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2419B1 -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2419B1
KR101462419B1 KR1020130107965A KR20130107965A KR101462419B1 KR 101462419 B1 KR101462419 B1 KR 101462419B1 KR 1020130107965 A KR1020130107965 A KR 1020130107965A KR 20130107965 A KR20130107965 A KR 20130107965A KR 101462419 B1 KR101462419 B1 KR 101462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menu
image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7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호
조성호
이동엽
Original Assignee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탈소프트뱅크 filed Critical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to KR1020130107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는 싱글 터치와 멀티 터치를 인식하고, 상기 싱글 터치 및 멀티 터치의 터치 유지시간을 인식하는 터치 신호 입력부; 상기 싱글 터치 및 멀티 터치의 인식 여부와, 상기 터치 유지 시간에 따라 최상위 메뉴에 해당되는 제 1 메뉴와, 상기 제 1 메뉴의 하부 메뉴인 제 2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메뉴가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학습 이미지와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드로잉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메뉴와 제 2 메뉴를 생성하거나 소멸시키는 메뉴 처리부와, 상기 학습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싱글 터치와 멀티 터치를 이용한 드로잉 모드를 제공하는 드로잉부와, 사용자에 의하여 드로잉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편집부와, 상기 학습 이미지 또는 사용자에 의해 드로잉된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환경에서 이미지 작업과 기계제도에 대한 학습을 접목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약없이 저비용으로 다양한 기계제도에 대한 도면의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학습자에게 모바일 환경에서 멀티 터치 기반의 효율적인 인터페이스 기반에 도면 학습이 가능하여, 기계제도의 학습효율 향상 및 학습자의 흥미 유발에 따른 몰입감 증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Terminal for drawing vector graphics}
본 발명은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사용자에게 쉽게 이미지를 그리거나 그려진 이미지를 제어하여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소기업청 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명: 모바일 증강현실기반 기계제도 학습서비스].
많은 제조업의 기반 기술인 기계제도에 관한 도면의 경우, 종이에 직접 도면을 그리는 것이나 데스크 탑을 이용하여 도면을 그릴 때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많이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존의 기계제도 도면을 학습하기 위하여 방법은 교과서적인 학습 방식으로, 투상도에 대한 이론을 학습한 후 입체도를 제시하고, 상기 입체도에 해당하는 평면도와 측면도등의 투상도를 그리는 방식으로 진행되거나 반대로 투상도가 제시되고, 이에 해당하는 입체도를 그리는 방식으로 교육이 진행된다.
이때, 3D 기반의 입체도를 2D 의 용지에 그리다 보니 입체감이 많이 떨어지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면을 직접 용지에 그리는 것에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많이 받게 되며, 교육자에 입장에서는 일일이 교육할 도면을 준비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 사용의 증가로 모바일을 활용한 교육이 증가함에 따라 시간과 장소를 구애 받지 않는 모바일의 장점을 살려 언제, 어디서든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 방법에 대하여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인터랙션의 경험 가치 증대를 위해 학습자 인터페이스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멀티터치 기술의 보급으로 멀티터치가 탑재 된 모바일 기기의 시장이 널리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터치기술이 적용된 터치스크린 환경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텐츠나 텍스트의 일부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선택 신호는 Tap, Double Tap, Drag, Flick, Pinch등 다른 터치 신호와의 중복성과 겹치는 구간이 발생 하고, 이를 원하는 이벤트 발생 시에 효과적으로 사용하기가 힘든 부분이 있다.
특히, 기존 모바일 환경에서 AutoCAD App를 보면 좁은 해상도에서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도면 라인을 긋는 방법이 적용 되어 있으나, 처음 터치한 시작점과 다음 터치 지점의 끝점을 연결 하는 수준으로 그칠 뿐, 사용자가 편리하게 최소한의 동작으로 도면을 완성하는 방법이 부족하고, 그리드 환경에서 손가락을 터치하여 도면을 정확하게 그리기는 쉽지 않다. 좁은 공간, 해상도 크기가 작은 공간에서 다른 터치와의 혼선을 피하고, 멀티 터치 기반으로 투상도면을 효율적으로 빠르게, 명확하게 그릴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터치 기반에서의 빠르고, 명확하게 이미지를 그리고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는 싱글 터치와 멀티 터치를 인식하고, 상기 싱글 터치 및 멀티 터치의 터치 유지시간을 인식하는 터치 신호 입력부; 상기 싱글 터치 및 멀티 터치의 인식 여부와, 상기 터치 유지 시간에 따라 최상위 메뉴에 해당되는 제 1 메뉴와, 상기 제 1 메뉴의 하부 메뉴인 제 2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메뉴가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학습 이미지와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드로잉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메뉴와 제 2 메뉴를 생성하거나 소멸시키는 메뉴 처리부와, 상기 학습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싱글 터치와 멀티 터치를 이용한 드로잉 모드를 제공하는 드로잉부와, 사용자에 의하여 드로잉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편집부와, 상기 학습 이미지 또는 사용자에 의해 드로잉된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이미지, 특히, 도면에 대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효율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수월한 이미지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이미지 작업과 기계제도에 대한 학습을 접목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약없이 저비용으로 다양한 기계제도에 대한 도면의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학습자에게 모바일 환경에서 멀티 터치 기반의 효율적인 인터페이스 기반에 도면 학습이 가능하여, 기계제도의 학습효율 향상 및 학습자의 흥미 유발에 따른 몰입감 증대 효과가 있다.
보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로부터 해상도에 구애 받지 않고, 좁은 화면, 넓은 화면 등 관계없이 어느 모바일 기기에서든 쉽게 투상도 벡터도형을 손쉽게 그릴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벡터 도형에 대한 제어도 손쉽게 가능하며, 모바일 기기를 장점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도면에 대한 학습이 가능 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산업 현장에서 도면에 기반한 작업 진행시 모바일 기기의 도면을 참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 상황에 맞게 도면에 대한 수정이 가능하게 되어 좀 더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에서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환경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A는 터치 신호 입력이 없는 터치 스크린의 예시이고, 도 4B는 제 1 터치 수단에 의하여 최초의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되어 최상위 메뉴가 생성된 경우를 나타내며, 도 4C는 제 1 터치 수단이 소정의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경우, 기 설정된 드로잉 모드가 활성화 된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뉴 처리부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A는 제 1 터치 수단의 롱 터치 입력 신호에 의하여 최상위 메뉴가 생성된 터치 스크린의 예시를 나타내며, 도 6B 는 최상위 메뉴의 아이콘을 제 2 터치 수단으로 멀티 터치 입력하여 상기 아이콘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의 예시를 나타내고, 도 6C는 최상위 메뉴의 아이콘에 대한 멀티 터치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하위 메뉴들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상기 이미지 편집부(300)에 의해 활성화 되는 이미지 편집 모드에 대해, 드로잉 모드의 인터페이스 흐름을 나타내는 도 7과, 투상도를 편집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 8A 및 도 8B와, 벡터 도형을 편집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 8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편집부에 의해 활성화 되는 이미지 편집 모드의 인터페이스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8A와 도8B는 투상도를 편집하는 예시를 나타내고, 도 8C는 벡터 도형을 편집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드로잉부의 구체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A는 터치 스크린 화면으로 드로잉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의 예시이고, 도 10B는 도형을 그리기 위하여 라인의 타입, 종류, 색상, 굵기 등을 선택하는 과정의 예시이며, 도 10C는 멀티 터치로 선긋는 과정과 빠른 선택 메뉴인 파라메트릭 메뉴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참고도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참고도를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거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서 작업되는 이미지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 등 다양한 이미지 형식을 포함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작업을 통하여 기계제도에 대한 도면 학습을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투상도와 벡터 도형을 기반으로 설명하며, 이때, 투상도는 2D 이미지를 의미하고 투상도에 매칭되는 벡터 도형은 3D 이미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계제도에 대한 원활한 학습을 위하여, 초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화면에는 학습하려는 벡터 도형이 표시되고, 학습자는 벡터 도형에 해당하는 투상도를 드로잉하여 기계제도를 학습하는 것이다. 또한, 학습자에게 투상도를 제공하고, 이에 해당하는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도록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는 학습자의 터치를 인식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터치 신호 입력부(30)와, 상기 터치를 수신하고 상기 터치 입력 방식에 따라 처리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1000)와, 상기 학습자에게 기계제도 학습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0)와, 상기 인터페이스에 대한 기본 설정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치 신호 입력부(30)는 터치 패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학습자의 터치 수단이 터치 신호 입력부(30)에 접촉되는 순간 이를 인식하여 싱글 터치 신호로 이벤트를 제어부(1000)에 넘겨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터치 패널(30)의 구동 형식은 정전식과 감압식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둘 이상의 터치 신호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멀티 터치 기반의 터치 패널(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는 기계제도 학습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환경을 표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터치 패널(30)과 함께 터치 스크린(100)으로 구성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와 터치 신호 입력부(30)가 터치 스크린(100)으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00)는 수신된 터치 신호에 따라서 이미지 작업을 위한 다양한 모드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모드에 따른 메뉴들을 생성 또는 소멸하기 위한 메뉴 처리부(20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메뉴 처리부(200)는 각 모드에 따라서 학습을 위한 도구/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상/하위 메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기계제도를 학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메뉴 처리부(200)에 의하여 실행되는 구성으로 이미지를 그리기 위한 이미지 드로잉 모드를 제공하는 드로잉부(400)와, 생성된 이미지를 편집하는 이미지 편집 모드를 제공하는 이미지 편집부(300)와,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된 이미지들의 구성과 표현 형식 등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500)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뉴 처리부(200)는 터치 스크린(100)으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하여 최상위 메뉴를 구성하고, 학습자가 최상위 메뉴에 포함된 아이콘을 멀티 터치하여 선택하게 되면, 해당 아이콘에 대한 이벤트를 발생시켜 이벤트에 해당하는 모드를 담당하는 구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메뉴 처리부(200)에서 터치 신호 대한 이벤트가 발생되면, 각 이벤트에 따른 이미지 편집부(300), 드로잉부(400), 디스플레이 제어부(500)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되어 각각의 모드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10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구동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학습자가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에 진입하면 상기 제어부(1000)는 학습하려는 벡터 도형을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하고, 벡터 도형에 해당하는 투상도를 그리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함께 터치 스크린(100)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0)의 메뉴 처리부(200)는 학습자에게 학습하려는 벡터 도형이나 투상도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메뉴 처리부(200)는 터치 스크린(100)을 통해 학습자에게 터치 입력을 받아서 학습을 위한 다양한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뉴 처리부(200) 각 모드의 활성화와 모드에 필요한 상/하위 메뉴의 생성하며, 모드 진입 및 메뉴 활성화는 학습자의 멀티 터치 방법과 터치 유지 시간과 터치 위치 등에 의하여 결정되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먼저, 상기 이미지 편집부(300)의 이미지 편집모드가 실행되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이미지에 대하여 빠른 속성 메뉴인 파라메트릭 메뉴를 생성하여 이미지 삭제기능과, 굵기 설정, 색상 설정, 이동, 회전 등의 빠른 속성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이미지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편집부(300)는 이미지 확대/축소, 도형의 프레임 설정, 벡터 도형 표현 형식 변경(Animation, Surface, Wireframe, Solid) 등의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잉부(400)는 터치 스크린(100)에 투상도나 벡터 도형을 그릴 수 있는 드로잉 모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드로잉 모드가 활성화 되면, 기존의 최상위 메뉴를 활성화 한 제 1 터치와 드로잉 모드를 활성화한 제 2 터치를 이용해 터치 스크린(100)에 도면을 그릴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상기 터치 스크린(100)을 제 1 터치 수단으로 최초 롱 터치시 최상위 메뉴가 생성된 후 제 2 터치 수단으로 드로잉 메뉴을 선택하게 되면, 제 1 터치 수단의 롱 터치 신호의 입력을 인식하여 그리기 펜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제 1 터치 수단을 시작점에 드래그하여 그리기 펜을 위치시킨 후 제 2 터치 수단을 터치 스크린(100) 내에 영역을 터치하게 되면 선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 제 1 터치 수단을 드래그하여 종료점에 펜을 위치 한 후 제 2 터치 수단으로 터치 스크린(100)을 터치하게 되면 선이 그어진다.
상기 인터페이스는 연속적으로 멀티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터치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방법이 도면을 빠르고 쉽게 모바일 환경에서 편리하게 그릴 수 있게 해준다.
정리하면, 상기 드로잉부(400)는 학습자에게 복수개의 터치 수단으로 이미지를 드로잉 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투상도를 그릴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500)는 터치 스크린(100)에 전체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과 드로잉 및 제어를 위한 메뉴와,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등을 구성하고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가 이미지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500)는 학습자가 직접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고, 상기 학습자의 터치 인식율을 고려하여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요소들이 동작하여 학습자에게 이미지 작업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2를 참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환경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학습자가 터치 스크린(100)에 터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수단(610, 62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멀티 터치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므로, 학습자는 멀티 터치를 입력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터치 수단(610, 620)을 구비하며,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 제 1 터치 수단(610), 제 2 터치 수단(620)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 수단(610, 620)은 학습자의 핑거로 도시되어 있으나, 터치 팬 등 기타 도구가 이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100)에는 이미지가 도시되는 구역(130, 140)과, 각 모드 선택을 위한 상위 메뉴(110)과, 각 모드 활성화에 따라서 생성되는 하위 메뉴(120)등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제도 학습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하여, 이미지가 도시되는 구역은(130, 140)은 각각 투상도를 도시하는 구역(140)과 벡터 도형을 도시하는 구역(130)으로 구분될 수 있고, 기타 필요한 구성으로 이미지 파일명, 학습 목표 등을 표시하는 구성과, 이미지 파일 변경을 위한 구성 등이 더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최상위 메뉴(110)과 하위 메뉴(120)에는 각 기능 선택을 위한 아이콘들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하위 메뉴(120)은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각 모드에 따라서 분류하여 드로잉 모드의 제 1 하위 메뉴(121), 이미지 편집 모드의 제 2 하위 메뉴(122), 디스플레이 제어모드의 제 3 하위 메뉴(123)을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하위 메뉴(120)에 기능 선택에 따라서 하위 메뉴(120) 보다 더 하위의 메뉴가 트리 구조로 더 생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하위 메뉴(120)가 터치 스크린(100)의 외부에 도시되어 있으나, 각 모드 또는 기능 실행에 따라서 터치 스크린(100)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이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100)을 이용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전체 과정을 도 3와 도 4A~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A는 터치 신호 입력이 없는 터치 스크린(100)을 나타내고, 도 4B는 제 1 터치 수단(610)에 의하여 최초의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되어 최상위 메뉴(110)이 생성된 경우를 나타내며, 도 4c는 제 1 터치 수단(610)이 소정의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경우, 기 설정된 드로잉 모드가 활성화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4A~C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0)는 터치 스크린(100)에 기계제도 학습을 위한 초기 화면을 표시하고 있으며, 터치 스크린(100)은 학습자의 제 1 터치 수단(610)의 접촉을 센싱하여 입력 신호를 인식하게 되고, 이를 메뉴 처리부(200)로 전송한다. (1100)
그리고, 상기 제 1 터치 수단(610)의 터치 신호가 유지되는 경우를 롱 터치 입력 신호라 할 때, 터치 스크린(100)에 상기 롱 터치 입력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메뉴 처리부(200)는 이를 수신하여 최상위 메뉴(110)를 터치 스크린(100)에 생성한다. (1400)
만약, 맨 처음에 터치된 제 1 터치 수단(610)의 롱 터치 신호가 끊기면, 활성화된 모든 메뉴(110,120)는 소멸하게 된다. (1300)
상기 롱 터치 입력 신호가 소정의 시간 이상 계속 유지되는 경우, 상기 메뉴 처리부(200)는 롱 터치 입력 신호 이외에 다른 터치 입력 신호가 있는지 판단하여(1500), 멀티 터치 입력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기 설정된 모드가 활성화 된다.
예를 들어, 최초의 제 1 터치 수단(610)에 의한 롱 터치 입력 신호만 존재하고 드로잉 모드가 기 설정되어 있는 경우, 최상위 메뉴 생성이 유지되면서 드로잉부(400)에 의한 드로잉 모드가 활성화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저장부(10)에 저장된 설정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제어모드 또는 이미지 편집모드가 활성화될 수도 있다. (1600)
상기 롱 터치 입력 신호가 유지되면서 제 2 터치수단(620)이 최상위 메뉴(120)의 아이콘을 터치하여 멀티 터치 입력 신호가 인식되는 경우에는(1500), 메뉴 처리부(200)는 제 2 터치수단(620)에 의하여 선택된 모드를 활성화한다.
이후, 활성화된 모드에 따라서 기능이 수행되게 되며, 이때 각각의 모드에 해당하는 하위 메뉴(120)가 더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최상위 메뉴(120)의 드로잉 모드의 아이콘이 터치된 경우, 메뉴 처리부(200)가 드로잉부(400)에 명령하게 되고, 드로잉부(400)는 드로잉 모드를 활성화하면서 드로잉 모드에 해당하는 하위 메뉴(121)를 생성할 수 있다. (1700)
상기 메뉴 처리부(20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진행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 5 와 도 6A~C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도 5는 메뉴 처리부(200)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흐름도를 나타내고, 도 6A는 제 1 터치 수단(610)의 롱 터치 입력 신호에 의하여 최상위 메뉴(110)가 생성된 터치 스크린(100)을 나타내며, 도 6B 는 최상위 메뉴(110)의 아이콘을 제 2 터치 수단(620)으로 멀티 터치 입력하여 상기 아이콘의 기능을 실행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도 6C는 최상위 메뉴(110)의 아이콘에 대한 멀티 터치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하위 메뉴(120)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A~C를 참조하면, 제 1 터치 수단(610)으로 최초 롱 터치 신호 입력시 최상위 메뉴(110)가 생성된다. 이때, 최상위 메뉴(110)에는 여러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는 아이콘이 포함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드로잉 모드, 이미지 편집모드, 디스플레이 제어모드 등을 활성화할 수 있는 아이콘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S210)
그리고, 제 2 터치 수단(620)에 의하여 최상위 메뉴(110)의 아이콘에 대하여 멀티 터치 입력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터치된 아이콘에 기능이 실행된다.
예를 들어, 상기 최상위 메뉴(110)에 이미지 편집모드를 활성화 하는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이미지 편집부(300)에 의하여 이미지 편집모드가 활성화 되고, 이미지 편집모드에 해당하는 하위 메뉴(122)가 터치 스크린(100) 하단부에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터치 수단(610)의 터치 입력 신호를 디바이스에서 인식하지 못하면 활성화 되어 있는 메뉴는 모두 사라지게 된다. (S220)
이후, 상기 제 2 터치 수단(620)에 의하여 하위 메뉴(120)에 포함된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상기 아이콘에 해당하는 기능이 활성화 되고, 이때, 상기 기능에 따라 필요한 경우 단계별 하위 메뉴가 트리 구조로 터치 스크린(100)에 더 생성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최상위 메뉴의 아이콘들을 터치하는 제 2 터치 수단(621, 622, 623) 각각의 멀티 터치 입력에 따라서, 하위 메뉴(120)가 각각 드로잉 모드 하위 메뉴(121), 이미지 편집 모드의 하위 메뉴(122), 디스플레이 제어 모드의 하위 메뉴(123)가 터치 스크린(100)에 생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미지 작업을 위하여 활성화되는 모드 들인 이미지 편집모드, 드로잉 모드, 디스플레이 제어모드에 대하여 차례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이미지 편집부(300)에 의해 활성화 되는 이미지 편집 모드의 인터페이스 흐름을 나타내는 도 7과, 투상도를 편집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 8A 및 도 8B와, 벡터 도형을 편집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 8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터치 수단(610)으로 롱 터치 입력을 수행하여 롱 터치 입력 신호를 인식한 후, 제 2 터치 수단(620)의 멀티 터치 입력을 통해 이미지 편집 모드가 활성화된다. 이때, 멀티 터치가 최상위 메뉴(110)의 이미지 편집 모드 활성화 아이콘을 터치하여 이미지 편집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그리던 이미지를 직접 터치하여 터치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도 있다.
이때, 편집되는 도형의 각각 선분은 링크리스트구조 형식의 데이터로 저장 되기 때문에, 선택된 도형에 대한 편집 및 도형에 대한 제어부분이 즉각 반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구조는 첫 번째 링크 헤더 번호를 가지고, 두 번째로는 도형의 종류, 세 번째로는 도형의 형태, 네 번째로는 도형의 타입, 다섯 번째는 컬러, 여섯 번째는 영역 좌표, 일곱 번째는 다음 링크를 가리키는 포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링크리스트 구조로 데이터가 저장되기 때문에 삭제를 하여도 앞, 뒤의 링크가 새로이 결합하게 되고, 링크 번호를 찾아 바로 값을 변경하여 빠른 시간내에 편집을 할 수 있다. (S310)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드가 활성화되면, 이미지 편집 모드에 해당하는 하위 메뉴(122)가 생성되고, 상기 하위 메뉴(122)에는 도형에 대한 편집 기능 아이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하위 메뉴(122)의 아이콘을 멀티 터치로 선택하여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S320)
또한, 각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빠른 속성 편집을 위한 파라메트릭 메뉴(141)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파라트릭 메뉴(141)에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미지 편집 기능들이 구성되고, 이 기능들을 학습자가 직접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S330)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가 도형을 터치하는 경우, 메뉴 처리부(200)는 파라트릭 메뉴(141)를 생성한다.
이때 파라트릭 메뉴(141)는 투상도를 그리기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기능으로 선의 형태나 종류 변경, 삭제, 복사, 이동, 회전, 스케일 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아이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도를 편집하기 위하여 파라트릭 메뉴(141)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파라트릭 메뉴(141)에 포함된 기능들로는 도형 및 3D 모델링에 대한 편집, 회전, 줌인/아웃 제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제 1 터치 수단(610)으로 벡터 도형(130)을 선택하여 터치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며, 제 2 터치 수단(620)으로 멀티 터치를 이용하여 줌 인/아웃 기능과 도형에 대한 편집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프레임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벡터 도형(130) 선분의 성격에 따라서 실선과 은선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S340)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드로잉부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메뉴 처리부(200)가 제 1 터치 수단(610)의 롱 터치 입력 신호를 인식하게 되면, 최상위 메뉴(110)가 터치 스크린(100)에 생성된다.
제 2 터치 수단(620)이 최상위 메뉴(110)에서 드로잉 모드의 아이콘을 선택하게 되면, 드로잉 모드가 활성화 된다. (S410)
그리고, 학습자에게는 드로잉 시작 전 필요한 기타 설정을 하도록 드로잉 메뉴(131)가 제공된다. 상기 드로잉 메뉴(131)는 라인의 타입, 종료, 색상 굵기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420)
드로잉 설정이 끝난 후, 제 1 터치 수단(610)이 롱 터치 입력 신호를 받게 되면 도형 그리기 펜이 제 1 터치 수단(610)이 터치한 터치 스크린(100)에 나타난다. 이후, 제 1 터치 수단(610)의 펜 촉을 시작점으로 드로잉 하려는 부분에 드래그 한다. 이때, 제2 터치 수단(620)으로 메뉴 영역 외에 곳에 다른 부분을 터치 하게 되면 도형의 점이 찍히게 된다. (430)
상기 도형의 점을 드래그 하여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를 하게 되면 도형이 생성 된다. 이때, 시작점 포인트를 찍는 순간부터 파라메트릭 메뉴가 생성이 되는데, 처음 드로잉 하기 전 설정한 도형의 타입, 색깔, 종류 등을 빠른 속성값으로 변경이 가능 하다. (440) 상기 도형의 점을 종료점으로 드래그 하여 제 2 터치 수단(620)으로 터치 하게 되면 처음 설정한 도형이 완성된다. (450)
도 10A는 터치 스크린(100)의 화면으로, 드로잉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0A를 참조하면, 터치 스크린(100)내에서 제 1 터치 수단(610)으로 롱 터치 입력 신호를 인식하게 되면, 최상위 메뉴(110)가 생성되고, 드로잉 모드를 활성화하는 아이콘을 선택하여, 드로잉 모드가 활성화될 수 있다.
도 10B는 터치 스크린(100)의 화면으로, 도형을 그리기 위하여 라인의 타입, 종류, 색상, 굵기 등을 선택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 1 터치 수단(610)의 터치로 초기 드로잉 전 설정 값들을 주어진 메뉴(131)로 확인하고, 기계제도의 규격에 맞게 설정 값들을 선택하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어, 학습자는 상기 드로잉 메뉴(131)을 통해서 선 굵기, 선 색상, 선 형태, 선 종류을 기계제도 규격에 알맞게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외곽선은 0.7 mm, 숨은선은 0.3 mm등으로 선택하고, 외곽선은 실선, 숨은선은 은선, 중심선은 1점 쇄선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 종류는 직선, 곡선, 원 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
도 10C는 터치 스크린(100) 화면으로, 멀티 터치로 선긋는 과정과 빠른 선택 메뉴인 파라메트릭 메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0C를 참조하면, 제 1 터치 수단(610)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하게 되면, 투상도 그리기 펜(410)이 나타난다.
상기 학습자는 제 1 터치 수단(610)으로 도면상의 알맞은 투상선 위치의 시작점에 펜(410)을 위치 시킨 후 제2 터치 수단(620)으로 메뉴 영역 외에 터치 한다.
다음, 일측 방향으로 제1 터치 수단(610)을 드래그하면 펜(410)이 이동이 되면서 선을 긋게 된다. 종료 지점에 펜을 위치 시켜 제2 터치 수단(620)으로 터치하게 되면 선 긋기가 완료 된다. 선을 그을 때 파라메트릭 메뉴(420)가 펜 위에 활성화가 되며, 이를 통해 빠른 속성값 변경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 제어부(500)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모드가 활성화되어 이미지를 작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500)는 터치 스크린(100)에 터치 입력 신호 별 메뉴 구성 및 기능에 대한 화면 제어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자 입장에서 빠르고 쉽게, 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시각적인 UI가 제공되도록 터치 스크린(100) 화면의 표시 환경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학습자는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500)를 통하여 터치 스크린(100)의 화면 구성을 학습 미션 영역, 입체도 영역, 투상도면 영역, 메뉴 영역으로 구성할 수 있고, 최상위 메뉴(110)를 벡터 도형 제어, 벡터 도형 드로잉, 화면 제어할 수 있는 아이콘이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화면 제어 구역은 투상 도면 영역 내에 터치 입력 신호 인식 시 도형 드로잉을 손쉽게 그리기 위해 활성화, 비활성화 구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투상도면 외 영역을 터치 시에는 기존 방식의 프로세스대로 직관적인 설정 및 선택 메뉴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500)는 하부 메뉴(123) 설정 버튼을 클릭하여 3D 입체도의 6자유도 기능과 애니메이션, 프레임별 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500)는 화면의 시각적인 UI을 고려하여 화면 구성, 메뉴 구성, 디자인 구성을 사용자 입장에서 편안하게 학습 할 수 있게 터치 스크린(100)의 화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그래픽 인터페이스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에 의하여, 학습자는 기존의 터치 입력 방식인 터치 위치나 드래그 뿐만 아니라 멀티 터치와 터치 신호 유지 시간 등을 인터페이스 제어 요소로 추가하여 빠르고 손쉽게 이미지 작업을 할 수 잇는 장점이 있다.
특히, 기계제도 학습자는 상기 그래픽 인터페이스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을 통해 투상도와 투상도에 매칭된 3D 도면을 실시간으로 이미지 작업할 수 있게되어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지원이 가능하여, 학습자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기계제도에 대한 학습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0 : 제어부
100 : 터치 스크린
200 : 메뉴 처리부
300 : 이미지 편집부
400 : 드로잉부
500 : 디스플레이 제어부

Claims (10)

  1. 싱글 터치와 멀티 터치를 인식하고, 상기 싱글 터치 및 멀티 터치의 터치 유지시간을 인식하는 터치 신호 입력부;
    기계제도 학습을 위해 상기 터치 신호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메뉴가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학습 이미지인 스케일이 표시된 벡터 도형과, 스케일이 표시된 공간에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드로잉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글 터치, 멀티 터치 또는 롱 터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메뉴와 제 2 메뉴를 생성하거나 소멸시키는 메뉴 처리부와, 상기 학습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싱글 터치와 멀티 터치를 이용한 드로잉 모드를 제공하는 드로잉부와, 사용자에 의하여 드로잉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편집부와, 상기 학습 이미지 또는 사용자에 의해 드로잉된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신호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싱글 터치가 상기 학습 이미지 상에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 메뉴 처리부는 상기 제 1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메뉴에는 상기 드로잉부에 의한 드로잉 모드와, 상기 이미지 편집부에 의한 이미지 편집모드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에 의한 이미지 표시 방법 변경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 포함되는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신호 입력부에 의하여, 상기 학습 이미지 상에 사용자의 싱글 터치가 유지되 기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제 1 메뉴가 생성되고, 상기 제 1 메뉴에 포함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제 2 싱글 터치가 더 이루어지는 멀티 터치가 감지되는 때에,
    상기 메뉴 처리부는 상기 제 2 싱글 터치에 의해 선택되는 모드를 실행하고, 상기 모드의 세부 메뉴가 포함되는 제 2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싱글 터치에 의하여 드로잉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드로잉부는 상기 제 1 싱글 터치의 드래그 위치를 인식하여 멀티 터치가 인식될 때 상기 드래그 위치를 시작점으로 설정하고, 이후 상기 제 1 싱글 터치의 드래그 이동을 선분으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며
    상기 선분의 시작점과 종점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스케일이 표시된 공간의 복수의 격자점인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처리부는 상기 선분의 선 굵기, 선 색상, 선 형태 및 선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제 2 메뉴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고,
    상기 메뉴 처리부는 상기 제 2 메뉴의 선 종류 항목의 카테고리로 외각선을 표현하기 위한 실선과, 숨은선을 표현하기 위한 은선과, 중심선을 표현하기 위한 1점 쇄선을 선택하는 항목을 포함하는 파라드릭 메뉴를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싱글 터치에 의하여 이미지 편집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 편집부는 학습자가 상기 학습 이미지나 드로잉된 이미지를 확대및 축소, 프레임 설정, 3D 이미지의 표현 형식 변경 및 6 자유도로 관찰 시점 변경을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처리부는 편집하려는 이미지의 삭제, 굵기 설정, 색상 설정, 이동 및 회전의 기능을 수행하는 항목을 포함하는 제 2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싱글 터치에 의하여 이미지 표시 방법 변경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학습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되는 학습 대상의 이미지 구성 및 상기 제 1 메뉴와 제 2 메뉴의 세부 항목을 변경할 수 있도록 이미지 표시 방법 변경 모드를 제공하는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처리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학습 대상의 이미지 구성, 상기 세부 항목을 변경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는 제 2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표시하는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10. 싱글 터치와 멀티 터치를 인식하고, 상기 싱글 터치 및 멀티 터치의 터치 유지시간을 인식하는 터치 신호 입력부;
    기계제도 학습을 위해 상기 터치 신호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메뉴가 표시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학습 이미지인 스케일이 표시된 투상도와, 스케일이 표시된 공간에 상기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드로잉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글 터치, 멀티 터치 또는 롱 터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메뉴와 제 2 메뉴를 생성하거나 소멸시키는 메뉴 처리부와, 상기 학습 이미지에 대하여 상기 싱글 터치와 멀티 터치를 이용한 드로잉 모드를 제공하는 드로잉부와, 사용자에 의하여 드로잉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편집부와, 상기 학습 이미지 또는 사용자에 의해 드로잉된 이미지의 표시 방법을 변경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KR1020130107965A 2013-09-09 2013-09-09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KR101462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965A KR101462419B1 (ko) 2013-09-09 2013-09-09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7965A KR101462419B1 (ko) 2013-09-09 2013-09-09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419B1 true KR101462419B1 (ko) 2014-11-17

Family

ID=52290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7965A KR101462419B1 (ko) 2013-09-09 2013-09-09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4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047B1 (ko) * 2021-12-30 2022-06-16 주식회사 리콘랩스 비정형 스케치 기반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504720B1 (ko) * 2021-12-29 2023-02-28 주식회사 리콘랩스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407A (ko) * 2010-12-16 2012-06-26 주식회사 씨지브이알 입체 도형의 전개도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70641A (ko) * 2010-12-22 2012-07-02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한 드로잉 기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인식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20110162A (ko) * 2011-03-24 2012-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7407A (ko) * 2010-12-16 2012-06-26 주식회사 씨지브이알 입체 도형의 전개도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70641A (ko) * 2010-12-22 2012-07-02 엔에이치엔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멀티 터치를 기반으로 한 드로잉 기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인식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20110162A (ko) * 2011-03-24 2012-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720B1 (ko) * 2021-12-29 2023-02-28 주식회사 리콘랩스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23128043A1 (ko) * 2021-12-29 2023-07-06 주식회사 리콘랩스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10047B1 (ko) * 2021-12-30 2022-06-16 주식회사 리콘랩스 비정형 스케치 기반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시스템
WO2023128027A1 (ko) * 2021-12-30 2023-07-06 주식회사 리콘랩스 비정형 스케치 기반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시스템
US11915370B2 (en) 2021-12-30 2024-02-27 Recon Labs Inc. Method and system for 3D modeling based on irregular-shaped ske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7334B2 (ja) タッチ対応のコマンド実行のためのコンパクトなコントロールメニュー
KR101381484B1 (ko) 그래픽 오브젝트 플로팅 기능을 갖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실행 방법
US9600090B2 (en) Multi-touch integrated desktop environment
JP5580694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548524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상의 교육 애니메이션들의 렌더링
US8988366B2 (en) Multi-touch integrated desktop environment
KR20230167134A (ko) 증강 및 가상 현실 환경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한 시스템들, 방법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들
JP562798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9870144B2 (en) Graph display apparatus, graph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313395B1 (ja) 描画処理方法、描画処理プログラム及び描画処理装置
US11029836B2 (en) Cross-platform interactivity architecture
CN106716493B (zh) 对内容样式化的方法和对内容样式化的触摸屏设备
US11099723B2 (en) Interaction method for user interfaces
KR102205283B1 (ko)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885222A (zh) 图标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US9262005B2 (en) Multi-touch integrated desktop environment
CN105378639A (zh) 用限定的交叉控制行为降低控件响应等待时间
US9612743B2 (en) Multi-touch integrated desktop environment
KR20160020531A (ko) 테더링된 선택 핸들
KR101462419B1 (ko)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JP201208880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9116727A (ja) 画像入力表示装置
US20140365955A1 (en) Window reshaping by selective edge revisions
KR20160010993A (ko) 객체 편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1529886B1 (ko) 제스처 기반 3d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