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8360A - 의료용 흡인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흡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8360A
KR20130078360A KR1020110147266A KR20110147266A KR20130078360A KR 20130078360 A KR20130078360 A KR 20130078360A KR 1020110147266 A KR1020110147266 A KR 1020110147266A KR 20110147266 A KR20110147266 A KR 20110147266A KR 20130078360 A KR20130078360 A KR 20130078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ressure plate
connector
pip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004B1 (ko
Inventor
송효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한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한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한기업
Priority to KR1020110147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004B1/ko
Priority to US14/369,722 priority patent/US9764070B2/en
Priority to CN201280065596.2A priority patent/CN104080492B/zh
Priority to PCT/KR2012/011516 priority patent/WO2013100601A1/ko
Priority to DE112012005513.6T priority patent/DE112012005513T5/de
Publication of KR20130078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8Means for preventing overflow or contamination of the pump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4Containers with integrated suction means
    • A61M1/67Containers incorporating a piston-type member to create suction, e.g.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6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7/00Drainage appliance for wounds or the like, i.e. wound drains, implanted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0Containers for suction drainage, adapted to be used with an external suction source
    • A61M1/63Containers for suction drainage, adapted to be used with an external suction source with means for emptying the suction container, e.g. by interrupting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흡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차폐수단에 의하여 개폐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가압판과; 상기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바닥판과 가압판의 테두리를 연결하여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에 체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밀폐막과;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어 인체로부터 발생되는 체액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안내하되, 인체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내부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배액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차폐수단은 상기 가압판의 배출홀 주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1스트랩과, 상기 제1스트랩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에 삽입되는 끼움관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끼움관 내부에 삽입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끼움관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스트랩과, 상기 제2스트랩에 연결되어 상기 체크밸브가 삽입된 끼움관 상단을 밀폐하는 마개로 구성되어, 인체로부터 추출되어 수용공간에 저장되는 체액이 외부 공기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흡인기{Medical Suction Unit}
본 발명은 의료용 흡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체로부터 추출되어 저장되는 체액이 외부 공기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힘이 약한 여성들도 사용하기에 편리한 의료용 흡인기에 관한 것이다.
외과계통의 수술 후에는 조직 내에 혈액이나 삼출액과 인체의 체액이 고이게 되고, 이렇게 고이는 혈액이나 삼출물은 상처의 치유를 방해하여 합병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의사는 수술 후 혈액이나 삼출물이 조직 내에 고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시중에서 흔히 '헤모박' 또는 '바로박'이라고 불리는 의료용 흡인기를 사용함으로써 혈액이나 삼출액이 조직 내에 고이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헤모박 또는 바로박이라 불리는 의료용 흡인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10)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되고 배액관(21)이 연결되며 마개(22a)가 구비된 배출홀(22)이 형성되는 가압판(20)과, 상기 바닥판(10)과 가압판(20)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30)과, 상기 바닥판(10)과 가압판(20)의 테두리를 연결하여 바닥판(10)과 가압판(20) 사이에 체액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밀폐막(40)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의료용 흡인기는 혈액이나 삼출물과 같은 인체의 체액을 추출하기 위해서 가압판(20)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른 상태에서 배출홀(22)을 밀폐하기 위하여 마개(22a)를 막는 추가동작이 뒤따라야 하는데, 대부분 여성들로 이루어지는 간호사들이 사용하기에는 힘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가압판(20)을 누른 후 간호사들이 코일스프링(30)의 탄성을 이기지 못하여 가압판(20)이 일정 높이로 상승한 상태에서 배출홀(22)을 마개(22a)로 밀폐하면, 밀폐막(40) 내부에 외부 공기가 유입된 상태에서 인체의 체액이 밀폐막(40) 내부의 공간에 저장된다. 이렇게 되면 인체의 체액이 외부 공기에 의하여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체크밸브를 통하여 밀폐막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의 공기를 유출시켜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밀폐막 내부의 공간에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밀폐막 내부에 저장되는 인체의 체액이 외부 공기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료용 흡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의 간격이 좁혀진 후에는 체크밸브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의 좁혀진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서 힘이 약한 여성들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의료용 흡인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차폐수단에 의하여 개폐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가압판과; 상기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바닥판과 가압판의 테두리를 연결하여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에 체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시키는 밀폐막과;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어 인체로부터 발생되는 체액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안내하되, 인체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내부에 체크밸브가 구비된 배액관;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차폐수단은 상기 가압판의 배출홀 주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1스트랩과, 상기 제1스트랩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에 삽입되는 끼움관과,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끼움관 내부에 삽입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끼움관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스트랩과, 상기 제2스트랩에 연결되어 상기 체크밸브가 삽입된 끼움관 상단을 밀폐하는 마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액관은 상기 가압판에 연결되어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제1연결관과; 상기 제1연결관의 상단에 끼움되고, 내외면을 관통하는 나선형태의 끼움홀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형성된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의 끼움홀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외측면에 삽입돌기가 형성된 제2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상단에 끼움되는 제2연결관;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의료용 흡인기는 체크밸브에 의하여 밀폐막 내부의 공기는 유출되지만 외부의 공기는 밀폐막 내부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밀폐막 내부에 저장되는 인체의 체액이 외부 공기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의 간격이 좁혀진 후에는 체크밸브에 의하여 외부의 공기가 밀폐막 내부의 공간에 유입되지 않으므로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의 좁혀진 간격이 그대로 유지되고, 따라서 바닥판과 가압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간호사들이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배출홀을 밀폐하기 위하여 마개를 배출홀에 삽입하는 추가동작이 필요하지 않은 이점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에 배출관을 연결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에 배출관을 연결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의료용 흡인기는 바닥판(100)과, 상기 바닥판(100)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가압판(200)과, 상기 바닥판(100)과 가압판(200)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300)과, 상기 바닥판(100)과 가압판(200) 사이를 밀폐하는 밀폐막(400)과, 상기 가압판(200)에 연결되는 배액관(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00)은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원형의 판상으로 제조된다.
상기 가압판(200)은 상기 바닥판(100)의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바닥판(100)과 마찬가지로 경질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원형의 판상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가압판(200)에는 배출홀(210)이 형성되고, 이 배출홀(210)은 차폐수단(220)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기 차폐수단(220)은 고정부(221)와, 상기 고정부(221)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1스트랩(222)과, 상기 제1스트랩(222)에 일체로 연결되는 끼움관(223)과, 상기 끼움관(223)에 삽입되는 체크밸브(224)와, 상기 끼움관(223)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스트랩(225)과, 상기 제2스트랩(225)에 연결되는 마개(226)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221)는 상기 가압판(200)의 배출홀(210) 주변에 고정된다.
상기 제1스트랩(222)은 얇은 띠 형태를 이루며 고정부(221)와 상기 끼움관(223)을 연결한다.
상기 끼움관(223)은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내측면 깊은 곳에 상기 체크밸브(224)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홀(210)에 삽입되어 외측면이 상기 배출홀(210)의 원주면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상기 체크밸브(224)는 상기 끼움관(223) 내부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 바닥판(100)과 가압판(200) 및 밀폐막(400)에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R) 내부에서 수용공간(R)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가압판(200)을 눌러서 수용공간(R) 내부의 공기를 수용공간(R) 외부로 배출한 후 가압판(200)을 누르던 힘을 제거하여도 수용공간(R) 내부로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된다.
상기 제2스트랩(225)은 상기 끼움관(223)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끼움관(223)과 마개(226)를 연결한다.
상기 마개(226)는 상기 제2스트랩(225)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체크밸브(224)가 삽입된 끼움관(223) 상단을 밀폐한다. 이러한 마개(226)는 수용공간(R)에 인체로부터 발생된 혈액이나 삼출물과 같은 체액이 저장된 후 환자나 간호사들이 가압판(200)을 실수로 누르게 되면 체액이 수용공간(R) 외부로 누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체액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코일스프링(300)은 하단은 직경이 넓고 상단은 직경이 좁은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압판(200)이 바닥판(10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압판(200)에 탄성을 제공한다.
상기 밀폐막(400)은 상기 바닥판(100)의 테두리 부분과 가압판(200)의 테두리 부분을 연결하여 바닥판(100)과 가압판(200) 사이에 체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R)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밀폐막(400)에는 유량 눈금을 형성시켜 체액이 어느 정도 추출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액관(500)은 상기 가압판(200)에 연결되어 인체로부터 발생되는 체액을 상기 수용공간(R)으로 안내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액관(500)은 인체로부터 유입되는 체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클램프(500a)가 일측에 설치되고, 배액관(500)과 가압판(200) 사이에는 체크밸브(500b)가 구비되는데, 이 체크밸브(500b)는 인체로부터 상기 수용공간(R)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인체로부터 추출된 체액이 다시 인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배액관(500)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배액관(500)은 제1연결관(510)과, 제1커넥터(520)와, 제2커넥터(530) 및 제2연결관(5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연결관(510)은 실리콘 또는 PVC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상기 가압판(200)에 연결되어 수용공간(R)과 연통된다.
상기 제1커넥터(520)는 상기 제1연결관(510)의 상단에 끼움되는 것으로서,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이러한 제1커넥터(520)에는 내외면을 관통하는 끼움홀(521)이 형성되는데, 이 끼움홀(521)은 나선형태 또는 나선에 가까운 형태로 제1커넥터(520)의 상측에서 하측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홀(521)의 가장 끝부분에는 끼움홀(521)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약간 돌출된 돌출부(522)가 구비된다.
상기 제2커넥터(530)는 상기 제1커넥터(520) 내부에 끼움되는 것으로서, 경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이러한 제2커넥터(530)에는 삽입돌기(531)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531)는 상기 제1커넥터(520)에 형성된 끼움홀(521)을 따라 이동한다. 이렇게 삽입돌기(531)가 끼움홀(521)을 따라 이동하다가 돌출부(522) 부분에서 억지 끼움방식으로 돌려져 끼움홀(521)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연결관(540)은 상기 제2커넥터(530)의 상단에 끼움되는 것으로서, 실리콘 또는 PVC와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이 배액관(500)을 구성하면, 가압판(200)에 대한 배액관(50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배액관(500)을 가압판(200)으로부터 분리할 때 수용공간(R)에 저장되어 있는 체액이 의도치 않게 여기저기로 산재되어 주변이 체액으로 오염되거나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가끔씩 실험이나 이런 저런 이유로 수용공간(R) 내부에 저장된 체액을 배출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럴 때 끼움관(223)에 배출관(600)을 연결하면 배출관(600)을 통하여 체액을 안정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체액이 여기저기로 산재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이 체액으로 오염되거나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바닥판 200: 가압판
210: 배출홀 220: 차폐수단
221: 고정부 222: 제1스트랩
223: 끼움관 224: 체크밸브
225: 제2스트랩 226: 마개
300: 코일스프링 400: 밀폐막
500: 배액관 500a: 클램프
500b: 체크밸브 510: 제1연결관
520: 제1커넥터 521: 끼움홀
522: 돌출부 530: 제2커넥터
531: 삽입돌기 540: 제2연결관
600: 배출관 R: 수용공간

Claims (2)

  1. 바닥판(100)과; 상기 바닥판(100)에 일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고, 차폐수단(220)에 의하여 개폐되는 배출홀(210)이 형성된 가압판(200)과; 상기 바닥판(100)과 가압판(200)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300)과; 상기 바닥판(100)과 가압판(200)의 테두리를 연결하여 바닥판(100)과 가압판(200) 사이에 체액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R)을 형성시키는 밀폐막(400)과; 상기 가압판(200)에 연결되어 인체로부터 발생되는 체액을 상기 수용공간(R)으로 안내하되, 인체로부터 상기 수용공간(R)을 향하는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내부에 체크밸브(500b)가 구비된 배액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차폐수단(220)은 상기 가압판(200)의 배출홀(210) 주변에 고정되는 고정부(221)와, 상기 고정부(221)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1스트랩(222)과, 상기 제1스트랩(222)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210)에 삽입되는 끼움관(223)과, 상기 수용공간(R)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방향으로만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상기 끼움관(223) 내부에 삽입되는 체크밸브(224)와, 상기 끼움관(223)에 일체로 연결되는 제2스트랩(225)과, 상기 제2스트랩(225)에 연결되어 상기 체크밸브(224)가 삽입된 끼움관(223) 상단을 밀폐하는 마개(22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액관(500)은 상기 가압판(200)에 연결되어 수용공간(R)과 연통되는 제1연결관(510)과;
    상기 제1연결관(510)의 상단에 끼움되고, 내외면을 관통하는 나선형태의 끼움홀(521)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형성된 제1커넥터(520)와;
    상기 제1커넥터(520)의 끼움홀(52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외측면에 삽입돌기(531)가 형성된 제2커넥터(530)와;
    상기 제2커넥터(530)의 상단에 끼움되는 제2연결관(5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기.
KR1020110147266A 2011-12-30 2011-12-30 의료용 흡인기 KR101367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266A KR101367004B1 (ko) 2011-12-30 2011-12-30 의료용 흡인기
US14/369,722 US9764070B2 (en) 2011-12-30 2012-12-27 Medical aspirator
CN201280065596.2A CN104080492B (zh) 2011-12-30 2012-12-27 医用吸引器
PCT/KR2012/011516 WO2013100601A1 (ko) 2011-12-30 2012-12-27 의료용 흡인기
DE112012005513.6T DE112012005513T5 (de) 2011-12-30 2012-12-27 Medizinische Saugdrain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266A KR101367004B1 (ko) 2011-12-30 2011-12-30 의료용 흡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360A true KR20130078360A (ko) 2013-07-10
KR101367004B1 KR101367004B1 (ko) 2014-02-24

Family

ID=48697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266A KR101367004B1 (ko) 2011-12-30 2011-12-30 의료용 흡인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64070B2 (ko)
KR (1) KR101367004B1 (ko)
CN (1) CN104080492B (ko)
DE (1) DE112012005513T5 (ko)
WO (1) WO201310060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4326A (ko) * 2015-01-20 2017-12-06 스펙트럼 스파인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수술용 배액 시스템 및 사용 방법
WO2019139408A1 (ko) * 2018-01-12 2019-07-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성이 향상된 의료용 흡인기
KR20210142441A (ko) * 2020-05-18 2021-11-25 황민석 의료용 흡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7004B1 (ko) 2011-12-30 2014-02-24 김용찬 의료용 흡인기
CN104107463A (zh) * 2014-07-18 2014-10-22 常熟市赛爱斯医疗器材有限公司 一次性使用的负压引流器
KR101634331B1 (ko) 2014-09-02 2016-07-08 권병수 의료용 흡인기
DE102015108754B8 (de) * 2015-06-02 2018-03-22 Primed Halberstadt Medizintechnik Gmbh Einrichtung zur Drainage, insbesondere zur Drainage eines chronischen subduralen Hämatoms
RS63450B1 (sr) 2015-12-30 2022-08-31 Ascendis Pharma As Auto-injektor sa sistemom za zadržavanje kertridža
CN109788964B (zh) * 2016-07-26 2022-12-27 尼尔拉维有限公司 用于从血管移除闭塞凝块的凝块取回系统
CN108815594A (zh) * 2018-04-27 2018-11-16 周涛 一种神经外科防积血引流手术装置
CN111759425A (zh) * 2020-07-27 2020-10-13 耿凡龙 一种心内科治疗用穿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7487A (en) * 1988-12-30 1990-09-18 Baylor College Of Medicine External male urinary catheter and collection system
US5112323A (en) * 1990-02-08 1992-05-12 Snyder Laboratories, Inc. Wound evacuator
KR0134473B1 (ko) 1993-10-26 1998-04-23 배순훈 보호 마개를 가지는 뷰 파인더를 구비하는 비데오 카메라
KR0134473Y1 (ko) * 1996-07-30 1999-02-01 이근호 환자용 체액 흡인기
KR200323127Y1 (ko) * 2003-05-21 2003-08-14 주식회사 더조은 튜브용 공기 주입구
KR200339902Y1 (ko) 2003-10-21 2004-01-28 하현탁 유량조절용 이중마개
CN201356886Y (zh) 2009-03-03 2009-12-09 刘文彩 一种无创面罩
CN201631745U (zh) 2010-03-02 2010-11-17 黄凯 一种腹腔引流器
KR101116624B1 (ko) * 2010-06-03 2012-03-07 조휘성 병 마개
KR101367004B1 (ko) 2011-12-30 2014-02-24 김용찬 의료용 흡인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4326A (ko) * 2015-01-20 2017-12-06 스펙트럼 스파인 아이피 홀딩스, 엘엘씨 수술용 배액 시스템 및 사용 방법
WO2019139408A1 (ko) * 2018-01-12 2019-07-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안전성이 향상된 의료용 흡인기
KR20210142441A (ko) * 2020-05-18 2021-11-25 황민석 의료용 흡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64070B2 (en) 2017-09-19
US20140358096A1 (en) 2014-12-04
CN104080492A (zh) 2014-10-01
KR101367004B1 (ko) 2014-02-24
CN104080492B (zh) 2016-08-24
WO2013100601A1 (ko) 2013-07-04
DE112012005513T5 (de) 2014-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7004B1 (ko) 의료용 흡인기
AU2019101828A4 (en) Fluid coll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20240068587A1 (en) Valve for Regulating the Flow of A Liquid
KR101360194B1 (ko) 의료용 흡인기
US20120286187A1 (en) Valve for Regulating the Flow of A Liquid
KR100948554B1 (ko) 의료용 흡인기
KR20160027756A (ko) 의료용 흡인기
KR20140087616A (ko) 의료용 흡인기
CN110691570A (zh) 用于管理从手术引流管切口渗漏的体液的方法和装置
KR101556087B1 (ko) 배액 용기
KR101771227B1 (ko) 의료용 흡인기
KR101888826B1 (ko) 배출관을 갖는 흡인기
KR102525143B1 (ko) 의료용 흡인기
KR20190048345A (ko) 배액 주머니 어셈블리
US20130204215A1 (en) Valve for Regulating the Flow of A Liquid
US20120286186A1 (en) Valve for Regulating the Flow of A Liquid
KR101028916B1 (ko) 의료용 흡입장치
US20140214008A1 (en) Precision Venting Arrangement for Pressure Equilibration to Enhance Drainage of Medical Tubing
ES2917180T3 (es) Sistema de drenaje quirúrgico y procedimiento de uso
KR102234359B1 (ko) 의료용 흡인기
JP2021130021A (ja) 外科的ドレーン管切開部から漏洩する体液の管理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