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867A - 레저용 수상열차 - Google Patents

레저용 수상열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1867A
KR20130071867A KR1020110139330A KR20110139330A KR20130071867A KR 20130071867 A KR20130071867 A KR 20130071867A KR 1020110139330 A KR1020110139330 A KR 1020110139330A KR 20110139330 A KR20110139330 A KR 20110139330A KR 20130071867 A KR20130071867 A KR 20130071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isure
floating body
train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7806B1 (ko
Inventor
김은주
Original Assignee
김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주 filed Critical 김은주
Priority to KR1020110139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780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7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7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2Awnings, including rigid weather protection structures, e.g. sunroofs; Tarpaulins; Accessories for awnings or tarpaul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6Towing or pushing equipment
    • B63B21/62Towing or pushing equipment characterised by moving of more than one vess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63B45/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devices being intended to indicate the vessel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B63B2029/043Seat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4Furniture peculiar to vessels
    • B63B2029/046Tables, e.g. foldable or stow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2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water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레저용 수상열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로 상호 연결된 복수의 부유체를 동력선으로 예인하여 부유체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수상 관광 및 휴식을 제공할 수 있는 레저용 수상열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면과 접하여 부유하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테두리 영역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벽체부와, 바닥부와 벽체부가 이루는 내측 공간 일측에 편의시설들이 구비되는 내측시설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유체; 및 벽체부에 구비되어 복수의 부유체 상호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부유체는 동력선에 의해 예인되어 수면 상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의시설이 구비된 수상카페와 같은 부유체에 여러 명의 탑승자가 착석하여 다과와 동시에 담소가 가능하고, 일렬로 길게 연결된 복수의 부유체가 동력선에 의해 예인됨으로 인해 호수, 강가 또는 바다 주변의 경계선을 이동하며 주변 경관의 관람 및 조용한 휴식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레저용 수상열차{A Water Train for Leisure}
본 발명은 레저용 수상열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부로 상호 연결된 복수의 부유체를 동력선으로 예인하여 부유체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수상 관광 및 휴식을 제공할 수 있는 레저용 수상열차에 관한 것이다.
소득수준의 증대와 주 5일제의 실시로 가족 또는 친구들과 산이나 바다 등지에서 여가시간을 즐기는 것은 근래에 일반화되었고, 특히 여름철에는 호수, 강, 바다에서 스쿠버다이빙, 낚시와 같은 해양스포츠뿐만 아니라 잠수정, 유람선 또는 쾌속선을 타고 하안이나 해안 주변을 유람하는 관광이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스릴을 즐기기 위해 수면을 미끄러져 나가는 바나나보트, 물 위를 미끄러지다 공중을 나는 플라잉 보트 등과 같은 놀이기구들을 많은 사람이 즐기고 있다.
이러한 놀이기구와 관련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0648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공중 부양 수상보트"는 오로지 스릴만을 느끼게 하여 시원함을 도모하는 발명으로, 남녀노소 불문하고 가족단위로 또는 여러 명이 동시에 즐기기에 무리가 있고, 강이나 바다 주변의 경계선을 이동하며 조용하게 휴식을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연경관과 함께 사색을 즐기거나 담소를 나누며 음식을 먹는 것과 같은 활동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6148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다목적 레저용 수상 펜션"는 다양한 레포츠시설을 구비한 수상 부유 구조물을 제공하여 해양 레포츠뿐만 아니라 모래찜질, 암벽타기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상 펜션은 일정한 곳에 정박한 상태로 이용되는 것이어서 강이나 바다 주변의 경계선을 이동하며 관광하는 것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편의시설이 구비된 수상카페와 같은 부유체에 여러 명의 탑승자가 착석하여 다과와 동시에 담소가 가능하고, 복수의 부유체가 동력선에 의해 예인됨으로 인해 호수, 강가 또는 바다 주변의 경계선을 이동하며 주변 경관의 관람 및 조용한 휴식을 가능하게 하는 레저용 수상열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복수의 부유체 각각이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부를 힌지결합하고, 복수의 부유체 양 측면을 지지하도록 측면연결부를 구비하며, 부유체의 수면 이동에 방향성을 부여하는 방향유도 키를 바닥부 하면에 형성함으로써, 동력선에 의해 예인되는 복수의 부유체를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선회시킬 수 있는 레저용 수상열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좌석, 수납공간, 탁자 등을 포함하는 내측시설부 및 차양막을 통해 탑승자에게 다양한 편의와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고, 부유체간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항아리 형상의 벽체부 및 안전손잡이를 통해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레저용 수상열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LED 조명이 구비된 부유체를 통해 탑승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고, 부유체에 구비된 앵커를 통해 부유체가 유수에 의해 표류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박할 수 있는 레저용 수상열차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수면과 접하여 부유하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테두리 영역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벽체부와, 바닥부와 벽체부가 이루는 내측 공간 일측에 편의시설들이 구비되는 내측시설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유체; 및 벽체부에 구비되어 복수의 부유체 상호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복수의 부유체는 동력선에 의해 예인되어 수면 상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는 탑승자가 걸어다닐 수 있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은 인접한 부유체와 각각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각 부유체가 좌우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는, 각 부유체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와이어결착구와, 와이어결착구에 결착되되 복수의 부유체 양 측면에 걸쳐 구비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측면연결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닥부의 하면에는 수면 상을 이동하는 레저용 수상열차의 방향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방향유도 키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닥부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벽체부는 중심영역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항아리 형상을 이루되, 일측이 개구되어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안전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유체의 상부에는 차양막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벽체부의 외주면 및 차양막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LED 조명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측시설부는 벽체부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좌석과, 좌석 하부에 형성되는 수납함과, 내측 공간 중앙에 형성되는 탁자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유체는 일측에 앵커를 구비하여 수면상에 정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편의시설이 구비된 수상카페와 같은 부유체에 여러 명의 탑승자가 착석하여 다과와 동시에 담소가 가능하고, 일렬로 길게 연결된 복수의 부유체가 동력선에 의해 예인됨으로 인해 호수, 강가 또는 바다 주변의 경계선을 이동하며 주변 경관의 관람 및 조용한 휴식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부유체 각각이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부를 힌지결합하고, 복수의 부유체 양 측면을 지지하도록 측면연결부를 구비하며, 부유체의 수면 이동에 방향성을 부여하는 방향유도 키를 바닥부 하면에 형성함으로써, 동력선에 의해 예인되는 복수의 부유체를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선회시킬 수 있어 탑승자에게 쾌적하고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좌석, 수납공간, 탁자 등을 포함하는 내측시설부 및 차양막을 통해 탑승자에게 다양한 편의와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고, 부유체간 충돌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항아리 형상의 벽체부 및 안전손잡이를 통해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LED 조명이 구비된 부유체를 통해 탑승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고, 부유체에 구비된 앵커를 통해 부유체가 동력선에 의해 예인되지 않는 동안에도 유수나 파도에 표류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박할 수 있게 된다.
부유체가 유수에 의해 표류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정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의 부유체에 대한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의 부유체에 대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의 연결부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의 구성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의 부유체에 대한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의 부유체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1)는 복수의 부유체(100)들이 수면상에서 줄줄이 연결되어 마치 기차와 같은 형상을 이루고 동력선(2) 등에 의해 예인되어 수변(水邊)을 이동 또는 특정 장소에 정박함으로써, 탑승자에게 주변 경치 관람과 휴식을 제공할 수 있는 레저용 기구이다.
레저용 수상열차(1)는 대략 복수의 부유체(100) 및 연결부(2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부유체(100)는 복수 개로 구비되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물에 의한 부력으로 물 위에 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 위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부유체(100)는 대략 바닥부(110), 벽체부(120) 및 내측시설부(1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바닥부(110)는 수면과 접하게 되는 부분으로 상기 레저용 수상열차(1)의 하단부를 이루며 물 위에서 레저용 수상열차(1)가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바닥부(110)의 형상은 수면과 접한 레저용 수상열차(1)가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의 판재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닥부(110)를 원판형상으로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바닥부(110)를 편평한 판재형상이 아닌 하측으로 오목하게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부유체(100)의 직진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바닥부(110) 하면에 방향유도 키(112)를 더 형성하여 수면 상을 이동하는 상기 부유체(100)가 방향성을 유지하고, 급선회시에 자연스런 곡선을 그리며 선회토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바닥부(110)는 물에 의한 부력에 의해 수면상에 뜰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다만, FRP와 같이 보강재로 유리 섬유나 탄소 섬유를 넣어 만든 섬유 강화 플라스틱 재질이나 특수 아크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벽체부(120)는 이하에서 설명할 내측시설부(130)가 설치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내측시설부(130)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각 부유체(100) 사이에서 또는 수변(水邊) 구조물과 발생할 수 있는 충돌에 대비하여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벽체부(120)는 상기 바닥부(110)의 테두리 영역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어 이루어지게 되는데, 결국 바닥부(110)와 벽체부(120)가 이루는 형상은 상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통형상이 된다. 이때, 벽체부(120)의 높이는 탑승자가 좌석에 앉았을 때 사방으로 주변을 관람함에 있어 불편함이 없을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벽체부(120)의 형상과 관련하여 상부로 갈수록 상기 개구부가 좁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개구부가 넓어지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부(110)를 원판형상으로 하고 상기 벽체부(120)는 중심영역을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바닥부(110)와 벽체부(120)가 이루는 형상이 전체적으로 항아리 형상이 되도록 한다.
이렇게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벽체부(120)가 소정범위의 복원력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경우 인접한 부유체(100) 간 충돌시 용이하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벽체부(120)의 외주면 중 볼록한 영역을 따라 폴리 우레탄 등과 같은 충격흡수부재(121)가 더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벽체부(120)에는 상기 벽체부(120) 일측이 개구되어 형성된 출입구(1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출입구(122)의 양측으로 출입구 손잡이(122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항아리 형상을 이루는 벽체부(120)의 상단부 주변을 따라 안전손잡이(124)가 구비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벽체부(120) 일측에 설치가능한 부대장치는 상기 부유체(100)가 접안시설에 접안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정박용 고리(126a)와 이하에서 설명할 내측시설부(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138)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126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벽체부(120)의 재질은 물이 투과되지 않는 가벼운 성질의 것이라면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다만, 바닥부(110)와 같이 FRP나 특수 아크릴 재질 등으로 형성하되, 소정범위의 복원력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시설부(130)는 바닥부(110)와 벽체부(120)가 이루는 내측 공간 일측에 편의시설들이 구비되는 곳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내측시설부(130)는 상기 벽체부(120)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좌석(132)과, 상기 좌석(132) 하부에 형성되는 수납함(134)과, 상기 내측 공간 중앙에 형성되는 탁자(136)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이때, 수납함(134)에는 구명조끼, 스쿠버다이빙 장비, 낚시도구 등의 다양한 수상레포츠 장비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탁자(136)의 내측 공간에는 전원장치(138)를 구비하여 각종 편의시설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내측시설부(130) 일측에 설치가능한 부대장치(미도시)는 좌석(132) 주변에 설치되어 열선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난방시설과, 외부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와,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음향설비 및 영상장치와, 화재를 대비한 방화설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내측시설부(130)의 탁자(136) 하단부에는 부유체(100)의 운행 중에 유입될 수 있는 물이 집수되는 집수구(139a)와, 상기 집수구(139a)와 벽체부(120)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배수관(139b)과, 집수구(139a)에 모인 물이 벽체부(120)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수관(139b)과 연결된 배수용 펌프(139c)를 포함하는 배수장치(13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내측시설부(130)는 각 시설의 용도 및 기능에 부합하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부유체(100)의 대량생산과 조립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전술한 바닥부(110), 벽체부(120) 및 내측시설부(130) 모두는 FRP나 특수 아크릴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하거나 분할된 분체로 형성한 후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렇게 바닥부(110), 벽체부(120) 및 내측시설부(130)로 이루어지는 부유체(100)의 내측 공간은 빈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지만, 내측 공간을 부유충진재(170)로 채울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유충진재(170) 사이에 부력튜브(18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바닥부(110) 또는 벽체부(120)가 파손되어 외부의 물이 부유체(100)의 내측 공간으로 침수되도 본 발명에 따른 부유체(100)가 쉽게 가라앉지 않게 되어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시설부(130)는 탑승자에게 다양한 편의와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부유체(100)에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 강한 직사광선 또는 비나 눈을 막을 수 있는 차양막(140)을 부유체(100) 상부에 더 구비하여 탑승자의 편의와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차양막(140) 상단부에는 태양열집전판(142)을 구비하여 발생된 전원을 부유체(100)에 사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여유 전원은 전원장치(138)에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부유체(100)의 벽체부(120) 외주면 및 상기의 차양막(140)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다양한 빛깔의 LED 조명(150)을 더 구비하여 부유체(100)의 외관을 아름답게 꾸밈으로써, 탑승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부유체(100) 일측에 앵커(160)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부유체(100)가 동력선(2)에 의해 예인되지 않는 동안에도 유수나 파도에 표류하지 않고 수면상에 안정적으로 정박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의 연결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1)의 연결부(200)는 상기 벽체부(120)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부유체(100) 상호 간을 연결하는 것은 물론 동력선(2)에 의해 예인되는 복수의 부유체(100)를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선회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연결부(200)는 앞뒤에 배치된 부유체(100) 상호 간을 연결함과 아울러 좌우로 상대 회동토록 하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식의 연결방식이라도 무방하다.
일례로, 연결부(200) 양단부에는 링형상의 제1고리가 형성되고, 이러한 링형상의 제1고리와 수직을 이루며 고리결합되는 링형상의 제2고리가 인접한 부유체(100)의 벽체부(120)에 각각 구비되도록 하여 연결부(200)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연결부(200)는 부유체(100)의 탑승자가 인접한 부유체(100) 상호 간을 걸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은 수평한 발판 모양의 판(210)형상으로 제작되고, 그 양단은 인접한 각 부유체(100)와 각각 힌지결합할 수 있는 힌지결합부(212)를 형성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00)는 두 개의 직교하는 힌지축(212d,212e)을 갖는 힌지결합부(212a,212b,212c)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부유체(100)는 상하좌우방향 즉, 사방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1)는 동력선(2)이 좌우방향으로 선회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파도나 너울 등에 의한 상하방향 움직임에도 자연스럽게 대응하여 안정적인 곡선을 그리며 예인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세로방향의 하나의 힌지축(212d)만을 갖는 힌지결합부(212)로 이루어진 연결부(200)를 통해 좌우방향에서만 각 부유체(100)가 상대 회동하도록 단순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0)는 상기 힌지결합부(212)의 과도한 좌우방향 꺾임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선회곡선을 지지 및 유지하기 위해 측면연결부(2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측면연결부(220)는 와이어결착구(222) 및 와이어(224)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결착구(222)는 와이어(224)가 부유체(100)의 측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와이어(224)를 결착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와이어(224)가 관통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각 부유체(100)의 측면에 구비되게 된다.
일례로 와이어(224)가 관통할 수 있는 크기의 링형상, 원통형상 또는 클램프로 이루어진 와이어결착구(222)를 각 부유체(100)의 측면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와이어결착구(222)의 형상 및 와이어(224) 고정방식은 다양하게 변형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와이어결착구(222) 전후로 보조 결착구(223)를 더 구비하여 와이어(224)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와이어(224)는 동력선(2)이 좌우방향으로 선회시 이에 예인되어 선회하는 레저용 수상열차(1)의 선회곡선의 정도를 결정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와이어결착구(222)에 고정되되, 예인되는 상기 복수의 부유체(100) 각각의 양 측면에 걸쳐 길게 구비되게 된다.
이때, 와이어(224)와 와이어결착구(222)를 상호 고정하는 방식은 매듭 묶기 방식 또는 클램프에 의해 와이어(224)를 가압하는 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고정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와이어(224)는 도 1에서처럼, 그 일단이 동력선(2)에 고정된 후 소정거리를 두고 동력선(2)과 가장 인접한 부유체(100)의 와이어결착구(222)와 결착 고정된다. 그리고 와이어(224)는 뒤따르는 부유체(100)의 와이어결착구(222)과 소정의 여유길이를 두고 결착 고정되게 되며, 이후 뒤따르는 각각의 부유체(100)의 와이어결착구(222)와도 동일하게 소정의 여유길이를 두고 결착 고정되게 된다.
이때, 여유를 두고 결착 고정되는 와이어(224) 길이의 장단은 좌우 방향으로 선회하는 레저용 수상열차(1)의 선회곡선의 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즉, 상기 와이어(224)의 여유길이가 길면 선회곡선의 정도가 넓은 범위에서 변할 수 있고(급선회하더라도 뒤쪽 부유체에 큰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음), 작으면 선회곡선의 정도가 작은 범위에서 변하게 된다(급선회시 부유체는 뒤로 갈수록 원심력이 크게 작용함).
한편, 와이어(224)는 금속사, 면사 또는 합성수지사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 범위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경우 레저용 수상열차(1)의 자연스런 선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1)는 물 위를 빠르게 이동하여 스릴감을 느끼기 위한 놀이기구가 아닌 수변(水邊)의 경계선을 이동하며 주변 경관을 관람하고 휴식을 취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와어이(224)의 여유길이를 길게 하여 선회곡선의 정도가 넓은 범위에서 변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에게 쾌적하고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들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1)는 편의시설이 구비된 수상카페와 같은 부유체(100)에 여러 명의 탑승자가 착석하여 다과와 동시에 담소가 가능하고, 일렬로 길게 연결된 복수의 부유체(100)가 동력선(2)에 의해 예인됨으로 인해 호수, 강가 또는 바다 주변의 경계선을 이동하며 주변 경관의 관람 및 조용한 휴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복수의 부유체(100) 각각이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연결부(200)를 통해 힌지결합하고, 복수의 부유체(100) 양 측면을 지지하도록 측면연결부(220)를 구비하며, 부유체(100)의 수면 이동에 방향성을 부여하는 방향유도 키(112)를 바닥부(110) 하면에 형성함으로써, 동력선(2)에 의해 예인되는 복수의 부유체(100)를 자연스럽고 안정적으로 선회시킬 수 있어 탑승자에게 쾌적하고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수상열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의 레저용 수상열차(1)는 보다 많은 탑승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부유체(100)의 크기가 커지고 형상이 변경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살피면, 부유체(100)의 바닥부(110)를 직사각형의 판재로 형성하고 하면에는 방향유도 키(112)를 형성하게 된다.
벽체부(120)는 측면 일측과 전후방에 각각 개방된 형태의 출입구(122)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탑승자가 주변 경관을 관람하는 데 있어 방해받지 않는 높이에 창문(128)이 전방과 좌우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내측시설부(130)에는 착석하여 주변 경관을 편안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좌석(132)을 구비하고, 탑승자의 짐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미도시)이 구비되며, 쾌적한 온도 및 습도 조절을 위해 난방시설(미도시)이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강한 직사광선 또는 비나 눈을 막을 수 있도록 차양막(140')을 지붕과 같은 형태로 부유체(100) 상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러한 부유체(100)는 대량생산과 조립의 용이성을 고려할 때 바닥부(110), 벽체부(120) 및 내측시설부(130) 모두를 FRP나 특수 아크릴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연결부(200)에 대한 기술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연결부(200)와 동일한 내용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탑승자가 전후방에 구비된 출입구(122)를 거쳐 연결부(200)를 통해 인접한 부유체(100) 간을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200)를 중심으로 일정높이의 좌우측에는 안전와이어(23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레저용 수상열차(1)를 통해 보다 많은 탑승자가 편의시설이 구비된 수상카페와 같은 부유체(100)에서 다과와 동시에 담소를 나눌 수 있고, 호수, 강가 또는 바다 주변 경관을 관람하며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레저용 수상열차 2: 동력선
100: 부유체 110: 바닥부
112: 방향유도 키 120: 벽체부
121: 충격흡수부재 122: 출입구
122a: 출입구손잡이 124: 안전손잡이
126a: 정박용 고리 126b: 충전단자
128: 창문 130: 내측시설부
132: 좌석 134: 수납함
136: 탁자 138: 전원장치
139: 배수장치 140: 차양막
142: 태양열집전판 150: LED 조명
160: 앵커 170: 부유충진재
180: 부력튜브 200: 연결부
210: 판 212: 힌지결합부
220: 측면연결부 222: 와이어결착구
223: 보조 결착구 224: 와이어
230: 안전와이어

Claims (9)

  1. 수면과 접하여 부유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테두리 영역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벽체부와, 상기 바닥부와 상기 벽체부가 이루는 내측 공간 일측에 편의시설들이 구비되는 내측시설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유체; 및
    상기 벽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부유체 상호 간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부유체는 동력선에 의해 예인되어 수면 상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수상열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탑승자가 걸어다닐 수 있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은 인접한 상기 부유체와 각각 힌지결합으로 연결되어 상기 각 부유체가 좌우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수상열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각 부유체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와이어결착구와, 상기 와이어결착구에 결착되되 상기 복수의 부유체 양 측면에 걸쳐 구비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측면연결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수상열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하면에는 수면 상을 이동하는 상기 레저용 수상열차의 방향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방향유도 키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수상열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체부는 중심영역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항아리 형상을 이루되, 일측이 개구되어 출입구가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안전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수상열차.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의 상부에는 차양막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수상열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의 외주면 및 상기 차양막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LED 조명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수상열차.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시설부는 상기 벽체부의 내면을 따라 형성되는 좌석과, 상기 좌석 하부에 형성되는 수납함과, 상기 내측 공간 중앙에 형성되는 탁자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수상열차.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는 일측에 앵커를 구비하여 수면상에 정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수상열차.
KR1020110139330A 2011-12-21 2011-12-21 레저용 수상열차 KR101367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330A KR101367806B1 (ko) 2011-12-21 2011-12-21 레저용 수상열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330A KR101367806B1 (ko) 2011-12-21 2011-12-21 레저용 수상열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867A true KR20130071867A (ko) 2013-07-01
KR101367806B1 KR101367806B1 (ko) 2014-02-27

Family

ID=48986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330A KR101367806B1 (ko) 2011-12-21 2011-12-21 레저용 수상열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78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46B1 (ko) * 2017-02-24 2018-06-19 주식회사 펭귄오션레저 수중 관람이 가능한 레저용 보트
EP3623275A4 (en) * 2017-05-12 2021-03-03 Jiangsu Gongjing Group Co., Ltd. PORTABLE FOLDABLE AQUAPLA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8541A (en) * 1973-05-31 1975-01-07 Jr John C Metcalf Modular boat system
KR100957874B1 (ko) * 2009-04-24 2010-05-13 전양일 레저용 보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946B1 (ko) * 2017-02-24 2018-06-19 주식회사 펭귄오션레저 수중 관람이 가능한 레저용 보트
EP3623275A4 (en) * 2017-05-12 2021-03-03 Jiangsu Gongjing Group Co., Ltd. PORTABLE FOLDABLE AQUAPLANE
US11084555B2 (en) 2017-05-12 2021-08-10 Jiangsu Gongjing Group Co., Ltd Portable foldable aquapl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7806B1 (ko) 201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8267B (zh) 水下觀察之系統及方法
US20050150175A1 (en) Modular accomodation system (bmas)
US8789487B2 (en) Personal watercraft
KR101939331B1 (ko) 수륙양용 보트 밴
CN203228918U (zh) 用于水下活动的设备
KR20080076864A (ko) 반잠수 보트
KR101367806B1 (ko) 레저용 수상열차
CN105752286B (zh) 一种用于娱乐、休闲或居住的水上建筑
CN202743447U (zh) 不翻不沉舱内可流水的游艇
CN205615678U (zh) 一种新型水上建筑
CN108583776A (zh) 一种可自动缩涨的便携式水上自平衡娱乐船
KR20160015697A (ko) 반잠수형 레저보트
CN210063310U (zh) 一种分体式游乐钓鱼船
CN2191174Y (zh) 游泳娱乐浮船
CN206141781U (zh) 具有多功能座椅箱的钓鱼艇
KR200169400Y1 (ko) 에어를 이용한 다목적 수상레저기구
CN220096578U (zh) 一种自然水域亲水体验排筏
US20110034096A1 (en) Surf perch
KR102405862B1 (ko) 레저보트의 선실 구조
CN85103861A (zh) 半潜式多功能游乐船
CN212290237U (zh) 一种重力、浮力双向稳定水面飘浮独杆展娱平台
CA1080047A (en) Foot propelled water vehicle
CN211364841U (zh) 一种观光休闲双体游览船
US4101996A (en) Foot propelled water vehicle
CN220884720U (zh) 一种游船的座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