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331B1 - 수륙양용 보트 밴 - Google Patents

수륙양용 보트 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331B1
KR101939331B1 KR1020170016965A KR20170016965A KR101939331B1 KR 101939331 B1 KR101939331 B1 KR 101939331B1 KR 1020170016965 A KR1020170016965 A KR 1020170016965A KR 20170016965 A KR20170016965 A KR 20170016965A KR 101939331 B1 KR101939331 B1 KR 101939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door
panel
activity spa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574A (ko
Inventor
황천영
원상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모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모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모터스
Priority to KR1020170016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3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60F3/0069Recreational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60P3/38Sleeping arrangements, e.g. living or sleeping accommodation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04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single hu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63B35/7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3/00Equipment forming part of or attachable to vessels facilitating transport over l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02Mounting of propulsion units
    • B63B2704/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02T70/1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상에서는 선체 내측에 보강대를 설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이동이 용이하고 주거 및 간단한 조리가 가능한 카라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상에서는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보트로 사용하며 선체 헐(hull)을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운항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수륙양용 보트 밴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보강대를 설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어 육상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헐(hull)을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운항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본체바디, 보강패널, 바닥패널로 이루어지는 선체와; 주거 또는 간단한 조리 및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선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활동공간과 실외활동공간을 구분하는 루프패널과; 탑승자가 의자 또는 침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선체의 상부 실내활동공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의자부재와; 수상에서 아웃보드엔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선체의 후미 쪽에 아웃보드엔진이 설치되는 트랜섬을 특징으로 하며, 육상에서는 선체 내측에 보강대를 설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이동이 용이하고 주거 및 간단한 조리가 가능한 카라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상에서는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보트로 사용하며 선체 헐(hull)을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운항 속도를 높일 수 있어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륙양용 보트 밴{Amphibious boat van}
본 발명은 수륙양용 보트 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육상에서는 선체 내측에 보강대를 설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이동이 용이하고 주거 및 간단한 조리가 가능한 카라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상에서는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보트로 사용하며 선체 헐(hull)을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운항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수륙양용 보트 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트는 큰 부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노나 스크류 같은 추진수단에 의해 수면에서 운항할 수 있는 운송수단을 일컫는 것으로, 특히 지상에 보관하는 레저용 보트의 경우는 별도의 운반수단, 즉 트레일러가 없이는 지상(地上)에서 운반하기 곤란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부두나 해안가 근처까지 보트를 트레일러에 실어 운반한 다음 다시 수면에 띄우고, 또 사용이 끝나면 트레일러에 실어 보관장소로 옮겨야 하는 것이어서 이동과 보관에 많은 불편함이 수반되고, 보트에 맞는 별도의 트레일러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많은 유지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육지에서도 운항 가능한 보트가 다수 제안되어 왔다. 그 중에 등록실용신안 제20-0398990호의 '조립식 수륙양용 호버크레프트'와, 공개특허 제10-2012-0013753호의 '수륙양용보트' 등이 공지되어 있는바, 이들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조립식 수륙양용 호버크레프트'는 저면에 다수의 개구부들이 형성된 튜브수용부를 구비하고, 엔진으로부터 강력한 힘의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에어주입백이 상부에 일체로 형성된 스커트몸체, 상기 튜브수용부에 내장되는 튜브, 상기 스커트몸체의 상부면에 펼쳐져서 결합되는 절첩 가능한 접이식 몸체지지장치, 상기 접이식 몸체 지지장치의 후방에 설치되는 엔진구동장치, 상기 접이식 몸체지지장치의 중앙에 결합되는 의자 지지 및 조절장치, 상기 의자 지지 및 조절장치에 결합 고정되는 의자 및 운전자가 운전을 조종하기 위한 조종레버를 포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등록공보 20-0398990 '조립식 수륙양용 호보크레프트'는 엔진에서 출력된 공기 일부가 에어주입백과 스커트몸체로 유입되어 수면 또는 지면에서 소정높이 상승되어 이동될 수 있지만, 수면 또는 지면에 밀착되어 운항되지 않다 보니 승차감이 떨어지고, 방향전환 등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에어주입백과 스커트몸체가 보관 또는 운항중 파손되면 운항이 힘들고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공개공보 10-2012-0013753 '수륙양용보트'는 보트의 선수와 선미에 제1,2바퀴가 각각 고정된 제1, 2 체결부가 일정각도 회동되며, 승차감이 향상되도록 수상에서 운항 시에는 보트로 사용된다. 지상에서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선수와 선미 양측에 유압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1,2바퀴가 구비되어 수상 또는 지상에서 운항 시 보트 또는 자동차와 동일하게 방향전환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긴 하나, 선체에 직접 바퀴를 부착한 구조여서 운항시 선체의 하중을 모두 바퀴결합부가 받도록 되어 있어 매우 취약할 뿐만 아니라 제작도 쉽지 않다. 낚시 및 물놀이를 위한 사용상의 편리성 및 캠핑시 주거용도로서의 활용도를 전혀 감안하지 않은 구조여서 선호도가 좋지 못한 단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인 공개특허공보 제2015-96548호(2015.08.25. 공개) "트레일러를 구비하는 수륙양용보트"는 부력을 가지는 유선형의 선체와, 상기 선체의 저부에는 세로(길이)방향으로 프레임 설치홈이 형성되고 가로방향으로는 바퀴축 설치홈이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 설치홈에는 프레임이 선체의 저면을 세로로 지지한 상태로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에는 바퀴축이 선체의 저면을 가로로 지지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바퀴축의 양단에는 바퀴가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선체의 상단에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발판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발판을 제외한 선체의 상부는 도어를 구비하는 루프덮개에 의해 커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판과 루프덮개의 전방 상부를 연결하는 손잡이가 구성된다. 상기 루프덮개의 전방과 후방에 도어가 형성되되 힌지부에 의해 상하로 여닫히도록 하고, 각 도어에는 가시성을 좋게 하기 위해 투명한 창이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에는 자동차로 견인할 때 자동차와 연결하기 위한 견인구가 형성되고 선체가 기울지 않도록 선체의 어느 일측에 받침대를 형성한다. 상기 선체의 양측 저면에는 오목부를 형성하여 바퀴가 선체 밑바닥으로부터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선체의 선수부에 힌지부에 의해 상하로 회전할 수 있는 사다리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은 부력을 갖는 선체의 저면이 프레임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상태로 구성되는 것이나, 이는 수면에서 부력작용이 너무 크기 때문에 수륙양용보트가 선두를 중심으로 좌우로 흔들리는 경향이 많이 발생하고, 전복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악천후와 추위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선체 내부에서 주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수륙양용보트의 지나친 부력에 의해 발생하는 흔들림에 의해 수륙양용보트 내부에서 버너 등을 사용하는 경우 흔들림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8990호(2005.10.18. 공고)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2012-0013753호(2012.02.15. 공개) 특허문헌 3: 공개특허공보 제2015-96548호(2015.08.25.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육상에서는 선체 내측에 보강대를 설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이동이 용이하고 주거 및 간단한 조리가 가능한 카라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상에서는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보트로 사용하며 선체 헐(hull)을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운항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수륙양용 보트 밴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팝업 구조로 선체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프론트도어와 게이트도어가 설치되어 실내 활용성과 생활, 환기 등을 향상시키고, FRP 일체형 몰드 형태를 띠며, 전면부의 받침대는 물 위에서의 활용도 외에 육지에서 아웃트리거 혹은 재키휠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수륙양용 보트 밴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체에 슬라이딩도어를 설치하여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고, 활동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쾌적한 실내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수륙양용 보트 밴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바디의 선미에 리어도어를 설치하여 실외 활동 공간을 확장하여 탑승자의 활동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한 수륙양용 보트 밴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측에 보강대를 설치하여 내구성 향상시키고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어 육상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헐(hull)을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운항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본체바디, 보강패널 바닥패널로 이루어지는 선체와; 주거 또는 간단한 조리 및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선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활동공간과 실외활동공간을 구분하는 루프패널과; 탑승자가 의자 또는 침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선체의 상부 실내활동공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의자부재와; 수상에서 아웃보드엔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선체의 후미 쪽에 아웃보드엔진이 설치되는 트랜섬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 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선체는, 본체바디, 보강패널 바닥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바디는 강성 및 내구성을 증대하는 보강대와 평형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밸러스트가 구성되어 선체의 평형을 유지하면서 운항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헐(hull)을 유선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보강패널은 본체바디의 중앙과 양측 가장자리 쪽에 설치되어 선체의 강성, 내구성의 향상 및 평형수가 저장되는 칸막이가 구성되며, 상기 바닥패널은 선체와 보강패널의 상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에게 선체에서 이동과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선체는 차량의 뒤쪽에 설치된 견인장치와 연결되어 육상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보강대에 연설되어 선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견인부재와; 육상에서 선체의 회전 또는 해상에서 선체로 입실할 때 탑승자가 잡을 수 있도록 견인부재 상부에 위치되어 선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받침대와; 육상에서 선체의 전면을 지지함은 물론 선체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견인부재 일측에서 회전 및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지지대와; 선체 후면의 지탱 및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체의 후면에 길이 조절 및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면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루프패널은, 선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활동공간과 실외활동공간을 제공하면서 프론트도어, 팝업도어, 슬라이딩도어 및 게이트도어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프론트도어는 탑승자가 선체의 전면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루프패널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팝업도어는 선체의 실내활동공간의 개방감 향상 및 활동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루프패널 상부에 태양광발전부 및 가림막을 가지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는 선체 후방 쪽에 설치되어 실내활동공간과 실외활동공간을 구분할 수 있도록 선체와 루프패널 사이에 슬라이딩 형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도어는 실외활동공간을 확장함과 동시에 레저 스포츠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선체의 후방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프론트도어는, 루프패널에 일측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도어실린더가 복수로 설치되고, 프론트도어의 외측과 내측에 외측레버와 내측레버가 연설되게 설치되며, 외측레버는 시건장치와 연동되어 락 기능을 해제한 후 오픈하고, 내측레버는 시건장치와 연동되어 락 기능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오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팝업도어는, 루프패널의 상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루프개폐부재가 복수로 설치되고, 루프패널과 팝업도어 사이에 미세하게 타공된 가림막이 설치되며, 가림막은 팝업도어의 개폐시 연동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게이트도어는, 선체와 루프패널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개폐를 제어하는 리어회전손잡이가 일측에 설치되고, 리어회전손잡이가 설치된 양측으로 도어래치가 각각 설치되어 래치결합부재와 결합하여 개폐를 단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자부재는, 실내활동공간에 형성된 복수의 의자고정대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탑승자가 앉는 안장부재와; 탑승자가 기댈 수 있도록 안장부재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등받이부재와; 안장부재와 함께 등받이부재를 침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자고정대에 가로 질러 설치되는 받침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트랜섬은, 수상에서 이동하기 위해 아웃보드엔진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선체의 후미 쪽에 형성되는 트랜섬설치홀과; 아웃보드엔진이 설치될 수 있도록 트랜섬설치홀의 내측면에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로 이루어져 고정되는 엔진고정부재와; 아웃보드엔진이 설치되 않은 상태에서 탑승자가 트랜섬설치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아웃보드엔진이 설치된 상태에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트랜섬설치홀 상부에 설치되는 트랜섬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육상에서는 선체 내측에 보강대를 설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이동이 용이하고 주거 및 간단한 조리를 할 수 있는 카라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상에서는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보트로 사용하며 선체 헐(hull)을 유선형으로 이루어져 운항 속도를 높일 수 있어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팝업루프 구조로 선체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프론트도어와 리어도어가 설치되어 실내 활용성 증대 및 환기 등을 향상시켜 쾌적한 실내공간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선체는 FRP 일체형 몰드 형태로 구성되므로 수상에서 부력 작용 및 충격에 강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선체 전면에 설치된 받침대 및 전면지지대는 수상에서 아웃트리거 역할에 의한 활용성이 높고, 육지에서 선체를 전면의 지탱 및 수평을 유지하여 탑승자들이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체를 실내활동공간과 실외활동공간으로 구분하여 제공하므로 캠핑 또는 수상 레포츠 시에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에서 캠핑 또는 수상 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바디의 선미에 리어도어를 설치하여 실외 활동 공간을 넓혀 탑승자의 활동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선수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선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선수부의 프론트도어가 열린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선미의 게이트도어가 열린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저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본체바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실내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견인부재 및 전면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후면지지대의 분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4의 'A' 부분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7의 'B' 부분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선미 구성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13은 도 12의 'C' 부분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트랜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선수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선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선수부의 프론트도어가 열린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선미의 게이트도어가 열린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저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본체바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실내 구성을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견인부재 및 전면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후면지지대의 분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4의 'A' 부분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7의 'B' 부분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선미 구성을 나타낸 요부 확대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C' 부분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의 트랜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은 내측에 보강대(111)를 설치하여 내구성 향상 및 하부에 바퀴(140)가 설치되어 육상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헐(hull)을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운항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본체바디(110), 보강패널(120), 바닥패널(130)로 이루어지는 선체(100)와, 상기 선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주거 또는 간단한 조리 및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실내활동공간과 실외활동공간을 구분하는 루프패널(200)과, 탑승자가 의자 또는 침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실내활동공간에 설치되는 의자부재(300)와, 수상에서 아웃보드엔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선체(100)의 후미 쪽에 아웃보드엔진이 설치되는 트랜섬(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선체(100)는 본체바디(110), 보강패널(120) 및 바닥패널(13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바디(110)는 강성 및 내구성을 증대하는 보강대(111)와 평형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밸러스트가 구성되어 선체의 평형을 유지하면서 운항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헐(hull)을 유선형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바디(110)는 FRP금형을 이용하여 FRP(Fiber Reinforced Plastics)로 제작하므로 성형성 및 내식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아 충격에도 잘 견디는 것은 물론 가벼워 이동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상기 보강대(111)는 격자형태로 구성되어 본체바디(110) 내측에 설치되며, 본체바디(110)의 강성을 한층 더 보강하는 것은 물론 선체(100)의 뒤틀림을 잡아주어 평형성을 증대한다.
상기 보강대(111)가 설치된 부분에는 칸막이(121)가 설치되어 밸러스트를 형성하고, 상기 칸막이(121)는 평형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평형수는 본체바디(110)에 설치한 입수부(미도시)와 출수부(미도시)를 통해 평형수가 유입되거나 배출된다. 또한, 평형수는 칸막이(121)가 형성된 본체바디(110)의 내측에 저장되어 선체의 무게에 의해 무게 중심이 상방향에 위치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무게중심을 선체(100)의 하방향에 위치되게 하여 복원성을 좋게 한다.
또한, 상기 보강패널(120)은 본체바디(110)의 중앙과 양측 가장자리 쪽에 설치되어 바닥패널(130)로 가해지는 무게를 지탱함과 동시에 육상의 도로 또는 해상의 파도, 너울 등에 의해 비틀림이 발생하는 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선체(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바닥패널(130)은 선체(100)와 보강패널(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에게 선체(100)에서 이동과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체(100)는 차량의 뒤쪽에 설치된 견인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육상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보강대(111)에 연설되어 선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견인부재(150)와, 육상에서 선체의 회전 또는 해상에서 선체(100)로 입실할 때 탑승자가 잡을 수 있도록 견인부재(150) 상부에 위치되어 선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받침대(160)와, 육상에서 선체(100)의 전면을 지지함은 물론 선체(10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견인부재(150) 일측에서 회전 및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지지대(170)와, 선체(100)의 후면을 지지함은 물론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체(100)의 후면에 길이조절 및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면지지대(1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견인부재(150)는 보강대(111)에 연설되어 차량의 견인장치와 연결되도록 선체(100) 전면으로 돌출되는 견인바(151)와, 상기 견인바(151) 상부에 역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견인고리(152)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160)는 견인고리(152)의 상방향 쪽에 위치되어 선체(100) 전면으로 돌출되게 창살모양의 사각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받침대(160)의 하부와 견인부재(150) 사이에는 받침바(161)가 설치되어 받침대(160)에 가해지는 무게를 지탱한다.
상기 전면지지대(170)는 견인바(151)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71)과, 상기 고정브래킷(1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지지체(172)와, 상기 회전지지체(172)가 회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탄성체(174)를 가지며 회전지지체(172)에 설치되는 착탈손잡이(173)와,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회전지지체(172)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관(175)과, 상기 고정관(175)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조바퀴(178)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길이조절관(176)과, 상기 길이조절관(176) 하부에 설치되는 바퀴고정대(177)와, 바퀴고정대(17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바퀴(178)와, 상기 보조바퀴(17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관(176)에 결합되어 고정관(175)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높이조절핸들(179)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지지체(172)는 복수의 결합공(172-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72-1)은 착탈손잡이(173)가 결합되어 전면지지대(170)의 회전된 상태를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후면지지대(180)는 선체(100)의 후면 일측에 브래킷핀(181-1)을 가지며 브래킷(181)이 구성되고, 브래킷핀(181-1)에 결합되는 걸림홈(182-1)을 가지며 브래킷(181)에 결합되는 지지대몸체(182)가 상부와 하부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복수의 위치고정공(184-1)을 가지며 지지대몸체(182)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길이조절부재(184)가 결합 된다.
상기 지지대몸체(182)는 길이조절부재(184)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183)가 고정돌기(183-1)에 결합되며, 상기 위치고정부재(183)는 스프링(미부호)에 의해 위치고정부재(183) 내측으로 위치된 길이조절부재(184)의 위치고정공(184-1)에 결합되어 위치가 조정된 상태의 길이조절부재(184)를 고정한다.
상기 루프패널(200)은, 선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활동공간과 실외활동공간을 제공하면서 프론트도어(210), 팝업도어(220), 슬라이딩도어(230) 및 게이트도어(2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도어(210)는 루프패널(20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체(100)의 전면으로 탑승하거나 전방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론트도어(210)는 루프패널(200)에서 일측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도어실린더(211)가 복수로 설치되고, 프론트도어(210)의 외측과 내측에 외측레버와 내측레버가 연설되게 설치되며, 외측레버(미도시)는 시건장치(미도시)와 연동되어 락 기능을 해제한 후 오픈 하고, 내측레버(미도시)는 시건장치와 연동된 상태에서 락 기능을 해제하지 않아도 오픈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팝업도어(220)는 선체(100)의 실내활동공간의 개방감의 향상 및 활동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루프패널(200) 상부에 태양광발전부(223) 및 가림막(221)을 가지며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팝업도어(220)에는 루프패널(200)에서 일측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루프개폐부재(222)가 복수로 설치되고, 루프패널(200)과 팝업도어(220) 사이에 미세하게 타공된 가림막(221)이 설치되며, 가림막(221)은 팝업도어(220)의 개폐 시 연동되게 설치된다.
상기 가림막(221)은 실내활동공간을 확대할 때 외부에서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어 실내환경이 쾌적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팝업도어(220)를 오픈 하면, 팝업도어(220)의 오픈 된 상태를 지탱하기 위한 루프개폐부재(222)가 설치된다. 상기 루프개폐부재(222)는 루프패널(200)의 상부에 제1가이드부재(222-1)가 설치되고, 팝업도어(220)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제2가이드부재(222-2)가 설치되며, 상기 제1가이드부재(222-1)와 제2가이드부재(222-2) 사이에는 루프실린더(222-3)가 설치되어 팝업도어(220)의 오픈된 상태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팝업도어(220)에는 태양빛에 의해 전기를 발전할 수 있도록 태양광패널(223-1)이 설치되고, 상기 태양광패널(223-1)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충전할 수 있도록 배터리(미도시)가 구성되고, 상기 배터리는 선체(100)의 실내활동공간 내에 설치되며, 배터리에 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발전컨트롤러(미도시)가 구성되며, 상기 발전컨트롤러는 선체(100)의 실내활동공간 내에 설치되어 발전 및 충전을 컨트롤한다.
상기 태양광패널(223-1)은 팝업도어(220)의 개폐 각도에 따라 그 각도가 달라지므로 태양빛에 의한 발전을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슬라이딩도어(230)는 선체(100) 후방에 설치되어 실내활동공간과 실외활동공간을 구분할 수 있도록 선체(100)와 루프패널(200) 사이에 슬라이딩 되면서 개폐되게 이루어진다.
상기 게이트도어(240)는 탑승자가 활동하는 실외활동공간을 확장함과 동시에 레저 스포츠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선체(100)의 선미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게이트도어(240)는 선체(100)와 루프패널(200)의 일측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를 제어하는 리어회전손잡이(미도시)가 일측에 설치되고, 리어회전손잡이가 설치된 양측으로 도어래치(241)가 각각 설치되어 래치결합부재(242)와 결합하여 개폐가 단속된다.
또한, 상기 게이트도어(240)와 루프패널(200)에는 끝단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체(243)가 설치되어 게이트도어(240)가 오픈 된 상태를 지지함과 동시에 탑승자에 의해 가해지는 무게를 지탱한다.
상기 게이트도어(240)는 선체(100)의 실외활동공간을 확장하여 수상 레포츠 시 다수의 인원이 실외활동공간에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의자부재(300)는 실내활동공간에 형성된 복수의 의자고정대(340)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탑승자가 앉는 안장부재(310)와, 탑승자가 기댈 수 있도록 안장부재(31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등받이부재(320)와, 등받이부재(320)가 상부에 놓여 안장부재(310)와 함께 침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자고정대(340)에 가로 질러 설치되는 받침패널(330)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의자고정대(340)에는 받침패널(330)이 가로질러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받침패널결합홈(341)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트랜섬(400)은 수상에서 이동하기 위해 아웃보드엔진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선체(100)의 후미 쪽에 형성되는 트랜섬설치홀(410)과, 아웃보드엔진이 설치될 수 있도록 트랜섬설치홀(410)의 내측 면에 수평부재(421)와 수직부재(422)로 이루어져 설치되는 엔진고정부재(420)와, 아웃보드엔진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탑승자가 트랜섬설치홀(410)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아웃보드엔진이 설치된 상태에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트랜섬설치홀(410)의 상부에 설치되는 트랜섬커버(430)가 구성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체(100)가 주차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브레이킹 할 수 있도록 실내활동공간 내측에 핸드브레이크를 설치하여 바퀴(140)의 구동을 단속하여 이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핸드브레이크는 통상의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기계식 또는 전자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핸드브레이크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을 육상에서 사용하는 것과 수상에서 사용하는 과정을 나누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륙양용 보트 밴을 육상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할 장소로 이동시키기 위해 차량에 설치된 견인장치에 선체(100)의 전면에 설치된 견인부재(150)와 연결한다.
상기 차량의 견인장치와 견인부재(150)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견인바(151) 상부에 설치된 견인고리(152)에 견인장치를 연결하고, 견인고리(152)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견인장치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차량의 제동장치, 미등, 브레이크등과 연동하도록 케이블연결잭(미도시)을 차량의 커넥터(미도시)와 연결하고, 차량과 연결한 상태에서 수륙양용 보트 밴을 캠핑장소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수륙양용 보트 밴을 캠핑할 장소로 이동한 상태에서 차량의 견인장치와 견인부재(150)를 분리하기 전에 선체(100)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내활동공간에 설치된 핸드브레이크에 의해 파킹 상태를 유지하고, 선체(100)의 전면지지대(170)와 후면지지대(180)를 이용하여 선체(100)의 수평을 조절한다.
상기 전면지지대(170)가 선체(100)의 전면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착탈손잡이(173)를 일측으로 당겨 락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견인바(151)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보조바퀴(178)를 지면에 닿도록 하여 선체(100)의 전면을 지지한다.
이때 보조바퀴(178)가 지면에 닿지 않거나 또는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비스듬하게 위치되면, 높이조절핸들(179)을 돌려 보조바퀴(178)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지면에 닿도록 해 선체(10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하고, 착탈손잡이(173)를 회전지지체(172)의 결합공(172-1)으로 인입시켜 조절된 상태를 고정한다.
상기 전면지지대(170)를 이용하여 선체(100)의 전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선체(100)의 후면에 설치된 후면지지대(180)를 이용하여 선체(10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한다.
상기 후면지지대(180)를 이용하여 선체(100)의 후면을 지지하는 것을 보면, 선체(100)의 후면에 설치된 길이조절부재(184)가 결합된 지지대몸체(182)의 걸림홈(182-1)에 브래킷(181)의 브래킷핀(181-1)이 결합되도록 끼운 상태에서 위치고정부재(183)를 회전시켜 길이조절부재(184)가 이동될 수 있도록 락 상태를 해제한다.
상기 위치고정부재(183)에 의해 락 상태가 해제된 길이조절부재(184)의 길이를 조절하여 선체(10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면서 길이조절부재(184)의 하부가 지면에 닿도록 하여 선체(100)를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면지지대(170)와 후면지지대(180)를 이용하여 선체(100)를 수평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선체(100)의 후면에 설치된 게이트도어(240)를 오픈 하여 실외활동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선체(100)를 주차한 상태에서 탑승자는 실내활동공간에 설치된 의자부재(300)를 이용하여 침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때 안장부재(310)가 설치된 의자고정대(340)에 가로질러 받침패널(330)을 설치한다.
상기 의자고정대(340)에 설치한 받침패널(330)의 상부에 등받이부재(320)를 설치하여 안장부재(310)와 함께 침대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밤에는 침대로 활용하고, 낮에는 방갈로와 같은 형태로 이용한다.
그리고 캠핑을 즐긴 후에는 차량의 견인장치에 견인부재(150)를 연결하여 전면지지대(170)와 후면지지대(180)를 지면에서 분리되도록 하여 선체(100)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차량에 견인부재(150)가 연결된 상태에서 핸드브레이크를 풀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선체(100)에 구성된 프론트도어(210), 팝업도어(220)는 육상에서 사용 가능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수륙양용 보트 밴을 수상에서 사용하는 과정을 통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륙양용 보트 밴을 물에서 사용하는 것을 보면, 차량의 견인장치에 연결된 선체(100)를 물에 띄우기 위해서 차량에 연결된 선체(100)의 일부분을 물로 입수시킨다.
상기 선체(100)가 물에 입수된 상태에서 차량의 견인장치와 선체(100)의 견인부재(150)를 분리하고, 분리된 상태에서 선체(100)가 파도 또는 너울에 의해 이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한 후 사람들이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루프패널(200)에서 일측으로 중심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프론트도어(210)를 개방하여 사람들이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선체(100)의 전면에 설치한 받침대(160)를 발판 삼아 탑승한다.
상기 선체(100)의 실내활동공간으로 탑승이 완료되면, 탑승자는 실외활동공간으로 이동하여 트랜섬커버(430)를 제거하고, 트랜섬홀(410)에 설치된 엔진고정부재(420)에 아웃보드엔진을 설치하여 선체(100)를 운항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아웃보드엔진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선체(100)는 헐(hull)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저항을 덜 받으면서 운항 속도를 높일 수 있어 탑승자가 원하는 장소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수상에서 선체(100)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탑승자는 수상 레포츠를 즐기기 위해 먼저 선체(100)의 후면에 설치된 게이트도어(240)를 오픈하여 실외활동공간을 넓혀 다수의 사람이 편리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루프패널(200)과 게이트도어(240) 사이에 설치된 지지체(243)에 의해 탑승자의 무게를 지탱하므로 탑승자는 안전하게 수상 레포츠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팝업도어(220)를 오픈 하면, 제1가이드부재(222-1)와 제2가이드부재(222-2)에 일측이 각각 고정된 루프실린더(222-3)가 팝업도어(220)와 함께 연동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루프패널(200)과 팝업도어(220) 사이에 설치된 가림막(221)이 함께 펼쳐져 루프패널(200)과 팝업도어(220) 사이를 막아 벌레 또는 이물질 등이 실내활동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미세하게 타공된 가림막(221)을 통해 바람이 유입되어 실내활동공간의 환경이 쾌적해 진다.
그리고 수상 레포츠 중 하나인 낚시를 즐기면서 낚은 물고기는 실외활동공간에 형성한 어창(미부호)에 보관하므로 별도의 고기바구니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실내활동공간에는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가스레인지(미부호)와 개수대(미부호)가 설치되어 있어, 수상 레포츠 시 음식을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것은 물론 음식을 조리한 조리기구를 개수대를 통해 세척하므로 수상레포츠를 즐긴 후에 별도로 사용도구를 세척하거나 또는 관리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개수대와 가스레인지에는 상기에서 설명하지 않았으나,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덮개(미부호)로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먼지 등으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별도의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 역할을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륙양용보트를 육상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라반 또는 텐트의 기능을 하고, 수상(바다 또는 강)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요트의 기능을 포함하는 보트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육상 및 수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선체 110: 본체바디
111: 보강대 120: 보강패널
121: 칸막이 130: 바닥패널
140: 바퀴 150: 견인부재
151: 견인바 152: 견인고리
160: 받침대 161: 받침바
170: 전면지지대 171: 고정브래킷
172: 회전지지체 172-1: 결합공
173: 착탈손잡이 174: 탄성체
175: 고정관 176: 길이조절관
177: 바퀴고정대 178: 보조바퀴
179: 높이조절핸들 180: 후면지지대
181: 브래킷 181-1: 브래킷핀
182: 지지대몸체 182-1: 걸림홈
183: 위치고정부재 183-1: 고정돌기
184: 길이조절부재 184-1: 위치고정공
200: 루프패널 210: 프론트도어
211: 도어실린더 220: 팝업도어
221: 가림막 222: 루프개폐부재
222-1: 제1가이드부재 222-2: 제2가이드부재
222-3: 루프실린더 223: 태양광발전부
223-1: 태양광패널 230: 슬랑이딩도어
240: 게이트도어 241: 도어래치
242: 래치결합부재 243: 지지체
300: 의자부재 310: 안장부재
320: 등받이부재 330: 받침패널
340: 의자고정대 400: 트랜섬
410: 트램섬설치홀 420: 엔진고정부재
421: 수평부재 422: 수직부재
430: 트랜섬커버

Claims (9)

  1. 내측에 보강대(111)를 설치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하부에 바퀴(140)가 설치되어 육상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헐(hull)을 유선형으로 형성하여 운항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본체바디(110), 보강패널(120), 바닥패널(130)로 이루어지는 선체(100)와;
    주거 또는 간단한 조리 및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도록 선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활동공간과 실외활동공간을 구분하는 루프패널(200)과;
    탑승자가 의자 또는 침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선체(100)의 실내활동공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의자부재(300)와;
    수상에서 아웃보드엔진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선체(100)의 후미 쪽에 아웃보드엔진이 설치되는 트랜섬(400);으로 구성되되,
    상기 루프패널(200)은,
    선체(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실내활동공간과 실외활동공간을 제공하면서 프론트도어(210), 팝업도어(220), 슬라이딩도어(230) 및 게이트도어(240)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프론트도어(210)는 탑승자가 선체(100)의 전면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루프패널(20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팝업도어(220)는 선체(100)의 실내활동공간의 개방감 향상 및 활동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도록 태양광발전부(223) 및 가림막(221)을 가지며 루프패널(200)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230)는 선체 후방 쪽에 설치되어 실내활동공간과 실외활동공간을 구분할 수 있도록 선체(100)와 루프패널(200) 사이에 슬라이딩 형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게이트도어(240)는 실외활동공간을 확장함과 동시에 레저 스포츠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선체(100)의 후방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 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100)는,
    본체바디(110), 보강패널(120), 바닥패널(130)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바디(110)는 강성 및 내구성을 증대하는 보강대(111)와 평형수가 유입 및 배출되는 밸러스트가 구성되어 선체의 평형을 유지하면서 운항 속도를 높일 수 있도록 헐(hull)을 유선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보강패널(120)은 선체(100)의 강성,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평형수가 저장되는 칸막이(121)을 가지며 본체바디(110)의 중앙과 양측 가장자리 쪽에 설치되며,
    상기 바닥패널(130)은 선체(100)와 보강패널(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탑승자에게 선체(100)에서 이동과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 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100)는,
    차량의 뒤쪽에 설치된 견인장치와 연결되어 육상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보강대(111)에 연설되어 선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견인부재(150)와;
    육상에서 선체의 회전 또는 해상에서 선체로 입실할 때 탑승자가 붙잡을 수 있도록 견인부재(150) 상부에 위치되어 선체의 전면에 설치되는 받침대(160)와;
    육상에서 선체(100)의 전면을 지지함은 물론 선체(100)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견인부재(150) 일측에서 회전 및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면지지대(170)와;
    선체(100) 후면을 지탱하며 수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선체(100)의 후면에 길이 조절 및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면지지대(18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 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도어(210)는,
    루프패널(200)에서 일측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도어실린더(211)가 복수로 설치되고,
    프론트도어(210)의 외측과 내측에 외측레버와 내측레버가 연설되게 설치되며,
    외측레버는 시건 장치와 연동되어 락 기능을 해제한 후 오픈하고,
    내측레버는 시건 장치와 연동되어 락 기능을 해제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오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 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도어(220)는,
    루프패널(200)의 상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개폐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루프개폐부재(222)가 복수로 설치되고,
    루프패널(200)과 팝업도어(220) 사이에 미세하게 타공 된 가림막(221)이 설치되며,
    가림막(221)은 팝업도어(220)의 개폐시 연동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 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도어(240)는,
    선체(100)와 루프패널(200)에 일측으로 설치되어 개폐를 제어하는 리어회전손잡이가 일측에 설치되고,
    리어회전손잡이가 설치된 양측으로 도어래치(241)가 각각 설치되어 루프패널(200)에 설치된 래치결합부재(242)와 결합하여 게이트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며,
    게이트도어(240)로 가해지는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루프패널(200)과 게이트도어(240)에 지지체(243)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 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부재(300)는,
    실내활동공간에 형성된 복수의 의자고정대(340)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탑승자가 앉는 안장부재(310)와;
    탑승자가 기댈 수 있도록 안장부재(310)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등받이부재(320)와;
    안장부재(310)와 함께 등받이부재(320)를 침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자고정대(340)에 가로 질러 설치되는 받침패널(3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 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섬(400)은,
    수상에서 이동하기 위해 아웃보드엔진을 설치할 수 있도록 선체의 후미 쪽에 형성되는 트랜섬설치홀(410)과;
    아웃보드엔진이 설치될 수 있도록 트랜섬설치홀(410)의 내측에 수평부재(421)와 수직부재(422)로 이루어져 고정되는 엔진고정부재(420)와;
    아웃보드엔진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탑승자가 트랜섬설치홀(410)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아웃보드엔진이 설치된 상태에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트랜섬설치홀(410) 상부에 설치되는 트랜섬커버(4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보트 밴.
KR1020170016965A 2017-02-07 2017-02-07 수륙양용 보트 밴 KR101939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65A KR101939331B1 (ko) 2017-02-07 2017-02-07 수륙양용 보트 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965A KR101939331B1 (ko) 2017-02-07 2017-02-07 수륙양용 보트 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574A KR20180091574A (ko) 2018-08-16
KR101939331B1 true KR101939331B1 (ko) 2019-01-16

Family

ID=63443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965A KR101939331B1 (ko) 2017-02-07 2017-02-07 수륙양용 보트 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349A (ko) 2021-01-20 2022-07-27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이-플랫폼 모듈러 생산공법을 적용한 육해상 단기거주형 모빌리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450B1 (ko) * 2019-07-12 2020-02-11 석용희 차량용 팝업텐트
KR102358082B1 (ko) * 2020-09-14 2022-02-07 차홍철 캠핑용 카라반
CN113043803B (zh) * 2020-12-25 2022-07-12 东风越野车有限公司 一种厢式水陆两栖车的下船体结构
WO2023204781A1 (en) * 2022-04-22 2023-10-26 Yenice Aylin Portable floating carava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713B1 (ko) * 2011-05-03 2012-03-23 오세환 높이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캠핑트레일러를 구비한 이동식 펜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900B1 (ko) * 1996-07-25 2000-09-01 김성윤 자동차에 장착되는 착탈식 테이블
KR100398990B1 (ko) 2001-02-09 2003-09-1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고배율 줌 렌즈
KR20120013753A (ko) 2010-08-06 2012-02-15 에이원마린테크 주식회사 수륙양용보트
KR20150096548A (ko) 2014-02-14 2015-08-25 주식회사 빅스크래프트 트레일러를 구비하는 수륙양용보트
KR101720789B1 (ko) * 2015-04-02 2017-04-03 에스디엔 주식회사 소형 선박 및 이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713B1 (ko) * 2011-05-03 2012-03-23 오세환 높이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캠핑트레일러를 구비한 이동식 펜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5349A (ko) 2021-01-20 2022-07-27 재단법인 중소조선연구원 이-플랫폼 모듈러 생산공법을 적용한 육해상 단기거주형 모빌리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574A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331B1 (ko) 수륙양용 보트 밴
US4522143A (en) Folding boat with bow and stern sections
US8028641B1 (en) Convertible bench seat/platform for pontoon boats
US6837173B2 (en) Watercraft
US8752492B1 (en) Paddle board with removable seat
US6886490B2 (en) Deck boat
US8789487B2 (en) Personal watercraft
US3475773A (en) Convertible boat hull
US8245657B2 (en) Personal watercraft with pivotable platform
US7699010B2 (en) Personal watercraft with deflector
US20080196649A1 (en) Hatch assembly with seat and storage bin
US6739280B2 (en) Boat with swing seating
US7849808B2 (en) Personal watercraft
US5832862A (en) Amphibious vehicle
US20020134296A1 (en) Attachment for increasing seaworthiness and utility of inflatable boats
CN2281310Y (zh) 多用途双体船
CN111267709A (zh) 可集成在房车中的游艇
KR20150096548A (ko) 트레일러를 구비하는 수륙양용보트
US6240872B1 (en) Foldable boat
US20130118395A1 (en) Conversion kit for personal watercraft to rigid inflatable
CN215904392U (zh) 一种自带游艇的通勤旅居两用房车
US20040031430A1 (en) Deck boat
CN211844214U (zh) 可集成在房车中的游艇
KR20150029270A (ko) 수륙양용트레일러
CN211364841U (zh) 一种观光休闲双体游览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