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241A - 패치 제제 - Google Patents

패치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241A
KR20130079241A KR1020120153146A KR20120153146A KR20130079241A KR 20130079241 A KR20130079241 A KR 20130079241A KR 1020120153146 A KR1020120153146 A KR 1020120153146A KR 20120153146 A KR20120153146 A KR 20120153146A KR 20130079241 A KR20130079241 A KR 20130079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patch formulation
formulation
patch
release 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로 아오야기
요시히로 이와오
겐스케 마츠오카
도모야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9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2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59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liner covering the skin adher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4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7053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olyisobutylene, polystyr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61K9/7076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the adhesive compris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rosin or other plant res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544Plasters form or structure
    • A61F2013/00646Medication patches, e.g. transcutaneo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를 둘러싼 주변부를 갖는 패치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패치 제제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상에 형성된 약물을 함유하는 접착제 층을 갖는 패치 제제 본체; 및 상기 접착제 층상에 적층된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부는 소정 영역을 갖고, 상기 소정 영역내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은 중앙부내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보다 크다.

Description

패치 제제{PATCH PREPARATION}
본 발명은 약물을 함유하는 접착제 층이 지지체의 한쪽 전체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고, 박리 라이너가 접착제 층의 전체 노출 표면을 커버하도록 접착제 층상에 적층된 패치 제제에 관한 것이다.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약물을 체내에 투여하기 위한 제제로는 예를 들어, 간을 통한 초회 통과로 인한 약물 대사 및 각종 부작용을 피할 수 있고 약물을 장기간동안 지속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경피 흡수 타입의 제제가 언급될 수 있다. 이중에 조제 작업이 용이하고 용량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 중에 약물을 함유하는 패치 제제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패치 제제는 직물, 플라스틱 필름 등으로 만들어진 지지체 및 지지체상에 적층된 약물을 함유하는 접착제 층으로 구성된 제제 본체, 및 제제 본체의 접착제 층상에 적층된 박리 라이너를 가지고 있다. 이들은 수지 필름 등과 같은 포장재로 제조된 패키지내에 제공된다.
최근 들어서는, 접착제 층내에 약물을 다량 함유하도록 더 두꺼운 접착제 층이 종종 사용된다. 최근 패치 제제의 다른 특성으로서, 피부에 접착시 부드러운 감촉을 향상시키거나, 떼어내는 동안 각질층 박리로 인한 피부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해 그 안에 다량의 액체 성분을 함유하는 접착제 층과 같은 부드러운 접착제 층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패치 제제에서는, 접착제 층이 두껍고 부드럽기 때문에, 패키지에서 패치 제제를 꺼낼 때 패치 제제의 단부가 패키지의 내면과 매우 빈번히 접촉된다. 그 결과, 박리 라이너로부터 제제 본체의 단부상에 있는 접착제 층 가장자리의 끝단부 들뜸(lifting), 즉 까짐 현상이 일어난다. 이에 따라, 노출된 접착제 층의 표면이 패키지의 내면 또는 작업자의 손에 붙어 꺼내기(taking-out) 성능 및 취급성을 현저히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이러한 패치 제제에서는 생산중 찍어 내는(punching out) 단계 및 포장 단계에서 상기 언급된 끝단부 들뜸이 쉽게 발생하여 때때로 수율을 저하시킨다.
상기 문제를 다룬 문헌의 예로는 JP-A-10-310108호 및 JP-A-6-199659호가 있다. JP-A-10-310108호에서는 약물-함유 접착제 층과 분리체 사이의 박리력을 특정 범위내에 들도록 설정하고, 약물-함유 접착 시트와 접촉하도록 지지체의 노출된 표면, 분리체의 노출된 표면 및 포장재의 적어도 한 내면상에 오목/볼록부를 형성하는 것에 대해 제안하였다. "분리체"는 "박리 라이너"와 동일한 의미이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함유 접착 시트는 전 표면에 걸쳐 박리력이 높기 때문에, 사용시 분리체에서 약물-함유 접착 시트를 떼어내는데 큰 힘이 들어 작업자에게 높은 부담을 전가하고 때때로 취급성을 떨어뜨린다.
JP-A-6-199659호는 중앙부에 접착제 층을 갖지 않으나 피부에 접착시 주변에서만 관여하는 압감 접착제 층을 가지는 경피 처리 장치(저장소 타입 경피 제제로 불림)에 대해 제안하였으며, 여기에서 제안한 특히 바람직한 양태는 약물용 백킹층, 약물 저장소 탱크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처리된 다공성 물질을 포함하는 약물 방출층, 약물 방출층의 약물 방출 표면 주변부상에 형성된 압감 접착제 층, 및 박리 라이너층으로 구성된 경피 처리 장치이다. 이같은 경피 처리 장치에서는, 접착력이 주변부에만 존재하고, 중앙부는 접착력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박리 라이너층을 떼어내는데 작은 힘이 필요하다. 피부에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장치의 실면적(이후, 종종 "실면적"으로 언급됨)이 약물 방출성으로 결정되는 장치의 유효 면적보다 커진다. 그 결과, 사용자(환자)의 사용감 등(접착감 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볼 때 환자의 QOL(삶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장치의 실면적이 크기 때문에, 장치를 포장하는데 큰 포장재가 필요해 재료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요
상기 언급된 상황에 비추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제제의 실면적이 약물 방출력에 필요한 제제의 유효 면적보다 크지 않아 패키지에서 제제를 꺼내고 사용하는 경우에 용이한 끝단부 들뜸을 방지하고 박리 라이너로부터 제제 본체가 쉽게 떼어질 수 있도록 하는 패치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찍어 내는 단계 및/또는 포장 단계에서 뿐만 아니라 패키지에서 제제를 꺼낼 때 용이한 끝단부 들뜸을 방지하고, 사용시 박리 라이너로부터 제제 본체가 쉽게 떼어질 수 있도록 하는 패치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 문제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언급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행하고 패치 제제의 중앙부를 둘러싼 주변부의 적어도 일 부분에서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을 중앙부내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보다 크게 하면 상기 언급된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을 제공한다.
[1] 중앙부 및 중앙부를 둘러싼 주변부를 갖는 패치 제제로서, 상기 패치 제제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상에 형성된 약물을 함유하는 접착제 층을 갖는 패치 제제 본체; 및 상기 접착제 층상에 적층된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부는 소정 영역을 갖고, 상기 소정 영역내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은 중앙부내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보다 큰 것인 패치 제제.
[2] 패치 제제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것인 [1]에 따른 패치 제제.
[3] 주변부가 네 코너 영역을 갖고, 소정 영역이 상기 네 코너 영역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2]에 따른 패치 제제.
[4] 주변부가 네 코너 영역을 갖고, 소정 영역이 상기 네 코너 영역중 두 대향 코너 영역의 한쌍인 것인 [2]에 따른 패치 제제.
[5] 주변부가 네 코너 영역을 갖고, 소정 영역이 상기 네 코너 영역인 것인 [2]에 따른 패치 제제.
[6] 주변부가 네 변을 갖고, 소정 영역이 상기 네 변중 한 변에 따른 영역인 것인 [2]에 따른 패치 제제.
[7] 주변부가 네 변을 갖고, 소정 영역이 상기 네 변중 두 대향 변의 각 한쌍에 따른 두 영역인 것인 [2]에 따른 패치 제제.
[8] 소정 영역이 주변 영역의 전체 영역인 것인 [1] 또는 [2]에 따른 패치 제제.
[9] 소정 영역의 박리력이 5 내지 500 mN/2 mm인 것인 [1] 내지 [8]중 어느 하나에 따른 패치 제제.
[10] 소정 영역의 박리력이 중앙부내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 보다 3 mN/2 mm 이상 큰 것인 [1] 내지 [9]중 어느 하나에 따른 패치 제제.
[11] 주변 영역의 폭이 0.5 내지 10 mm인 것인 [1] 내지 [10]중 어느 하나에 따른 패치 제제.
[12] 접착제 층의 두께가 10 내지 500 ㎛인 것인 [1] 내지 [11]중 어느 하나에 따른 패치 제제.
[13] 접착제 층이 유기 액체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1] 내지 [12]중 어느 하나에 따른 패치 제제.
[14] 박리 라이너가 패치 제제 본체의 접착제 층의 전체 노출 표면을 커버하는 것인 [1] 내지 [13]중 어느 하나에 따른 패치 제제.
[15] 박리 라이너의 단부가 패치 제제 본체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것인 [14]에 따른 패치 제제.
[16] 박리 라이너가 연속 절개선을 갖는 것인 [1] 내지 [15]중 어느 하나에 따른 패치 제제.
본 발명의 패치 제제에서, 주변부의 적어도 일 부분(즉, 주변부의 소정 영역) 내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은 중앙부내에서의 것보다 크다. 따라서, 패키지에서 패치 제제를 꺼낼 때 끝단부 들뜸이 방지됨으로써 패키지로부터 제제를 꺼내는 동안과 그 후에 패치 제제의 취급성 저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패치 제제의 생산중 찍어 내는 단계 및/또는 패치 제제의 포장 단계동안 끝단부 들뜸이 방지될 수 있어서 수율 저하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이 중앙부에서 작기 때문에, 패치 제제를 사용하는 중에 박리 라이너로부터 주변부상의 접착제 층을 떼어낸 후 박리 라이너를 손으로 그냥 뜯으면 접착제 층을 박리 라이너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이는 패치 제제의 접착 실행성 증가로 이어진다.
박리 라이너에 형성된 분할용 연속 절개선을 갖는 일 실시양태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이유로, 연속 절개선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손으로 그냥 뜯으면 패치 제제를 박리 라이너로부터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치 제제에서는, 약물을 함유하는 접착제 층이 지지체의 한쪽 전체 표면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제의 실면적이 제제의 유효 면적이어서 제제가 필요한 것보다 더 커지는 일이 방지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패치 제제의 일 실시양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패치 제제를 수용하는 패키지 내부의 부분도이다.
도 3은 도 2의 패키지로부터 패치 제제를 꺼내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A) - 도 4(E)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패치 제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1)은 지지체이고, (2)는 접착제 층이며, (3)은 제제 본체이고, (4)는 박리 라이너이며, (5)는 패치 제제이고, (5A)는 중앙부이고, (5B)는 주변부이며, (6)은 포장 필름이고, (7)은 컷아웃(cut-out) 부이며, (8)은 고 박리력부이고, (10)은 패키지이며, (41)은 연속 절개선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들어 설명하지만, 그의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 목적으로만 주어지는 것이며, 본 발명, 및 그의 적용 또는 용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패치 제제의 일 실시양태의 개략도로서, 도 1(A)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는 일 실시양태의 패치 제제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 (1)의 한쪽 전체 표면상에 형성된 약물을 함유하는 접착제 층 (2)로 구성되는 제제 본체 (3), 및 제제 본체 (3)의 접착제 층 (2)의 전체 노출 표면을 커버하도록 접착제 층 (2) 상에 적층된 박리 라이너 (4)의 적층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는 중앙부 (5A), 및 중앙부를 둘러싼 주변부 (5B)를 가지며, 여기에서 주변부 (5B)의 적어도 일 부분, 즉 주변부 (5B)의 소정 영역내 접착제 층 (2)와 박리 라이너 (4) 사이의 박리력은 중앙부 (5A)에서의 것보다 크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에서, "중앙부" 및 "주변부"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 제제의 평면 시각에서 중앙부 및 그를 둘러싼 주변부를 기반으로 한다. 도 1(A)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중앙부 (5A) 및 주변부 (5B)의 경계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었으며, 중앙부 (5A)를 주변부 (5B)와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중앙부 (5A) 및 주변부 (5B)를 각각 사선으로 나타내었다. 그러나, 실제 패치 제제는 이러한 경계선 및 사선이 없다.
일반적으로, 생산 후 패치 제제는 품질저하를 억제하고, 패치 제제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패키지내에 수용되고 선적되며, 사용시에 패키지에서 꺼내 사용하게 된다. 이는 본 발명의 패치 제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 또한 생산 후 패키지내에 수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패치 제제 (5)를 수용하는 패키지 (10)의 내부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패치 제제 (5)는 패키지 (10) 내에 수용되는데, 이때 패치 제제 (5)에서 서로 면한 포장 필름 (6)의 주변 단부가 밀봉된다. 도 3은 도 2의 패치 제제 패키지 (10)으로부터 패치 제제 (5)를 꺼내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패키지 (10)은 포장 필름을 열기 위한 두 컷아웃 부분 (7)을 가지는데, 포장 필름 (6)을 컷아웃 부분 (7)로부터 절단하여 패키지 (10)을 열고, 그 안에 있는 보여져 있는 패치 제제 (5)를 꺼내면 된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 (5)에서는, 주변부 (5B)내의 소정 영역(예를 들면, 하기 언급되는 도 4(A) - 도 4(E)에서 사선 영역 (8))에서 접착제 층 (2)와 박리 라이너 (4) 사이의 박리력이 중앙부 (5A)에서의 접착제 층 (2)와 박리 라이너 (4) 사이의 박리력보다 크기 때문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키지 (10)으로부터 패치 제제 (5)를 꺼내는 작업시에, 심지어 패치 제제 (5)의 단부가 패키지 (10)의 내면과 접촉할 때에도, 끝단부 들뜸, 즉, 박리 라이너 (4)로부터 제제 본체 (3)의 접착제 층 (2)의 단부가 들뜨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패키지 (10)으로부터 패치 제제 (5)를 꺼내는 실행성 저하 가능성 및 꺼낸 후 패치 제제 (5)의 취급성 저하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다. 또, 중앙부 (5A)에서 접착제 층 (2)와 박리 라이너 (4) 사이의 박리력이 작기 때문에 패치 제제의 사용중에, 박리 라이너 (4)로부터 주변부 (5B) 내 접착제 층 (2)를 떼어낸 후 박리 라이너 (4)를 손으로 그냥 뜯어 냄으로써 접착제 층 (2)를 박리 라이너 (4)로부터 쉽게 떼어낼 수 있음으로 해서, 접착 실행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 (5)에서, 주변부 (5B) 내 접착제 층 (2)와 박리 라이너 (4) 사이의 박리력은 중앙부 (5A) 내 접착제 층 (2)와 박리 라이너 (4) 사이의 박리력보다 주변부 (5B)의 일 부분, 또는 주변부 (5B) 전체에서 더 클 수 있다. 즉, 접착제 층 (2)와 박리 라이너 (4) 사이의 박리력이 중앙부 (5A)에서의 것보다 더 큰 주변부 (5B)의 소정 영역(이후 "고 박리력 영역"으로 언급되기도 한다)이 주변부 (5B)에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주변부 (5B)의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고 박리력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주변부 (5B)의 평면 면적의 적어도 2% 이상을 차지한다. 고 박리력 영역이 주변부 (5B)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경우, 주변부 (5B)의 고 박리력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접착제 층 (2)와 박리 라이너 (4) 사이의 박리력은 일반적으로 중앙부 (5A)에서의 것과 같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에서, 패치 제제의 크기는 약물을 함유하는 접착제 층 (2)가 지지체 (1)의 한쪽 전체 표면상에 형성된 제제 본체 (3)의 평면 면적으로 특정된다. 제제 본체 (3)의 평면 면적은 접착제 층 (2)에 함유될 약물의 종류, 접착제 층 (2)에 사용될 접착제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는 일반적으로는 1 내지 200 cm2이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 cm2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패치 제제 (5)에서, 제제 본체 (3)의 접착제 층 (2)의 전체 노출 표면을 커버하는 박리 라이너 (4)는 제제 본체 (3)과 동일한 평면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박리 라이너 (4)는 그의 평면 크기가 제제 본체 (3) 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박리 라이너 (4)의 단부가 제제 본체 (3)의 완전한 외주에 걸쳐서 제제 본체 (3)의 단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거나, 또는 제제 본체 (3)의 외주의 일부에서 돌출될 수 있다. 박리 라이너의 평면 크기가 제제 본체보다 큰 경우, 제제 본체의 외주에 돌출된 박리 라이너의 일부를 손으로 잡고 있을 수 있어 패치 제제의 사용동안 박리 라이너로부터 접착제 층(제제 본체)의 제거가 용이할 수 있다.
박리 라이너 단부의 돌출 길이(제제 본체의 단부로부터의 돌출 길이)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너무 길면 패키지로부터 패치 제제를 취하는 실행성이 떨어질 수 있다. 실행성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패키지 크기를 증가시키면 패키지 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박리 라이너 단부의 돌출 길이(제제 본체의 단부로부터의 돌출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10 mm이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에서, 중앙부 (5A) 내 접착제 층 (2)와 박리 라이너 (4) 사이의 박리력은 기본적으로는 전체 중앙부 (5A)에서의 것과 같으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주변부 (5B)가 고 박리력 영역을 갖고 있는 경우에 조차도, 중앙부 (5A) 내 접착제 층 (2)와 박리 라이너 (4) 사이의 박리력이 너무 작으면(특히 박리 라이너가 분리용 절개선을 갖고, 패치 제제가 외부 응력 등으로 접혀지는 경우), 중앙부 (5A) 내 제제 본체 (3)으로부터 박리 라이너 (4)의 용이한 분리가 우려된다. 따라서, 중앙부 (5A) 내 접착제 층 (2)와 박리 라이너 (4) 사이의 박리력은 바람직하게는 2 mN/2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mN/2 mm 이상이다. 패치 제제의 사용동안 박리 라이너 (4)로부터 제제 본체 (3)의 분리 실행성을 고려하여, 박리력은 바람직하게는 60 mN/2 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mN/2 mm 이하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치 제제에서 주변부 (5B)는 패치 제제(제제 본체)의 측면을 따라 소정 폭을 갖는 밴드형 부분이다(이때 "밴드형"은 도 1(A)의 평면 시각에서의 형상이다). 그의 폭(도 1에서 W1)은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패치 제제의 끝단부 들뜸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0.5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상 1 mm이다. 주변부 (5B) 폭이 너무 크면, 주변부 (5B) 내 접착제 층 (2)가 패치 제제의 사용동안 박리 라이너 (4)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1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 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주변부 (5B) 내 고 박리력 영역의 박리력은 바람직하게는 5 mN/2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 mN/2 mm 이상,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 mN/2 mm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mN/2 mm 이상이다. 고 박리력 영역내에 박리력이 너무 높으면, 패치 제제의 사용동안 박리 라이너로부터 제제 본체를 떼어 내는데 힘이 너무 들어 사용자에 부담을 안길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고 박리력 영역의 박리력은 바람직하게는 500 mN/2 mm 이하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기 위해, 고 박리력 영역의 박리력은 중앙부 (5A) 내 접착제 층 (2)와 박리 라이너 (4) 사이의 박리력보다 바람직하게는 3 mN/2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N/2 mm 이상 크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에서, 접착제 층 (2)의 두께는 접착제 층 (2) 내에 함유될 약물의 종류, 접착제 층 (2)에 사용될 접착제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되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이는 일반적으로, 10 내지 500 ㎛이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0 ㎛이다. 그 두께가 10 ㎛ 미만이면, 피부에 대한 접착성이 충분치 않을 수 있다. 두께가 500 ㎛를 초과하면, 접착성 향상이 최고 한도를 넘을 수 있고 재료 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 접착제 층 (2)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제제 본체의 전체 표면에 걸쳐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주변부내 접착제 층의 두께는 중앙부 (5A) 내 접착제 층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본원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소정 두께(목적치)에 대한 두께 변동이 소정 두께의 ±25% 범위내임을 의미한다. 주변부 (5B) 내 접착제 층 (2)의 두께를 중앙부 (5A) 내 접착제 층 (2)의 두께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패키지로부터 패치 제제의 꺼내기 성능이 더욱 향상된다.
접착제 층 (2)는 약물 및 중합체를 함유하는 층형 구조이며, 주변 온도(25℃)에서 접착성을 나타낸다.
접착제 층내에 함유되는 중합체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그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중합체를 포함한 아크릴 중합체; 고무 중합체, 예컨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 등; 실리콘 중합체, 예컨대 실리콘 고무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실록산계 실리콘 고무, 디페닐실록산계 실리콘 고무) 등; 비닐알킬에테르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메틸에테르), 폴리(비닐에틸에테르), 폴리(비닐이소부틸에테르) 등; 비닐에스테르 중합체, 예컨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등; 카복실산 성분으로 구성된 에스테르 중합체, 예컨대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디메틸프탈레이트 등 및 다가 알콜 성분,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등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로서는 주 성분으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및 작용성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단량체 성분을 50 - 99 wt%(바람직하게는 60 - 95 wt%) 포함하고 단량체 성분의 잔량이 작용성 단량체인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때 주 성분이란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성분의 총 중량의 50 wt% 이상의 비율로 함유된 단량체 성분을 의미한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이후 주 성분 단량체로 언급되기도 한다)는 일반적으로 알킬기가 4 내지 13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기인 것이다. 그의 예로는 선형 알킬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운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 아크릴레이트 등; 분지쇄 알킬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예컨대 sec-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프로필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프로필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1종 이상이 사용된다.
작용성 단량체는 분자내에 공중합 반응에 관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불포화 이중결합 및 측쇄상에 작용기를 가진다. 그의 예로는 카복실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등, 하이드록실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설포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스티렌 설폰산, 알릴 설폰산, 설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 나프탈렌설포네이트,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설폰산 등; 아미노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2-(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1-(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2-(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1-(tert-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tert-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아미드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메트)아크릴아미드, N-비닐아세트아미드 등; 알콕실기-함유 단량체, 예컨대 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 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렌 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렌 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작용성 단량체의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중에서, 접착제 층의 압감 접착성, 부착성, 접착제 층에 함유된 약물의 방출성 등의 측면으로 볼 때 카복실기-함유 단량체가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크릴 중합체로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주 성분 단량체) 및 작용성 단량체의 상기 언급된 공중합체와 다른 단량체를 추가 공중합시켜 얻은 것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N-비닐-2-피롤리딘, 비닐피리딘(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N-비닐피페리돈, 비닐피리미딘(2-비닐피리미딘, 4-비닐피리미딘), 비닐피페라진, N-비닐피롤, N-비닐이미다졸, N-비닐-ε-카프로락탐, 비닐옥사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단량체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주 성분 단량체) 및 작용성 단량체의 총 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약 0 - 4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 30 wt%이다.
아크릴 중합체로는, 사람 피부에 대해 우수한 접착성을 이룰 수 있고, 탈착을 용이하게 반복할 수 있기 때문에,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로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N-비닐-2-피롤리돈의 삼원중합체가 바람직하고,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및 N-비닐-2-피롤리돈을 40 - 99.9:0.1 - 10:0 - 50의 중량비로 공중합시켜 얻은 공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고무 중합체로는, 폴리이소부틸렌, 폴리이소프렌 및 스티렌-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등)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주 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높은 약물 안정성, 및 필요한 접착력 및 부착 강도를 동시에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점도 평균분자량이 500,000 - 2,100,000인 고분자량-폴리이소부틸렌과 점도 평균분자량이 10,000 - 200,000인 저분자량-폴리이소부틸렌의 95:5 - 5:95 중량비의 고무 중합체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도 평균 분자량은, 20℃에서 우베로드(Ubbelohde) 점도계의 모세관 플로우 시간으로부터 슐츠-블라쉬케(Schulz-Blaschke) 방정식에 의해 슈타우딩거 인덱스(Staudinger Index)(Jo)를 산출하고, 이 Jo 값을 하기 식에 대입하여 구한다.
[식 1]
J0sp/{c(1+0.31ηsp)} (슐츠-블라쉬케 방정식)
ηsp=t/t0-1
t: 용액의 플로우 시간(하겐바흐-쿠테(Hagenbach-couette) 보정에 따름)
to: 용매의 플로우 시간(하겐바흐-쿠테 보정에 따름)
c: 용액의 농도(g/cm3)
J0=3.06×10-2 Mv0.65
Mv: 점도 평균 분자량
고무 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변 온도에서 접착제 층 (2)에 충분한 접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접착제 층 (2)에 점착부여제를 추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부여제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의 예로는 석유 수지(예를 들면, 방향족 석유 수지, 지방족 석유 수지 등), 테르펜 수지, 로진 수지, 쿠마론 인덴 수지, 스티렌 수지(예를 들면, 스티렌 수지, 폴리(α-메틸스티렌) 등), 수소화 석유수지(예를 들면, 지환식 포화 탄화수소 수지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중에서, 약물의 보존 안정성이 좋기 때문에, 지환식 포화 탄화수소 수지가 바람직하다. 1종 이상의 점착부여제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점착부여제의 양은 고무 중합체의 총 중량에 대해 일반적으로 33 - 300 wt%, 바람직하게는 50 - 200 wt%이다.
접착제 층 (2)에 함유되는 약물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포유동물, 예컨대 사람에 피부를 통해 투여될 수 있는 경피적으로 흡수가능한 약물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약물의 예로서는 구체적으로, 전신 마취제, 진정 수면제, 항경련제, 해열진통소염제, 항어지럼제, 정신신경증약, 중추신경계 약물, 국소 마취제, 골격근 이완제, 자율신경약, 항연축약, 항파킨슨증후군약, 항히스타민약, 강심제, 부정맥약, 이뇨제, 저혈압약, 혈관수축제, 관상혈관확장제, 말초혈관확장제, 동맥경화증약, 순환기 약, 호흡촉진약, 진해거담제, 호르몬 약물, 회농성 질환용 외용약, 진통-진양-수렴-소염약, 기생성 피부 질환용 약, 지혈용약, 통풍 치료약, 당뇨병약, 항악성 종양제, 항생제, 화학요법제, 마약, 금연보조제 등을 들 수 있다.
약물은 접착제 층중에 질환, 병태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데 목적하는 결과(예를 들어,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즉, 유효량)으로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약물의 유효량이란, 예를 들어, 혈중 약물의 농도를 독성 수준보다 낮게 제공하고 소정 기간에 걸쳐 선택한 효과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약물의 양을 의미한다. 이러한 양은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접착제 층중의 약물의 양은 경피적으로 흡수가능한 약물의 효과를 제공하고, 접착제의 접착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함유량은 전체 접착제 층에 대해 0.1 - 60 wt%, 바람직하게는 0.5 - 40 wt%이다. 이 양이 0.1 wt% 미만이면, 치료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고, 60 wt%를 초과하면 접착제 층을 구성하는 접착제의 함량이 작아져 충분한 피부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경제적으로 불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접착성 조정, 약물의 경피 흡수 촉진 등을 위해, 접착제 층 (2)는 유기 액체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유기 액체 성분은 실온(25℃)에서 액체이고, 접착제 층을 가소화하는 유기 화합물이다. 그의 예로는 글리콜,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등; 지방 및 오일, 예컨대 올리브유, 피마자유, 스쿠알렌, 라놀린 등; 유기 용매,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알콜, 디메틸데실 설폭시드, 메틸옥틸 설폭시드, 디메틸 설폭시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도데실피롤리돈, 이소소르비톨 등; 액체 계면활성제; 가소제, 예컨대 옥틸도데칸올, 디이소프로필아디페이트, 프탈산 에스테르, 디에틸세바케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시트르산 트리부틸 등; 탄화수소, 예컨대 액체 파라핀 등; 에톡실화 스테아릴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롤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가 12 - 16,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 14)의 고급 지방산 및 탄소수가 바람직하게는 1 - 4인 저급 1가 알콜로 이루어진 지방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탄소수 12 - 16의 고급 지방산의 예에는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등이 포함되며, 탄소수가 1 - 4인 저급 1가 알콜의 예에는 메틸 알콜, 에틸 알콜, 프로필 알콜, 이소프로필 알콜 등이 포함된다. 또한, 글리세롤산 에스테르로서는, 글리세롤 중쇄(탄소수 8 - 12) 지방산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고, 모노글리세리드, 디글리세리드 및 트리글리세리드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1종 이상의 유기 액체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 층 (2) 중 유기 액체 성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접착제 층의 5 - 6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50 wt%이다. 그 함량이 5 wt% 미만이면, 접착제 층이 충분히 가소화되지 않을 수 있고, 우수한 부드러운 감촉이 얻어지지 않을 수 있거나, 또는 피부 자극이 충분히 저하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함량이 60 wt%를 초과하면, 접착제가 소유하는 부착 강도에 의해서도 유기 액체 성분이 접착제중에 유지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표면 접착제 층상에 블루밍(blooming)을 야기하여 사용동안 피부 표면으로부터 제제의 감퇴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층은 조사선, 예컨대 자외선, 전자빔 조사선 등에 의한 물리적 가교화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예컨대 삼작용성 이소시아네이트 등 및 다양한 가교제, 예컨대 유기 과산화물, 유기 금속 염, 금속 알콜레이트, 금속 킬레이트 화합물, 다작용성 화합물(다작용성 외부 가교제, 또는 다작용성 내부 가교성 단량체, 예컨대 디아크릴레이트, 디메타크릴레이트 등) 등에 의한 화학적 가교화로 적용되어 가교된 접착제 층을 제공할 수 있다. 그의 겔 상태로 인한 적절한 피부 접착성 및 제거시 접착제 잔류물을 남기지 않는 부착성을 가지기 때문에, 유기 액체 성분을 함유하는 가교화된 접착제 층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에서 지지체 (1)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단일 필름, 예컨대 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 나일론, 사란(saran)(상표명),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이오노머 수지 등, 금속박, 또는 이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필름의 적층 필름 등이 있다. 접착제 층에 대한 지지체의 접착성(고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지체는 상기 언급된 물질로 이루어진 비다공성 필름 및 후술하는 다공성 필름의 적층 필름일 수 있으며, 접착제 층은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필름 쪽에 형성된다.
접착제 층에 대한 고정성을 향상시키는 한 다공성 필름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종이, 직물, 부직포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 부직포 등), 상기 언급된 필름(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 나일론, 사란(상표명),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이오노머 수지 등의 단일 필름, 금속박, 및 1종 이상의 이들 등을 적층시킨 적층 필름) 등이 언급될 수 있다. 특히, 종이, 직물 및 부직포(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 등)이 지지체에 가요성을 제공하기에 바람직하다. 다공성 필름, 예를 들어, 직물 또는 부직포가 사용되는 경우, 그의 중량은 고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5 - 30 g/m2이다.
지지체로서 적층 필름은 적층 필름의 공지 제조방법, 예컨대 건식 적층 방법, 습식 적층 방법, 압출 적층 방법, 핫멜트 적층 방법, 공압출 적층 방법 등으로 제조된다.
지지체의 두께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2 - 200 ㎛이 바람직하고, 10 - 50 ㎛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 두께가 2 ㎛ 미만이면, 적용동안 제제 본체 (3)이 강도, 취급성을 잃게 되고, 접착 가공성 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그 두께가 200 ㎛을 초과하면, 느낌이 불쾌해(딱딱한 느낌) 추종성(followability)을 종종 떨어뜨린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에서 박리 라이너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폴리에스테르(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등의 플라스틱 필름, 종이, 예컨대 상질지, 글라신지 등,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이 적층되고 각각 실리콘 이형제, 불소 이형제 등의 도포로 박리 처리된 적층 필름 등이 사용된다.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 ㎛ - 200 ㎛, 바람직하게는 50 ㎛ - 150 ㎛이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에서, 주변부의 소정 영역에서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을 중앙부에서의 것보다 크게 고정시키는 방법(즉, 주변부의 고 박리력 영역을 형성하는 방법)은 (I) 주변부의 소정 영역과 중앙부 간 박리 라이너의 표면 특성을 변경하는 방법, 및 (II) 주변부의 소정 영역과 중앙부 간 접착제 층의 표면 특성을 변경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주변부의 소정 영역과 중앙부 간 박리 라이너의 표면 특성을 변경하는 방법 (I)로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방법을 들 수 있다.
(1) 박리 라이너의 제조 단계에서, UV 경화성 실리콘 이형제 용액을 기재 필름(예를 들면, PET 필름)의 전체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나중에 얻을 패치 제제의 중앙부에 상응하는 박리 라이너의 일부와 주변부의 소정 영역 사이에 UV 조사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실리콘 이형제의 경화 정도를 변경한다.
(2) 박리 라이너의 제조 단계에서, 열경화성 실리콘 이형제 용액을 기재 필름(예를 들면, PET 필름)의 전체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나중에 얻을 패치 제제의 중앙부에 상응하는 박리 라이너의 일부와 주변부의 소정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 사이에 가열 온도 또는 가열 시간을 변화시킴으로써 실리콘 이형제의 경화 정도를 변경한다.
(3) 박리 라이너에서, 나중에 얻을 패치 제제의 중앙부에 상응하는 박리 라이너의 일부를 저박리력을 가지는 이형제로 코팅하고, 주변부의 소정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을 고박리력을 가지는 이형제로 코팅하거나, 또는 이형제로 코팅하지 않는다.
(4) 박리 라이너에서, 나중에 얻을 패치 제제의 주변부의 소정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의 이형제를 금속편 등으로 마멸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제거한다.
(5) 박리 라이너에서, 나중에 얻을 패치 제제의 주변부의 소정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을 가열 다이 등으로 압축하여 이형제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떨어낸다.
(6) 고박리력을 갖는 박리 라이너 및 저박리력을 갖는 박리 라이너를 제조하고, 저박리력을 갖는 박리 라이너를 고박리력을 갖는 박리 라이너의 영역 위에만 적층한 뒤, 고정시키는데, 이는 나중에 얻을 패치 제제의 중앙부에 해당한다.
(7) 박리 라이너에서, 나중에 얻을 패치 제제의 주변부의 소정 영역에 상응하는 영역을 열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처리하여 박리 라이너의 이형제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 떨어낸다.
주변부의 소정 영역과 중앙부 간 접착제 층의 표면 특성을 변경하는 방법 (II)로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방법을 들 수 있다.
(1) 나중에 얻을 패치 제제의 중앙부가 될 일부를 저박리력을 갖는 접착제 층으로 코팅하고, 주변부의 소정 영역이 될 영역을 고박리력을 갖는 접착제 층으로 코팅한다.
(2) 패치 제제의 박리 라이너를 떼어내고, 패치 제제의 중앙부가 될 영역과 주변부의 소정 영역이 될 영역 사이에서 접착제 층에 적용되는 가교제의 농도를 변화시켜 중앙부와 주변부의 소정 영역 사이에서 접착제 층의 가교도를 변경시킨다.
(3) 저박리력을 갖는 접착제 층을 패치 제제의 전체 표면상에 형성하고, 고박리력을 갖는 접착제 층을 중앙부가 될 영역을 제외한 패치 제제의 접착제 층상에 적층한다.
(4) 고박리력을 갖는 접착제 층을 패치 제제의 전체 표면상에 형성하고, 적당량의 분말(예를 들면, 무기 입자, 예컨대 백색 탈크 등, 유기 입자, 예컨대 크로스포비돈(폴리비닐피롤리돈) 등 등)을 패치 제제의 접착제 층의 중앙부가 될 영역위에만 적용하여 중앙부의 박리력만 저하시킨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의 평면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패치 제제 (5)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탄원형, 원형 등의 평면 형상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및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은 그의 코너 영역이 직각을 이루지 않고 둥근 형태를 이루는 형상을 의미한다. 패치 제제의 취급성, 패치 제제의 제조를 위한 찍어 내는 단계의 수율 향상 등을 고려하여, 패치 제제의 평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리 라이너 (4)는 소정 위치에 연속 절개선을 가질 수 있다. 박리 라이너 (4)가 연속 절개선을 가지는 경우, 패치 제제는 그 부분을 뜯음으로써 박리 라이너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떼어질 수 있다. 즉, 패치 제제는 연속 절개선으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손으로 그냥 뜯음으로써 박리 라이너로부터 용이하게 떼어질 수 있다.
도 4(A) - 4(E)는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인 본 발명의 패치 제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나타낸다. 도면은 박리 라이너 측의 평면 시각을 나타내고, 여기에서, 사선 부분은 주변부 (5B)에 형성되었고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이 중앙부 (5A) 에서 것보다 크다는 것을 보여주는 소정 영역(고 박리력 영역) (8)이다. 모든 실시양태에서, 박리 라이너 (4)는 연속 절개선 (41)을 가진다.
도 4(A)는 주변부 (5B)의 전체 영역이 고 박리력 영역인 실시양태(제1 실시양태)이고, 도 4(B)는 주변부 (5B)의 네 변중 한 변을 따른 영역이 고 박리력 영역인 실시양태(제2 실시양태)이며, 도 4(C)는 주변부 (5B)의 네 코너 영역이 고 박리력 영역인 실시양태(제3 실시양태)이고, 도 4(D)는 주변부 (5B)의 네 변중 두 대향 변의 한쌍을 따른 영역이 고 박리력 영역을 가지는 실시양태(제4 실시양태)이며, 도 4(E)는 주변부 (5B)의 네 코너 영역으로부터 두 대향 코너 영역의 한쌍을 따른 영역이 고 박리력 영역인 실시양태(제5 실시양태)이다. 모든 실시양태에서, 주변부 (5B) 내 고 박리력 영역 (8) 이외의 영역은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이 중앙부 (5A)의 것과 동일하다.
이후 실시예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5개의 실시양태는 패키지로부터 우수한 꺼내기 성능 및 접착 작업동안 박리 라이너의 용이한 떼어짐성을 나타내었다.
패치 제제의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경우, 끝단부 들뜸은 특히 코너 영역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5 실시양태중 임의의 것에서, 주변부내 적어도 두 코너 영역은 고 박리력 영역이다.
패키지 (10)에 형성된 컷아웃부 (7)의 위치에 따라, 패키지의 개방 위치가 결정되고(도 3 참조), 패키지에서 패치 제제를 꺼내는 방향이 제한된다. 끝단부 들뜸은 네 코너 영역중 단 하나만이 고 박리력 영역인 실시양태보다는 두 대향 코너 영역이 고 박리력 영역인 도 4(E)의 실시양태, 및 네 변중 한 변(두 코너 영역 포함)이 고 박리력 영역인 도 4(B)의 실시양태에 의해 한층 틀림없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네 코너 영역이 고 박리력 영역인 도 4(C)의 실시양태, 및 두 대향 변(네 코너 영역 포함)의 한쌍이 고 박리력 영역인 도 4(D)의 실시양태는 패키지로부터 패치 제제를 꺼내는 방향에 영향없이 끝단부 들뜸을 틀림없이 방지할 수 있으며, 주변부의 전체 영역이 고 박리력 영역인 도 4(A)의 실시양태는 끝단부 들뜸을 한층 틀림없이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A)의 실시양태에서는, 박리 라이너의 떼어짐 용이성이 다소 떨어진다.
소정 평면 형상을 가지는 패치 제제는 일반적으로 박리 라이너용 기재 필름/접착제 층/지지체용 기재 필름의 적층 구성을 가지는 적층체를 제조하고, 이 적층체를 찍어내는 가공에 적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 제제의 제조시, 주변부의 소정 영역내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이 중앙부에서의 것보다 더 큰 적층 패치 제제가 적층체로 형성되어 적층체를 찍어 내는 단계에서 끝단부 들뜸이 방지된다. 또한, 찍어서 얻은 각 패치 제제를 각 패키지에 넣는 작업동안 패치 제제와 패키지 내면의 접촉으로 인한 끝단부 들뜸도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수율 저하를 피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패치 제제가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경우, 주변부의 적어도 네 코너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고 박리력 영역이어서 찍어 내는 단계 및/또는 포장 단계에서 끝단부 들뜸이 방지된다. 따라서, 주변부의 전체가 고 박리력 영역인 도 4(A)의 실시양태, 네 코너 영역이 고 박리력 영역인 도 4(C)의 실시양태 및 네 변중 두 대향 변의 한쌍을 따른 영역이 고 박리력 영역인 도 4(D)의 실시양태가 바람직하다.
< 제제 본체의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 측정 방법>
본 발명의 패치 제제의 제제 본체와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 측정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폭 2 mm인 임의 길이의 밴드형 시험편을 패치 제제로부터 제조하였다. 즉, 패치 제제를 그의 두께 방향(적층체의 적층 방향)으로 절단하고, 필요에 따라 보조지를 부착하여 밴드형 시험편(폭 2 mm×길이 50 mm)을 제공하였다. 세로 방향으로 시험편 한쪽 끝에서, 약 5 mm를 박리 라이너 단부로부터 박리하고 180o 각으로 뒤로 접고 보조지(폭 5 mm)를 부착하여 길이를 연장하였다.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상부 걸쇠(upper clasp)로 보조지의 한쪽 끝을 잡고, 하부 걸쇠(lower clasp)로 박리 라이너와 백킹용 플레이트(예를 들면, Bakelite(상표명) 플레이트)를 잡은 뒤, 접착 시트를 23℃±2℃, 50±10%RH의 분위기하에서 300 mm/분으로 180o 방향으로 연속 박리하고,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나,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실시예 1
<접착제 층 형성 조성물의 제제>
고분자량(점도 평균분자량 820,000)의 폴리이소부틸렌 1, 저분자량(점도 평균분자량 55,000)의 폴리이소부틸렌 2, 점착부여제(지환식 포화 탄화수소 수지, 연화점 100℃(환구법)), 유기 액체 성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및 약물(툴로부테롤(tulobuterol))을 톨루엔의 존재하에 26:28:26:15: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접착제 층 형성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접착 시트의 제제>
상기 언급된 조성물을 박리가 용이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후 PET로 약기) 박리 라이너(두께 75 ㎛) 표면에 건조 후 접착제 층의 두께가 200 ㎛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 오븐에서 건조시켜(100℃, 5 분) 접착제 층을 갖는 박리 라이너를 제공하였다. 접착제 층을 갖는 표면을 지지체인 2 ㎛-두께의 PET 필름 및 PET 부직포(직물 중량 12 g/m2)로 구성된 적층체(총 두께: 약 35 ㎛)의 PET 부직포 표면상에 압축-결합으로 적층하여 접착 시트를 제공하였다.
<박리 라이너의 교체 및 찍어냄>
나중에 제조되는 (정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상기의 것과 상이한 PET 박리 라이너(두께 75 ㎛)의 한 영역(폭 2 mm) 상의 이형제를 금속편으로 문질러 완전히 제거하고,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두 대향 변의 중간점이 연결되도록 파선형 절단부를 박리 라이너상에 형성하였다. 상기 언급된 접착 시트에 부착된 박리 라이너를 떼어내고, 접착 시트의 접착제 층이 형성된 표면에다가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영역상의 이형제가 완전히 제거된 상기 언급된 박리가 용이한 PET 박리 라이너 표면을 부착하였다. 접착 시트를 톰슨날(Thompson blade)(60 mm×60 mm 정사각형)을 이용하여 찍어내 도 4(A)의 외관을 지니는 실시예 1의 패치 제제를 제공하였다. 주변부는 4.6 cm2이고, 주변부내 고 박리력 영역의 비율(면적비)은 100%이었다.
실시예 2
<접착제 층 형성 조성물의 제제>
실시예 1과 유사한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접착 시트의 제제>
접착 시트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득하였다.
<박리 라이너의 교체 및 찍어냄>
나중에 제조되는 (정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상이한 PET 박리 라이너(두께 75 ㎛)의 영역(폭 2 mm)에서 네 변중 한 변을 따른 영역의 이형제를 금속편으로 문질러 제거하고,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두 대향 변의 중간점이 연결되도록 파선형 절단부를 박리 라이너상에 형성하였다. 상기 언급된 접착 시트에 부착된 박리 라이너를 떼어내고, 접착 시트의 접착제 층이 형성된 표면에다가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네 변중 한 변을 따른 영역의 이형제가 완전히 제거된 상기 언급된 박리가 용이한 PET 박리 라이너 표면을 부착하였다. 접착 시트를 톰슨날(60 mm×60 mm 정사각형)을 이용하여 찍어내 도 4(B)의 외관을 지니는 실시예 2의 패치 제제를 제공하였다. 주변부내 고 박리력 영역의 비율(면적비)은 25%이었다.
실시예 3
<접착제 층 형성 조성물의 제제>
실시예 1과 유사한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접착 시트의 제제>
접착 시트를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득하였다.
<박리 라이너의 교체 및 찍어냄>
나중에 제조되는 (정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상이한 PET 박리 라이너(두께 75 ㎛) 영역(폭 2 mm)의 네 코너 영역의 이형제를 금속편으로 문질러 제거하고,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두 대향 변의 중간점이 연결되도록 파선형 절단부를 박리 라이너상에 형성하였다. 상기 언급된 접착 시트에 부착된 박리 라이너를 떼어내고, 접착 시트의 접착제 층이 형성된 표면에다가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네 코너 영역의 이형제가 완전히 제거된 상기 언급된 박리가 용이한 PET 박리 라이너 표면을 부착하였다. 접착 시트를 톰슨날(60 mm×60 mm 정사각형)을 이용하여 찍어내 도 4(C)의 외관을 지니는 실시예 3의 패치 제제를 제공하였다. 주변부내 고 박리력 영역의 비율(면적비)은 10%이었다.
실시예 4
<접착제 층 형성 조성물의 제제>
중합체량의 폴리이소부틸렌 1(점도 평균분자량 820,000), 저분자량 폴리이소부틸렌 2(점도 평균분자량 55,000), 점착부여제(지환식 포화 탄화수소 수지, 연화점 100℃(환구법)), 유기 액체 성분 1(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유기 액체 성분 2(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도데실에테르) 및 약물(툴로부테롤)을 톨루엔의 존재하에 26:23:26:19: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접착제 층 형성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접착 시트의 제조>
상기 언급된 조성물을 박리가 용이한 PET 박리 라이너(두께 75 ㎛) 표면에 건조 후 접착제 층의 두께가 200 ㎛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 오븐에서 건조시켜(100℃, 5 분) 접착제 층을 갖는 박리 라이너를 제공하였다. 접착 표면(위에 접착제 층이 형성된 표면)을 2 ㎛-두께의 PET 필름 및 PET 부직포(직물 중량 12 g/m2)로 구성된 적층체(총 두께: 약 35 ㎛)의 PET 부직포 표면상에 압축 부착하여 접착 시트를 제공하였다.
<박리 라이너의 교체 및 찍어냄>
나중에 제조되는 (정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상이한 PET 박리 라이너(두께 75 ㎛)의 전체 영역(폭 2 mm)의 이형제를 금속편으로 문질러 제거하고,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두 대향 변의 중간점이 연결되도록 파선형 절단부를 박리 라이너상에 형성하였다. 상기 언급된 접착 시트에 부착된 박리 라이너를 떼어내고, 접착 시트의 접착제 층이 형성된 표면에다가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전체 영역의 이형제가 제거된 상기 언급된 박리가 용이한 PET 박리 라이너 표면을 부착하였다. 접착 시트를 톰슨날(60 mm×60 mm 정사각형)을 이용하여 찍어내 도 4(A)의 외관을 지니는 실시예 4의 패치 제제를 제공하였다. 주변부내 고 박리력 영역의 비율(면적비)은 100%이었다.
실시예 5
<접착제 층 형성 조성물의 제제>
실시예 4와 유사한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접착 시트의 제제>
접착 시트를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득하였다.
<박리 라이너의 교체 및 찍어냄>
나중에 제조되는 (정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상이한 PET 박리 라이너(두께 75 ㎛) 영역(폭 2 mm)의 네 변으로부터 한쌍의 두 대향 변의 각 변을 따른 영역의 이형제를 금속편으로 문질러 제거하고,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두 대향 변의 중간점이 연결되도록 파선형 절단부를 박리 라이너상에 형성하였다. 상기 언급된 접착 시트에 부착된 박리 라이너를 떼어내고, 접착 시트의 접착제 층이 형성된 표면에다가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영역의 네 변으로부터 두 대향 변 쌍의 각 변을 따른 영역의 이형제가 제거된 상기 언급된 박리가 용이한 PET 박리 라이너 표면을 부착하였다. 접착 시트를 톰슨날(60 mm×60 mm 정사각형)을 이용하여 찍어내 도 4(D)의 외관을 지니는 실시예 5의 패치 제제를 제공하였다. 주변부내 고 박리력 영역의 비율(면적비)은 51%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4와 유사한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접착 시트의 제제>
접착 시트를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득하였다.
<박리 라이너의 교체 및 찍어냄>
나중에 제조되는 (정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상이한 PET 박리 라이너(두께 75 ㎛)의 영역(폭 2 mm)에서 대각선상에 위치한 두 코너 영역의 이형제를 금속편으로 문질러 제거하고,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두 대향 변의 중간점이 연결되도록 파선형 절단부를 박리 라이너상에 형성하였다. 상기 언급된 접착 시트에 부착된 박리 라이너를 떼어내고, 접착 시트의 접착제 층이 형성된 표면에다가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대각선상에 위치한 두 코너 영역의 이형제가 제거된 상기 언급된 박리가 용이한 PET 박리 라이너 표면을 부착하였다. 접착 시트를 톰슨날(60 mm×60 mm 정사각형)을 이용하여 찍어내 도 4(E)의 외관을 지니는 실시예 6의 패치 제제를 제공하였다. 주변부내 고 박리력 영역의 비율(면적비)은 5%이었다.
실시예 7
<접착제 층 형성 조성물의 제제>
고분자량(점도 평균분자량 820,000)의 폴리이소부틸렌 1, 저분자량(점도 평균분자량 55,000)의 폴리이소부틸렌 2, 점착부여제(지환식 포화 탄화수소 수지, 연화점 100℃ (환구법)), 유기 액체 성분 1(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유기 액체 성분 2(테트라에틸렌글리콜 모노도데실에테르) 및 약물(툴로부테롤)을 톨루엔의 존재하에 26:23:26:18:2: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접착제 층 형성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접착 시트의 제제>
상기 언급된 조성물을 박리가 용이한 PET 박리 라이너(두께 75 ㎛) 표면에 건조 후 접착제 층의 두께가 200 ㎛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 오븐에서 건조시켜(100℃, 5 분) 접착제 층을 갖는 박리 라이너를 제공하였다. 접착제 층을 갖는 표면을 지지체인 2 ㎛-두께의 PET 필름 및 PET 부직포(직물 중량 12 g/m2)로 구성된 적층체(총 두께: 약 35 ㎛)의 PET 부직포 표면상에 압축-결합으로 적층하여 접착 시트를 제공하였다.
<박리 라이너의 교체 및 찍어냄>
나중에 제조되는 (정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상이한 PET 박리 라이너(두께 75 ㎛)의 전체 영역(폭 2 mm)의 이형제를 금속편으로 문질러 제거하고,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두 대향 변의 중간점이 연결되도록 파선형 절단부를 박리 라이너상에 형성하였다. 상기 언급된 접착 시트에 부착된 박리 라이너를 떼어내고, 접착 시트의 접착제 층이 형성된 표면에다가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전체 영역의 이형제가 제거된 상기 언급된 박리가 용이한 PET 박리 라이너 표면을 부착하였다. 접착 시트를 톰슨날(60 mm×60 mm 정사각형)을 이용하여 찍어내 도 4(A)의 외관을 지니는 실시예 7의 패치 제제를 제공하였다. 주변부내 고 박리력 영역의 비율(면적비)은 100%이었다.
실시예 8
<접착제 층 형성 조성물의 제제>
불활성 기체 분위기하에,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95 중량부), 아크릴산(5 중량부)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0.2 중량부)를 에틸 아세테이트중에서 60℃로 용액 중합시켜 아크릴 접착제 용액을 제공하였다.
아크릴 접착제, 유기 액체 성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및 약물(이소소르바이드 디니트레이트)을 에틸 아세테이트의 존재하에 43:40:1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접착제 층 형성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접착 시트의 제제>
상기 언급된 조성물을 PET로 만들어진 박리가 용이한 박리 라이너(두께 75 ㎛) 표면에 건조 후 접착제 층의 두께가 200 ㎛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 오븐에서 건조시켜(100℃, 3 분) 접착제 층을 포함하는 박리 라이너를 제공하였다. 접착 표면(그 위에 접착제 층이 형성되어 있다)을 지지체인 2 ㎛-두께의 PET 필름 및 PET 부직포(직물 중량 12 g/m2)로 구성된 적층체(총 두께: 약 35 ㎛)의 PET 부직포 표면상에 압축-부착하여 접착 시트를 제공하였다.
<가교제 용액의 코팅, 가교 반응 촉진 및 찍어냄>
접착 시트의 박리 라이너를 떼어내고, 가교제인 CORONATEHL(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제품)의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나중에 제조되는 (정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상이한 PET 박리 라이너(두께 75 ㎛) 영역(폭 2 mm)의 네 변에서 한쌍의 두 대향 변의 각 변을 따른 영역에 상응하는 접착 시트 영역에 아크릴 접착제 고체 함량 100 중량부당 0.05 중량부로 도포하였다. 가교제인 CORONATEHL의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을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주변부에 해당하는 영역(폭 2 mm)의 한쌍의 두 대향 변의 각 변을 따른 영역 및 중앙부에 아크릴 접착제 고체 함량 100 중량부당 0.15 중량부로 도포하고, 드라이어로 건조시켰다(100℃, 3 분). 나중에 제조되는 패치 제제의 두 대향 변의 중간점이 연결되도록 파선형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박리가 용이한 PET 박리 라이너(두께 75 ㎛) 표면을 접착제 층이 형성된 표면에 부착하여 접착 시트를 형성하였다. 접착 시트를 외층은 12 ㎛-두께의 PET 필름으로 제조되고 내층은 30 ㎛-두께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필름으로 제조된 포장재(외부 치수 600 mm×250 mm, 내부 치수 580 mm×230 mm)에 단단히 밀봉하고, 온도조절장치에서 70℃로 48 시간 놓아 두어 접착제 층의 가교 반응을 촉진하였다. 접착 시트를 톰슨날(60 mm×60 mm 정사각형)을 이용하여 찍어내 도 4(D)의 외관을 지니는 실시예 8의 패치 제제를 제공하였다. 주변부내 고 박리력 영역의 비율(면적비)은 51%이었다.
비교예 1
<접착제 층 형성 조성물의 제제>
고분자량(점도 평균분자량 820,000)의 폴리이소부틸렌 1, 저분자량(점도 평균분자량 55,000)의 폴리이소부틸렌 2, 점착부여제(지환식 포화 탄화수소 수지, 연화점 100℃(환구법)), 유기 액체 성분(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및 약물(툴로부테롤)을 톨루엔의 존재하에 26:33:26:10: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접착제 층 형성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접착 시트의 제조>
상기 언급된 조성물을 박리가 용이한 PET 박리 라이너(두께 75 ㎛) 표면에 건조 후 접착제 층의 두께가 200 ㎛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 오븐에서 건조시켜(100℃, 5 분) 접착제 층을 갖는 박리 라이너를 제공하였다. 접착 표면(그 위에 접착제 층이 형성되어 있다)을 지지체인 2 ㎛-두께의 PET 필름 및 PET 부직포(직물 중량 12 g/m2)로 구성된 적층체(총 두께: 약 35 ㎛)의 PET 부직포 표면상에 압축-부착하여 접착 시트를 제공하였다.
<박리 라이너의 교체 및 찍어냄>
나중에 제조되는 (정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는) 패치 제제의 두 대향 변의 중간점이 연결되도록 파선형 절단부를 상이한 PET 박리 라이너(두께 75 ㎛, 박리 처리없음) 상에 형성하였다. 접착 시트에 부착된 박리 라이너를 떼어내고, 접착 시트의 접착제 층이 형성된 표면에다가 절단부를 갖춘 박리 라이너를 부착하였다. 접착 시트를 톰슨날(60 mm×60 mm 정사각형)을 이용하여 찍어내 비교예 1의 패치 제제를 제공하였다.
비교예 2
<접착제 층 형성 조성물의 제제>
실시예 7과 유사한 조성물이 사용되었다.
<접착 시트의 제제>
접착 시트를 실시예 7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득하였다.
<박리 라이너의 교체 및 찍어냄>
나중에 제조되는 (정사각형 평면 형상을 가지는) 패치 제제의 두 대향 변의 중간점이 연결되도록 파선형 절단부를 상이한 PET 박리 라이너(두께 75 ㎛) 상에 형성하였다. 접착 시트에 부착된 박리 라이너를 떼어내고, 접착 시트의 접착제 층이 형성된 표면에다가 절단부를 갖춘 박리가 용이한 박리 라이너 표면을 부착하였다. 접착 시트를 톰슨날(60 mm×60 mm 정사각형)을 이용하여 찍어내 비교예 2의 패치 제제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2의 패치 제제를 다음 평가 항목에 대해 평가하였다.
실험예 1
<패치 제제 및 박리 라이너 간 박리력 측정 방법>
폭 2 mm인 임의 길이의 밴드형 시험편을 패치 제제의 중앙부 및 주변부(고 박리력 영역을 가지도록 처리된 영역)로부터 제조하였다. 세로 방향으로 시험편의 한쪽 끝에서, 약 5 mm를 박리 라이너 단부로부터 박리하고 180o 각으로 뒤로 접고 보조지(폭 5 mm)를 부착하여 길이를 연장하였다.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상부 걸쇠로 보조지의 한쪽 끝을 잡고, 하부 걸쇠로 박리 라이너와 백킹용 플레이트, 예를 들면, Bakelite(상표명) 플레이트를 잡은 뒤, 접착 시트를 23℃±2℃, 50±10%RH의 분위기하에서 300 mm/분으로 180o 방향으로 연속 박리하고,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패키지로부터 접착 패치의 꺼내기 성능 평가>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2의 패치 제제를 외층은 12 ㎛-두께의 PET 필름으로 제조되고 내층은 30 ㎛-두께의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필름으로 제조된 포장재(외부 치수: 100 mm×100 mm, 내부 치수: 90 mm×90 mm)에 넣고 단단히 밀봉하였다. 이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패치 패키지의 양 측을 가위 또는 V 자형 노치를 사용해 열었다. 그의 코너를 잡아 접착 패치를 꺼내고, 패키지로부터 접착 패치의 꺼내기 성능을 하기 기준에 준해 평가 점수 1 - 5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5: 패치 제제의 단부 들뜸이 없고 패치 제제를 매우 용이하게 꺼낼 수 있었다.
4: 패치 제제의 단부 들뜸이 부분적으로 있었으나, 접착 표면이 붙지 않아 패치 제제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었다.
3: 패치 제제의 단부 들뜸이 부분적으로 있었고, 접착 표면이 패키지 안에서 살짝 붙었으나, 패치 제제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었다.
2: 패치 제제의 단부 들뜸이 있었고, 접착 표면이 패키지 안에 붙었으며, 패치 제제를 꺼내는 것이 힘들었다.
1: 대부분의 패치 제제가 들떴고, 접착 표면이 패키지 안에 붙었으며, 패치 제제를 꺼내는 것이 매우 힘들었다.
실험예 3
<박리 라이너의 용이 이형성 평가>
4명의 패널리스트가 패치 제제의 절단부로부터 박리 라이너를 떼어 보고 그의 용이 이형성을 관능평가법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를 하기 기준에 따라 요약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요약>
5: 4명의 패널리스트 모두 박리성이 용이하다고 느낌
4: 4명의 패널리스트중 3명이 박리성이 용이하다고 느낌
3: 4명의 패널리스트중 2명이 박리성이 용이하다고 느낌
2: 4명의 패널리스트중 1명이 박리성이 용이하다고 느낌
1: 4명의 패널리스트 모두 박리가 힘들다고 느낌
Figure pat00001
본 출원은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원용되는, 일본에서 출원된 특허출원 제2011-283713호를 기초로 한다.

Claims (16)

  1.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를 둘러싼 주변부를 갖는 패치 제제로서, 상기 패치 제제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상에 형성된 약물을 함유하는 접착제 층을 갖는 패치 제제 본체; 및 상기 접착제 층상에 적층된 박리 라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부는 소정 영역을 갖고, 상기 소정 영역내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은 중앙부내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보다 큰 것인 패치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실질적으로 정사각형 평면 형상을 갖는 것인 패치 제제.
  3. 제2항에 있어서, 주변부가 네 코너 영역을 갖고, 소정 영역이 상기 네 코너 영역중 적어도 하나인 것인 패치 제제.
  4. 제2항에 있어서, 주변부가 네 코너 영역을 갖고, 소정 영역이 상기 네 코너 영역중 두 대향 코너 영역의 한쌍인 것인 패치 제제.
  5. 제2항에 있어서, 주변부가 네 코너 영역을 갖고, 소정 영역이 상기 네 코너 영역인 것인 패치 제제.
  6. 제2항에 있어서, 주변부가 네 변을 갖고, 소정 영역이 상기 네 변중 한 변에 따른 영역인 것인 패치 제제.
  7. 제2항에 있어서, 주변부가 네 변을 갖고, 소정 영역이 상기 네 변중 두 대향 변의 각 한쌍에 따른 두 영역인 것인 패치 제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소정 영역이 주변 영역의 전체 영역인 것인 패치 제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소정 영역의 박리력이 5 내지 500 mN/2 mm인 것인 패치 제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소정 영역의 박리력이 중앙부내 접착제 층과 박리 라이너 사이의 박리력 보다 3 mN/2 mm 이상 큰 것인 패치 제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주변 영역의 폭이 0.5 내지 10 mm인 것인 패치 제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제 층의 두께가 10 내지 500 ㎛인 것인 패치 제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접착제 층이 유기 액체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패치 제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가 패치 제제 본체의 접착제 층의 전체 노출 표면을 커버하는 것인 패치 제제.
  15. 제14항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의 단부가 패치 제제 본체의 단부로부터 돌출된 것인 패치 제제.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박리 라이너가 연속 절개선을 갖는 것인 패치 제제.
KR1020120153146A 2011-12-26 2012-12-26 패치 제제 KR201300792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83713 2011-12-26
JP2011283713A JP2013132367A (ja) 2011-12-26 2011-12-26 貼付製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241A true KR20130079241A (ko) 2013-07-10

Family

ID=47519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146A KR20130079241A (ko) 2011-12-26 2012-12-26 패치 제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165876A1 (ko)
EP (1) EP2609913A1 (ko)
JP (1) JP2013132367A (ko)
KR (1) KR20130079241A (ko)
CN (1) CN103169687A (ko)
CA (1) CA2800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8992A (zh) * 2016-09-28 2019-04-26 日本瑞翁株式会社 包装结构的制造方法
CN111956499B (zh) * 2020-09-28 2022-04-22 安徽美邸康药业有限公司 一种制作中药贴膏的膏药滩涂生产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726777D0 (en) * 1987-11-16 1987-12-23 Smith & Nephew Ass Adhesive dressings
JPH06199659A (ja) 1992-10-28 1994-07-19 Hisamitsu Pharmaceut Co Inc 経皮治療用装置
JPH10310108A (ja) 1997-05-08 1998-11-24 Nitto Denko Corp 薬物含有粘着シートの包装構造
AU2264799A (en) * 1998-01-30 1999-08-16 Coloplast A/S An article having a surface showing adhesive properties
US7049479B2 (en) * 2002-02-07 2006-05-23 Corium Corporation Ultra thin film transdermal/dermal or transmucosal/mucosal delivery system
JP3093802U (ja) * 2002-11-01 2003-05-23 同仁医薬化工株式会社 貼付剤
JP4928353B2 (ja) * 2007-05-29 2012-05-09 ニチバン株式会社 貼付材
JP5285356B2 (ja) * 2008-08-28 2013-09-11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
JP5289862B2 (ja) * 2008-08-28 2013-09-11 日東電工株式会社 貼付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00020A1 (en) 2013-06-26
US20130165876A1 (en) 2013-06-27
EP2609913A1 (en) 2013-07-03
CN103169687A (zh) 2013-06-26
JP2013132367A (ja)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1984B1 (en) Medical adhesive sheet
AU2015238848B2 (en) Adhesive patch
CA2714143C (en) Water resistant patch preparation
EP2206759B1 (en) Adhesive preparation and patch preparation
RU2526194C2 (ru) Адгезивный пластырь, содержащий бисопролол
EP2110125B1 (en) Transdermal drug administration device
EP2570122A1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Transdermal Absorption of A Drug and Patch Preparation
TW202011993A (zh) 含水系貼附劑
EP2223686B1 (en) Patch and patch preparation
EP2377515A1 (en) Patch preparation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20130079241A (ko) 패치 제제
JP2014024764A (ja) 貼付製剤
KR101851397B1 (ko) 접착제 패치 및 접착제 제제
JPH0769870A (ja) 貼付剤
KR20160049533A (ko) 비소프롤롤 함유 부착 제제 및 그 포장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