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0589A - 시간 경과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시간 경과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0589A
KR20130080589A KR1020120001465A KR20120001465A KR20130080589A KR 20130080589 A KR20130080589 A KR 20130080589A KR 1020120001465 A KR1020120001465 A KR 1020120001465A KR 20120001465 A KR20120001465 A KR 20120001465A KR 20130080589 A KR20130080589 A KR 20130080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cosmetic composition
composition
water
mask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1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0589A/ko
Publication of KR20130080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05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 경과에 따라 산소와의 접촉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지에 마스크팩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마스크팩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은 수용성 활성물질 코어와 이를 둘러싸며 산소 민감성 지시약과 피막 재질을 포함하는 쉘로 이루어진 캡슐, 환원당,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인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색상 변화를 통해 감각적인 차별화를 부여하고, 화장품의 유효 기간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팩의 떼어내야 할 시간 등을 시각적으로 알려주어 소비자로 하여금 화장품에 대한 신뢰도 및 선호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시간 경과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for Mask of a time-varying color change, Mask pack comprising thereof and a fabrica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유효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마스크 팩 조성물의 색상 변화를 통해 감각적인 차별화를 부여하고, 마스크팩 사용시간과 제품의 유효기간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산업에서 순식물성 자연 이미지의 부각이나 고기능성 원료를 사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구매욕을 자극하고 있다. 화장품 성분의 경우 피부 보습과 보호, 및 피부 건강을 유지시키기 위해 수용성 성분, 유용성 성분, 분말과 활성 성분을 혼합 사용하며, 하나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대략 10∼50여 종의 원료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화장품 산업은 경쟁이 치열한 산업으로 경쟁자가 많은 만큼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성장과 함께 공급자 또는 제조업자는 제품의 특징을 뚜렷하게 표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최근 화장품 개발의 특징은 기존과는 다른 독특한 외관이나 차별화된 사용감을 부여하고, 피부에 도포하자마자 즉각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성분 개발 및 도입이 큰 트렌드이다. 또한, 제품의 외관과 느낌뿐만 아니라 감각적인 재미 부여는 소비자가 구매할 제품을 선택할 때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113050호는 생크림과 유사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안하며, 이러한 조성물이 소비자들에게 새롭고 즐거운 소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7-0106115호는 탄성을 가지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안하면서, 상기 조성물이 피부에 자극이 없으면서 사용 후에 물로 간단히 씻어낼 수 있으며 탄성을 가져 외관상에 감각적인 재미를 줄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9155호는 눈에 띄는 특이한 제형으로서 클렌징오일과 클렌징수의 장점을 조합하고 시각적으로도 2층상의 구조를 갖는 에멀젼 타입의 클렌저를 제시하고 있다.
한편, 비타민 등의 유효 성분은 피부 미백, 콜라겐 합성, 유해 산소 제거 등 다양한 효과가 있어 의약, 약학, 및 화장품 분야에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비타민은 공기 중의 수분, 산소 또는 빛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이러한 활성이 급격히 저하되며 변질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비타민을 포함하는 유효 성분을 안정화하기 위한 방법이 화장료 제형 분야에서 많은 시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7874호는 L-아스코르빈산을 1∼8 중량%의 고농도로 함유하는 물이 함유되지 않은 안정한 비수계 유중다가알코올형 에멀젼 화장료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2646호는 기능성 성분을 리포좀화하여 안정화하고 이를 다시 다공성 파우더 내에서 안정화시킨 고기능성 파우더 성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예로부터 알 수 있듯이 현재 스킨케어 화장품은 효능, 효과를 중요시하는 것 못지않게 시각적으로도 차별화되는 방향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효능,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시각적 차별화를 구현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113050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7-01061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915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1787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02646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유효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시각적인 차별화를 부여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유효 활성성분을 캡슐화하여 안정화시키고, 캡슐화시 피막 재료로서 산소 민감성 지시약을 사용하여 색상 변화를 유도하고 조성물 내 환원당을 함께 사용하여 가역적인 색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마스크팩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효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시각적인 차별화를 부여할 수 있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용성 활성물질 코어와 이를 둘러싸며 산소 민감성 지시약과 피막 재질을 포함하는 쉘로 이루어진 캡슐, 환원당,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인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지에 마스크팩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마스크팩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이 수용성 활성물질 코어와 이를 둘러싸며 산소 민감성 지시약과 피막 재질을 포함하는 쉘로 이루어진 캡슐, 환원당,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인 마스크팩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S1) 수용성 활성성분을 산소 민감성 지시약과 피막 재질로 둘러싼 코어-쉘 구조의 캡슐을 제공하는 단계;
S2) 물에 상기 S1)에서 제조된 캡슐과 환원당을 혼합하여 마스크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에 원하는 디자인으로 커팅된 마스크용 시트지를 함침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조하는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시각적인 차별화할 수 있는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어 사용시 가역적 색상 변화를 유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감각적인 재미를 주며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색변화 정도에 따라 마스크 사용시간을 예측할 수 있고, 팩에 장기간 보관시 산소에 의한 침입 정도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마스크팩 제품에 대한 신뢰도 및 선호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시간에 따라 산소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가역적인 색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시한다.
상기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은 시간에 따른 색상 변화를 위해 산소 민감성 지시약과, 산소 민감성 지시약에 의해 변화된 색상을 되돌리기 위한 환원당을 포함하며, 수용성 활성물질을 포함한다. 특히, 수용성 활성물질이 충분히 피부에 침투된 후 색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수용성 활성물질을 코어로 하고, 상기 코어를 둘러싸도록 산소민감성 지시약이 쉘로 이루어진 캡슐 형태로 적용한다. 이때 쉘은 형태를 잡아주기 위해 피막 재질을 포함한다. 또한, 산소민감성 지시약에 의한 색상 변화 후 다시 원래의 색상으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환원당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활성물질 코어와 이를 둘러싸며 산소 민감성 지시약과 피막 재질을 포함하는 쉘로 이루어진 캡슐, 환원당, 및 물을 포함한다.
산소 민감성 지시약은 산소와의 접촉을 통해 색상 변화를 일으키는 물질로서, 평소에는 밀폐된 상태를 통해 외부 공기와 차단하고, 사용을 위해 개봉 후에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행위를 통해 자연스럽게 외부 공기와 접촉하여 색상을 변화시킨다.
이때 색상 변화는 산소와의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며, 별도의 외부 자극이 없을 경우 약 15분 정도 경과 후에 변화가 일어난다. 사용 이전의 밀폐된 상태에서는 외부 공기와 캡슐 간의 접촉이 차단되며, 포장 시 유입되는 산소에 대해서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내에 함유된 환원당의 산화 반응에 의해 산소 민감성 지시약의 환원이 일어나 원래 색상으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산소 민감성 지시약은 내부에 수용성 활성 물질을 포접한 형태의 캡슐로서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슐은 코어로 수용성 활성물질과, 이를 둘러싸는 산소 민감성 지시약 및 피막 재질로 이루어진 쉘로 이루어진다.
수용성 활성물질은 항산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의 기능적인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물질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대표적으로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코지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비타민 C인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수용성 활성물질은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의 캡슐 내부에 봉입되는 것 이외에, 다양한 제형의 마스크 제조시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은 인체의 필수적인 성분 중 하나로서, 강한 환원제로써 콜라겐의 합성 효소 활성화로 피부 속 콜라겐의 생성에 관여하며 노화방지와 피부 미백효과에도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은 색상 변화를 일으키며, 이러한 색상 변화는 조성물 내 산소가 존재할 경우 더디게 일어나거나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산소 존재'는 조성물 내 산소가 포화된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산소 포화는 다시 활성 물질, 특히 아스코르브산의 경우 황변이 발생함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기 때문에, 아스코르브산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사용 유효 기간을 색상 변화를 통해 알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활성물질의 함량은 이들이 공기, 수분, 열 등에 매우 민감하여 제형 내 수상부 내에서 매우 불안정한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에 안정화할 수 있는 최적의 범위를 갖도록 해야 한다. 바람직하기로 전체 화장료 조성물 내 0.1∼10.0 중량%로 포함하며, 만약 상기 범위 미만이면 이들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안정화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상기 수용성 활성물질을 포접하는 쉘은 수용성 활성물질을 포접하기 위한 피막 재질과, 색상 변화를 위해 산소 민감성 지시약을 포함한다.
먼저, 산소 민감성 지시약은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인디고카민(indigo carmi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며, 이들 지시약은 수상부 내 포도당(glucose) 등의 환원당과 산소친화력의 차이로 가역적인 색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즉, 정지 상태에서는 포도당 등이 용기 내 용존산소를 모두 흡수하여 산소 민감성 지시약이 산소와의 결합을 차단하며, 물리적 충격으로 흔들어 줄 경우에는 산소 농도에 따라 산소 민감성 지시약이 산소와 결합하여 색이 변화한다. 이때 환원당이 흡수하는 산소량과 산소 민감성 지시약이 흡수하는 산소량은 반비례한다.
상기 산소 민감성 지시약의 함량은 시간경과에 따라 충분히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색이 변하는 정도를 고려한 것으로, 전체 조성물 내에서 0.1∼1.0 중량%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시간 경과에도 불구하고 색상 변화가 미비하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과도한 색상 변화로 인해 오히려 소비자의 반감을 살 수 있고, 사용 전 밀폐 포장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산소와의 접촉으로 일어나는 색상 변화 후 다시 원래의 색상(무색)으로 되돌아 오는데 시간이 길어지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상기 피막 재질은 칼슘 알지네이트,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한천, 키토산, A형 젤라틴, B형 젤라틴, 폴리포스페이트, 아라비아 고무, 카라기난, 펙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한다. 특히, 칼슘 알지네이트의 알긴산은 미역, 다시마, 톳과 같은 갈조류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항미생물성, 생체적 합성, 피부 보습 효과, 중금속의 체외배출 및 흡수억제 등의 디톡스 효과 등의 다양한 피부 생리적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칼슘 알지네이트를 사용하여 단순히 캡슐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피부 생리적 효과도 함께 확보할 수 있었다.
이러한 피막 재질은 산소 민감성 지시약을 충분히 봉입할 수 있도록 그 함량을 전체 조성물 내에 0.5∼15.0 중량%로 함유한다. 만약, 피막 재질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산소 민감성 지시약의 봉입율이 적거나 충분히 봉입하지 못해 적은 충격에도 쉽게 색상이 변할 수 있으며, 반대로 그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산소 민감성 지시약과 공기와의 접촉이 용이하지 않아 원하는 수준의 색상 변화를 달성할 수 없다.
이때 캡슐의 형태는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통상의 구형, 타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직경이 1∼2000 ㎛인 구형으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또한, 수상부에 포함되는 환원당은 산소 민감성 지시약과의 반응을 위해 사용되며, 포도당, 과당, 엿당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1종을 포함한다. 이러한 환원당의 함량은 산소 민감성 지시약의 함량에 관여하며,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산소 민감성 지시약에 의해 파란색으로 변한 화장료 조성물이 원래의 색(일례로, 무색)으로 되돌아가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색상 전환 속도가 너무 빠른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물은 증류수로서 전체 중량%를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잔부(balance)로서 사용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은, 최소한으로 전체 조성물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캡슐 1.0∼20.0 중량%, 환원당 1.0∼10.0 중량%, 및 물을 잔부로 포함한다.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수용성/유용성 생리 활성 성분, 보습제, 방부제, pH 조절제, 지방산, 유화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차단제, 안료, 염료, 향료, 안정화제, 등의 첨가제를 더욱 첨가할 수 있으며, 이때 그 종류 및 함량은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에리스리톨, 크실리톨, 말티톨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1,2-펜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 아미노산, 유산나트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크실로글루칸, 모과씨, 카라기난, 펙틴, 만난, 카드란, 갈락탄, 델만탄황산, 글리코켄, 케라탄황산, 콘드로이틴, 뮤코이틴황산, 케라토황산, 콘드로이틴, 뮤코이틴황산, 케라토황산, 로커스트빈검, 숙시노글루칸, 카로님산(Calonym acid), 히알론산, 헤파란황산, 히알론산나트륨, 콜라겐, 뮤코다당류, 콘드로이틴황산, 디메틸폴리시록산, 메틸페닐시록산, 유산균ㆍ비피더스균인 배양상청,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상기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성 제형으로 제품에 따라 다양한 유화 조성물, 일례로 수중유, 유중수중유 (oil-in-water-in-oil), 유중수, 또는 수중유중수(water-in-oil-in water) 에멀젼 등의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성 제형 또는 에멀젼 형태로 피부에 도포하여 방치 또는 지속적으로 롤링하는 타입, 필오프 타입(Peel off type), 워시오프 타입(Wash off type), 시트 타입(sheet type) 등 다양한 형태로 도입하여, 바디스킨 케어, 얼굴 스킨케어, 베이비케어, 아프터선 케어, 미백 케어, 항셀룰라이트 케어, 클렌징 등의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성 제형으로서, 추가의 에멀젼화 없이 시트 타입의 마스크팩으로 제품화할 수 있다.
마스크팩은 시트(Sheet)지에 마스크팩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로서 수용성 활성물질 코어와 이를 둘러싸며 산소 민감성 지시약과 피막 재질을 포함하는 쉘로 이루어진 캡슐, 환원당, 및 물을 포함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다.
이때 시트지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부직포, 순면, 스판레이스, 펄프 재질, 고분자 수성겔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부직포를 사용한다. 이러한 시트지는 다양한 디자인으로 커팅될 수 있으며, 일예로 얼굴 형태에 따라 얼굴에 밀착되게 재단되거나, 입술, 목, 손 또는 발 등의 다양한 곳에 적용될 수 있도록 디자인된다.
상기 마스크팩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기로
S1) 수용성 활성성분을 산소 민감성 지시약과 피막 재질로 둘러싼 코어-쉘 구조의 캡슐을 제공하는 단계;
S2) 물에 상기 S1)에서 제조된 캡슐과 환원당을 혼합하여 마스크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에 원하는 디자인으로 커팅된 마스크용 시트지를 함침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조한다.
상기 S1)의 캡슐은 통상의 캡슐 제조 공정에 따라 제조된다. 일례로, 염화칼슘 수용액에 산소 민감성 지시약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여기에 알긴산을 첨가하여 반응시킨 후, 얻어진 물질을 건조하여 얻어진다. 이러한 혼합/반응은 벌크 공정, 분무 공정 등 다양한 공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S2)의 혼합 공정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온도 조절과 교반이 가능한 혼합기 내에서 수행하며, 필요에 따라 교반 및 열을 가하는 방식이 이루어진다. 이때 필요한 경우 수용성 활성물질과,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다양한 첨가제(예, 보습제, 방부제 등)를 첨가한다. 상기 수용성 활성물질은 캡슐 내 봉입된 재질과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마스크팩 조성물은 50∼80℃, 바람직하게는 65∼75℃로 가열하여 수행하며, 필요한 경우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2000∼4000rpm, 바람직하게는 3000rpm의 속도로 3∼10분 동안 교반을 수행한다.
또한, S3)의 부착용 마스크팩에는 습식(wet type), 가교식 수성겔 또는 비가교식 수성겔의 제형을 모두 포함한다. 습식(wet type) 마스크픽은 에센스 타입 마스크의 또 다른 이름으로서, 유액이나 화장수를 부직포에 적신제품을 통칭한다. 일반적으로, 습식(wet type) 마스크팩의 유액이나 화장수는 일반적인 스킨케어용 에센스류의 제조방법과 유사하며, 미리 제조된 에센스를 원하는 디자인으로 커팅된 부직포에 함침시켜 제품을 완성한다.
가교식 수성겔 마스크팩은 일정한 형상을 가진 가교식 수성겔 제형의 내용물을 부직포 위에 코팅시킨 제품을 통칭하며, 일반적으로는 피부에 대한 점착성을 갖는다. 가교식 수성겔 마스크팩은 폴리아크릴산 및 중화된 폴리아크릴레이트계의 고분자들을 가교제(예: 알루미늄 글리시네이트,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등)를 첨가하여 가교 반응시킴으로써 수성겔 제형을 제조 후, 부직포 위에 코팅시켜 제품을 완성한다.
비가교식 수성겔 마스크팩은 일정한 형상을 가진 비가교식 수성겔 제형의 내용물을 지지체 위나 혹은 지지체가 없는 상태에서 일정한 두께로 코팅한 제품을 통칭하며, 일반적으로는 피부에 대한 점착성 없이 수성겔 제형의 수분에 의한 흡착을 이용해 피부에 부착시킨다. 통상, 비가교식 수성겔 마스크팩은 다량의 수분을 담지할 수 있는 내추럴검류(예: 셀룰로우즈, 잔탄검, 카라기난, 로커스트빈검 등)와 일정한 형상을 유지시켜주는 아가의 혼합으로 만들어지며, 제조된 내용물을 지지체(예: 폴리에스터 부직포, 한지, 셀룰로오즈 등) 위에 코팅시키거나 지지체가 없는 상태에서 일정 두께로 코팅시켜 제품을 완성한다.
상기한 단계를 통해 얻어진 마스크팩은 진공 상태에서 파우치에 밀봉하여 제품화하여 시판한다. 이러한 마스크팩은 유효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색상 변화를 통해 감각적인 차별화를 부여하고, 화장품의 유효 기간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팩의 떼어내야 할 시간 등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등 소비자로 하여금 화장품에 대한 신뢰도 및 선호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 실험예 1]
(1) 캡슐 제조
염화칼슘 수용액(1 g)에 메틸렌 블루(0.2 g)을 첨가한 후 미리 물에 일정농도로 용해시키고, 별도로 알긴산(3 g)을 물에 분산시켜 가열 용해하고 10 ~ 40 ℃로 냉각하여 저온 알긴산 겔 용액을 제조하며 여기에 아스코르브산 (0.5 g)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다.
아스코르브산이 첨가된 알긴산 겔 용액을 염화칼슘 용액에 드롭 형태로 떨어뜨리는 방법을 거쳐 캡슐(직경이 약 0.1~0.3mm)을 제조하였다. 이때 알긴산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젤리의 강도가 약해진다.
(2) 마스크팩 제조
먼저, 혼합기에 정제수를 넣어 70℃로 가온하고 여기에 나머지 수상부 조성을 첨가 후 70℃에서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켜 마스크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어 상기 제조된 마스크팩 조성물을 부직포(가로x세로, 10x10cm)에 함침시켜 마스크팩(Mask Pack) 제품을 제조하였다.
(3) 성상 및 색변화 확인
상기에서 각각 제조한 마스크팩을 최대한 산소화 접하지 않도록 파우치에 진공 포장하였다. 이어. 성상 및 색변화 확인을 위해 파우치 내 마스크팩을 꺼내어 얼굴에 부착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함량(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조성 캡슐 (1) 1.0 1.0 0.5 1.0
메틸렌 블루 - 0.1 - -
포도당 1.0 1.0 1.0 -
글리세린 3.0 3.0 3.0 3.0
부틸렌글라이콜 5.0 5.0 5.0 5.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1.0 1.0 1.0 1.0
보존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마스크 습식(wet type)
마스크팩
함침 함침 함침 함침
성상
개봉 직후, 무색 캡슐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개봉 직후, 전체적으로 무색을 띄는 마스크팩 개봉 직후,
무색 캡슐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개봉 직후, 푸른빛의 캡슐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색변화
약 15분 경과 후 파란색으로 변화 파란색으로 변화가 매우 빨라 마스크팩 도포시간이 매우 짧음 약 15분 경과 후 파란색으로 변화하나, 그 정도가 미미함 이미 약간의 파란색으로 변색이 일어나 있음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은 소비자의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되어 화장품으로 시판될 수 있다.

Claims (16)

  1. 수용성 활성물질 코어와 이를 둘러싸며 산소 민감성 지시약과 피막 재질을 포함하는 쉘로 이루어진 캡슐,
    환원당,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인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캡슐 1.0∼20.0 중량%, 환원당 1.0∼10.0 중량%, 및 물을 잔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활성물질은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코지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활성물질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0.1∼10.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민감성 지시약은 메틸렌블루, 인디고카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 민감성 지시약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0.1∼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 재질은 칼슘 알지네이트,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한천, 키토산, A형 젤라틴, B형 젤라틴, 폴리포스페이트, 아라비아 고무, 카라기난, 펙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재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 재질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0.5∼15.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형태가 구형, 타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은 직경이 1∼2000 ㎛인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당은 포도당, 과당, 엿당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은 수성 제형 또는 에멀젼 형태로 피부에 도포하여 방치 또는 지속적으로 롤링하는 타입, 필오프 타입(Peel off type), 워시오프 타입(Wash off type), 또는 시트 타입(sheet type)으로 제품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13. 시트지에 마스크팩 조성물이 함침되어 있는 마스크팩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이 제1항의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는 부직포, 순면, 스판레이스, 펄프 재질, 또는 고분자 수성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팩은 습식 마스크, 가교식 수성겔 마스크 또는 비가교식 수성겔 마스크의 제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
  16. S1) 수용성 활성성분을 산소 민감성 지시약과 피막 재질로 둘러싼 코어-쉘 구조의 캡슐을 제공하는 단계;
    S2) 물에 상기 S1)에서 제조된 캡슐과 환원당을 혼합하여 마스크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S3) 상기 마스크팩 조성물에 원하는 디자인으로 커팅된 마스크용 시트지를 함침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조하는 제13항의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20120001465A 2012-01-05 2012-01-05 시간 경과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80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465A KR20130080589A (ko) 2012-01-05 2012-01-05 시간 경과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1465A KR20130080589A (ko) 2012-01-05 2012-01-05 시간 경과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0589A true KR20130080589A (ko) 2013-07-15

Family

ID=4899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1465A KR20130080589A (ko) 2012-01-05 2012-01-05 시간 경과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058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15053A (zh) * 2016-02-26 2016-06-01 湖北立天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高抗菌、吸附重金属微小颗粒的新型微溶抗雾霾保健功能口罩
KR20170012812A (ko) 2015-07-24 2017-02-03 (주)뷰티화장품 pH 변화에 따른 색 변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하이드로겔 팩
KR20170015763A (ko) 2015-07-31 2017-02-09 (주)뷰티화장품 온도 감응성 색 변화 하이드로겔 팩
KR102263586B1 (ko) * 2020-08-25 2021-06-10 주식회사 나노브릭 사용시간 확인이 가능한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사용방법
CN115613215A (zh) * 2022-11-09 2023-01-17 余姚市龙翔水刺热轧无纺有限公司 一种面膜用无纺布及其生产工艺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2812A (ko) 2015-07-24 2017-02-03 (주)뷰티화장품 pH 변화에 따른 색 변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하이드로겔 팩
KR20170015763A (ko) 2015-07-31 2017-02-09 (주)뷰티화장품 온도 감응성 색 변화 하이드로겔 팩
CN105615053A (zh) * 2016-02-26 2016-06-01 湖北立天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高抗菌、吸附重金属微小颗粒的新型微溶抗雾霾保健功能口罩
KR102263586B1 (ko) * 2020-08-25 2021-06-10 주식회사 나노브릭 사용시간 확인이 가능한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사용방법
WO2022045447A1 (ko) * 2020-08-25 2022-03-03 주식회사 나노브릭 사용시간 확인이 가능한 미용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사용방법
CN115613215A (zh) * 2022-11-09 2023-01-17 余姚市龙翔水刺热轧无纺有限公司 一种面膜用无纺布及其生产工艺
CN115613215B (zh) * 2022-11-09 2023-08-18 余姚市龙翔水刺热轧无纺有限公司 一种面膜用无纺布及其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834B1 (ko)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35384B1 (ko) 시트형 팩용 클레이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KR20130080589A (ko) 시간 경과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마스크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70159A (ko) 히알루론산 겔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29019A (ko) 활성 성분을 방출하는 제품
CN101484121A (zh) 大尺寸脂质囊乳剂组合物和含有它的化妆品组合物
JP6646993B2 (ja) 発泡性皮膚外用剤
CN116546979A (zh) 包含胶囊的化妆品组合物
CN104983647A (zh) 深层修复面膜及其制备方法
KR20160109422A (ko) 은 나노입자가 포함된 마스크팩
CN105142604A (zh) 皮肤化妆品
CN108379205A (zh) 一种皮肤修复液及其制备方法
US9554973B2 (en) Micro-encapsulation of ozonated oils
CN105919909B (zh) 鸡蛋膜活性肽蚕丝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618321B1 (ko) 천연 성분 함유 마이크로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0088A (ko) 캡슐형 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60663A (ko) 물리적 혼합을 통해 순간적으로 색상이 변하는 층 분리형 화장료 조성물
KR101650304B1 (ko) 시트형 팩용 클레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형 클레이 마스크 팩
JP2023105266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JPH08175932A (ja) ファンデーション化粧品
KR102076302B1 (ko) 제형 안정성이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마스크팩
JP2015214537A (ja) 発泡性皮膚外用剤
JP3600779B2 (ja) パウダー状化粧品
KR20070074005A (ko) 나무섬유 화장품 및 그 제조방법
JPH03287524A (ja) 入浴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