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2404A - 휘도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재귀반사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휘도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재귀반사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2404A
KR20130072404A KR1020110139797A KR20110139797A KR20130072404A KR 20130072404 A KR20130072404 A KR 20130072404A KR 1020110139797 A KR1020110139797 A KR 1020110139797A KR 20110139797 A KR20110139797 A KR 20110139797A KR 20130072404 A KR20130072404 A KR 20130072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etroreflective structure
acrylate
adhesive
cube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6935B1 (ko
Inventor
한태훈
문병율
김도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935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05Production of reflex r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입방체 코너, 상기 입방체 코너에 형성되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과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 중 하나에 형성되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재귀반사구조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휘도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재귀반사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RETRO-REFLECTION STRUCTURE FOR IMPROVING LUMINANCE AND DURABILITY AND PROCESS METHOD}
본 발명은 고휘도와 외부 환경에 대한 내구성이 강한 재귀반사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휘도 재귀반사 필름은 프리즘 구조를 가지며, 프리즘을 형성하는 고분자 물질과 공기 사이의 굴절율 차이로 생기는 전반사 원리를 이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재귀반사 필름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기판(100)에 재귀반사체(300)가 형성되고, 지지대(400)를 군데 군데 세워주어, 제2 기판(200)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접착시키고 있다. 이 구조에서 재귀반사체(300)와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 사이에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부분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지대(400)응 빛이 닿을 경우 재귀반사가 나타나지 않아 휘도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프리즘 패턴이 시간이 지날수록 망가져 내구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프리즘 패턴 위에 반사물질을 코팅하고 다른 고분자로 채운 구조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제조 공정이 비싸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간단하면서도 내구성이 보장되고, 휘도 감소를 줄일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입방체 코너와 기판 사이에 지지대를 제거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하면서 내구성이 보장되고, 휘도 감소를 줄일 수 있는 휘도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재귀반사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구조체는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입방체 코너, 상기 입방체 코너에 형성되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과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 중 하나에 형성되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은 탄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유리섬유 강화된 비닐 필름,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은 알루미늄, 은, 니켈, 주석, 구리, 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방체 코너는 굴절률이 1.4 이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방체 코너는 요철 패턴, 프리즘 패턴 또는 원뿔 패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방체 코너는 상기 접착제 위에 형성된 상기 반사층과 접착되는 영역을 기준평면보다 큰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상기 입방체 코너와 공기층이 맞닿는 영역 또는 상기 입방체 코너와 상기 접착제가 맞닿는 영역을 감싸도록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은 접착물질층 내에 금속 반사물질이 혼합된 구조이거나 또는 접착물질층 표면에 금속 반사물질층이 코팅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ethylhexyl) 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isononyl)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isodecyl) 아크릴레이트, 데실 아크릴레이트, 로릴(lauryl)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옥사데실 아크릴레이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코닉산(itaconic acid), n-비닐 파이로리딘(nvinyl pyrrolidine), n-비닐 카프로락탐(caprolactam), N, N 디메틸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치환된 아크릴아미드(substituted acrylamides), N-비닐-2-파이로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아크릴로니트릴, 이소보닐(isobornyl)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퍼릴(tetrahydrofurfuryl)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glycidyl) 아크릴레이트, 2-펜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2-phenoxyethylacrylate), 벤질아크릴레이트(benzylacrylate),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입방체 코너를 형성하고, 상기 입방체 코너에 반사층을 형성하며, 상기 반사층과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 중 하나에 접착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방체 코너와 기판 사이에 지지대를 제거함으로써, 지지대 부분의 휘도 감소를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를 형성하는 공정을 줄일 수 있어 제조 공정이 단순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방체 코너 각각이 기판과 접합되도록 입방체 코너에 반사층과 접착제를 코팅하는 구조를 만들어, 내구성이 강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에서 충격으로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국소 부위만 타격을 입게 되므로 휘도 감소가 적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반사층에 반사 물질을 코팅함으로써, 접착 수지를 채우는 방법보다 재료비가 저렴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재귀반사 필름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구조체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구조체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구조체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재귀반사구조체는 제1 기판(100), 제2 기판(200), 입방체 코너(300), 반사층(500) 및 접착제(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제1 기판(100) 또는 제2 기판(200)은 탄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판(100) 또는 제2 기판(200)은 약 25,000 psi(172 MPa) 미만인 충전제를 사용함으로써 시트형 재료 물품의 가요성을 촉진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유리섬유 강화된 비닐 필름,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은 알루미늄, 은, 니켈, 주석, 구리 또는 금,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고, 또는 복수층의 유전체 스택과 같은 비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은 원하는 필름의 종류에 따라서, 진공 증착, 스퍼터링, 화학적 증착(CVD), 플라스마 지원형 CVD, 무전해 적층 등과 같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적층 기술을 이용하여 도포할 수 있다.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은 본체층, 장벽층, 보호용 오버코트층에의 점착성을 증진시키는 층들을 비롯하여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MMA(PolyMethly MethaAcrylate)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입방체 코너(300)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입방체 코너(300)는 굴절율이 1.4 이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로, 입방체 코너(300)는 요철 패턴, 프리즘 패턴 또는 원뿔 패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방체 코너(300)는 횡단면의 형상이 반원, 다각형, 렌티큘러(Lenticular)형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입방체 코너(300)는 접착제(600) 위에 형성된 반사층(500)과 접착되는 영역을 기준평면보다 큰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방체 코너(300)는 반사층(500)과 맞닿는 영역을 점이나 선보다 큰 영역을 갖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준평면은 입방체 코너(300)와 반사층(500) 간의 접착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입방체 코너(300)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우레탄, 폴리니트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입방체 코너(300)는 재귀 반사 효율을 열화시키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광선이 전파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히 투명한 충전제(filler)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충전제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과도 강한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전제는 입방체 코너(300)을 모두 덮는 실질적으로 연속한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충전제는 불연속적일 수 있고, 그물망 같은 접합재(network of bonds)에 의해 직접 에워싸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충전제는 입방체 코너(300)가 제1 기판(100), 제2 기판(200) 및 반사층(500)과 더 강한 직접적인 접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연속적인 충전제 층의 실시예는 충전제가 가교 결합에 의해 굳기 전에 충전제가 어느 하나의 입방체 코너 공동으로부터 다른 하나로까지 유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에는 재귀반사체(300)와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 사이를 지지해주는 지지대(400)가 필요하였다. 그러나, 지지대(400)는 빛이 닿을 경우 재귀반사가 나타나지 않아 휘도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재귀반사체(300)의 패턴이 시간이 지날수록 망가져 내후성이 보장되지 않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400)를 없애 제조 공정을 간단하게 하면서, 내구성이 강한 재귀반사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재귀반사구조체는 제1 기판(100)에 입방체 코너(300)를 형성하고, 제2 기판(200)에 반사 물질이 섞여있는 반사층(500)을 코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귀반사구조체는 반사층(500)과 제1 기판(100) 또는 제2 기판(200) 중 하나를 접착제(600)로 접착시킴으로써, 반사층(500)과 제1 기판(100) 또는 제2 기판(200) 사이를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재귀반사구조체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입방체 코너(300)와 공기층(700)과의 굴절율 차이로 전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귀반사구조체는 반사층(500)에 반사 물질을 섞어주어 입방체 코너(300)의 끝부분이 접착제(600)와 맞닿아도 트랩없이 반사 물질에 의해 빛이 반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입방체 코너(300)에 형성되는 반사층(500)과, 반사층(500)과 제1 기판(100) 또는 제2 기판(200) 중 하나에 형성되는 접착제(600)를 상기 재귀반사구조체에 포함시킨다.
반사층(500)은 입방체 코너(300)와 공기층(700)이 맞닿는 영역 또는 입방체 코너(300)와 접착제(600)가 맞닿는 영역을 감싸도록 코팅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반사층(500)이 입방체 코너(300)와 공기층(700)이 맞닿는 영역과 입방체 코너(300)와 접착제(600)가 맞닿는 영역을 모두 감싸도록 코팅될 수 있다.
실시예로, 반사층(500)은 접착물질층 내에 금속 반사물질이 혼합된 구조이거나, 또는 접착물질층 표면에 금속 반사물질층이 코팅된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물질은 알루미늄, 구리, 은, 금, TiO2, CaCO3, BaSO4, Al2O3, Silicon, PS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반사층(500)은 굴절율이 1.0~1.4일 수 있다.
접착제(600)는 반사층(500)과 제1 기판(100) 또는 제2 기판(200) 중 하나에 형성한다.
실시예로, 접착제(600)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ethylhexyl) 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isononyl)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isodecyl) 아크릴레이트, 데실 아크릴레이트, 로릴(lauryl)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옥사데실 아크릴레이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접착제(600)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코닉산(itaconic acid), n-비닐 파이로리딘(nvinyl pyrrolidine), n-비닐 카프로락탐(caprolactam), N, N 디메틸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치환된 아크릴아미드(substituted acrylamides), N-비닐-2-파이로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아크릴로니트릴, 이소보닐(isobornyl)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퍼릴(tetrahydrofurfuryl)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glycidyl) 아크릴레이트, 2-펜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2-phenoxyethylacrylate), 벤질아크릴레이트(benzylacrylate),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귀반사구조체는 재귀반사패턴(300) 하나하나가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과 접합되기 때문에, 충격에 강하고 외부 충격 시에도 국소 부위만 영향을 받아 휘도 감소가 적다.
또한, 상기 재귀반사구조체는 일정 부분에 지지대를 코팅하는 거에 비해 제조공정이 간편하다. 또한, 상기 재귀반사구조체는 내구성 보장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프리즘을 레진 및 접착제로 채운 구조보다 제조비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리즘은 입방체 코너를 일컫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구조체의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귀반사구조체는 제1 기판(100), 제2 기판(200), 입방체 코너(300), 반사층(500) 및 접착제(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재귀반사구조체는 도 2에 도시한 재귀반사구조체와 유사하다. 차이점은 반사층(500)이 입방체 코너(300)와 공기층(700)이 맞닿는 영역에는 코팅되지 않고, 입방체 코너(300)와 접착제(600)가 맞닿는 영역만을 감싸도록 코팅될 수 있다.
나머지 구조도에 포함된 제1 기판(100), 제2 기판(200), 입방체 코너(300), 반사층(500) 및 접착제(600)에 대한 내용은 도 2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단계 S410에서,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입방체 코너를 형성한다. 상기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은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기판이 탄성 재질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은 상기 입방체 코너의 굴절률이 1.4 이상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상기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은 상기 입방체 코너에 반사층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은 도 2와 같이 상기 입방체 코너와 공기층이 맞닿는 영역과, 상기 입방체 코너와 상기 접착제가 맞닿는 영역을 모두 반사층으로 감싸도록 코팅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은 도 3과 같이 상기 입방체 코너와 상기 공기층이 맞닿는 영역에는 상기 반사층을 코팅하지 않고, 상기 입방체 코너와 상기 접착제가 맞닿는 영역만을 상기 반사층으로 감싸도록 코팅할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은 접착물질층 내에 금속 반사물질이 혼합된 구조이거나 또는 접착물질층 표면에 금속 반사물질층이 코팅된 구조로 상기 반사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S430에서, 상기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은 상기 반사층과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 중 하나에 접착제를 접착한다. 따라서, 상기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은 상기 재귀반사구조체와 공기와의 굴절률 차이로 전반사가 일어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제1 기판
200: 제2 기판
300: 입방체 코너
500: 반사층
600: 접착제
700: 공기층

Claims (20)

  1.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입방체 코너(Cube corner);
    상기 입방체 코너에 형성되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과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 중 하나에 형성되는 접착제
    를 포함하는 재귀반사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은,
    탄성 재질을 갖는, 재귀반사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은,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유리섬유 강화된 비닐 필름, 폴리아미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재귀반사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은,
    알루미늄, 은, 니켈, 주석, 구리, 금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재귀반사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방체 코너는,
    굴절률이 1.4 이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재귀반사구조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방체 코너는,
    요철 패턴, 프리즘 패턴 또는 원뿔 패턴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재귀반사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입방체 코너는,
    상기 접착제 위에 형성된 상기 반사층과 접착되는 영역을 기준평면보다 큰 평면으로 형성되는, 재귀반사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상기 입방체 코너와 공기층이 맞닿는 영역 또는 상기 입방체 코너와 상기 접착제가 맞닿는 영역을 감싸도록 코팅되는, 재귀반사구조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접착물질층 내에 금속 반사물질이 혼합된 구조이거나 또는 접착물질층 표면에 금속 반사물질층이 코팅된 구조인 재귀반사구조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ethylhexyl) 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isononyl) 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isodecyl) 아크릴레이트, 데실 아크릴레이트, 로릴(lauryl) 아크릴레이트, 헥실 아크릴레이트, 옥사데실 아크릴레이트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재귀반사구조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코닉산(itaconic acid), n-비닐 파이로리딘(nvinyl pyrrolidine), n-비닐 카프로락탐(caprolactam), N, N 디메틸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치환된 아크릴아미드(substituted acrylamides), N-비닐-2-파이로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아크릴로니트릴, 이소보닐(isobornyl) 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퍼릴(tetrahydrofurfuryl)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glycidyl) 아크릴레이트, 2-펜옥시에틸 아크릴레이트(2-phenoxyethylacrylate), 벤질아크릴레이트(benzylacrylate),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형성되는, 재귀반사구조체.
  12. 상호 대향하여 배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입방체 코너(Cube corner);
    상기 입방체 코너와, 공기층 및 접착제와 맞닿는 영역을 감싸도록 코팅되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과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 중 하나에 형성되는 접착제
    를 포함하는 재귀반사구조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은,
    탄성 재질을 갖는, 재귀반사구조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방체 코너는,
    굴절률이 1.4 이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재귀반사구조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접착물질층 내에 금속 반사물질이 혼합된 구조이거나 또는 접착물질층 표면에 금속 반사물질층이 코팅된 구조인 재귀반사구조체.
  16. 상호 대향하여 배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입방체 코너를 형성하고,
    상기 입방체 코너에 반사층을 형성하며,
    상기 반사층과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 중 하나에 접착제를 형성하는,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이 탄성 재질을 갖도록 형성하는,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입방체 코너를 형성할 때, 굴절률이 1.4 이상을 갖도록 형성하는,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을 코팅할 때,
    접착물질층 내에 금속 반사물질이 혼합된 구조 또는 접착물질층 표면에 금속 반사물질층이 코팅된 구조를 갖도록 상기 반사층을 코팅하는,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재귀반사구조체를 형성할 때,
    상기 재귀반사구조체와 공기와의 굴절률 차이로 전반사가 일어나도록 형성하는, 재귀반사구조체 형성 방법.
KR1020110139797A 2011-12-22 2011-12-22 휘도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재귀반사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 KR101896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797A KR101896935B1 (ko) 2011-12-22 2011-12-22 휘도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재귀반사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797A KR101896935B1 (ko) 2011-12-22 2011-12-22 휘도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재귀반사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404A true KR20130072404A (ko) 2013-07-02
KR101896935B1 KR101896935B1 (ko) 2018-09-12

Family

ID=4898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797A KR101896935B1 (ko) 2011-12-22 2011-12-22 휘도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재귀반사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93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8708A (ja) * 1994-01-31 1995-08-18 Nippon Carbide Ind Co Inc 夜光再帰反射シート
JPH08507161A (ja) * 1993-02-17 1996-07-30 リフレキサイト・コーポレーション 再帰反射性構造体
JP2001264525A (ja) * 2000-03-15 2001-09-26 Nippon Carbide Ind Co Inc 三角錐型キユーブコーナー型再帰反射シート
JP2003029011A (ja) * 2001-07-06 2003-01-2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反射積層体及び再帰反射標識
JP2008525862A (ja) * 2004-12-28 2008-07-1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ッ素含有またはケイ素含有プリズムを有するプリズム再帰反射物品
JP2011527771A (ja) * 2008-07-10 2011-11-0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粘弾性導光体を有する再帰反射物品及び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7161A (ja) * 1993-02-17 1996-07-30 リフレキサイト・コーポレーション 再帰反射性構造体
JPH07218708A (ja) * 1994-01-31 1995-08-18 Nippon Carbide Ind Co Inc 夜光再帰反射シート
JP2001264525A (ja) * 2000-03-15 2001-09-26 Nippon Carbide Ind Co Inc 三角錐型キユーブコーナー型再帰反射シート
JP2003029011A (ja) * 2001-07-06 2003-01-29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反射積層体及び再帰反射標識
JP2008525862A (ja) * 2004-12-28 2008-07-1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ッ素含有またはケイ素含有プリズムを有するプリズム再帰反射物品
JP2011527771A (ja) * 2008-07-10 2011-11-0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粘弾性導光体を有する再帰反射物品及び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935B1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7091U (ja) 曲面カバーガラス保護フィルムおよびこれの付着装置
KR101990537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구조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어셈블리,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윈도우 구조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
US983146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949397B2 (en) Touch panel having improved visi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201334976A (zh) 透明積層體、用於顯示裝置的窗口面板及包含此窗口面板的顯示裝置
US10877302B2 (en) Cover window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over window of a flexible display device
TW201425049A (zh) 影像顯示裝置用雙面黏著片材、附有離型薄膜之影像顯示裝置用雙面黏著片材及使用該等而成之影像顯示裝置
KR101975867B1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20124812A1 (zh) 覆盖窗结构及柔性显示装置
US20140354907A1 (en) Composite touch cover plate
TW201504051A (zh) 用於顯示裝置之視窗及包含其之顯示裝置
JP5610373B2 (ja) El素子及びそれを備えた照明装置
KR102087966B1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09237775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114852A (ja) タッチセンサ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6201684B2 (ja) El素子、照明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330737A5 (ko)
KR20130064945A (ko) 재귀반사 및 내후성 향상을 위한 재귀반사 구조체 및 형성 방법
KR20130072404A (ko) 휘도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재귀반사구조체 및 그 형성 방법
WO2021012466A1 (zh) 红外触控显示装置
TW202127064A (zh) 顯示面板
WO2018221018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積層体
TWI566929B (zh) Integrated optical film and its diffuser
JP4711264B2 (ja) 面光源素子、及び面光源素子の製造方法
JP2017206679A (ja) 透明粘着層付き基材フィルム、透明粘着層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およびタッ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