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4753A -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4753A
KR20130074753A KR1020120150658A KR20120150658A KR20130074753A KR 20130074753 A KR20130074753 A KR 20130074753A KR 1020120150658 A KR1020120150658 A KR 1020120150658A KR 20120150658 A KR20120150658 A KR 20120150658A KR 20130074753 A KR20130074753 A KR 20130074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formula
hydrocarbon group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5076B1 (ko
Inventor
요시노리 고야마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74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5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issolution inhibi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2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inorganic or organometallic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norganic resis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28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photo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e.g. photoiniti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색제, 수지, 중합성 화합물, 중합 개시제 및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고, 착색제가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착색제이며, 유기 금속 화합물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몰 흡광 계수의 최대치가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몰 흡광 계수의 최대치보다도 작은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36

[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페닐기를 나타낸다.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0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5는 -OH, -SO3H 등을 나타낸다.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m은 0∼4의 정수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COLORED CURABL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액정 표시 패널, 일렉트로루미네센스 패널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컬러 필터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는, 착색제로서 식 (A2-1a)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 (A2-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2-에틸헥실아민으로 술폰아미드화한 염료 및 C.I. 피그먼트 블루를 포함하고, 비스(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을 더 포함하는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JP2011-118365-A).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종래부터 알려진 상기한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그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얻어지는 컬러 필터의 명도가 반드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을 포함한다.
[1] 착색제, 수지, 중합성 화합물, 중합 개시제 및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착색제가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유기 금속 화합물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몰 흡광 계수의 최대치가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몰 흡광 계수의 최대치보다도 작다.
Figure pat00003
[식 (1)에서,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페닐기를 나타낸다.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10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이 포화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탄소수 6∼1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고,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3의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고, 상기 포화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는 -O-, -CO- 또는 -NR11-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다.
R1 및 R3은 질소 원자와 함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고리를 형성하더라도 좋고, R2 및 R4는 질소 원자와 함께 고리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R5는 -OH, -SO3H, -SO3 -Z+, -CO2H, -CO2 -Z+, -CO2R8-, -SO3R8 또는 -SO2NR9R10을 나타낸다.
R6 및 R7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m은 0∼4의 정수를 나타낸다. m이 2 이상일 때, 복수의 R5는 동일하더라도 상이하더라도 좋다.
R8은 탄소수 1∼20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이 포화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다.
Z++N(R11)4, Na+ 또는 K+를 나타낸다.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9 및 R10은 서로 결합하여 질소 원자와 함께 3∼10원 질소 함유 복소환을 형성하고 있더라도 좋다.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7∼10의 아랄킬기를 나타낸다.]
[2] 유기 금속 화합물이 식 (F1)로 표시되는 화합물, 식 (F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수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1]에 기재한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Figure pat00004
[식 (F1)에서, W1 및 W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 및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다.
M1은 금속 원자를 나타낸다.
x는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x가 2 이상일 때, 복수의 W1 및 W2는 서로 동일하더라도 상이하더라도 좋다.]
Figure pat00005
[식 (F2)에서, W3 및 W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지방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다.
M2는 금속 원자를 나타낸다.
y는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y가 2 이상일 때, 복수의 W3 및 W4는 서로 동일하더라도 상이하더라도 좋다.]
[3] 착색제가 안료를 더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한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4] [1]∼[3] 중 어느 것에 기재한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컬러 필터.
[5] [4]에 기재한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고명도의 컬러 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착색제(A), 수지(B), 중합성 화합물(C), 중합 개시제(D) 및 유기 금속 화합물(M)을 포함한다.
착색제(A)는 상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 (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포함하고, 안료(A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용제(E)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화합물 (1)과는 다른 염료(이하 「염료(A2)」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중합 개시 조제(D1) 및 계면활성제(F)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 성분으로서 예시하는 화합물은 특별히 양해를 구하지 않는 한, 단독으로 또는 복수 종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합물 (1)>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착색제로서 화합물 (1)을 포함함으로써 고명도의 컬러 필터를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1)로서는 그 호변 이성체라도 좋다.
Figure pat00006
[식 (1)에서, R1∼R7 및 m은 각각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R8, R9, R10 및 R11에 있어서의 탄소수 1∼20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로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도데실기, 헥사데실기, 아이코실 등의 탄소수 1∼20의 직쇄형 알킬기;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2-에틸헥실기 등의 탄소수 3∼20의 분기쇄형 알킬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트리시클로데실기 등의 탄소수 3∼20의 지환식 포화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OR8로서는 예컨대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 펜틸옥시기, 헥실옥시기, 헵틸옥시기, 옥틸옥시기, 2-에틸헥실옥시기, 아이코실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CO2R8로서는 예컨대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프로폭시카르보닐기,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헥실옥시카르보닐기, 아이코실옥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SR8로서는 예컨대 메틸술파닐기, 에틸술파닐기, 부틸술파닐기, 헥실술파닐기, 데실술파닐기, 아이코실술파닐기 등을 들 수 있다.
-SO2R8로서는 예컨대 메틸술포닐기, 에틸술포닐기, 부틸술포닐기, 헥실술포닐기, 데실술포닐기, 아이코실술포닐기 등을 들 수 있다.
-SO3R8로서는 예컨대 메톡시술포닐기, 에톡시술포닐기, 프로폭시술포닐기, tert-부톡시술포닐기, 헥실옥시술포닐기, 아이코실옥시술포닐기 등을 들 수 있다.
-SO2NR9R10으로서는 예컨대 술파모일기;
N-메틸술파모일기, N-에틸술파모일기, N-프로필술파모일기, N-이소프로필술파모일기, N-부틸술파모일기, N-이소부틸술파모일기, N-sec-부틸술파모일기, N-tert-부틸술파모일기, N-펜틸술파모일기, N-(1-에틸프로필)술파모일기, N-(1,1-디메틸프로필)술파모일기, N-(1,2-디메틸프로필)술파모일기, N-(2,2-디메틸프로필)술파모일기, N-(1-메틸부틸)술파모일기, N-(2-메틸부틸)술파모일기, N-(3-메틸부틸)술파모일기, N-시클로펜틸술파모일기, N-헥실술파모일기, N-(1,3-디메틸부틸)술파모일기, N-(3,3-디메틸부틸)술파모일기, N-헵틸술파모일기, N-(1-메틸헥실)술파모일기, N-(1,4-디메틸펜틸)술파모일기, N-옥틸술파모일기, N-(2-에틸헥실)술파모일기, N-(1,5-디메틸)헥실술파모일기, N-(1,1,2,2-테트라메틸부틸)술파모일기 등의 N-1 치환 술파모일기;
N,N-디메틸술파모일기, N,N-에틸메틸술파모일기, N,N-디에틸술파모일기, N,N-프로필메틸술파모일기, N,N-이소프로필메틸술파모일기, N,N-tert-부틸메틸술파모일기, N,N-부틸에틸술파모일기, N,N-비스(1-메틸프로필)술파모일기, N,N-헵틸메틸술파모일기 등의 N,N-2 치환 술파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R9 및 R10은 서로 결합하여 질소 원자와 함께 3∼10원 질소 함유 복소환을 형성하고 있더라도 좋다. 즉, R9에 있어서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원자와 R10에 있어서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원자가 결합하여 질소 원자와 함께 3∼10원 질소 함유 복소환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복소환으로서는 예컨대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07
R3 및 R4에 있어서의 탄소수 1∼10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로서는 R8의 포화 탄화수소기로서 예로 든 것 중에 탄소수 1∼10인 것을 들 수 있다.
탄소수 6∼1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탄소수 6∼1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가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은 기 중, 탄소수 1∼3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및 이소프로필기를 들 수 있고, 탄소수 1∼3의 알콕시기로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n-프로폭시기 및 이소프로폭시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6∼1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치환된 포화 탄화수소기로서는 예컨대 벤질기, 페닐에틸기, 페닐프로필기, 페닐부틸기, 톨루일메틸기, 톨루일에틸기, 톨루일프로필기, 톨루일부틸기, 메톡시페닐메틸기, 메톡시페닐에틸기, 메톡시페닐프로필기, 메톡시페닐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 원자로서는 예컨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다.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포화 탄화수소기로서는 예컨대 플루오로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퍼플루오로에틸기, 클로로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3 및 R4로서는 무치환의 탄소수 1∼10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탄소수 1∼4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1∼3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R6 및 R7에 있어서의 탄소수 1∼6의 알킬기로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11에 있어서의 탄소수 7∼10의 아랄킬기로서는 예컨대 벤질기, 페닐에틸기, 페닐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Z++N(R11)4, Na+ 또는 K+이며, 바람직하게는 +N(R11)4이다.
상기 +N(R11)4로서는 4개의 R11 중 적어도 2개가 탄소수 5∼20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4개의 R11의 합계 탄소수는 20∼80이 바람직하고, 20∼60이 보다 바람직하다.
R1 및 R2를 나타내는 페닐기는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 이 치환기로서는 할로겐 원자, -R8, -OH, -OR8, -SO3H, -SO3 -Z+, -CO2H, -CO2R8, -SR8, -SO2R8, -SO3R8 및 -SO2NR9R10을 들 수 있다. 이들 치환기 중에서도 -R8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1∼10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SO3 -Z+로서는 -SO3 -+N(R11)4가 바람직하다.
치환기를 갖는 페닐기로서는 톨루일기, 디메틸페닐기, 에틸페닐기, 프로필페닐기, 이소프로필페닐기, 메틸술파닐페닐기, 메틸술포닐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질소와의 결합수(手)에 대하여 오르토 위치에 치환기를 갖는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갖는 페닐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톨루일기 또는 디메틸페닐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o-톨루일기 또는 2,6-디메틸페닐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1 및 R3은 질소 원자와 함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고리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즉, R1에 있어서의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페닐기를 구성하는 벤젠환 상의 탄소 원자와, R3에 있어서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원자가 결합하여, 질소 원자와 함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고리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R2 및 R4는 질소 원자와 함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고리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즉, R2에 있어서의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페닐기를 구성하는 벤젠환 상의 탄소 원자와, R4에 있어서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원자가 결합하여, 질소 원자와 함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고리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형성되는 고리로서는 예컨대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08
R5로서는 -SO3H, -SO3 -Z+ 및 -SO2NR9R10이 바람직하다.
R6 및 R7로서는 수소 원자, 메틸기 및 에틸기가 바람직하고, 수소 원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m은 0∼2의 정수가 바람직하고, 1 또는 2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화합물 (1)로서는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9
[식 (2)에서, R21, R22, R23 및 R24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p 및 q는 각각 독립적으로 0∼5의 정수를 나타낸다. p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R23은 동일하더라도 상이하더라도 좋고, q가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R24는 동일하더라도 상이하더라도 좋다.]
R21, R22, R23 및 R24를 나타내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21 및 R2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3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23 및 R24는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p 및 q는 0∼2의 정수가 바람직하고, 1 또는 2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1)로서는 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10
[식 (3)에서, R31 및 R3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33, R34, R35 및 R3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31∼R36을 나타내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로서는 상기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R31 및 R3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3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33∼R3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1)로서는 예컨대 식 (1-1)∼식 (1-15) 중 어느 것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 용매에의 용해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식 (1-1), 식 (1-2) 또는 식 (1-5)∼식 (1-12)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화합물 (1)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 (1c)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유기 용매의 존재 하에 또는 무용매로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수율의 점에서 무용매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30℃∼180℃가 바람직하고, 80℃∼13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1시간∼12시간이 바람직하고, 3시간∼8시간이 보다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식 (1b) 및 식 (1c)에서, R1∼R4는 각각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상기 유기 용매로서는 톨루엔, 크실렌 등의 탄화수소 용매;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 용매; 니트로벤젠 등의 니트로 탄화수소 용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용매; 1-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 (1c)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사용량은 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각각 바람직하게는 1 몰 이상 8 몰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몰 이상 5 몰 이하이다. 각각 단계적으로 반응시키더라도 좋고, 동시에 반응시키더라도 좋다.
화합물 (1)의 제조가 용이하다고 하는 점에서, 식 (1b)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식 (1c)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동일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목적 화합물인 화합물 (1)을 취득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여러 가지 수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반응 혼합물을 산(예컨대, 초산 등)과 함께 혼합하여, 석출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할 수 있다. 상기 산은 미리 산의 수용액을 조제하고 나서 반응 혼합물을 상기 수용액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혼합물을 첨가할 때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50℃ 이하이다. 또한, 이 후, 같은 온도에서 0.5∼2시간 정도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하여 취한 결정은 물 등으로 세정하고, 이어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재결정 등의 공지된 수법에 의해서 더 정제하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화합물 (1)의 함유량은 고형분의 총량에 대하여 0.025 질량% 이상 48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8 질량% 이상 42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고형분의 총량」이란,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서 용제의 함유량을 제한 양을 말한다. 고형분의 총량 및 이것에 대한 각 성분의 함유량은 예컨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공지된 분석 수단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착색제(A)가 안료(A1) 및/또는 염료(A2)를 화합물 (1)과 함께 포함하는 경우, 화합물 (1)의 함유량은 착색제(A)의 총량에 대하여 0.5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7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안료(A1)>
안료(A1)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컬러 인덱스(The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 출판)에서 피그먼트로 분류되어 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안료로서는 예컨대 C.I. 피그먼트 옐로우 1, 3, 12, 13, 14, 15, 16, 17, 20, 24, 31, 53, 83, 86, 93, 94, 109, 110, 117, 125, 128, 137, 138, 139, 147, 148, 150, 153, 154, 166, 173, 194, 214 등의 황색 안료;
C.I. 피그먼트 오렌지 13, 31, 36, 38, 40, 42, 43, 51, 55, 59, 61, 64, 65, 71, 73 등의 오렌지색의 안료;
C.I. 피그먼트 레드 9, 97, 105, 122, 123, 144, 149, 166, 168, 175, 176, 177, 180, 192, 209, 215, 216, 224, 242, 254, 255, 264, 265 등의 적색 안료;
C.I. 피그먼트 블루 15, 15:3, 15:4, 15:6, 60, 80 등의 청색 안료;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1, 19, 23, 29, 32, 36, 38 등의 바이올렛색 안료;
C.I. 피그먼트 그린 7, 36, 58 등의 녹색 안료;
C.I. 피그먼트 브라운 23, 25 등의 브라운색 안료;
C.I. 피그먼트 블랙 1, 7 등의 흑색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안료로서는 C.I. 피그먼트 블루 15, 15:3, 15:4, 15:6, 60 등의 청색 안료 및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1, 19, 23, 29, 32, 36, 38 등의 바이올렛색 안료가 바람직하고, C.I. 피그먼트 블루 15:3, 15:6 및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23이 보다 바람직하고, C.I 피그먼트 블루 15:6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한 안료를 포함함으로써 특히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청색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조제하는 경우에 투과 스펙트럼의 최적화가 용이하고, 컬러 필터의 내광성 및 내약품성이 양호하게 된다.
안료는 필요에 따라서 로진 처리, 산성 기 또는 염기성 기가 도입된 안료 유도체 등을 이용한 표면 처리, 고분자 화합물 등에 의한 안료 표면에의 그라프트 처리, 황산 미립화법 등에 의한 미립화 처리 또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유기 용제나 물 등에 의한 세정 처리, 이온성 불순물의 이온교환법 등에 의한 제거 처리 등이 실시되고 있더라도 좋다.
안료는 입경이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 분산제를 함유시켜 분산 처리를 함으로써 안료가 용액 중에서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의 안료 분산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한 안료 분산제로서는 예컨대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계, 양성,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민계, 아크릴계 등의 안료 분산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안료 분산제는 단독으로 이용하더라도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이용하더라도 좋다. 안료 분산제로서는 상품명으로 KP(신에츠가가쿠고교(주) 제조), 플로렌(교에이샤가가쿠(주) 제조), 솔스파스(제네카(주) 제조), EFKA(CIBA사 제조), 아지스퍼(아지노모토파인테크노(주) 제조), Disperbyk(비크케미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안료 분산제를 이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안료(A1)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이다. 안료 분산제의 사용량이 상기한 범위 내에 있으면, 보다 균일한 분산 상태의 안료 분산액을 얻을 수 있는 경향이 있다.
착색제(A)가 안료(A1)를 포함하는 경우, 안료(A1)의 함유량은 착색제(A)의 총량에 대하여 20 질량% 이상 99.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염료(A2)>
염료(A2)로서서는 화합물 (1)과 상이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염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용성 염료, 산성 염료, 염기성 염료, 직접 염료, 매염 염료, 산성 염료의 아민염이나 산성 염료의 술폰아미드 유도체 등의 염료를 들 수 있고, 예컨대, 컬러 인덱스(The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 출판)에서 염료(피그먼트 이외이며 또한 색상을 갖는 것)로 분류되어 있는 화합물이나, 염색 노트(시키센샤)에 기재되어 있는 공지된 염료를 들 수 있다. 또한, 화학 구조에 따르면, 아조 염료, 시아닌 염료, 트리페닐메탄 염료, 크산텐 염료, 프탈로시아닌 염료, 나프토퀴논 염료, 퀴논이민 염료, 메틴 염료, 아조메틴 염료, 스쿠아릴륨 염료, 아크리딘 염료, 스티릴 염료, 쿠마린 염료, 퀴놀린 염료 및 니트로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유기 용제 가용성 염료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C.I. 솔벤트 옐로우 4(이하, C.I. 솔벤트 옐로우의 기재를 생략하고, 번호만으로 기재함), 14, 15, 23, 24, 38, 62, 63, 68, 82, 94, 98, 99, 162;
C.I. 솔벤트 레드 45, 49, 125, 130, 218;
C.I. 솔벤트 오렌지 2, 7, 11, 15, 26, 56;
C.I. 솔벤트 블루 4, 5, 37, 67, 70, 90;
C.I. 솔벤트 그린 1, 4, 5, 7, 34, 35 등의 C.I. 솔벤트 염료,
C.I. 애시드 옐로우 1, 3, 7, 9, 11, 17, 23, 25, 29, 34, 36, 38, 40, 42, 54, 65, 72, 73, 76, 79, 98, 99, 111, 112, 113, 114, 116, 119, 123, 128, 134, 135, 138, 139, 140, 144, 150, 155, 157, 160, 161, 163, 168, 169, 172, 177, 178, 179, 184, 190, 193, 196, 197, 199, 202, 203, 204, 205, 207, 212, 214, 220, 221, 228, 230, 232, 235, 238, 240, 242, 243, 251;
C.I. 애시드 레드 1, 4, 8, 14, 17, 18, 26, 27, 29, 31, 34, 35, 37, 42, 44, 50, 51, 52, 57, 66, 73, 87, 88, 91, 92, 94, 97, 103, 111, 114, 129, 133, 134, 138, 143, 145, 150, 151, 158, 176, 182, 183, 195, 198, 206, 211, 215, 216, 217, 227, 228, 249, 252, 257, 258, 260, 261, 266, 268, 270, 274, 277, 280, 281, 289, 308, 312, 315, 316, 339, 341, 345, 346, 349, 382, 383, 388, 394, 401, 412, 417, 418, 422, 426;
C.I. 애시드 오렌지 6, 7, 8, 10, 12, 26, 50, 51, 52, 56, 62, 63, 64, 74, 75, 94, 95, 107, 108, 169, 173;
C.I. 애시드 바이올렛 6B, 7, 9, 17, 19, 30, 102;
C.I. 애시드 블루 1, 7, 9, 15, 18, 22, 29, 42, 59, 60, 62, 70, 72, 74, 82, 83, 86, 87, 90, 92, 93, 100, 102, 103, 104, 113, 117, 120, 126, 130, 131, 142, 147, 151, 154, 158, 161, 166, 167, 168, 170, 171, 184, 187, 192, 199, 210, 229, 234, 236, 242, 243, 256, 259, 267, 285, 296, 315, 335;
C.I. 애시드 그린 1, 3, 5, 9, 16, 50, 58, 63, 65, 80, 104, 105, 106, 109 등의 C.I. 애시드 염료,
C.I. 다이렉트 옐로우 2, 33, 34, 35, 38, 39, 43, 47, 50, 54, 58, 68, 69, 70, 71, 86, 93, 94, 95, 98, 102, 108, 109, 129, 136, 138, 141;
C.I. 다이렉트 레드 79, 82, 83, 84, 91, 92, 96, 97, 98, 99, 105, 106, 107, 172, 173, 176, 177, 179, 181, 182, 184, 204, 207, 211, 213, 218, 220, 221, 222, 232, 233, 234, 241, 243, 246, 250;
C.I. 다이렉트 오렌지 26, 34, 39, 41, 46, 50, 52, 56, 57, 61, 64, 65, 68, 70, 96, 97, 106, 107;
C.I. 다이렉트 바이올렛 47, 52, 54, 59, 60, 65, 66, 79, 80, 81, 82, 84, 89, 90, 93, 95, 96, 103, 104;
C.I. 다이렉트 블루 1, 2, 6, 8, 15, 22, 25, 41, 57, 71, 76, 78, 80, 81, 84, 85, 86, 90, 93, 94, 95, 97, 98, 99, 100, 101, 106, 107, 108, 109, 113, 114, 115, 117, 119, 120, 137, 149, 150, 153, 155, 156,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70, 171, 172, 173, 188, 189, 190, 192, 193, 194, 195, 196, 198, 199, 200, 201, 202, 203, 207, 209, 210, 212, 213, 214, 222, 225, 226, 228, 229, 236, 237, 238, 242, 243, 244, 245, 246, 247, 248, 249, 250, 251, 252, 256, 257, 259, 260, 268, 274, 275, 293;
C.I. 다이렉트 그린 25, 27, 31, 32, 34, 37, 63, 65, 66, 67, 68, 69, 72, 77, 79, 82 등의 C.I. 다이렉트 염료;
C.I. 디스퍼스 옐로우 54, 76 등의 C.I. 디스퍼스 염료;
C.I. 베이식 레드 1, 10;
C.I. 베이식 블루 1, 3, 5, 7, 9, 19, 24, 25, 26, 28, 29, 40, 41, 54, 58, 59, 64, 65, 66, 67, 68;
C.I. 베이식 그린 1 등의 C.I 베이식 염료,
C.I. 리액티브 옐로우 2, 76, 116;
C.I. 리액티브 오렌지 16;
C.I. 리액티브 레드 36 등의 C.I. 리액티브 염료,
C.I. 모던트 옐로우 5, 8, 10, 16, 20, 26, 30, 31, 33, 42, 43, 45, 56, 61, 62, 65;
C.I. 모던트 레드 1, 2, 4, 9, 12, 14, 17, 18, 19, 22, 23, 24, 25, 26, 27, 30, 32, 33, 36, 37, 38, 39, 41, 43, 45, 46, 48, 53, 56, 63, 71, 74, 85, 86, 88, 90, 94, 95;
C.I. 모던트 오렌지 3, 4, 5, 8, 12, 13, 14, 20, 21, 23, 24, 28, 29, 32, 34, 35, 36, 37, 42, 43, 47, 48;
C.I. 모던트 바이올렛 1, 2, 4, 5, 7, 14, 22, 24, 30, 31, 32, 37, 40, 41, 44, 45, 47, 48, 53, 58;
C.I. 모던트 블루 1, 2, 3, 7, 9, 12, 13, 15, 16, 19, 20, 21, 22, 26, 30, 31, 39, 40, 41, 43, 44, 49, 53, 61, 74, 77, 83, 84;
C.I. 모던트 그린 1, 3, 4, 5, 10, 15, 26, 29, 33, 34, 35, 41, 43, 53 등의 C.I. 모던트 염료,
C.I. 배트 그린 1 등의 C.I. 배트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염료는 원하는 컬러 필터의 분광 스펙트럼에 맞춰 적절하게 선택하면 된다. 그 중에서도 청색 염료, 바이올렛색 염료 및 적색 염료가 바람직하다.
착색제(A)가 염료(A2)를 포함하는 경우, 염료(A2)의 함유량은 착색제(A)의 총량에 대하여 0.5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착색제(A)로서는 화합물 (1) 및 안료(A1)로 이루어지는 착색제, 및 화합물 (1),안료(A1) 및 염료(A2)로 이루어지는 착색제가 바람직하다.
착색제(A)가 화합물 (1) 및 안료(A1)로 이루어지는 착색제인 경우, 이들의 함유량은 착색제(A)의 총량에 대하여 각각
화합물 (1); 0.5 질량% 이상 80 질량% 이하
안료(A1); 20 질량% 이상 99.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화합물 (1); 1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
안료(A); 5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착색제(A)가 화합물 (1), 안료(A1) 및 염료(A2)로 이루어지는 착색제인 경우, 이들의 함유량은 착색제(A)의 총량에 대하여 각각
화합물 (1); 0.5 질량% 이상 79.5 질량% 이하
안료(A1); 20 질량% 이상 99 질량% 이하
염료(A2); 0.5 질량% 이상 35 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화합물 (1); 1 질량% 이상 50 질량% 이하
안료(A1); 49 질량% 이상 98 질량% 이하
염료(A2); 1 질량% 이상 30 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착색제(A)의 함유량은 고형분의 총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60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55 질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50 질량%이다. 착색제(A)의 함유량이 상기한 범위 내에 있으면, 컬러 필터로 했을 때의 색 농도가 충분하고, 또한 조성물 중에 수지(B)나 중합성 화합물(C)을 필요량 함유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충분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수지(B)>
수지(B)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알칼리 가용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B)로서는 이하의 수지 [K1]∼[K6] 등을 들 수 있다.
수지 [K1]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불포화 카르복실산 무수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a)(이하 「(a)」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과, 탄소수 2∼4의 환상 에테르 구조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b)(이하 「(b)」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와의 공중합체;
수지 [K2] (a)와 (b)와, (a)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c)(단, (a) 및 (b)와는 상이함)(이하 「(c)」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와의 공중합체;
수지 [K3] (a)와 (c)와의 공중합체;
수지 [K4] (a)와 (c)와의 공중합체에 (b)를 반응시킨 수지;
수지 [K5] (b)와 (c)와의 공중합체에 (a)를 반응시킨 수지;
수지 [K6] (b)와 (c)와의 공중합체에 (a)를 반응시키고, 또한 카르복실산 무수물을 반응시킨 수지.
(a)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o-, m-, p-비닐안식향산 등의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류;
말레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메사콘산, 이타콘산, 3-비닐프탈산, 4-비닐프탈산,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산, 1,2,3,6-테트라히드로프탈산, 디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1,4-시클로헥센디카르복실산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류;
메틸-5-노르보넨-2,3-디카르복실산, 5-카르복시비시클로[2.2.1]헵트-2-엔, 5,6-디카르복시비시클로[2.2.1]헵트-2-엔, 5-카르복시-5-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카르복시-5-에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카르복시-6-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카르복시-6-에틸비시클로[2.2.1]헵트-2-엔 등의 카르복시기를 함유하는 비시클로 불포화 화합물류;
무수 말레산, 시트라콘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3-비닐프탈산 무수물, 4-비닐프탈산 무수물,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1,2,3,6-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디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5,6-디카르복시비시클로[2.2.1]헵트-2-엔 무수물 등의 불포화 디카르복실산류 무수물;
호박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프탈산모노[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등의 2가 이상의 다가 카르복실산의 불포화 모노[(메트)아크릴로일옥시알킬]에스테르류;
α-(히드록시메틸)아크릴산과 같은 동일 분자 중에 히드록시기 및 카르복시기를 함유하는 불포화 아크릴산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공중합 반응성의 점이나 얻어지는 수지의 알칼리 수용액에의 용해성의 점에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 말레산 등이 바람직하다.
(b)는 예컨대 탄소수 2∼4의 환상 에테르 구조(예컨대, 옥시란환, 옥세탄환 및 테트라히드로푸란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을 말한다. (b)는 탄소수 2∼4의 환상 에테르와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단량체가 바람직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나타낸다. 「(메트)아크릴로일」 및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표기도 같은 의미를 갖는다.
(b)로서는 예컨대 옥시라닐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b1)(이하 「(b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옥세타닐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b2)(이하 「(b2)」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테트라히드로푸릴기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단량체(b3)(이하 「(b3)」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등을 들 수 있다.
(b1)은 예컨대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의 불포화 지방족 탄화수소가 에폭시화된 구조를 갖는 단량체(b1-1)(이하 「(b1-1)」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불포화 지환식 탄화수소가 에폭시화된 구조를 갖는 단량체(b1-2)(이하 「(b1-2)」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를 들 수 있다.
(b1-1)로서는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β-메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β-에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비닐에테르, o-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m-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p-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α-메틸-o-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α-메틸-m-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α-메틸-p-비닐벤질글리시딜에테르, 2,3-비스(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2,4-비스(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2,5-비스(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2,6-비스(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2,3,4-트리스(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2,3,5-트리스(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2,3,6-트리스(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3,4,5-트리스(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2,4,6-트리스(글리시딜옥시메틸)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b1-2)로서는 비닐시클로헥센모노옥사이드, 1,2-에폭시-4-비닐시클로헥산(예컨대, 셀록사이드 2000; (주)다이셀 제조),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예컨대, 사이클로마 A400; (주)다이셀 제조),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예컨대, 사이클로마 M100; (주)다이셀 제조),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15
[식 (I) 및 식 (II)에서, R51 및 R5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이 알킬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다.
X51 및 X52는 단결합, -R53-, *-R53-O-, *-R53-S- 또는 *-R53-NH-을 나타낸다.
R53은 탄소수 1∼6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낸다.
*는 O와의 결합수를 나타낸다.]
탄소수 1∼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수소 원자가 히드록시로 치환된 알킬기로서는 히드록시메틸기, 1-히드록시에틸기, 2-히드록시에틸기, 1-히드록시프로필기, 2-히드록시프로필기, 3-히드록시프로필기, 1-히드록시-1-메틸에틸기, 2-히드록시-1-메틸에틸기, 1-히드록시부틸기, 2-히드록시부틸기, 3-히드록시부틸기, 4-히드록시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51 및 R52로서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메틸기, 히드록시메틸기, 1-히드록시에틸기, 2-히드록시에틸기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메틸기를 들 수 있다.
알칸디일기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판-1,2-디일기, 프로판-1,3-디일기, 부탄-1,4-디일기, 펜탄-1,5-디일기, 헥산-1,6-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X51 및 X52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단결합, 메틸렌기, 에틸렌기, *-CH2-O- 및 *-CH2CH2-O-을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결합, *-CH2CH2-O-을 들 수 있다(*는 O와의 결합수를 나타냄).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식 (I-1)∼식 (I-15) 중 어느 것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 (I-1), 식 (I-3), 식 (I-5), 식 (I-7), 식 (I-9) 또는 식 (I-11)∼식 (I-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 (I-1), 식 (I-7), 식 (I-9) 또는 식 (I-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식 (II-1)∼식 (II-15) 중 어느 것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 (II-1), 식 (II-3), 식 (II-5), 식 (II-7), 식 (II-9) 또는 식 (II-11)∼식 (II-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 (II-1), 식 (II-7), 식 (II-9) 또는 식 (II-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 (I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임의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혼합하는 경우, 그 혼합 비율은 몰비로 바람직하게는 식 (I):식 (II)로 5:95∼95:5, 보다 바람직하게는 10:90∼90:1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80∼80:20이다.
(b2)로서는 옥세타닐기와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단량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b2)로서는 3-메틸-3-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옥세탄, 3-메틸-3-아크릴로일옥시메틸옥세탄, 3-에틸-3-메타크릴로일옥시메틸옥세탄, 3-에틸-3-아크릴로일옥시메틸옥세탄, 3-메틸-3-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옥세탄, 3-메틸-3-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세탄, 3-에틸-3-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옥세탄, 3-에틸-3-아크릴로일옥시에틸옥세탄 등을 들 수 있다.
(b3)으로서는 테트라히드로푸릴기와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단량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b3)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예컨대, 비스코트 V#150, 오사카유키가가쿠고교(주) 제조),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b)로서는 얻어지는 컬러 필터의 내열성, 내약품성 등의 신뢰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b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보존 안전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점에서 (b1-2)가 보다 바람직하다.
(c)로서는 예컨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트)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5.2.1.02.6]데칸-8-일(메트)아크릴레이트(이 기술분야에서는 관용명으로서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또한, 「트리시클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트리시클로[5.2.1.02.6]데센-8-일(메트)아크릴레이트(이 기술분야에서는 관용명으로서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 일컬어지고 있음),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파르길(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나프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
말레산디에틸, 푸마르산디에틸, 이타콘산디에틸 등의 디카르복실산디에스테르;
비시클로[2.2.1]헵트-2-엔, 5-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에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히드록시비시클로[2.2.1]헵트-2-엔, 5-히드록시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2'-히드록시에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메톡시비시클로[2.2.1]헵트-2-엔, 5-에톡시비시클로[2.2.1]헵트-2-엔, 5,6-디히드록시비시클로[2.2.1]헵트-2-엔, 5,6-디(히드록시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6-디(2'-히드록시에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6-디메톡시비시클로[2.2.1]헵트-2-엔, 5,6-디에톡시비시클로[2.2.1]헵트-2-엔, 5-히드록시-5-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히드록시-5-에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히드록시메틸-5-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tert-부톡시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페녹시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6-비스(tert-부톡시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6-비스(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비시클로[2.2.1]헵트-2-엔 등의 비시클로 불포화 화합물류;
N-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벤질말레이미드, N-숙신이미딜-3-말레이미드벤조에이트, N-숙신이미딜-4-말레이미드부틸레이트, N-숙신이미딜-6-말레이미드카프로에이트, N-숙신이미딜-3-말레이미드프로피오네이트, N-(9-아크리디닐)말레이미드 등의 디카르보닐이미드 유도체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p-메톡시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초산비닐, 1,3-부타디엔, 이소프렌, 2,3-디메틸-1,3-부타디엔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공중합 반응성 및 내열성의 점에서, 스티렌, N-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벤질말레이미드, 비시클로[2.2.1]헵트-2-엔 등이 바람직하다.
수지 [K1]에 있어서, 각각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은 수지 [K1]를 구성하는 전체 구조 단위 중,
(a)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2∼60 몰%
(b)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40∼98 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a)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10∼50 몰%
(b)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50∼90 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K1]의 구조 단위의 비율이 상기한 범위에 있으면,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착색 패턴을 형성할 때의 현상성 및 컬러 필터의 내용제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다.
수지 [K1]은 예컨대 문헌 「고분자합성의 실험법」(오오츠 타카유키 저, 핫코쇼(주) 화학동인 제1판 제1쇄 1972년 3월 1일 발행)에 기재된 방법 및 이 문헌에 기재된 인용문헌을 참고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a) 및 (b)의 소정량, 중합 개시제 및 용제 등을 반응 용기 속에 넣어 예컨대 질소에 의해 산소를 치환함으로써 탈산소 분위기로 하여, 교반하면서 가열 및 보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이용되는 중합 개시제 및 용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중합 개시제로서는 아조 화합물(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이나 유기 과산화물(벤조일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고, 용제로서는 각 모노머를 용해하는 것이면 되며,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용제(E)로서 후술하는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얻어진 공중합체는 반응 후의 용액을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좋고, 농축 혹은 희석한 용액을 사용하더라도 좋고, 재침전 등의 방법으로 교체(분체)로서 취출한 것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특히, 이 중합할 때에 용제로서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를 사용함으로써 반응 후의 용액을 그대로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수지 [K2]에 있어서, 각각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은 수지 [K2]를 구성하는 전체 구조 단위 중,
(a)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2∼45 몰%
(b)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2∼95 몰%
(c)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1∼65 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a)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5∼40 몰%
(b)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5∼80 몰%
(c)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5∼60 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K2]의 구조 단위의 비율이 상기한 범위에 있으면,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패턴을 형성할 때의 현상성 및 얻어지는 패턴의 내용제성, 내열성 및 기계 강도가 우수한 경향이 있다.
수지 [K2]는 예컨대 수지 [K1]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재한 방법과 같은 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수지 [K3]에 있어서, 각각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은 수지 [K3]을 구성하는 전체 구조 단위 중,
(a)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2∼60 몰%
(c)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40∼98 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a)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10∼50 몰%
(c)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50∼90 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지 [K3]은 예컨대 수지 [K1]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재한 방법과 같은 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수지 [K4]는 (a)와 (c)와의 공중합체를 얻어, (b)가 갖는 탄소수 2∼4의 환상 에테르를 (a)가 갖는 카르복실산 및/또는 카르복실산 무수물에 부가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우선 (a)와 (c)와의 공중합체를 수지 [K1]의 제조 방법으로서 기재한 방법과 같은 식으로 제조한다. 이 경우, 각각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은 수지 [K3]에서 예로 든 것과 같은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공중합체 중의 (a)에 유래하는 카르복실산 및/또는 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일부에 (b)가 갖는 탄소수 2∼4의 환상 에테르를 반응시킨다.
(a)와 (c)와의 공중합체의 제조에 이어서 플라스크 내 분위기를 질소에서 공기로 치환하여, (b),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 무수물과 환상 에테르와의 반응 촉매(예컨대 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등) 및 중합 금지제(예컨대 히드로퀴논 등) 등을 플라스크 안에 넣어 예컨대 60∼130℃에서 1∼10시간 반응함으로써 수지 [K4]를 제조할 수 있다.
(b)의 사용량은 (a) 100 몰에 대하여 5∼80 몰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75 몰이다. 이 범위로 함으로써,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 패턴을 형성할 때의 현상성 및 얻어지는 패턴의 내용제성, 내열성, 기계 강도 및 감도의 밸런스가 양호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환상 에테르의 반응성이 높고, 미반응의 (b)가 잔존하기 어려우므로, 수지 [K4]에 이용하는 (b)로서는 (b1)이 바람직하고, (b1-1)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 촉매의 사용량은 (a), (b) 및 (c)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01∼5 질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금지제의 사용량은 (a), (b) 및 (c)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0.001∼5 질량부가 바람직하다.
투입 방법, 반응 온도 및 시간 등의 반응 조건은 제조 설비나 중합에 의한 발열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중합 조건과 마찬가지로, 제조 설비나 중합에 의한 발열량 등을 고려하여 투입 방법이나 반응 온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수지 [K5]는 제1 단계로서 상술한 수지 [K1]의 제조 방법과 같은 식으로 하여 (b)와 (c)와의 공중합체를 얻는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얻어진 공중합체는 반응 후의 용액을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좋고, 농축 혹은 희석한 용액을 사용하더라도 좋고, 재침전 등의 방법으로 고체(분체)로서 취출한 것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b) 및 (c)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은 상기한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전체 구조 단위의 합계 몰수에 대하여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b)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5∼95 몰%
(c)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5∼95 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b)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10∼90 몰%
(c)에 유래하는 구조 단위; 10∼90 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K4]의 제조 방법과 같은 조건으로 (b)와 (c)와의 공중합체가 갖는 (b)에 유래하는 환상 에테르에 (a)가 갖는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 무수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수지 [K5]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공중합체에 반응시키는 (a)의 사용량은 (b) 100 몰에 대하여 5∼80 몰이 바람직하다. 환상 에테르의 반응성이 높고, 미반응의 (b)가 잔존하기 어려우므로, 수지 [K5]에 이용하는 (b)로서는 (b1)이 바람직하고, (b1-1)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지 [K6]은 수지 [K5]에 카르복실산 무수물을 더 반응시킨 수지이다.
환상 에테르와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 무수물과의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히드록시기에 카르복실산 무수물을 반응시킨다.
카르복실산 무수물로서는, 무수 말레산, 시트라콘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3-비닐프탈산 무수물, 4-비닐프탈산 무수물, 3,4,5,6-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1,2,3,6-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디메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5,6-디카르복시비시클로[2.2.1]헵트-2-엔 무수물(하이믹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산 무수물의 사용량은 (a)의 사용량 1 몰에 대하여 0.5∼1 몰이 바람직하다.
수지(B)로서는 구체적으로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3,4-에폭시트리시클로[5.2.1.02.6]데실아크릴레이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수지 [K1];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스티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3,4-에폭시트리시클로[5.2.1.02.6]데실아크릴레이트/(메트)아크릴산/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공중합체, 3-메틸-3-(메트)아크릴로일옥시메틸옥세탄/(메트)아크릴산/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수지 [K2];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스티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의 수지 [K3];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에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를 부가시킨 수지, 트리시클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스티렌/(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에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를 부가시킨 수지, 트리시클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에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를 부가시킨 수지 등의 수지 [K4]; 트리시클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에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킨 수지, 트리시클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스티렌/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에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킨 수지 등의 수지 [K5]; 트리시클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에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킨 수지에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을 더 반응시킨 수지 등의 수지 [K6]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수지(B)로서는 수지 [K1], 수지 [K2] 및 수지 [K4]가 바람직하다.
수지(B)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000∼100,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50,000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0∼30,000이다. 분자량이 상기한 범위 내에 있으면, 도막 경도가 향상되어, 잔막율도 높고, 미노광부의 현상액에 대한 용해성이 양호하여, 해상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수지(B)의 분자량 분포[중량 평균 분자량(Mw)/수평균 분자량(Mn)]은 바람직하게는 1.1∼6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4이다.
수지(B)의 산가는 바람직하게는 50∼170 mg-KOH/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150 mg-KOH/g, 더욱 바람직하게는 70∼135 mg-KOH/g이다. 여기서 산가는 수지(B) 1 g을 중화하는 데에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양(mg)으로서 측정되는 값이며, 예컨대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적정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수지(B)의 함유량은 고형분의 총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7∼65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60 질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7∼55 질량%이다. 수지(B)의 함유량이 상기한 범위 내에 있으면, 용이하게 착색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착색 패턴의 해상도 및 잔막율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중합성 화합물(C)>
중합성 화합물(C)은 열 혹은 중합 개시제(D)로부터 발생하는 활성 라디칼 및/또는 산에 의해서 중합할 수 있는 화합물이며, 예컨대 중합성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화합물이다.
그 중에서도 중합성 화합물(C)은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3개 이상 갖는 중합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옥타(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펜타에리스리톨헵타(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펜타에리스리톨데카(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펜타에리스리톨노나(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변성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변성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중합성 화합물(C)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2,9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1,500 이하이다.
중합성 화합물(C)의 함유량은 고형분의 총량에 대하여 7∼65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60 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7∼55 질량%이다. 중합성 화합물(C)의 함유량이 상기한 범위 내에 있으면, 패턴 형성시의 잔막율 및 패턴의 내약품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중합 개시제(D)>
중합 개시제(D)는 빛이나 열의 작용에 의해 활성 라디칼, 산 등을 발생하며, 중합을 개시할 수 있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일없이 공지된 중합 개시제를 이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D)로서는 알킬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 O-아실옥심 화합물 및 비이미다졸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고, 0-아실옥심 화합물을 포함하는 중합 개시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O-아실옥심 화합물은 식 (d1)로 표시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다.
이하, *는 결합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21
O-아실옥심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N-벤조일옥시-1-(4-페닐술파닐페닐)부탄-1-온-2-이민, N-벤조일옥시-1-(4-페닐술파닐페닐)옥탄-1-온-2-이민, N-벤조일옥시-1-(4-페닐술파닐페닐)-3-시클로펜틸프로판-1-온-2-이민, N-아세톡시-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에탄-1-이민, N-아세톡시-1-[9-에틸-6-{2-메틸-4-(3,3-디메틸-2,4-디옥사시클로펜타닐메틸옥시)벤조일}-9H-카르바졸-3-일]에탄-1-이민, N-아세톡시-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3-시클로펜틸프로판-1-이민, N-벤조일옥시-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3-시클로펜틸프로판-1-온-2-이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르가큐어(등록상표) OXE01, OXE02(이상, BASF사 제조), N-1919(ADEKA사 제조) 등의 시판 제품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알킬페논 화합물은 식 (d2)로 표시되는 부분 구조 또는 식 (d3)으로 표시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다. 이들 부분 구조 중, 벤젠환은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
식 (d2)로 표시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2-메틸-2-모르폴리노-1-(4-메틸술파닐페닐)프로판-1-온, 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2-벤질부탄-1-온, 2-(디메틸아미노)-2-[(4-메틸페닐)메틸]-1-[4-(4-모르폴리닐)페닐]부탄-1-온 등을 들 수 있다. 이르가큐어(등록상표) 369, 907 및 379(이상, BASF사 제조) 등의 시판 제품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식 (d3)으로 표시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히드록시-2-메틸-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히드록시-2-메틸-1-(4-이소프로페닐페닐)프로판-1-온의 올리고머, α,α-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질디메틸케탈 등을 들 수 있다.
감도의 점에서, 알킬페논 화합물로서는 식 (d2)로 표시되는 부분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트리아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피페로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5-메틸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아실포스핀옥사이드 화합물로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르가큐어 819(BASF사 제조) 등의 시판 제품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비이미다졸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 2,2'-비스(2,3-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예컨대 JPH06-75372-A, JPH06-75373-A 등 참조),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알콕시페닐)비이미다졸,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디알콕시페닐)비이미다졸,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트리알콕시페닐)비이미다졸(예컨대, JPS48-38403-B, JPS62-174204-A 등 참조), 4,4'5,5'-위치의 페닐기가 카르보알콕시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이미다졸 화합물(예컨대 JPH07-10913-A 등 참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 개시제(D)로서는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등의 벤조인 화합물; 벤조페논, o-벤조일안식향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설파이드, 3,3',4,4'-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 화합물; 9,10-페난트렌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캄파퀴논 등의 퀴논 화합물; 10-부틸-2-클로로아크리돈, 벤질, 페닐글리옥실산메틸, 티타노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후술하는 중합 개시 조제(D1)(특히 아민류)와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발생제로서는 예컨대 4-히드록시페닐디메틸술포늄p-톨루엔술포네이트, 4-히드록시페닐디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아세톡시페닐)디메틸술포늄p-톨루엔술포네이트, 벤질(4-아세톡시페닐)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페닐술포늄p-톨루엔술포네이트, 트리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페닐요오도늄p-톨루엔술포네이트, 디페닐요오도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등의 오늄염류나 니트로벤젠토실레이트류, 벤조인토실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중합 개시제(D)의 함유량은 수지(B) 및 중합성 화합물(C)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30 질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질량부이다. 중합 개시제(D)의 함유량이 상기한 범위 내에 있으면, 고감도화하여 노광 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된다.
<중합 개시 조제(D1)>
중합 개시 조제(D1)는 중합 개시제에 의해서 중합이 개시된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을 촉진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화합물 혹은 증감제이다. 중합 개시 조제(D1)는 통상 중합 개시제(D)와 함께 이용된다.
중합 개시 조제(D1)로서는 아민 화합물, 알콕시안트라센 화합물, 티오크산톤 화합물 및 카르복실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아민 화합물로서는, 트리에탄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4-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메틸, 4-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에틸, 4-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이소아밀, 안식향산2-디메틸아미노에틸, 4-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2-에틸헥실, N,N-디메틸-p-톨루이딘,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통칭 미힐러 케톤),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4,4'-비스(에틸메틸아미노)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이 바람직하다. EAB-F(호도가야가가쿠고교(주) 제조) 등의 시판품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알콕시안트라센 화합물로서는 9,10-디메톡시안트라센, 2-에틸-9,10-디메톡시안트라센, 9,10-디에톡시안트라센, 2-에틸-9,10-디에톡시안트라센, 9,10-디부톡시안트라센, 2-에틸-9,10-디부톡시안트라센 등을 들 수 있다.
티오크산톤 화합물로서는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4-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1-클로로-4-프로폭시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복실산 화합물로서는 페닐술파닐초산, 메틸페닐술파닐초산, 에틸페닐술파닐초산, 메틸에틸페닐술파닐초산, 디메틸페닐술파닐초산, 메톡시페닐술파닐초산, 디메톡시페닐술파닐초산, 클로로페닐술파닐초산, 디클로로페닐술파닐초산, N-페닐글리신, 페녹시초산, 나프틸티오초산, N-나프틸글리신, 나프톡시초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합 개시 조제(D1)를 이용하는 경우, 그 사용량은 수지(B) 및 중합성 화합물(C)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30 질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 질량부이다. 중합 개시 조제(D1)의 양이 이 범위에 있으면, 더욱 고감도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패턴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다.
<유기 금속 화합물(M)>
유기 금속 화합물(M)은 가시광 영역(파장 380 nm∼780 nm)에 있어서의 몰 흡광 계수(ε)의 최대치(이하 「εM」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가 화합물 (1)의 εM보다도 작은 유기 금속 화합물이다. 이 유기 금속 화합물은 금속 원자 또는 금속 이온을 중심으로 하여 음성, 중성 또는 양성의 배위자가 배위된 유기 금속 착체 혹은 유기산의 금속염이다. 그 중에서도 유기 용제에 용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금속 화합물(M)의 εM은 유기 금속 화합물(M) 0.1 g을 젖산에틸로 0.250 L에 희석하여 용액을 조제하여, 이 용액을 자외가시분광광도계로 가시광 영역의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Lambert-Beer 법칙을 이용하여 산출함으로써 구해진다.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2종 이상의 화합물 (1)이 포함되는 경우, 가장 작은 εM을 갖는 화합물 (1)을 기준으로 한다.
유기 금속 화합물(M)의 εM은 화합물 (1)의 εM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10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εM이 상기한 범위 내이면, 컬러 필터의 명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2종 이상의 화합물 (1)을 포함하는 경우, 유기 금속 화합물(M)의 εM은 가장 작은 εM을 갖는 화합물 (1)의 εM보다도 작다. 또한,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2종 이상의 유기 금속 화합물(M)을 포함하는 경우, 가장 큰 εM을 갖는 유기 금속 화합물(M)의 εM은 화합물 (1)의 εM보다도 작다.
유기 금속 화합물(M)의 금속 원자 또는 금속 이온을 구성하는 금속으로서는 전형 금속 및 전이 금속을 들 수 있다.
전형 금속으로서는 예컨대 주기표의 제1족 원소(알칼리 금속), 제2족 원소(알칼리 토류 금속), 제12족 원소(아연족), 제13족 원소(붕소족), 제14족 원소(탄소족), 제15족 원소(질소족)에 포함되는 금속 원소의 원자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릴륨(Be),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칼슘(Ca), 아연(Zn), 갈륨(Ga), 루비듐(Rb), 스트론튬(Sr), 카드뮴(Cd), 인듐(In), 주석(Sn), 세슘(Cs), 바륨(Ba), 수은(Hg), 탈륨(Tl), 납(Pb), 비스무트(Bi), 프랑슘(Fr), 라듐(Ra) 등의 원자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칼슘(Ca), 아연(Zn), 갈륨(Ga), 루비듐(Rb), 스트론튬(Sr), 인듐(In), 세슘(Cs) 및 바륨(Ba)이 바람직하고, 알루미늄(Al), 아연(Zn), 인듐(In) 및 바륨(Ba)의 원자가 보다 바람직하고, 알루미늄(Al), 아연(Zn) 및 인듐(In)의 원자가 더욱 바람직하다.
전이 금속으로서는 예컨대 주기표의 제3족 원소(스칸듐족), 제4족 원소(티탄족), 제5족 원소(바나듐족), 제6족 원소(크롬족), 제7족 원소(망간족), 제4 주기 제8∼10족 원소(철족) 및 제5∼6 주기 제8∼10족 원소(백금족)에 포함되는 금속 원소의 원자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칸듐(Sc), 티탄(Ti), 바나듐(V), 크롬(Cr), 망간(Mn),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이트륨(Y), 지르코늄(Zr), 니오븀(Nb), 몰리브덴(Mo), 테크네튬(Tc), 루테늄(Ru), 로듐(Rh), 팔라듐(Pd), 은(Ag), 란탄(La), 세륨(Ce), 프라세오디뮴(Pr), 네오디뮴(Nd), 프로메튬(Pm), 사마륨(Sm), 유로퓸(Eu), 가돌리늄(Gd), 테르븀(Tb), 디스프로슘(Dy), 홀뮴(Ho), 에르븀(Er), 툴륨(Tm), 이테르븀(Yb), 루테튬(Lu), 하프늄(Hf), 탄탈(Ta), 텅스텐(W), 레늄(Re), 오스뮴(Os), 이리듐(Ir), 백금(Pt), 금(Au)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칸듐(Sc), 티탄(Ti), 바나듐(V), 크롬(Cr), 망간(Mn), 철(Fe), 코발트(Co), 니켈(Ni), 구리(Cu) 등, 제1 계열(즉 제4 주기)에 속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코발트(Co) 및 니켈(Ni)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금속 화합물(M)이 유기 금속 착체인 경우의 배위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단좌 배위자라도 다좌 배위자라도 좋다. 상기 배위자 1개의 분자량은 20 이상 500 이하가 바람직하다.
배위자로서는 예컨대 테트라히드로푸란,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아세토니트릴, 벤조니트릴, 옥살레이트, 아세테이토, 에탄올레이토, 1-부탄티올레이토, 티오페놀레이토, 2,2'-티오비스(4-t-옥틸)페놀레이트, 2,4-펜탄디오네이토, 2,2,6,6-테트라메틸-3,5-헵탄디오네이토, 트리플루오로-2,4-펜탄디오네이토, 헥사플루오로-2,4-펜탄디오네이토, 에틸아세토아세테이토, 디메틸아민, 디에틸아민, 테트라에틸암모늄, 피페리딘, N-메틸아닐린, 피리딘, 2-페닐피리딘, 에틸렌디아민,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1,2-디아미노시클로헥산, 2,2'-비피리딘, 1,10-페난트롤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토, 1,4,8,11-테트라아자시클로테트라데칸, 트리스(2-아미노에틸)아민, 트리에틸포스핀, 트리부틸포스핀, 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 디메틸페닐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 디페닐포스핀, 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 시클로펜타디엔, 펜타메틸시클로펜타디엔, 시클로옥텐, 1,5-시클로옥타디엔, 비시클로[2.2.1]헵타-2,5-디엔, 벤젠, 나프탈렌, 알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배위자의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배위자 내에 방향환을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세테이토, 아세틸아세토네이토, 헥사플루오로아세틸아세토네이토, 디에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및 디-n-부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금속 착체가 유기 화합물에 유래하는 배위자를 적어도 하나 갖고 있으면, 그 이외의 배위자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 이러한 배위자로서는 예컨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히드록소, 아쿠아, 옥소, 페록소, 카르보닐, 카르보네이토, 시아노, 아민, 술페이토, 니트로, 니트리토, 포스페이토, 티오시아네이토, 이소티오시아네이토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금속 화합물(M)이 유기산의 금속염인 경우, 그 유기산 1개의 분자량은 20 이상 5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유기산으로서는 예컨대 디메틸디티오카르바민산,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 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 N,N-비스(2-히드록시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 N-에틸-N-페닐디티오카르바민산, N,N-디벤질디티오카르바민산, 디에틸디티오인산, 디이소프로필디티오인산, 2-히드록시프로판산, 스테아린산, 타르타르산, 옥살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금속 화합물(M)로서는 예컨대 트리스(2-히드록시프로판산)알루미늄, 비스(2-에틸헥사노에이토)히드록시알루미늄, 비스(2-술파닐피리딘-N-옥사이드)아연, 비스(2-히드록시프로판산)아연, 비스(2-히드록시프로판산)바륨, 비스(스테아린산)바륨, 타르타르산바륨, 옥살산바륨, JP2011-118365-A 및 JP2004-295116-A에 기재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C(=O)- 및 -C(=S)-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기를 포함하는 유기 금속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식 (F1)로 표시되는 화합물, 식 (F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수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금속 화합물(M)이 이들의 화합물이면, 유기 용제에의 용해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23
[식 (F1)에서, W1, W2, M1 및 x는 각각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24
[식 (F2)에서, W3, W4, M2 및 y는 각각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W1 및 W2에 있어서의 탄소수 1∼6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수소 원자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는 탄소수 1∼6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예컨대 히드록시메틸기, 1-히드록시에틸기, 2-히드록시에틸기, 1-히드록시프로필기, 2-히드록시프로필기, 3-히드록시프로필기, 1-히드록시-1-메틸에틸기, 2-히드록시-1-메틸에틸기, 1-히드록시부틸기, 2-히드록시부틸기, 3-히드록시부틸기, 4-히드록시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에틸기, 부틸기 및 2-히드록시에틸기이다.
W1 및 W2에 있어서의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예컨대 페닐기, 톨루일기, 크실릴기, 프로필페닐기, 부틸페닐기 등의 아릴기; 벤질기 등의 아랄킬기 등을 들 수 있다. 수소 원자가 히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예컨대 히드록시페닐기, 히드록시메틸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및 벤질기이다.
W3 및 W4에 있어서의 탄소수 1∼6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W1 및 W2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상기 할로겐 원자로서는 예컨대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및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불소 원자이다.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는 탄소수 1∼6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예컨대 플루오로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에틸기, 클로로메틸기, 클로로에틸기, 디클로로에틸기, 클로로프로필기, 클로로부틸기, 브로모부틸기, 요오도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tert-부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이다.
식 (F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비스[N,N-비스(2-히드록시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비스(N,N-디메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비스(N,N-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비스(N,N-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비스(N-에틸-N-페닐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비스(N,N-디벤질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등을 들 수 있다.
식 (F2)로 표시되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트리스(2,4-펜탄디오네이토)알루미늄(III), 트리스(트리플루오로-2,4-펜탄디오네이토)알루미늄(III), 트리스(2,4-펜탄디오네이토)인듐(III), 트리스(2,2,6,6-테트라메틸-3,5-헵탄디오네이토)인듐(III), 트리스(트리플루오로-2,4-펜탄디오네이토)인듐(III), 비스(2,4-펜탄디오네이토)바륨, 비스(헥사플루오로-2,4-펜탄디오네이토)바륨, 비스(2,2,6,6-테트라메틸-3,5-헵탄디오네이토)바륨, 비스(2,4-펜탄디오네이토)니켈(II), 비스(N,N-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니켈(II), 비스(2,4-펜탄디오네이토)코발트(II), 비스(헥사플루오로-2,4-펜탄디오네이토)코발트(II)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금속 화합물(M)로서는 비스(2,4-펜탄디오네이토)니켈(II), 비스(2,4-펜탄디오네이토)코발트(II), 트리스(2,4-펜탄디오네이토)인듐(III), 트리스(2,4-펜탄디오네이토)알루미늄(III), 비스(헥사플루오로-2,4-펜탄디오네이토)코발트(II), 비스(N,N-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비스[N,N-비스(2-히드록시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및 이들의 수화물이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이라면, 고콘트라스트의 컬러 필터를 얻을 수 있고, 또한 화합물의 유기 용제에의 용해성이 높은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물 발생이 보다 적은 컬러 필터가 얻어지는 경향이 있어서 바람직하다.
유기 금속 화합물(M)의 함유량은 수지(B) 및 중합성 화합물(C)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질량부 이상 20 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0.5 질량부 이상 15 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 질량부 이상 10 질량부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유기 금속 화합물(M)의 함유량이 상기한 범위 내에 있으면, 명도 및 콘트라스트가 보다 높은 컬러 필터가 얻어진다.
<용제(E)>
용제(E)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통상 사용되는 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에스테르 용제(분자 내에 -COO-를 포함하고, -O-를 포함하지 않는 용제), 에테르 용제(분자 내에 -O-를 포함하고, -COO-를 포함하지 않는 용제), 에테르에스테르 용제(분자 내에 -COO-와 -O-를 포함하는 용제), 케톤 용제(분자 내에 -CO-를 포함하고, -COO-를 포함하지 않는 용제), 알코올 용제(분자 내에 OH를 포함하고, -O-, -CO- 및 -COO-을 포함하지 않는 용제),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 아미드 용제, 디메틸설폭시드 등 중에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에스테르 용제로서는 젖산메틸, 젖산에틸, 젖산부틸, 2-히드록시이소부탄산메틸, 초산에틸, 초산n-부틸, 초산이소부틸, 포름산펜틸, 초산이소펜틸, 프로피온산부틸, 부티르산이소프로필, 부티르산에틸, 부티르산부틸, 피루브산메틸, 피루브산에틸, 피루브산프로필, 아세토초산메틸, 아세토초산에틸, 시클로헥산올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등을 들 수 있다.
에테르 용제로서는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3-메톡시-1-부탄올, 3-메톡시-3-메틸부탄올, 테트라히드로푸란, 테트라히드로피란, 1,4-디옥산,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아니솔, 페네톨, 메틸아니솔 등을 들 수 있다.
에테르에스테르 용제로서는 메톡시초산메틸, 메톡시초산에틸, 메톡시초산부틸, 에톡시초산메틸, 에톡시초산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2-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메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2-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메틸, 2-에톡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케톤 용제로서는 4-히드록시-4-메틸-2-펜타논, 아세톤, 2-부타논, 2-헵타논, 3-헵타논, 4-헵타논, 4-메틸-2-펜타논, 시클로펜타논, 시클로헥사논, 이소포론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 용제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헥산올, 시클로헥산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탄화수소 용제로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 용제로서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용제 중, 도포성, 건조성의 점에서, 1 atm에 있어서의 비점이 120℃ 이상 180℃ 이하인 유기 용제가 바람직하다. 용제(E)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젖산에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4-히드록시-4-메틸-2-펜타논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가 바람직하고,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젖산에틸 및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제(E)의 함유량은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70∼95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5∼92 질량%이다. 다시 말해서,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은 바람직하게는 5∼3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25 질량%이다.
용제(E)의 함유량이 상기한 범위 내에 있으면, 도포시의 평탄성이 보다 양호하게 되고, 또한 컬러 필터를 형성했을 때에 색 농도 부족의 우려가 없기 때문에 표시 특성이 양호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계면활성제(F)>
계면활성제(F)로서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 불소 원자를 갖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측쇄에 중합성 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다.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서는 분자 내에 실록산 결합을 갖는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오레실리콘 DC3PA, 동 SH7PA, 동 DC11PA, 동 SH21PA, 동 SH28PA, 동 SH29PA, 동 SH30PA, 동 SH8400(상품명: 도오레다우코닝(주) 제조), KP321, KP322, KP323, KP324, KP326, KP340, KP341(신에츠가가쿠고교(주) 제조), TSF400, TSF401, TSF410, TSF4300, TSF4440, TSF4445, TSF4446, TSF4452 및 TSF4460(모멘티브 퍼포먼스 마테리알즈 재팬 합동회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불소계 계면활성제로서는 분자 내에 플루오로카본쇄를 갖는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로라드(등록상표) FC430, 동 FC431(스미토모쓰리엠(주) 제조), 메가파크(등록상표) F142D, 동 F171, 동 F172, 동 F173, 동 F177, 동 F183, 동 F554, 동 R30, 동 RS-718-K(DIC(주) 제조), 에프톱(등록상표) EF301, 동 EF303, 동 EF351, 동 EF352(미스비씨마테리알덴시가세이(주) 제조), 사플론(등록상표) S381, 동 S382, 동 SC101, 동 SC105(아사히가라스(주) 제조) 및 E5844((주)다이킨파인케미칼겐큐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불소 원자를 갖는 실리콘계 계면활성제로서는 분자 내에 실록산 결합 및 플루오로카본쇄를 갖는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메가파크(등록상표) R08, 동 BL20, 동 F475, 동 F477 및 동 F443(DIC(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도 2 종류 이상을 조합시켜 이용하더라도 좋다.
계면활성제(F)의 함유량은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총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 질량% 이상 0.2 질량%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2 질량% 이상 0.1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 이상 0.05 질량% 이하이다. 한편, 이 함유량에 상기 안료 분산제의 함유량은 포함되지 않는다. 계면활성제(F)의 함유량이 상기한 범위 내에 있으면, 도막의 평탄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충전제, 다른 고분자 화합물, 밀착촉진제, 산화방지제, 광안정제, 연쇄이동제 등,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첨가제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예컨대 화합물 (1), 수지(B), 중합성 화합물(C), 중합 개시제(D) 및 유기 금속 화합물(M) 및 필요에 따라서 이용되는 안료(A1), 염료(A2), 중합 개시 조제(D1), 계면활성제(F), 용제(E) 및 기타 성분을 혼합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안료(A1)를 포함하는 경우, 안료(A1)를 미리 용제(E)의 일부 또는 전부와 혼합하여, 안료의 평균 입자경이 0.2 ㎛ 이하 정도가 될 때까지 비드밀 등을 이용하여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필요에 따라서 수지(B)의 일부 또는 전부, 상기 안료 분산제를 배합하더라도 좋다. 얻어진 안료 분산액에 나머지 성분 등을 소정의 농도가 되도록 혼합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화합물 (1) 및 염료(A2)를 포함하는 경우의 염료(A2)는 미리 용제(E)의 일부 또는 전부에 각각 용해시켜 미리 용액을 조제하더라도 좋다. 이 용액을 구멍 직경 0.01∼1 ㎛ 정도의 필터로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합 후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구멍 직경 0.01∼10 ㎛ 정도의 필터로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컬러 필터 및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컬러 필터의 착색 패턴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포토리소그래프법, 잉크젯법, 인쇄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포토리소그래프법이 바람직하다. 포토리소그래프법은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기판에 도포하고, 용제 등의 휘발 성분을 제거하거나 하여 건조시켜 조성물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포토마스크를 통해 상기 조성물층을 노광하여 현상하는 방법이다. 현상 후, 필요에 따라서 가열함으로써 착색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착색 패턴의 형성 방법에 있어서, 노광할 때에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및/또는 현상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조성물층의 경화물인 착색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지는 착색 패턴 및 착색 도막을 컬러 필터로 할 수 있다.
제작하는 컬러 필터의 막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이나 용도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0.1∼30 ㎛, 바람직하게는 0.1∼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6 ㎛이다.
기판으로서는 석영 유리, 붕규산 유리, 알루미나규산염 유리, 표면을 실리카 코트한 소다 석회 유리 등의 유리판이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판, 실리콘, 상기 기판 상에 알루미늄, 은, 은/구리/팔라듐 합금 박막 등을 형성한 것이 이용된다. 이들 기판 상에는 별도의 컬러 필터층, 수지층, 트랜지스터, 회로 등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어서, 박막 트랜지스터(이하 「TFT」라고 함)가 형성된 유리 기판 상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포토리소그래피 기술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유리 기판(21) 상에 복수의 TFT(22)를 화소마다 형성한다(도 1 참조). TFT(22)는 유리 기판(21) 상에 예컨대 몰리브덴(Mo)에 의해 형성되는 동시에 게이트선의 일부를 구성하는 게이트 전극(22a)과, 이 게이트 전극(22a) 상에 형성된 예컨대 질화막(SiNx)과 산화막(SiO2)과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 절연막(22b)과, 이 게이트 절연막(22b) 상에 형성된 다결정 실리콘막(22c)과, 예컨대 산화막(SiO2)과 질화막(SiNx)의 적층막에 의해 형성된 보호막(22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다결정 실리콘막(22c)의 게이트 전극(22a)에 대향하는 영역이 TFT(22)의 채널 영역, 또한 이 채널 영역 양측의 영역이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으로 되어 있다. 다결정 실리콘막(22c)의 소스 영역은 보호막(22d)에 형성된 접속 구멍(컨택트 홀)을 통해 예컨대 알루미늄(Al)에 의해 형성된 신호선(2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다결정 실리콘막(22c)의 드레인 영역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접속 구멍(컨택트 홀)(201)을 통해 화소 전극(24)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유리 기판(21) 상에 복수의 TFT(22)를 화소마다 형성할 때, 유리 기판(21) 상에 TFT(22)와 동시에 얼라이먼트 마크(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한다. 이 얼라이먼트 마크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컬러 필터층(23)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의 위치맞춤의 기준이 된다. 한편, 이들 얼라이먼트 마크는 구동 기판과 대향 기판과의 접합의 기준이 되는 마크와 겸용할 수도 있다. 얼라이먼트 마크는 TFT(22)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배선 등의 금속층이나 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할 때에 적어도 그 일층을 이용하여 동일 공정에서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TFT(22) 및 얼라이먼트 마크가 형성된 유리 기판(21) 상에,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가열 건조(프리베이크) 및/또는 감압 건조함으로써 용제 등의 휘발 성분을 제거하여 건조시켜, 막 두께 0.5∼5.0 ㎛, 예컨대 1.0 ㎛의 조성물층을 형성한다.
도포 방법으로서는 스핀코트법, 슬릿코트법, 슬릿&스핀코트법 등을 들 수 있다.
가열 건조를 행하는 경우의 온도는 30∼120℃가 바람직하고, 50∼110℃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가열 시간으로서는 10초간∼60분간인 것이 바람직하고, 30초간∼30분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감압 건조를 행하는 경우는 50∼150 Pa의 압력 하에 20∼25℃의 온도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포토마스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조성물층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고, 또한 현상액에 의해 불필요부(미노광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다결정 실리콘막(22c)의 드레인 영역에 달하는 접속 구멍(컨택트 홀)(201)이 형성된 화소에 성형된 조성물층을 얻은 후에 물로 씻는다.
현상에 의해 조성물층의 미노광부가 현상액에 용해되어 제거된다. 현상액으로서는 예컨대 수산화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수산화테트라메틸암모늄 등의 알칼리성 화합물의 수용액이 바람직하다. 이들 알칼리성 화합물의 수용액 중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1∼10 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5 질량%이다. 또한, 현상액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고 있더라도 좋다.
현상 방법은 퍼들법, 디핑법 및 스프레이법 등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현상시에 기판을 임의의 각도로 기울이더라도 좋다.
그 후, 접속 구멍(컨택트 홀)(201)이 형성된 조성물층을 재유동(리플로우) 및/또는 경화시키기 위해서 예컨대 150∼25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60∼235℃ 범위의 온도에서 1∼120분간이 바람직하고, 10∼60분간 가열한다. 이렇게 하여,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층(23A)이 형성된다. 이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층(23A)이 본 발명의 컬러 필터에 대응하고 있다.
이 조작을 반복하여, 적색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녹색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청색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각각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층(23A)을 형성함으로써, 화소열마다 대응하여 적색 필터(23a), 녹색 필터(23b) 및 청색 필터(23c)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층(23)이 형성된다(도 2 참조). 컬러 필터층(23)의 각 필터 사이의 영역은 인접하는 색의 혼합 영역이 되는데, 이 영역은 신호선(27)에 대향한 차광 영역이므로, 특별히 품질상 지장은 없다. 한편, 이 각 필터 사이의 영역은 착색되지 않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어서, 예컨대 스핀코트법에 의해서 컬러 필터층(23)을 덮도록 예컨대 막 두께 0.3∼2.0 ㎛의 보호막으로서의 감광성 수지막(29)을 형성한다. 이어서, 포토마스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감광성 수지막(29)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하고, 또한 현상액에 의해서 접속 구멍(201)에 대응하는 영역 및 불필요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다결정 실리콘막(22c)의 드레인 영역에 달하는 접속 구멍(컨택트 홀)(202)을 형성한 후에 물로 씻는다. 그 후, 감광성 수지막(29)의 재유동(리플로우)을 위해, 100∼300℃ 범위의 온도, 예컨대 200℃에서 가열한다. 이어서, 컨택트홀(202) 내에 퇴적된 염료 등의 잔사 및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산소 플라즈마에 의한 에칭을 하고, 또한 산소 플라즈마에 의해서 형성된 산화막을 제거하기 위해서 예컨대 희불산에 의해 에칭한다.
이어서, 감광성 수지막(29) 상에 예컨대 스퍼터링법에 의해 투명 도전 재료, 예컨대 ITO(Indium-Tin Oxide: 인듐과 주석의 산화물 혼합막)를 형성하고, 이 IT0막을 포토리소그래피 기술 및 에칭에 의해 패터닝하여, 투명한 화소 전극(24)을 형성한다(도 3 참조). 한편, 이 화소 전극(24)은 제작하는 디바이스에 따라서는 알루미늄(Al)이나 은(Ag) 등의 금속에 의해 형성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그 후에는 기지의 방법에 의해 배향막을 형성한 후, 이 구동 기판과 대향 기판과의 접합을 행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따르면, 특히 명도 및 콘트라스트가 우수한 컬러 필터를 제작할 수 있다. 이 컬러 필터는 표시 장치(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장치, 전자 페이퍼 등) 및 고체 촬상 소자에 이용되는 컬러 필터로서 유용하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에서 함유량 내지 사용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이하의 합성예에 있어서, 화합물은 질량 분석(LC; Agilent 제조 1200형, MASS; Agilent 제조 LC/MSD형)에 의해 동정했다.
[합성예 1]
식 (1a)로 표시되는 화합물 20부와 N-에틸-o-톨루이딘(와코쥰야쿠고교(주) 제조) 200부를 차광 조건 하에 혼합하여 얻어진 용액을 110℃에서 6시간 교반했다. 얻어진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물 800부, 35% 염산 50부의 혼합액 중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한 바, 결정이 석출되었다. 석출된 결정을 흡인 여과의 잔사로서 취득한 후 건조하여 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24부를 얻었다. 수율은 80%였다.
Figure pat00025
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동정
(질량 분석) 이온화 모드=ESI+: m/z=[M+H]+ 603.4
Exact Mass: 602.2
[합성예 2]
N-에틸-o-톨루이딘 대신에 N-이소프로필-2,6-디메틸아닐린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는 합성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식 (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26
식 (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동정
(질량 분석) 이온화 모드= ESI+: m/z=[M+H]+ 659.4
Exact Mass: 658.3
[합성예 3]
냉각관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식 (A2-1a)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 (A2-1b)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상품명 Chugai Aminol Fast Pink R; 쥬가이가세이 제조)를 15부, 클로로포름 150부 및 N,N-디메틸포름아미드 8.9부를 투입하여, 교반 하에 20℃ 이하를 유지하면서 염화티오닐 10.9부를 적하하여 가했다. 적하 종료 후, 50℃로 승온하여, 동 온도에서 5시간 유지하여 반응시키고, 그 후 20℃로 냉각했다. 냉각 후의 반응 용액을 교반 하에 20℃ 이하로 유지하면서 2-에틸헥실아민 12.5부 및 트리에틸아민 22.1부의 혼합액을 적하하여 가했다. 그 후, 동 온도에서 5시간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어서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로터리 에바포레이터로 용매 유거한 후, 메탄올을 소량 가하여 격하게 교반했다. 이 혼합물을 이온교환수 375부의 혼합액 중에 교반하면서 가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석출된 결정을 여과 분별하여 이온교환수로 잘 세정하고, 60℃에서 감압 건조하여, 염료(A2-1)(식 (A2-1-1)∼식 (A2-1-8)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 11.3부를 얻었다.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합성예 4]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기 및 적하 깔대기를 갖춘 플라스크 내에 질소를 0.02 L/분으로 흘려 질소 분위기로 하고, 젖산에틸 305부를 넣어 교반하면서 70℃까지 가열했다. 이어서, 메타크릴산 60부, 3,4-에폭시트리시클로[5.2.1.02.6]데실아크릴레이트(식 (I-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식 (II-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몰비로 50:50으로 혼합) 240부 및 젖산에틸 140부에 용해하여 용액을 조제하고, 이 용액을 적하 깔대기를 이용하여 4시간 걸쳐 70℃로 보온한 플라스크 내에 적하했다.
Figure pat00029
한편, 중합 개시제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30부를 젖산에틸 225부에 용해한 용액을 별도의 적하 깔대기를 이용하여 4시간 걸쳐 플라스크 내에 적하했다. 중합 개시제 용액의 적하가 종료된 후, 4시간, 70℃로 유지하고, 그 후 실온까지 냉각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3×104, 분자량 분포가 2.5, 고형분 35.4%, 고형분 환산의 산가는 103 mgKOH/g인 수지 B1 용액을 얻었다. 수지 B1은 하기에 나타내는 구조 단위를 갖는다.
Figure pat00030
합성예에서 얻어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의 측정은 GPC법을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으로 행했다.
장치; K2479((주)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
컬럼; SHIMADZU Shim-pack GPC-80M
컬럼 온도; 40℃
용매; THF(테트라히드로푸란)
유속; 1.0 mL/min
검출기; RI
교정용 표준 물질; TSK STANDARD POLYSTYRENE F-40, F-4, F-288, A-2500, A-500(도소(주) 제조)
상기에서 얻어진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의 비(Mw/Mn)를 분자량 분포로 했다.
실시예 1∼6 및 비교예 1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이 되도록 각 성분을 혼합하여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pat00031
1)「A1-1」은 아크릴계 안료 분산제 및 「E-13)」란에 기재한 양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와 혼합하여 미리 분산시킨 것을 이용했다.
2)「E-12)」란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함유량의 합계를 나타낸다.
표 1에서 각 성분은 이하의 것을 나타낸다.
(A) 착색제: 1-1: 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A) 착색제: 1-6: 식 (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A) 착색제: A1-1: C.I. 피그먼트 블루 15:6(안료)
(A) 착색제: A2-1: 염료(A2-1)
(B) 수지: B-1: 수지 B1 용액
(C) 중합성 화합물: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니혼가야쿠(주) 제조; KAYARAD(등록상표) DPHA)
(D) 중합 개시제: N-벤조일옥시-1-(4-페닐술파닐페닐)옥탄-1-온-2-이민(이르가큐어(등록상표) OXE 01; BASF사 제조)
(M) 유기 금속 화합물: M-1: 비스(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M) 유기 금속 화합물: M-2: 비스[비스(2-히드록시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M) 유기 금속 화합물: M-3: 트리스(2,4-펜탄디오네이토)인듐
(M) 유기 금속 화합물: M-4: 트리스(2,4-펜탄디오네이토)알루미늄
(M) 유기 금속 화합물: M-5: 비스(2,4-펜탄디오네이토)니켈(II)
(M) 유기 금속 화합물: M-6: 비스(2,4-펜탄디오네이토)코발트(II)
(E) 용제: E-1: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E) 용제: E-2: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E) 용제: E-3: 젖산에틸
(F) 계면활성제: 불소계 계면활성제(메가파크(등록상표) F554; DIC(주) 제조)
[몰 흡광 계수의 산출]
메스플라스크에 시료를 각각 0.1 g 칭량하여 넣고, 이어서 젖산에틸로 0.250 L가 되도록 희석했다. 이 용액에 대해서 자외가시분광광도계(V-650DS; 니혼분코(주) 제조)(석영 셀, 광로 길이; 1 cm)로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Lambert-Beer 법칙을 이용하여 가시광 영역(380 nm∼780 nm)에 있어서의 몰 흡광 계수(ε)의 최대치[εM]를 산출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료 몰 흡광 계수의 최대치
[(L/(mol·cm)]
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10360
식 (1-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0199
염료(A2-1) 8031
비스(디부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55
비스[비스(2-히드록시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아연 49
트리스(2,4-펜탄디오네이토)인듐(III) 35
트리스(2,4-펜탄디오네이토)알루미늄(III) 35
비스(2,4-펜탄디오네이토)니켈(II) 30
비스(2,4-펜탄디오네이토)코발트(II) 38
[착색 패턴의 형성]
2 inch square의 유리 기판(이글 XG; 코닝사 제조) 상에, 착색 경화성 조성물을 스핀코트법으로 도포한 후, 100℃에서 3분간 프리베이크하여 착색 조성물층을 얻었다. 냉각 후, 착색 조성물층이 형성된 유리 기판과 석영 유리로 만든 포토마스크와의 간격을 100 ㎛로 하여 노광기(TME-150RSK; 토프콘(주) 제조)를 이용하여, 대기 분위기 하에 150 mJ/㎠의 노광량(365 nm 기준)으로 광조사했다. 포토마스크로서는 100 ㎛ 라인&스페이스 패턴이 형성된 것을 사용했다. 광조사 후, 상기 도막을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0.12%와 수산화칼륨 0.04%를 포함하는 수계 현상액에 23℃에서 80초간 침지 현상하여, 물로 씻은 후, 오븐 속에서 220℃에서 20분간 포스트 베이크를 하여, 착색 패턴을 얻었다.
[막 두께 측정]
얻어진 착색 패턴에 대해서 막 두께를 막 두께 측정 장치(DEKTAK3; 니혼신쿠기쥬츠(주)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색도 평가]
얻어진 유리 기판 상의 착색 패턴에 대해서 측색기(OSP-SP-200; 올림푸스(주) 제조)를 이용하여 분광을 측정하고, C 광원의 등색 함수를 이용하여 CIE의 XYZ 표색계에 있어서의 xy 색도 좌표(x,y) 및 3 자극치 Y를 측정했다. Y의 값이 클수록 명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콘트라스트 평가]
포토마스크의 사용 없이 노광하는 것 이외에는 착색 패턴의 형성과 같은 조작을 하여 유리 기판 상에 착색 도막을 형성했다. 얻어진 도막에 대해서, 콘트라스트 측색기(CT-1; 츠보사카덴키사 제조, 검출기; BM-5A, 광원; F-10)를 이용하여, 블랭크치를 30000으로 하여 콘트라스트를 측정했다. 착색 도막을 형성한 유리 기판을 편광 필름(POLAX-38S; 루케오사 제조)으로 사이에 끼운 것을 측정 샘플로 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32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착색 패턴은 높은 명도의 청색을 보이고, 또한 콘트라스트도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패턴은 고명도의 컬러 필터로서 유용하고, 또한 상기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표시 특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고명도의 컬러 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
21: 유리 기판 22: TFT(스위칭 소자)
22a: 게이트 전극 22b: 게이트 절연막
22c: 다결정 실리콘막 22d: 보호막
23: 컬러 필터층 23A: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층(컬러 필터)
23a: 적색 필터 23b: 녹색 필터
23c: 청색 필터 24: 화소 전극
27: 신호선 29: 감광성 수지막(보호막)
201, 202: 접속 구멍

Claims (5)

  1. 착색제, 수지, 중합성 화합물, 중합 개시제 및 유기 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착색제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고,
    유기 금속 화합물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몰 흡광 계수의 최대치가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가시광 영역에 있어서의 몰 흡광 계수의 최대치보다도 작은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Figure pat00033

    [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갖고 있더라도 좋은 페닐기를 나타낸다.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10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이 포화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탄소수 6∼1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고, 이 방향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3의 알콕시기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고, 상기 포화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는 -O-, -CO- 또는 -NR11-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다.
    R1 및 R3은 질소 원자와 함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고리를 형성하더라도 좋고, R2 및 R4는 질소 원자와 함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고리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R5는 -OH, -SO3H, -SO3 -Z+, -CO2H, -CO2 -Z+, -CO2R8, -SO3R8 또는 -SO2NR9R10을 나타낸다.
    R6 및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m은 0∼4의 정수를 나타낸다. m이 2 이상일 때, 복수의 R5는 동일하더라도 상이하더라도 좋다.
    R8은 탄소수 1∼20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이 포화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다.
    Z++N(R11)4, Na+ 또는 K+를 나타낸다.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9 및 R10은 서로 결합하여 질소 원자와 함께 3∼10원 질소 함유 복소환을 형성하고 있더라도 좋다.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20의 1가의 포화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7∼10의 아랄킬기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유기 금속 화합물이 하기 식 (F1)로 표시되는 화합물, 하기 식 (F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이들의 수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Figure pat00034

    [식 (F1)에서, W1 및 W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이 지방족 탄화수소기 및 이 방향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히드록시기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다.
    M1은 금속 원자를 나타낸다.
    x는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x가 2 이상일 때, 복수의 W1 및 W2는 서로 동일하더라도 상이하더라도 좋다.]
    Figure pat00035

    [식 (F2)에서, W3 및 W4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이 지방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더라도 좋다.
    M2는 금속 원자를 나타낸다.
    y는 1∼3의 정수를 나타내고, y가 2 이상일 때, 복수의 W3 및 W4는 서로 동일하더라도 상이하더라도 좋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착색제가 안료를 더 포함하는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컬러 필터.
  5. 제4항에 기재한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20150658A 2011-12-26 2012-12-21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995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82952A JP5938895B2 (ja) 2011-12-26 2011-12-26 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
JPJP-P-2011-282952 2011-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753A true KR20130074753A (ko) 2013-07-04
KR101995076B1 KR101995076B1 (ko) 2019-07-02

Family

ID=48636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658A KR101995076B1 (ko) 2011-12-26 2012-12-21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38895B2 (ko)
KR (1) KR101995076B1 (ko)
CN (1) CN103176361B (ko)
TW (1) TW2013329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764A (ko) * 2018-07-05 2021-03-1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차광막, 차광막의 제조 방법 및 격벽 구비 기판
KR20210056406A (ko) * 2018-10-15 2021-05-1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구조체, 고체 촬상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8852B2 (ja) * 2013-08-01 2017-12-20 Jsr株式会社 着色組成物、着色硬化膜及び表示素子
US10763491B2 (en) 2014-04-01 2020-09-01 The Research Foundation For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Low-temperature synthesis process of making MgzMxOy, where M is Mn, V or Fe, for manufacture of electrode materials for group II cation-based batteries
JP6902848B2 (ja) * 2016-06-20 2021-07-14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
JP7007119B2 (ja) * 2016-08-24 2022-02-10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 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表示装置
KR20200128038A (ko) * 2018-03-05 2020-11-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컬러 필터 및 표시 장치
JP7324045B2 (ja) * 2018-08-08 2023-08-09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 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017A (en) * 1980-10-06 1982-08-17 Polaroid Corporation Photographic products and processes with a pH sensitive xanthene light screening dye
KR20110049701A (ko) * 2009-11-04 2011-05-1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20090840A (ko) * 2011-02-08 2012-08-1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5372A1 (en) * 2003-03-10 2004-09-23 Fuji Photo Film Co., Ltd. Dye-containing curable composition, color filter, and process of preparing color filter
JP4401196B2 (ja) * 2003-03-10 2010-0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染料含有硬化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482699B (zh) * 2007-12-14 2015-07-01 住友化学株式会社 着色感光性树脂组合物
JP5504627B2 (ja) * 2008-07-01 2014-05-28 住友化学株式会社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
CN102193315B (zh) * 2010-03-15 2015-01-14 住友化学株式会社 着色感光性树脂组合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5017A (en) * 1980-10-06 1982-08-17 Polaroid Corporation Photographic products and processes with a pH sensitive xanthene light screening dye
KR20110049701A (ko) * 2009-11-04 2011-05-12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20090840A (ko) * 2011-02-08 2012-08-17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764A (ko) * 2018-07-05 2021-03-1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차광막, 차광막의 제조 방법 및 격벽 구비 기판
KR20220049046A (ko) * 2018-07-05 2022-04-20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수지 조성물, 차광막, 차광막의 제조 방법 및 격벽 구비 기판
KR20210056406A (ko) * 2018-10-15 2021-05-1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구조체, 고체 촬상 소자 및 화상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76361A (zh) 2013-06-26
TW201332986A (zh) 2013-08-16
JP5938895B2 (ja) 2016-06-22
CN103176361B (zh) 2018-06-29
KR101995076B1 (ko) 2019-07-02
JP2013133358A (ja)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924B1 (ko)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JP6713517B2 (ja) 赤色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
KR101849456B1 (ko)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TWI592751B (zh) 著色硬化性樹脂組成物
JP6028326B2 (ja) 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
KR101995076B1 (ko)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2378450B1 (ko)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JP2012181505A (ja)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
JP6174881B2 (ja) 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
TWI565759B (zh) 著色硬化性樹脂組成物
KR20130041735A (ko)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2023779B1 (ko)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632461B1 (ko)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CN113383021A (zh) 着色固化性树脂组合物
CN113383020A (zh) 着色固化性树脂组合物
WO2022234775A1 (ja) 化合物
CN114815504A (zh) 着色固化性树脂组合物
JP2022119714A (ja) カラーフィルタ
KR20240007901A (ko) 화합물
JP2013203956A (ja) 着色硬化性樹脂組成物
CN114303095A (zh) 着色树脂组合物
KR20210090620A (ko) 착색 경화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