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495A -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495A
KR20130077495A KR1020110146227A KR20110146227A KR20130077495A KR 20130077495 A KR20130077495 A KR 20130077495A KR 1020110146227 A KR1020110146227 A KR 1020110146227A KR 20110146227 A KR20110146227 A KR 20110146227A KR 20130077495 A KR20130077495 A KR 20130077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particles
crucible
silicon carbide
carbon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6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1170B1 (ko
Inventor
신동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6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1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77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90Carbides
    • C01B32/914Carbides of single elements
    • C01B32/956Silicon carb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0Cruci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및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은 탄소를 포함하는 고상 탄소원 입자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원 입자들에 규소를 포함하는 규소원 기체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SILICON CARBIDE}
실시예는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화규소는 최근에 다양한 전자 소자 및 목적을 위한 반도체 재료로서 사용되고 있다. 탄화규소는 특히 물리적 강도 및 화학적 공격에 대한 높은 내성으로 인해 유용하다. 탄화규소는 또한 방사 경도(radiation hardness), 비교적 넓은 밴드갭, 높은 포화 전자 드리프트 속도(saturated electron drift velocity), 높은 조작 온도, 및 스펙트럼의 청색(blue), 보라(violet), 및 자외(ultraviolet) 영역에서의 높은 에너지 양자의 흡수 및 방출을 포함하는 우수한 전자적 성질을 가진다.
탄화규소 분말은 규소원(Si source)과 탄소원(C source) 등의 원료를 혼합한 후 가열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탄화규소 분말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애치슨법, 탄소열환원공법, 액상고분자열분해법, 직접반응법(direct reaction) 또는 CVD 공법 등이 공지기술로서 알려져있다. 특히 고순도의 탄화규소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액상고분자열분해법 또는 탄소열환원공법을 이용하였다.
상기 여러 공법 중 직접반응법의 경우에는 탄소(C)와 규소(Si)를 직접 반응하여 탄화규소 분말을 합성하는 방법으로서, 다른 공법에 비해 고순도의 탄화규소 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는 원하는 크기로 높은 순도의 탄화 규소 입자를 제조할 수 있는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은 탄소를 포함하는 고상 탄소원 입자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원 입자들에 규소를 포함하는 규소원 기체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탄화 규소 제조장치는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의 주위를 둘러싸는 외벽부; 및 상기 외벽부로부터 연장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과 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른 탄화 규소 제조방법은 상기 탄소원 입자들에 규소원 기체를 직접 공급하여, 탄화 규소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은 상기 탄소원 입자들의 직경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입도를 가지는 탄화 규소 입자들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원 입자들로 흑연 입자들이 사용되고, 상기 규소원 기체로 실란 기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흑연 및 실란이 직접 반응하여, 탄화 규소가 형성되므로, 실시예에 따른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은 향상된 순도의 탄화 규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탄화 규소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가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탄화 규소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부, 챔버, 도가니 또는 원료가 부, 챔버, 도가니 또는 원료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탄화 규소 제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가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탄화 규소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탄화 규소의 제조장치는 챔버(100), 도가니(200), 유도 가열부(300), 규소원 공급부(400) 및 진공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100)는 상기 도가니(200)를 수용한다. 상기 챔버(100)는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챔버(100)의 진공에 가깝게 감압될 수 있다.
상기 도가니(200)는 상기 챔버(100) 내에 배치된다. 상기 도가니(200)는 탄화 규소를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수용한다. 또한, 상기 도가니(200)는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도가니(200)는 외벽부(210), 바닥부(220) 및 캡핑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외벽부(210)는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둘러싼다. 즉, 상기 외벽부(210)는 탄화 규소를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둘러싼다. 상기 외벽부(210)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닥부(220)는 상기 외벽부(210)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바닥부(220)는 상기 외벽부(210)의 하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바닥부(220)는 탄화 규소를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지지한다. 상기 바닥부(220)는 상기 외벽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20)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닥부(220)에는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21)은 상기 도가니(200)의 내부, 즉, 탄화 규소를 형성하기 위한 원료를 수용하는 공간까지 관통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21)은 상기 바닥부(220)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홀(221)은 상기 바닥부(22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221)의 직경은 약 5㎜ 내지 약 10㎜일 수 있다. 상기 관통홀(221)을 통하여, 상기 도가니(200) 내부로 탄화 규소를 형성하기 위한 원료 기체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캡핑부(230)는 상기 외벽부(2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캡핑부(230)는 상기 바닥부(220)에 대향된다. 상기 캡핑부(230)는 상기 외벽부(210)의 입구를 덮는다. 상기 캡핑부(230)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외벽부(210), 상기 바닥부(220) 및 상기 캡핑부(230)는 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외벽부(210), 상기 바닥부(220) 및 상기 캡핑부(230)는 흑연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부(210), 상기 바닥부(220) 및 상기 캡핑부(230)는 복수의 기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벽부(210), 상기 바닥부(220) 및 상기 캡핑부(230)는 다공질의 흑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부(300)는 상기 도가니(200)를 가열시킨다. 상기 유도 가열부(300)는 전자기 유도에 의해서, 상기 도가니(200)를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부(300)는 상기 챔버(100)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규소원 공급부(400)는 상기 챔버(10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규소원 공급부(400)는 상기 도가니(200)의 내부로 원료 기체를 공급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규소원 공급부(400)는 노즐 등을 통하여, 상기 관통홀(221)에 원료 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도가니(200) 내부로 원료 기체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진공부(500)는 상기 챔버(1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공부(500)는 상기 챔버(100) 내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상기 진공부(500)는 상기 챔버(100) 내의 기체를 빨아들일 수 있다. 상기 진공부(500)에 의해서, 상기 챔버(100) 내의 압력은 약 10mbar이하로 감소될 수 있다.
탄화 규소는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가니(200) 내에 탄소원 입자들(10)이 채워진다. 상기 탄소원 입자들(10)은 흑연 입자들일 수 있다. 상기 탄소원 입자들(10)의 직경은 약 10㎛ 내지 약 500㎛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탄소원 입자들(10)의 직경은 약 10㎛ 내지 약 100㎛일 수 있다. 또한, 원료 기체의 흐름 속도가 향상되기 위해서, 상기 탄소원 입자들(10)의 직경은 약 100㎛ 내지 약 500㎛일 수 있다.
상기 탄소원 입자들(10)의 직경이 약 10㎛ 미만인 경우, 상기 탄소원 입자들(10) 사이의 공간이 너무 작아서, 규소원 기체가 상기 탄소원 입자들(10)에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탄소원 입자들(10)의 직경이 약 500㎛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탄소원 입자들(10)의 일부는 반응되지 않을 수 있다.
이후, 상기 탄소원 입자들(10)이 채워진 도가니(200)는 상기 챔버(100) 내에 배치된다.
이후, 상기 진공부(500)에 의해서, 상기 챔버(100) 내의 압력은 약 10mbar이하로 감소되고, 상기 유도 가열부(300)에 의해서, 상기 도가니(200)의 온도는 약 1200℃ 내지 약 2400℃로 상승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규소원 공급부(400)를 통하여, 상기 관통홀(221)을 통하여, 상기 도가니(200) 내부에 규소를 포함하는 규소원 기체가 공급된다. 상기 규소원 기체의 예로서는 실란(SiH4), 이염화실란(dichlorosilane;SiH2Cl2), 삼염화실란(trichlorosilane;SiHCl3), 디메틸디클로로실란(dimethyldichlorosilane;Si(CH3)2Cl2), 사염화 규소(SiCl4), 팔염화규소(Si3Cl8) 또는 일산화 규소(SiO)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규소원 기체는 실란 기체일 수 있다.
상기 규소원 기체는 약 0.1sccm 내지 약 100sccm의 속도로 공급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규소원 기체는 약 10sccm 내지 약 50sccm의 속도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규소원 기체의 공급 속도가 0.1sccm 미만인 경우, 공정 시간이 너무 길어지고, 반응이 완료되지 않고, 남은 탄소원 입자들(10)의 양이 너무 많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규소원 기체의 공급 속도가 100sccm을 초과하는 경우, 화학 양론 반응 제어가 어려워 고품질의 탄화 규소가 제조되기 힘들다.
이와 같은 반응 시간은 약 0.5시간 내지 약 10시간 일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반응 시간은 약 2시간 내지 5시간 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화 규소(2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221)이 상기 바닥부(220)의 중심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경우, 탄화 규소(20)는 방사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진공부(500)가 상기 챔버(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규소원 공급부(400)는 상기 챔버(100)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서, 탄화 규소(20)는 상기 관통홀(221)로부터 상방으로 방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원 입자들(10)의 일부(11)는 반응되지 않고, 남아 있을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탄화 규소 제조장치는 고상/기상 직접 반응에 의해서, 탄화 규소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탄화 규소 제조장치는 상기 탄소원 입자들의 직경을 적절하게 제어하여, 최종 탄화 규소 입자들의 직경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탄화 규소 제조방법은 상기 탄소원 입자들 및 상기 규소원 기체들을 직접 반응시키므로, 추가적인 불순물이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탄화 규소 제조방법은 향상된 순도의 탄화 규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탄소원 입자들로 흑연 입자들이 사용되고, 상기 규소원 기체로 실란 기체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흑연 및 실란이 직접 반응하여, 탄화 규소가 형성되므로, 실시예에 따른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은 향상된 순도의 탄화 규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부(500) 및 상기 규소원 공급부(400)가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221)이 상기 바닥부(220)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규소원 기체의 자연적인 흐름에 의해서, 탄화 규소가 효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탄소를 포함하는 고상 탄소원 입자들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탄소원 입자들에 규소를 포함하는 규소원 기체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 입자들은 흑연 입자들인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소원 기체는 실란, 이염화실란, 삼염화실란, 디메틸디클로로실란, 사염화 규소, 팔염화규소 또는 일산화 규소로부터 선택되는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 입자들의 직경은 10㎛ 내지 500㎛인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 입자들은 도가니 내에 채워지고,
    상기 규소원 기체는 상기 도가니 내로 공급되는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는
    상기 탄소원 입자들의 주위를 둘러싸는 외벽부; 및
    상기 외벽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탄소원 입자들을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규소원 기체는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통하여 상기 도가니 내부로 공급되는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는 상기 바닥부에 대향되는 캡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 상기 외벽부 및 상기 캡핑부는 복수의 기공들을 포함하는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 상기 외벽부 및 상기 캡핑부는 흑연을 포함하는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9.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의 주위를 둘러싸는 외벽부; 및
    상기 외벽부로부터 연장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과 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탄화 규소 제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직경은 5㎜ 내지 10㎜인 탄화 규소 제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바닥부와 마주보는 캡핑부를 포함하는 탄화 규소 제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부,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캡핑부는 흑연을 포함하는 탄화 규소 제조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바닥부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탄화 규소 제조장치.
KR1020110146227A 2011-12-29 2011-12-29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931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227A KR101931170B1 (ko) 2011-12-29 2011-12-29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6227A KR101931170B1 (ko) 2011-12-29 2011-12-29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495A true KR20130077495A (ko) 2013-07-09
KR101931170B1 KR101931170B1 (ko) 2018-12-24

Family

ID=4899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6227A KR101931170B1 (ko) 2011-12-29 2011-12-29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1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4487A (zh) * 2021-09-15 2021-12-10 哈尔滨科友半导体产业装备与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改进pvt法生长碳化硅单晶的热场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7285B2 (ja) * 1999-04-28 2010-12-15 昭和電工株式会社 炭化珪素単結晶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028274B2 (ja) * 2002-03-26 2007-12-26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耐食性材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4487A (zh) * 2021-09-15 2021-12-10 哈尔滨科友半导体产业装备与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改进pvt法生长碳化硅单晶的热场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170B1 (ko) 201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09342B1 (en) Method for producing heat-resistant composite material
JP6272360B2 (ja) バナジウムドープ単結晶およびその成長方法
US20170158516A1 (en) Fluidized-bed reactor and process for preparing granular polycrystalline silicon
KR101897062B1 (ko) 탄화규소 에피 웨이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126569A (ko) 화학 증착 반응기의 가스 분배 시스템 및 방법
JP2017152426A (ja) 成膜方法
JP5265985B2 (ja) 単結晶成膜方法
US20180297852A1 (en) Fluidized bed reactor and process for producing polycrystalline silicon granules
KR101238284B1 (ko) 무촉매 나노와이어 제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2069559A (ja) 成膜装置
KR101931170B1 (ko) 탄화 규소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1926694B1 (ko) 탄화규소 에피 웨이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36171B1 (ko) 탄화규소 에피 웨이퍼 제조 방법 및 탄화규소 에피 웨이퍼
JP2006028625A (ja) Cvd装置
KR101926678B1 (ko) 탄화규소 에피 웨이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16289B1 (ko) 탄화규소 증착 방법
KR101936170B1 (ko) 탄화규소 에피 웨이퍼 제조 방법
TWI546427B (zh) 形成多晶矽的方法
KR101931163B1 (ko) 탄화 규소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20130089490A1 (en) Method and device
KR102203025B1 (ko) 탄화규소 에피 웨이퍼 제조 방법
KR20130065945A (ko) 탄화규소 증착 방법
KR20130065482A (ko) 탄화규소 증착 방법
KR101931188B1 (ko)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KR101829800B1 (ko) 증착 장치 및 증착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