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6166A -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6166A
KR20130076166A KR1020110144642A KR20110144642A KR20130076166A KR 20130076166 A KR20130076166 A KR 20130076166A KR 1020110144642 A KR1020110144642 A KR 1020110144642A KR 20110144642 A KR20110144642 A KR 20110144642A KR 20130076166 A KR20130076166 A KR 20130076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per
screen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욱
Original Assignee
(주)에스제이기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제이기획 filed Critical (주)에스제이기획
Priority to KR1020110144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6166A/ko
Publication of KR20130076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는 터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필기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필기 내용의 궤적에 대한 터치 좌표정보 및 터치 면적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산출하는 터치 좌표 산출부 및 상기 일정 시간마다 산출된 터치 좌표정보의 위치에 상기 터치 면적정보에 상응하는 크기의 점을 표시하고 표시된 점들을 연결하여 터치 면적에 비례하는 필기 내용 궤적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입력수단의 질감 차이에 따른 선의 굵기의 변화 및 곡선 등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TOUCH INPUT DEVICE BASED ON RECOGNITION TOUCH AREA}
본 발명은 터치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필기 내용의 궤적에 대한 좌표정보 및 면적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면적에 비례하는 필기 내용 궤적을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필기방법의 질감차를 표현할 수 있으며, 햅틱(haptic) 기술을 이용하여 필기시 용지의 재질감을 체감할 수 있는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터치 입력장치는 구현 원리와 동작 방법에 따라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정전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압력 방식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화면을 눌러서 입력할 수 있어 단순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인터페이스로 남녀노소 모두에게 각광받고 있다.
종래의 터치 입력장치는 주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단순히 터치되는 점의 X, Y 좌표를 산출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글씨 크기 등을 조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포인트 개념의 터치 입력장치는 붓을 이용하는 서예나 타이포그라피 등과 같은 작업에 있어서 입력수단의 질감 차이에 따른 선의 굵기의 변화 및 곡선 등을 정확히 표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필기 내용의 궤적에 대한 좌표정보 및 면적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면적에 비례하는 필기 내용 궤적을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필기방법의 질감차를 표현할 수 있는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기되는 용지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의 크기가 용지의 크기보다 작더라도 용지를 분할하여 필기 내용을 효율적으로 입력 및 저장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는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햅틱 기술을 이용하여 용지의 재질에 대응하는 촉감, 소리, 시각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실제 필기감을 느낄 수 있는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는 터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필기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필기 내용의 궤적에 대한 터치 좌표정보 및 터치 면적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산출하는 터치 좌표 산출부 및 상기 일정 시간마다 산출된 터치 좌표정보의 위치에 상기 터치 면적정보에 상응하는 크기의 점을 표시하고 표시된 점들을 연결하여 터치 면적에 비례하는 필기 내용 궤적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동모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필기 내용이 표시되는 용지 크기를 설정하고, 자동모드에서 상기 터치 면적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의 용지를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설정하는 용지 설정부가 더 포함되고, 필기 내용 입력이 완료된 경우 필기 내용이 설정된 용지 내에 기록된 상태로 저장 또는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용지 설정부에서 설정된 용지를 다수 개의 터치스크린부 화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셀 화면으로 분할하고, 현재 필기 입력중인 셀 화면에 필기 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필기 방향에 따라 다음 셀 화면에 대응되는 입력 화면을 터치스크린부 상에 표시하고, 현재 셀 화면에 입력되는 필기 내용 궤적 정보와 해당 셀 화면의 식별정보를 연관하여 저장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자로부터 용지의 재질 정보를 입력받는 용지 재질 설정부 및 상기 용지 재질 설정부로부터 수신된 용지 재질 정보에 상응하는 햅틱(haptic) 신호를 생성하는 햅틱 제어부가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햅틱 신호는 촉각 신호, 청각 신호, 시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필기 내용의 궤적에 대한 좌표정보 및 면적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면적에 비례하는 필기 내용 궤적을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입력수단의 질감 차이에 따른 선의 굵기의 변화 및 곡선 등을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필기되는 용지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의 크기가 용지의 크기보다 작더라도 용지를 분할하여 필기 내용을 효율적으로 입력 및 저장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햅틱 기술을 이용하여 용지의 재질에 대응하는 촉감, 소리, 시각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용지의 재질에 따른 실제 필기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셀 화면으로 분할된 용지 및 터치 스크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의 표시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사용되는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10)는 필기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110), 터치 좌표정보 및 터치 면적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산출하는 터치 좌표 산출부(120), 표시 제어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용지의 크기를 설정하거나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용지의 크기를 설정하는 용지 설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10)는 용지의 재질 정보를 입력받는 용지 재질 설정부(160) 및 햅틱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부(110)는 펜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문자 등의 패턴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필기 내용을 화면에 표시한다. 터치스크린부(110)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및 초음파 방식, 카메라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좌표 산출부(120)는 일정 시간마다 터치스크린부(110)에 입력되는 필기 내용의 궤적에 대한 터치 좌표정보 및 터치 면적정보를 계산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터치 좌표정보 및 터치 면적정보는 저장되는 데이터 용량을 고려하여 일정 시간 간격마다의 중심점 및 면적정보만을 저장하는 것이 타당하다. 즉, 터치스크린부(110)에 일정한 면적 및 연속적인 궤적을 가지면서 입력되는 경우, 터치 좌표 산출부(120)는 일정한 시간마다 터치 입력신호의 좌표값과 면적값을 계산하여 하나의 신호로 출력한다. 따라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하나의 궤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좌표정보와 각각의 좌표에서의 면적정보가 시간정보와 연관되어 산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좌표 산출부(120)에서 산출되는 신호는 색상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30)는 터치 좌표 산출부(120)로부터 일정 시간마다 산출된 터치 좌표정보 및 터치 면적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터치 좌표의 위치에 터치 면적에 상응하는 크기의 점들을 표시하고, 표시된 점들을 연결하여 터치 면적에 비례하는 필기 내용 궤적이 터치스크린(110)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서, 필기 내용 궤적이 터치스크린(110) 상에 표시될 때, 면적정보를 기초로 다음 점을 연결하는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실제 사용자가 그리는 것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부과할 수 있다. 이때, 점과 점 사이를 연결하는 시간을 면적이 클수록 가중치를 주는 것 즉, 궤적 표시속도가 궤적의 선 두께에 반비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술하면, 점과 점간을 연결하는 선을 두꺼울수록 두 점간의 연결하는 속도가 느리도록 하는 것이다.
용지 설정부(15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의해 용지의 크기를 설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용지 설정 모드는 수동모드 및 자동모드가 있을 수 있다. 수동모드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필기 내용이 표시되는 용지 크기를 설정할 수 있고, 자동모드에서는 터치 면적의 크기에 기초하여 용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에 입력되는 터치 면적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기 내용 입력이 완료된 경우, 필기 내용이 설정된 용지 내에 기록된 상태로 메모리부(140)에 저장되거나 출력될 수 있다.
용지 재질 설정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용지의 재질 정보를 입력받는다. 일 실시예에서, 용지 재질 정보는 캔버스지, 화선지, 나무, 유리 등과 같이 특정 재료에 관한 정보이거나 표면의 거친 정도, 광택 정도, 번짐의 정도와 같은 재질의 세부적인 정보일 수 있다.
햅틱 제어부(170)는 용지 재질 설정부(160)로부터 수신된 용지 재질 정보에 상응하는 햅틱 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햅틱 신호는 촉각 신호, 청각 신호, 시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거친 표면을 가진 재질의 용지를 입력한 경우, 용지 재질 정보를 이용하여 두 점간의 연결시 표면의 거친 정도에 대응하는 진동 피드백과 음원을 사용함으로써 촉각효과와 청각효과를 부과할 수 있으며, 광택 정도 내지 번짐의 정도에 대응하는 시각 신호를 부과할 수 있다. 이 경우, 햅틱 제어부(170)는 햅틱 신호를 해당 촉각 효과, 청각효과 및 시각효과를 구현할 진동수단, 스피커 또는 터치스크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셀 화면으로 분할된 용지 및 터치 스크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용지 설정부(150)에서 터치스크린부(110)의 화면의 크기보다 큰 용지로 설정된 경우, 표시 제어부(130)는 용지 설정부(140)에서 설정된 용지를 다수 개의 터치스크린부(110) 화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셀 화면(111)으로 분할하고, 각각의 셀 화면에 대하여 식별정보를 부여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30)는 필기 입력의 방향을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가장자리 영역에 필기가 입력되어 현재 필기 입력중인 셀 화면에 필기 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111a), 필기 방향에 따라 다음 셀 화면에 대응되는 입력 화면(111b)을 터치스크린부(110) 상에 표시하고, 현재 셀 화면에 입력되는 필기 내용 궤적 정보와 해당 셀 화면의 식별정보를 연관하여 메모리부(14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좌측에서 우측으로 필기를 하는 경우, 우측 가장자리에 미리 설정된 영역에 필기가 입력되는 경우 현재 셀 화면(6)에 입력되는 필기 내용의 궤적정보와 셀 화면의 식별정보를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 터치스크린부(110)상에 우측 셀 화면(7)에 대응하는 입력화면을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필기되는 용지의 크기를 설정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의 크기가 용지의 크기보다 작더라도 용지를 분할하여 필기 내용을 효율적으로 입력 및 저장하고 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로부터 용지 크기 및 용지 재질 정보를 입력을 받아 용지 크기 및 재질 정보를 설정하고(S410), 사용자로부터 펜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부(110)에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S420), 터치 좌표 산출부(120)는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필기 내용의 궤적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마다 터치 입력신호의 좌표값과 면적값을 계산하여 하나의 신호로 출력한다(S430). 표시 제어부(130)는 터치 좌표 산출부(120)로부터 일정 시간마다 산출된 터치 좌표정보 및 터치 면적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터치 좌표의 위치에 터치 면적에 상응하는 크기의 점들을 표시하고, 표시된 점들을 연결하여(S440) 터치 면적에 비례하는 필기 내용 궤적이 터치스크린(110) 상에 표시한다(S450). 동시에, 용지 재질 정보에 대응하는 햅틱 신호를 출력한다(S460).
결과적으로, 일정한 시간에 대응하는 좌표값과 면적값을 가진 점을 연결함으로써, 붓과 같은 질감을 가지는 입력수단을 통해 힘의 강약조절에 의한 곡선 및 선의 굵기 변화를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햅틱 기술을 이용하여 용지의 재질에 대응하는 촉감, 소리, 시각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용지의 재질에 따른 실제 필기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
110 : 터치스크린부 120 : 터치 좌표 산출부
130 : 표시 제어부 140 : 메모리
150 : 용지 설정부 160 : 용지 재질 설정부
170 : 햅틱 제어부 180 : 출력부

Claims (5)

  1. 터치 수단에 의해 입력된 필기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는 터치스크린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필기 내용의 궤적에 대한 터치 좌표정보 및 터치 면적정보를 일정 시간마다 산출하는 터치 좌표 산출부; 및
    상기 일정 시간마다 산출된 터치 좌표정보의 위치에 상기 터치 면적정보에 상응하는 크기의 점을 표시하고 표시된 점들을 연결하여 터치 면적에 비례하는 필기 내용 궤적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수동모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필기 내용이 표시되는 용지 크기를 설정하고, 자동모드에서 상기 터치 면적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의 용지를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설정하는 용지 설정부가 더 포함되고,
    필기 내용 입력이 완료된 경우 필기 내용이 설정된 용지 내에 기록된 상태로 저장 또는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용지 설정부에서 설정된 용지를 다수 개의 터치스크린부 화면의 크기에 대응되는 셀 화면으로 분할하고, 현재 필기 입력중인 셀 화면에 필기 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필기 방향에 따라 다음 셀 화면에 대응되는 입력 화면을 터치스크린부 상에 표시하고, 현재 셀 화면에 입력되는 필기 내용 궤적 정보와 해당 셀 화면의 식별정보를 연관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용지의 재질 정보를 입력받는 용지 재질 설정부; 및
    상기 용지 재질 설정부로부터 수신된 용지 재질 정보에 상응하는 햅틱 신호를 생성하는 햅틱 제어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햅틱 신호는 촉각 신호, 청각 신호, 시각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

KR1020110144642A 2011-12-28 2011-12-28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 KR20130076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642A KR20130076166A (ko) 2011-12-28 2011-12-28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642A KR20130076166A (ko) 2011-12-28 2011-12-28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166A true KR20130076166A (ko) 2013-07-08

Family

ID=4898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642A KR20130076166A (ko) 2011-12-28 2011-12-28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61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313A1 (ko) * 2017-10-26 2019-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3313A1 (ko) * 2017-10-26 2019-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222445B2 (en) 2017-10-26 2022-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apparatus for displaying a graphic corresponding to an input touch comman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9871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JP562798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40095314A1 (en) Human interactive type display system
EP2752740A1 (en) Drawing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US9685143B2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changing a representation of content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JP4045550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CN106502667B (zh) 一种渲染方法及装置
WO2018010062A1 (zh) 一种电子字帖、练字笔及系统
US20170083229A1 (en) Magnifying display of touch input obtained from computerized devices with alternative touchpads
CN111475045A (zh) 一种书写笔迹绘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10126023A (ko) 터치패널의 구동 제어방법
US9542004B1 (en) Gesture-based flash
JP4736605B2 (ja) 表示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81838B2 (ja) 電子デバイスを用いて描画するため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KR20130076166A (ko) 터치 면적 인식 방식의 터치 입력장치
CN104166519A (zh) 带红外线触摸屏的电子阅读设备
KR101564089B1 (ko) 손동작 인식을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실행시스템
Annett The fundamental issues of pen-based interaction with tablet devices
CN104156038A (zh) 电子阅读设备
KR20180016780A (ko) 사용자 접근에 따라 터치영역을 활성화하는 전자칠판,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터치영역 활성화 방법
KR101462419B1 (ko)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JP6533566B2 (ja) 表示装置
JP6821998B2 (ja) 電子黒板、プログラム、方法
JP638884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7219980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