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7157A -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 - Google Patents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7157A
KR20130077157A KR1020110145716A KR20110145716A KR20130077157A KR 20130077157 A KR20130077157 A KR 20130077157A KR 1020110145716 A KR1020110145716 A KR 1020110145716A KR 20110145716 A KR20110145716 A KR 20110145716A KR 20130077157 A KR20130077157 A KR 20130077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gas
fuel
storage tank
b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겸
김현진
최정호
박대훈
유창열
김선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7157A/ko
Publication of KR20130077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71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4Constructional features of bunkers, e.g. structural fuel tanks, or ballast tanks, e.g. with elastic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50Measures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related to the propulsion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는, 선체에 마련되며 내부에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저장탱크(210), 선체의 연돌(240)에 마련되며 상기 저장탱크(210)에서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연료로 전기화학 반응을 일으켜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 전지 유닛(220) 및 폭발이나 화재시에 선박에로의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연돌의 선미 방향에 배치되어 증발가스가 압축 저장되며 상기 연료 전지 유닛에 공급되는 상기 연료의 공급 중단시 압축 저장된 증발가스를 연료 전지 유닛으로 공급하는 버퍼 가스 유닛(2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ARRANGEMENT METHOD OF FUEL STROAGE TANK IN THE SHIP LOADED FUEL CELL}
본 발명은,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의 연료 전지에 연료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연료 전지를 정지 없이 가동시킬 수 있는 선박용 연료전지의 버퍼가스시스템과 폭발시의 선박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연료저장탱크의 배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는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반응물(수소와 산소)의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장치로서 환경 조화성이 우수하고 높은 발전효율이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저온형과 고온형으로 분류되며, 고온형의 대표적인 예로는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가 있다.
고온형 연료전지의 특징을 간략히 살펴보면, MCFC의 경우 천연가스, 석탄가스 등 다양한 연료의 사용이 가능하며, 연소과정 없이 650℃ 내외의 고온에서 연료를 바로 전기로 바꾸는 전기화학 반응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경우는 천연가스, 석탄가스, 메탄올 등 다양한 연료의 사용과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하므로, 연료전지의 후단에서 발생하는 고온 고압의 스팀을 이용하여 복합발전이 가능하다.
또한, 연소과정이 없고 연료에서 전기로 직접 발전되는 관계로 소음 및 대기오염 물질 배출이 적어 차세대 발전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MCFC의 단위셀(unit cell)은, 전기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애노드(anode) 및 캐소드(cathode)와, 연료가스와 산화제 가스의 유로를 형성하는 분리판과, 전하를 포집하는 집전판과, 적층의 편의를 위해 시트의 형태로 제작되는 전해질판과, 용융된 탄산염을 수용하는 매트릭스로 구성되며, 애노드로 연료가스를 공급하고 캐소드로 산화제 가스를 공급하면 각각의 전극에서 전기 화학 반응이 발생하여 직류 전력이 얻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상용 연료전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외부에서 공급되는 천연가스는 가스히터(110)에서 예열된 후 가습기(120)로 공급된다. 가습기(120)는 공급되는 액체를 기화시킨 후 예열된 천연가스와 혼합시켜 예열된 천연가스를 수분이 함유된 천연가스로 만든다.
수분이 함유된 천연가스는 개질기(130)에서 수소와 이산화탄소로 개질되어 연료 전지(140)로 공급된다. 연료 전지(140)에서는 개질기(130)에서 공급되는 수소 및 이산화탄소와 송풍기(150) 및 공기히터(16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기초로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전력을 생산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는 천연가스 또는 탄화수소 물질의 개질을 통해 생성된 수소를 연료로 연료전지시스템에 공급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는 연료저장탱크나 액화천연가스 가스 라인을 통해 계속해서 연료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해상을 운행하는 선박의 경우에는 선박에 저장되는 연료의 한도 내에서 연료전지시스템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고, 선박의 운항 모드에 따라 연료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연료 전지 시스템의 작동을 중단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연료 공급이 중단되어 연료전지시스템이 정지 모드가 되었을 경우 다시 전력 생산 모드로 돌아가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1-48214호(삼성중공업 주식회사) 2011. 05. 1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연료 전지에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연료 전지의 작동 정지 없이 계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는 선박용 연료 전지의 버퍼가스 유닛을 확보하면서, 증발가스 저장탱크에서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선체로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마련되며 내부에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상기 선체의 연돌에 마련되며 상기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Boil-Off Gas)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 전지 유닛 및 상기 연돌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증발가스가 저장되어 상기 연료 전지 유닛에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 중단시 상기 저장된 증발가스를 상기 연료 전지 유닛으로 공급하는 버퍼 가스 유닛을 포함하는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버퍼 가스 유닛은, 상기 연돌의 일측에 마련되며 연돌과의 사이에 방호벽이 설치된 플랫폼, 상기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상기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상기 증발가스가 저장되는 증발가스 저장탱크 및 상기 증발가스 저장탱크와 상기 연료전지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유로에 마련되며 상기 연결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료 전지 유닛은 또한, 상기 증발가스를 수소와 이산화탄소로 개질시키는 개질기, 애노드로 공급되는 상기 수소 및 상기 이산화탄소와 캐소드로부터 공급되는 산소의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 전지,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되게 하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통해서 상기 연료전지로 공급되는 상기 공기가 가열되는 공기히터 및 상기 저장탱크 또는 상기 버퍼 가스 유닛에서 공급되는 상기 증발가스가 가습되는 가습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 가스 유닛은,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개질기를 연결하는 연결유로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가 연결유로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밸브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돌의 일측에 마련되는 상기 플랫폼은 상기 연돌과의 사이에 상기 방호벽으로 차단되며 상기 연돌의 선미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체 내의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된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상기 증발가스가 저장되어, 상기 연료 전지에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중단시 저장된 상기 증발가스를 상기 연료 전지에 공급하여 상기 연료전지를 정지 없이 가동되게 하는 선박용 연료전지의 상기 버퍼가스 유닛이, 선체 외부에 배치되고 방호벽에 의해 선박 안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연료전지의 연료저장탱크 배치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연료 전지에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연료 전지의 작동 정지 없이 계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어 연료 전지의 가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버퍼가스 유닛이 연돌의 일측에 설치됨으로써 증발가스 저장탱크에서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선체로의 피해확산을 차단하여 선박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상용 연료전지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의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박용 연료전지의 연료전지 유닛과 버퍼가스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의 배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연료전지의 연료전지 유닛과 버퍼가스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의 배치구조는, 선체에 마련되고 내부에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저장탱크(210)와, 선체의 연돌(240)에 마련되며 저장탱크(210)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Boil-Off Gas)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전지 유닛(220)과, 연돌(240)의 부근에 배치되어 증발가스가 저장되어 연료전지 유닛(220)에 연료공급 중단시 저장된 증발가스를 연료전지 유닛(220)으로 공급하는 버퍼가스 유닛(23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증발가스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중 자연적으로 액화천연가스가 증발된 가스로서,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210)에서 증발가스는 약 0.05 vol%/day가 발생하며, 종래 액화천연가스운반선의 운항시 시간당 4 내지 6 톤(t), 한번 운항시 약 300톤의 액화천연가스가 증발가스화되어 왔다. 연료전지탑재 선박은 이러한 증발가스를 개질하여 연료전지(223)에 연료로 공급함으로써 선박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고가의 증발가스 재액화장치 설치 비용부담을 줄인 선박이다.
본 실시예에서 연돌(240)이란 선박에서 엔진을 비롯한 각종 기기 가동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통풍 배연 및 배기가스의 확산, 희석을 목적으로 하는 부속설비이며 대개 선상의 선미 방향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연돌(240)에 선체 내 저장탱크(210)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이용하는 연료전지 유닛(220)을 배치하는 한편, 증발가스의 공급중단이 발생하는 경우 연료전지(223)의 가동 중단을 막을 수 있도록 연돌(240)의 부근에 증발가스를 압축저장하는 버퍼가스유닛(230)을 통해 연료를 비상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연돌(240)의 부근이라 함은 연돌(240)의 일측에 접촉하거나 또는 유로를 통해서 연료전지 유닛(220)으로 저장된 증발가스를 공급할 수 있을 정도의 거리 이내인 경우를 의미한다. 이를 통해 연료전지(223)의 급작스런 가동 중단을 막음으로써, 선박 내 전기 공급 중단을 방지하는 한편 연료전지(223)의 성능저하를 막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버퍼 가스 유닛(230)은 연돌(240)과의 사이에 방호벽(235)으로 차단되는 연돌(240) 일측의 플랫폼(236)과, 저장탱크(210)로부터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231)와, 압축기(231)에서 압축된 증발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증발가스 저장탱크(232)와, 증발가스 저장탱크(232)와 연료전지 유닛(220)을 연결하는 버퍼연결유로(L1)에 마련되어 버퍼연결유로(L1)를 개폐하는 밸브(233)를 포함한다.
버퍼가스 유닛(230)에는 또한 저장탱크(210)와 개질기(222)를 연결하는 연결유로(L2)에 마련되어 저장탱크(210)에서 발생된 증발가스가 연결유로(L2)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센서(234)가 배치되며, 센서(234)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의해 버퍼연결유로(L1)에 있는 밸브(233)를 개폐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퍼 유닛(230)의 밸브(233)는, 연결유로(L2)를 통해 증발가스가 연료 전지(223)로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경우 닫혀진 상태에 있어 증발가스 저장탱크(232)에 저장된 증발가스는 연료 전지(223)로 공급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연결유로(L2)를 통해서 증발가스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센서(234)는 이를 인식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에서는 전술한 신호를 기초로 버퍼연결유로(L1)에 마련된 밸브(233)를 개방시켜 증발가스 저장탱크(232)에 저장된 증발가스가 가습기(221)에 공급되도록 한다. 가습기(221)로 공급된 증발가스는 가습기(221) 및 개질기(222)를 거친 후 연료 전지(223)의 연료로 사용된다.
가습기(221)는 연료 전지(223)에 연료로 공급되는 가스(수소 또는 산소)를 가습하여 공급함으로써 연료 전지(223)가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플랫폼(236)은 연돌(240)과의 사이에 방호벽(235)이 설치되어 연돌(240)과 차단되며, 특히 연돌(240)의 선미 방향으로 향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증발가스 저장탱크(232)가 플랫폼(236)에 설치될 수 있다. 플랫폼(236)이 전술한 바와 같이 연돌(240)의 선미 방향에 배치되고 방호벽(235)에 의해 연돌(240)과 차단됨으로써, 플랫폼(236)에 설치된 증발가스 저장탱크(232)의 폭발이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선박의 선수 또는 선체 내로 피해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가연성, 폭발성 연료의 화재나 폭발시의 피해 확산 억제는 선박 자체의 안전확보뿐 아니라 선박 사고발생시 주변 지역의 안전 및 환경 보호를 위해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또 본 실시예의 연료전지 유닛(220)은 증발가스를 수소와 이산화탄소로 개질시키는 개질기(222)와, 애노드로부터 공급되는 수소 및 이산화탄소와 캐소드로부터 공급되는 산소의 전기화학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 전지(223)와, 외부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는 송풍기(224)와, 송풍기(224)를 통해 연료전지(223)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공기히터(225)와, 저장탱크(210) 또는 버퍼가스 유닛(230)에서 공급되는 증발가스를 가습하는 가습기(221)를 포함한다.
연료 전지 유닛(220)의 개질기(222)는, 증발가스를 수소와 이산화탄소로 개질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는 공급되는 물(순수)과 후술하는 가습기(221)에서 혼합되어 습분 연료로 상변환 된다.
이후 습분 연료는 개질되며 메탄을 제외한 고 탄화수소(hydrocarbon)가 제거된다. 메탄가스로 개질된 연료가스는 공급되는 열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수소로 개질된다.
연료 전지 유닛(220)의 연료 전지(223)는, 개질된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애노드(anode)측으로 공급받아 캐소드(cathode)측으로부터 후술하는 송풍기(224) 및 공기히터(225)를 통해 공급되는 산소를 함유하는 산화 가스와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전기를 얻는 역할을 한다.
즉 연료전지(223)의 애노드측은 적어도 수소를 함유하는 연료 가스를 공급받고, 연료 전지(223)의 캐소드측은 적어도 산소를 함유하는 산화 가스의 공급을 받는다. 수소를 함유하는 연료 가스와 산소를 함유하는 산화 가스의 산화 환원 반응에 의해 전기를 얻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료 전지 유닛(220)은 선체의 연돌(240)에 설치됨으로써 송풍기(224)를 통한 공기의 유입이 수월해지고 연료전지(223)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배출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연료전지의 연료저장탱크 배치 구조의 사용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연료 전지(223)로 정상적으로 증발가스가 공급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저장탱크(210)에서 생성된 증발가스는 연결유로(L2)를 통해 가습기(221)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증발가스는 압축기(231)를 통해 압축된 후 증발가스 저장탱크(232)에 저장되며, 증발가스 저장탱크(232)에 저장된 증발가스는 닫혀진 밸브(233)에 의해 가습기(221)로 공급되지 않는다.
가습기(221)로 공급된 증발가스는 가습기(221)에서 기화되는 액체와 혼합되어 습분 증발가스가 된다. 습분 증발가스는 개질기(222)로 공급되어 개질기(222)에서 수소와 이산화탄소로 개질되며, 개질된 수소와 이산화탄소는 연료 전지(223)로 공급된다.
연료 전지(223)의 애노드는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공급받아 송풍기(224) 및 공기히터(225)를 통해 캐소드로 공급되는 산소를 함유하는 산화 가스와 작용을 일으켜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킨다.
한편 연결유로(L2)를 통해 증발가스의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센서(234)는 이를 인식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에서는 전술한 신호를 기초로 버퍼연결유로(L1)에 마련된 밸브(233)를 개방시켜 증발가스 저장탱크(232)에 저장된 증발가스가 가습기(221)에 공급되도록 한다. 가습기(221)로 공급된 증발가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습기(221) 및 개질기(222)를 거친 후 연료 전지(223)의 연료로 사용된다.
연료전지 유닛(220)은 선체의 연돌(240)에 설치되며, 증발가스 저장탱크(232)는 연돌(240)과의 사이가 방호벽(235)으로 차단되며 연돌(240)에 마련되어 선미 방향으로 배치된 플랫폼(236)에 설치된다. 연료전지(223)에 저장탱크(210)로부터 연료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증발가스 저장탱크(232)로부터 연료전지(223)로 증발가스가 비상공급된다. 증발가스 저장탱크(232)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랫폼(236)에 배치됨으로써, 증발가스 저장탱크(232)의 화재나 폭발시에도 피해가 선체로 확대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연료 전지에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이 중단된 경우에도 버퍼 가스 유닛에 의해 연료 전지의 작동 정지 없이 계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어 연료 전지의 가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연료전지(223)를 연돌(240)에 설치하고 버퍼 가스 유닛을 선체 외부의 방호벽(235)이 설치된 개방된 플랫폼(236)에 설치함으로써 폭발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에 선체로 피해확산을 방지하여 선박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H : 선체
210 : 저장탱크
220 : 연료전지유닛
221 : 가습기
222 : 개질기
223 : 연료전지
224 : 송풍기
225 : 공기히터
230 : 버퍼가스유닛
231 : 압축기
232 : 증발가스 저장탱크
233 : 밸브
234 : 센서
235 : 방호벽
236 : 플랫폼
240 : 연돌
L1 : 버퍼연결유로
L2 : 연결유로

Claims (7)

  1. 선체에 마련되며 내부에 액화천연가스(LNG)가 저장되는 저장탱크;
    상기 선체에 설치된 연돌에 마련되며, 상기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Boil-Off Gas)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 전지 유닛; 및
    상기 연돌 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증발가스가 저장되어 상기 연료 전지 유닛에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 중단시 상기 저장된 증발가스를 상기 연료 전지 유닛으로 공급하는 버퍼 가스 유닛을 포함하는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퍼 가스 유닛은,
    상기 연돌의 일측에 설치된 플랫폼;
    상기 선체에 마련되며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상기 증발가스를 압축하는 압축기;
    상기 플랫폼에 마련되며 압축기에서 압축된 상기 증발가스가 저장되는 증발가스 저장탱크; 및
    상기 증발가스 저장탱크와 상기 연료전지 유닛을 연결하는 버퍼연결유로에 마련되며 상기 버퍼연결유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선체의 선미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연돌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버퍼 가스 유닛은
    상기 연돌에 마련되는 방호벽을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버퍼 가스 유닛은,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개질기를 연결하는 연결유로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탱크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가 상기 연결유로로 공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의해 상기 밸브를 개폐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 전지 유닛은,
    상기 증발가스를 수소와 이산화탄소로 개질시키는 개질기;
    애노드로 공급되는 상기 수소 및 상기 이산화탄소와 캐소드로부터 공급되는 산소의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 전지;
    외부의 공기를 상기 연료전지로 공급시키는 송풍기;
    상기 송풍기를 통해서 상기 연료전지로 공급되는 상기 공기를 가열시키는 공기히터; 및
    상기 저장탱크 또는 상기 버퍼 가스 유닛에서 공급되는 상기 증발가스를 가습시키는 가습기를 포함하는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
  7. 선체에 마련되며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된 저장탱크에서 공급되는 증발가스가 저장되어, 연료 전지에 공급되는 연료의 공급중단시 저장된 상기 증발가스를 상기 연료 전지에 공급하여 상기 연료전지를 정지 없이 가동되게 하는 선박용 연료전지의 버퍼가스 유닛이, 선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
KR1020110145716A 2011-12-29 2011-12-29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 KR201300771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716A KR20130077157A (ko) 2011-12-29 2011-12-29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716A KR20130077157A (ko) 2011-12-29 2011-12-29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7157A true KR20130077157A (ko) 2013-07-09

Family

ID=4899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716A KR20130077157A (ko) 2011-12-29 2011-12-29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71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156A (ko) 2015-04-10 2016-10-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102141970B1 (ko) * 2019-06-12 2020-08-06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수소 생산 장치를 구비한 lng 운반선
KR20210058358A (ko)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엔케이 저장용기 지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1156A (ko) 2015-04-10 2016-10-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102141970B1 (ko) * 2019-06-12 2020-08-06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수소 생산 장치를 구비한 lng 운반선
KR20210058358A (ko)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엔케이 저장용기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97832A (ja) 燃料電池の内部乾燥防止装置
KR101245766B1 (ko) 비상상태에서의 연료전지 작동 시스템 및 그 방법
JP5382408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20130077157A (ko) 연료전지탑재 선박의 연료저장탱크 배치구조
JP7485592B2 (ja) 燃料電池船、および発電システム
US20130266879A1 (en) Fuel cell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359950B1 (ko) 연료전지 탑재 선박의 연료전지 시스템
US20100047643A1 (en) Fuel cell system
JP2002056864A (ja) 燃料電池装置、及び、燃料電池装置の運転方法
JP5082790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US20220393201A1 (en) Fuel cell ship
KR101447865B1 (ko) 선박용 연료 전지 시스템
JP506478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5093374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の停止方法
JP4889931B2 (ja) 燃料電池ユニット及び燃料電池ユニットの運転方法
KR20150057240A (ko) 배출가스를 감소시킨 연료전지 시스템
JP2009048945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759664B1 (ko) 퍼징 장치가 구비된 연료전지 시스템 및 그 가동 정지 방법
KR20130074338A (ko) 선박용 연료전지의 버퍼가스시스템
KR20190130823A (ko)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연료전지 시스템
JP5355135B2 (ja) 燃料電池発電設備
US20220223890A1 (en) Fuel cell system
KR101335260B1 (ko) 선박용 연료전지 배기가스처리장치
KR100619777B1 (ko) 개질기봄베부를 구비한 연료전지
KR101358129B1 (ko) 연료전지 배기가스 응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