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818A -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8818A
KR20130078818A KR1020110147949A KR20110147949A KR20130078818A KR 20130078818 A KR20130078818 A KR 20130078818A KR 1020110147949 A KR1020110147949 A KR 1020110147949A KR 20110147949 A KR20110147949 A KR 20110147949A KR 20130078818 A KR20130078818 A KR 20130078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temperature
heater
dryness
temperature in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8445B1 (ko
Inventor
이보람
김현숙
유소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7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445B1/ko
Priority to EP12199150.9A priority patent/EP2610402B1/en
Priority to US13/728,210 priority patent/US9285167B2/en
Priority to CN201210591975.7A priority patent/CN103184673B/zh
Publication of KR20130078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4Time set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8Target temperature for the drying process, e.g. low-temperature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6Type o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06F2103/10Humidity expressed as capacitance or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수 소재의 의류에 적합한 건조 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 제어 방법은 건조통에 수용된 건조물이 특수 소재로 만들어진 기능성 의류인 경우, 상기 건조물을 제1 기준 건조 온도로 건조시키는 제1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물을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 보다 높은 제2 기준 건조 온도로 건조시키는 제2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수 소재의 의류에 적합한 건조 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 건조기는 세탁된 의류 등의 건조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의류 건조기는 본체 내의 건조통을 회전시키면서 건조통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열풍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의류 건조기는 크게 배기식 의류 건조기와 응축식 의류 건조기로 분류될 수 있다. 배기식 의류 건조기는 건조통을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를 건조기의 외부로 배기시키는 방식을 말한다. 응축식 의류 건조기는 건조통을 통과한 고온 다습한 공기에서 습기를 제거하고,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다시 건조통 내부로 순환시키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의류 건조기는 건조물의 종류 즉, 옷감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건조 코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표준 코스, 타올 코스, 속옷 코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처럼 의류 건조기에는 다양한 건조 코스가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건조물의 종류에 맞는 건조 코스를 선택하여 건조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의류 건조기는 등산복이나 운동복과 같은 기능성 의류에 적합한 건조 코스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등산복이나 운동복과 같은 기능성 의류는 대부분 투습발수 소재나 스트레치 소재로 만들어지는데, 이러한 기능성 의류는 소재의 특성 세탁 과정을 거치면서 발수 기능과 같은 의류 고유의 기능이 저하된다. 이처럼 기능이 저하된 기능성 의류를 그에 적합하지 않은 온도로 건조하는 경우, 저하된 기능이 회복되지 않거나 옷의 형태가 변하게 된다. 합성섬유에 대한 건조 코스를 제공하는 의류 건조기도 있으나, 종래의 합성섬유 코스는 단순히 낮은 온도로 건조 공정을 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건조물에 대하여 원하는 건조도를 얻기가 쉽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특수 소재로 만들어진 기능성 의류에 적합한 건조 코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 제어 방법은 건조통에 수용된 건조물이 특수 소재로 만들어진 기능성 의류인 경우, 상기 건조물을 제1 기준 건조 온도로 건조시키는 제1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물을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 보다 높은 제2 기준 건조 온도로 건조시키는 제2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특수 소재는 투습발수 소재 및 스트레치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는 상기 투습발수 소재의 저하된 발수 성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온도이며, 상기 제2 기준 건조 시간은 상기 스트레치 소재를 상기 제2 기준 건조 온도에 노출시켰을 때 상기 스트레치 소재의 형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히터를 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로 유지시키는 단계는 제1 히터를 온 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히터 보다 전력 용량이 큰 제2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건조 공정에서 상기 건조물에 대한 건조도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한 경우, 하나 이상의 히터의 동작 온도를 더 높이는 단계; 및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2 기준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2 기준 온도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2 기준 온도로 유지시키는 단계는 제1 히터를 온 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히터 보다 전력 용량이 큰 제2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및 상기 건조물이 특수 소재로 만들어진 기능성 의류인 경우, 상기 건조물을 제1 기준 건조 온도로 건조시키는 제1 건조 공정과 상기 건조물을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 보다 높은 제2 기준 건조 온도로 건조시키는 제2 건조 공정을 차례로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특수 소재는 투습발수 소재 및 스트레치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는 상기 투습발수 소재의 저하된 발수 성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온도이며, 상기 제2 기준 건조 시간은 상기 스트레치 소재를 상기 제2 기준 건조 온도에 노출시켰을 때 상기 스트레치 소재의 형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히터를 온 시키고, 상기 하나 이상의 히터에 의해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1 건조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 히터를 온 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히터 보다 전력 용량이 큰 제2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로 유지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건조 공정에서 상기 건조물에 대한 건조도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한 경우, 하나 이상의 히터의 동작 온도를 더 높이고,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2 기준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2 기준 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2 건조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 히터를 온 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히터 보다 전력 용량이 큰 제2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2 기준 온도로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특수 소재로 만들어진 기능성 의류에 적합한 건조 코스를 제공함으로써, 세탁 공정을 거치면서 저하된 기능성 의류의 성능을 회복시킬 수 있다.
기능성 의류에 적합 건조 코스에 따라 건조물을 건조하는 경우, 무조건 높은 온도로 진행되는 건조 코스에 비하여, 기능성 의류의 형태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능성 의류에 적합한 건조 코스에 따라 건조물을 건조하는 경우, 무조건 낮은 온도로 진행되는 건조 코스에 비하여, 더 나은 건조도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특수 소재용 건조 코스가 선택된 경우, 시간에 따른 건조통 내부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특수 소재용 건조 코스가 선택된 경우, 시간에 따른 건조통 내부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본체(10)와, 건조통(20)과, 구동장치(30)와, 열풍덕트(7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대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0)는 캐비닛(11)과, 캐비닛(11)의 상부를 덮는 탑커버(12)와, 캐비닛(11)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패널(13)과, 컨트롤패널(14)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14)에는 입력부(도 3의 도면 부호 110 참조)와 디스플레이부(도 3의 도면 부호 140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의류 건조기(1)를 제어하기 위한 각종 버튼이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건조기(1)의 제어 상황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입력부(110)와 디스플레이부(140)는 하드웨어적으로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과 같이 하드웨어적으로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건조통(20)은 건조물이 건조되는 공간으로, 본체(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건조통(20)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통(20)의 내부에는 건조물을 상승시켜 낙하시키기 위한 복수의 리프터(21)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부 내측에는 전방 지지판(22)이 설치되며, 본체(10)의 후면부 내측에는 후방 지지판(24)이 설치된다. 전방 지지판(22) 및 후방 지지판(24)은 각각 건조통(20)의 전면 개방부 및 후면 개방부를 지지하여, 건조통(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후방 지지판(24)의 상부에는 건조통 흡기구(24a)가 형성된다.
본체(10)의 전면과 전방 지지판(22)에는 건조통(20)의 내부로 건조물을 넣거나, 건조통(20) 내에 있는 건조물을 꺼내기 위한 투입구(19a)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전면에는 이러한 투입구(19a)를 개폐하는 도어(19)가 설치된다.
구동장치(30)는 구동모터(31)와, 풀리(32)와, 회전벨트(33)를 포함한다. 구동모터(31)는 캐비닛(10)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다. 풀리(32)와 회전벨트(33)는 구통모터(31)의 동력을 건조통(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풀리(32)는 건조통(20)의 외면과 구동모터(31)의 출에 결합된다. 회전벨트(33)는 풀리(32)에 감기도록 설치된다.
열풍덕트(70)는 가열부(80)와, 열풍 공급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80)는 건조통(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한다. 가열부(80)는 가열부(80)의 내부로 열을 발산하는 히터(81)를 포함한다. 가열부(80)에 설치되는 히터(81)로는 코일 히터가 주로 사용될 수 있다. 히터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히터는 전력 용량이 다른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체 전력 용량이 5.3Kw(100%)인 경우, 전력 용량이 약 1.6kW(30%) 정도인 작은 용량의 히터와, 전력 용량이 3.7kW(70%) 정도인 큰 용량의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작은 용량의 히터와 큰 용량의 히터의 전력 용량의 비가 반드시 3:7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히터 간의 전력 용량의 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력 용량이 작은 히터를 '제1 히터'라 칭하고, 전력 용량이 큰 히터를 '제2 히터'라 칭하기로 한다.
열풍 공급부(40)는 가열부(80)와 후방 지지판(24)의 상부에 형성된 건조통 흡기구(24a)를 연결하여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가열부(8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건조통(20)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건조통(20)의 전방 하부에는 배기덕트(50)가 연결된다. 배기덕트(50)는 건조통(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배기덕트(50)는 전방 배기덕트(51)와 후방 배기덕트(53)을 포함한다.
전방 배기덕트(51)는 전방 지지판(22)의 하부에 설치된 배기구(22b)와 건조통(20)의 하부에 설치된 송풍장치(60)의 입구 사이를 연결한다. 전방 배기턱트(51)에는 필터부재(55)가 설치된다. 필터부재(55)는 건조통(20)에서 배출되는 열풍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보푸라기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후방 배기덕트(53)은 캐비닛(11)의 하측에 설치되며, 송풍장치(60)의 출구와 캐비닛(11)의 후면부 외측을 연통시킨다.
송풍장치(60)는 송풍팬(61)과, 송풍케이스(63)을 포함한다. 송풍팬(61)은 건조통(20)의 하부 전방에 설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송풍케이스(63)는 송풍팬(61)의 주위를 감싸며, 전방 배기덕트(51) 및 후방 배기덕트(53)와 각각 연결된다.
건조통(20)의 전면 하단에는 건조도 센서(90)가 설치된다. 건조도 센서(90)는 건조통(20)이 회전함에 따라 건조통(20) 내의 건조물과 접촉하게 되며, 건조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의 양을 감지한다. 건조도 센서(90)의 출력값은 건조물의 건조도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의 양에 따라 건조도 센서(90)에서 출력되는 출력값이 달라지는데, 센서(90)에서 출력되는 출력값과 기 저장된 출력값을 비교하여 건조물의 건조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건조도 센서(90)는 플레이트 바(plate bar) 형태의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통(20)의 후면 하단에는 온도 센서(95)가 설치된다. 온도 센서(95)는 건조통(20) 내부의 공기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1)는 건조도 센서(90), 온도 센서(95), 입력부(110), 제어부(120), 구동부(130), 구동모터(31), 제1 히터(81), 제2 히터(82), 건조통(20), 송풍팬(61)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건조도 센서(90)는 건조통(20) 내의 건조물과 접촉하여, 건조물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의 양을 감지한다. 감지 결과에 따른 건조도 센서(90)의 출력값은 제어부(120)로 제공된다.
온도 센서(95)는 건조통(20) 내부의 공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감지 결과에 따른 온도 센서(95)의 출력값은 제어부(120)로 제공된다.
입력부(110)는 의류 건조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는다. 이를 위하여 입력부(110)는 각종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동 건조나 자동 건조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 모드 선택 버튼, 수동 건조가 선택된 경우 건조물에 대한 건도 온도나 건조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숫자 버튼, 자동 건조가 선택된 경우 건조 코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 코스 선택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건조 코스의 예로는 표준 코스, 타올 코스, 속옷 코스, 합성섬유 코스, 및 특수 소재 코스를 들 수 있다.
표준 코스는 일반적인 건조에 적합한 건조 코스이고, 타올 코스는 타올이나 면 소재의 건조물을 높은 온도로 건조하기 위한 건조 코스이다. 속옷 코스는 속옷과 같이 얇은 옷감을 건조하기에 적합한 건조 코스이며, 합성섬유 코스는 합성섬유 소재로 된 건조물을 건조하기에 적합한 건조 코스이다. 특수 소재 코스는 투습발수 소재 및 스트레치 소재 등의 특수 소재로 만들어진 기능성 의류에 적합한 건조 코스이다. 각 코스 별로 건조 시간 및 건조 온도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입력부(110)에 구비된 각종 버튼은 가압식 버튼 및 회전식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건조 모드 선택 버튼이나 숫자 버튼은 가압식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고, 건조 코스 선택 버튼은 회전식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10)에는 상술한 버튼 외에도 건조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조그 다이얼이 구비될 수 있다. 건조 상태로는 반 건조, 완전 건조를 예로 들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받은 명령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의류 건조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건조물의 종류에 따른 건조 코스 중에서 표준 코스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20)는 사전 설정된 건조 시간 동안 건조도 센서(90)를 통해 건조물의 건조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건조도에 따라 건조 온도를 조절하여 건조 공정을 수행한다.
만약, 건조 코스 중에서 특수 소재 건조 코스가 선택되었다면, 제어부(120)는 특수 소재 건조 코스에 대응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의류 건조기(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특수 소재란 투습발수 소재 및 스트레치 소재를 의미한다. 스트레치 소재란 폴리우레탄과 같이 신축성이 있는 섬유나 직물을 말한다. 투습발수 소재는 열(熱)이나 약품에 강한 테프론계(系) 수지(樹脂)를 늘려 가열(加熱)하여 만든 막(膜)이 붙어 있는 옷감을 말한다. 이러한 막에는 외부의 수분은 침수하지 못하지만 땀 등 내부의 수분은 침출할 수 있는 무수한 작은 구멍이 뚫려 있다. 이 구멍의 크기는 2/1만 mm 이기 때문에, 최소 1mm의 크기를 갖는 빗방울은 통하지 못하게 막고, 4/천만 mm의 수증기는 통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막은 발명자인 R.W. 고어의 이름을 따 '고어텍스'라 불릴 수도 있다.
투습발수 소재로 만들어진 기능성 의류는 세탁 공정을 거치면서 발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발수 성능이 저하된 기능성 의류를 고온으로 건조시키는 경우, 저하된 발수 성능을 어느 정도 회복시킬 수 있다. 그러나 발수 성능 회복을 위하여 기능성 의류를 무조건 고온으로 건조시키게 되면, 스트레치 소재로 된 기능성 의류의 경우, 옷의 형태가 변하게 된다.
따라서, 특수 소재 건조 코스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20)는 서로 다른 건조 온도를 갖는 두 단계의 건조 공정를 수행한다. 이로써, 세탁으로 인해 저하된 기능성 의류의 발수 성능을 회복시키기고 스트레치 소재로 만들어진 기능성 의류의 형태 변형을 최소화한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특수 소재 건조 코스가 선택된 경우의 의류 건조기(1)의 제어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1)에서 특수 소재 건조 코스에 따라 건조물을 제어하는 경우, 시간에 따른 건조통(20) 내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특수 소재 건조 코스가 선택되면, 제어부(120)는 제1 건조 공정을 시작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제1 히터(81)와 제2 히터(82)를 모두 온(on) 시킨다. 이처럼 두 개의 히터(81, 82)를 동시에 온 시키는 이유는 건조통(20) 내부의 온도를 제1 기준 건조 온도(T1)에 보다 빨리 도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후, 온도 센서(95)를 이용하여 건조통(2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120)는 제2 히터(82)를 반복적으로 온/오프시켜 건조통(20) 내부의 온도를 제1 기준 건조 온도(T1)로 유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히터(82)의 온/오프가 반복됨에 따라 건조통(20) 내의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후, 건조도 센서(90)를 이용하여 건조물의 건조도를 측정한 결과, 건조물에 대한 건조도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하였다면, 제어부(120)는 제1 건조 공정에 할당된 제1 기준 건조 시간(t1)을 모두 채운 후 제2 건조 공정을 시작한다.
제2 건조 공정을 시작하기 위해 제어부(120)는 제2 히터(82)를 온시킨다. 만약 제1 건조 공정에서 제2 히터(82)가 오프된 상태였다면, 제어부(120)는 제2 히터(82)를 온 시킨다. 만약 제1 건조 공정에서 제2 히터(82)가 온된 상태였다면, 제어부(120)는 제2 히터(82)를 온된 상태로 유지하여 제2 건조 공정을 시작할 수 있다. 이처럼 제2 히터(82)를 온시킨 후, 온도 센서(95)를 이용하여 건조통(2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2 기준 건조 온도(T2)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120)는 제2 히터(82)를 온/오프시켜 제2 기준 건조 온도를 유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히터(82)의 온/오프가 반복됨에 따라 건조통(20) 내의 온도가 제2 기준 건조 온도(T2)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제2 건조 공정을 시작한 후에 경과된 시간이 제2 건조 공정에 할당된 제2 기준 건조 시간(t2)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120)는 쿨링 공정을 수행한다. 쿨링 공정은 제1 히터(81) 및 제2 히터(82)를 모두 오프 시키고, 송풍팬(61)을 가동시켜 수행될 수 있다. 특수 소재 건조 코스에 할당된 전체 시간(t1+t2+ t3) 중에서 제1 건조 공정, 제2 건조 공정 및 쿨링 공정에 각각 할당된 시간의 비는 대략 3:1:1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건조 공정, 제2 건조 공정 및 쿨링 공정에 할당된 시간의 비(t1:t2:t3)가 반드시 3:1:1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공정에 할당된 시간의 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건조 공정에 할당된 시간(t2)은 제1 건조 공정(t1)에 할당된 시간에 비하여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의류 건조기(1)의 동작과 관련된 구동모터(31), 제1 히터(81) 및 제2 히터(82) 등을 구동시킨다.
송풍팬(61)은 건조통(20)의 하부 전방에 설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쿨링 공정이 수행되는 경우, 제1 히터(81) 및 제2 히터(82)는 모두 오프되고 송풍팬(61)만 가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송풍팬(61)은 건조통(20) 내의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컨트롤패널(14)에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의류 건조기(1)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입력부(110)와 하드웨어적으로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고, 터치 스크린과 같이 입력부(110)와 하드웨어적으로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150)는 의류 건조기(1)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알고리즘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건조 코스에 따른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으며, 각 알고리즘에 따라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의 예로는, 제1 기준 건조 온도(T1), 제2 기준 건조 온도(T2), 제1 건조 공정에 할당된 제1 기준 건조 시간(t1), 제2 건조 공정에 할당된 제2 기준 건조 시간(t2), 쿨링 공정에 할당된 쿨링 시간(t3)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제2 기준 건조 온도(T2)는 제1 기준 건조 온도(T1) 보다 높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준 건조 온도(T1)는 61~62℃이고, 제2 기준 건조 온도(T2)는 67℃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준 건조 시간(t2)은 제1 기준 건조 시간(t1)에 비하여 짧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건조 시간(t1)은 약 24분일 수 있으며, 제2 건조 시간(t2)은 약 8분일 수 있다. 그리고 쿨링 시간(t3)은 제2 기준 건조 시간(t2)과 동일하거나 짧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알고리즘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50)는 롬(Read Only Memory: ROM), 램(Random Access Memory: RAM), 피롬(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 디스크, 광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장부(150)는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임의의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수 소재 건조 코스가 선택되면(S500), 제어부(120)는 제1 히터(81) 및 제2 히터(82)를 온 시켜, 제1 건조 공정을 시작한다(S510). 제1 히터(81) 및 제2 히터(82)를 동시에 온 시키는 이유는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 히터(81) 및 제2 히터(82)가 온되면(S510), 온도 센서(95)에 의해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측정된다. 제어부(120)는 온도 센서(95)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520).
S520 단계의 판단결과,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온도 센서(95)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계속해서 모니터링 한다.
S520 단계의 판단 결과,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120)는 전력 용량이 큰 제2 히터(82)를 온/오프하여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로 유지되도록 한다(S530). 구체적으로, S510 단계에서 온 되었던 제2 히터(82)를 오프시킨 후 일정 시간(toff)이 경과하게 되면,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어느 정도 낮아지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20)는 제2 히터(82)를 다시 온시킨다. 제2 히터(82)를 온시킨 후 일정 시간(ton)이 경과하게 되면, 건조통(20) 내부의 온도는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제어부(120)는 제2 히터(82)를 반복적으로 온/오프시켜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1 히터(81)를 온시킨 상태에서 제2 히터(82)를 온/오프 시키는 이유는 제2 히터(81)를 온시킨 상태에서 제1 히터(81)를 온/오프시켰을 때보다 건조통(20) 내부의 온도를 빨리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S530 단계 이후, 제어부(120)는 건조도 센서(90)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건조통(200) 내에 있는 건조물의 건조도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540).
S540 단계의 판단 결과, 건조도 센서(90)에 의해 측정된 건조도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제2 히터(82)를 반복적으로 온/오프하여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로 유지되도록 한다.
S540 단계의 판단 결과, 건조도 센서(90)에 의해 측정된 건조도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120)는 제1 건조 공정을 시작한 후에 경과된 시간이 제1 건조도(t1)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545).
S545 단계의 판단 결과, 제1 건조 공정을 시작한 후에 경과된 시간이 제1 기준 건조 시간(t1)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S545의 아니오), 제어부(120)는 경과된 시간이 제1 기준 건조 시간(t1)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통(200)의 내부 온도를 제1 기준 건조 온도(T1)으로 유지한다. 건조물에 대한 건조도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한 경우에도 제1 건조 공정에 할당된 제1 기준 건조 시간(t1)을 모두 채우는 이유는 건조도 센서의 정확도가 높지 않은 경우를 커버하기 위함이다. 즉, 건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건조물에 대한 건조도를 측정하였을 때, 측정된 값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도 있으므로, 목표 건조도에 도달했다 하더라도 제1 건조 공정 시작 후 경과된 시간이 제1 기준 건조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제1 건조 공정을 계속 수행하는 것이다.
S545 단계의 판단 결과, 제1 건조 공정 시작 후 경과된 시간이 제1 기준 건조 시간(t1)에 도달하였다면, 제어부(120)는 제2 히터(82)의 동작 온도를 더 높여(S550), 제2 건조 공정을 시작한다. 이 때, 제2 히터(82)의 동작 온도를 더 높이는 이유는 건조통(20) 내부의 온도를 제1 기준 건조 온도(T1)에서 제2 기준 건조 온도(T2)로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이 후, 제어부(120)는 온도 센서(95)에 의해 측정된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2 기준 건조 온도(T2)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560).
S560 단계의 판단 결과,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2 기준 건조 온도(T2)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온도 센서(95)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한다.
S560 단계의 판단 결과,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2 기준 건조 온도(T2)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120)는 제2 히터(82)를 온/오프하여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2 기준 건조 온도(T2)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S570).
S570 단계 이후, 제어부(120)는 제2 건조 공정 시작 후 경과된 시간이 제2 건조 공정에 할당된 제2 기준 건조 시간(t2)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580).
S580 단계의 판단 결과, 제2 건조 공정 시작 후 경과된 시간이 제2 기준 건조 시간(t2)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제2 히터(82)를 온/오프하여 건조통(20) 내부의 온도를 제2 기준 건조 온도(T2)로 유지시킨다(S570).
S580 단계의 판단 결과, 제2 건조 공정 시작 후 경과된 시간이 제2 기준 건조 시간(t2)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120)는 쿨링 공정이 수행되도록 의류 건조기(1)의 동작을 제어한다(S590). 쿨링 공정에서는 제1 히터(81) 및 제2 히터(82)를 모두 오프시키고, 송풍팬(61)만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송풍팬(61)만을 구동시키면, 건조통(20) 내의 열기가 의류 건조기(1)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건조통(20) 내의 공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의류 건조기(1)의 제어 과정에서, 건조통(20) 내의 온도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온도(T1, T2)와, 두 개의 히터(81, 82)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키기 위해 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제어 온도 간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도 5의 S520 단계에서 건조통(20) 내의 온도를 판단하기 위한 제1 기준 건조 온도(T1)는 대략 61~62℃일 수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S510 단계에서 두 히터(81, 82)를 모두 동작시키기 위하여 실제로 제어부(120)에서 출력하는 제1 제어 온도는 54℃일 수 있다.
다른 예로, S560 단계에서 건조통(20) 내의 온도를 판단하기 위한 제2 기준 건조 온도(T2)는 약 67℃일 수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S550 단계에서 제2 히터(82)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실제로 제어부(120)에서 출력하는 제2 제어 온도는 55℃일 수 있다. 제1 제어 온도 및 제2 제어 온도에 대한 정보는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 온도 및 제2 제어 온도는 각각 제1 기준 건조 온도(T1) 및 제2 기준 건조 온도(T2)와의 매핑 관계를 포함하는 매핑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는 건조도 센서(90), 온도 센서(95), 입력부(210), 제어부(220), 구동부(230), 구동모터(31), 제3 히터(83), 건조통(20), 송풍팬(61) 및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히터(83)를 제외한 구성요소들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는 도 3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와 히터의 개수에 있어 차이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가 전력 용량이 작은 제1 히터(81)와 전력 용량이 큰 제2 히터(82)를 포함하고 있는데 비하여, 도 6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는 제3 히터(83)만을 포함한다.
제3 히터(83)의 전력 용량은 도 3에 도시된 제2 히터(82)의 전력 용량과 동일하거나, 제2 히터(82)의 전력 용량 보다 클 수 있다.
제어부(220)는 건조물의 종류에 따른 건조 코스 중에서 특수 소재 건조 코스가 선택된 경우, 서로 다른 건조 온도를 갖는 두 단계의 건조 공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여, 특수 소재 건조 코스가 선택된 경우의 의류 건조기의 제어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의류 건조기에서 특수 소재 건조 코스에 따라 건조물을 제어하는 경우, 시간에 따른 건조통(20) 내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특수 소재 건조 코스가 선택되면, 제어부(220)는 제1 건조 공정을 시작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20)는 제3 히터(83)를 온 시킨다. 이 후, 온도 센서(95)를 이용하여 건조통(2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220)는 제3 히터(83)를 온/오프시켜 건조통(20) 내부의 온도를 제1 기준 건조 온도(T1)로 유지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 히터(83)의 온/오프가 반복됨에 따라 건조통(20) 내의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후, 건조도 센서(90)를 이용하여 건조물의 건조도를 측정한 결과, 건조물에 대한 건조도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하였다면, 제어부(220)는 제1 건조 공정에 할당된 제1 기준 건조 시간(t1)을 모두 채운 후 제2 건조 공정을 시작한다.
제2 건조 공정을 시작하기 위해 제어부(220)는 제3 히터(83)의 동작 온도를 더 높인다. 이 후, 온도 센서(95)를 이용하여 건조통(2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2 기준 건조 온도(T2)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220)는 제3 히터(83)를 온/오프시켜 건조통(20) 내의 온도를 제2 기준 건조 온도(T2)로 유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히터(83)의 온/오프가 반복됨에 따라 건조통(20) 내의 온도가 제2 기준 건조 온도(T2)로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제2 건조 공정을 시작한 후에 경과된 시간이 제2 건조 공정에 할당된 제2 기준 건조 시간(t2)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220)는 쿨링 공정을 수행한다. 쿨링 공정은 제3 히터(83)를 오프 시키고, 송풍팬(61)을 가동시켜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제어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수 소재 건조 코스가 선택되면(S800), 제어부(220)는 제3 히터(83)를 온 시켜, 제1 건조 공정을 시작한다(S810).
제3 히터가 온되면(S810), 온도 센서(95)에 의해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측정된다. 제어부(220)는 온도 센서(95)에 의해 측정된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820).
S820 단계의 판단결과,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220)는 온도 센서(95)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계속해서 모니터링 한다.
S820 단계의 판단 결과,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220)는 제3 히터(83)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로 유지되도록 한다(S830). 구체적으로, S810 단계에서 온 되었던 제3 히터(83)를 오프시킨 후 일정 시간(toff)이 경과하게 되면,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어느 정도 낮아지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220)는 제3 히터(83)를 다시 온시킨다. 제3 히터(83)를 온시킨 후 일정 시간(ton)이 경과하게 되면, 건조통(20) 내부의 온도는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처럼 제어부(220)는 제3 히터(83)를 주기적으로 온/오프시켜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3 히터(83)가 온되는 시간이나 오프되는 시간은 일 실시예에서 제2 히터(82)가 온되는 시간이나 오프되는 시간보다 짧을 수 있다.
S830 단계 이후, 제어부(220)는 건조도 센서(90)의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건조통(200) 내에 있는 건조물의 건조도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840).
S840 단계의 판단 결과, 건조도 센서(90)에 의해 측정된 건조도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제1 건조 공정을 시작한 후에 경과된 시간이 제1 건조도(t1)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845).
S845 단계의 판단 결과, 제1 건조 공정을 시작한 후에 경과된 시간이 제1 기준 건조 시간(t1)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S845의 아니오), 제어부(120)는 경과된 시간이 제1 기준 건조 시간(t1)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통(200)의 내부 온도를 제1 기준 건조 온도(T1)으로 유지한다. 건조물에 대한 건조도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한 경우에도 제1 건조 공정에 할당된 제1 기준 건조 시간(t1)을 모두 채우는 이유는 건조도 센서의 정확도가 높지 않은 경우를 커버하기 위함이다. 즉, 건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건조물에 대한 건조도를 측정하였을 때, 측정된 값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도 있으므로, 목표 건조도에 도달했다 하더라도 제1 건조 공정에 할당된 제1 기준 건조 시간(t1)을 모두 채우는 것이다.
S745 단계의 판단 결과, 제1 건조 공정 시작 후 경과된 시간이 제1 기준 건조 시간(t1)에 도달하였다면, 제어부(220)는 제3 히터(83)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건조통(20) 내의 온도가 제1 기준 건조 온도(T1)를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S840 단계의 판단 결과, 건조도 센서(90)에 의해 측정된 건조도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220)는 제3 히터(83)의 동작 온도를 더 높여(S850), 제2 건조 공정을 시작한다. 이 때, 제3 히터(83)를 상승시키는 이유는 건조통(20) 내부의 온도를 제1 기준 건조 온도(T1)에서 제2 기준 건조 온도(T2)로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이 후, 제어부(220)는 온도 센서(95)에 의해 측정된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2 기준 건조 온도(T2)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860).
S860 단계의 판단 결과,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2 기준 건조 온도(T2)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220)는 온도 센서(95)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한다.
S860 단계의 판단 결과,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2 기준 건조 온도(T2)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220)는 제3 히터(83)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2 기준 건조 온도(T2)로 유지되도록 한다(S870).
S870 단계 이후, 제어부(220)는 제2 건조 공정 시작 후 경과된 시간이 제2 건조 공정에 할당된 제2 기준 건조 시간(t2)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S880).
S880 단계의 판단 결과, 제2 건조 공정 시작 후 경과된 시간이 제2 기준 건조 시간(t2)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제어부(220)는 제3 히터(83)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건조통(20) 내부의 온도가 제2 기준 건조 온도(T2)로 유지되도록 한다.
S880 단계의 판단 결과, 제2 건조 공정 시작 후 경과된 시간이 제2 기준 건조 시간(t2)에 도달한 경우, 제어부(220)는 쿨링 공정이 수행되도록 의류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S890). 쿨링 공정에서는 제3 히터(83)를 오프시키고, 송풍팬(61)만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송풍팬(61)만을 구동시키면, 건조통(20) 내의 열기가 의류 건조기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건조통(20) 내의 공기 온도를 낮출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입력부(110 또는 210)를 통해 의류 건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의류 건조기는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수신부는 원격 제어기에서 송신된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 제어기와 수신부 간의 제어 신호 송수신은 무선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유선 통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기는 의류 건조기의 동작만을 제어하기 위해 마련된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원격 제어기는 스마트 그리드 환경에서의 전력 관리 장치와 같이, 댁내의 전자기기들과 연결되어 각 가전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적어도 하나의 처리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명령을 포함하는 매체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매체는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의 저장 및/또는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매체/매체들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코드는, 매체에 기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는데, 상기 매체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 기록 매체(예를 들면, CD-ROM 또는 DVD)와 같은 기록 매체, 반송파(carrier wave)와 같은 전송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매체는 합성 신호 또는 비트스트림(bitstream)과 같은 신호일 수도 있다. 상기 매체들은 분산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므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전송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단지 일 예로써, 처리 요소는 프로세서 또는 컴퓨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 요소는 하나의 디바이스 내에 분산 및/또는 포함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의류 건조기
20: 건조통
30: 구동장치
61: 송풍팬
70: 열풍덕트
90; 건조도 센서
95: 온도 센서
110, 210: 입력부
120, 220: 제어부
130, 230: 구동부
140, 240: 디스플레이부
150, 250: 저장부

Claims (14)

  1. 건조통에 수용된 건조물이 특수 소재로 만들어진 기능성 의류인 경우, 상기 건조물을 제1 기준 건조 온도로 건조시키는 제1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물을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 보다 높은 제2 기준 건조 온도로 건조시키는 제2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소재는 투습발수 소재 및 스트레치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는 상기 투습발수 소재의 저하된 발수 성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온도이며,
    상기 제2 기준 건조 시간은 상기 스트레치 소재를 상기 제2 기준 건조 온도에 노출시켰을 때 상기 스트레치 소재의 형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시간인, 의류 건조기의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히터를 온 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로 유지시키는 단계는
    제1 히터를 온 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히터 보다 전력 용량이 큰 제2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건조 공정에서 상기 건조물에 대한 건조도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한 경우, 하나 이상의 히터의 동작 온도를 더 높이는 단계; 및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2 기준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2 기준 온도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2 기준 온도로 유지시키는 단계는
    제1 히터를 온 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히터 보다 전력 용량이 큰 제2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의 제어 방법.
  8. 건조물을 수용하는 건조통; 및
    상기 건조물이 특수 소재로 만들어진 기능성 의류인 경우, 상기 건조물을 제1 기준 건조 온도로 건조시키는 제1 건조 공정과 상기 건조물을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 보다 높은 제2 기준 건조 온도로 건조시키는 제2 건조 공정을 차례로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소재는 투습발수 소재 및 스트레치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류 건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는 상기 투습발수 소재의 저하된 발수 성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온도이며,
    상기 제2 기준 건조 시간은 상기 스트레치 소재를 상기 제2 기준 건조 온도에 노출시켰을 때 상기 스트레치 소재의 형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시간인, 의류 건조기.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히터를 온 시키고,
    상기 하나 이상의 히터에 의해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1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의류 건조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히터를 온 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히터 보다 전력 용량이 큰 제2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1 기준 건조 온도로 유지시키는, 의류 건조기.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건조 공정에서 상기 건조물에 대한 건조도가 목표 건조도에 도달한 경우, 하나 이상의 히터의 동작 온도를 더 높이고,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가 상기 제2 기준 온도에 도달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2 기준 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제2 건조 공정을 수행하는, 의류 건조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히터를 온 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히터 보다 전력 용량이 큰 제2 히터의 온오프를 반복하여 상기 건조통 내부의 온도를 상기 제2 기준 온도로 유지시키는, 의류 건조기.
KR1020110147949A 2011-12-30 2011-12-30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8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949A KR101878445B1 (ko) 2011-12-30 2011-12-30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EP12199150.9A EP2610402B1 (en) 2011-12-30 2012-12-21 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3/728,210 US9285167B2 (en) 2011-12-30 2012-12-27 Clothes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210591975.7A CN103184673B (zh) 2011-12-30 2012-12-28 干衣机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949A KR101878445B1 (ko) 2011-12-30 2011-12-30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516A Division KR101940517B1 (ko) 2018-07-09 2018-07-09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818A true KR20130078818A (ko) 2013-07-10
KR101878445B1 KR101878445B1 (ko) 2018-07-16

Family

ID=4771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949A KR101878445B1 (ko) 2011-12-30 2011-12-30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85167B2 (ko)
EP (1) EP2610402B1 (ko)
KR (1) KR1018784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098A (ko) * 2015-01-30 201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건조 시스템
KR20180038332A (ko) * 2016-10-06 201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68554B (es) * 2014-12-19 2019-09-26 Mabe Sa De Cv Metodo de secado con ahorro de energia.
US10138590B2 (en) 2015-03-20 2018-11-27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drying laundry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CN106498653B (zh) * 2015-09-06 2022-06-14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衣物护理机及其护理衣物的方法
EP3252211B1 (en) * 2016-06-03 2019-05-1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 pump laundry drying machine
US10450692B2 (en) 2016-08-29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ive heat pump clothes dryer
US10443182B2 (en) * 2016-12-29 2019-10-15 Whirlpool Corporation Customer selection of desired remaining moisture in clothing via user interface at machine 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PL3652373T3 (pl) 2017-07-14 2022-07-1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posób sterowania działaniem suszarki do prania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00944A1 (en) * 2005-03-08 2006-09-1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usehold clothes drying machine with clothes disinfection cycle
KR20090071269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한 건조기의 히터 제어방법
KR20110080620A (ko) * 2010-01-06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8016A (en) * 1965-06-21 1967-05-09 Gen Electric Automatic dryer control circuit
KR100480929B1 (ko) * 2003-08-12 200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건조 제어방법
KR101063701B1 (ko) 2003-11-03 2011-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부하 제어방법
KR101053608B1 (ko) 2004-11-30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응축식 의류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0692582B1 (ko) 2006-03-24 2007-03-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 건조방법
US20110030149A1 (en) * 2008-08-01 2011-02-10 In Ho Cho Control method of a laundry machine
KR101168888B1 (ko) 2009-10-27 2012-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의 정전보상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00944A1 (en) * 2005-03-08 2006-09-1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usehold clothes drying machine with clothes disinfection cycle
KR20090071269A (ko)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히터 내장형 흡기관을 구비한 건조기의 히터 제어방법
KR20110080620A (ko) * 2010-01-06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4098A (ko) * 2015-01-30 201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 건조 시스템
US10577741B2 (en) 2015-01-30 2020-03-03 Lg Electronics Inc. Washing and drying system
KR20180038332A (ko) * 2016-10-06 201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67398A1 (en) 2013-07-04
EP2610402B1 (en) 2021-02-17
KR101878445B1 (ko) 2018-07-16
EP2610402A2 (en) 2013-07-03
EP2610402A3 (en) 2017-07-19
CN103184673A (zh) 2013-07-03
US9285167B2 (en)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8445B1 (ko)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EP2857570B1 (en) Method for eliminating wrinkles in clothes disposed in a drum of a washing machine
KR100748963B1 (ko) 세탁건조기/건조기의 건조 제어방법
US9359713B2 (en) Drying apparatus,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drying apparatus
KR101507783B1 (ko) 가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704421B1 (ko)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US20060195989A1 (en) Washing machine and suds removal method thereof
US202302655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drying laundry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CN105473779A (zh) 具有增强的操作灵活性的衣物烘干器具
KR101661994B1 (ko) 세탁 건조 시스템
EP3252211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 pump laundry drying machine
US9322127B2 (en) Method of operating a home appliance
JP6104571B2 (ja) 衣類乾燥機
KR101940517B1 (ko)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EP318765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eat pump laundry drying machine
KR100624719B1 (ko) 건조 겸용 세탁기의 통 살균 제어 방법
JP2007268158A (ja) 洗濯乾燥機
KR100648175B1 (ko) 드럼세탁기 및 드럼세탁기의 건조시간 단축 방법
JP2014018448A (ja) 衣類乾燥機
KR20220037771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3184673B (zh) 干衣机及其控制方法
JP2013202070A (ja) 衣類処理装置
JP2008279175A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