역을, 지정된 영역(이하, 「지정 영역」이라고 한다.)으로 하는 방법이나, 일례로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정 프레임에 대한 외접 사각형 프레임으로 둘러싼 영역을 지정 영역으로 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이러한 지정 방법으로 지정된 지정 영역을 은폐 대상 영역으로 해서, 기정의 은폐 방법(일률의 은폐 방법)으로 은폐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지정 방법에서는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영역이 은폐될 우려가 있었다.
은폐 대상 영역을 지정하는 다른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지정 방법이 알려져 있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지정 방법은, 은폐 대상 영역을 선분 형상의 마크를 나타내는 선(이하, 「선분 형상 마크」라고 하고, 상기 「지정 프레임」과 구별해서 설명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지정 마크」라고 한다.)에 의해 지정하는 방법이며, 예를 들면, 기록 영역에 기록된 선분 형상 마크마다의 외접 사각형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지정 영역으로서 지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종래에는, 이 지정 방법으로 지정된 지정 영역을 은폐 대상 영역으로 해서, 기정의 은폐 방법으로 은폐하고 있었다.
그러나, 선분 형상 마크에 의한 지정 방법의 경우, 예를 들면 문자를 나타내는 문자 화상이 직선적으로 정렬하여 나열된 문자 화상군 중, 특정 문자 화상열을 은폐 대상 영역으로서 지정한 것에 관계없이, 그 특정 문자 화상열에 인접하는 다른 문자 화상에 선분 형상 마크가 돌출되어 있거나, 선분 형상 마크가 행간에 돌출되어 있는 경우가 예상된다. 이러한 일이 일어나면, 의도하는 영역인 특정 문자 화상열 이외의 문자 화상이 은폐되거나, 의도하는 영역인 특정 문자 화상열이 충분하게 은폐되지 않거나 하는 사태(바꿔 말하면, 은폐 대상 영역에 의도하지 않은 과부족이 생기는 사태)의 발생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함으로써 은폐 대상 영역에 포함되는 문자 화상을 고정밀도로 특정한 후에 은폐하는 방법도 생각되지만, 문자 인식 기술의 도입에 따른 비용 증대나 처리 시간의 증대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는, 원고(P)의 기록 영역에 지정 마크가 기록된 기록 영역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화상 판독 장치(11)로부터 받아들이고, 받아들인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기록 영역의 화상의 의도하는 영역을, 은폐 처리 기능을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밀도로 은폐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 적용하는 지정 마크는, 기록 영역에 기록된 지정 마크 이외의 화상(이하, 「은폐 대상 화상」이라고 한다.)의 속성과는 상이한 속성을 갖는다. 즉, 은폐 대상 화상은 무채색(여기서는 일례로서 흑색)의 색재로 기록된 화상으로 되고, 지정 마크는, 은폐 대상 화상에 겹쳐 기록했을 때에 겹친 영역에 있어서 은폐 대상 화상(지정 마크의 밑받침이 된 화상)이 투과해서 시인됨과 함께 화상 판독 장치(11)에 의해 인식되는 유채색(일례로서 형광 핑크색)의 색재를 도포하는 필기구(일례로서 형광색 마커)에 의해 기록된 굵은 선화로 되어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원고(P)의 기조색이 백색이며, 또한 은폐 대상 화상이 백지의 원고(P)에 대하여 흑색의 색재로 기록되고, 기록 영역에 대하여 지정 마크가 형광색 마커에 의해 기록되는 것을 전제로 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에서는, 은폐 처리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처리가 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실현된다. 그 일례로서는, 컴퓨터를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한 실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드웨어 구성이나, 하드웨어 구성과 소프트웨어 구성의 조합에 의해 실현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의 CPU(10A)가 은폐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은폐 처리 기능을 실현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은폐 처리 프로그램을 2차 기억부(10D)에 미리 기억시켜 두는 형태나, 기억 내용이 컴퓨터에 의해 판독되는 기록 매체에 기억된 상태로 제공되는 형태, 유선 또는 무선에 의한 통신 수단을 통해 배신(配信)되는 형태 등을 적용해도 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은폐 처리 프로그램의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착종을 회피하기 위해서, 화상 판독 장치(11)로부터 화상 처리 장치(10)에 받아들여진 화상 정보로서, 일례로서 도 7에 나타내는 백지의 원고(P)(여기서는 일례로서 A4 사이즈의 원고(P))의 기록 영역에 대하여 흑색의 색재로 기록된 복수의 특정 화상의 일례인 문자 화상이 특정 방향(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A4 사이즈의 원고(P)의 폭 방향)으로 나열된 특정 화상군의 일례인 복수의 문자 화상열이 복수 행에 걸쳐 기록되고 또한 일례로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정 마크로서 선분 형상 마크가 기록되었을 경우의 기록 영역의 전면에 걸치는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이하, 「처리 대상 화상 정보」라고 한다.)를 처리 대상으로 한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착종을 회피하기 위해서, 문자 화상의 크기가 12pt(포인트)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착종을 회피하기 위해서, 처리 대상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기록 영역의 화상에 문자 화상 및 선분 형상 마크를 나타내는 화상 이외의 화상이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의 스텝 100에서는, 처리 대상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기록 영역의 화상으로부터, 지정 마크의 속성에 의거하여, 지정 마크에 의한 지정 영역을 나타내는 화상(이하, 「지정 마크 화상」이라고 한다.)을 추출한 후, 스텝 102로 이행한다. 도 9에는, 추출된 지정 마크 화상의 일례가 나타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 100의 처리에서는, 지정 마크 화상으로서 도 8에 나타내는 선분 형상 마크가 기록된 영역을 나타내는 화상이 추출된다. 한편, 상기 스텝 100에서는, 지정 마크의 속성에 의거하여 지정 마크 화상을 추출하는 형태예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은폐 대상 화상의 속성에 의거하여 지정 마크 화상을 추출해도 된다. 이 경우, 은폐 대상 화상의 속성을 갖는 화상 이외의 화상이 지정 마크 화상이라고 판정해서 은폐 대상 화상의 속성을 갖는 화상 이외의 화상을 추출하면 된다.
스텝 102에서는, 미리 정해진 크기의 사각형 프레임(여기서는 일례로서 정방형 프레임)을 형성한 후, 스텝 104로 이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사각형 프레임」이란,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단일 화상의 크기보다 큰 사각형 프레임이며, 이 「미리 정해진 단일 화상」의 일례로서는, 12pt의 미리 정해진 문자 화상을 들 수 있다. 사각형 프레임의 일례로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3pt의 문자 화상의 크기에 상당하는 사각형 프레임을 들 수 있다. 이 「13pt의 문자 화상의 크기에 상당하는 사각형 프레임」의 일례로서는, 샘플인 문자 화상(예를 들면 13pt의 「A」라는 문자 화상)에 대한 외접 사각형 프레임을 들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각형 프레임을 적용하고 있지만, 원형 프레임이나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프레임을 적용해도 된다.
스텝 104에서는, 처리 대상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기록 영역의 화상에 상기 스텝 102의 처리에서 형성된 사각형 프레임보다 큰 공백 영역이 존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긍정 판정일 경우에는 스텝 106으로 이행하는 한편, 부정 판정일 경우에는 스텝 108로 이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104에서는, 일례로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 102의 처리에서 형성된 단일 사각형 프레임을 기록 영역의 화상에 적용해서 공백 영역(도 10에 나타내는 해칭 영역)을 검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의 사각형 프레임에 더하여, 이 사각형 프레임보다 더욱 큰 사각형 프레임을 병용해서 공백 영역을 검출해도 된다. 또한, 다단계적으로 크기가 상이한 복수의 사각형 프레임을 이용하여 공백 영역을 검출해도 된다. 이에 따라, 공백 영역으로서 인정되는 범위가 확장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12pt의 문자 화상의 크기보다 큰 사각형 프레임을 이용해서 이 사각형 프레임도 큰 공백 영역의 유무를 판정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12pt의 문자 화상의 크기보다도 작은 사각형 프레임이며 또한 미리 정해진 크기를 넘는 사각형 프레임이어도 된다. 이 경우의 「미리 정해진 크기」로서는, 기록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문자 화상에 대한 외접 사각형 프레임과 이 외접 사각형 프레임에 포함되는 문자 화상으로 형성되는 공백 영역의 크기, 문자 화상 내에 포함되는 공백 영역, 또는 문자 화상 간의 극간으로서 예상되는 공백 영역의 크기 등을 들 수 있다.
스텝 106에서는, 처리 대상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기록 영역의 화상에 있어서의 공백 영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공백 영역 위치 정보를 취득해서 미리 정해진 기억 영역(예를 들면, RAM(10B)의 미리 정해진 기억 영역)(α1)에 기억한 후, 스텝 108로 이행한다.
스텝 108에서는, 기록 영역(α1)에 기억되어 있는 공백 영역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처리 대상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기억 영역의 화상으로부터 공백 영역 이외의 영역(이하, 「비공백 영역」이라고 한다.) 중, 아직 후술의 스텝 110의 처리 대상으로 되지 않은 비공백 영역의 단체(單體)를 추출한 후, 스텝 110으로 이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비공백 영역의 단체」란,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공백 영역 이외의 영역(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록 영역의 화상 내에 있어서의 문자 화상열을 갖는 섬 영역)을 가리킨다.
스텝 110에서는, 상기 스텝 108의 처리에서 추출된 비공백 영역 내에 있어서의 단일 화상 간의 극간을 특정한 후, 스텝 112로 이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단일 화상 」이란, 예를 들면 연속하는 특정 색(여기서는 일례로서 문자 화상의 흑색)의 화소의 집합체, 바꿔 말하면, 서로 인접한 연속성을 갖는 특정 색(흑색)의 복수의 화소의 집합체로 된 화상을 가리킨다.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A」 「B」 ···· 「W」의 각 알파벳의 화상의 각각이 단일 화상에 상당한다.
스텝 112에서는, 상기 스텝 110의 처리에서 특정된 단일 화상 간의 극간의 크기(극간 폭)가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긍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114로 이행하는 한편, 부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128로 이행한다. 여기서 말하는 「임계값」이란, 예를 들면 12pt의 문자 화상 간의 극간 폭으로서 미리 정해진 극간 폭을 나타내는 값이며, 본 은폐 처리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전 단계에서 이미 설정되어 있는 값이다. 한편,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착종을 회피하기 위해서, 모든 문자 화상 간의 극간 폭이 임계값 이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나타나 있다.
스텝 114에서는, 상기 스텝 110의 처리에서 특정된 극간의 기록 영역에 있어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극간 위치 정보를 취득한 후, 스텝 116으로 이행하고, 상기 스텝 114의 처리에서 취득된 극간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스텝 108의 처리에서 추출된 비공백 영역을 상기 스텝 110의 처리에서 특정된 극간에 의해 분할한다. 도 11에는, 비공백 영역이 분할된 예가 모식적으로 나타내져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스텝 110의 처리에서 특정된 극간과 상기 스텝 108의 처리에서 추출된 비공백 영역의 윤곽으로 구분된 각 영역이 분할 영역으로 되어 있다.
다음의 스텝 118에서는, 상기 스텝 116의 처리에서 분할되어 얻어진 분할 영역에, 상기 스텝 100의 처리에서 추출된 지정 마크 화상이 특정 방향으로 걸쳐진 분할 영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바꿔 말하면, 지정 마크 화상이 특정 방향으로 횡단한 분할 영역(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단일 분할 영역에 대하여, 특정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변(분할 영역에 있어서의 특정 방향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분으로서 미리 정해진 길이의 경계 선분)에 지정 마크 화상이 걸쳐진 분할 영역)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118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본 은폐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한편, 긍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120으로 이행한다. 한편, 본 스텝 118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지정 영역이 올바르게 지정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취지를 나타내는 지정 에러 메세지를 표시부(10F)에 표시하거나, 은폐 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취지를 나타내는 은폐 미실행 에러 메세지를 표시하거나 하고 나서 본 은폐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해도 된다.
스텝 120에서는, 상기 스텝 100의 처리에서 추출된 지정 마크 화상이 특정 방향으로 걸쳐진 분할 영역을 칠함으로써 은폐함과 함께, 은폐 대상으로 된 분할 영역 간의 극간을 칠함으로써 은폐한다. 즉, 분할 영역마다의 경계 선분 중의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나타내지는 지정 마크에 의해 지정된 영역에 상당하는 화상 영역이 특정 방향으로 분할 영역 단위로 걸쳐진 경계 선분을 연결하는 비공백 영역의 전 영역을 은폐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정 마크 화상으로서의 선분 형상 마크가 「J」 「K」 「L」 「M」 「N」 「O」 「P」 「Q」 「R」 「S」에 걸려 있지만, 이 중, 은폐 대상으로 되는 분할 영역은, 「J」을 제외하고, 「K」 「L」 「M」 「N」 「O」 「P」 「Q」 「R」 「S」의 각각을 포함하는 분할 영역이다. 즉, 「J」를 포함하는 분할 영역은, 선분 형상 마크가 특정 방향으로 걸쳐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은폐 대상으로 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스텝 120의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은폐 대상으로 된 분할 영역 및 이들 분할 영역 간의 극간이 은폐되지만,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J」를 포함하는 분할 영역 및 「S」와 「T」의 극간에 선분 형상 마크가 돌출하고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위에서부터 4행째의 비공백 영역의 우단(右端)으로부터 선분 형상 마크가 돌출하고 있다. 이들 돌출 개소는, 분명히 은폐 대상 영역에 포함되지 않은 선분 형상 마크이다. 이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돌출 개소를, 일례로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거해도 된다.
또한, 상기 스텝 120에서는, 은폐 대상으로 된 분할 영역의 윤곽으로 둘러싸인 전 영역 및 은폐 대상으로 된 극간의 윤곽으로 둘러싸인 전 영역을 칠함으로써 은폐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분할 영역의 일부 및 극간의 일부를 은폐(예를 들면, 분할 영역 및 극간의 각각의 상하에 여백을 두고, 각각의 중앙부를 횡단하도록 칠함으로써 은폐)해도 된다. 또한 극간을 은폐 대상으로 하지 않고 분할 영역만을 은폐해도 된다.
다음의 스텝 122에서는, 처리 대상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기록 영역의 화상으로부터 모든 비공백 영역을 추출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부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108로 돌아간다. 한편, 긍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124로 이행한다. 스텝 124에서는, 기억 영역(α1)에 기억되어 있는 공백 영역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비공백 영역에 있어서 이미 은폐된 영역(이하, 「기(旣)은폐 영역」이라고 한다.)이 공백 영역을 걸쳐서 인접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11∼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기 스텝 116의 처리에서 분할되어 얻어진 분할 영역 중 은폐된 분할 영역 및 은폐된 극간이 공백 영역을 걸쳐서 인접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본 스텝 124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본 은폐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한편, 긍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126로 이행한다.
스텝 126에서는, 기은폐 영역 간의 오버랩된 공백 영역을 은폐하고, 이에 따라 얻어진 기록 영역의 화상을 표시부(10F)에 표시한 후, 본 은폐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도 14에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은폐된 영역에서 사이에 끼워지는 공백 영역도 은폐된 예가 나타나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텝 120의 처리에서 은폐된 분할 영역 및 극간을 포함하는 섬 영역에 사이에 끼워진(오버랩된) 공백 영역을 은폐하고 있다.
한편, 스텝 112에 있어서 부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128로 이행한다. 스텝 128에서는, 상기 스텝 108의 처리에서 추출된 비공백 영역 중, 상기 스텝 100의 처리에서 추출된 지정 마크 화상이 특정 방향으로 연속해서 기록된 비공백 영역을 은폐하고, 이에 따라 얻어진 기록 영역의 화상을 표시부(10F)에 표시한 후, 본 은폐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128에서는, 비공백 영역을 은폐하는 예를 들었지만, 비공백 영역을 은폐하지 않고 지정 에러 메세지나 은폐 미실행 에러 메세지를 표시하고 나서 본 은폐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해도 되고, 아무런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본 은폐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해도 된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처리 대상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크기를 넘는 크기의 공백 영역을 특정하고,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에 있어서의 특정된 공백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공백 영역에 포함되는 특정 방향에 관한 문자 화상 간의 극간 중 특정 방향의 임계값 이상의 극간에 의해 비공백 영역을 분할해서 얻은 분할 영역 중, 지정 마크 화상이 특정 방향으로 걸쳐진 분할 영역을 은폐하므로, 의도하는 영역이 고정밀도로 은폐된다.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선분 형상 마크에 의해 은폐 대상 영역을 지정할 경우의 형태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지정 프레임에 의해 은폐 대상 영역을 지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지정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전 영역을 지정 영역으로 하고,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은폐 대상 영역과 상위하지 않은 영역을 은폐할 경우에는, 일례로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고(P)의 기록 영역에 지정 프레임을 기록하면 된다. 한편, 도 1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T」의 문자 화상의 직상부터 은폐 대상 영역으로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P」의 문자 화상의 직하부터 은폐 대상 영역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지정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영역 그 자체를 은폐 대상 영역으로 할 필요는 없고, 지정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영역을 정형한 영역(예를 들면 지정 영역을 소정의 룰에 따라 확대해서 얻은 영역, 또는 지정 영역을 소정의 룰에 따라 축소해서 얻은 영역)을 은폐 대상 영역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극간을 사이에 두고 분할 영역을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특정된 극간의 중앙을 경계로 해서 분할 영역을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은폐 대상으로 되는 영역에 극간은 포함되지 않게 되므로, 분할 영역과는 별도로 극간을 은폐하는 처리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은폐 대상으로 된 분할 영역 간의 극간을 은폐했지만, 극간을 은폐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문자 화상만을 은폐하면 충분할 것 같은 경우는 문자 화상 간의 극간은 반드시 은폐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미관을 중시할 경우, 및 분할 영역만의 은폐에서는 기록 영역에 있어서의 기록 내용이 추측될 우려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할 영역 및 극간을 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록 영역의 화상에 포함되는 문자 화상의 크기가 일률적으로 12pt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스텝 102의 처리에서 형성한 사각형 프레임의 크기를 13pt로 해서 설명했지만, 문자 화상의 크기에 편차가 있을 경우에는 사각형 프레임의 크기를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문자 화상 중, 크기가 최대인 문자 화상의 크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문자 화상이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문자 화상이 존재하는 영역을 공백 영역으로 오인식한다는 사태의 발생이 회피된다. 또한, 문자 화상 이외의 화상이더라도 대처 방법은 바뀌지 않는다. 또한, 문자 화상과 문자 화상 이외의 화상이 혼재하고 있을 경우라도 그들 화상 중 크기가 최대인 화상의 크기보다 큰 사각형 프레임을 형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문자 화상의 크기가 일률적으로 12pt로 되어 있는 것을 이미 알고 있는 경우에 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문자 화상의 크기를 검출함으로써 크기가 최대인 화상을 특정해도 된다. 이 경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에 있어서의 특정 색으로 연속하는 화소로 형성된 집합체에 대한 외접 사각형 프레임을 형성하고, 면적이 가장 큰 외접 사각형 프레임에 포함되는 화상(특정 색으로 연속하는 화소의 집합체)으로서 특정하는 일례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스텝 100에서 지정 마크의 속성에 의거하여 지정 마크 화상을 추출할 경우의 형태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상기 스텝 100의 처리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유저가 터치펜이나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지정 마크 화상을 지정해서 추출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스텝 112에서 임계값 이상의 폭의 극간을 특정하는 경우의 형태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상기 스텝 112의 처리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유저가 눈으로 봐서 임계값 이상의 폭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임계값 이상의 폭의 극간 사이에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마킹함으로써 특정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스텝 116에서 비공백 영역을 분할하는 경우의 형태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상기 스텝 116의 처리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마킹한 극간을 참조하여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해서 분할 영역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비공백 영역을 칠함으로써 문자 화상이 시인되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을 「은폐」라고 예시했지만, 상기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은폐」의 개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비공백 영역을 「망점 넣기」하는 것도 포함해도 된다. 「망점 넣기」란, 모양, 문자 혹은 색채 또는 이들의 결합이며 비공백 영역에 겹친 경우에 비공백 영역의 문자 화상의 일부가 시인되는 처리를 가리킨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정 마크 화상이 특정 방향으로 걸쳐진 분할 영역을 은폐 대상으로 한 경우의 형태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분 형상 마크가 문자 화상에 걸리지 않고 비공백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있다고 해도, 일례로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공백 영역을 은폐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영역마다의 특정 방향의 경계를 나타내는 선분으로서 미리 정해진 길이의 경계 선분 중 선분 형상 마크의 화상이 특정 방향으로 분할 영역 단위로 걸쳐진 경계 선분을 연결하는 비공백 영역을 은폐한다. 여기서 말하는 「경계 선분」이란,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영역마다의 특정 방향을 따라서 인접하는 대변(對邊)을 상하 방향(특정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비공백 영역으로부터 상하 방향의 각각에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비공백 영역의 높이의 1/3의 길이)) 연장한 선분을 말한다. 따라서, 일례로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분 형상 마크의 화상은 「E」 및 「G」의 각 문자 화상의 위치의 비공백 영역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지만, 분할 영역마다의 경계 선분이 선분 형상 마크의 화상에 의해 걸쳐져 있으므로, 비공백 영역 중 선분 형상 마크의 화상이 분할 영역 단위로 걸쳐져 있는 경계 선분을 연결하고 있는 비공백 영역을 은폐하는 것이 된다. 이 결과가 일례로서 도 17에 나타나 있다. 한편,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선분 형상 마크의 화상이 「O」의 문자 화상에 있어서의 경계 선분 간(한 쌍의 경계 선분)에 걸쳐 있지 않다. 따라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의 문자 화상은 은폐 대상 영역으로부터 제외된다. 가령 「O」의 한 쌍의 경계 선분의 한쪽에 걸려 있다고 해도 「O」의 문자 화상은 은폐 대상으로서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어서 은폐 대상 영역으로부터 제외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은폐 대상 영역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선분 형상 마크의 화상은 삭제된다.
또한, 선분 형상 마크에 의한 지정 방법에 한하지 않고 지정 프레임에 의한 지정에 의해서도 상기 은폐가 실현된다. 예를 들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정 프레임으로 둘러싸였지만 지정된 영역(지정 영역)으로 된 경우, 지정 영역의 윤곽이 문자 화상이 위치하는 비공백 영역으로부터 벗어났다고 해도, 상술한 바와 같이 문자 화상의 경계 선분 간이 지정 영역의 윤곽으로 걸쳐져 있으면 그 경계 선분을 연결하는 비공백 영역이 은폐 대상으로 되어 은폐된다. 이 결과가 도 20에 나타나 있다. 도 2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나타내지는 지정 마크에 의해 지정된 영역에 상당하는 화상 영역이 특정 방향으로 분할 영역 단위로 걸쳐진 경계 선분을 연결하는 비공백 영역의 전 영역을 은폐하고 있다. 한편, 이 경우도 은폐 대상 영역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지정 마크 화상(도 2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지정 프레임의 화상)은 삭제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비공백 영역을 분할해서 얻은 분할 영역 중, 지정 마크 화상이 특정 방향으로 걸쳐진 분할 영역을 은폐하는 형태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분할 영역마다의 특정 방향의 경계 선분 중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나타내지는 지정 마크에 의해 지정된 영역에 상당하는 화상 영역이 특정 방향으로 분할 영역 단위로 걸쳐진 경계 선분을 연결하는 비공백 영역 중,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나타내지는 지정 마크에 의해 지정된 영역에 상당하는 화상 영역의 점유량이 미리 정해진 점유량 이상의 비공백 영역을 은폐해도 된다. 이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영역이 은폐될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은폐가 끝난 화상을 표시부(10F)에 표시하는 형태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화상 처리 장치(10)에 프린터가 접속되어 있다면, 프린터를 이용해서 기록 매체(일례로서 용지)에 은폐가 끝난 화상을 기록해도 된다. 또한, 은폐가 끝난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를 2차 기억부(10D)에 기억해도 된다. 또한, 외부 장치에 송신해서 외부 장치의 기억 수단(일례로서 하드디스크 장치)에 기억해도 된다.
10 화상 처리 장치
10A CPU

Claims (17)

  1. 화상이 기록되고 또한 상기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 마크가 기록된 기록 영역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지정 마크를 나타내는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크기를 넘는 크기의 공백 영역을 특정하는 공백 영역 특정 수단과,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에 있어서의 상기 공백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공백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공백 영역에 포함되는 특정 방향에 관한 단일 화상 간의 극간(隙間) 중의 상기 특정 방향의 임계값 이상의 극간에 의해 상기 비공백 영역을 분할해서 얻은 분할 영역 중, 상기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분할 영역을 은폐하는 은폐 수단
    을 갖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 수단은, 상기 극간에 의해 상기 비공백 영역을 분할해서 얻은 분할 영역 중, 상기 지정 마크 화상이 상기 특정 방향으로 걸쳐진 분할 영역을 은폐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를,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단일 화상 중, 크기가 최대인 단일 화상의 크기로 한 화상 처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백 영역 특정 수단은, 상기 미리 정해진 크기를 넘는 크기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상기 공백 영역을 특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화상을, 연속하는 특정 색의 화소의 집합체로 형성된 화상으로 한 화상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 수단은, 상기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분할 영역의 전(全) 영역을 은폐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 수단은, 상기 비공백 영역에 포함되는 은폐 대상 영역이 상기 공백 영역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공백 영역을 걸쳐서 인접할 경우, 인접 대상 영역 간의 상기 공백 영역을 더욱 은폐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영역에 기록된 상기 지정 마크 및 상기 지정 마크 이외의 화상의 속성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지정 마크의 속성 및 상기 지정 마크 이외의 화상의 속성 중 적어도 한쪽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지정 마크 화상을 추출하는 추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백 영역 특정 수단은,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상기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영역으로부터 상기 공백 영역을 특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마크 화상 중, 상기 은폐 수단에 의한 은폐 대상 영역에 포함되지 않은 지정 마크 화상을 제거하는 제거 수단을 더 갖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영역에 기록되는 상기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을, 복수의 특정 화상이 상기 특정 방향으로 나열된 특정 화상군(群)으로 한 화상 처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특정 화상을, 각각 문자를 나타내는 복수의 문자 화상으로 한 화상 처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마크를 선분 형상의 마크로 하고,
    상기 선분 형상의 마크가 기록된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정된 영역으로 한 화상 처리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마크를 프레임 형상의 마크로 하고,
    상기 프레임 형상의 마크로 둘러싸인 영역을 지정된 영역으로 한 화상 처리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마크를 프레임 형상의 마크로 하고,
    상기 프레임 형상의 마크로 둘러싸인 영역을 정형한 영역을 지정된 영역으로 한 화상 처리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은폐 수단은, 상기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분할 영역 중, 상기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지정 마크에 의해 지정된 영역에 상당하는 화상 영역의 점유량이 미리 정해진 점유량 이상의 분할 영역을 은폐하는 화상 처리 장치.
  16. 화상이 기록되고 또한 상기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 마크가 기록된 기록 영역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지정 마크를 나타내는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크기를 넘는 크기의 공백 영역을 특정하는 공정과,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에 있어서의, 특정된 상기 공백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공백 영역에 포함되는 특정 방향에 관한 단일 화상 간의 극간 중의 상기 특정 방향의 임계값 이상의 극간에 의해 상기 비공백 영역을 분할해서 얻은 분할 영역 중, 상기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분할 영역을 은폐하는 공정
    을 갖는 화상 처리 방법.
  17. 컴퓨터에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로서,
    상기 처리는,
    화상이 기록되고 또한 상기 화상을 포함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지정 마크가 기록된 기록 영역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지정 마크를 나타내는 지정 표시 화상 이외의 화상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크기를 넘는 크기의 공백 영역을 특정하는 공정과;
    상기 기록 영역의 화상 내의 상기 지정 마크 화상 이외의 화상에 있어서의, 특정된 상기 공백 영역 이외의 영역인 비공백 영역에 포함되는 특정 방향에 관한 단일 화상의 극간 중 상기 특정 방향의 임계값 이상의 극간에 의해 상기 비공백 영역을 분할해서 얻은 분할 영역 중, 상기 지정 마크 화상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분할 영역을 은폐하는 공정
    을 갖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KR1020120092385A 2012-01-06 2012-08-23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672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1539A JP5994251B2 (ja) 2012-01-06 2012-01-06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JP-P-2012-001539 2012-0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192A true KR20130081192A (ko) 2013-07-16
KR101672388B1 KR101672388B1 (ko) 2016-11-03

Family

ID=4872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2385A KR101672388B1 (ko) 2012-01-06 2012-08-23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49320B2 (ko)
JP (1) JP5994251B2 (ko)
KR (1) KR101672388B1 (ko)
CN (1) CN103198310B (ko)
AU (1) AU2012209026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81111A (ja) 2015-03-24 2016-10-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6304561B2 (ja) * 2015-03-27 2018-04-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6623643B2 (ja) * 2015-09-24 2019-12-2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675384B (zh) * 2019-09-24 2022-06-07 广东博智林机器人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及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180A (ja) 1993-12-28 1995-08-0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H1091768A (ja) 1996-09-12 1998-04-10 Canon Inc 電子ファイリング装置及び電子ファイリング方法
JP2006092346A (ja) * 2004-09-24 2006-04-06 Fuji Xerox Co Ltd 文字認識装置、文字認識方法および文字認識プログラム
US20080239365A1 (en) * 2007-03-26 2008-10-02 Xerox Corporation Masking of text in document reproduction
US20100008585A1 (en) * 2008-07-10 2010-01-14 Fuji Xerox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computer-readable medium and computer data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934A (ja) * 1993-07-07 1995-01-31 Oki Electric Ind Co Ltd 文書画像処理装置
US5555556A (en) * 1994-09-30 1996-09-10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ocument segmentation by background analysis
JP2001230919A (ja) * 2000-02-14 2001-08-24 Sharp Corp 画像処理装置
JP2006109142A (ja) * 2004-10-06 2006-04-20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式及び記憶媒体
JP4517818B2 (ja) * 2004-11-04 2010-08-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56925B2 (ja) * 2005-10-07 2012-01-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7200014A (ja) * 2006-01-26 2007-08-09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035848B2 (ja) * 2008-02-07 2012-09-26 シャープ株式会社 項目判定装置、項目判定プログラム、記録媒体、および項目判定方法
JP4711093B2 (ja) * 2008-08-28 2011-06-2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0074470A (ja) * 2008-09-18 2010-04-02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10217711A (ja) * 2009-03-18 2010-09-30 Zenrin Co Ltd 道路ネットワークデータ整備装置
CN101763517A (zh) * 2010-01-27 2010-06-30 江苏华安高技术安防产业有限公司 基于显示区域加密的笔迹识别系统及实现方法
US8218875B2 (en) * 2010-06-12 2012-07-10 Hussein Khalid Al-Omari Method and system for preprocessing an image fo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180A (ja) 1993-12-28 1995-08-04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H1091768A (ja) 1996-09-12 1998-04-10 Canon Inc 電子ファイリング装置及び電子ファイリング方法
JP2006092346A (ja) * 2004-09-24 2006-04-06 Fuji Xerox Co Ltd 文字認識装置、文字認識方法および文字認識プログラム
US20080239365A1 (en) * 2007-03-26 2008-10-02 Xerox Corporation Masking of text in document reproduction
US20100008585A1 (en) * 2008-07-10 2010-01-14 Fuji Xerox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computer-readable medium and computer data signal
JP2010021771A (ja) * 2008-07-10 2010-01-28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76596A1 (en) 2013-07-11
JP2013143595A (ja) 2013-07-22
JP5994251B2 (ja) 2016-09-21
US9049320B2 (en) 2015-06-02
AU2012209026A1 (en) 2013-07-25
AU2012209026B2 (en) 2014-01-09
KR101672388B1 (ko) 2016-11-03
CN103198310B (zh) 2018-06-01
CN103198310A (zh)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4977B2 (ja) 薬剤検査支援装置、薬剤検査支援方法、薬剤識別装置、薬剤識別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5529369A (ja) 画像からのラベルの検出
US7428711B2 (en) Glow highlighting as an ink attribute
KR20130081192A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기억 매체
US8341546B2 (en) Method for visualizing a change caused by scrolling in a scrolling direction of a section of a text and/or graphic displayed on an optical display means
US70425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handwriting as an annotation in a scanned document
US8441702B2 (en) Scanning and capturing digital images using residue detection
CN111738901A (zh) 存储介质以及图像处理装置
JP2007072642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94886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09894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specifying mark estima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WI498754B (zh) 文件數位化方法及裝置
JP5885569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EP0996080A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egion selection
JP2001109887A (ja) 領域抽出方法、宛名領域抽出方法、宛名領域抽出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2011103023A (ja) 色彩配列コードの読み取り方法及び読み取り装置
JP2007148719A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793737A (zh) 识别一维码与点阵图形构成的防伪标识的方法及装置
JPH02187883A (ja) 文書読取装置
JPH05242297A (ja) 文字切り出し方法
GB2362056A (en) Detecting and saving annotations in a scanned document
JPH03182985A (ja) 文字読取装置
JPH02105981A (ja) 会話型文字認識方式
JP2009063431A (ja) 案内標示体情報登録装置、案内標示体情報登録方法及び案内標示体情報登録プログラム
JPH076202A (ja) 文字認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