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1446A - 위상차 필름 - Google Patents

위상차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1446A
KR20130071446A KR1020130046391A KR20130046391A KR20130071446A KR 20130071446 A KR20130071446 A KR 20130071446A KR 1020130046391 A KR1020130046391 A KR 1020130046391A KR 20130046391 A KR20130046391 A KR 20130046391A KR 20130071446 A KR20130071446 A KR 20130071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liquid crystal
retardation film
carbon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6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훈
조민성
최봉진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46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1446A/ko
Publication of KR20130071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1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배향막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적 결합으로 접합된 액정층과 배향막을 구비한 위상차 필름으로서, 상기 화학적 결합은 상기 액정층과 상기 배향막이 각각 포함하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그 말단에 포함하는 접착력 강화제 간의 탄소-탄소 포화결합을 포함함으로써, 액정층 및 배향막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양 측면에 형성되는 서로 다른 층들과 화학적으로 결합을 형성하여 각 층간 접착력이 매우 높은 위상차 필름의 제조에 사용되는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상차 필름{A retardation film}
본 발명은 층간 접착력이 우수한 위상차 필름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입체감을 느끼는 요인은 생리적인 요인과 경험적인 요인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화상표시 기술은 근거리에서 입체감을 인식하는 가장 큰 요인인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고 있다.
양안시차 원리는 적어도 두 개의 입체 화상 취득용 카메라로 서로 다른 각도에서 시청자가 좌안을 통하여 시청하는 좌안상과 우안을 통하여 시청하는 우안상을 촬영한 후 이를 분리하여 시청자의 눈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인간의 두 눈이 각기 다른 각도에서 망막을 통하여 사물을 받아들이고 이들 두 개의 상이 대뇌에서 합성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입체 화상을 관측하는 방식은 크게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과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 방식이 있다.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1) 양안에 각각 서로 구분되는 색상들의 색안경을 쓰는 애너그리프(anaglyph)방식, (2) 각각 편광 방향이 다른 편광안경을 쓰는 편광방식, 및 (3)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시킨 전자 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쓰는 시분할방식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편광방식을 채택한 안경은 시청자의 위치에 상관없이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으며 어지러움증이나 눈의 피로감이 적고 제조도 용이하여 가장 주목을 받고 있다.
편광방식 안경을 이용하는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기재에 패턴화된 위상차층이 형성된 것)이 포함되며,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은 편광판의 한 면에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매개로 접합된다.
이러한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은 기재, 배향막 및 경화 액정층이 순차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위 위상차 필름은 각 층간의 접착강도가 작아서, 위상차 필름을 점착제로 기판 상에 부착한 후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공정에서 위상차 필름의 층간 박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각 층간의 접착력이 우수한 위상차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화학적 결합으로 접합된 액정층과 배향막을 구비한 위상차 필름으로서, 상기 화학적 결합은 상기 액정층과 상기 배향막이 모두 포함하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그 말단에 포함하는 접착력 강화제 간의 탄소-탄소 포화결합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2. 위 1에 있어서, 상기 접착력 강화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인 위상차 필름:
Figure pat00001
(식 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3 및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케톤기, 에스테르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R4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아미드기, 케톤기, 에스테르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R5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임),
Figure pat00002
(식 중,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9 및 R11은 서로 독립적으로 케톤기, 에스테르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R10는 (a)
Figure pat00003
또는 (b)
Figure pat00004
이고, E1 및 E3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이고, E2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임),
Figure pat00005
(식 중, R1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13은 케톤기, 에스테르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임) 및
Figure pat00006
(식 중, R14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15는 케톤기, 에스테르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임).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접착력 강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기를 포함하는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로 형성된 위상차 필름.
4. 위 3에 있어서, 상기 액정성 화합물의 반응성기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 히드록시기, 에폭시기 또는 시아노기인 위상차 필름.
5. 위 4에 있어서, 액정층과 배향막 사이의 화학적 결합은 상기 액정층의 액정성 화합물의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과 상기 배향막의 접착력 강화제의(메타)아크릴레이트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탄소-탄소 포화결합을 더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6. 위 4에 있어서, 액정층과 배향막 사이의 화학적 결합은 상기 액정층의 액정성 화합물의 히드록시기, 에폭시기 또는 시아노기와 상기 배향막의 접착력 강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우레탄 결합을 더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7. 위 3에 있어서, 액정층 형성용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액정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접착력 강화제 0.1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8. 위 1에 있어서, 배향막은 신나메이트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광배향제를 더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로 형성된 위상차 필름.
9. 위 8에 있어서, 배향막 형성용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광배향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접착력 강화제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10. 위 1에 있어서, 배향막의 액정층과 접합된 면의 반대편 면은 표면에 접착력 강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기를 갖는 기재와 접합된 위상차 필름.
11. 위 10에 있어서, 기재 표면의 반응성기는 히드록시기, 티올기, 카르복시기, (메타)아크릴레이트기, 아민기 및 에폭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위상차 필름.
12. 위 10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표면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사이클로올레핀계 또는 PMMA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13. 위 12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는 검화 처리, 프라이머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및 코팅 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인 위상차 필름.
14. 위 13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원격 플라즈마(Remote plasma) 처리, 직접 플라즈마(Direct plasma) 처리 및 단량체 플라즈마(Monomer plasma) 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위상차 필름.
15. 위 10에 있어서, 배향막과 기재는 우레탄 결합, 티올렌 결합 또는 탄소-탄소 포화결합에 의해 접합된 위상차 필름.
16. 위 15에 있어서, 배향막과 기재 사이의 우레탄 결합은 상기 배향막의 접착력 강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기재의 히드록시기, 티올기, 카르복시기, 아민기 또는 에폭시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위상차 필름.
17. 위 15에 있어서, 배향막과 기재 사이의 탄소-탄소 포화 결합은 상기 배향막의 접착력 강화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상기 기재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위상차 필름.
18. 위 15에 있어서, 배향막과 기재 사이의 티올렌 결합은 상기 배향막의 접착력 강화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상기 기재의 티올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위상차 필름.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액정층 및 배향막이 경화되는 과정에서 각 층이 서로 다른 층들과 화학적으로 결합을 형성하여 각 층간 접착력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층간 접착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편광필름과 같은 광학필름 제조 시에 박리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불량율이 낮으며 그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위상차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화학적 결합으로 접합된 액정층과 배향막을 구비한 위상차 필름으로서, 상기 화학적 결합은 상기 액정층과 상기 배향막이 각각 포함하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그 말단에 포함하는 접착력 강화제 간의 탄소-탄소 포화결합을 포함함으로써, 각 층간 접착력이 매우 높은 위상차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액정층과 배향막이 접합된 구조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이 위상차 필름은 화학적 결합으로 접합된 액정층과 배향막을 구비하며, 상기 화학적 결합은 상기 액정층과 상기 배향막이 각각 포함하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그 말단에 포함하는 접착력 강화제 간의 탄소-탄소 포화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경우에 따라 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레이트 둘 다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층 및 배향막은 경화성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액정층 및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모두 액정층과 배향막 사이에서 화학적 결합을 할 수 있는 접착력 강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력 강화제는 한쪽 말단에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다른 말단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양 층에 포함된 상기 접착력 강화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가 서로 반응하여 탄소-탄소 포화결합을 형성하게 되며, 그에 따라 액정층과 배향막 간의 접착력이 현저하게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접착력 강화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는, 접착력 강화제가 액정층 및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과 혼합되는 당시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및/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말단에 포함하고 있지 않더라도, 위상차 필름의 서로 다른 층들과 화학적 결합을 하기 전에 추가적인 처리, 예를 들면 열처리와 같은 후처리를 통해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생성되는 작용기도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열처리를 통해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생성되는 작용기로서, 접착력 강화제의 말단에 아미드 결합으로 연결된 피라졸기를 들 수 있다. 위 피라졸기는 열처리 과정을 통해 분리되고,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력 강화제로는 한쪽 말단에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다른 말단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각각 적어도 하나씩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들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7
(식 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3 및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케톤기, 에스테르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R4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아미드기, 케톤기, 에스테르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R5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임),
[화학식 2]
Figure pat00008
(식 중,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9 및 R11은 서로 독립적으로 케톤기, 에스테르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R10는 (a)
Figure pat00009
또는 (b)
Figure pat00010
이고, E1 및 E3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이고, E2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임),
[화학식 3]
Figure pat00011
(식 중, R1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13은 케톤기, 에스테르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임) 및
[화학식 4]
Figure pat00012
(식 중, R14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15는 케톤기, 에스테르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임).
본 발명에 따른 액정층 및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위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접착력 강화제는 보다 우수한 층간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와 위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위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4의 접착력 강화제의 보다 구체적인 예시는 하기 화학식 5 내지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들 수 있다:
[화학식 5]
Figure pat00013
[화학식 6]
Figure pat00014
[화학식 7]
Figure pat00015
[화학식 8]
Figure pat00016
[화학식 9]
Figure pat00017
[화학식 10]
Figure pat00018
[화학식 11]
Figure pat00019
[화학식 12]
Figure pat00020
[화학식 13]
Figure pat00021
[화학식 14]
Figure pat00022
[화학식 15]
Figure pat00023
위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화합물의 예시인 위 화학식 12, 화학식 13, 화학식 14 및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말단의 디메틸 피라졸기가 건조 공정 등의 열처리 과정을 통해 분리되고, 그에 따라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층을 형성하는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은 전술한 접착력 강화제 외에 액정성 화합물, 중합개시제, 유기용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액정성 화합물은 접착력 강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정성 화합물의 반응성기는 액정층과 배향막의 계면에서 배향막의 표면에 드러난 배향막측의 접착력 강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반응하여 화학적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액정층과 배향막간의 접착력을 현저하게 강화시킨다.
액정성 화합물의 반응성기로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 히드록시기, 에폭시기, 시아노기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위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은, 아크릴로일옥시기, 시아노아크릴레이트기, 알릴기, 신나메이트기 또는 알릴옥시기에 포함된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일 수 있다.
따라서,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액정성 화합물 중에서 반응성기를 갖고 있는 기재라면 제한 없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액정성 화합물이 그 자체로는 그러한 반응성기가 없더라도 당분야에 알려진 전처리 공정을 통해 말단에 반응성기가 도입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액정성 화합물과 접착력 강화제의 함량은, 상기 액정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접착력 강화제 0.1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기재와 배향막 사이 및 배향막과 액정층 사이의 밀착력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하면서도 액정 배향성을 유지하고 위상차를 저하시키지 않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중합 개시제로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광개시제 또는 열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광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개시제의 예를 들면 트리아진계 화합물,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비이미다졸계 화합물, 옥심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안트라센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 트리아진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 (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피페로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5-메틸퓨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퓨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 클로로메틸)-6-[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위 아세토페논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톡시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1-[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1-온의 올리고머, 2-메틸-2-아미노(4-모르폴리노페닐)에탄-1-온, 2-에틸-2-아미노(4-모르폴리노페닐)에탄-1-온, 2-프로필-2-아미노(4-모르폴리노페닐)에탄-1-온, 2-부틸-2-아미노(4-모르폴리노페닐)에탄-1-온, 2-메틸-2-아미노(4-모르폴리노페닐)프로판-1-온,2-메틸-2-아미노(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에틸-2-아미노(4-모르폴리노페닐)프로판-1-온, 2-에틸-2-아미노(4-모르폴리노페닐)부탄-1-온, 2-메틸-2-메틸아미노(4-모르폴리노페닐)프로판-1-온, 2-메틸-2-디메틸아미노(4-모르폴리노페닐)프로판-1-온, 2-메틸-2-디에틸아미노(4-모르폴리노페닐)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위 비이미다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 2,2'-비스(2,3-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알콕시페닐)비이미다졸,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트리알콕시페닐)비이미다졸, 4,4',5,5' 위치의 페닐기가 카르보알콕시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는 이미다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 페닐비이미다졸, 2,2'-비스(2,3-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비이미다졸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위 옥심계 화합물로서는, 0-에톡시카르보닐-α-옥시이미노-1-페닐프로판-1-온 등을 들 수 있다.
위 벤조인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위 벤조페논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페논, 0-벤조일벤조산메틸, 4-페닐벤조페논, 4-벤조일-4'-메틸디페닐술피드, 3,3',4,4'-테트라(ter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위 티오크산톤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4-디에틸티오크산톤, 2,4-디클로로티오크산톤, 1-클로로-4-프로폭시티오크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위 안트라센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9,10-디메톡시안트라센, 2-에틸-9,10-디메톡시안트라센, 9,10-디에톡시안트라센, 2-에틸-9,10-디에톡시안트라센 등을 들 수 있다.
이 외에도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10-부틸-2-클로로아크리돈, 2-에틸안트라퀴논, 벤질, 9,10-페난트렌퀴논, 캄포퀴논, 페닐클리옥실산 메틸, 티타노센 화합물, 일본 특허 공표 2002-54420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연쇄 이동을 일으킬 수 있는 기를 갖는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광개시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광개시제는 광배향제가 광중합 반응을 용이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다만, 광개시제는 과량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불순물로 작용하여 배향력을 떨어뜨리고 액정배향을 무너뜨려 교차편광시 빛샘현상을 발생시키거나 광경화후 개시제가 승화되어 mask를 오염시킬 수도 있으며, 노광시 광배향제가 반응하는 파장대비 개시제 반응파장의 Intensity가 대단히 높을 경우는 광배향을 시키기 위해서 Line speed를 떨어뜨리는 등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극소량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에 있어서, 유기용매로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용매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및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와 같은 에틸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등의 디에틸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류; 메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에틸렌글리콜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메톡시펜틸아세테이트 등의 알킬렌글리콜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모노알킬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에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프로필렌글리콜프로필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에틸프로필에테르 등의 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에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프로필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부틸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프로필렌글리콜알킬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류; 메톡시부틸알코올, 에톡시부틸알코올, 프로폭시부틸알코올, 부톡시부틸알코올 등의 부틸디올모노알킬에테르류; 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에톡시부틸아세테이트, 프로폭시부틸아세테이트, 부톡시부틸아세테이트 등의 부탄디올모노알킬에테르아세테이트류; 메톡시부틸프로피오네이트, 에톡시부틸프로피오네이트, 프로폭시부틸프로피오네이트, 부톡시부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부탄디올모노알킬에테르프로피오네이트류;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등의 디프로필렌글리콜디알킬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메틸아밀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헥산올, 시클로헥산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알코올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2-히드록시프로피온산에틸,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온산메틸,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히드록시아세트산메틸, 히드록시아세트산에틸, 히드록시아세트산부틸, 락트산메틸, 락트산에틸, 락트산프로필, 락트산부틸, 3-히드록시프로피온산메틸, 3-히드록시프로피온산에틸, 3-히드록시프로피온산프로필, 3-히드록시프로피온산부틸, 2-히드록시-3-메틸부탄산메틸, 메톡시아세트산메틸, 메톡시아세트산에틸, 메톡시아세트산프로필, 메톡시아세트산부틸, 에톡시아세트산메틸, 에톡시아세트산에틸, 에톡시아세트산프로필, 에톡시아세트산부틸, 프로폭시아세트산메틸, 프로폭시아세트산에틸, 프로폭시아세트산프로필, 프로폭시아세트산부틸, 부톡시아세트산메틸, 부톡시아세트산에틸, 부톡시아세트산프로필, 부톡시아세트산부틸, 2-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2-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메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메톡시프로피온산부틸, 2-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2-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2-에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에톡시프로피온산부틸, 2-부톡시프로피온산메틸, 2-부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부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부톡시프로피온산부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3-메톡시프로피온산부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3-에톡시프로피온산부틸, 3-프로폭시프로피온산메틸, 3-프로폭시프로피온산에틸, 3-프로폭시프로피온산프로필, 3-프로폭시프로피온산부틸, 3-부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부톡시프로피온산에틸, 3-부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3-부톡시프로피온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테트라히드로푸란, 피란 등의 고리형 에테르류; γ-부티로락톤 등의 고리형 에스테르류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전술한 접착력 강화제 외에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배향제, 광개시제, 유기용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배향제로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배향제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나메이트기를 포함하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0-500,000 정도인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력 강화제는 광배향제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범위에서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지나치게 과량으로 첨가되면 접착력은 개선되지만 광학필름에 적용시 다른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광개시제로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광개시제가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술한 액정층에 사용되는 광개시제로 예시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광개시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광개시제는 광배향제가 광중합 반응을 용이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다만, 광개시제는 과량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불순물로 작용하여 배향력을 떨어뜨리고 액정배향을 무너뜨려 교차편광시 빛샘현상을 발생시키거나 광경화후 개시제가 승화되어 mask를 오염시킬 수도 있으며, 노광시 광배향제가 반응하는 파장대비 개시제 반응파장의 Intensity가 대단히 높을 경우는 광배향을 시키기 위해서 Line speed를 떨어뜨리는 등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극소량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액정층 및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각각 충진제, 경화제, 레벨링제, 밀착촉진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응집 방지제, 연쇄 이동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정층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은 경화공정을 거쳐 배향막을 형성하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향막이 사용되는 분야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차원 화상표시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되는 패턴화된 위상차 필름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 필름의 일 구현예의 구조를 도 1에 도시하였다. 위상차 필름(100)은 기재(110)와 액정층(120) 사이에 배향막(130)이 개재된 구조를 갖는다.
액정층(120)과 배향막(13)은 각각 전술한 액정층 및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액정층(120)의 표면에는 접착력 강화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액정성 화합물의 반응성기들이 노출되고, 배향막(130)의 표면에는 접착력 강화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이소시아네이트가 노출된다. 상기 노출된 작용기들은 조성물이 도포되고 경화되는 과정에서 화학적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층간 접착력을 강화시키게 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액정층과 배향막 사이의 화학적 결합은, 액정층의 접착력 강화제의(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배향막의 접착력 강화제의(메타)아크릴레이트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탄소-탄소 포화결합; 액정층의 액정성 화합물의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과 배향막의 접착력 강화제의(메타)아크릴레이트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탄소-탄소 포화결합; 상기 액정층의 액정성 화합물의 히드록시기, 에폭시기 또는 시아노기와 상기 배향막의 접착력 강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우레탄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배향막(130)과 기재(110)사이에 화학적 결합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적 결합은 배향막(130)의 기재측 표면에 노출된 접착력 강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기재(110)의 배향막측 표면에 존재하는 반응성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화학적 결합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위상차 필름은 배향막과 기재 간의 층간 접착력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재(110)로는 당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재 중에서 표면에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반응하여 화학적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반응성기를 갖고 있는 기재라면 제한 없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재가 그 자체로는 그러한 반응성기가 없더라도 당분야에 알려진 표면처리 공정을 통해 표면에 반응성기가 도입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기재(110)로는 투명한 재료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TAC(triacetyl cellulose)계, COP(cyclo-olefin polymer)계, PMMA(poly (methyl methacrylate))계 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필름이다. TAC, COP, PMMA로 제조된 기재는 그 표면에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기를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표면처리를 통해 표면에 반응성기를 도입할 수 있는데, 히드록시기를 예로 설명하면, TAC 표면에 검화(safonification) 처리를 하면 표면에 히드록시기가 도입되며, COP의 표면에 플라즈마 처리를 하면 표면에 히드록시기가 도입될 수 있다. 이 외에 다른 표면처리로는 코로나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의 건식 처리; 검화 처리를 포함하는 알칼리 처리 등의 화학 처리; 용이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코팅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셀룰로오스계 필름은 검화 처리를 포함하는 알칼리 처리; 아크릴계, 폴리올레핀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코로나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 등의 건식 처리가 유리하다. 상기 플라즈마 처리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원격 플라즈마(Remote plasma), 직접 플라즈마(Direct plasma), 단량체 플라즈마(Monomer plasma) 중에서 적어도 한 공정이상을 실시할 수 있다.
기재(110)가 그 표면에 가질 수 있는 반응성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히드록시기, 티올기, 카르복시기, (메타)아크릴레이트기, 아민기, 에폭시기 등을 들 수 있다.
배향막(130)의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기재(110)의 반응성기가 반응하여 형성할 수 있는 화학적 결합은, 예를 들면, 배향막(130)의 접착력 강화제의(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기재(110)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탄소-탄소 포화결합; 배향막(130)의 접착력 강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기재(110)의 히드록시기, 티올기, 카르복시기, 아민기 또는 에폭시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우레탄 결합; 배향막(130)의 접착력 강화제의(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기재(110)의 티올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티올렌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액정층(120)과 배향막(130) 사이 및 배향막(130)과 기재(110) 사이의 우레탄 결합은 히드록시기, 티올기, 카르복시기, 아민기, 에폭시기 또는 시아노기가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시아노기는 가열하면서 H2O로 전처리하여 아민기 또는 카르복시산으로 변형시켜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시킬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at00024
[반응식 2]
Figure pat00025
[반응식 3]
Figure pat00026
[반응식 4]
Figure pat00027
[반응식 5]
Figure pat00028
[반응식 6]
Figure pat00029
본 발명에 따른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재 상에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고 노광하여 배향막에 패턴을 형성한 다음, 위 배향막에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한 후 광경화 공정을 수행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향막과 액정층의 화학적 결합은 액정층의 경화 공정에서 이루어지며, 배향막과 기재와의 화학적 결합은 건조 공정(열처리)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2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경화형 액정성 화합물(RMS), 접착력 강화제, 광개시제(Irgacure 907, BASF사 제조), 유기용매(톨루엔)을 혼합하여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g).
또한,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광배향제, 접착력 강화제, 광개시제(Irgacure 907, BASF사 제조), 유기용매(톨루엔)을 혼합하여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g).
성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1 2
액정층 조성물 액정성 화합물 29.557 28.037 28.037 28.037 28.037 28.037 28.037 30 29.703
접착력강화제 화학식5 0.148 1.682
화학식7 1.682
화학식9 1.682
화학식11 1.682
화학식13 1.682
화학식15 1.682
광개시제 0.296 0.296 0.296 0.296 0.296 0.296 0.296 0.297
유기용매 70 70 70 70 70 70 70 70 70
배향막 조성물 광배향제 1.932 1.739 1.739 1.739 1.739 1.739 1.739 2 1.948
접착력강화제 화학식5 0.01 0.209
화학식7 0.209
화학식9 0.209
화학식11 0.209
화학식13 0.209
화학식15 0.209
광개시제 0.052 0.052 0.052 0.052 0.052 0.052 0.052 0.052
유기용매 98 98 98 98 98 98 98 98 98
실험예
검화 처리하여 표면에 히드록시기가 도입된 Fuji사의 TAC Film에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1-2의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100℃에서 1분간 건조를 실시한 후, 노광을 각각 실시하여 배향막을 생성하였다. 위 배향막 상에 상기 실시예 1-7 및 비교예1-2의 액정층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60℃의 온도에서 1분간 건조시킨 후, 노광하여 경화반응을 유도하여 위상차 필름을 제조하였다.
<배향각>
루케오사의 WPA-100L 장비로 제조된 위상차 필름의 A, B Pattern중 A의 배향각을 측정하였다
◎ ; 45° ± 3 (A pattern 경우) , 135° ± 3 (B pattern 경우)
○ : 45° ± 6 미만 (A pattern 경우) , 135° ± 6 미만 (B pattern 경우)
X : 45° ± 6 이상 (A pattern 경우) , 135° ± 6 이상 (B pattern 경우)
<위상차>
Rr ; 비교예1에서 제조된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
Rs ; 당해 위상차 필름의 위상차
◎ ; 0.97 < Rs/Rr < 1.03
○ : 0.95 < Rs/Rr < 0.97 또는 1.03 < Rs/Rr < 1.05
△ : 0.90 < Rs/Rr < 0.95 또는 1.05 < Rs/Rr < 1.1
× : Rs/Rr 1.1 이상 또는 Rs/Rr 0.90 이하
<층간 접착력>
생성된 패턴을 광학현미경을 통하여 평가하였을 때 아래와 같은 패턴상에 뜯김 현상 정도로 평가하였다.
◎ ; 패턴상 뜯김 없음
○ : 패턴상 뜯김 1~3개
△ : 패턴상 뜯김 4~8개
× : 패턴상 뜯김 8개 초과
평가항목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1 2
배향각
(A 패턴)
배향각
(B 패턴)
위상차
(A 패턴)
위상차
(B 패턴)
층간 접착력 × ×
위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위상차 필름은 비교예들의 위상차필름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광학적 성능을 발휘하지만, 층간 접착력은 비교예들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8)

  1. 화학적 결합으로 접합된 액정층과 배향막을 구비한 위상차 필름으로서, 상기 화학적 결합은 상기 액정층과 상기 배향막이 모두 포함하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기를 그 말단에 포함하는 접착력 강화제 간의 탄소-탄소 포화결합을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력 강화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4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인 위상차 필름:
    [화학식 1]
    Figure pat00030

    (식 중, R1 및 R2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3 및 R7은 서로 독립적으로 케톤기, 에스테르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R4 및 R6은 서로 독립적으로 아미드기, 케톤기, 에스테르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R5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임),
    [화학식 2]
    Figure pat00031

    (식 중,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9 및 R11은 서로 독립적으로 케톤기, 에스테르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이고,
    R10는 (a)
    Figure pat00032
    또는 (b)
    Figure pat00033
    이고, E1 및 E3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이고, E2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콕시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임),
    [화학식 3]

    Figure pat00034

    (식 중, R12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13은 케톤기, 에스테르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임) 및
    [화학식 4]

    Figure pat00035

    (식 중, R14는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15는 케톤기, 에스테르기 및 티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렌기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접착력 강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기를 포함하는 액정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로 형성된 위상차 필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액정성 화합물의 반응성기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 히드록시기, 에폭시기 또는 시아노기인 위상차 필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액정층과 배향막 사이의 화학적 결합은 상기 액정층의 액정성 화합물의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과 상기 배향막의 접착력 강화제의(메타)아크릴레이트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탄소-탄소 포화결합을 더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6. 청구항 4에 있어서, 액정층과 배향막 사이의 화학적 결합은 상기 액정층의 액정성 화합물의 히드록시기, 에폭시기 또는 시아노기와 상기 배향막의 접착력 강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우레탄 결합을 더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7. 청구항 3에 있어서, 액정층 형성용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액정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접착력 강화제 0.1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8. 청구항 1에 있어서, 배향막은 신나메이트기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광배향제를 더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로 형성된 위상차 필름.
  9. 청구항 8에 있어서, 배향막 형성용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광배향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접착력 강화제 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배향막의 액정층과 접합된 면의 반대편 면은 표면에 접착력 강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성기를 갖는 기재와 접합된 위상차 필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기재 표면의 반응성기는 히드록시기, 티올기, 카르복시기, (메타)아크릴레이트기, 아민기 및 에폭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위상차 필름.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표면처리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계, 사이클로올레핀계 또는 PMMA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는 검화 처리, 프라이머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및 코팅 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처리인 위상차 필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원격 플라즈마(Remote plasma) 처리, 직접 플라즈마(Direct plasma) 처리 및 단량체 플라즈마(Monomer plasma) 처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위상차 필름.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배향막과 기재는 우레탄 결합, 티올렌 결합 또는 탄소-탄소 포화결합에 의해 접합된 위상차 필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배향막과 기재 사이의 우레탄 결합은 상기 배향막의 접착력 강화제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상기 기재의 히드록시기, 티올기, 카르복시기, 아민기 또는 에폭시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위상차 필름.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배향막과 기재 사이의 탄소-탄소 포화 결합은 상기 배향막의 접착력 강화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상기 기재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위상차 필름.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배향막과 기재 사이의 티올렌 결합은 상기 배향막의 접착력 강화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상기 기재의 티올기의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것인 위상차 필름.
KR1020130046391A 2013-04-25 2013-04-25 위상차 필름 KR20130071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391A KR20130071446A (ko) 2013-04-25 2013-04-25 위상차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6391A KR20130071446A (ko) 2013-04-25 2013-04-25 위상차 필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8604 Division 2011-10-07 2011-12-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1446A true KR20130071446A (ko) 2013-06-28

Family

ID=4886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6391A KR20130071446A (ko) 2013-04-25 2013-04-25 위상차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14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456A1 (ko) * 2013-07-31 2015-02-05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위상차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9083160A1 (ko) * 2017-10-23 2019-05-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6456A1 (ko) * 2013-07-31 2015-02-05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위상차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2016534387A (ja) * 2013-07-31 2016-11-04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TWI618788B (zh) * 2013-07-31 2018-03-21 東友精細化工有限公司 遲延薄膜及包含該遲延薄膜之顯示裝置
WO2019083160A1 (ko) * 2017-10-23 2019-05-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US11809044B2 (en) 2017-10-23 2023-11-07 Samsung Sdi Co., Ltd. Liquid crystal phase difference film, polarizing plate for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and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08519B (zh) 光学膜及其制造方法
CN103221876B (zh) 光学元件
KR102040796B1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04062701B (zh) 偏光板的制造方法
CN106371164B (zh) 层叠体、包含层叠体的圆偏振板及具备层叠体的显示装置
TWI712636B (zh) 液晶硬化膜、含有液晶硬化膜的光學膜及顯示裝置
KR102040797B1 (ko) 위상차 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10720064B (zh) 聚合性液晶组合物及相位差板
TW201329585A (zh) 偏光板及具此偏光板之影像顯示裝置
CN106367079B (zh) 组合物及显示装置
CN112204438B (zh) 偏光膜及其制造方法、偏光板以及显示装置
CN111684326B (zh) 层叠体及其制造方法
CN103857751A (zh) 用于制备取向层的组合物、由其制备的取向层和延迟膜
KR20130073024A (ko) 접착력 강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KR102045532B1 (ko) 중합성 액정 조성물 및 배향 필름
KR101390469B1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KR20130048760A (ko)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배향막
KR20130071446A (ko) 위상차 필름
KR101390468B1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CN103323899A (zh) 偏光板和包括该偏光板的图像显示装置
KR101794050B1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KR20130038020A (ko) 배향막 형성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배향막
KR20130118841A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KR20130123345A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표시장치
CN117720437A (zh) 负色散光学膜和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