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5253A - 픽셀 매핑을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픽셀 매핑을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5253A
KR20130075253A KR1020110143558A KR20110143558A KR20130075253A KR 20130075253 A KR20130075253 A KR 20130075253A KR 1020110143558 A KR1020110143558 A KR 1020110143558A KR 20110143558 A KR20110143558 A KR 20110143558A KR 20130075253 A KR20130075253 A KR 20130075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mapping data
pixel mapping
observer
stereoscopic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기
류성원
김기홍
양웅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4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5253A/ko
Priority to US13/560,043 priority patent/US20130162630A1/en
Publication of KR20130075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픽셀 매핑을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은 배리어 정보와 패널 정보를 이용하여 관측자가 바라보는 시점위치와 관측자 시점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픽셀정보를 매핑한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픽셀 매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관측자의 시점위치와 대응되는 화면 상의 픽셀영역에 입체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시점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여 입체영상 왜곡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픽셀 매핑을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contents using pixel mapping}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디지털 콘텐츠 제공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 기반 입체영상 콘텐츠 제공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차원을 표현하는 입체영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두 눈이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는 양안 시차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좌우의 눈은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영상을 보게 되고,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정확히 인식하여 본래 입체영상의 깊이감과 실제감을 재생하게 된다.
입체영상을 보는 방식으로서는 관측자의 안경착용 여부에 따라 안경을 착용하는 안경방식과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이 있다.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관측자가 안경을 써야 하는 불편함과 안경을 쓴 상태로 입체영상 이외의 다른 사물을 관측하는데 지장을 받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으로서 알려진 대표적인 것으로는, 원통형의 렌즈 어레이를 수직으로 배열한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판을 영상패널 전방에 설치하는 렌티큘러 방식과,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방식이 있다. 그런데, 무안경 방식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의 배치구조로 인해 입체영상의 왜곡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선행기술 한국 등록특허 제10-0765131호에는 사용자의 위치정보에 따라 쉬프트할 서브픽셀 개수를 산출하고 이를 3으로 나누어 좌우 영상 바뀜을 체크하는 기술에 대해, 미국 공개특허 제2010-0060983호에는 양쪽 눈의 거리와 배리어와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배리어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 각각 개시하고 있다.
일 양상에 따라,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배치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입체영상의 왜곡현상을 방지하여 선명한 입체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픽셀 매핑을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한다.
일 양상에 따른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을 사용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배리어 정보와 패널 정보를 이용하여 관측자가 바라보는 시점위치와 관측자 시점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픽셀정보를 매핑한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관측자의 시점위치를 파악하는 단계와, 생성된 픽셀 매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파악된 관측자의 시점위치와 대응되는 화면 상의 픽셀영역에 입체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수의 픽셀로 이루어진 패널과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에 일정한 간격이 이격되어 설치된 패럴렉스 배리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와, 배리어 정보와 패널 정보를 이용하여 관측자가 바라보는 시점위치와 관측자 시점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픽셀정보를 매핑한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측자가 소정의 시점위치에서 화면을 바라보는 경우, 생성된 픽셀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측자의 소정의 시점위치와 대응되는 화면 상의 픽셀영역에 입체영상 콘텐츠를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측자 시점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픽셀영역에 입체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함에 따라, 서로 다른 시점이 섞이는 것을 방지하여 시점이 섞여서 발생하는 입체영상 왜곡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나아가, 관측자가 입체 디스플레이를 시청할 수 있는 각 위치마다, 입체 디스플레이의 패널 정보와 배리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적 특성을 고려하여 픽셀 매핑 데이터를 사전에 구성함으로써, 입체영상 콘텐츠를 서비스할 때 픽셀 매핑 처리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각 관측자 시점위치에 따라 최적의 입체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적응형 방식을 통해 선명한 입체영상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원리 및 입체영상 왜곡현상을 설명하는 참조도,
도 2는 도 1의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면의 중심에서 벗어나 주변부로 갈수록 입체영상의 왜곡현상이 심해짐을 도시한 참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측자의 시점위치를 다수 개로 구분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의 외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구현 예를 도시한 참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원리 및 입체영상 왜곡현상을 설명하는 참조도이다.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식은 랜티큘러 방식과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이 주를 이룬다. 이 중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는 사전에 시점의 수와 최적 시점거리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고, 설계에 따라 제작된 배리어(102)를 패널(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장착함으로써 입체영상 콘텐츠를 패널 화면에 띄운다.
그런데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경우, 관측자가 최적의 시점거리를 조금만 벗어나서 입체영상을 바라보면 부자연스러운 입체영상을 보게 된다. 이러한 원인 중에 하나는 바라보는 시야에 서로 다른 시점의 영상이 들어와 간섭하기 때문이다. 도 1에서 A가 관측자가 바라보는 한쪽 안구의 위치를 나타낸다면, 관측자가 배리어(102)를 통해 픽셀 화면(100)을 보는 순간, 한쪽 눈에서는 한 시점만 나타나야 한다. 그러나 보통은 도 1에 도시된 참조부호 100a와 100b처럼 서로 다른 시점의 픽셀이 관측자의 눈에 들어오거나, 여러 시점의 픽셀이 간섭되어 들어오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 경우 관측자는 입체화면에 대하여 왜곡현상을 느끼게 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중심에서 벗어나 주변부로 갈수록 왜곡현상의 정도는 더 심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의 구성도이다.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10), 프로세서(12), 픽셀 매핑 데이터베이스(14), 위치 감지센서(16) 및 콘텐츠 저장부(18)를 포함한다.
입체영상 디스플레이(10)는 다수의 픽셀로 이루어진 패널(100)과, 패널(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일정한 간격이 이격되어 설치된 패럴렉스 배리어(102)를 포함하여, 입체영상 콘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프로세서(12)는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한다. 픽셀 매핑 데이터는 배리어 정보와 패널 정보를 이용하여 관측자가 바라보는 시점위치와 관측자 시점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픽셀정보를 매핑한 테이블이다. 배리어 정보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10)를 구성하는 배리어(102)의 가로 및 세로의 물리적 크기, 개구폭 크기, 배리어의 가로 및 세로 해상도(개수)를 포함한다. 패널 정보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10)를 구성하는 패널(100)의 가로 및 세로 해상도(개수)와 물리적 크기, 픽셀 간 간격 정보를 포함한다.
위치 감지센서(16)는 관측자의 위치, 즉 관측자가 화면을 바라보는 시점위치를 파악한다. 관측자의 시점위치 파악 방법은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일반적인 모든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방법들은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위치 감지센서(16)를 통해 파악된 관측자 시점위치는 프로세서(12)에 전송되고, 프로세서(12)는 픽셀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 감지센서(16)를 통해 파악된 관측자의 시점위치와 대응되는 화면 상의 픽셀영역에 입체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입체영상 디스플레이(10)를 제어한다.
픽셀 매핑 데이터는 픽셀 매핑 데이터베이스(14)에 사전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2)는 픽셀 매핑 데이터베이스(14)에서 관측자의 시점위치에 해당하는 픽셀 매핑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픽셀 매핑 데이터에서 관측자의 시점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픽셀영역에 입체영상 콘텐츠를 출력한다.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서 픽셀 매핑 데이터베이스(14)는 별도의 메모리 공간에 할애되어, 패널과 함께 하나의 집합체로서 하드웨어가 구성되어 운용될 수 있다. 콘텐츠 저장부(18)는 입체영상 콘텐츠를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2)의 세부 구성도이다.
프로세서(12)는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부(120)와 위치 파악부(122) 및 표시부(124)를 포함한다.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부(120)는 배리어 정보와 패널 정보를 이용하여 관측자의 시점위치와 화면 상의 픽셀정보를 매핑한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한다. 위치 파악부(122)는 관측자의 시점위치를 파악한다. 표시부(124)는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부(120)를 통해 생성된 픽셀 매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치 파악부(122)를 통해 파악된 관측자의 시점위치와 대응되는 화면 상의 픽셀영역에 입체영상 콘텐츠를 입체영상 디스플레이(10)를 통해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측자의 시점위치를 다수 개로 구분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측자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10)를 바라보는 위치영역인 관측자 시점위치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도 5에서 참조부호 10은 입체영상 디스플레이(10)를 나타내고, 500a는 패널 앞에서 일반적으로 시청하는 관측자의 시점위치를, 500b와 500c는 중앙에서 주변으로 위치가 점점 넓혀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르면, 픽셀 매핑을 위하여 500a, 500b 및 500c 각 시점위치 간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500a, 500b, 500c의 시점위치 순으로 우선 순위를 정한다. 또한 각 시점위치에서는 일정 간격(예 cm 단위 또는 mm 단위)으로 3차원 공간좌표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패널, 배리어, 관측자의 안구 위치를 고려하여 관측자의 각 시점위치별 3차원 공간 좌표 x,y,z 위치 값을 얻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10)의 외관도이다.
입체영상 디스플레이(10)는 다수의 픽셀로 이루어진 패널(100)과, 패널(1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일정한 간격이 이격되어 설치된 배리어(102)를 포함하여, 입체영상 콘텐츠를 패널(100)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서 필요한 배리어 정보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10)를 구성하는 배리어(102)의 가로 및 세로의 물리적 크기, 개구폭 크기, 배리어의 가로 및 세로 해상도(개수)를 포함한다. 또한, 패널 정보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10)를 구성하는 패널의 가로 및 세로 해상도(개수)와 물리적 크기, 픽셀 간 간격 정보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해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구현 예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7은 관측자가 시점위치 A에서 동일한 높이의 배리어(102) 한 곳을 바라볼 때 해당 배리어를 통하여 동일한 높이의 패널(100) 화면 상에서 관측자 시선이 어느 곳을 바라보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관측자가 소정의 시점위치 A에서 배리어(102)의 소정의 슬릿을 이용하여 패널(100)의 소정의 서브픽셀을 바라본다고 가정한다. 도 7에 있어서, p는 관측자 한쪽 눈과 패널(100) 간의 수직거리이고, b는 관측자 한쪽 눈과 배리어(102) 간의 수직거리이고, b11은 슬릿 피치이고, b1은 b를 형성하는 배리어 지점에서 소정의 슬릿까지의 최단거리이고, p1은 p를 형성하는 패널 지점에서 소정의 서브픽셀까지의 최단거리이고, p11은 서브픽셀 피치이다. 그리고, d는 배리어(102)와 패널(100) 간 간격이다.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부(120)는 배리어 정보를 이용하여 b1을 계산한다. 이어서, 수식 p:b = p1: b1 = p1+p11 : b1+b11을 이용하여 p1과 p11을 계산한다. 그리고, p11의 서브픽셀 위치에 해당하는 픽셀정보를 관찰자 시점위치와 매핑하여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한다. 나아가, 이를 픽셀 매핑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한다. 도 7의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의 구현 예를 기초로 하여 후술되는 도 9에서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를 상세히 후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을 사용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1)는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부(120)를 통해 배리어 정보와 패널 정보를 이용하여 관측자가 바라보는 시점위치와 관측자 시점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픽셀정보를 매핑한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한다(8000). 생성된 픽셀 매핑 데이터는 픽셀 매핑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될 수 있다.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는 도 9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이어서, 위치 파악부(122)를 통해 관측자의 시점위치를 파악한다(8100). 그리고, 표시부(124)가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픽셀 매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위치 파악부(122)에서 파악된 관측자의 시점위치와 대응되는 화면 상의 픽셀영역에 입체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8200).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의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7의 패럴랙스 배리어 타입의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구조를 참조로 설명한다.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 프로세스(9000 내지 9400)는 배리어 해상도별 및 관측자 시점위치별로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가로 측의 배리어 해상도 l(개수)만큼, 세로 측의 배리어 해상도 m(개수)만큼, 관측자의 시점위치 n(개수)만큼 반복 수행된다.
우선,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부(120)는 배리어 정보를 이용하여 b1을 계산한다(9000). 이때, 기하학적인 원리에 따라, p:b = p1: b1 = p1+p11 : b1+b11 의 비례식이 성립된다. 따라서 해당 비례식에 의해 p11에 대한 기하학적인 시작점과 끝점을 파악할 수 있고, 패널 해상도 관점에서 p11을 이루는 픽셀좌표를 구할 수 있다(9100). 이 픽셀좌표에 관측자가 바라보고 있는 화면 상의 픽셀정보를 저장한다(9200).
이어서, 도 7의 이해에 따라 다시 도 9로 돌아와서 각 관측자 시점위치별로 배리어 해상도 l, m(개수) 만큼 관측자의 한쪽 안구 위치 A를 기준으로 배리어 정보 중 배리어 간격 및 개구폭 정보를 이용하여 b1을 계산한다(9000). 이어서 b1과 b11, p와 b 정보 간의 비례식을 이용하여 p1과 p11을 계산한다(9100). p1과 p11이 구해지면 p11 부분의 픽셀위치에 해당하는 픽셀정보를 생성한다(9200).
도 9의 단계 9000 내지 9200까지를 배리어 해상도 l, m(개수) 만큼 수행하면, 관측자의 시점위치에서의 픽셀정보가 생성(9300)되고, 나아가 관측자의 시점위치 n(개수) 만큼 관측자 시점위치별로 관측자 시점위치와 픽셀정보를 매핑한 픽셀 매핑 데이터가 생성 및 저장된다(9400).
전술한 프로세스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각 관측자 시점위치에 따른 픽셀 매핑 데이터가 저장된 픽셀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픽셀 매핑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완료되면, 관측자가 소정의 시점위치에 위치할 때 그 관측자의 위치정보를 파악한 후 해당 픽셀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픽셀 매핑 테이블을 가져와 입체영상 콘텐츠를 입체 디스플레이에 출력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0 :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12 : 프로세서 14 : 픽셀 매핑 데이터베이스
16 : 위치 감지센서 18 : 콘텐츠 저장부
120 :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부 122 : 위치 파악부
124 : 표시부

Claims (15)

  1. 패럴랙스 배리어 방식을 사용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가 입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배리어 정보와 패널 정보를 이용하여 관측자가 바라보는 시점위치와 관측자 시점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픽셀정보를 매핑한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관측자의 시점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픽셀 매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파악된 관측자의 시점위치와 대응되는 화면 상의 픽셀영역에 입체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 정보는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배리어의 가로 및 세로의 물리적 크기, 개구폭 크기, 배리어의 가로 및 세로 해상도(개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정보는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패널의 가로 및 세로 해상도(개수)와 물리적 크기, 픽셀 간 간격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배리어 정보를 이용하여 b1을 계산하는 단계;
    수식 p:b = p1: b1 = p1+p11 : b1+b11을 이용하여 p1과 p11을 계산하는 단계; 및
    p11의 서브픽셀 위치에 해당하는 픽셀정보를 관찰자의 시점위치와 매핑하여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이때, 관측자가 배리어의 소정 슬릿을 이용하여 패널의 소정 서브픽셀을 바라본다고 가정하며, p는 관측자 눈과 패널 간의 수직거리이고, b는 관측자 눈과 배리어 간의 수직거리이고, b11은 슬릿 피치이고, b1은 b를 형성하는 배리어 지점에서 슬릿까지의 최단거리이고, p1은 p를 형성하는 패널 지점에서 서브픽셀까지의 최단거리이고, p11은 서브픽셀 피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1 계산 단계와 p1과 p11 계산 및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 단계는 가로와 세로 화면에 대한 배리어 해상도(개수)만큼 관측자의 시점위치 별로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픽셀 매핑 데이터를 픽셀 매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측자의 시점위치와 대응되는 화면 상의 픽셀영역에 입체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픽셀 매핑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관측자의 시점위치에 해당하는 픽셀 매핑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픽셀 매핑 데이터에서 상기 관측자의 시점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픽셀영역에 입체영상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관측자의 시점위치를 다수의 시점위치로 구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각 시점위치 별로 시점위치와 화면 픽셀정보를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다수의 시점위치에 대한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지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9. 다수의 픽셀로 이루어진 패널과, 상기 패널의 전면 또는 후면에 일정한 간격이 이격되어 설치된 패럴렉스 배리어를 포함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및
    배리어 정보와 패널 정보를 이용하여 관측자가 바라보는 시점위치와 관측자 시점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픽셀정보를 매핑한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고, 관측자가 소정의 시점위치에서 화면을 바라보는 경우, 상기 생성된 픽셀 매핑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관측자의 소정의 시점위치와 대응되는 화면 상의 픽셀영역에 입체영상 콘텐츠를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배리어 정보와 패널 정보를 이용하여 관측자의 시점위치와 화면 상의 픽셀정보를 매핑한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부;
    관측자의 시점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및
    상기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픽셀 매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파악부를 통해 파악된 관측자의 시점위치와 대응되는 화면 상의 픽셀영역에 입체영상 콘텐츠를 상기 입체영상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픽셀 매핑 데이터가 저장되는 픽셀 매핑 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픽셀 매핑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관측자의 시점위치에 해당하는 픽셀 매핑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픽셀 매핑 데이터에서 상기 관측자의 시점위치에 대응하는 화면 상의 픽셀영역에 입체영상 콘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배리어 정보를 이용하여 b1을 계산하고, 수식 p:b = p1: b1 = p1+p11 : b1+b11을 이용하여 p1과 p11을 계산하며, p11의 서브픽셀 위치에 해당하는 픽셀정보를 관찰자의 시점위치와 매핑하여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때, 관측자가 배리어의 소정 슬릿을 이용하여 패널의 소정의 서브픽셀을 바라본다고 가정하며, p는 관측자 눈과 패널 간의 수직거리이고, b는 관측자 눈과 배리어 간의 수직거리이고, b11은 슬릿 피치이고, b1은 b를 형성하는 배리어 지점에서 슬릿까지의 최단거리이고, p1은 p를 형성하는 패널 지점에서 서브픽셀까지의 최단거리이고, p11은 서브픽셀 피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b1 계산과 p1과 p11 계산 및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을 가로와 세로 화면에 대한 배리어 해상도(개수)만큼 관측자의 시점위치 별로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부는
    다수의 시점위치 별로 시점위치와 화면 픽셀정보를 매핑하여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 매핑 데이터 생성부는
    다수의 시점위치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라 픽셀 매핑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143558A 2011-12-27 2011-12-27 픽셀 매핑을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7525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558A KR20130075253A (ko) 2011-12-27 2011-12-27 픽셀 매핑을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US13/560,043 US20130162630A1 (en) 2011-12-27 2012-07-27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 contents using pixel map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558A KR20130075253A (ko) 2011-12-27 2011-12-27 픽셀 매핑을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253A true KR20130075253A (ko) 2013-07-05

Family

ID=4865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558A KR20130075253A (ko) 2011-12-27 2011-12-27 픽셀 매핑을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62630A1 (ko)
KR (1) KR201300752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476A1 (ko) * 2013-07-31 2015-02-05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테레오 집적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60081029A (ko) * 2014-12-30 2016-07-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안경 다시점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US10616566B2 (en) 2016-07-22 2020-04-0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3D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1938B2 (en) * 2014-11-05 2021-02-23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stereoscopic simulation of a performance of a head-up display (HUD)
CN108932292B (zh) * 2018-05-29 2021-11-12 东南大学 一种大范围遥感影像快速多分辨率调度显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6543B2 (ja) * 2000-06-30 2011-01-19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多人数共有型表示装置
KR101255209B1 (ko) * 2006-05-04 2013-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고해상도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476A1 (ko) * 2013-07-31 2015-02-05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스테레오 집적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60081029A (ko) * 2014-12-30 2016-07-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안경 다시점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영상 처리 방법
US10616566B2 (en) 2016-07-22 2020-04-07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3D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62630A1 (en)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479B1 (ko) 능동 부화소 렌더링 방식 고밀도 다시점 영상 표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030830B1 (ko) 곡면형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308513B2 (ja) 立体画像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立体画像処理方法
KR101675961B1 (ko) 적응적 부화소 렌더링 장치 및 방법
EP3350989B1 (en) 3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432657B2 (en) Naked-eye 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viewpoint adjustment method, and naked-eye stereoscopic vision-ready video data generation method
CN102404592B (zh) 图像处理设备和方法以及立体图像显示设备
US20160150226A1 (en) Multi-view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and method with position sensing and adaptive number of views
JP2012169759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20140073584A (ko) 화상 처리 장치, 입체 화상 표시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화상 처리 프로그램
JP2011215422A (ja) 表示装置及び立体画像の表示方法
KR101966152B1 (ko)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201624058A (zh) 廣視角裸眼立體圖像顯示方法、裸眼立體顯示設備以及其操作方法
JP2013520890A (ja) 3dディスプレイ装置で3次元映像を視覚化する方法および3d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30075253A (ko) 픽셀 매핑을 이용한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101975246B1 (ko)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2172766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and program
KR20140115854A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입체 영상 표시 방법
JP7335233B2 (ja) 2つのビューポイントのオートステレオスコピックイメージをnビューポイントのオートステレオスコピック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に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そのようなディスプレイスクリーン上の表示を制御する方法
TW201320719A (zh) 立體畫像顯示裝置、畫像處理裝置及畫像處理方法
KR20120070363A (ko)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10351544A (zh) 裸眼3d显示的三维图像编码方法及装置
KR20150091838A (ko) 초다시점형 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14241015A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立体画像表示装置
KR20050076946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