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5067A -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5067A
KR20130075067A KR1020110143265A KR20110143265A KR20130075067A KR 20130075067 A KR20130075067 A KR 20130075067A KR 1020110143265 A KR1020110143265 A KR 1020110143265A KR 20110143265 A KR20110143265 A KR 20110143265A KR 20130075067 A KR20130075067 A KR 20130075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compressor
vehicle
allowable power
stat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규익
엄세동
윤길상
김영근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5067A/ko
Publication of KR2013007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8Vehicle drive related control of the compressor drive means, e.g. for fuel sav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4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vehicles having a combustion engine and electric drive means, e.g. hybrid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압축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충전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10), (b) 상기 충전상태가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허용전력의 하강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0), 및 (c) 상기 허용전력이 하강하는 경우, 블로어 단수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제한 회전수를 연산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허용전력의 하강여부에 따라 차량 구동모터의 작동을 인지하여 EV 모드와 비 EV 모드에서의 전동 압축기의 회전수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비전력과 차량 내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CONTROLLING METHOD OF ELECTRIC COMPRESSOR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구비된 전기부품을 구동하기 위해 허용된 총 전력량의 하강 여부에 따라 전동 압축기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엔진과 차량 구동모터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의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시동 시나 큰 구동력이 요구되는 경우에 엔진을 차량의 구동원으로 사용하고, 평지 주행 시나 정지 시 등과 같이 큰 구동력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 구동모터를 구동원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는 전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냉매를 토출하는 전동 압축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차량 구동모터와 전동 압축기는 구동수단으로 각각의 모터를 이용하고 있다. 각각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배터리가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특히 모터는 구동하는 데에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대표적인 구동 모듈이다.
따라서 차량 구동모터와 전동 압축기에 구비된 모터가 동시에 구동하는 경우에는 배터리의 소모가 급격히 진행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차량에서는 엔진이 작동을 멈춘 시점에서, 차량 구동모터가 작동하므로 동시에 전동 압축기가 목표 회전수로 회전하게 되면 차량 내 소음이 크게 증가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여기서 목표 회전수란 목표 증발기 온도와 운전자가 설정한 목표 실내온도에 대응하여 정해지는 전동 압축기의 회전수이다. 목표 증발기 온도가 높고 운전자가 설정한 목표 실내온도가 낮을수록 전동 압축기의 목표 회전수는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 구동모터와 목표 회전수가 높은 전동 압축기가 동시에 구동하게 되면, 배터리의 급격한 소모뿐만 아니라 차량 내 소음도 크게 증가하여 운전자의 운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배터리의 안정적인 운영과 전동 압축기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전동 압축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소비와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의 제어방법은,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a)충전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b)상기 충전상태가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허용전력의 하강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상기 허용전력이 하강하는 경우, 블로어 단수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제한 회전수를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허용전력이 하강하지 않는 경우, 외기온과 블로어 단수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제한 회전수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충전상태가 기 설정된 비율 이하인 경우, 허용전력의 하강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허용전력이 하강하는 경우, 허용전력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제한 회전수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허용전력의 하강여부에 따라 차량 구동모터의 작동을 인지하여 EV 모드와 비 EV 모드에서의 전동 압축기의 회전수를 각각 제어함으로써 차량 내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동 압축기의 회전수를 제한하기 때문에 소모전력이 감소하여 EV 모드가 연장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EV 모드 시 허용전력을 낮게 설정함으로써 전기부품의 전력소비를 감소시켜 안정적인 배터리를 운영할 수 있는 효과도 파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의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기재하였다.
본 발명의 기본 원리는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허용전력의 하강여부를 감지함으로써 차량 구동모터의 구동여부를 판단하고, 차량 구동모터의 구동여부에 따라 전동 압축기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를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10)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냉매 압축부(11), 냉매 압축부(11)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동모터(12), 배터리(15)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력을 주파수 가변되는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동모터(12)에 전기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인버터부(13), 및 배터리(15)의 충전상태를 판단하고 허용전력의 하강여부에 따라 인버터부(13)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동 압축기(10)의 형태는 엔진(20)과 차량 구동모터(40)를 동력원으로 하는 발전기(30)로부터 배터리(15)에 충전된 전력을 사용하는 전동압축기의 형태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전동 압축기(1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전동 압축기(10)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사용되는 전동 압축기로서, 배터리(15) 전력을 구동력으로 하는 전동모터(12)에 의해 전달받은 회전력으로 냉매 압축부(11)를 압축하여 냉매를 토출한다.
이때, 전동 압축기(10)의 회전수는 제어부(14)의 연산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제어부(14)는 회전수를 연산하기 위하여 현재 증발기 온도와, 현재 회전수와, 목표 증발기 온도를 변수로 한다. 그리고 목표 증발기의 온도는 운전자가 설정한 실내온도에 대응하여 정해진다. 여기서 목표 증발기 온도란 사용자가 설정한 실내 온도 값에 부합하기 위해 설정되는 증발기의 온도이다.
이와 같이 제어부(14)는 전동 압축기(11)의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해, 전동모터(120)에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부(13)를 제어하여 출력 전력량을 조절한다.
여기서 배터리(15)는 차량의 엔진(20)과 차량 구동모터(40)의 물리적 에너지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기(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충전한다. 이때 충전되는 전력은 직류이기 때문에 전동모터(12)에 공급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즉, 전동모터(12)는 교류로 구동하기 때문에, 전동모터(12)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배터리(15)에 충전된 직류를 교류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인버터부(13)는 배터리(15)로부터 직류 전력을 공급받아, 전동모터(12)가 구동하기 적합한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이때 제어부(14)는 인버터부(13)를 제어함으로써 전동모터(12)의 회전량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0)는 센서부(50)로부터 제공받은 공조환경과 공조조건에 따라 전동 압축기(10)의 회전수를 변화시킨다. 이와 같은 공조환경에는 실내온도, 실외온도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공조조건은 운전자에 의해 설정된 차량 실내 설정온도, 난방 또는 냉방 등의 기능선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50)는 증발기 온도센서, 차외 온도센서, 차내 온도센서, 일사량 센서, 냉각수 온도센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4)는 배터리(15)의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 정보를 배터리(15)로부터 제공받는다.
그 후, 제어부(14)는 배터리(15) 충전상태가 예컨대 30%일 때를 임계로 하여 허용전력의 하강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허용전력(Permission power)이라 함은 차량에 구비된 전기부품들이 동작하기에 적합한 전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차량의 전기부품들의 전력을 관리하는 전력관리 ECU(16)는 제어부(14)로 허용전력 정보를 제공한다. 즉, 전력관리 ECU(160)는 배터리(15)의 충전상태에 따라 전기부품들에 공급될 허용전력을 결정한다. 전기부품으로는 헤드라이트, 백라이트, 라디오, 실내등, 파워윈도우 등과 같은 모듈들을 예로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전기부품들은 차량 구동모터(40)나 전동모터(12)에 비해 소비되는 전력이 작다.
다음의 [표 1]은 자동차용 배터리(15)의 충전상태에 따른 출력전압(V)을 예를 들어 보여주는 표이다.
출력전압(V) 충전상태(%)
K 100
J 90
I 80
H 70
G 60
F 50
E 40
D 30
C 20
B 10
A 0
일반적으로 하이브리드 차량에 구비된 배터리(15)는 완전방전 순간에 60V의 출력전압을 갖는다. 따라서 A의 전압을 60V라라고 가정한다.
배터리(15)의 출력전압은 배터리(15)의 충전상태에 따라 리니어(Linear)하게 증감한다. 출력전압은 A에서 K로 갈수록 충전상태에 비례하여 리니어(Linear)하게 증가한다. 예를 들면 A=60V, B=60.5V, C는 61V, D=61.5V…………로 충전량 10%당 0.5V가 증감한다.
따라서 허용전력은 배터리(15)의 충전상태에 따라 전기부품들이 동작하기에 적합하도록 지속적으로 변경되어 설정된다. 즉, 허용전력은 배터리(15)의 충전상태에 비례하여 증감된다.
다음은 제어부(14)가 차량의 EV 모드와 비 EV 모드를 판단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14)는 배터리(15)의 충전상태가 30% 이상인 경우, 허용전력이 하강한다면 차량 구동모터(40)가 구동한다고 판단한다. 왜냐하면 차량 구동모터(40)는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 가장 많은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허용전력의 하강을 판단하는 기준은 기 설정된 시간 내에 허용전력이 두 단계 아래로 설정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차량 구동모터(40)는 구동 시 높은 순간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배터리(15)는 많은 전류를 차량 구동모터(40)로 제공해야 한다. 그리고 차량 구동모터(40)는 단시간에 많은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배터리(15)의 충전상태가 빠른 속도로 하강하기 때문에 허용전력도 이에 비례하여 동반 하강한다. 따라서 허용전력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차량이 EV 모드라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전동 압축기(10)의 회전수를 제한한다.
여기서 전동 압축기(10)의 회전수를 제한하는 동작에 대해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제한 회전수는 B에서 D로 갈수록 그 값이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아이들(idle) 상태
EV 모드
블로어(Blower) 단수 제한 회전수
3단 이하 B
4~5단 D
6단 이상 D
우선 [표 2]를 참조하면, 현재 차량의 상태는 아이들(idle) 상태이고 EV 모드이다. 따라서 자동차 엔진(20)이 작동을 멈춘 상태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차내 소음이 크게 부각된다. 따라서 제어부(14)는 전동 압축기(10)의 회전수를 목표 회전수 이하로 낮추어 소음을 감소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14)는 연산인자를 블로어 단수에 한정하여 제한 회전수를 설정한다.
여기서 아이들 상태란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이하이거나, 엔진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회전수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즉 아이들 상태는 차량이 정지 또는 저속이고 엔진에 걸리는 부하량도 적은 상태이다. 또한 이때 설정된 속도 및 회전수 각각은 차량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적절한 수로 미리 선택된다.
또한, [표 2]에서 차량이 아이들 상태라고 설정하는 이유는 아이들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전동 압축기(10)의 소음이 크게 부각되지 않기 때문이다.
여기서 [표 2]는 제1테이블(표2)의 형식으로 제어부(14)에 저장되어 제한 회전수를 연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표 2]를 참조하면, 현재 차량의 상태는 아이들 상태 및 EV 모드이다. 이 경우에는 낮은 냉방부하로서 전동 압축기 작동 소음을 커버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르는 전동 압축기(10)는 아이들 상태에서도 제한 회전수의 값을 블로어 단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표 2]에서와 같이 블로어 단수가 3단 이하이면 블로어 단수가 4단 이상인 때보다 제한회전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는 배터리(15)의 충전상태가 30% 이상인 경우, 허용전력이 하강하지 않으면 차량 구동모터(40)가 중지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즉 EV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전동 압축기(10)의 회전수를 외기온과 블로어 단수에 따라 제한 회전수로 연산한다.
그러면 제어부(14)는 인버터부(13)로부터 모터(12)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
우선 차량 구동모터(40)가 정지하고 엔진(20)이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15)는 전동 압축기(10)에게만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제어부(14)는 전동 압축기(10)의 회전수를 기 저장된 최저 회전수 이상, 외기온 및 블로어 단수에 따른 제한 회전수 이하가 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4)는 외기온 및 블로어 단수에 따른 제한 회전수는 다음의 [표 3]을 참조하여 연산한다.
[표 3]을 참조하면, 제한 회전수는 A에서 E로 갈수록 그 값이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표 3]을 참조하면 차량 아이들 상태이지만 EV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블로어 단수와 외기온을 기초로 제한 회전수의 값을 세분화하였다.
아이들(idle) 상태
비 EV 모드
외기온(°C) -40 0 5 10 15 20 25 30 35 40 50 60
3단 이하 A A A A A B B C D D D D
4~5단 A A A C C C D D D D D D
5단 이상 A A A C C C D D D E E E
[표 3]을 참조하면 외기온이 올라가고 블로어 단수가 높아질수록 전동 압축기(10)의 제한 회전수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표 3]을 참조하면 외기온 및 블로어 단수에 따른 제한 회전수는 제2테이블(표 3)형식으로 제어부(14)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는 제2테이블을 이용하여 제한 회전수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충전상태가 30%미만인 경우에는 제어부(14)가 다음과 같이 제한 회전수를 결정한다.
우선, 충전상태가 30%미만인 경우, 허용전력이 하강하지 않는다면 마찬가지로 EV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전동 압축기(10)의 회전수를 기 저장된 최저 회전수 이상, 외기온 및 블로어 단수에 따른 제한 회전수 이하가 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술한 ‘배터리(15)의 충전상태가 30% 이상인 경우, 허용전력이 하강하지 않으면 경우’와 동일하게 제한 회전수를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4)는 기 저장된 제2테이블을 이용하여 제한 회전수를 연산할 수 있다.
그러나 충전상태가 30%미만인 경우, 허용전력이 하강한다면 차량이 EV 모드일수도 있으나 EV 모드가 아니더라도 방전 방지를 위해 허용전력을 일부러 낮출 수 있으므로, 제어부(14)는 EV 모드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전동 압축기(10)의 회전수를 허용전력에 따라서만 결정하게 된다.
한편 이 경우, 제어부(14)는 배터리(15)의 방전을 막기 위해 전동 압축기(10)의 회전수를 기 설정된 최소 회전수를 적용하여 제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전동 압축기(10)는 차량이 아이들 상태일 경우, 배터리(15)의 충전상태와 허용전력의 하강여부에 따라 차량의 EV 모드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그에 적합한 회전수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전동 압축기(10)는 충전상태가 임계치 이하인 경우, EV 모드를 연장하기 위해 전동 압축기에 허용전력에 따른 제한 회전수를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허용전력에 따른 제한 회전수를 적용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기 때문에 배터리(15)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 기 설정된 최소 회전수에 따른 전동 압축기(10)의 회전수를 연산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인 [표 2]와 [표 3]은 아이들 상태에서 차량이 EV 모드인지 비 EV 모드인지를 구분하여 외기온과 블로어 단수를 이용하여 제한 회전수를 연산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제한 회전수를 연산하기 위한 인자는 차량의 실내온도, 일사량과 같은 정보를 연산인자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을 보여주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200)은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10), 충전상태가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허용전력의 하강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0), 및 허용전력이 하강하는 경우, 블로어 단수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제한 회전수를 연산하는 단계(S23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200)의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르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300)은 우선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10)에서부터 시작된다.
여기서 현재 차량은 아이들 상태라는 전제를 갖는다. 차량의 아이들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은 차량이 기 설정된 속도 이하이거나, 엔진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회전수 이하인 경우이다. 따라서 제어부(14)는 센서부(50)로부터 차속, 엔진 회전수 정보 등을 수신받아 현재 차량의 상태를 아이들 상태로 판단하였다.
우선 제어부(14)는 배터리(15)의 충전상태(State of charge, SOC) 정보를 배터리(15)로부터 제공받는다. 여기서 배터리(15)의 충전상태는 출력전압과 동일한 비율로 비례하여 증감하게 되므로, 제어부(14)는 현재 배터리(15)의 전압을 파악하여 현재 충전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그 후, 제어부(14)는 충전상태가 30%일 때를 임계로 하여 배터리(15)의 충전상태가 그 이상인지 미만인지에 대해 판단한다.
만약, 충전상태가 30% 이상인 경우, 제어부(14)는 전력관리 ECU(16)로부터 받은 허용전력 정보를 이용하여 허용전력의 하강여부를 판단한다(S220).
허용전력이 하강하는 경우, 블로어 단수에 따른 전동 압축기(10)의 제한 회전수를 연산한다(S230). 즉, 허용전력이 일정수준 이상으로 하강한다면 차량 구동모터(40)가 구동한다고 판단하여, 차량이 EV 모드라고 판단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전동 압축기(10)의 제한 회전수를 블로어 단수에 따라 연산함으로써 회전수를 연산된 제한 회전수 이하로 제어하게 된다.
한편, 허용전력이 하강하지 않는 경우에는, 차량 구동모터(40)가 중지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EV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하게 되며, 이 경우에는 전동 압축기(10)의 제한 회전수를 외기온과 블로어 단수에 따라 연산함으로써 회전수를 연산된 제한 회전수 이하로 제어하게 된다(S240).
한편, 제210단계(S210)에서 충전상태가 30% 미만이라고 판단하게 되면, 허용전력의 하강여부를 판단한다(S250).
이때 허용전력이 하강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240단계(S240)로 이동하여 EV 모드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전동 압축기(10)의 제한 회전수를 외기온과 블로어 단수에 따라 연산한다.
그러나 만약 허용전력이 하강한다고 판단되면, 차량이 EV 모드일수도 있으나 EV 모드가 아니더라도 방전 방지를 위해 허용전력을 일부러 낮출 수 있으므로, 제어부(14)는 EV 모드인지 여부와 무관하게 전동 압축기(10)의 회전수를 허용전력에 따라서만 결정하게 된다(S260).
이 경우, 제어부(14)는 배터리(15)의 완전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전동 압축기(10)의 회전수를 허용전력에 따른 제한 회전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배터리(15)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하여 전동 압축기(10)의 회전수를 기 설정된 최소 회전수를 적용하여 제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제한 회전수 값을 기준으로 다시 설명하면, 전동 압축기 작동소음을 커버할 수 없는 상황(즉, 낮은 냉방부하)에서는 제한 회전수 값을 하향 조정한 것이고, 전동 압축기의 작동 소음을 커버할 수 있는 상황(즉, 높은 냉방부하)에서는 제한 회전수 값을 성능위주로 상향 조정한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전동 압축기 11: 냉매 압축부
12: 전동 모터 13: 인버터부
14: 배터리 15: 제어부
16: 전력관리 ECU 20: 엔진
30: 발전기 40: 차량 구동모터
50: 센서부

Claims (4)

  1.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충전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210);
    (b) 상기 충전상태가 기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허용전력의 하강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20); 및
    (c) 상기 허용전력이 하강하는 경우, 블로어 단수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제한 회전수를 연산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허용전력이 하강하지 않는 경우, 외기온과 블로어 단수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제한 회전수를 연산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e) 상기 충전상태가 기 설정된 비율 이하인 경우, 허용전력의 하강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f) 상기 허용전력이 하강하는 경우, 허용전력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제한 회전수를 연산하는 단계를(S260)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
KR1020110143265A 2011-12-27 2011-12-27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 KR20130075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265A KR20130075067A (ko) 2011-12-27 2011-12-27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265A KR20130075067A (ko) 2011-12-27 2011-12-27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657A Division KR101542330B1 (ko) 2014-11-07 2014-11-07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067A true KR20130075067A (ko) 2013-07-05

Family

ID=4898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265A KR20130075067A (ko) 2011-12-27 2011-12-27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50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01494A1 (en) * 2013-12-16 2017-01-05 Byd Company Limited Air condition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hybrid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01494A1 (en) * 2013-12-16 2017-01-05 Byd Company Limited Air condition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hybrid vehicle
US10059172B2 (en) * 2013-12-16 2018-08-28 Byd Company Limited Air condition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hybrid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7055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based on energy flow mode of vehicle
US9562715B2 (en) Power regulation system for a mobile environment-controlled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7757419B (zh) 电动汽车的电机效率控制方法、装置及车辆
CN101663765B (zh) 车用太阳能电池系统及其控制方法
EP2689944B1 (en) Refrigeration system for transportation
WO2013165534A1 (en)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having electric fans
US8736218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electric vehicle
JPH0780417B2 (ja) 電気駆動式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と装置
WO2015071977A1 (ja) 充放電システム
CN109703371B (zh) 一种电动汽车高压能量管理系统及方法
CN107472024A (zh) 电动汽车最优动力性功率分配方法
US7109680B2 (en) Inverter device
CN111572575B (zh) 一种间歇式供电轨道车辆的空调控制方法、系统及车辆
KR101905981B1 (ko) 차량의 모터 통합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42330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
KR20130075067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
CN104163086B (zh) 新能源客车空调控制方法
KR10173018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및 그 제어 방법
CN113071372B (zh) 功率半跟随式燃料电池混合动力汽车能量管理方法
CN201983391U (zh) 混合动力汽车空调压缩机控制系统
KR101393248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15458A (ko) 냉난방 통합 차량공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20062412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압축기 제어방법
KR102473721B1 (ko) 차량용 무시동 에어컨 작동 제어 및 압축 구동 장치
KR20110093383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차량용 공조장치의 전동 압축기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