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986A -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986A
KR20130077986A KR1020110146679A KR20110146679A KR20130077986A KR 20130077986 A KR20130077986 A KR 20130077986A KR 1020110146679 A KR1020110146679 A KR 1020110146679A KR 20110146679 A KR20110146679 A KR 20110146679A KR 20130077986 A KR20130077986 A KR 20130077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washing water
supply
wall portion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욱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7986A/ko
Publication of KR20130077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터브 하부의 세탁수를 터브 상부로 공급하는 순환공급부와, 터브 상부에 터브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순환공급부에서 공급받은 세탁수를 터브 내부로 급수하는 공급유로부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WASHING WATER CIRCULATION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세탁수를 순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조 내로 급수된 물과 세제의 작용을 이용하여 세탁조 내에 수용된 세탁물 등에 묻은 오염을 세탁, 헹굼, 탈수의 과정을 통해 세정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세탁기는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2)과, 캐비닛(2)의 개구된 상측에 설치되는 탑커버(4)와, 캐비닛(2)의 내부에 설치되는 터브(11)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세탁조(13)를 포함한다.
세탁조(13) 저면에는 펄세이터(14)가 설치되며, 세탁조(13)와 펄세이터(14)를 회전 시키는 모터(6)와, 터브(11)에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장치(8)와, 터브(11)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장치(10)가 구비된다.
세탁조(13)의 상부에는 세탁조(13)의 회전 시 세탁조(13)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세탁조(13)와 터브(11)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형의 오토 밸런스 기구(26)가 설치된다.
그리고, 터브(11)의 상부에는 세탁조(13)의 회전 시 터브(11)와 세탁조(13) 사이에서 원심력에 의해 상승되는 세탁수를 세탁조(13) 상부로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링형상의 터브커버(12)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54409호(2011.7.29.등록, 발명의 명칭 : 세탁기의 터브커버 체결구조)에 개시되어 있다.
세탁기의 급수장치는 터브의 일측에 편중되게 설치되며, 세탁수는 이러한 급수장치에 의해 편중된 위치에서 세탁에 필요한 정량만큼이 터브 내부로 낙하, 투입된다.
그리고, 터브 내부의 세탁수가 배수되면, 급수장치에 의해 다시 세탁에 필요한 정량만큼이 편중된 위치에서 터브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세탁수가 터브의 일측에 편중되게 공급되고, 세탁수의 배수가 수행되기 전 한차례의 급수만이 이루어짐에 따라, 포적심의 균일도, 세제 용해성, 세탁수의 낙차에 따른 세탁력을 향상시키는 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터브 하부에 고인 세탁수를 터브 상부로 순환하여 세탁조 내부로 낙하시켜 공급함으로써 세정력(포적심의 균일도, 세제 용해성, 세탁수의 낙차에 따른 세탁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는, 터브 하부의 세탁수를 상기 터브 상부로 공급하는 순환공급부; 및 상기 터브 상부에 상기 터브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순환공급부에서 공급받은 세탁수를 상기 터브 내부로 급수하는 공급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순환공급부는, 상기 터브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터브 하부에서 상기 공급유로부까지 연장형성되는 순환유로부; 및 상기 순환유로부상에 설치되며, 상기 터브 하부의 세탁수를 상기 공급유로부까지 상향 유동시키는 압력차를 형성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급유로부는, 상기 공급유로부의 둘레를 이루며, 수직방향 높이를 가지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 내측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내벽부; 및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사이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사이에 세탁수가 수용, 유동가능한 유로를 형성하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벽부는, 세탁수가 상기 내벽부를 넘어 상기 터브 내부로 급수가능하게 상기 외벽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내벽부는, 세탁수가 상기 내벽부를 통과하여 상기 터브 내부로 급수가능하게 상기 내벽부의 지정높이상에 관통형성된 관통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바닥부는, 상면이 상기 외벽부에서 내벽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는, 터브 하부의 세탁수를 상기 터브 상부에 설치된 터브커버로 공급하는 순환공급부; 및 상기 터브커버상에 형성되며, 상기 순환공급부에서 공급받은 세탁수를 상기 터브 내부로 급수하는 공급유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터브 하부에 고인 세탁수를 터브 상부(또는 터브커버) 둘레에 형성된 공급유로부로 이동시키고 터브의 내부 공간 전반에 걸쳐 고르게 낙하시켜 급수하는 세탁수 순환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측에 편중된 위치에서 세탁에 필요한 정량의 세탁수를 터브 내부로 투입하던 기존과 비교해, 포적심의 균일도, 세제 용해성, 세탁수의 낙차에 따른 세탁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가 세탁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를 도시한 도 2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상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가 세탁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가 세탁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가 세탁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가 세탁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를 도시한 도 2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상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30)는, 순환공급부(31)와 공급유로부(34)를 포함한다.
순환공급부(31)는, 터브(11) 상측에 설치된 급수장치(8) 또는 공급유로부(34)에서 터브(11) 내부로 낙하되어 세탁물을 적시며 터브(11) 하부에 고인 세탁수를 터브(11) 외부로 배출시켜 터브(11) 상부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순환공급부(31)는, 순환유로부(32)와 순환펌프(33)를 포함한다.
순환유로부(32)는 터브(11) 내부의 세탁수를 터브(11) 상부로 이동시키는 유로를 이루어 터브(11) 외부에 설치된다.
순환유로부(32)의 일측부는 터브(11)의 하부에 연결되고, 중간부는 터브(11) 상부에 설치된 공급유로부(34)까지 상향 연장되며, 타측부는 공급유로부(34)에 연결된다.
순환펌프(33)는 순환유로부(32)상에 설치되어 터브(11) 하부의 세탁수를 공급유로부(34)까지 강제로 상향 유동시키는 압력차를 형성한다.
순환펌프(33)는 유로에 설치되어 세탁수를 강제 유동시키는 압력차를 형성할 수 있다면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러한 펌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는 공지기술인 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공급유로부(34)는 원통형 터브(11) 상부에 터브(11) 둘레를 따라 링형상으로 형성되며, 순환공급부(31)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아 터브(11) 내부로 낙하시키며 급수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공급유로부(34)는, 외벽부(35), 내벽부(37), 바닥부(38)를 포함한다.
외벽부(35)는 공급유로부(34)의 둘레를 이루는 부분으로, 수직방향(도 2, 3에서 상하방향) 높이를 가지며, 순환공급부(31) 보다 구체적으로는 순환유로부(32)의 상단부가 연통되게 연결되는 유입홀부(36)가 관통형성된다.
내벽부(37)는 외벽부(35)보다 낮은 수직방향 높이로 외벽부(35) 내측에 이격되게 형성된다.
바닥부(38)는 외벽부(35)와 내벽부(37)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여 하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유로를 이루며, 외벽부(35)와 내벽부(37) 사이에 외벽부(35)와 내벽부(37)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된다.
바닥부(38)의 상측, 즉 외벽부(35)와 내벽부(37) 사이에는, 외벽부(35)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홀부(36)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공급유로부(34)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유동되어 수용가능한 링형상의 연속된 유로가 형성된다.
바닥부(38)의 상면은 외벽부(35)에서 내벽부(37)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외벽부(35)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바닥부(38)의 상면을 타고 내벽부(37)측으로 자연히 유동될 수 있으며, 세탁수가 내벽부(37)측으로 편중되어 수용되므로 내벽부(37)를 통한 터브(11) 내 급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세탁기 구동 중에 터브(11)나 공급유로부(34)에 미량의 기울어짐이 발생되더라도, 내벽부(37)에 세탁수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내벽부(37)를 통한 터브(11) 내 급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벽부(37)가 외벽부(35)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가짐에 따라, 공급유로부(34) 내부로 공급되는 세탁수 중 내벽부(37)의 높이를 초과하는 유량만큼이 자연히 내벽부(37)를 넘어 터브(11) 내부로 낙하, 급수된다.
내벽부(37)는 터브(11)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는 링형상을 가지므로, 내벽부(37) 전체가 균일한 높이를 가지는 경우, 360°전(全)방향에 걸쳐 균일하게 터브(11) 내부로의 세탁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내벽부(37)의 높이가 균일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형성된 물결형상을 가지는 경우,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부분에서 터브(11) 내부로의 세탁수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가 세탁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30)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30)와 차이점을 가지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구조와 작용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30)는, 내벽부(37)의 지정높이상에 관통홀부(39)가 관통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순환공급부(31)를 통해 공급유로부(34)로 유입된 세탁수는, 관통홀부(39)를 통해 내벽부(37)를 통과(관통)하여 터브(11) 내부로 급수된다.
그리고, 내벽부(37)의 수직방향 높이와는 무관하게, 관통홀부(39)의 높이, 위치, 크기, 형상, 갯수에 따라 터브(11)내 세탁수 공급 형태가 결정된다.
일례로, 관통홀부(39)를 내벽부(37)의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벽부(35)와 내벽부(37) 사이로 다량의 세탁수가 유입되면, 외벽부(35)와 내벽부(37) 사이에 수용되는 세탁수의 수위에 비례하는 수압의 작용에 의해 터브(11) 내부로 세탁수를 보다 강한 압력, 빠른 속도로 분사하며 공급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복수의 관통홀부(39)를 내벽부(37)의 연장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배열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11)의 상부 둘레 중 관통홀부(39)가 형성된 복수의 개소에서 관통홀부(39)를 통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세탁수 분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터브(11) 내 세탁수 공급이 360°전(全)방향에서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관통홀부(39)를 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벽부(35)와 내벽부(37) 사이로 미량의 세탁수가 유입되면, 관통홀부(39) 하부의 좁은 폭을 통해 미량의 유량(단위시간당 유체 흐름량)으로 터브(11) 내에 세탁수를 공급하면서 세탁수 공급을 지속할 수 있다.
또한, 외벽부(35)와 내벽부(37) 사이로 다량의 세탁수가 유입되면, 공급유로부(34) 내 수위가 높아지면서 관통홀부(39) 중간부의 확장된 폭을 통해 다량의 유량으로 터브(11) 내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어, 공급유로부(34) 내 세탁수의 과다 충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가 세탁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30)는, 공급유로부(34)가 터브커버(12)상에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터브커버(12)는 세탁조(13)의 회전 시 터브(11)와 세탁조(13) 사이에서 원심력에 의해 상승되는 세탁수를 세탁조(13) 상부로 분사되도록 안내하는 링형상의 부품이다.
순환공급부(31)는, 터브(11) 상측에 설치된 급수장치(8) 또는 공급유로부(34)에서 터브(11) 내부로 낙하되어 세탁물을 적시며 터브(11) 하부에 고인 세탁수를 터브(11) 외부로 배출시켜 터브커버(12)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순환공급부(31)는, 순환유로부(32)와 순환펌프(33)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순환공급부(31)의 구성, 작용과 동일한 바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공급유로부(34)는 터브(11) 상부에 대응되는 링형상을 가지는 터브커버(12)상에, 터브커버(12)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며, 순환공급부(31)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아 터브(11) 내부로 낙하시키며 급수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공급유로부(34)는, 외벽부(35), 내벽부(37), 바닥부(38)를 포함한다.
외벽부(35)와 내벽부(37)는 상호 이격간격을 두고 터브커버(12) 상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바닥부(38)는 외벽부(35)와 내벽부(37) 사이에 위치되는 터브커버(12)의 상면부가 된다.
내벽부(37)는 외벽부(35)보다 낮은 수직방향 높이를 가지며,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공급유로부(34)의 구성과 작용은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공급유로부(34)의 구성, 작용과 동일한 바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하면, 터브(11) 상부에 본 발명의 공급유로부(34)에 해당되는 부품을 별도로 제작하여 설치할 필요없이, 터브커버(12)와 공급유로부(34)를 연결시킨 일체형 구조로 터브커버(12)를 제작하여 간단하게 그 적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비교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면, 터브커버(12)의 유무나 형상과 무관하게, 터브(12) 상부에 본 발명의 공급유로부(34)에 해당되는 부품을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사양의 세탁기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가 세탁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30)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상기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30)와 차이점을 가지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동일한 구조와 작용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30)는, 내벽부(37)의 지정높이상에 관통홀부(39)가 관통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순환공급부(31)를 통해 공급유로부(34)로 유입된 세탁수는, 관통홀부(39)를 통해 내벽부(37)를 통과(관통)하여 터브(11) 내부로 급수된다.
그리고, 내벽부(37)의 수직방향 높이와는 무관하게, 관통홀부(39)의 높이, 위치, 크기, 형상, 갯수에 따라 터브(11)내 세탁수 공급 형태가 결정된다.
관통홀부(39)의 높이, 위치, 크기, 형상, 갯수에 따른 터브(11)내 세탁수 공급 형태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30)에 관한 설명에서 이미 서술된 바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의 중복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 : 터브 12 : 터브커버
30 :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31 : 순환공급부
32 : 순환유로부 33 : 순환펌프
34 : 공급유로부 35 : 외벽부
36 : 유입홀부 37 : 내벽부
38 : 바닥부 39 : 관통홀부

Claims (6)

  1. 터브 하부의 세탁수를 상기 터브 상부로 공급하는 순환공급부; 및
    상기 터브 상부에 상기 터브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순환공급부에서 공급받은 세탁수를 상기 터브 내부로 급수하는 공급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순환공급부는,
    상기 터브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터브 하부에서 상기 공급유로부까지 연장형성되는 순환유로부; 및
    상기 순환유로부상에 설치되며, 상기 터브 하부의 세탁수를 상기 공급유로부까지 상향 유동시키는 압력차를 형성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유로부는,
    상기 공급유로부의 둘레를 이루며, 수직방향 높이를 가지는 외벽부;
    상기 외벽부 내측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내벽부; 및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사이에 연속하여 형성되며,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사이에 세탁수가 수용, 유동가능한 유로를 형성하는 바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는,
    세탁수가 상기 내벽부를 넘어 상기 터브 내부로 급수가능하게 상기 외벽부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부는,
    세탁수가 상기 내벽부를 통과하여 상기 터브 내부로 급수가능하게 상기 내벽부의 지정높이상에 관통형성된 관통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면이 상기 외벽부에서 내벽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6. 터브 하부의 세탁수를 상기 터브 상부에 설치된 터브커버로 공급하는 순환공급부; 및
    상기 터브커버상에 형성되며, 상기 순환공급부에서 공급받은 세탁수를 상기 터브 내부로 급수하는 공급유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순환공급부는,
    상기 터브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터브 하부에서 상기 공급유로부까지 연장형성되는 순환유로부; 및
    상기 순환유로부상에 설치되며, 상기 터브 하부의 세탁수를 상기 공급유로부까지 상향 유동시키는 압력차를 형성하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KR1020110146679A 2011-12-30 2011-12-30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KR20130077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679A KR20130077986A (ko) 2011-12-30 2011-12-30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679A KR20130077986A (ko) 2011-12-30 2011-12-30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986A true KR20130077986A (ko) 2013-07-10

Family

ID=4899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679A KR20130077986A (ko) 2011-12-30 2011-12-30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79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7522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apparatus
US7677062B2 (en) Washing machine with spraying device
JP5799200B2 (ja) ドラム式洗濯機
US9885140B2 (en) Foreign object trap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KR20090107223A (ko) 세탁장치
KR20120071528A (ko) 세탁기
KR20120028770A (ko) 세탁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18068A (ko) 신발 세척장치
US20140208810A1 (en) Drum Washing Machine
KR20100059370A (ko) 세탁기
EP2468940B1 (en) Detergent cas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6548872B2 (ja) 洗濯機
KR10232552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30077986A (ko)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KR100655214B1 (ko) 세탁 기구
US11384472B2 (en)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KR10241332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03858B1 (ko) 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JP2013141551A (ja) 洗濯機
JP5802822B2 (ja) 洗濯機
JP6225337B2 (ja) 洗濯機
CN110050094A (zh) 洗衣机的控制方法
KR100336127B1 (ko) 드럼세탁기
WO2016084280A1 (ja) 洗濯機
KR101154989B1 (ko) 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