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720B1 -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720B1
KR102504720B1 KR1020210191656A KR20210191656A KR102504720B1 KR 102504720 B1 KR102504720 B1 KR 102504720B1 KR 1020210191656 A KR1020210191656 A KR 1020210191656A KR 20210191656 A KR20210191656 A KR 20210191656A KR 102504720 B1 KR102504720 B1 KR 102504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l
display
mode
us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원
블랑코 로저
현경훈
반성훈
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콘랩스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씨제스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콘랩스,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씨제스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콘랩스
Priority to KR1020210191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720B1/ko
Priority to PCT/KR2022/000487 priority patent/WO202312804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1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대상 물체를 제1 시점에서 바라본 2차원 스케치(sketch)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2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모드에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2차원 스케치 데이터는 복수의 스트로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3D MODEL AUTOMATIC CREATION INTERFACE}
본 개시는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2차원 스케치로 3차원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프리핸드 스케치(freehand sketch)는 디자인 초기 단계에서 다양한 디자인 아이디어들을 시각화하여 조형감, 생산방법, 기능 등을 모의 실험하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이다. 이를 위하여 디자이너들은 다양한 스케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디자인 모의 실험을 진행한다.
하지만, 종래의 스케치 프로그램들은 2D 스케치 이미지를 3D 이미지로 변환하는 3D 변환 기술 개발에만 치중하고 있다. 이에 디자이너들은 3D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하여, 3D 이미지로 변환하기 위한 2D 스케치 이미지를 스케치하는데 별도의 노력과 적응기간이 필요하였으며, 2D 스케치 이미지를 스케치하는데 프로그램적 제한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스케치 프로그램들은 3D 모델로 변환된 상태에서 보정이 필요한 경우, 2D 스케치 이미지를 처음부터 다시 스케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디자이너들은 다양한 스케치의 모의 실험을 통하여 디자인 컨셉을 발전시켜야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개시는 방법, 장치(시스템) 또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1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대상 물체를 제1 시점에서 바라본 2차원 스케치(sketch)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2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모드에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2차원 스케치 데이터는 복수의 스트로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 이후에, 제2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3차원 모델을 보정하기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추가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상 물체에 대한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추가 스트로크는 3차원 모델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수신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 이후에, 제2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3차원 모델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회전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제2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회전된 3차원 모델을 보정하기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추가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대상 물체에 대한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추가 스트로크는 회전된 3차원 모델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수신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 이후에, 제1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1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3차원 모델을 보정하기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수신하는 단계, 제2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4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2 모드에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 및 추가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상 물체에 대한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추가 스트로크는 2차원 스케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수신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 이후에, 제2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3차원 모델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5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제5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회전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제1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6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제6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회전된 3차원 모델에 대응하는 대상 물체를 제2 시점에서 바라본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1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스트로크를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추천 스트로크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천 스트로크는 복수의 스트로크와 중첩되어 표시되고, 복수의 스트로크와 상이한 색상 또는 투명도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차원 스케치 데이터는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고, 복수의 레이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크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3차원 모델은 복수의 레이어 중 선택된 레이어에 포함된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3차원 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은, 통신 모듈, 메모리 및 메모리와 연결되고,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1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대상 물체를 특정 시점에서 바라본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2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제2 모드에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여기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는 복수의 스트로크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2차원 스케치 이미지를 3차원 모델로 구현한 후, 사용자 입력에 따라 3차원 모델을 보정함으로써, 디자인 초기 단계에서 효과적으로 방대한 디자인 조합을 탐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2차원 스케치 이미지의 스트로크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함으로써, 디자인 과정 중 생성된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1 모드(2차원 스케치 뷰 모드), 제2 모드(3차원 스케치 뷰 모드)를 자유롭게 전환하며 3차원 모델을 손쉽게 생성/보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2차원 스케치 데이터의 대상 물체를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손쉽게 생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3차원 모델로 변환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크 추천 모델이 추천 스트로크를 표시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보정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1 모드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레이어 패널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2 모드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본 개시에서, '시스템'은 서버 장치와 클라우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시스템은 서버 장치와 클라우드 장치가 함께 구성되어 동작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계학습 모델'은 주어진 입력에 대한 해답(answer)을 추론하는데 사용하는 임의의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계학습 모델은 입력 레이어(층), 복수 개의 은닉 레이어 및 출력 레이어를 포함한 인공신경망 모델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 레이어는 복수의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계학습 모델은 인공신경망 모델을 지칭할 수 있으며, 인공신경망 모델은 기계학습 모델을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3차원 모델 변환 모델', '스트로크 추천 모델' 등이 기계학습 모델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의 기계학습 모델로 설명된 모델은 복수 개의 기계학습 모델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기계학습 모델로 설명된 복수 개의 모델은 단일 기계학습 모델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디스플레이'는 컴퓨팅 장치와 연관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칭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제어되거나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공된 임의의 정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복수의 A의 각각' 또는 '복수의 A 각각'은 복수의 A에 포함된 모든 구성 요소의 각각을 지칭하거나, 복수의 A에 포함된 일부 구성 요소의 각각을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2차원 스케치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2차원 스케치 데이터(110)를 사용자 단말에 입력할 수 있다. 입력장치는 사용자 단말 자체에 구비되어 있거나, 사용자 단말과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2차원 스케치 데이터(110)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장치는 디지털 펜, 태블릿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시스템은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1 모드(예를 들어, 2차원 스케치 뷰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대상 물체를 제1 시점에서 바라본 2차원 스케치 데이터(110)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대상 물체에 대한 2차원 스케치 데이터(110)를 입력하고, 입력된 2차원 스케치 데이터(110)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대상 물체는 사용자가 스케치하고자 하는 물체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대상 물체는 책장이고, 사용자는 책장에 대한 2차원 스케치 데이터(110)를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2차원 스케치 데이터(110)에는 복수의 스트로크(stroke)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2차원 스케치 데이터(110)를 정보 처리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은 2차원 스케치 데이터의 3차원 모델 변환 모델을 이용하여 수신된 2차원 스케치 데이터(110)를 3차원 모델로 변환/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2 모드(예를 들어, 3차원 스케치 뷰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2 모드에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110)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모델(120)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은 2차원 스케치 데이터가 3차원 모델로 변환되면,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3차원 모델(120)을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은 3차원 모델(120)이 표시된 상태에서 3차원 모델의 보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3차원 모델을 보정할 수 있다. 3차원 모델의 보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과정은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 중 적어도 일부 또는 모든 과정이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3차원 모델 생성 과정이 수행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3차원 모델을 생성하기 위하여 제한된 형태의 2차원 이미지를 생성하지 않더라도, 스트로크로 구성된 2차원 스케치 데이터만으로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방대한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 시뮬레이션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210)은 3차원 모델링 애플리케이션, 웹 브라우저 등을 실행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휴대폰 단말, 태블릿 단말, PC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은 메모리(212), 프로세서(214), 통신 모듈(21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메모리(232), 프로세서(234), 통신 모듈(23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각각의 통신 모듈(216, 236)을 이용하여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24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18)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생성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212, 232)는 비-일시적인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12, 23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210)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2, 23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3차원 모델링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2, 23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직접 연결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을 통해 메모리(212, 23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212, 23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4, 23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2, 232) 또는 통신 모듈(216, 236)에 의해 프로세서(214, 234)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4, 234)는 메모리(212, 23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6, 236)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시스템(일례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214)가 메모리(212) 등과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3차원 모델 생성 요청, 대상 물체에 대한 2차원 스케치 데이터 등)는 통신 모듈(216)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23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이 통신 모듈(236)과 네트워크(220)를 거쳐 사용자 단말(210)의 통신 모듈(216)을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은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통신 모듈(216)을 통해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모델 데이터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8)는 입출력 장치(24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 장치는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8)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214)가 메모리(212)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나 다른 사용자 단말이 제공하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 등이 입출력 인터페이스(218)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입출력 장치(240)가 사용자 단말(210)에 포함되지 않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38)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연결되거나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18, 238)가 프로세서(214, 234)와 별도로 구성된 요소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 인터페이스(218, 238)가 프로세서(214, 234)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10)은 상술된 입출력 장치(24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0)은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사용자 단말(2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214)는 3차원 모델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등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프로그램과 연관된 코드가 사용자 단말(210)의 메모리(212)에 로딩될 수 있다.
3차원 모델 생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프로그램이 동작되는 동안에, 프로세서(2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18)와 연결된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거나 선택된 텍스트, 이미지, 영상, 음성 및/또는 동작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텍스트, 이미지, 영상, 음성 및/또는 동작 등을 메모리(212)에 저장하거나 통신 모듈(21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18)와 입력장치를 통하여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모델 생성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통신 모듈(21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14)는 2차원 스케치 데이터가 보정되면, 보정된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통신 모듈(21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214)는 입력 장치(240), 다른 사용자 단말, 정보 처리 시스템(230) 및/또는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14)에 의해 처리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21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2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18)를 통해 입출력 장치(240)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214)는 수신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234)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34)에 의해 처리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23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234)는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물체를 특정 시점에서 바라본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모드(예를 들어, 3차원 스케치 뷰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면, 제2 모드에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234)는 이렇게 생성된 3차원 모델을 통신 모듈(23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로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234)는 사용자 단말(210)의 디스플레이 출력 가능 장치(예: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등), 음성 출력 가능 장치(예: 스피커) 등의 출력 장치(240)를 통해 처리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234)는,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모델을 통신 모듈(23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로 제공하고, 3차원 모델을 사용자 단말(210)의 디스플레이 출력 가능 장치 등을 통해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210)은 대상 물체에 대한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수신(310)할 수 있다. 사용자는 대상 물체에 대한 2차원 스케치를 사용자 단말(21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입력장치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WebGL기반의 3차원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2차원 스케치 데이터에는 복수의 스트로크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10)은 사용자로부터 2차원 스케치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스트로크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은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2차원 스케치 데이터가 수신되면, 추천 스트로크의 필요 여부를 판단(32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추천 스트로크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추천 스트로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의 스케치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스트로크를 스트로크 추천 모델에 입력(330)하여 추천 스트로크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트로크 추천 모델은 사용자의 스트로크 작성 습관, 대상 물체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추천 스트로크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스트로크는 단일 스트로크 또는 복수의 스트로크일 수 있다.
스트로크 추천 모델은 사용자의 스트로크 작성 습관 및/또는 대상물체의 종류에 근거하여 스트로크를 추천하기 위하여 기 저장된 스케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스트로크 추천 모델은 데이터-기반 디자인 학습모델, 3차원 모델 생성 및 수정 기법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 학습모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계학습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 모델 등이 활용될 수 있다.
스트로크 추천 모델에서 사용하는 스케치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양한 사용자의 과거 스케치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스트로크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들이 스트로크를 입력할 때마다 입력된 스트로크가 포함된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스트로크 추천 모델은 다양한 또는 동일 사용자의 스트로크 습관과 유사한 스트로크를 추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케치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시각화(350)할 수 있다. 만일,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추천 스트로크가 있는 경우, 2차원 스케치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스트로크와 추천 스트로크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가 입력한 2차원 스케치 데이터와 추천 스트로크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경우, 2차원 스케치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스트로크와 추천 스트로크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2차원 스케치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스트로크와 추천 스트로크를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2차원 스케치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스트로크와 추천 스트로크를 서로 다른 투명도를 갖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사용자가 입력한 스트로크와 추천 스트로크를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스케치 시각화 후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3차원 모델 생성 모델에 입력하여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모델을 생성(360)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모델 생성 모델은 복수의 3D 모델 및 복수의 3D 모델로부터 자동 생성된 복수의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학습된 기계학습 모델일 수 있다. 만일 추천 스트로크가 있는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2차원 스케치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스트로크와 추천 스트로크를 3차원 모델 생성 모델에 입력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3차원 모델 생성 모델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은 도 8에서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3차원 모델이 생성되면, 생성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370)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2차원 스케치의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3차원 모델을 2차원뷰, 3차원뷰 및 추천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시각화(380) 할 수 있다. 2차원뷰는 사용자가 입력한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기능이다. 3차원뷰는 생성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기능이다. 추천뷰는 추천 스트로크를 2차원 스케치 데이터(또는 3차원 모델) 상에 표시하는 기능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2차원뷰, 3차원뷰 및 추천뷰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3차원 모델이 시각화된 상태에서 3차원 모델의 보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2차원 스케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3차원 모델의 보정을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3차원 모델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3차원 모델의 보정을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수신(310)하는 단계로 되돌아가서 추가 스트로크가 포함된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디스플레이 상에 생성된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그 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생성된 2차원 스케치 데이터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새롭게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3차원 모델이 시각화된 상태에서 3차원 모델의 보정이 필요 없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것에 근거하여, 3차원 모델 생성을 종료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데이터베이스에 최종적으로 생성된 3차원 모델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2차원 스케치 데이터의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2차원 스케치 데이터 또는 3차원 모델 뷰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의 보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방대한 디자인에 대한 3차원 모델을 보다 편리하게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스트로크의 표시 방법, 3차원 모델 생성 방법 및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로크 추천 모델이 추천 스트로크를 표시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2차원 스케치 데이터(410)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제1 모드(예를 들어, 2차원 스케치 뷰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스트로크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복수의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추천 스트로크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2차원 스케치 데이터(410)에 포함된 복수의 스트로크를 스트로크 추천 모델에 입력할 수 있다. 스트로크 추천 모델은 현재까지 입력된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후속 스트로크 또는 최종 2차원 스케치 이미지를 완성하기 위한 후속 스트로크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로크 추천 모델은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추천 스트로크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스트로크가 생성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천 스트로크를 복수의 스트로크(예를 들어, 2차원 스케치 데이터(410))에 중첩하여 표시(420)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천 스트로크는 2차원 스케치 데이터(410)와 상이한 색상 또는 투명도로 표시(420)될 수 있다. 즉, 추천 스트로크는 사용자가 입력한 2차원 스케치 데이터(410)에 포함된 복수의 스트로크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추천 스트로크와 사용자가 입력한 2차원 스케치 데이터(410)에 포함된 복수의 스트로크를 서로 다른 굵기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직접 입력한 스트로크와 추천 스트로크를 한눈에 확인하고, 추천 스트로크를 사용할지 여부를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보정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제2 모드(예를 들어, 3차원 모델(520)이 표시된 상태)에서 3차원 모델의 보정을 위한 추가 스트로크(521)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추가 스트로크(521)는 스트로크 추천 모델에 의하여 추천되거나, 입력장치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추가 스트로크(521)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상 물체에 대한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530)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추가 스트로크(521)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상 물체에 대한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530)을 생성할 수 있다.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530)에는 추가 스트로크(521)에 대응되는 3차원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추가 스트로크(521)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상 물체에 대한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제1 모드(예를 들어, 2차원 스케치 데이터(510)가 표시된 상태)에서 3차원 모델(520)의 보정을 위한 추가 스트로크(511)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제1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제1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3차원 모델을 보정하기 위한 추가 스트로크(511)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제2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4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제2 모드에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510) 및 추가 스트로크(511)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상 물체에 대한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53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530)은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3차원 모델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제1 모드 또는 제2 모드에서 자유롭게 3차원 모델을 손쉽게 생성/보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1 모드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모델을 생성/보정하는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에는 뷰 모드를 선택하는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다. 우선, 제1 모드 아이콘(610)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대상 물체에 대한 2차원 스케치 데이터(630)가 표시(예를 들어, 2차원 스케치 뷰 모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모드에서 복수의 스트로크로 구성된 2차원 스케치 데이터(630)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모드 아이콘(620)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입력한 2차원 스케치에 기초하여 생성된 3차원 모델을 표시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통해 후술한다.
제1 모드에서는 사용자의 과거 스트로크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640)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과거 스트로크를 확인할 수 있는 메뉴(640)는 슬라이드 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드 바에는 과거 입력된 스트로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단말은 슬라이드 바의 특정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선택된 인디케이터에 대응되는 스트로크를 사용자 인터페이스(600)의 중앙 영역에 표시하거나 선택된 인디케이터 이전에 입력된 스트로크들만 중앙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과거 입력한 스트로크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과거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2차원 스케치에 대한 보정을 보다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모델을 생성/보정하는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600)는 작업 영역(650)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 영역(650)은 작업의 목적에 맞게 필요한 기능들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3차원 모델을 생성/보정하는 프로그램의 작업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영역을 나타낸다. 또한, 작업 영역(650)은 레이어 패널 및 뷰 전환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어 패널 및 뷰 전환 아이콘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통해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2차원 스케치 뷰 모드 상에서 3차원 모델을 보정하기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제2 모드에서 3차원 모델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이후에, 제1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1 모드 아이콘(610)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제1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3차원 모델을 보정하기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2차원 스케치 데이터 및 추가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보정된 3차원 모델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제2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2 모드 아이콘(620)의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제2 모드에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 및 추가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상 물체에 대한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추천 스트로크 메뉴(미도시)를 선택하여,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된 추천 스트로크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추천 스트로크를 이용하여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보다 편리하게 완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제공하는 추천 스트로크는 2차원 스케치 데이터 상에 사용자가 입력한 스트로크와 함께 중앙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시스템이 제공하는 복수의 추천 스트로크는 중앙 영역이 아닌 별도의 화면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시스템이 제공하는 복수의 추천 스트로크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레이어 패널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어 패널(700)은 레이어 보이기/숨기기 토글 아이콘(710), 레이어 고정/비고정 토글 아이콘(720), 스케치 보이기/숨기기 토글 아이콘(730) 및 3D 재구축 사용/미사용 토글 아이콘(74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는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레이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레이어 보이기/숨기기 토글 아이콘(710)을 이용하여 특정 레이어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레이어 고정/비고정 토글 아이콘(720)을 이용하여 특정 레이어의 수정을 금지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는 스케치 보이기/숨기기 토글 아이콘(730)을 이용하여 특정 레이어에 포함된 스트로크가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추가로, 사용자는 3D 재구축 사용/미사용 토글 아이콘(740)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데 특정 레이어에 포함된 스트로크를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복수의 레이어 중 선택된 레이어에 포함된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3D 재구축 사용/미사용 토글 아이콘(740)을 통해 3차원 모델을 재구축을 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2 모드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모델(830)을 생성/보정하는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800)에는 뷰 모드를 선택하는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모드 아이콘(810)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입력한 대상 물체에 대한 2차원 스케치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2차원 스케치 뷰 모드에서 복수의 스트로크로 구성된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입력 받을 수 있다.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입력한 후, 사용자가 제2 모드 아이콘(820)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입력한 2차원 스케치에 기초하여 생성된 3차원 모델(830)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예를 들어, 3차원 스케치 뷰 모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3차원 모델(830)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3차원 모델(830)의 보정을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3차원 모델의 표시 방법을 선택하는 아이콘(840)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830)의 표시 크기 변형, 회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3차원 스케치 뷰 모드 상에서 3차원 모델(830)을 회전시킨 후 보정을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모드 아이콘(820)을 선택하여 3차원 모델(830)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 이후에, 아이콘(840)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83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된 3차원 모델(830)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후, 사용자는 회전된 3차원 모델(830)을 보정하기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입력할 수 있다. 추가 스트로크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은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830)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은 3차원 스케치 뷰 모드 상에서 3차원 모델(830)을 회전시킨 후(또는 회전된 상태에서 보정된 3차원 모델의)의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3차원 모델(830)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이후에, 3차원 모델(830)을 회전시키고, 제1 모드 아이콘(810)을 선택하여 제1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된 3차원 모델에 대응하는 대상 물체를 제2 시점에서 바라본 2차원 스케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모델을 생성/보정하는 프로그램의 사용자 인터페이스(800)는 작업 영역(8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 영역(850)은 뷰 전환 아이콘(852, 85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뷰 전환 아이콘(852)을 선택하여 대상 물체를 제1 시점에서 바라본 3차원 모델(830)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뷰 전환 아이콘(854)을 선택하여, 대상 물체를 다른 시점(예를 들어, 제2 시점)에서 바라본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900)의 예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900)은 사용자 단말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법(900)은 프로세서가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1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대상 물체를 제1 시점에서 바라본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910)로 개시될 수 있다. 여기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는 복수의 스트로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910)는, 제1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복수의 스트로크를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추천 스트로크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천 스트로크는 복수의 스트로크와 중첩되어 표시되고, 복수의 스트로크와 상이한 색상 또는 투명도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는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2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920).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제2 모드에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S930).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S930)한 이후에, 제2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3차원 모델을 보정하기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추가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상 물체에 대한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스트로크는 3차원 모델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S930)한 이후에, 제2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3차원 모델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회전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는 제2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회전된 3차원 모델을 보정하기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추가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대상 물체에 대한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스트로크는 회전된 3차원 모델이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S930)한 이후에, 제1 모드로의 전환을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제1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3차원 모델을 보정하기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는 제2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4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제2 모드에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 및 추가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대상 물체에 대한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추가 스트로크는 2차원 스케치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수신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S930)한 이후에, 제2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3차원 모델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5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5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회전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프로세서는 제1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6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제6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회전된 3차원 모델에 대응하는 대상 물체를 제2 시점에서 바라본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2차원 스케치 데이터는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고, 복수의 레이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크를 포할 수 있다. 단계 S930에서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3차원 모델은 복수의 레이어 중 선택된 레이어에 포함된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3차원 모델일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 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 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여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통신 매체들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소망의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이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칭해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디스크(disk) 와 디스크(disc)는,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들(disks)은 보통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고, 반면 디스크들(discs) 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위의 조합들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ASIC은 유저 단말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유저 단말에서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10: 2차원 스케치 데이터
120: 3차원 모델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1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대상 물체를 제1 시점에서 바라본 2차원 스케치(sketch)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2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2차원 스케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2차원 스케치 데이터는 복수의 스트로크를 포함하고,
    상기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 이후에,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3차원 모델을 보정하기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대상 물체에 대한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스트로크는 상기 3차원 모델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수신되고,
    상기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스트로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추천 스트로크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스트로크는 상기 복수의 스트로크와 중첩되어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스트로크와 상이한 색상 또는 투명도로 표시되는,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 이후에,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3차원 모델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회전된 3차원 모델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회전된 3차원 모델을 보정하기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물체에 대한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스트로크는 상기 회전된 3차원 모델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수신되는,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 이후에,
    상기 제1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3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3차원 모델을 보정하기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4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2차원 스케치 데이터 및 상기 추가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대상 물체에 대한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스트로크는 상기 2차원 스케치 데이터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수신되는,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 이후에,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3차원 모델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5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5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회전된 3차원 모델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6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6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회전된 3차원 모델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물체를 제2 시점에서 바라본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스케치 데이터는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이어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3차원 모델은 상기 복수의 레이어 중 선택된 레이어에 포함된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3차원 모델인,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통신 모듈;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1 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대상 물체를 특정 시점에서 바라본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의 제2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2차원 스케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대상 물체에 대한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2차원 스케치 데이터는 복수의 스트로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3차원 모델을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 이후에,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3차원 모델을 보정하기 위한 추가 스트로크를 수신하고,
    상기 추가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대상 물체에 대한 업데이트된 3차원 모델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스트로크는 상기 3차원 모델이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수신되고,
    상기 2차원 스케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은,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스트로크를 수신하는 것,
    상기 복수의 스트로크에 기초하여 생성된 추천 스트로크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는 것
    을 포함하고,
    상기 추천 스트로크는 상기 복수의 스트로크와 중첩되어 표시되고, 상기 복수의 스트로크와 상이한 색상 또는 투명도로 표시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210191656A 2021-12-29 2021-12-29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504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656A KR102504720B1 (ko) 2021-12-29 2021-12-29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CT/KR2022/000487 WO2023128043A1 (ko) 2021-12-29 2022-01-11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656A KR102504720B1 (ko) 2021-12-29 2021-12-29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720B1 true KR102504720B1 (ko) 2023-02-28

Family

ID=85326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656A KR102504720B1 (ko) 2021-12-29 2021-12-29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04720B1 (ko)
WO (1) WO202312804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004A (ko) * 2003-08-28 2005-03-09 인테크놀러지(주) 동양화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391386B1 (ko) * 2012-11-30 2014-05-07 엔디에스솔루션 주식회사 3d 이미지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462419B1 (ko) * 2013-09-09 2014-11-17 (주)토탈소프트뱅크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KR20200114429A (ko) * 2019-03-28 2020-10-07 한국과학기술원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3259B1 (ko) * 2015-06-17 2017-01-10 (주)유니드픽쳐 2d 이미지를 이용한 3d모델링 및 3차원 형상 제작 기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3004A (ko) * 2003-08-28 2005-03-09 인테크놀러지(주) 동양화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391386B1 (ko) * 2012-11-30 2014-05-07 엔디에스솔루션 주식회사 3d 이미지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462419B1 (ko) * 2013-09-09 2014-11-17 (주)토탈소프트뱅크 벡터 도형을 드로잉하기 위한 단말기
KR20200114429A (ko) * 2019-03-28 2020-10-07 한국과학기술원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28043A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7239B2 (en) Content creation tool
US20150185825A1 (en) Assigning a virtual user interface to a physical object
US10620778B2 (en) Augmentable and spatially manipulable 3D modeling
JP6013642B2 (ja) 体験コンテンツデータセットに関するキャンペーン最適化
JP2021524094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仮想シーン認識及びインタラクションキーマッチング方法、並びに計算装置
KR101891582B1 (ko) 컨텐츠 내 하이라이트 댓글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90347547A1 (en) Immersive feedback loop for improving ai
US11321913B2 (en) Three-dimensional (3D) modeling method of clothing
JP2022520263A (ja) ミニプログラムのデータバインディング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90043049A (ko)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표시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US20220318077A1 (en) Data engine
US201701854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controlling composite user interface control
JP2022539290A (ja) ディープラーニングのためのビジュアルプログラミング
CN104063424B (zh) 网页图片的展现方法和展现装置
KR102410047B1 (ko) 비정형 스케치 기반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504720B1 (ko) 3차원 모델 자동 생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2301158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vatar content
US2023019667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utomated 3d modeling for xr online platform
US11823308B2 (en) Freehand sketch image generating method and system for machine learning
CN114035725A (zh) 超声设备的教学方法、装置、超声成像设备和存储介质
KR20210029473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지리-지도 자가학습 서비스 제공방법, 이를 실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기록매체
KR102625304B1 (ko) 3차원 모델 카탈로그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220391046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posing online content
US2023020628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augmented reality and voice commands to capture and display product information
JP2023003489A (ja) 映像処理システム、映像処理プログラム及び映像処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