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937A - 열전기 모듈용 반도체 소자 및 상기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열전기 모듈용 반도체 소자 및 상기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937A
KR20130073937A KR1020137005685A KR20137005685A KR20130073937A KR 20130073937 A KR20130073937 A KR 20130073937A KR 1020137005685 A KR1020137005685 A KR 1020137005685A KR 20137005685 A KR20137005685 A KR 20137005685A KR 20130073937 A KR20130073937 A KR 20130073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rt
thermoelectric material
thermoelectric
frame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5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3445B1 (ko
Inventor
롤프 브뤽크
Original Assignee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filed Critical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73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1Structural details of the junction
    • H10N10/817Structural details of the junction the junction being non-separable, e.g. being cemented, sintered or solder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H10N10/17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the cell or thermocouple forming the device

Landscapes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서로 완전하지 않게 연결되는 열전기 재료(2) 및 제 1 프레임 부품(3)을 적어도 포함한 반도체 소자(1)가 제시되며, 상기 프레임 부품(3)은 상기 열전기 재료(2) 및 전기 전도체용 확산 장벽을 형성한다. 적어도 2개의 반도체 소자(1)를 포함한 열전기 모듈(17)뿐만 아니라 반도체 소자(1)를 만들기 위한 방법이 또한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열전기 모듈용 반도체 소자 및 상기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Semiconductor element for a thermoelectric modul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와, 상기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과, 이러한 종류의 반도체 소자나 또는 상기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반도체 소자를 구비한 열전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차량 내연 기관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는 열전기 발생기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는 열 에너지를 포함하여, 예를 들면 배터리나 또는 여러 다른 에너지 저장 장치를 충전하고 및/또는 필요한 에너지를 직접적으로 전기 부하에 공급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량은 향상된 에너지 효율로 작동되고, 그리고 상기 차량을 작동시키는데 에너지가 더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열전기 발생기는 적어도 하나의 열전기 모듈을 구비한다. 열전기 모듈은 예를 들면, 적어도 2개의 반도체 소자(p-도프된 그리고 n-도프된)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소자는 상기 전기 모듈의 (고온 측 또는 냉각 측 반대쪽) 위쪽 측면 및 아래쪽 측면 상에 교호의 전기 전도성 브릿지를 구비하여 제공되고 가장 작은 열전기 유닛 또는 열전기 소자를 형성한다. 열전기 재료는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효과적인 방식(제벡크 효과(Seebeck effect))으로 및 상기 제벡크 효과와 반대인 펠티에르 효과(Peltier effect)으로 변환할 수 있는 타입을 취하고 있다. 온도 구배가 반도체 소자의 양측에 제공된다면, 전압 포텐셜은 상기 반도체 소자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다. 보다 고온 측의 전하 운반체가 보다 높은 온도만큼 증가된 정도로 전도대로 여기된다. 전도대에서 이러한 공정 동안에 만들어진 집중의 차이 때문에, 전하 운반체는 반도체 소자의 보다 차가운 측으로 퍼트려, 포텐셜 차이를 발생시킨다. 열전기 모듈에 있어서, 상당히 많은 반도체 소자가 직렬로 전기 접속된다면 바람직하다. 일련의 반도체 소자에서 발생된 포텐셜의 차이가 서로 상쇄되지 않게 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교호의 반도체 소자가 상이한 대다수의 전하 운반체(n-도프된 및 p-도프된)와 직접적으로 항상 전기 접촉하게 된다. 연결된 부하 레지스터에 의하여, 회로는 폐쇄될 수 있고 그리고 이에 따라 전기력이 감소될 수 있다.
반도체 소자가 일관된 원칙(sustained basis)으로 작동하는 동안 적합하게 되는(fit)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확산 장벽은 열전기 재료와 전기 전도성 브릿지 사이에 전반적으로 배치되어, 열전기 재료로의 상기 전기 브릿지에 함유된 재료의 확산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열전기 소자 및 반도체 재료의 작동 오류를 방지하거나 유효성의 손실을 방지한다. 열전기 모듈의 구성과 반도체 소자의 구성은 열전기 모듈을 형성하기 위하여 개별 구성요소, 즉, 열전기 재료, 확산 장벽, 전기 전도성 브릿지, 절연부 및,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하우징 소자를 조립함으로써 통상적으로 달성되어, 상기 열전기 모듈 상에서 고온의 매체나 또는 차가운 매체가 유동한다. 다수의 개별 구성요소의 이러한 조립체는 또한 상기 개별 구성요소 공차의 정밀한 맞춤과 고온 측으로부터 냉각 측으로의 열 전달의 허용을 필요로 하고 그리고 만들어진 열전기 재료를 통해 전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전기 전도성 브릿지의 적당한 접촉을 필요로 한다.
이를 시발점으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설명된 문제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여러 다양한 사용에 적당한 반도체 소자를 특정하는 것이고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열전기 모듈이 가능한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반도체 소자를 만드는 간단한 방법을 특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에 따른 반도체 소자와, 청구항 제9항의 특징에 따른 이러한 종류의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한 실시예의 반도체 소자 및 보다 고-레벨의 서브조립체로의 상기 반도체 소자의 통합과 이들을 만들기 위한 방법이 종속 청구항에 지시되어 있다. 청구범위에서 개별적으로 나타난 특징은 임의의 기술적으로 의미 있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 그리고 본 발명의 부가적인 실시예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도면과 관련된 설명은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적어도 열전기 재료 및 제 1 프레임 부품을 구비하고, 이 경우 상기 구성요소는 서로 완전하지 않게(non-positively)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은 반도체 소자 및 전기 전도체용 확산 장벽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반도체 소자는 가장 작은 구성 유닛을 나타내고 그리고 사전에 완전하지 않게 그리고 포집(captive) 방식으로 제 1 프레임 부품과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프레임 부품의 재료는 확산 장벽이 보장되고 이에 따라 열전기 재료가 확산에 의해 통과하는 소자에 의해 오염되지 않고 그리고 전기 에너지로의 열 에너지의 전환에 의해 그 유효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선택된다. 동시에, 제 1 프레임 부품은 전기 전도체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또한 반도체 소자의 제 1 프레임이 인접한 반도체 소자나 또는 상기 반도체 소자의 제 1 프레임 부품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열전기 모듈에 의해 만들어진 전류가 특히, 상기 열전기 모듈의 반도체 소자 및 프레임 부품을 통해 유일하게(exclusively) 흐른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특히, 반도체 소자 및 제 1 프레임 부품은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완전한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정연하게 실질적으로 연결된다.
아래 기재된 바와 같은 재료는 특히 열전기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n-타입: Bi2Te3; PbTe; Ba0 .3Co3 .95Ni0 .05Sb12; Bay(Co,Ni)4Sb12; CoSb3; Ba8Ga16Ge30; La2Te3; SiGe; Mg2(Si,Sn);
p-타입: (Bi,Sb)2TE3; Zn4Sb3; TAGS; PbTe; SnTe; CeFe4Sb12; Yb14MnSb11; SiGe;
Mg2(Si,Sb).
특히 유리한 실시예의 반도체 소자는 상기 반도체 소자용 제 2 프레임 부품을 제공하고, 상기 프레임 부품은 제 1 프레임 부품이 배치되는 한 소자 표면과 반대쪽에 위치한, 열전기 재료의 다른 한 소자 표면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열전기 재료가 특히, 실린더, 입방체, 바(bar) 및/또는 원형 링 세그먼트의 형태로 구현되고, 이 경우 제 1 프레임 부품 및 제 2 프레임 부품은 상기 열전기 재료의 서로 반대쪽에 위치된 소자 표면상에 배치된다. 제 1 프레임 부품에 관한 모든 기재가 또한 제 2 프레임 부품을 한정하지 않으면서 적용되며, 반대로 상기 제 2 프레임 부품에 관한 모든 기재가 또한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을 한정하지 않으면서 적용된다.
유리한 다른 일 실시예의 반도체 소자에 따르면, 열전기 재료, 제 1 프레임 부품 및 제 2 프레임 부품은 환상이고,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은 내측의 원주의 표면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프레임 부품은 상기 열전기 재료의 외측의 원주의 표면상에 배치된다. 특히, 상기 기재된 실시예에 의하여, 튜브형 열전기 모듈을 만들 수 있고 상기 튜브형 열전기 모듈에서 반도체 소자가 직렬로 배치되고 그리고 제 1 프레임 부품 및 제 2 프레임 부품에 의하여 교호로 각각 서로 전기 접속된다.
적어도 제 1 프레임 부품은 2개의 서로 반대쪽에 위치되어 이격된 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표면 중 하나의 표면은 열전기 재료와 마주한 부착 표면이고 그리고 표면들 사이의 간격은 제 1 프레임 부품의 두께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두께의 범위는 0.1 mm 내지 1 mm[밀리미터]이고,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 mm이도록 더욱 제안된다. 특히, 열전기 재료에 의해 이격된 제 1 프레임 부품 및 제 2 프레임 부품은 1 내지 5 mm [밀리미터] 떨어져 있으며, 즉 상기 열전기 재료의 재료 두께의 범위는 1 내지 5 mm이다. 필요에 따라, 제 2 프레임 부품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 부품이 만들어지는 재료의 강도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 재료로 제 2 프레임이 만들어지는 실시예가 더욱 바람직하다.
유리한 다른 일 실시예의 반도체 소자에 따르면, 적어도 제 1 프레임 부품은 2개의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여 이격된 접촉 표면을 가지며, 이들 사이의 간격은 제 1 폭을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제 1 폭은 열전기 재료의 제 2 폭보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크고, 이 결과 제 1 프레임 부품은 상기 열전기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돌출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언급된 접촉 표면은 인접하여 배치된 반도체 소자 사이에서 상기 반도체 소자의 프레임 부품을 통해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특히 사용된다. 제 1 폭을 갖는 제 1 프레임 부품과 제 2 폭을 갖는 열전기 재료의 정도가 특히, 서로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전기 재료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상의 상기 열전기 재료를 넘어 돌출한다는 것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제 1 프레임 부품이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열전기 재료와 동일 높이를 이루도록 배치된다면 바람직하다. 특히 매우 바람직한 선택사항으로서, 이러한 (단일의) 오버랩이 제 1 프레임 부품의 연장부의 작은 부품상에만 제공되거나, 특히 (원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단지 30% 상에 제공되거나 또는 단지 20% 상에만 제공된다. 필요에 따라, 제 2 프레임 부품이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다른 하나의 측면상에 열전기 재료와 관련하여 돌출하도록 적어도 제 1 프레임 부품이 부가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제시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제 1 프레임 부품이 접촉 표면을 통해 연결될 때, 열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는 효율을 손상시킬 수 있는, 인접하여 배치된 반도체 소자의 접촉 표면의 용접이나, 솔더링이나 또는 접착의 경우에 열전기 재료의 손상이나 또는 오염이 없다는 것을 보장하므로, 특히 장점이 된다. 필요에 따라, 제 2 프레임 부품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열전기 재료에 대한 제 1 프레임 부품의 형성된 오버랩에 의하여, 상기 열전기 모듈의 충전 정도에 더욱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충전 정도는 열전기 모듈의 고온 측과 냉각 측 사이의 사이 공간이나 또는 볼륨에 열 전기 재료의 비율을 결정하며, 상기 사이 공간이나 볼륨에 열전기 재료가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적어도 제 1 폭이 제 2 폭의 적어도 130%이고, 이에 따라 2개의 인접하여 배치된 열전기 재료들 사이에 상기 열전기 재료의 재료 두께의 적어도 30%에 상당하는 갭을 상기 방향으로 만든다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또한 제 2 프레임 부품과 (함께) 달성될 수 있다.
유리한 다른 일 실시예의 반도체 소자에 따르면, 적어도 제 1 프레임 부품은 열전기 재료와 마주한 부착 표면상에 적어도 배치된 코팅을 구비한다. 필요에 따라, 제 2 프레임 부품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은 열전기 재료 그리고 제 1 프레임 부품/제 2 프레임 부품의 연결 표면을 증대시키는 재료 및/또는 솔더를 특히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특히, 솔더가 열전기 재료와 제 1 프레임 부품/제 2 프레임 부품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확산 장벽의 특성을 부가적으로 가질 필요가 있다. 코팅은 제 1 프레임 부품/제 2 프레임 부품과 열전기 재료를 결합할 수 있고 그리고 가능한 강성의 결합부를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또한 제 1 프레임 부품/제 2 프레임 부품과 열전기 재료 사이의 열을 전도하는 접촉을 보장하거나 향상시켜, 반도체 소자의 유효성을 보장하거나 또는 다수의 반도체 소자를 포함한 열전기 모듈의 유효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된 코팅은 특히, 솔더를 포함한다. 솔더는 특히, 납-함유 솔더이며,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중량의 납 함량을 갖는다.
적어도 열전기 재료와 마주한 부착 표면에서, 적어도 제 1 프레임 부품은 아래 기재된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를 포함하는 표면 구조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비한다고 더욱 제안된다:
- 홈,
- 오프셋,
- 상승부,
- 적어도 12 ㎛의 거칠기(Rz).
이러한 표면 구조체에 의하여, 특히, 적어도 하나의 소자를 통해 열전기 재료와 제 1 프레임 부품의 완전한 결합이 있다. 소자에 의하여, 열전기 재료와 제 1 프레임 부품 사이의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의 강도와 관련하여 향상된다. 필요에 따라, 제 2 프레임 부품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홈은 제 1 프레임 부품 내에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이는 (둘러싸는) 오프셋의 경우에 오프셋과 구별되므로, 상기 오목부는 접촉 표면까지 뻗어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은 열전기 재료상에 가압될 수 있다. 홈 및 오프셋과 달리, 본 발명에서 지시된 상승부는 열전기 재료로 뻗어있는 프레임 부품의 연속부이고 이에 따라 상기 열전기 재료와 제 1 프레임 부품 사이에 완전한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서 형성된 거칠기(Rz)는 DIN 4768에 따라 일반적으로 결정되고, 이 경우 상기 값은 적어도 12 ㎛ [마이크로미터]이고, 특히 적어도 20 ㎛이므로, 열전기 재료 및 제 1 프레임 부품을 연결하기 위한 큰 표면을 보장한다.
유리한 다른 일 실시예의 반도체 소자에 따르면, 적어도 제 1 프레임 부품은 적어도 95% 중량의 니켈이나 또는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진다. 한편으로, 이들 재료는 제 1 프레임 부품이 열전기 재료와 관련하여 신뢰할만한 확산 장벽을 형성하고 더욱이 전기 전도체를 실행하는데 적당하다는 것을 보장한다. 특히, 적어도 99% 중량의 니켈이나 또는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진 제 1 프레임 부품이 본 발명에서 제공된다. 필요에 따라, 제 2 프레임 부품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특징에 따르면, 반도체 소자를 만드는 방법은 적어도 아래 기재된 단계를 갖도록 제안된다:
a) 적어도 하나의 제 1 프레임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의 부착 표면상에 열전기 재료를 배치하는 단계, 및
c) 2개의 구성요소가 완전하지 않게 결합부에 진입하도록,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과 상기 열전기 재료를 적어도 압축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방법은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반도체 소자를 만드는데 특히 적당하다.
개별 단계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순서로 실행되고,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 복수의 반도체 소자를 결합해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과 관련하여, 단계 a)에서 제 2 프레임 부품을 필요한 경우에 제공할 수 있고, 이 경우 열전기 재료가 단계 b)에서 양 프레임 부품의 부착 표면들 사이에 배치되고, 이후 이들로 압축된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르면, 열전기 재료는 부서지기 쉽거나 또는 단계 b)에서 이미 사전압축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는, 사전압축된 슬러그가 20% 이하의 다공성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의 다공성을 갖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의 다공성을 갖는다면, 바람직하다.
제 1 프레임 부품(그리고 필요하다면, 제 2 프레임 부품) 및 열전기 재료에서 적어도 압축함으로써, 적어도 완전하지 않은 결합부가 만들어진다. 특히, 홈, 오프셋, 상승부 및/또는 증가된 거칠기의 제 1 프레임 부품/제 2 프레임 부품과 같은 부가적인 요소가 또한 완전한 결합부를 이루도록 사용될 수 있다. 재료 결합부는 특히 부가적인 측정부로 이처럼 가능하고, 그리고 특히 솔더링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제 1 프레임 부품/제 2 프레임 부품과 열전기 재료 사이의 코팅에 의해 달성된다. 압축에 의해, 특히, 열전기 재료는 더욱 컴팩트하게 되고 제 1 프레임 부품의 방향으로 유동하며, 이 결과 제공된 소자가 적어도 제 1 프레임 부품과 열전기 재료 사이에서 결합부의 강도를 증대시키도록 완전하게 충전될 수 있다.
압축된 요소, 즉, 특히 제 1 프레임 부품 및 열전기 재료가 압축 이후에 10% 이하의 다공성을 갖고, 특히 5% 이하의 다공성을 갖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의 다공성을 갖는 공정이 특히 바람직하다. 압축은 압축 압력, 압축 시간 및/또는 압축 온도의 공정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선택사항으로서, 본원 발명의 압축하는 단계는 복수의 구성요소 작동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유리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c)는 적어도 20℃의 온도에서 실행된다. 적어도 150℃의 온도, 특히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의 온도가 특히 바람직하지만, 그러나 특히, 온도는 800℃를 초과하지 않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400℃를 초과할 수 없다. 특히 PbTE 및 BiTe와 같은 재료에 대하여, 적어도 150℃의 온도 및 단지 400℃의 온도가 유리하다고 특히 증명되었다. 온도가 열전기 재료의 최대 열적 안정성의 30 내지 80%의 온도 범위 내에 유지되는 공정이 바람직하다. 최대의 열적 안정성은 열전기 재료가 가열되면서 재료의 열전기 특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온도가 되도록 취해진다.
단계 c)에서의 가열은, 대략적으로 에너지의 연통이 적당한 깊이에서 발생하도록, 전류가 열전기 재료와, 제 1 프레임 부품 및/또는 제 2 프레임 부품 사이의 경계층의 깊이에서, 특히 여기 주파수의 적당한 선택을 통하여, 대략적으로 연통하는 방식으로 제어되는 공정에 의하여, 유도적으로 바람직하게 달성된다.
바람직한 선택사항으로서, 경계층 및/또는 불완전한 재료 결합부에 의한 임의의 전달 저항이 감소될 수 있고 및/또는 프레임 부품과 열전기 재료 사이의 접착이 열전기 재료와 상기 프레임 부품 사이의 상기 경계층을 가열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고, 특히, 예를 들면 솔더의 코팅과 같은, 상기 영역에서의 코팅을 사용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에서, 또한 사전압축된 열전기 재료를 소성 유동에 의해 적어도 제 1 프레임 부품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서, 완전하지 않은 연결에 의해 제 1 프레임과 열전기 재료 사이의 고 결합부 강도를 가능하게 하는 소결 공정을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열전기 재료와 제 1 프레임 부품 사이의 이러한 결합부는 갭이 없으므로, 열 전달과 전류 전달이 저하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2개의 반도체 소자를 구비하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만들어진 열전기 모듈에 대해 더욱 제안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반도체 소자는 인접한 반도체 소자의 프레임 부품이 접촉하고 이러한 접촉 위치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접속되는 열 전기 모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특히, 이들 접촉 위치는 전기 전도성이 되거나 또는 전기 절연성이 되는 방식으로 각각의 경우에 구현되고, 이에 따라 개별 반도체 소자의 적당한 전기의 상호연결을 제공한다.
물론, 또한 양 실시예의 반도체 소자가 하나의 열전기 모듈에 적당한 방식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프레임 부품 및/또는 제 2 프레임 부품이 접촉되어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 부품에 의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이러한 종류의 반도체 소자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복잡하고 비용이 드는 열전기 모듈용 제조 공정이 상당히 간단하게 된다. 특히, 매우 민감한 열전기 재료는 제 1 프레임 부품과 제 2 프레임 부품 사이의 배치를 통한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되고 이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인접한 반도체 소자의 프레임 부품은 인접하여 배치된 반도체 소자를 통과하는 전류의 흐름이 만들어질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특히, n-도프된 반도체 소자 및 p-도프된 반도체 소자가 전기적으로 서로에 대해 교호로 연결되는 고온 측 및 냉각 측에 각각 할당되는 상기 반도체 소자의 소자 표면을 가져, 일렬로 선택적으로 배치되기 위한 구성이 실행된다.
유리한 다른 일 실시예의 열전기 모듈에 따르면, 인접한 반도체 소자의 프레임 부품은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접촉 표면에서 접촉한 상태이고 그리고 이러한 접촉 위치에서 실질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특히, 이러한 종류의 일 실시예는 인접하여 배치된 반도체 소자 사이에서 맞닿은 결합부를 실행하도록 사용되어,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용접되거나, 솔더링되거나 또는 접착될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인접한 반도체 소자의 프레임 부품은 각각의 경우에 접촉 표면에서 접촉하고 그리고 특히 적당한 가황(vulcanization) 및/또는 고무화현상(rubberization)에 의하여, 이러한 접촉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인접하여 배치된 반도체 소자 사이의 재료 결합부의 형성은 용접, 특히 레이저 용접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열전기 모듈 상의 제 1 프레임 부품은 보정 부재를 형성하고, 이 결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반도체 소자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더욱 제안된다. 이러한 보정 부재는 예를 들면, 제 1 프레임 부품에 의해 적어도 형성되는, 탄성 구조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접한 반도체 소자의 프레임 부품 사이의 재료 결합부는 보정 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보정 부재는 예를 들면, 냉각 측에 대한 고온 측의 축선방향 길이의 증가 및/또는 원주의 방향 및/또는 반경방향 방향으로의 서로에 대한 반도체 소자의 변위를 보정한다. 물론, 제 2 프레임 부품은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유리한 다른 일 실시예의 열전기 모듈에 따르면, 적어도 제 1 프레임 부품은 고온의 매체에 열 전도성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적어도 제 2 프레임 부품은 단지 전기 절연부를 통하여 차가운 매체에 열 전도성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상기 특징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는, 특히, 열전기 모듈 상에서 유동하는 고온의 매체로 여겨진다. 특히, 배기 가스와 마주한 열전기 모듈의 표면은 복수의 제 1 프레임 부품에 의하여 적어도 형성된다. 제 1 프레임 부품은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반도체 소자는 또한 서로 교호로 전기 절연되도록 구현되고, 이 결과 전류가 n-도프된 반도체 소자 및 p-도프된 반도체 소자를 통해 고온 측으로부터 냉각 측으로 교호로 통과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제 1 프레임 부품은 열전기 재료와 관련된 확산 장벽의 작용을 취한다. 더욱이, 제 1 프레임 부품은 열전기 모듈에 따른 전류 경로를 만들며, 동시에, 상기 열전기 모듈의 외측의 표면을 형성하며, 이는 고온의 매체로부터 반도체 소자까지의 가능한 작게 열 전달할 수 있기 위함이다. 따라서 적어도 제 1 프레임 부품이 고온 측에서 열전기 모듈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배기 가스에 대한 전기 전도성 제 1 프레임 부품의 전기 절연부로 분배될 수 있다. 하우징, 전기 절연부, 전기 전도성 전류 경로, 확산 장벽 및 열전기 재료의 잔여 구조체는 이에 따라 상당하게 간략하게 된다. 특히, 인접하여 배치된 반도체 소자가 상기 반도체 소자의 서로 마주한 접촉 표면상에 전기 절연부 소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부 소자에 의해, 열전기 모듈이 배기 가스로부터 실링될 수 있고,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제 1 프레임 부품이 서로로부터 전기 절연될 수 있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또한 차가운 매체와 관련하여 열전기 모듈을 경계 형성하는 제 2 프레임 부품이 특히 제안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차가운 매체는 특히, 액체이다. 전기 절연부는 동시에 우수한 열 전도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배기 가스에 포함된 열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는 것과 관련된 열전기 모듈의 효율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보장한다. 예를 들면, 필름이 전기 절연부로 제공되고, 상기 필름을 열전기 모듈의 대응하는 표면에 적용하는 것은 간단한 사항이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차가운 매체와 마주한 제 2 프레임 부품의 측면에 위치한 슬리브와 같은 특히 열-수축가능한(heat-shrinkable) 슬리브는 전기 절연부로 제안될 수 있다. 전기 절연부는 외측 및/또는 내측 상에서, 특히 외측 상에서, 바람직하게는 열전기 모듈의 외측의 표면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품의 이들 구역에서, 프레임 부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열전기 모듈에 있어서, 특히 보정 부재로써 각각 구현되는 제 1 프레임 부품 및/또는 제 2 프레임 부품은 특히, 동시에 넓어진 열 전달 표면을 형성한다. 이들 넓어진 열 전달 표면은 배기 가스 유동으로 그리고 차가운 매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하는, 접촉 표면에 의해 서로 연결된, 특히 프레임 부품에 의해, 달성된다. 이 결과, 한편으로, 난류가 배기 가스 및 차가운 매체에 만들어져, 열 전달의 향상을 초래함과 동시에, 상기 배기 가스의 우수한 혼합이나 또는 차가운 매체의 우수한 혼합이 달성되어, 열전기 모듈에서의 온도 레벨이 가능한 일정하게 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반도체 소자 및 열전기 모듈은 차량에 사용되고, 그리고 내연 기관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열전기 발생기에 특히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과 그 기술적 내용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면이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반도체 소자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제 1 프레임 부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제 2 프레임 부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열전기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반도체 소자의 제 1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반도체 소자의 제 2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의 단계 a)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의 단계 b)를 나타낸 도면이고; 및
도 9는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의 단계 c)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열전기 재료(2) 및 제 1 프레임 부품(3)을 구비한 환상의 반도체 소자(1)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은 상기 열전기 재료(2)의 내측의 원주의 표면(5) 상에 배치된다. 제 2 프레임 부품(4)은 열전기 재료(2)의 외측의 원주의 표면(6) 상에 배치된다. "제 1 프레임 부품"이라는 표현이 본원 발명에서 내측의 프레임에 대해 사용되었고, "제 2 프레임 부품"이라는 표현이 본원 발명에서 외측의 프레임 부품에 대해 사용되었을지라도, 이러한 지정은 본원 발명의 여러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반드시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외측의 원주의 표면(6)은 제 1 프레임 부품(3)과 연결된 열전기 재료(2)의 한 소자 표면(29)의 반대쪽에 위치된 상기 열전기 재료(2)의 다른 한 소자 표면(29)이다. 제 1 프레임 부품(3)은 2개의 서로 반대쪽에 위치된 표면(7)을 구비하고, 부착 표면(9)은 열전기 재료(2)와 마주하여 위치된 표면(7) 상에 형성된다. 제 1 프레임 부품(3)의 두께(8)는 양 표면(7) 사이에 형성된다. 제 2 프레임 부품(4)은 2개의 서로 반대쪽에 위치된 접촉 표면(10)을 구비하고, 상기 접촉 표면 사이에서 제 2 프레임 부품(4)의 제 1 폭(11)이 뻗어있다. 대응하는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열전기 재료(2)는 이 경우 제 1 폭(11)보다 더 작은 제 2 폭(12)을 갖는다. 제 1 프레임 부품(3)은 이에 따라 열전기 재료(2)의 측면(13)에서 상기 열전기 재료(2)를 넘는 중심선(26)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열전기 재료(2)를 넘는 대응하는 오버랩이 중심선(26)의 방향에 있어서, 제 1 프레임 부품(3)에서, 제 2 프레임 부품(4)과 관련하여 반대 방향으로 또한 형성된다.
도 2는 2개의 서로 반대쪽에 위치된 표면(7)을 갖는 환상의 제 1 프레임 부품(3)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외측의 표면(7)은 제 1 프레임 부품(3)을 열전기 재료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표면(9)을 본원 발명에서 형성한다. 제 1 프레임 부품(3)과 열전기 재료(2) 사이의 결합부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코팅(14)이 제공되고, 상기 코팅은 부착 표면(9)에 적용된다.
도 3은, 대응하는 서로 반대쪽에 위치된 표면(7)을 갖는 제 2 프레임 부품(4)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환상의 상기 제 2 프레임 부품(4)의 상기 내측의 원주의 표면은 상기 제 2 프레임 부품(4)을 열전기 재료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표면(9)을 본원 발명에서 구비한다. 본원 발명에서 홈으로 구현된 소자(16)가 도 3의 상부 부분에서 부착 표면(9) 상의 표면 구조체(15)로 도시되어 있다. 열전기 재료는 상기 홈 내로 뻗어있어, 적어도 중심선(26)의 방향으로 환상의 제 2 프레임 부품(4) 내에 고정되는 것이 보장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열전기 재료는 제 2 프레임 부품(4) 내의 홈의 양 측면에서 중심선(26)의 방향으로 뻗어있을 수 있다. 도 3의 하부 부분에서, 표면 구조체(15)가 이 경우 오프셋으로 도시된, 소자(16)로 형성되고, 이는 열전기 재료가 중심선(26)의 적어도 한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열전기 재료는 환상의 부착 표면(9)과 측방향 접촉 표면(10) 사이에 배치된다.
도 4는 다수의 반도체 소자(1)를 구비한 열전기 모듈(17)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반도체 소자(1)는 내측의 튜브(20) 둘레에 환상으로 배치되고 그리고 외측의 원주의 표면(6) 상에서 외측의 튜브(19)에 의해 둘러싸인다. 내측의 튜브(20)는 덕트(21)를 형성하고, 상기 덕트를 통해 고온의 매체(22)가 중심선(26)을 따라서 유동한다. 차가운 매체(23)가 외측의 튜브(19)의 외측의 원주의 표면상에 위치한 열전기 모듈(17) 상을 유동한다. 온도 포텐셜이 이에 따라 외측의 튜브(19)와 내측의 튜브(20) 사이에 형성되므로, 열전기 모듈(17)이 냉각 측(30) 및 고온 측(31)에 교호로 서로 전기 접속되는 반도체 소자(1)에 의한 열전기 효과에 의해 전기를 만들 수 있다. 제 2 프레임 부품(4) 및 제 1 프레임 부품(3)은 접촉 표면(10)에서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서로 접속된다.
도 5는 열전기 모듈(17)을 제공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1)의 제 1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도 1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반도체 소자(1)는 접촉 표면(10)에서 제 1 프레임 부품(3) 및 제 2 프레임 부품(4)을 통해 교호로 서로 실질적으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각각의 접촉 위치(18)를 형성한다. 대응하는 방식으로, 전기 절연부(28)는 각각의 인접한 제 1 프레임 부품(3)과 각각의 인접한 제 2 프레임 부품(4) 사이에 교호로 제공되어, 열전기 모듈(17)을 통한 대응하는 전류 경로를 만든다.
도 6은 열전기 모듈(17)을 제공하기 위한 반도체 소자(1)의 제 2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n-도프된 그리고 p-도프된 열전기 재료(2)는 제 1 프레임 부품(3) 및 제 2 프레임 부품(4)에 의해, 접촉 표면(10)을 통과하여, 전기 전도성 방식으로 서로 접촉되거나 또는 접촉 표면(10)에서 서로 절연된다. 접촉하게 되는 접촉 표면(10)은 따라서 각각의 접촉 위치(18)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차가운 매체(23)는 제 2 프레임 부품(4)에 의해 형성된, 열전기 모듈(17)의 외측의 표면상에서 상기 열전기 모듈(17) 위를 직접적으로 유동한다. 제 2 프레임 부품(4)은 링 형상부 주위에 배치되고 반경방향의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계되며, 전기 전도성으로 서로 교호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촉 표면(10)에서 전기 절연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그리고 이에 따라 완전한 외측의 튜브(19)를 형성한다. 내측의 튜브(20)는 제 1 프레임 부품(3)에 의해 열전기 모듈(17)의 내측에서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고온의 매체(22)의 유동을 지지한다. 고온의 매체(22)가 일반적으로 배기 가스이기 때문에, 고온 측(31)에서 배기 가스와 관련된 제 1 프레임 부품(3)의 전기 절연부를 분배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차가운 매체(23)를 사용할 때, 전기 절연부(28)는 제 2 프레임 부품(4) 외측에 적용될, 냉각 측(30)에 요구되어 진다. 이러한 절연부는 예를 들면, 열-수축가능한(heat-shrinkable) 슬리브로 설계될 수 있다. 외측으로 그리고 내측으로 돌출한 프레임 부품(3, 4)은 보정 부재(27)를 형성하여, 중심선(26)의 방향으로의 열전기 모듈(17)의 열 팽창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반경방향 방향(32)에서 서로에 대한 반도체 소자(1)의 변위가 또한 가능하게 된다.
도 7은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의 단계 a)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에 제 1 프레임 부품(3)이 제공된다.
도 8은 반도체 소자를 만드는 방법의 단계 b)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에서 열전기 재료(2)가 제 1 프레임 부품(3)의 부착 표면(9)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제 1 프레임 부품(3) 및 열전기 재료(2)가 형틀(24) 내에 배치된다.
도 9는 반도체 소자(1)를 만드는 단계 c)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에서 형틀(24)에 배치된 열전기 재료(2)는 램(25)에 의해 컴팩트하게 되고, 상기 램은 중심선(26)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가해진 압력에 의해 적어도 제 1 프레임 부품(3)과 완전하지 않게 연결된다. 이러한 공정 동안에, 열이 부가적으로 압축 공정에 유도될 수 있으며, 이 결과 이미 사전압축되어 있는 열전기 재료(2) 조차도 소성 유동을 개시하고 부착 표면(9)에 의해 제 1 프레임 부품(3)과 적어도 완전하지 않게 연결된다. 제 1 프레임 부품(3)과 열전기 재료(2)의 압축은 반도체 소자(1)를 제공하기 위한 이들 구성요소의 갭이 없는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제시된 발명에 의하여,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기재된 문제점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된다. 특히, 반도체 소자는 여러 다양한 사용에 적당하고 그리고 열전기 모듈이 가능한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구성되도록 특정되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종류의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한 간단한 방법이 특정된다.
1 반도체 소자 2 열전기 재료
3 제 1 프레임 부품 4 제 2 프레임 부품
5 내측의 원주의 표면 6 외측의 원주의 표면
7 표면 8 두께
9 부착 표면 10 접촉 표면
11 제 1 폭 12 제 2 폭
13 측면 14 코팅
15 표면 구조체 16 소자
17 열전기 모듈 18 접촉 위치
19 외측의 튜브 20 내측의 튜브
21 덕트 22 고온의 매체
23 차가운 매체 24 형틀
25 램 26 중심선
27 보정 부재 28 전기 절연부
29 소자 표면 30 냉각 측
31 고온 측 32 반경방향 방향

Claims (16)

  1. 서로 완전하지 않게 연결된, 적어도 열전기 재료(2)와 제 1 프레임 부품(3)을 구비한 반도체 소자(1)로서,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3)은 전기 전도체 및 상기 열전기 재료(2)용 확산 장벽을 형성하는 반도체 소자(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2 프레임 부품(4)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프레임 부품은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3)이 배치되는 소자 표면과 마주하여 놓인 상기 열전기 재료(2)의 소자 표면(29)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1).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전기 재료(2),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3) 및 상기 제 2 프레임 부품(4)은 환상이고, 그리고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3)은 내측의 원주의 표면(5) 상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 2 프레임 부품(4)은 상기 열전기 재료(2)의 외측의 원주의 표면(6)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1).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3)은 2개의 서로 반대쪽에 위치되어 이격된 표면(7)을 구비하고, 이 경우 상기 표면(7) 중 하나의 표면은 상기 열전기 재료(2)와 마주한 부착 표면(9)이며, 상기 표면(7)들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3)의 두께(8)를 형성하고, 상기 두께(8)의 범위는 0.1 mm 내지 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1).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3)은 2개의 서로 반대쪽에 위치되어 이격된 접촉 표면(10)을 구비하고, 이들 사이의 간격은 제 1 폭(11)을 형성하며, 여기서 상기 제 1 폭(11)은 상기 열전기 재료(2)의 제 2 폭(12)보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크고, 이 결과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3)은 상기 열전기 재료(2)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13)에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1).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3)은 상기 열전기 재료(2)와 마주한 부착 표면(9) 상에 적어도 배치된 코팅(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1).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팅(14)은 솔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1).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기 재료(2)와 마주한 적어도 부착 표면(9)에서, 적어도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3)은:
    - 홈,
    - 오프셋,
    - 상승부,
    - 적어도 12 ㎛의 거칠기(Rz)와 같은 소자(1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면 구조체(15)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1).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3)은 적어도 95% 중량의 니켈이나 또는 몰리브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1).
  10. 반도체 소자(1)를 만드는 방법으로서,
    a) 적어도 하나의 제 1 프레임 부품(3)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3)의 부착 표면(9) 상에 열전기 재료(2)를 배치하는 단계,
    c) 2개의 구성요소가 완전하지 않은 결합부에 진입하도록,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3)과 상기 열전기 재료(2)를 적어도 압축하는 단계를 적어도 갖는 반도체 소자(1)를 만드는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열전기 재료(2)는 단계 b)에서 부서지기 쉽거나 사전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1)를 만드는 방법.
  12. 청구항 10 또는 11에 있어서,
    단계 c)는 적어도 20℃의 온도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1)를 만드는 방법.
  13.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2개의 반도체 소자(1)를 구비하거나 또는 청구항 9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열전기 모듈(17)로서,
    상기 반도체 소자(1)는 인접한 열전기 소자(1)의 프레임 부품들이 접촉하고 그리고 이러한 접촉 위치(18)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열전기 모듈(17).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인접한 반도체 소자(1)의 프레임 부품들은 접촉 표면(10)에서 각각의 경우에 접촉된 상태이고 이러한 접촉 위치(18)에서 서로 실질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기 모듈(17).
  15. 청구항 13 또는 14에 있어서,
    적어도 제 1 프레임 부품(3)은 보정 부재(27)를 형성하고, 이 결과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반도체 소자(1)가 적어도 하나의 평면에서 서로에 대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기 모듈(17).
  16. 청구항 13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1 프레임 부품(3)은 열 전도성 방식으로 고온의 매체(22)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적어도 상기 제 2 프레임 부품(4)은 열 전도성 방식으로 전기 절연부(28) 만을 통해 차가운 매체(23)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기 모듈(17).
KR1020137005685A 2010-08-23 2011-08-22 열전기 모듈용 반도체 소자 및 상기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 KR101523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35151.2 2010-08-23
DE102010035151A DE102010035151A1 (de) 2010-08-23 2010-08-23 Halbleiterelement für ein thermoelektrisches Modu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CT/EP2011/064350 WO2012025475A2 (de) 2010-08-23 2011-08-22 Halbleiterelement für ein thermoelektrisches modu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937A true KR20130073937A (ko) 2013-07-03
KR101523445B1 KR101523445B1 (ko) 2015-05-27

Family

ID=4458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5685A KR101523445B1 (ko) 2010-08-23 2011-08-22 열전기 모듈용 반도체 소자 및 상기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56216B2 (ko)
EP (1) EP2619811B1 (ko)
JP (1) JP5890414B2 (ko)
KR (1) KR101523445B1 (ko)
CN (1) CN103180984B (ko)
DE (1) DE102010035151A1 (ko)
RU (1) RU2563550C2 (ko)
WO (1) WO201202547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103968A1 (de) * 2012-05-07 2013-11-07 Emitec Gesellschaft Für Emissionstechnologie Mbh Halbleiterelement für ein thermoelektrisches Modul und thermoelektrisches Modul
US9831411B2 (en) 2013-05-13 2017-11-28 Mahle International Gmbh Thermoelectric module
DE102013208764A1 (de) * 2013-05-13 2014-11-13 Behr Gmbh & Co. Kg Thermoelektrisches Modul
DE102013219541B4 (de) * 2013-09-27 2019-05-09 Evonik Degussa Gmbh Verbessertes Verfahren zur pulvermetallurgischen Herstellung thermoelektrischer Bauelemente
US9246075B2 (en) 2014-03-27 2016-01-2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ubular thermoelectric generation device
WO2016090603A1 (zh) * 2014-12-11 2016-06-16 厦门兰智科技有限公司 一种用非均匀掺杂半导体作为电臂的热电转换装置
FR3041156B1 (fr) * 2015-09-15 2018-03-23 Valeo Systemes Thermiques Module et dispositif thermo electriques, notamment destines a generer un courant electriqu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PL3196951T3 (pl) 2016-01-21 2019-07-31 Evonik Degussa Gmbh Racjonalny sposób wytwarzania elementów termoelektrycznych za pomocą metalurgii proszkowej
WO2018038285A1 (ko) * 2016-08-23 2018-03-01 희성금속 주식회사 열전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열전모듈
RU2732821C2 (ru) * 2018-03-01 2020-09-22 Российская Федерация от имени которой выступа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по атомной энергии "Росатом" Трубчатый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ий модуль
KR102383438B1 (ko) * 2018-06-26 2022-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전 변환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
US10978630B1 (en) * 2019-10-01 2021-04-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for controlling localized heating and cooling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4840A (en) * 1958-05-06 1962-09-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Thermopile
US3304206A (en) * 1961-05-22 1967-02-14 Robert E Burdick Thermoelectric converter module
US3201504A (en) * 1961-10-16 1965-08-17 Carrler Corp Method of making a thermo-electric couple
US3261079A (en) * 1962-09-10 1966-07-19 Texas Instruments Inc Fabrication of thermoelectric apparatus
SU169620A1 (ru) * 1963-05-29 1965-06-23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рубчатой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ой батареи
US3496028A (en) * 1965-11-18 1970-02-17 Minnesota Mining & Mfg Thermoelectric generator apparatus
US3547706A (en) * 1967-04-21 1970-12-15 Teledyne Inc Junction assembly for thermocouples
US3707429A (en) * 1970-01-20 1972-12-26 North American Rockwell Thermoelectric element
US3880674A (en) * 1970-01-20 1975-04-29 Rockwell International Corp Thermoelectric elements and devices and process therefor
US3859143A (en) * 1970-07-23 1975-01-07 Rca Corp Stable bonded barrier layer-telluride thermoelectric device
US3988171A (en) * 1971-06-07 1976-10-26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Bonded electrical contact for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
GB1464843A (en) * 1975-01-09 1977-02-16 Markman M A Tubular thermoelectric generator module
US4828627A (en) * 1987-09-02 1989-05-09 Living Water Corporation Thermoelectric module optimized for low temperature difference
JP2537574Y2 (ja) * 1990-07-02 1997-06-04 京セラ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モジュール
US5429680A (en) * 1993-11-19 1995-07-04 Fuschetti; Dean F. Thermoelectric heat pump
JPH0936437A (ja) * 1995-07-14 1997-0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熱電変換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2775410B2 (ja) * 1995-07-24 1998-07-16 工業技術院長 熱電発電モジュール
JPH0951126A (ja) * 1995-08-09 1997-02-18 Saamobonitsuku:Kk 熱電変換装置
JPH0974227A (ja) * 1995-09-07 1997-03-18 Mitsubishi Materials Corp 熱電モジュールの組み立て方法
US5817188A (en) * 1995-10-03 1998-10-06 Melcor Corporation Fabrication of thermoelectric modules and solder for such fabrication
JP2896496B2 (ja) * 1996-06-27 1999-05-31 科学技術庁航空宇宙技術研究所長 熱電変換装置
JP2000073754A (ja) * 1998-08-26 2000-03-07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排熱回収装置
JP4284589B2 (ja) * 2003-01-16 2009-06-24 ソニー株式会社 熱電半導体の製造方法、熱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及び熱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
JP4305252B2 (ja) * 2004-04-02 2009-07-29 株式会社デンソー 排熱回収装置
JP2006109539A (ja) * 2004-09-30 2006-04-20 Toyota Motor Corp 熱発電装置
RU2007114911A (ru) * 2004-11-02 2008-10-27 Сова Денко К.К. (Jp) Модуль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термоэлектр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генерации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и способ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истема утилизации тепла выхлопных газов, система утилизации солнечного тепла и система охлаждения на основе эффекта пельтье
JP2006294738A (ja) * 2005-04-07 2006-10-26 Hitachi Metals Ltd 管状熱電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熱電変換装置並びに管状熱電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4728745B2 (ja) * 2005-08-29 2011-07-20 株式会社東芝 熱電素子デバイス及び熱電モジュール
DE102006039024A1 (de) * 2006-08-19 2008-02-21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Thermogenerator
US20080245397A1 (en) * 2007-04-04 2008-10-09 Marlow Industries, Inc.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moelectric Devices
DE102008005694B4 (de) * 2008-01-23 2015-05-0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hermoelektrischen Bauelementes
US9214618B2 (en) * 2008-09-18 2015-12-15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iniature thermoelectric power generator
CN201408783Y (zh) * 2008-10-31 2010-02-17 中国科学院上海硅酸盐研究所 一种碲化铋基热电发电器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3445B1 (ko) 2015-05-27
DE102010035151A1 (de) 2012-02-23
CN103180984B (zh) 2017-03-08
WO2012025475A3 (de) 2012-04-19
RU2013112786A (ru) 2014-09-27
RU2563550C2 (ru) 2015-09-20
US9356216B2 (en) 2016-05-31
EP2619811B1 (de) 2015-06-24
WO2012025475A2 (de) 2012-03-01
JP2013539599A (ja) 2013-10-24
CN103180984A (zh) 2013-06-26
US20130160807A1 (en) 2013-06-27
JP5890414B2 (ja) 2016-03-22
EP2619811A2 (de)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445B1 (ko) 열전기 모듈용 반도체 소자 및 상기 반도체 소자를 만들기 위한 방법
KR101308257B1 (ko) 열전기 장치
JP5984200B2 (ja) 熱電材料を用いた熱電発電装置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CN103403897B (zh) 具有导热层的热电模块
KR101687442B1 (ko) 실링 부재를 구비한 차량의 열전기 발생기용 열전기 모듈
JP5918268B2 (ja) 熱膨張を補償するための手段を有する熱電モジュール
US9293679B2 (en) Thermoelectric module for a thermoelectric generator of a vehicle and vehicle having thermoelectric modules
CN105283973A (zh) 热电模块
JP6161688B2 (ja) 熱電モジュール用の半導体素子および熱電モジュール
KR101534418B1 (ko) 차량의 열전기 발생기용 열전기 모듈
US10236430B2 (en) Thermoelectric module
KR20160143716A (ko) 특히 자동차에서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열전 장치 및 열전 모듈
JP2018093152A (ja) 熱発電デバイス
EP3442039A1 (en) Thermoelectric conversion module and thermoelectric conversion element
JP2015162511A (ja) 熱電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