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897A -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897A
KR20130072897A KR1020110140517A KR20110140517A KR20130072897A KR 20130072897 A KR20130072897 A KR 20130072897A KR 1020110140517 A KR1020110140517 A KR 1020110140517A KR 20110140517 A KR20110140517 A KR 20110140517A KR 20130072897 A KR20130072897 A KR 20130072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vehicle control
input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묵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0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2897A/ko
Publication of KR20130072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3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manual input of alphanumerical 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계기판과 차량제어장치 사이의 CAN통신을 통해 패스워드 락 상태이고 계기판과 차량제어장치 사이의 CAN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차량제어장치가 조그셔틀과 CAN통신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조그셔틀로부터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CAN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제어장치에 제공되는 단계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판단 결과 패스워드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차량제어장치에 의해 스타터릴레이의 잠금이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METHOD FOR INPUTTING PASSWORD IN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장비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건설장비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패스워드 락을 설정한 상태에서 계기판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없는 경우 캐빈 내부의 조그셔틀 또는 디지털 입력버튼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는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장비는 매우 고가로서 도난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건설장비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설장비에는 차량제어장치를 통하여 패스워드 락을 설정한 상태에서 키 오프 후 키 온 시에는 계기판을 통하여 비밀번호가 입력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비밀번호와 차량제어장치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해야만 엔진의 시동이 구동되도록 하는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비밀번호 입력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조그셔틀(1)은 일정주기로 각각의 버튼 및 조그의 위치값을 CAN통신을 통해 출력하고, 계기판(2)은 상기 신호를 제공받아 조그셔틀(1)의 버튼 입력 및 조그의 회전상태를 판별한다. 여기서, 상기 조그의 위치값은 엔코더 출력값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계기판(2)은 CAN통신을 통해 제공받은 값을 비교하여 조그가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전하였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계기판(2)의 비밀번호 입력화면에 있는 숫자를 조그를 이용하여 위치시키고 조그를 누르면 계기판(2)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조그를 이용하여 입력된 비밀번호의 일치 여부를 검토한 후,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이를 CAN통신을 통하여 차량제어장치(3)에 제공하여 스타터릴레이(4)가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차량제어장치(3)는 패스워드 락 상태에서는 엔진의 스타터릴레이(4)의 동작을 구동시키는 스위치(5)의 동작을 제어하여 계기판(2)으로부터 비밀번호 일치신호가 제공되는 경우에만 스타터릴레이(4)가 동작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은, 사용자가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패스워드 락을 설정한 상태에서 스타터아세이(6)를 통하여 키 온 후 계기판(2)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패스워드 락이 해제되고 이어서, 스타터릴레이(4)가 동작되도록 하기 때문에, 계기판(2)이 파손되는 등의 다양한 문제로 차량제어장치(3)와 CAN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엔진을 구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제 건설장비가 있는 작업 현장까지 A/S 인력이 방문해야 하며 만약 그 작업 현장이 쉽게 방문하기 힘든 오지인 경우에는 방문에 걸리는 시간만큼 건설장비의 작업 중단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또한, 방문 비용도 많이 소요되어 건설장비의 A/S를 제공해 주는 애프터서비스 제공회사나 장비 제조사의 불편함이 적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건설장비의 계기판을 이용하지 않고 차량제어장치가 캐빈 내부의 조그셔틀 또는 디지털 입력버튼으로부터 비밀번호를 입력받도록 할 수 있는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계기판과 차량제어장치 사이의 CAN통신을 통해 패스워드 락 상태이고 계기판과 차량제어장치 사이의 CAN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차량제어장치가 조그셔틀과 CAN통신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조그셔틀로부터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CAN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제어장치에 제공되는 단계;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판단 결과 패스워드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차량제어장치에 의해 스타터릴레이의 잠금이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계기판과 차량제어장치 사이의 CAN통신을 통해 패스워드 락 상태이고 계기판과 차량제어장치 사이의 CAN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차량제어장치가 캐빈에 구비된 디지털 버튼과 CAN통신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버튼으로부터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CAN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제어장치에 제공되는 단계;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판단 결과 패스워드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차량제어장치에 의해 스타터릴레이의 잠금이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건설장비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패스워드 락을 설정한 상태에서 계기판을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없는 경우 캐빈 내부의 조그셔틀 또는 디지털 입력버튼을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2의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조그셔틀과 디지털 입력버튼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의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과 도 4는 각각 도 2의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에 있어서 조그셔틀과 디지털 입력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은, 계기판(20)과 차량제어장치(30) 사이에 패스워드 락이 설정된 상태에서 계기판(20)과의 CAN통신 불가능시 차량제어장치(30)에 CAN통신을 통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는 조그셔틀(10)과, 계기판(20)과 차량제어장치(30) 사이에 패스워드 락이 설정된 상태에서 계기판(20)과의 CAN통신 불가능시 조그셔틀(10)로부터 직접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이를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비교하고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스타터릴레이(40)의 동작을 위한 스위치(50)를 동작시켜 스타터 어셈블리(60)를 통한 키 온 동작시 엔진이 구동되도록 하는 차량제어장치(3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은, 상기 계기판(20)의 파손이나 고장 등으로 인하여 계기판(20)과 조그셔틀(10) 또는 계기판(20)과 차량제어장치(30) 사이의 주기적인 CAN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조그셔틀(10)로부터 차량제어장치(30)에 직접 CAN통신을 통해 비밀번호가 제공하기 위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그셔틀(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설장비의 운전실 또는 캐빈의 내부에 구비되어 건설장비의 작업모드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들이 집중 배치되고 Jog & Shuttle을 이용하여 간편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합 조작 스위치로, 복수개의 입력버튼, 보다 바람직하게는, 5개의 가압식 버튼과 1개의 가압/회전식 버튼(또는 조그(jog))으로 구성되어 해당 버튼의 동작에 따라 특정 번호가 입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조그셔틀(10)은, 상기 가압식 버튼 '11' 버튼의 가압시에는 '1'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하고, 가압식 버튼 '12' 버튼의 가압시에는 '2'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하며, 가압식 '13' 버튼의 가압시에는 '3'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가압식 '14' 버튼의 입력시에는 '4'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하고, 가압식 '15' 버튼의 입력시에는 '5'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가압/회전식 버튼 '16'과 가압식 버튼 '11' 버튼의 동시 가압시에는 '6'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회전식 버튼 '16'과 가압식 버튼 '12' 버튼의 동시 가압시에는 '7'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가압/회전식 버튼 '16'과 가압식 버튼 '13' 버튼의 동시 가압시에는 '8'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하고, 상기 가압/회전식 버튼 '16'과 가압식 버튼 '14' 버튼의 동시 가압시에는 '9'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하며, 상기 가압/회전식 버튼 '16'과 가압식 버튼 '15' 버튼의 동시 가압시에는 '0'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식 버튼 '11', '13', '14' 및 '15'의 동시 가압시 차량제어장치(30)의 제어에 의해 조그셔틀(10)의 LED가 점등상태가 되고 조그셔틀(10)은 비밀번호 입력모드로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조그셔틀(10)에 의하면, 상기 계기판(20)의 파손이나 고장 등으로 인하여 계기판(20)과 조그셔틀(10) 또는 계기판(20)과 차량제어장치(30) 사이의 주기적인 CAN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차량제어장치(30)의 제어에 의해 조그셔틀(10)에 패스워드 락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가 0.5초 주기의 LED 점멸을 통해 제공되고 상기 가압식 버튼 '11', '13', '14' 및 '15'의 동시 가압에 의한 비밀번호 입력시작 신호가 들어오면 조그셔틀(10)은 비밀번호 입력모드로 전환되어, 계기판(20)을 통해 미리 설정해둔 비밀번호를 상기와 같은 조합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그셔틀(10)이 캐빈 내부에 구비되지 않은 건설장비의 경우, 캐빈 내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디지털 입력버튼(10-1)을 통하여 상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비밀번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건설장비에 조그셔틀(10)이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계기판(20)과 차량제어장치(30)가 CAN통신 불가능 상태시에는, 먼저, 차량제어장치(30)로부터 Back Buzzer를 미리 정해진 규약에 따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패스워드 락 상태임을 인지시킨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디지털 입력버튼(10-1)을 이용하여 비밀번호 입력모드로 전환되도록 한 후 계기판(20)을 통해 미리 설정해둔 비밀번호를 상기와 같은 조합을 통하여 해당 값을 발생시킴으로써,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디지털 입력버튼(10-1)의 조작에 따른 숫자의 입력은, 좌측레버(11-1)를 조작하여 비밀번호 입력모드에 대한 응답한다. 이후, 다이얼(12-1)을 최소로 회전시켜 'No Shift'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우측레버(13-1)를 조작하여 '1'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하고, 다이얼(12-1)을 최소로 회전시켜 'No Shift'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동작버튼 중 임의로 할당된 '14-1'버튼을 가압시켜 '2'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하며, 다이얼(12-1)을 최소로 회전시켜 'No Shift'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동작버튼 중 임의로 할당된 '15-1'버튼을 가압시켜 '3'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다이얼(12-1)을 최소로 회전시켜 'No Shift'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동작버튼 중 임의로 할당된 '16-1'버튼을 가압시켜 '4'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하고, 다이얼(12-1)을 최소로 회전시켜 'No Shift'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동작버튼 중 임의로 할당된 '17-1'버튼을 가압시켜 '5'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한다. 이어서, 다이얼(12-1)을 최대로 회전시켜 'Shift'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우측레버(13-1)를 조작하여 '6'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하고, 다이얼(12-1)을 최대로 회전시켜 'Shift'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동작버튼 중 임의로 할당된 '14-1'버튼을 가압시켜 '7'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하며, 다이얼(12-1)을 최대로 회전시켜 'Shift'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동작버튼 중 임의로 할당된 '15-1'버튼을 가압시켜 '8'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다이얼(12-1)을 최대로 회전시켜 'Shift'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동작버튼 중 임의로 할당된 '16-1'버튼을 가압시켜 '9'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하고, 다이얼(12-1)을 최대로 회전시켜 'Shift'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복수개의 동작버튼 중 임의로 할당된 '17-1'버튼을 가압시켜 '0'에 대응된 값이 차량제어장치(30)에 제공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디지털 입력버튼(10-1)에 의하면, 상기 계기판(20)의 파손이나 고장 등으로 인하여 계기판(20)과 차량제어장치(30) 사이의 주기적인 CAN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차량제어장치(30)의 제어에 의해 비밀번호 입력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계기판(20)을 통해 미리 설정해둔 비밀번호를 상기와 같은 조합을 통하여 해당 값을 발생시킴으로써, 비밀번호의 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차량제어장치(30)는, 계기판(20)과 차량제어장치(30) 사이에 패스워드 락이 설정된 상태에서 계기판(20)과의 CAN통신 불가능시 조그셔틀(10) 또는 복수개의 디지털 입력버튼(10-1)과의 상기와 같은 프로토콜을 통하여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제공받아 이를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와 비교하고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스타터릴레이(40)의 동작을 위한 스위치(50)를 동작시켜 스타터 어셈블리(60)를 통한 키 온 동작시 엔진이 구동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차량제어장치(30)는, 캐빈에 조그셔틀(10)이 구비되는 경우, 패스워드 락 상태에서 스타터 어셈블리(60)를 통해 키 온 동작이 발생하였는데, 계기판(20)과의 CAN통신 불가능 신호가 감지되면, 조그셔틀(10)의 LED를 0.5초 주기로 점멸시켜 사용자에게 현재 패스워드 락 상태이기 때문에 엔진시동이 불가능하므로, 사용자로부터 조그셔틀(10)을 통한 비밀번호 입력모드 전환 후 비밀번호 입력시 입력된 비밀번호를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한 후 일치하는 경우에는 조그셔틀(10)의 LED를 소등하고 이후의 입력에 대해서는 무시하며 그 후, 스타터릴레이(40)가 동작하도록 스위치(50)를 작동시킨다.
한편, 차량제어장치(30)는, 캐빈에 조그셔틀(10)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패스워드 락 상태에서 스타터 어셈블리(60)를 통해 키 온 동작이 발생하였는데, 계기판(20)과의 CAN통신 불가능 신호가 감지되면, Back Buzzer를 미리 정해진 규약에 따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패스워드 락 상태임을 인지시키고, 복수개의 디지털 입력버튼(10-1)을 이용하여 비밀번호 입력모드로 전환 및 계기판(20)을 통해 미리 설정해둔 비밀번호를 상기와 같은 조합을 통하여 해당 값을 발생시키도록 한 후, 이를 미리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한 후 일치하는 경우에 스타터릴레이(40)가 동작하도록 스위치(5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차량제어장치(30)에 의하면, 계기판(20)과 차량제어장치(30) 사이에 패스워드 락이 설정된 상태에서 계기판(20)과의 CAN통신 불가능시 조그셔틀(10) 또는 복수개의 디지털 입력버튼(10-1)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른 비밀번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의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을 나타낸 제어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은, 먼저, 차량제어장치(30)는, 건설장비가 계기판(20)과 차량제어장치(30) 사이의 CAN통신을 통해 패스워드 락 상태이고(S100), 계기판(20)과 차량제어장치(30) 사이의 CAN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면(S105), 조그셔틀(10)과 CAN통신을 시작한다(S110).
이후, 차량제어장치(30)는, 조그셔틀(10)의 LED를 0.5초 주기로 점멸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패스워드 락 상태임을 인지하도록 한다(S115). 이후, 차량제어장치(30)는, 조그셔틀(10)로부터 입력되는 버튼들의 입력값을 저장하고(S120), 상기 입력값이 비밀번호 입력모드 전환을 위한 비밀번호 입력시작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125).
만약, 상기 S125단계의 판단결과 조그셔틀(10)로부터 비밀번호 입력시작 신호가 입력되면, 차량제어장치(30)는, 조그셔틀(10)의 LED를 점등함과 동시에 조그셔틀(10)과 CAN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비밀번호 입력 준비 상태로 인식하도록 하여 비밀번호 입력이 시작되도록 하며, 각각의 비밀번호의 자리수에 해당되는 변수를 i=0으로 설정한다(S130). 이후, 차량제어장치(30)는, 조그셔틀(10)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버튼의 입력값을 해당 자리수에 대응된 번지인 n번지에 저장하고(S135), 다음 자리수에 대응된 해당 버튼의 입력값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조그셔틀(10)의 가압/회전식 버튼의 위치 상태가 가변되었는지 여부를 이전 값과 비교하며(S140), 상기 S140단계의 판단결과 가압/회전식 버튼이 회전하였으면(S145), 다음 자리수에 대응된 변수를 i++로 증가시킴과 동시에 해당 자리수에 대응된 입력값이 저장될 번지를 n=n+1로 설정하고(S150), 가압/회전식 버튼이 회전하지 않았으면 S135단계로 진행한다.
이후, 차량제어장치(30)는, 상기 S135단계 내지 S150단계를 통하여 모든 자리수의 비밀번호에 대응된 입력값의 입력이 완료된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조그셔틀(10)의 가압/회전식 버튼이 3초 이상 가압된 상태인가를 판단한다(S155).
이후, 차량제어장치(30)는, 상기 S155단계의 판단결과 비밀번호 입력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S135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S155단계의 판단결과 비밀번호 입력이 완료되었으면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패스워드와 상기 입력 완료된 비밀번호를 비교한다(S160). 이후, 차량제어장치(30)는, 상기 S160단계의 비교결과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S165), 조그셔틀(10)의 LED를 소등함과 동시에 이후의 조그셔틀(10)로부터 발생되는 입력을 무시하고(S170), 이어서, 엔진의 시동이 구동되도록 스위치(50)를 제어하여 스타터릴레이(40)의 동작 중지 상태를 해제한다(S175).
만약, 상기 S165단계의 판단결과 비밀번호와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으면, 차량제어장치(30)는, 3초 동안 조그셔틀(10)의 LED를 0.5초 오프/0.5초 온 점멸 지령 출력 후 LED를 점등시켜 사용자에게 이와 같은 정보를 인지시킨 후(S180), 새로운 비밀번호가 입력 저장될 수 있도록 비밀번호가 저장될 번지를 n=n-i로 초기화 시키고(S185), 이어서 비밀번호의 자리수에 대한 변수를 i=0으로 초기화 시킨 후(S190), 상기 S135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은, 건설장비의 캐빈에 조그셔틀이 구비된 것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조그셔틀 대신에 복수개의 디지털 입력버튼을 통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비밀번호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분명한 사실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조그셔틀 20 : 계기판
30 : 차량제어장치 40 : 스타터릴레이
50 : 스위치 60 : 스타터 어셈블리

Claims (4)

  1.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에 있어서,
    계기판과 차량제어장치 사이의 CAN통신을 통해 패스워드 락 상태이고 계기판과 차량제어장치 사이의 CAN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차량제어장치가 조그셔틀과 CAN통신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조그셔틀로부터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CAN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제어장치에 제공되는 단계;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판단 결과 패스워드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차량제어장치에 의해 스타터릴레이의 잠금이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셔틀로부터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CAN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제어장치에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상기 조그셔틀을 통해 사용자에게 패스워드 락 상태임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조그셔틀의 입력값이 비밀번호 입력모드 전환을 위한 입력값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비밀번호 입력모드 전환을 위한 입력값인 경우 이후 조그셔틀로부터의 입력값을 기 설정된 비밀번호의 자리수에 대응된 번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
  3.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에 있어서,
    계기판과 차량제어장치 사이의 CAN통신을 통해 패스워드 락 상태이고 계기판과 차량제어장치 사이의 CAN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차량제어장치가 캐빈에 구비된 디지털 버튼과 CAN통신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버튼으로부터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CAN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제어장치에 제공되는 단계;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상기 입력된 비밀번호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를 비교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판단 결과 패스워드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차량제어장치에 의해 스타터릴레이의 잠금이 해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버튼으로부터 비밀번호가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CAN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제어장치에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백 부저(back buzzer)를 통해 사용자에게 패스워드 락 상태임을 알리는 단계;
    상기 차량제어장치가 디지털 버튼의 입력값이 비밀번호 입력모드 전환을 위한 입력값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비밀번호 입력모드 전환을 위한 입력값인 경우 이후 디지털 버튼으로부터의 입력값을 기 설정된 비밀번호의 자리수에 대응된 번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
KR1020110140517A 2011-12-22 2011-12-22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 KR20130072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517A KR20130072897A (ko) 2011-12-22 2011-12-22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517A KR20130072897A (ko) 2011-12-22 2011-12-22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897A true KR20130072897A (ko) 2013-07-02

Family

ID=4898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517A KR20130072897A (ko) 2011-12-22 2011-12-22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28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8995A (zh) * 2014-11-10 2015-04-22 安徽省新方尊铸造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电子密码锁技术的电动车充电插板
KR20210014488A (ko) * 2019-07-30 2021-0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제어모드 조작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38995A (zh) * 2014-11-10 2015-04-22 安徽省新方尊铸造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电子密码锁技术的电动车充电插板
KR20210014488A (ko) * 2019-07-30 2021-0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제어모드 조작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798B1 (ko) 세탁기의 세탁 시간 조절 장치 및 방법
US20090231094A1 (en) Multiple vehicle remote keyless entry apparatus
CN104340175A (zh) 车辆控制装置和车辆控制方法
EP26288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quickly turning on and activating a household appliance belonging to the white good category
CN108570795A (zh) 一种洗衣机的远程控制方法
EP2862972B1 (en)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control system
KR20130072897A (ko) 건설장비의 비밀번호 입력방법
CN108572565A (zh) 一种洗衣机的远程控制方法
JP3350804B2 (ja) 車両遠隔操作用の携帯可能な手持ち送信機の操作方法
CN103593890A (zh) 遥控锁启系统及方法、以及工程机械
CN110549800B (zh) 一种单按键的胎压显示器的功能控制方法
KR100933186B1 (ko) 차량 리프트용 리모컨의 페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048828A1 (en) Keyless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JP5346840B2 (ja) 射出成形機の段取支援方法及び装置
US20100217940A1 (en) Centrifugal separator
US9565739B2 (en) Lamp control device of construction machine and lamp control method therefor
JP5036511B2 (ja) ドア用施解錠装置
JP2007135325A (ja) 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パラメータ設定方法
KR20150074781A (ko) 세탁기의 운전 상태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0728581B1 (ko) 디지털 도어록의 상태 표시를 위한 다색 발광 제어방법
JP5009211B2 (ja) 調節計
KR20060091618A (ko) 차량의 오디오를 이용한 림프홈 기능 구현방법
EP2336641B1 (en) A clock timer for a domestic appliance
JP4523262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装置
KR100499489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