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669A -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 Google Patents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1669A
KR20130071669A KR1020110139013A KR20110139013A KR20130071669A KR 20130071669 A KR20130071669 A KR 20130071669A KR 1020110139013 A KR1020110139013 A KR 1020110139013A KR 20110139013 A KR20110139013 A KR 20110139013A KR 20130071669 A KR20130071669 A KR 20130071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heat exchange
air
evaporator
free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형기우
형성훈
류인재
신대정
김기철
Original Assignee
(주)동양화학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화학,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동양화학
Priority to KR1020110139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1669A/ko
Publication of KR2013007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7Evaporator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3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with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2Two or more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는 증발기(30)가 배치되고 냉동냉장고 고내(10)의 공기가 유입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공간부(20)가 냉동냉장고 고내(10) 후측에 구비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에 있어서, 중심부에 토출구(41)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41)를 기준으로 2개 이상의 유입구(42)가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냉동냉장고 고내(10)와 열교환공간부 사이(20)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도록 증발기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제어패널(40); 및 상기 토출구(41)에 설치되어 열교환공간부(20)의 공기가 냉동냉장고 고내(10)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팬(5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토출팬(50)의 동작에 의해 냉동냉장고 고내(10)의 공기가 상기 유입구(42)를 통해 열교환공간부(20)로 유입된 후 상기 토출구(41)를 통해 냉동냉장고 고내(10)로 토출되도록 한다. 이에 의하면, 열교환공간부에서 대부분의 공기가 증발기를 직접 통과하지 않고 냉각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냉동냉장고 내부에 발생되는 성에를 최소화하고 성에 발생을 최대한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COOLING AIR FLOW STRUCTURE OF REFRIGERATOR AGAINST FROST}
본 발명은 냉동냉장고 냉기의 유동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교환공간부에서 대부분의 공기가 증발기를 직접 통과하지 않고 냉각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냉동냉장고 내부에 발생되는 성에를 최소화하고 성에 발생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는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동냉장고 냉기의 유동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435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냉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이 냉기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증발기의 뒤에 설치되는 구조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성에는 공기중의 수증기가 어는 점 이하의 온도에서 승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습도가 높을수록 즉 포화상태의 수증기 일수록 성에가 잘 발생된다.
종래의 냉동냉장고 냉기 유동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동냉장고 고내(1)의 높은 습기를 함유한 공기(이하 '고함습공기'라 함)가 열교환공간부(2) 하측으로 유입되고, 세로 방향의 냉각 핀(5)이 형성된 증발기(4)의 냉각핀 사이를 통과하여 냉각되면서, 낮은 습기를 함유한 공기 내지 건조공기로 변환된 후 송풍팬(6)에 의해 다시 냉동냉장고의 고내(1)로 순환되는 구조이다.
즉, 종래의 냉동냉장고 냉기 유동 구조는 냉동냉장고 고내의 공기가 열교환공간부(2)로 유입된 대부분의 고함습공기가 필연적으로 증발기(4)를 통과하며 냉각되는 구조이다.
이때, 증발기(4)를 통과하기 전의 고온 냉기(즉, 증발기를 통과한 후의 공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온인 냉기)는 고함습 냉기(즉, 증발기를 통과한 후의 공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습도인 냉기)이고, 이러한 고함습냉기가 증발기를 통과하며 고화(승화)되면서 필연적으로 증발기(4) 또는 냉동냉장고 고내(1)에 다량의 성에가 짧은 시간 내에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성에는 증발기에서의 열교환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종래의 냉동냉장고 냉기 유동 구조는 상기와 같이 발생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제상장치가 요구된다.
그러나 별도의 제상장치는 열을 이용하여 발생한 성에를 제거하는 장치로서 가열을 위한 별도의 에너지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제상 과정 중에는 냉동 혹은 냉각 등의 열교환 과정이 진행되지 않으므로 에너지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냉장고 고내와 증발기 사이에 중앙부분에 토출팬이 설치된 토출구가 형성되고 토출구를 기준으로 유입구가 대칭적으로 형성된 제어패널을 구비하여, 냉동냉장고 고내에서 열교환공간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대부분이 증발기의 냉각핀 사이를 직접 통과하지 않고 냉각된 후 냉동냉장고 고내로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동냉장고 고내면과 증발기(30)가 이격배치되고, 이격된 공간에서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공간부(20)가 고내(10) 후측에 구비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 일측에 토출구(41)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41)와 이격되어 복수 개의 유입구(42)가 형성되어, 냉동냉장고 고내(10)와 열교환공간부 사이(20)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도록 증발기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제어패널(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토출구(41)에 설치되어 열교환공간부(20)의 공기가 냉동냉장고 고내(10)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팬(5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입구(42)로 유입된 고내(10) 공기의 일부는 제어패널(40)과 증발기(30) 사이공간(d1)인 제1열교환부(21)로 이동되어 냉각된 후 토출구(41)로 토출되며, 유입공기의 잔부는 증발기(30)의 후면부와 고내면 사이공간(d2)에 형성된 제2 열교환부(23)로 이동되어 증발부를 통과하며 냉각된 후 토출구(41)로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패널(40)에 형성되는 토출구는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42)는 외부 가장자리와 고내면과의 사이공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패널(40)은 토출구(41)를 기준으로 제어패널의 가장자리가 냉동냉장고 고내(10) 방향으로 경사진 방사형태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패널(40)의 방사형태는 가상의 수직면(45)을 기준으로 5도 내지 30도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30)는 유입구(42)를 통해 열교환공간부(20)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제2열교환부(22)로 이동되도록 고내 측면과 이격된 이동로(23)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증발기(30)에는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으로부터 냉동냉장고 고내(10) 중심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냉각 핀(35)이 설치되어, 증발기(30)와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 사이로 이동된 공기가 냉동냉장고 고내(10) 중심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 개의 냉각 핀(35) 각각의 일측단과 타측단에는 각각 증발기(30)와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 사이로 이동된 공기의 이동이 각 냉각 핀(35) 사이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꺾임부(36)와 각 냉각 핀(35) 사이로 유도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41)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꺾임부(37)가 상하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열교환부(21)로 이동되는 유입공기의 일부 및 제2열교환부(23)로 이동되는 유입공기의 잔부의 비율이 조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유입공기의 일부가 상기 유입공기의 잔부보다 많은 것을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증발기(30)가 배치되고 냉동냉장고 고내(10)의 공기가 유입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공간부(20)가 냉동냉장고 고내(10) 후측에 구비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에 있어서, 중심부에 토출구(41)가 형성되고 토출구(41)를 기준으로 2개 이상의 유입구(42)가 대칭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 패널(40a, 40b, 40c, 40d)이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냉동냉장고 고내(10)와 열교환공간부 사이(20)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도록 증발기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제어패널(40); 및 토출구(41)에 설치되어 열교환공간부(20)의 공기가 냉동냉장고 고내(10)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팬(50)을 구비함으로써, 토출팬(50)의 동작에 의해 냉동냉장고 고내(10)의 공기가 유입구(42)를 통해 열교환공간부(20)로 유입된 후 상기 토출구(41)를 통해 냉동냉장고 고내(10)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에 따르면, 열교환공간부에서 대부분의 공기가 증발기를 직접 통과하지 않고 냉각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냉동냉장고 내부에 발생되는 성에를 최소화하고 성에 발생을 최대한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동냉장고 냉기 유동 구조에 관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 방향에서 바라본 제어패널(40)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제어패널이 방사형태로 형성된 경우의 내부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방향개념은 다음과 같다. 도 2를 기준으로 고내(10)의 후측은 도 2의 우측을 의미한다. 제어페널(40)이 증발기(30)의 전면부에 설치된다는 것은 도 2에서 증발기(30)의 좌측에 설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열교환공간부의 후측은 도 4를 기준으로 우측공간인 제2열교환부(22)를 의미하며, 열교환공간부(20)의 전측은 도 4를 기준으로 증발기(30)의 좌측공간인 제1열교환부(21)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는 증발기(30)가 배치되고 냉동냉장고 고내(10)의 공기가 유입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공간부(20)가 냉동냉장고 고내(10) 후측에 구비되는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를 기본 구조로 한다. 상기 기본 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사항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는 냉동냉장고 고내면과 증발기(30)가 이격배치되고, 이격된 공간에서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공간부(20)가 고내(10) 후측에 구비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를 전제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 일측에 토출구(41)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41)와 이격되어 복수 개의 유입구(42)가 형성되어, 냉동냉장고 고내(10)와 열교환공간부 사이(20)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도록 증발기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제어패널(40)을 포함한다.
또한, 토출구(41)에 설치되어 열교환공간부(20)의 공기가 냉동냉장고 고내(10)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팬(50)(도3참조)이 구비된다.
이러한 구조는 유입구(42)로 유입된 고내(10) 공기의 일부는 제어패널(40)과 증발기(30) 사이공간(d1)인 제1열교환부(21)로 이동되어 냉각된 후 토출구(41)로 토출되며, 유입공기의 잔부는 증발기(30)의 후면부와 고내면 사이공간(d2)에 형성된 제2 열교환부(23)로 이동되어 증발부를 통과하며 냉각된 후 토출구(41)로 토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는 냉동냉장고 고내(10)와 열교환공간부(20) 사이를 분리시키는 제어패널(40)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토출구(41)는 제어패널(40)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후의 설명에서는 중심부에 설치되는 실시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입구(42)는 제어패널(40)의 외부 가장자리와 고내면과의 사이공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에 표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제어패널(40)의 구성도이다.
제어패널(40)은 상기 냉동냉장고 고내(10)와 열교환공간부(20) 사이에 설치되어 냉동냉장고 고내(10)와 열교환공간부(20)가 분리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냉동냉장고 고내(10)와 열교환공간부(20) 사이의 공기의 흐름에 관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패널(40)에는 중심부에 관통 공간인 토출구(41)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41)를 기준으로 공간부인 유입구(42)가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호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토출구(41)에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팬을 포함하는 토출팬(5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토출팬(50)은 상기 열교환공간부(20) 내의 공기가 상기 냉동냉장고 고내(10)로 토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토출팬(50)의 동작에 의해 상기 냉동냉장고 고내(10)의 공기가 상기 유입구(42)를 통해 열교환공간부(20)로 유입되고, 상기 열교환공간부(20)에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30)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되며 상기 토출구(41)를 통해 다시 상기 냉동냉장고 고내(10)로 토출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토출팬(50)이 설치되는 토출구(41)는 상기 제어패널(40)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42)는 상기 토출구(41)를 중심으로 상기 제어패널(40)의 가장자리 쪽에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42)를 통해 열교환공간부(20)로 유입된 공기의 대부분은 상기 제어패널(40)의 일측면, 즉 상기 제어패널(40)의 측면 중 상기 열교환공간부(20)와 접촉되는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제어패널(40)의 일측면을 따라서 상기 토출구(41) 쪽으로 이동되도록 유도된다.
이 단계에서 베르누이의 원리가 적용된다. 즉 유체속도가 증가하면 공기의 압력이 감소하고, 공기의 속도가 감소하면 공기의 압력은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 제어판넬(40)과 증발기(30)의 간격(도2의 d1)이 좁아질수록 유입된 공기의 유속이 증가하게 되며, 이 부분의 공기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 부분의 공기압력이 감소되면 공기압력이 보다 큰 영역의 공기가 이 부분으로 더욱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고내에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고함습공기의 대부분이 d1 간격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성에가 발생될 가능성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유입구(42)를 통해 열교환공간부(20)로 유입된 공기 중 대부분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30)를 관통하며 직접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어패널(40)과 증발기(30) 사이(즉, 제1 열교환공간부, 21)(도4참조)에서 상기 제어패널(40)의 일측면을 따라 상기 토출구(41) 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증발기(30) 내지 냉각 핀에서의 성에 발생을 최대한 지연시키고 그 발생 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42)를 통해 열교환공간부(20)로 유입된 공기 중 매우 적은 양의 공기만이 상기 증발기(30)와 상기 열교환공간부(20)의 후측 내면 사이로 유입되고, 이 공기에 의해서만 성에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도 2, 4 및 6에 표시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증발기(30)와 상기 열교환공간부(20)의 후측 내면 사이(즉, 제2 열교환공간부, 22)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상기 증발기(30)와 열교관부(20)의 후측 내면 사이의 거리(d2)를 조정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패널(40)의 형태를 방사형태(도4참조)로 형성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즉 제어패널(40)은 토출구(41)를 기준으로 제어패널의 가장자리가 냉동냉장고 고내(10) 방향으로 경사진 방사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패널(40)의 일측면을 따라 상기 토출구(41) 측으로 이동되는 공기는 상기 제어패널(40)의 일측면과 상기 증발기(40) 사이공간(d1)인 제1 열교환부(21)에서 불균일한 유입에 의하여 일종의 와류(渦流) 현상인 소용돌이가 발생된다.
즉, 상기 냉동냉장고 고내(10)로부터 상기 열교환공간부(20)로 유입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의 대부분은 상기 증발기(30)를 직접 관통하며 이동되지 않고, 상기 제어패널(40)과 상기 증발기(30)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소용돌이에 의해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이때, 상기 유입구(42)는 제어패널(40)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냉동냉장고 고내(10)로부터 상기 열교환공간부(20)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어패널(40)의 일측면을 따라 상기 토출구(41) 측으로 잘 유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유입구(42)의 면적의 총 합은 상기 토출구(41) 면적의 1/3 면적 내지 같은 면적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제어패널이 방사형태로 형성된 경우의 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패널(40)이 상기 토출구(41)를 기준으로 상기 냉동냉장고 고내(10) 방향의 방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패널(40)은 상기 증발기(30)와의 이격 거리(d1)가 상기 토출구(41)로부터 상기 유입구(42)로 갈수록 멀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40)의 방사형태의 정도에 의해 상기 증발기(30)와 상기 열교환공간부(20)의 후측 내면(25)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패널(40)의 방사형태가 가상의 수직면(45)으로부터 상기 토출구(41)로부터 상하로 상기 제어패널(40)의 측면이 이루는 각도(θ)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증발기(30)와 상기 열교환공간부(20)의 후측 내면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θ 값이 클수록 상기 증발기(30)와 상기 열교환공간부(20)의 후측 내면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더욱 감소될 것이다.
이때, 상기 증발기(30)와 상기 열교환공간부(20)의 후측 내면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유입구(42)를 통해 열교환공간부(20)로 유입되는 공기의 냉각 효율을 일정 부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므로, 상기 증발기(30)와 상기 열교환공간부(20)의 후측 내면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전혀 배제시키기 보다는 일정량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30)와 상기 열교환공간부(20)의 후측 내면 사이로 유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제상작업을 위해, 냉각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성에가 발생되지 않는 구조를 만들어 전체적인 냉각효율은 증가시키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개념인 것이다. 이때 냉각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일정량의 공기는 증발기의 냉각핀 사이를 관통시키는 구조이다.
따라서, 우선 상기 증발기(30)는 상기 유입구(42)를 통해 상기 열교환공간부(20)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 사이로 이동될 수 있도록 열교환공간부(20)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패널(40)의 형태를 방사형태로 형성하는 정도, 즉 상기 θ 값의 조정과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 사이의 거리(d2)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 사이로 이동되는 공기의 바람직한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증발기(30)에 구비되는 냉각 핀(35)을 상하 방향이 아닌, 수평 방향, 즉 상기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으로부터 상기 냉동냉장고 고내(10)로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한다.
즉, 상기 증발기(30)와 상기 열교환공간부(20)의 후측 내면 사이로 유입되는 공기가 아래에서 위로 상기 증발기(30)를 관통하며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증발기(30)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냉착 핀(35)을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냉각 핀(35)에 의해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 사이로 이동된 공기가 상기 냉동냉장고 고내(1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을 뿐, 상기 증발기(30)를 아래에서 위로 관통하며 이동되는 공기는 발생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증발기에서 발생되는 성에의 양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복수 개의 냉각 핀(35) 각각의 일측단과 타측단에는 각각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 사이로 이동된 공기의 이동이 각 냉각 핀(35) 사이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꺾임부(36)와 상기 각 냉각 핀(35) 사이로 유도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41)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꺾임부(37)가 상하 대칭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 참조).
상기 제1 꺾임부(36)는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 사이로 이동된 공기가 상기 냉각 핀(35) 사이로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 꺾임부(37)는 상기 냉각 핀 (35) 사이로 유도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41)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기능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증발기(3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는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 사이로 일정량의 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패널(3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패널(38)은 상기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 사이로 이동되는 공기의 양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열교환공간부(20)에서의 냉각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도패널(38)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어패널(4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냉동냉장고 고내(10)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공간부(20)로 최초 유입시 직선 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유도하여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 사이로 일정량의 공기가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패널(48)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패널(48)과 유도패널(38)은 함께 구비되거나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 있으며, 패널(48)과 유도패널(38)에 의해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 사이로 유도되는 공기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냉동냉장고의 용량이 큰 경우, 제어패널(40)에 의한 냉기 유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패널(40)을 단위 패널(40a, 40b, 40c, 40d)로 구성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는 격자 형태의 단위 패널(40a, 40b, 40c, 40d)이 형성된 제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패널의 개수는 냉동냉장고의 내부 용량에 따라 적합한 개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4 개의 단위패널(40a, 40b, 40c, 40d)이 격자 형태로 형성된 제어패널(40)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패널(40)이 격자 형태의 단위 패널(40a, 40b, 40c, 40d)로 구성되는 것 이외에 냉기 유동의 기본적인 구조는 상술한 바와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는, 상기 제어패널(40)이 냉동냉장고 고내(10)와 열교환공간부(20) 사이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도록 증발기의 전면부에 설치되되, 상기 제어패널(40)에는 중심부에 토출구(41)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41)를 기준으로 2개 이상의 유입구(42)가 대칭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 패널(40a, 40b, 40c, 40d)이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단위 패널(40a, 40b, 40c, 40d)에서 냉동냉장고 고내(10)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공간부(20)로 유입되고 다시 냉동냉장고 고내(10)로 토출되는 과정은 상기 각 단위 패널(40a, 40b, 40c, 40d) 단위마다 이루어지고, 이때 상기 각 단위 패널(40a, 40b, 40c, 40d)에 의한 냉기의 순환 원리 및 구조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 냉동냉장고 고내 20: 열교환공간부
21: 제1 열교환공간부 22: 제2 열교환공간부
23: 이동로 25: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
30: 증발기 35: 냉각 핀
36: 제1 꺾임부 37: 제2 꺾임부
38: 유도패널 40: 제어패널
40a, 40b, 40c, 40d: 단위 패널
41: 토출구 42: 유입구
50: 토출팬 48: 가이드 패널

Claims (10)

  1. 냉동냉장고 고내면과 증발기(30)가 이격배치되고, 이격된 공간에서 공기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공간부(20)가 고내(10) 후측에 구비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에 있어서,
    내부 일측에 토출구(41)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41)와 이격되어 복수 개의 유입구(42)가 형성되어, 냉동냉장고 고내(10)와 열교환공간부 사이(20)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도록 증발기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제어패널(40); 및
    상기 토출구(41)에 설치되어 열교환공간부(20)의 공기가 냉동냉장고 고내(10)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팬(50)을 구비하며,
    유입구(42)로 유입된 고내(10) 공기의 일부는 제어패널(40)과 증발기(30) 사이공간(d1)인 제1열교환부(21)로 이동되어 냉각된 후 토출구(41)로 토출되며, 유입공기의 잔부는 증발기(30)의 후면부와 고내면 사이공간(d2)에 형성된 제2 열교환부(23)로 이동되어 증발부를 통과하며 냉각된 후 토출구(41)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40)에 형성되는 토출구는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42)는 외부 가장자리와 고내면과의 사이공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40)은 상기 토출구(41)를 기준으로 제어패널의 가장자리가 냉동냉장고 고내(10) 방향으로 경사진 방사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패널(40)의 방사형태는 가상의 수직면(45)을 기준으로 5도 내지 30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0)는 상기 유입구(42)를 통해 상기 열교환공간부(20)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가 상기 제2열교환부(22)로 이동되도록 고내 측면과 이격된 이동로(23)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0)에는 상기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으로부터 상기 냉동냉장고 고내(10) 중심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냉각 핀(35)이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 사이로 이동된 공기가 상기 냉동냉장고 고내(10) 중심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냉각 핀(35) 각각의 일측단과 타측단에는 각각 상기 증발기(30)와 열교환공간부의 후측 내면(25) 사이로 이동된 공기의 이동이 각 냉각 핀(35) 사이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는 제1 꺾임부(36)와 상기 각 냉각 핀(35) 사이로 유도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41)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꺾임부(37)가 상하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제1열교환부(21)로 이동되는 유입공기의 일부 및 제2열교환부(23)로 이동되는 유입공기의 잔부의 비율이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기의 일부가 상기 유입공기의 잔부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10. 증발기(30)가 배치되고 냉동냉장고 고내(10)의 공기가 유입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공간부(20)가 냉동냉장고 고내(10) 후측에 구비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에 있어서,
    중심부에 토출구(41)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41)를 기준으로 2개 이상의 유입구(42)가 대칭적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단위 패널(40a, 40b, 40c, 40d)이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냉동냉장고 고내(10)와 열교환공간부 사이(20)의 공기 흐름을 제어하도록 증발기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제어패널(40); 및
    상기 토출구(41)에 설치되어 열교환공간부(20)의 공기가 냉동냉장고 고내(10)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팬(5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토출팬(50)의 동작에 의해 냉동냉장고 고내(10)의 공기가 상기 유입구(42)를 통해 열교환공간부(20)로 유입된 후 상기 토출구(41)를 통해 냉동냉장고 고내(10)로 토출되도록 하는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KR1020110139013A 2011-12-21 2011-12-21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KR20130071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013A KR20130071669A (ko) 2011-12-21 2011-12-21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013A KR20130071669A (ko) 2011-12-21 2011-12-21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669A true KR20130071669A (ko) 2013-07-01

Family

ID=48986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013A KR20130071669A (ko) 2011-12-21 2011-12-21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166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2093A (zh) * 2014-01-21 2015-07-22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风道组件和具有其的冰箱
CN113063254A (zh) * 2020-01-02 2021-07-02 Lg电子株式会社 玄关用冰箱
US11493257B2 (en) 2020-01-02 2022-11-08 Lg Electronics Inc. Entrance refrigerator
US11512894B2 (en) 2020-01-0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Storage system for house entrance
US11662133B2 (en) 2020-01-02 2023-05-30 Lg Electronics Inc. Entrance refrigerator
US11674739B2 (en) 2020-01-02 2023-06-13 Lg Electronics Inc. Entrance refrigerato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2093A (zh) * 2014-01-21 2015-07-22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风道组件和具有其的冰箱
CN104792093B (zh) * 2014-01-21 2018-01-16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风道组件和具有其的冰箱
CN113063254A (zh) * 2020-01-02 2021-07-02 Lg电子株式会社 玄关用冰箱
EP3845835A1 (en) * 2020-01-02 2021-07-07 LG Electronics Inc. Entrance refrigerator
US11493257B2 (en) 2020-01-02 2022-11-08 Lg Electronics Inc. Entrance refrigerator
US11512894B2 (en) 2020-01-0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Storage system for house entrance
CN113063254B (zh) * 2020-01-02 2022-12-30 Lg电子株式会社 玄关用冰箱
US11543169B2 (en) 2020-01-02 2023-01-03 Lg Electronics Inc. Entrance refrigerator
US11662133B2 (en) 2020-01-02 2023-05-30 Lg Electronics Inc. Entrance refrigerator
US11674739B2 (en) 2020-01-02 2023-06-13 Lg Electronics Inc. Entrance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1669A (ko) 성에 착상지연을 위한 냉동냉장고의 냉기 유동 구조
CN105865121B (zh) 冷藏冷冻装置
WO2017166442A1 (zh) 冷藏冷冻装置
WO2017166575A1 (zh) 冷藏冷冻装置
WO2019008664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5049008A (ja)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機用熱交換器
TWI600867B (zh) 冰箱
CN110411070A (zh) 蒸发单元和具有蒸发单元的冰箱
AU2015232878A1 (en) Refrigerator
KR20100085612A (ko) 냉장고
JP5847198B2 (ja) 冷蔵庫
KR20230035103A (ko) 증발기, 이의 제어 방법 및 냉장 진열장
JP2007322061A (ja) 空気調和装置
WO2021258819A1 (zh) 冰箱
JP2011127794A (ja) 熱交換器
KR20190074604A (ko) 응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JP2008039387A (ja) 冷凍機内蔵型ショーケース
JP6157729B2 (ja) ユニットクーラ
KR20140116625A (ko) 열교환기
JP6762247B2 (ja) 冷凍冷蔵装置
JP5188564B2 (ja) ショーケース及び冷凍装置
TWM522328U (zh) 製冷裝置
WO2023068023A1 (ja) 冷蔵庫
JP7129372B2 (ja) 冷蔵装置
WO2023063165A1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