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247A -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247A
KR20130076247A KR1020110144762A KR20110144762A KR20130076247A KR 20130076247 A KR20130076247 A KR 20130076247A KR 1020110144762 A KR1020110144762 A KR 1020110144762A KR 20110144762 A KR20110144762 A KR 20110144762A KR 20130076247 A KR20130076247 A KR 20130076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onductive
solid oxide
layer
oxide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렬
구본석
길재형
김성한
민경복
이언수
유한울
정종호
윤종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6247A/ko
Priority to US13/425,480 priority patent/US20130171539A1/en
Priority to JP2012066546A priority patent/JP2013140766A/ja
Publication of KR20130076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01M8/025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tub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02Shape, form of a fuel cell
    • H01M8/004Cylindrical, tubular or w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4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1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electrolyte combination or the suppor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극층, 전해질층, 2 부분 이상으로 분할된 공기극층, 전도성 메쉬 구조체, 및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공기극층이 2부분 이상으로 분할된 전극 구조를 통하여 집전시에 전하의 이동거리가 줄어들어 저항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료전지 외부 집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TUBULAR SOLID OXIDE FUEL CELL MODUL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연료전지들은 그 출력범위 및 용도 등이 다양하여 목적에 따라 적당한 연료전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Solid Oxide Fuel Cell)는 상대적으로 전해질의 위치 제어가 쉽고, 전해질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서 전해질 고갈의 위험성이 없으며, 부식성이 약하여 소재의 수명이 길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분산 발전용, 상업용 및 가정용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600∼1000℃ 정도의 고온에서 작동되는 연료전지로서, 종래 여러 형태의 연료전지들 중 가장 효율이 높고 공해가 적을 뿐만 아니라, 연료 개질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복합발전이 가능하다는 여러 가지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중앙에 전해질이 있고, 양쪽에 전극(공기극 및 연료극)이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전해질은 치밀하여 가스를 투과시키지 않아야 하며, 전자전도성은 없으나 산소이온 전도성은 높아야 한다. 반면에, 전극은 가스가 잘 확산되어 들어갈 수 있는 다공질이어야 하며 높은 전자전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처럼 치밀한 전해질을 사이에 두고 연료극에는 수소를 함유한 연료 가스를, 공기극에는 공기를 흘려주어 산소 분압의 차이를 유지해 주면, 전해질을 통해 산소가 이동하려는 구동력이 형성된다.
전해질은 전자전도성이 없고 이온전도성만 가지고 있으므로, 공기극 쪽에서 전자를 받아 이온화된 수소이온이 전해질 막을 통과하여, 연료극 쪽에서 전자를 방출하고 수소가스와 반응하여 수증기로 된다. 이러한 반응이 계속 일어나도록 산소와 수소를 계속 흘려주면, 전자는 전극을 통하여 외부의 집전체 도선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전기에너지가 발생하며 그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이다. 집전체의 역할은 일정한 전압 하에서 발생한 전류를 모아주는 것이며, 이때 집전체의 저항손실을 최소화해야 높은 성능을 손실없이 얻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단위 셀만으로는 충분한 전압을 얻을 수 없는 바, 필요에 따라 스택 형태로 단위 셀을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크게 튜브형과 평판형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이들 중 튜브형은 평판형에 비하여 스택 자체의 전력밀도는 다소 떨어지나, 시스템 전체의 전력밀도는 비슷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튜브형은 스택을 구성하는 단위 셀들의 밀봉이 용이하고, 열응력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동시에 스택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 대면적 제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튜브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공기극을 지지체로 사용하는 공기극 지지체식 연료전지와 연료극을 지지체로 사용하는 연료극 지지체식 연료전지의 두 종류로 구분된다. 한편 종래의 집전체로는 니켈(Ni), 은(Ag) 등으로 형성된 와이어로 공기극을 감아서 집전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셀을 은 와이어(Ag wire)로 감아 집전하고, 이에 대한 성능평가 시에, 일정한 전압을 걸어준 뒤 전압을 올리거나 내리면서 전류를 측정하거나, 반대로 일정한 전류를 걸어준 뒤 전류를 올리거나 내리면서 전압을 측정하면 도 1과 같은 성능곡선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성능곡선은 연료전지 셀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척도가 되며, 집전체로 사용되는 은 와이어의 저항손실은 성능에 큰 영향을 준다.
종래의 와이어링 방식은 한국 공개특허 제2011-002335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연료극 및 공기극 각 전극의 면에는 도전성 잉크가 코팅되며 이에 도전성 메쉬와 와이어가 고정된 셀 집전체 구조를 가진다. 연료극의 재료는 주로 니켈을 쓰고 공기극은 주로 은(Ag)을 쓴다. 이는 니켈 등의 고온에서 안정한 도전재를 셀 내부로 연결하여 연료극 집전을 하고, 외부 공기극 집전은 산화안정성이 높은 은 와이어를 셀 외부로 둘러 감아 와이어링 집전을 하는 것이다. 이때의 성능평가시 셀에서 발생한 전하는 집전 도선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은 셀의 길이방향으로 전하가 이동하게 되어 이동의 저항손실이 크고 따라서 이로 인한 성능의 저하가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연료전지의 공기극을 둘 이상으로 분할하여 저항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었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분할된 공기극 전극 구조를 통하여 연료전지의 집전저항을 최소화하고 셀 출력을 최대로 높일 수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외부에 도전성 잉크, 전도성 메쉬 구조체, 및 전도성 와이어를 고정한 후 소결시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를 이용하여 연료전지의 외부 집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관점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은 원통형 연료극층; 상기 원통형 연료극 층의 외주면에 형성된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 부분 이상 분할된 공기극층; 상기 분할된 공기극층의 외주면에 형성된 도전성 잉크층; 상기 도전성 잉크층의 외주면과 대응하도록 내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전성 잉크층의 외주면을 둘러싼 전도성 메쉬 구조체; 및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의 외주면 상에 권선된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는 10∼80메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1㎝당 2∼3회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는 Fe, Cu, Ag, Al, Ni, Cr,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잉크층 및 전도성 와이어는 Au, Pd, Ag, Pt, Ni, Ru, Rh, Ir,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다른 관점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원통형 연료극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연료극 층의 외주면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해질층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 부분 이상 분할된 공기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공기극층의 외주면에 도전성 잉크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도전성 잉크층의 외주면과 대응하도록 내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전도성 메쉬 구조체를 상기 도전성 잉크층의 외주면에 둘러싸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전도성 메쉬 구조체의 외주면 상에 전도성 와이어를 권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도성 와이어를 권선한 후, 소결로에서 소결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결시키는 단계는 800 ℃ ∼ 900 ℃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는 10∼80메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1㎝당 2∼3회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는 Fe, Cu, Ag, Al, Ni, Cr,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잉크층 및 전도성 와이어는 Au, Pd, Ag, Pt, Ni, Ru, Rh, Ir,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극이 기존과 달리 분할된 방식으로 형성되어, 발생한 전하의 집전시에 전하의 이동거리가 줄어들어 저항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료전지 외부 집전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외부에 도전성 잉크, 전도성 메쉬 구조체, 및 전도성 와이어를 고정한 후 소결시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를 이용하여 연료전지의 외부 집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와이어링 집전시의 성능 평가 그래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부분(연료전지 셀)에 관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집전 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사시도 및 그 일부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10)은 원통형 연료극층(101), 전해질층(102), 공기극층(103), 도전성 잉크층(104), 전도성 메쉬 구조체(200), 및 전도성 와이어(300)로 구성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원통형 연료전지 모듈(10)은 원통형 연료극층(101), 상기 원통형 연료극층의 외주면에 형성된 전해질층(102), 상기 전해질층(102)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 부분 이상 분할된 공기극층(103), 상기 분할된 공기극층(103)의 외주면에 형성된 도전성 잉크층(104), 상기 도전성 잉크층(104)의 외주면과 대응하도록 내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전성 잉크층(104)의 외주면을 둘러싼 전도성 메쉬 구조체(200), 및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200)의 외주면 상에 권선된 전도성 와이어(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연료극층(101)은 연료전지 셀(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금속 니켈과 산화물 이온 도전체와의 서멧(cermet)이 사용될 수 있다. 금속 니켈은 높은 전자 도전성을 갖는 동시에 수소와 탄화수소계 연료의 흡착이 일어나 높은 전극 촉매 활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백금 등에 비하여 값이 저렴한 점에서도 전극용 재료로 장점을 갖는다. 고온 작동의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경우, 40% 내지 60%의 지르코니아 가루를 포함한 산화니켈분을 소결한 재료(니켈/YSZ 서멧)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해질층(102)은 수용액이나 용융염과 같은 액체 전해질에 비하여 이온 전도율이 낮으므로 저항 분극으로 인한 전압 강하를 적게하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미소 간극이나 기공, 또는 흠집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고체 산화물 전해질은 이온 전도성 이외에도 균질성, 치밀성, 내열성, 기계적 강도 및 안정성 등이 요구된다. 이러한 전해질의 재료로는 YSZ(Yttria stabilized Zirconia) 또는 ScSZ(Scandium stabilized Zirconia), GDC, LDC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해질층(102)은 상기 연료극층(101)의 외부에 상기 전해질 재료를 슬립코팅이나 플라즈마 스프레이 코팅법 등을 이용하여 코팅한 후, 약 1300℃ 내지 1500℃에서 소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극층(103)은 LSM(Strontium doped Lanthanum manganite), LSCF((La,Sr)(Co,Fe)O3) 등의 조성을 슬립코팅이나 플라즈마 스프레이 코팅법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전해질층(102)의 외주면에 코팅한 후 약 1200℃ 내지 1300℃에서 소결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집전시 길이방향의 저항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기극층을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부분 이상 분할하여 개선된 구조의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상기 연료극층(101) 및 전해질층(102) 위에 공기극층(103)을 2 이상으로 분할된 구조로 코팅하여 형성하고, 상기 분할된 공기극층(103) 위에 도전성 잉크층(104), 전도성 메쉬 구조체(200) 및 전도성 와이어(300)를 둘러 감아 고정하여 분할된 구조의 연료전지 모듈(10)을 제작한다. 이처럼 공기극층(103) 만을 2부분 이상으로 분할하여 연료전지 모듈을 구성하게 되면, 전하의 이동경로를 줄여 저항손실로 인한 성능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각 분할된 부분의 집전 와이어를 최종단에서 연결하여 집전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분할된 공기극층(103)의 외주면에 도전성 잉크층(104)이 코팅(coating)된다. 상기 도전성 잉크층(104)의 두께는 ㎛에서 수 ㎜로, 집전 저항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전성 잉크층(104)은 금속, 합금, 금속 및 합금의 혼합물, 또는 금속 산화물 및 금속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도전 성능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Au, Pd, Pt, Ag, Ni, Ru, Rh, Ir 또는 이들의 합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전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공기극층(103)에 공기가 전달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모듈(10)은 전도성 메쉬 구조체(20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공기극층(103)에 이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는 공기의 공급과 집전 효율을 고려하여 10∼80메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료전지의 효율 및 필요한 강도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는 Fe, Cu, Ag, Al, Ni, Cr, 또는 이들의 합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고온에서의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해 은(Ag) 또는 전도성 세라믹(MnCo, NiCl, LSC, LSCF) 등으로 내산화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형 연료전지 셀(100)에서 발생한 전류를 집전하기 위하여 상기 도전성 잉크층(104)에 밀착되어 감싸도록 형성된 전도성 메쉬 구조체(200) 상에 전도성 와이어(300)가 위치하여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와이어(300)는 전도성 메쉬 구조체(200)의 외측면과 면접촉을 하게 된다. 이러한 면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접촉저항이 감소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권선 수를 감소하더라도 집전효율 면에서 동일하거나 더 나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도성 와이어(300)는 금속, 합금, 금속 및 합금의 혼합물, 또는 금속 산화물 및 금속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도전성능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Au, Pd, Pt, Ag, Ni, Ru, Rh, Ir 또는 이들의 합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성 와이어(300)는 집전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1㎝당 2∼3회 권선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집전 방식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언급한 길이방향의 집전시의 저항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연료극층 및 전해질층 상에 공기극을 분할된 구조로 형성하고, 그 위에 도전성 잉크를 도포한 후, 전도성 메쉬 구조체를 둘러싸고 전도성 와이어를 둘러 감아 고정하여 분할된 집전 구조를 형성한다. 각 분할된 부분의 전도성 와이어를 최종단에서 연결하여, 집전시 전하의 이동거리를 줄일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집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은 분할된 공기극층을 갖는 연료전지 셀(100)의 외주면 상에 전도성 메쉬 구조체를 감싼 후, 전도성 와이어를 권선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원통형 연료극층의 외주면에 전해질층을 형성하고, 상기 전해질층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 부분 이상 분할되도록 공기극층을 형성한 후, 상기 분할된 공기극층의 외주면에 도전성 잉크층을 코팅한다. 그 다음, 상기 도전성 잉크층의 외주면과 대응하도록 내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전도성 메쉬 구조체를 상기 도전성 잉크층의 외주면에 둘러싼 후, 상기 형성된 전도성 메쉬 구조체의 외주면 상에 전도성 와이어를 권선하여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전도성 와이어를 권선한 후, 지그(jig)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킨후, 이후에 약 800 ℃ 내지 900 ℃의 온도에서 소결시킨다. 이때의 소결 온도 프로파일은 500 ℃에서 바인더를 태우고(burn out), 약 900 ℃에서 소결시킨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연료전지 모듈
100 : 연료전지 셀
101 : 연료극층
102 : 전해질층
103 : 공기극층
104 : 도전성 코팅층
200 : 전도성 메쉬 구조체
300 : 전도성 와이어

Claims (12)

  1. 원통형 연료극층;
    상기 원통형 연료극층의 외주면에 형성된 전해질층;
    상기 전해질층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 부분 이상 분할된 공기극층;
    상기 분할된 공기극층의 외주면에 형성된 도전성 잉크층;
    상기 도전성 잉크층의 외주면과 대응하도록 내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전성 잉크층의 외주면을 둘러싼 전도성 메쉬 구조체; 및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의 외주면 상에 권선된 전도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는 10∼80메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1㎝당 2∼3회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는 Fe, Cu, Ag, Al, Ni, Cr,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잉크층 및 전도성 와이어는 Au, Pd, Ag, Pt, Ni, Ru, Rh, Ir,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6. 원통형 연료극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연료극 층의 외주면에 전해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전해질층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2 부분 이상 분할된 공기극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분할된 공기극층의 외주면에 도전성 잉크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도전성 잉크층의 외주면과 대응하도록 내주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전도성 메쉬 구조체를 상기 도전성 잉크층의 외주면에 둘러싸는 단계; 및
    상기 형성된 전도성 메쉬 구조체의 외주면 상에 전도성 와이어를 권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와이어를 권선한 후, 소결시키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소결시키는 단계는 800 ℃ ∼ 900 ℃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는 10∼80메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와이어는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의 길이방향으로 1㎝당 2∼3회 권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메쉬 구조체는 Fe, Cu, Ag, Al, Ni, Cr,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잉크층 및 전도성 와이어는 Au, Pd, Ag, Pt, Ni, Ru, Rh, Ir,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0110144762A 2011-12-28 2011-12-28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76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762A KR20130076247A (ko) 2011-12-28 2011-12-28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US13/425,480 US20130171539A1 (en) 2011-12-28 2012-03-21 Tubular solid oxide fuel cell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066546A JP2013140766A (ja) 2011-12-28 2012-03-23 円筒型固体酸化物燃料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762A KR20130076247A (ko) 2011-12-28 2011-12-28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247A true KR20130076247A (ko) 2013-07-08

Family

ID=48695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762A KR20130076247A (ko) 2011-12-28 2011-12-28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71539A1 (ko)
JP (1) JP2013140766A (ko)
KR (1) KR201300762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26157B2 (en) * 2015-04-22 2019-06-18 Phillips 66 Company Modified solid oxide fuel cell
RU2655671C2 (ru) * 2016-09-27 2018-05-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Институт электрофизики Уральского отдел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ИЭФ УрО РАН) Батарея трубчатых твердооксидных элементов с тонкослойным электролитом электрохимичес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чатых твердооксидных элементов в батарею (варианты)
CN109411778B (zh) * 2018-10-29 2020-11-03 深圳市致远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组的制备工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2230A (en) * 1965-06-21 1968-09-17 Gen Electric Method of producing tubular fuel cell stack
ES2261670T3 (es) * 2001-06-04 2006-11-16 Acumentrics Corporation Sistemas de tubos para pila de combustible horizontal de oxido solido y procedimientos.
US7767329B2 (en) * 2003-11-17 2010-08-03 Adaptive Materials, Inc. Solid oxide fuel cell with improved current coll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71539A1 (en) 2013-07-04
JP2013140766A (ja)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9025B2 (en) Electrode-supported solid state electrochemical cell
US20060083970A1 (en) Solid oxide fuel cel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07172846A (ja) チューブ型電気化学リアクターセル及びそれらから構成される電気化学反応システム
JP2002289249A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スタック構造体
JP5105392B2 (ja) 電気化学リアクターチューブセル及びそれらから構成される電気化学反応システム
US7758993B2 (en) Tubular solid oxide fuel cell current collector
JP3617814B2 (ja) アルカリ土類添加ニッケル−鉄系ペロブスカイト型低温動作固体燃料電池用空気極材料
KR101186537B1 (ko) 마이크로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스택 및 이를 이용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KR20130076247A (ko) 원통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10070518A1 (en) Unit cell of solid oxide fuel cell and stack using the same
JP5199218B2 (ja) 固体酸化物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10053032A1 (en) Manifold for series connection on fuel cell
JP5935220B2 (ja) 電気化学リアクターセル
KR101289171B1 (ko) 매니폴드 밀봉이 없는 평판형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
KR101188997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KR101301354B1 (ko)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모듈
US9005845B2 (en) Solid oxide fuel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8125285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スタック
KR101367068B1 (ko) 바이메탈 집전 부재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장치
WO2023195246A1 (ja) 電気化学セル
CA2560769C (en) Electrolyt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6445988B2 (ja) 電気化学セルおよび電気化学スタック
JPH10106611A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KR20120007771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KR101301396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이의 집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