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0669A -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0669A
KR20130080669A KR1020120001604A KR20120001604A KR20130080669A KR 20130080669 A KR20130080669 A KR 20130080669A KR 1020120001604 A KR1020120001604 A KR 1020120001604A KR 20120001604 A KR20120001604 A KR 20120001604A KR 20130080669 A KR20130080669 A KR 20130080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ne
salt
unit
salinit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1688B1 (ko
Inventor
한기훈
정길주
김양규
송석용
장원택
이태진
윤성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1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1688B1/ko
Publication of KR20130080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1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1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5Conductivity or salin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평형수 처리용 전기분해유닛에 염수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고염도의 염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저염도의 제1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부 고상(固相)의 소금을 저장하고, 상기 원수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원수를 공급 받아 소금을 용해하여 고염도의 염수를 생성하는 소금저장조와, 상기 소금저장조에서 생성된 고염도의 염수를 전달 받아 저장하는 염수탱크를 구비하는 염수생성부; 상기 전기분해유닛 공급용 제2원수와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공급된 고염도의 염수를 혼합하는 혼합부; 및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상기 혼합부로 고염도의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공급펌프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에 의하면, 소금저장조와 염수탱크를 일체로 형성하고, 고상(固相)의 소금(S)이 저장된 소금저장조에 해수와 같은 원수를 유입하여 용융된 고염도의 염수를 염수탱크에 저장하며, 염수탱크의 수위를 제어하면서 공급하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고염도의 염수를 미리 준비하고 저장하여 공급하던 종래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염수탱크의 체적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Salt water supplying apparatus for electrolysis unit of ballast water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선박의 평형수 탱크(Ballast tank)에 유입되거나 평형수 탱크로부터 유출되는 평형수를 처리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분해 반응을 통해 생성된 염소기체 또는 차아염소산(HClO 또는 ClO-)을 이용하여 평형수를 살균 처리하는 전기분해유닛(Electrolysis unit)에 필요로 하는 염분 농도에 대응하도록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평형수 탱크는 화물의 선적 및 하역에 의해 선박의 무게중심이 변동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전한 항해가 가능하도록 돕는 것이다. 즉, 선박에 화물이 만재되면 평형수 탱크에 평형수를 채우지 않아도 선박의 무게중심이 해수면 아래에 위치하여 파도 등의 외력이 작용하여도 안전하게 항해할 수 있으나, 선적된 화물이 없거나 적은 경우에는 화물이 선적된 것과 동일하게 선박의 일정부분이 해수면 아래 위치하게 할 수 있도록 평형수 탱크에 평형수를 유입시켜 운항하도록 하고 있다.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해 사용되는 평형수는 특정 해역의 생물 또는 병원균 등을 다른 해역으로 전파하는 매체로 이용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평형수 탱크에 채워지는 평형수에는 각종 해양 생물 및 병원균 등이 포함 되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평형수의 유입과 유출이 서로 다른 지역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평형수의 유입시 함께 유입된 특정 해역의 해양 생물 또는 병원균이 다른 해역으로 유출됨에 따라 환경과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부작용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평형수의 유출입시 평형수에 포함된 해양 생물이나 병원균을 처리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선박의 평형수를 살균 처리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선박 내에서 전기분해 반응을 통해 생성된 염소기체 또는 차아염소산(HClO 또는 ClO-)을 이용하여 평형수를 살균 처리하는 전기분해방식의 평형수 처리장치가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위와 같은 종래 전기분해방식의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해수와 같은 유입수는 유입구로부터 펌프(2)로 유입되어 필터부(4)에 의해 이물질의 제거와 살균 처리과정을 거친 다음, 평형수 탱크(3)로 유입된다.
상기 필터부(4)를 거친 유입수는 바로 평형수 탱크(3)로 유입되는 것과는 별개로, 일부가 전기분해유닛(1)으로 공급되어 차아염소산(HClO 또는 ClO-) 등을 생산하여 평형수 탱크(3)에 유입되는 유입수 내에 주입함으로써, 살균처리 과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평형수 탱크(3)로부터 평형수를 유출할 때에는, 상기 평형수 탱크(3)로부터 유출될 때 잔존한 차아염소산 등을 중화하기 위하여 중화부(5)로부터 중화액을 투입하여 중화한 다음, 오버보드(Overboard), 즉 해양으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잔존한 차아염소산 등에 의한 해양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유입수는 선박의 운항 장소에 따라 염분의 농도가 달라지며, 특히 담수지역이나 염분농도 낮은 지역에서는 유입되는 유입수에 의해 전기분해유닛(1)의 원활한 운전이 어렵게 된다. 이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농도의 염수가 저장된 염수탱크(10)를 구비하여, 저 염분농도의 유입수에 염수를 혼합하여 전기분해유닛(1)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미설명된 참조번호 11은 고동도의 염수가 고상의 소금으로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교반시키는 사일로(Silo) 구조의 교반기(Mixer)를 나타낸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전기분해방식의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에서는, 액상(液相)의 고농도 염수가 충진된 큰 체적의 염수탱크(10)를 필요로 하여 공간의 이용효율이 떨어지고, 큰 체적의 염수를 운송하기 위해 고비용의 에너지가 투입된다. 또한 액상의 염수를 혼합하기 위한 교반기(11) 등과 같은 부대설비의 설치를 위해 고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염수탱크의 체적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공간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고, 운송비용 및 부대시설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개선한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평형수 처리용 전기분해유닛에 염수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고염도의 염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저염도의 제1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부 고상(固相)의 소금을 저장하고, 상기 원수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원수를 공급 받아 소금을 용해하여 고염도의 염수를 생성하는 소금저장조와, 상기 소금저장조에서 생성된 고염도의 염수를 전달 받아 저장하는 염수탱크를 구비하는 염수생성부; 상기 전기분해유닛 공급용 제2원수와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공급된 고염도의 염수를 혼합하는 혼합부; 및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상기 혼합부로 고염도의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공급펌프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소금저장조와 염수탱크는 단일의 케이스 내에서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되도록 서로 인접 배치되고, 상기 소금저장조에서 생성된 고염도의 염수는 상기 격벽 위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어 상기 염수탱크로 유입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소금저장조와 염수탱크는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염수생성부는 상기 소금저장조 및 염수탱크의 각 상부를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소금저장조에서 생성된 고염도의 염수가 상기 염수탱크로 이동하는 연락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수공급부는, 그 일단부가 상기 소금저장조 내로 삽입되어, 상기 제1원수를 상기 소금저장조 내로 유입하는 유입배관과, 상기 유입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입량조절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금저장조 내에 위치한 상기 유입배관의 단부에는 복수개의 유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원수공급부는 상기 소금저장조 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배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상기 제1원수가 상기 소금저장조 내에 저장된 소금에 골고루 확산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다공판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원수공급부는, 상기 염수탱크에 저장된 고염도 염수의 수위에 대하여 설정된 상한 및 하한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 상한 및 하한 레벨스위치와, 상기 상한 및 하한 레벨스위치에서 감지된 고염도 염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유입량조절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수위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수생성부는, 상기 염수탱크에 저장된 염수의 염도를 감지하는 제1염도계와,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기와, 상기 제1염도계에 의해 감지된 염수의 염도가 설정치 이하인 것으로 감지되면 경보를 발생하여 상기 소금저장조에 소금을 보충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경보발생기를 제어하는 소금보충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수 공급장치는, 상기 혼합부로부터 상기 전기분해유닛으로 공급되는 염수의 염도를 감지하는 제2염도계; 및 상기 제2염도계에 의해 감지된 염수의 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염수공급펌프로부터 상기 혼합부로 공급되는 염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염수량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염수량조절부는, 상기 염수공급펌프와 혼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상기 혼합부에 공급하는 고염도 염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염수량조절밸브와, 상기 제2염도계에 의해 감지된 염수의 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염수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염수량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염수량조절부는 상기 제2염도계에 의해 감지된 염수의 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염수공급펌프에 제공되는 동력을 조절하는 제2염수량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염수량조절부는 상기 염수공급펌프와 혼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관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염수탱크로 되돌아가는 순환배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소금저장조와 염수탱크를 일체로 형성하고, 고상(固相)의 소금(S)이 저장된 소금저장조에 해수와 같은 원수를 유입하여 용해된 고염도의 염수를 염수탱크에 저장하며, 염수탱크의 수위를 제어하면서 공급하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고염도의 염수를 미리 준비하고 저장하여 공급하던 종래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염수탱크의 체적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부대하여, 종래 큰 체적의 액상 염수를 운송하기 위해 투입되던 고비용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종래 혼합을 위하여 필요로 하던 사일로 구조의 교반기(Mixer) 등과 같은 부대설비를 생략할 수 있으며, 소금의 고착 등에 의해 공급라인이 막혀서 발생할 수 있는 제어 불능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
셋째, 염수탱크에 저장된 염수의 농도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소금의 보충에 대한 정보(경고)를 제공함으로써, 염수의 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넷째, 혼합부로부터 전기분해유닛에 공급되는 염수의 염도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염수탱크로부터 혼합부로 공급되는 염수의 량을 제어함으로써, 전기분해유닛에 공급되는 염수의 염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기분해방식의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염수발생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에 나타낸 원수공급부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구조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염수발생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이하 "염수 공급장치"라 함)는 선박의 평형수 처리용 전기분해유닛(1;도 1 참조)에 염수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원수공급부(100)와, 염수생성부(210,220)와, 혼합부(300)와, 염수공급펌프(400)를 포함한다.
상기 원수공급부(100)는 고염도의 염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저염도의 제1원수를 상기 소금저장조(211,221)로 공급한다. 상기 제1원수로는 해수가 일반적이지만, 선박이 담수지역을 운항하는 경우에는 담수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원수를 소금저장조(211,221)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원수공급부(100)는 유입배관(110)과, 유입량조절밸브(12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배관(110)은, 그 일단부가 상기 소금저장조(211,221) 내로 삽입되어 제1원수를 상기 소금저장조(211,221) 내로 유입한다. 여기서 상기 유입배관(110)은 소금의 고착에 의해 공급라인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과도한 압력을 받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도 4a 내지 도 4c에는 도 2 및도 3에 나타낸 원수공급부(100)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구조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금저장조(211,221) 내에 위치한 상기 유입배관(110)의 단부에는, 복수개의 유출공(11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된 제1원수가 상기 유출공(111)을 통해 소금저장조(211,221)의 내부 전체방향으로 확산하도록 한다. 다른 대안으로서,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배관(110)과 연결되어, 유입된 제1원수가 상기 소금저장조(211,221) 내에 저장된 소금(S)에 골고루 확산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출공(131;131a,131b)이 형성된 다공판(130;130a,130b)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입량조절밸브(120)는 상기 유입배관(110) 상에 설치되어 제1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원수공급부(100)는, 상한 및 하한 레벨스위치(141)(142)와, 수위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한 및 하한 레벨스위치(141)(142)는 상기 염수탱크(212,222)에 저장된 고염도 염수의 수위에 대하여 설정된 상한 및 하한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위제어부(150)는 상한 및 하한 레벨스위치(141)(142)에서 감지된 고염도 염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유입량조절밸브(120)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염수탱크(212,222)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염수생성부(210,220)는, 소금저장조(211,221)와, 염수탱크(212,222)를 구비한다. 상기 소금저장조(211,221)는 고상(固相)의 소금(S)을 저장하고, 상기 원수공급부(100)로부터 제1원수를 공급 받아 소금(S)을 용해하여 고염도의 염수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염수탱크(212,222)는 상기 소금저장조(211,221)에서 생성된 고염도의 염수를 전달 받아 저장하며, 염수탱크(212,222)에 저장된 고염도 염수는 후술할 혼합부(300)로 공급된다.
일 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염수생성부(210)에서는, 상기 소금저장조(211)와 염수탱크(212)가 단일의 케이스(213) 내에서 격벽(214)에 의해 서로 구획되도록 서로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금저장조(211)에서 생성된 고염도의 염수는 상기 격벽(214) 위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어, 상기 염수탱크(212)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소금저장조(211)와 염수탱크(212)를 일체로 형성하고, 고상(固相)의 소금(S)이 저장된 소금저장조(211)에 저염도의 제1원수를 유입하여 용융된 고염도의 염수를 염수탱크(212)에 저장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염수탱크(212)의 수위를 제어하면서 공급하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고염도의 염수를 미리 준비하고 저장하여 공급하던 종래와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염수탱크(212)의 체적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부대하여, 종래 큰 체적의 액상 염수를 운송하기 위해 투입되던 고비용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교반기(11;도 1 참조) 등과 같은 부대설비를 생략할 수 있으며, 소금의 고착 등에 의해 공급라인이 막혀서 발생할 수 있는 제어 불능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염수생성부(220)에서는, 상기 소금저장조(221)와 염수탱크(222)가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염수생성부(220)는, 상기 소금저장조(221) 및 염수탱크(222)의 각 상부를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소금저장조(221)에서 생성된 고염도의 염수가 상기 염수탱크(222)로 이동하는 연락관(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염수생성부(220)에서도, 전술한 염수생성부(210도 2 참조)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염수생성부(210,220)는, 제1염도계(241)와, 경보발생기(242)와, 소금보충제어부(2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염도계(241)는 염수탱크(212,222)에 저장된 염수의 염도를 감지한다. 상기 소금보충제어부(243)는 제1염도계(241)에 의해 감지된 염수의 염도가 설정치 이하인 것으로 감지되면, 경보를 발생하여 상기 소금저장조(211,221)에 소금을 보충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경보발생기(242)를 제어한다. 그러면 상기 경보발생기(242)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여 경보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염수탱크(212,222)에 저장된 염수의 농도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소금의 보충에 대한 정보(경고)를 제공함으로써, 염수탱크(212,222)에 저장된 염수의 농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염도계(241)에 의해 감지된 염도가 설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소금보충제어부(243)가 경보발생기(242)를 제어하여 경보를 발생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설정된 염도에 대응하여 소금저장조(211,221)에 직접 소금을 보충할 수 있도록 피드백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혼합부(300)는 전기분해유닛(1;도 1 참조) 공급용 제2원수와 상기 염수탱크(212,222)로부터 공급된 고염도의 염수를 혼합하여, 필요로 하는 염도를 갖는 염수를 전기분해유닛(1)으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염수공급펌프(400)는 상기 염수탱크(212,222)로부터 혼합부(300)로 고염도의 염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염수 공급장치는, 제2염도계(500)와, 염수량조절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염도계(500)는 혼합부(300)로부터 상기 전기분해유닛(1)으로 공급되는 염수의 염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염수량조절부(600)는 상기 제2염도계(500)에 의해 감지된 염수의 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염수공급펌프(400)로부터 상기 혼합부(300)로 공급되는 염수의 유량을 조절한다.
상기 혼합부(300)로 공급되는 염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염수량조절부(600)는, 염수량조절밸브(610)와, 제1염수량제어부(620)와, 제2염수량제어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수량조절밸브(610)는 염수공급펌프(400)와 혼합부(300) 사이를 연결하는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염수탱크(212,222)로부터 상기 혼합부(300)에 공급하는 고염도 염수의 유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염수량제어부(620)는 제2염도계(500)에 의해 감지된 염수의 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염수량조절밸브(610)의 개도를 조절한다. 또한 제2염수량제어부(630)는 상기 제2염도계(500)에 의해 감지된 염수의 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염수공급펌프(400)에 제공되는 동력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혼합부(300)로 공급되는 염수의 유량을 효율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염수량조절부(600)는 염수공급펌프(400)와 혼합부(300) 사이를 연결하는 관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염수탱크(212,222)로 되돌아가는 순환배관(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혼합부(300)로부터 전기분해유닛(1)에 공급되는 염수의 염도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염수공급펌프(400)로부터 혼합부(300)로 공급되는 염수의 량을 제어함으로써, 전기분해유닛(1)에 공급되는 염수의 염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상기 수위제어부(150), 소금보충제어부(243), 제1염수량제어부(620), 제2염수량제어부(63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중앙제어부를 통해 피드백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원수공급부 110 : 유입배관
120 : 유입량조절밸브 130 : 다공판
141,142 : 상한 및 하한 레벨스위치 150 : 수위제어부
210,220 : 염수생성부 211,221 : 소금저장조
212,222 : 염수탱크 214 : 격벽
223 : 연락관 241 : 제1염도계
242 : 경보발생기 243 : 소금보충제어부
300 : 혼합부 400 : 염수공급펌프
500 : 제2염도계 600 : 염수량조절부
610 : 염수량조절밸브 620 : 제1염수량제어부
630 : 제2염수량제어부 640 : 순환배관
S : 소금

Claims (13)

  1. 선박의 평형수 처리용 전기분해유닛에 염수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고염도의 염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저염도의 제1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부
    고상(固相)의 소금을 저장하고 상기 원수공급부로부터 상기 제1원수를 공급 받아 소금을 용해하여 고염도의 염수를 생성하는 소금저장조와, 상기 소금저장조에서 생성된 고염도의 염수를 전달 받아 저장하는 염수탱크를 구비하는 염수생성부;
    상기 전기분해유닛 공급용 제2원수와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공급된 고염도의 염수를 혼합하는 혼합부; 및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상기 혼합부로 고염도의 염수를 공급하는 염수공급펌프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금저장조와 염수탱크는 단일의 케이스 내에서 격벽에 의해 서로 구획되도록 인접 배치되고,
    상기 소금저장조에서 생성된 고염도의 염수는 상기 격벽 위로 오버플로우(Overflow)되어 상기 염수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금저장조와 염수탱크는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염수생성부는, 상기 소금저장조 및 염수탱크의 각 상부를 서로 연통하도록 연결하여 상기 소금저장조에서 생성된 고염도의 염수가 상기 염수탱크로 이동하는 연락관을 더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부는,
    그 일단부가 상기 소금저장조 내로 삽입되어 상기 제1원수를 상기 소금저장조 내로 유입하는 유입배관과,
    상기 유입배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원수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유입량조절밸브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소금저장조 내에 위치한 상기 유입배관의 단부에는 복수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부는,
    상기 소금저장조 내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배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상기 제1원수가 상기 소금저장조 내에 저장된 소금에 골고루 확산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출공이 형성된 다공판을 더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수공급부는,
    상기 염수탱크에 저장된 고염도 염수의 수위에 대하여, 설정된 상한 및 하한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 상한 및 하한 레벨스위치와,
    상기 상한 및 하한 레벨스위치에서 감지된 고염도 염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유입량조절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는 수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염수생성부는,
    상기 염수탱크에 저장된 염수의 염도를 감지하는 제1염도계와,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발생기와,
    상기 제1염도계에 의해 감지된 염수의 염도가 설정치 이하인 것으로 감지되면, 경보를 발생하여 상기 소금저장조에 소금을 보충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경보발생기를 제어하는 소금보충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로부터 상기 전기분해유닛으로 공급되는 염수의 염도를 감지하는 제2염도계; 및
    상기 제2염도계에 의해 감지된 염수의 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염수공급펌프로부터 상기 혼합부로 공급되는 염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염수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염수량조절부는,
    상기 염수공급펌프와 혼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관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염수탱크로부터 상기 혼합부에 공급하는 고염도 염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염수량조절밸브와,
    상기 제2염도계에 의해 감지된 염수의 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염수량조절밸브의 개도를 조절하는 제1염수량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염수량조절부는,
    상기 염수공급펌프와 혼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관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염수탱크로 되돌아가는 순환배관을 더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염수량조절부는,
    상기 제2염도계에 의해 감지된 염수의 염도에 대응하여 상기 염수공급펌프에 제공되는 동력을 조절하는 제2염수량제어부를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염수량조절부는,
    상기 염수공급펌프와 혼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관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염수탱크로 되돌아가는 순환배관을 더 포함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KR1020120001604A 2012-01-05 2012-01-05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KR101331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604A KR101331688B1 (ko) 2012-01-05 2012-01-05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604A KR101331688B1 (ko) 2012-01-05 2012-01-05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669A true KR20130080669A (ko) 2013-07-15
KR101331688B1 KR101331688B1 (ko) 2013-11-20

Family

ID=4899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604A KR101331688B1 (ko) 2012-01-05 2012-01-05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168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462A (ko) 2013-12-05 2015-06-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KR20150076821A (ko) 2013-12-27 2015-07-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정밀한 tro 농도 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KR20150114796A (ko) 2014-04-02 2015-10-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의 전해조 해수 공급장치
KR20150114797A (ko) 2014-04-02 2015-10-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해조 유닛의 수소 가스 배출 구조
KR20160112420A (ko) 2015-03-19 2016-09-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KR20160135511A (ko) * 2015-05-18 2016-11-28 와이비엔지니어링(주)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
KR20170014759A (ko) 2015-07-31 2017-02-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의 중화제 공급 장치
KR20180095411A (ko) * 2017-02-17 2018-08-27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기의 염수통 및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838Y2 (ja) * 1993-01-14 1998-01-1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の高濃度水溶液タンク
JPH0659496U (ja) * 1993-01-21 1994-08-19 イー・シー・ベー・テー 素線撚り合わせ装置
KR100549838B1 (ko) * 2004-02-09 2006-02-13 한국해양연구원 선박의 발라스트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054711B1 (ko) 2009-11-24 2011-08-05 유니테크 주식회사 차아염소산나트륨 제조용 전해조의 염수 공급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5462A (ko) 2013-12-05 2015-06-1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KR20150076821A (ko) 2013-12-27 2015-07-0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정밀한 tro 농도 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KR20150114796A (ko) 2014-04-02 2015-10-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의 전해조 해수 공급장치
KR20150114797A (ko) 2014-04-02 2015-10-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해조 유닛의 수소 가스 배출 구조
KR20160112420A (ko) 2015-03-19 2016-09-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KR20160135511A (ko) * 2015-05-18 2016-11-28 와이비엔지니어링(주) 고농도 염수 생산장치
KR20170014759A (ko) 2015-07-31 2017-02-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의 중화제 공급 장치
KR20180095411A (ko) * 2017-02-17 2018-08-27 서순기 살균소독수 생성기의 염수통 및 이를 이용한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1688B1 (ko) 2013-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1688B1 (ko)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의 전기분해유닛용 염수 공급장치
KR101066674B1 (ko) 전기분해 유닛과 이러한 전기분해 유닛을 이용한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장치
JP7267196B2 (ja) バラスト水マネージメントシステム
JP2010528832A (ja) バラストタンク循環管理システム
US20240002032A1 (en) Ballast Water Treatment and Neutralization
KR20150056150A (ko) 살균제 저장탱크를 가지는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20170047516A (ko) 선박 평형수 처리 장치
KR101280518B1 (ko) 전기분해식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20130142289A (ko)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를 장착한 차량
JP5032810B2 (ja) バラスト水の処理システム
KR20140084988A (ko) 레벨 스위치를 이용하여 수위 조절이 가능한 중화제 공급장치 및 그 공급방법
KR101663723B1 (ko) 선박용 살균 소독수 공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4585B1 (ko) 선박 평형수 처리 시스템의 전해조 해수 공급장치
KR101590793B1 (ko) 염수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US20170267325A1 (en) Ballast water circulation system, control unit, and related method
KR20170050715A (ko)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101816906B1 (ko)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101602070B1 (ko) 브롬염 및 오존주입장치를 구비한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KR20140085028A (ko) 분사부를 이용하는 스마트 중화제 공급장치 및 그 공급방법
WO2020217372A1 (ja)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船舶
KR20170050714A (ko)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20120062603A (ko) 전기분해 유닛을 이용한 선박의 발라스트 수 처리방법
JP2002326086A (ja) 残留塩素制御装置
KR20130122223A (ko) 불활성가스의 용해도를 높이는 밸러스트수 처리 시스템
KR20150143103A (ko) 전기 분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