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0310A -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0310A
KR20130070310A KR1020110137562A KR20110137562A KR20130070310A KR 20130070310 A KR20130070310 A KR 20130070310A KR 1020110137562 A KR1020110137562 A KR 1020110137562A KR 20110137562 A KR20110137562 A KR 20110137562A KR 20130070310 A KR20130070310 A KR 20130070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ssembly
dryer
brush
filter
ree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1674B1 (ko
Inventor
김정윤
이상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1013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67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RU2013128376/12A priority patent/RU2525790C1/ru
Priority to BR112013008016A priority patent/BR112013008016A2/pt
Priority to ES12855822.8T priority patent/ES2635545T3/es
Priority to PCT/KR2012/010645 priority patent/WO2013085349A1/en
Priority to PCT/KR2012/010652 priority patent/WO2013085354A1/en
Priority to RU2013127288/12A priority patent/RU2541744C2/ru
Priority to AU2012372144A priority patent/AU2012372144B2/en
Priority to CN201280007214.0A priority patent/CN103348057B/zh
Priority to BR112013005385A priority patent/BR112013005385A2/pt
Priority to EP12855257.7A priority patent/EP2788539B1/en
Priority to CN201280003746.7A priority patent/CN103328713B/zh
Priority to CN201280003766.4A priority patent/CN103282574B/zh
Priority to EP12855822.8A priority patent/EP2788540B1/en
Priority to AU2012372143A priority patent/AU2012372143B2/en
Priority to EP12856275.8A priority patent/EP2788541B1/en
Priority to PCT/KR2012/010646 priority patent/WO2013085350A1/en
Priority to US13/709,323 priority patent/US9052142B2/en
Priority to US13/709,285 priority patent/US9285165B2/en
Priority to US13/709,316 priority patent/US20130145648A1/en
Publication of KR20130070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0310A/ko
Publication of KR101861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5Cleaning or disinfection of machine parts, e.g. of heat exchangers or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filters or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62Stopping or disabling machine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왕복회동하는 브러쉬에 의해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에 적용되고, 건조기에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되었는지 감지하는 장착감지단계; 상기 브러쉬를 구동하여 필터를 청소하는 구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의 회동을 감지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 정상장착여부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A CONTROLLING METHOED FOR A FILTER ASSEMBLY OF DRYER}
본 발명은 드럼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기에 있어서, 드럼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에 함유된 린트(lint)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라 함은 세탁이 완료되어 탈수 과정이 종료된 상태의 세탁물을 건조기의 드럼(또는 터브) 내부로 투입하고, 드럼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여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켜서 세탁물을 건조하는 기기이다.
의류건조기의 드럼에서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빠져나가는 공기는 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수분을 가지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가 된다. 이때 이 고온 다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서 건조기를 분류할 수 있다. 즉, 고온 다습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하면서 열교환장치에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여 고온 다습한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식 건조기와, 드럼을 통과하고 나오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시켜 버리는 배기식 건조기로 나뉘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건조대상물의 건조에 사용된 후 드럼을 나오는 공기는 건조 대상물에서 나오는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의류건조기의 기계적 구성 요소들을 통과하면서 고장을 일으키거나, 외부로 배출되면 외부 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드럼을 통과한 공기는 필터를 통과시켜 이물질을 제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필터는 드럼의 전방에 제공되며, 드럼을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다. 여기서, 건조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필터에는 린트와 같은 이물질이 축적된다.
이러한 이물질이 일정 수준 이상 축적되면,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청소를 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의 청소는 건조행정의 종료 후 사용자가 필터를 의류건조기에서 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다시 의류건조기에 필터를 장착함에 의해 수행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청소는 사용자가 손으로 하여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매 건조시마다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청소를 하기 전까지 공기의 유동이 점진적으로 방해되어 건조에 필요한 풍부한 풍량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정기적인 필터 청소 외에 지속적으로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오토필터(auto-filter)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오토필터는 필터에 부착된 브러쉬가 달린 암 또는 브러쉬프레임이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필터표면의 이물질들을 떨어트려 제거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정기적인 청소를 하기 전에도 공기의 유동이 원할하게 되어 풍부한 풍량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오토필터의 브러쉬에 의해 지속적으로 필터표면을 청소한다고 하더라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필터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쌓이게 된다. 그에 따라 브러쉬의 회전이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필터에 어느 정도의 린트 등의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필터를 건조기에서 분리시켜 누적된 이물질들을 제거해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는 어느 순간에 필터에 이물질이 누적된 정도가 청소가 필요한 정도에 도달하였는지 인지할 수 없다. 그에 따라 필터에 이물질이 누적된 정도가 브러쉬의 구동이 저해될 정도에 도달하여 건조기의 건조성능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필터의 이물질 누적정도가 과도하여 필터를 통한 공기의 유동이 저해될 정도에 이르게 되면, 드럼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건조대상물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실수로 필터 자체가 건조기에 장착되지 않고 건조기 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이물질들이 건조기 내부의 장치들의 구동에 영향을 주어, 건조기의 신뢰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건조기의 작동초기에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건조기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브러쉬의 구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브러쉬의 구동중에 필터어셈블리에 누적된 이물질의 가득찬 정도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필터어셈블리에 누적된 이물질의 가득찬 정도가 건조기의 작동을 저해할 정도인 경우 건조기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해결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왕복회동하는 브러쉬에 의해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에 적용되고, 건조기에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되었는지 감지하는 장착감지단계; 상기 브러쉬를 구동하여 필터를 청소하는 구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의 회동을 감지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 정상장착여부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러쉬의 회동감지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장착을 안내하는 필터가이드에 구비되는 리드스위치가 상기 브러쉬에 구비되는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브러쉬는 상기 필터의 일부에 해당하는 범위에서 왕복회동하고, 상기 리드스위치는 상기 브러쉬의 양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브러쉬의 회동감지는 상기 리드스위치가 상기 자력형성수단이 상기 회동한계지점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한다.
상기 구성의 측면은, 브러쉬의 회동여부를 감지하여, 필터어셈블리의 정상장착여부 뿐만 아니라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 적층 정도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착감지단계는, 건조기의 작동초기에 상기 양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가 사전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의 상기 브러쉬의 회동감지를 통해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장착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만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 상태에 근접함을 건조기에 구비된 표시수단 또는 알림수단으로 나타낸다.
또한,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도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미장착상태 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상태를 건조기에 구비된 표시수단 또는 알림수단으로 나타낸다.
또한,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미장착상태 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상태인 경우 상기 건조기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단계는 상기 브러쉬가 사전 설정된 소정의 주기로 작동과 중지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단계에서, 상기 브러쉬의 작동중에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를 감지하는 적층감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층감지단계는 상기 브러쉬의 회동을 상기 양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가 감지함에 의해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만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 상태에 근접함을 건조기에 구비된 표시수단 또는 알림수단으로 나타낸다.
또한,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도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상태를 건조기에 구비된 표시수단 또는 알림수단으로 나타낸다.
또한,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상태인 경우 상기 건조기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방법은 건조기의 구동종료 전 상기 브러쉬가 소정의 시간동안 최종구동을 하는 최종구동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종구동단계에서 상기 양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가 상기 브러쉬의 회동감지를 통해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도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상태를 건조기에 구비된 표시수단 또는 알림수단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건조기의 작동초기에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 건조기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하여 건조기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브러쉬의 구동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브러쉬의 구동중에 필터어셈블리에 누적된 이물질의 가득찬 정도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필터어셈블리에 누적된 이물질의 가득찬 정도가 건조기의 작동을 저해할 정도인 경우 건조기의 작동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고 건조기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건조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필터어셈블리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도 2의 필터어셈블리에서 브러쉬의 가동범위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4는 도 3의 필터어셈블리에 이물질이 누적된 경우의 브러쉬의 가동범위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6은 도 5의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보여주는 흐름도.
도 7은 시간에 따른 브러쉬 구동을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의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건조기의 외관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건조기(A)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또는 케비넷(1)과,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주면에 복수개의 리프터가 돌출된 드럼(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건조 대상물인 의류를 본체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5)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5)는 도어(3)에 의해 개폐되며, 상기 투입구(5)의 상측에는 상기 건조기를 조작하기 위한 각종 조작 버튼 및 디스플레이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컨트롤 패널(2)이 위치한다.
상기 드럼(6)의 전방 하측에는 건조에 사용된 후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4)가 설치되고, 이물질을 거른 후의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하는 배기덕트(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4)는 다양한 구성품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이후의 서술에서는 상기 필터(4)를 필터어셈블리라고 지칭한다. 도 2는 이러한 필터어셈블리(4)를 보여준다. 상기 필터어셈블리(4)는 전술한 건조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다.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착탈 되는 위치는 전술한 드럼의 전방 또는 투입구의 주변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필터어셈블리(4)는 본체에 구비된 필터가이드(500)로 장착된다. 상기 필터가이드(500)는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안착시킨다.
상기 필터어셈블리(4)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410), 상기 케이스에 일면에 형성되어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가 통과되며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부(420), 및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에 걸린 이물질을 필터부로부터 분리시키는 브러쉬(4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410)는 필터어셈블리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410)는 상호 대향하는 두개의 외면을 구비하고, 하부에 바닥면이 구비되어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는 일정 공간을 형성하는 박스 형태를 이룬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도 바닥면과 같은 폭을 가지는 면이 형성되어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시켜 준다.
상기 필터부(420)는 상기 케이스에 일면에 형성되어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가 통과되며 이물질이 걸러지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에는 필터부가 형성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망 형태의 필터부재가 개구를 덮어 상기 필터부(420)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4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외면을 가질 경우, 상기 필터부(420)도 상기 케이스를 형성하는 양측 외면 모두에 형성되거나 어느 일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러쉬(430)는 전술한 케이스의 양측 외면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에 걸린 이물질을 필터부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브러쉬(430)는 막대형의 구성으로 하부에 회전축이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은 건조기의 본체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브러쉬의 회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필터어셈블리(4)는 상기 필터부(420)에 상기 브러쉬프레임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방사프레임(425)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프레임들에 교차되도록 상기 브러쉬프레임의 회전중심에 동심원으로 복수개의 동심프레임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측면은, 브러쉬에 의해 청소되는 필터부의 파손을 방지하고, 나아가 브러쉬로부터 린트 등의 이물질들을 분리시키는 스크래퍼 기능도 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브러쉬(430)의 동작범위를 보여준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브러쉬(430)는 상기 필터부(420)의 일부에 해당하는 범위만을 왕복 회동한다. 상기 필터부(420)는 상기 브러쉬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원의 일부에 해당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브러쉬의 길이는 상기 필터부가 형성하는 원의 최대반경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는 상기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소정의 각도 내에서 왕복회동된다. 다만,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필터부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브러쉬에 의해 청소될 수 있는 다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브러쉬(430)의 단부에는 자력형성수단(4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력형성수단(435)은 일반적인 자석이 사용될 수도 있고, 전자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가이드(500)에는 리드스위치(510a,510b)가 구비된다. 상기 리드스위치는 전술한 브러쉬의 회동시 양측 회동한계지점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다만, 도 2 또는 도 3에서 상기 리드스위치가 필터가이트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상기 리드스위치는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라면 건조기의 다른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위치(510a,510b)는 상기 자력형성수단(435)의 접근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브러쉬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리드스위치는 건조기에 구비되는 컨트롤러(미도시)에 연결된다. 그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는 브러쉬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필터어셈블리의 가득찬 정도를 감지하거나 필터어셈블리의 오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부(420)는 상기 브러쉬가 왕복회동하는 필터청소영역과, 필터부로부터 이탈된 이물질들이 축적되는 린트압축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영역은 도 3의 B부분에 해당하며, 브러쉬와 접촉되어 필터로부터 이물질이 분리되어 청소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린트압축영역은 도 3의 C부분에 해당하며, 브러쉬가 접촉되지 않아 이물질들이 누적된다. 또한, 상기 린트압축영역에서는 브러쉬에 걸린 이물질들이 분리되어 바닥면에 누적되어 쌓일 수 있다. 나아가 브러쉬에 의해 눌려져서 상기 이물질들이 압축될 수도 있다.
도 4에는 이러한 이물질들이 필터어셈블리에 누적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에서 상기 브러쉬의 양측 회동한계지점으로 점선 D가 도시되어 있으며, D 선상에 리드스위치(510a,510b)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이물질들로 가득차서 청소가 필요한 경우, 상기 브러쉬는 D선상의 회동한계지점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점선 E까지만 회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리드스위치는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필터어셈블리가 가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이물질들이 필터어셈블리에 가득하게 되면, 유동되는 공기가 주로 통과하게 되는 필터청소영역(B)이 줄어들게 된다. 그에 따라 건조기의 풍량이 줄어들게 되어 건조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는 이러한 필터어셈블리의 가득찬 정도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필요성이 있다.
도 5는 필터어셈블리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보여준다. 도 6은 도5의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건조기에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되었는지 감지하는 장착감지단계(100), 상기 브러쉬를 구동하여 필터를 청소하는 구동단계(200), 건조기의 구동종료 전 상기 브러쉬가 소정의 시간동안 최종구동을 하는 최종구동단계(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방법에 의해 컨트롤러는 상기 브러쉬의 회동을 감지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 정상장착여부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건조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측면은, 브러쉬의 회동여부를 감지하여, 필터어셈블리의 정상장착여부 뿐만 아니라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 적층 정도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전술한 각 단계들을 살펴본다.
상기 장착감지단계(S100)는 컨트롤러에 의해 수행되며, 건조기의 작동초기에 상기 양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가 사전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의 상기 브러쉬의 회동(S110)을 감지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장착여부 및 초기 필터어셈블리의 가득찬 정도를 판단(S120)한다. 도 7에서는 이러한 브러쉬의 구동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작동 초기에 상기 브러쉬가 소정의 시간(t1)동안 구동하게 되고, 이를 리드스위치가 감지하게 된다.
상기 장착감지단계에서의 판단(S120)시에 2개의 양측 리드스위치 모두가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되었기 때문에 리드스위치가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한 것이다. 또한, 브러쉬가 양측회동한계지점까지 회전이 되기 때문에 필터어셈블리는 가득차지 않았음을 감지한 것이다. 따라서 컨트롤러는 별도의 사용자 알림이나 건조기의 작동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정상적인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만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S120)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에 이물질이 가득차지는 않았지만, 브러쉬의 움직임에 어느 정도 방해를 할 정도로 찬 상태에 해당한다. 그에 따라 컨트롤러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 상태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도 1에 도시된 컨트롤 패널(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필터 주의를 알리게 된다. 또한, 경고음 등 알림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필터어셈블리가 완전히 가득찬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상적인 건조기의 작동은 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는 정상적인 건조기의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도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S120)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세 가지 가능성이 있다. 즉,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되지 않았거나, 필터어셈블리에 이물질이 가득차서 정상적인 브러쉬의 작동이 불가능하거나, 필터어셈블리가 오작동을 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전술한 어느 경우나 건조기의 정상적인 작동을 저해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미장착상태 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상태임을 컨트롤패널의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기타 알림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필터확인의 필요성을 알려(S130)준다. 나아가, 전술한 어느 경우나 건조기의 정상적인 작동이 힘든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건조기의 작동을 정지(S135)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정상적인 건조기의 구동이 시작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구동단계(S200)를 통해 필터어셈블리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단계(S200)에서는 상기 브러쉬가 사전 설정된 소정의 주기로 작동(S220)과 중지(S210)를 반복하게 된다.
도 7을 참고하면, 소정의 시간(t2)동안 작동이 중지된 후 일정시간(t1)동안 브러쉬가 구동되는 것이 반복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브러쉬의 주기적인 구동은 열풍공급을 통한 건조가 더 이상 수행되지 않는 냉각단계에 진입(S240)할 때까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단계(S200) 중에,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를 감지하는 적층감지단계(S23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적층감지단계(S230)는 상기 브러쉬의 회동을 상기 양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가 감지함에 의해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를 판단한다.
상기 적층감지단계(S230)에서의 판단시에 2개의 양측 리드스위치 모두가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브러쉬가 양측회동한계지점까지 회전이 되기 때문에 필터어셈블리는 가득차지 않았음을 감지한 것이다. 따라서 컨트롤러는 별도의 사용자 알림이나 건조기의 작동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정상적인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만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에 이물질이 가득차지는 않았지만, 브러쉬의 움직임에 어느 정도 방해를 할 정도로 찬 상태에 해당한다. 그에 따라 컨트롤러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 상태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컨트롤 패널(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필터 주의를 알리거나 경고음 등 알림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S235)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는 필터어셈블리가 완전히 가득찬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정상적인 건조기의 작동은 가능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는 정상적인 건조기의 작동을 계속 수행한다.
한편,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도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필터어셈블리에 이물질이 가득차서 정상적인 브러쉬의 작동이 불가능하거나, 필터어셈블리가 오작동을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어느 경우나 건조기의 정상적인 작동을 저해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는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상태임을 컨트롤패널의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기타 알림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필터확인의 필요성을 알려(S235)준다. 나아가, 전술한 어느 경우나 건조기의 정상적인 작동이 힘든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건조기의 작동을 정지(S236)시킬 수 있다.
한편, 정상적으로 냉각단계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는 최종구동단계(S300)를 수행하게 된다. 도 7과 같이 상기 최종구동단계(S300)는 건조기의 구동종료 전 상기 브러쉬가 소정의 시간(t3)동안 최종구동(S310)을 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최종구동단계(S300)에서 상기 양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가 상기 브러쉬의 회동감지를 통해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를 최종적으로 판단(S320)한다.
상기 최종구단단계에서의 판단(S320)시에 2개의 양측 리드스위치 모두가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브러쉬가 양측회동한계지점까지 회전이 되기 때문에 필터어셈블리는 가득차지 않았음을 감지한 것이다. 따라서 컨트롤러는 별도의 사용자 알림이나 건조기의 작동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정상적으로 건조기의 작동을 종료시킨다.
여기서,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만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에 이물질이 가득차지는 않았지만, 브러쉬의 움직임에 어느 정도 방해를 할 정도로 찬 상태에 해당한다. 그에 따라 컨트롤러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 상태에 근접하였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컨트롤 패널(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필터 주의를 알리거나 경고음 등 알림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S330) 할 수 있다. 다만, 더 이상의 필터어셈블리의 구동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컨트롤러는 정상적으로 건조기의 작동을 종료시킨다.
한편,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도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필터어셈블리에 이물질이 가득차서 정상적인 브러쉬의 작동이 불가능하거나, 필터어셈블리가 오작동을 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는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상태임을 컨트롤패널의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기타 알림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필터확인의 필요성을 알려(S330)준다. 다만, 더 이상의 필터어셈블리의 구동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컨트롤러는 정상적으로 건조기의 작동을 종료시킨다.
이상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는 점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 : 케비넷 2 : 컨트롤 패널
3 : 도어 4 : 필터어셈블리
5 : 투입구 6 : 드럼
410 : 케이스 420 : 필터부
430 : 브러쉬 435 : 자력형성수단
500 : 필터사이드 510a,510b : 리드스위치

Claims (14)

  1. 왕복회동하는 브러쉬에 의해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에 있어서,
    건조기에 필터어셈블리가 장착되었는지 감지하는 장착감지단계;
    상기 브러쉬를 구동하여 필터를 청소하는 구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브러쉬의 회동을 감지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 정상장착여부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의 회동감지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장착을 안내하는 필터가이드에 구비되는 리드스위치가 상기 브러쉬에 구비되는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상기 필터의 일부에 해당하는 범위에서 왕복회동하고,
    상기 리드스위치는 상기 브러쉬의 양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브러쉬의 회동감지는 상기 리드스위치가 상기 자력형성수단이 상기 회동한계지점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감지단계는,
    건조기의 작동초기에 상기 양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가 사전 설정된 소정의 시간동안의 상기 브러쉬의 회동감지를 통해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장착여부를 판단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만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 상태에 근접함을 건조기에 구비된 표시수단 또는 알림수단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도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미장착상태 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상태를 건조기에 구비된 표시수단 또는 알림수단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미장착상태 또는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상태인 경우 상기 건조기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단계는,
    상기 브러쉬가 사전 설정된 소정의 주기로 작동과 중지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의 작동중에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를 감지하는 적층감지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층감지단계는 상기 브러쉬의 회동을 상기 양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가 감지함에 의해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를 판단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만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 상태에 근접함을 건조기에 구비된 표시수단 또는 알림수단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도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상태를 건조기에 구비된 표시수단 또는 알림수단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상태인 경우 상기 건조기의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13. 제3항에 있어서,
    건조기의 구동종료 전 상기 브러쉬가 소정의 시간동안 최종구동을 하는 최종구동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종구동단계에서 상기 양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가 상기 브러쉬의 회동감지를 통해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를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위치 중 어느 일측 회동한계지점에 위치하는 리드스위치도 상기 자력형성수단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이물질이 적층된 정도가 가득찬(full-loaded)상태를 건조기에 구비된 표시수단 또는 알림수단으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KR1020110137562A 2011-12-08 2011-12-19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KR101861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562A KR101861674B1 (ko) 2011-12-19 2011-12-19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CN201280003766.4A CN103282574B (zh) 2011-12-08 2012-12-07 烘干机
BR112013008016A BR112013008016A2 (pt) 2011-12-08 2012-12-07 secadora
PCT/KR2012/010645 WO2013085349A1 (en) 2011-12-08 2012-12-07 Filter guide having latch device of filter cover and clothes-drying machine using the same
PCT/KR2012/010652 WO2013085354A1 (en) 2011-12-08 2012-12-07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RU2013127288/12A RU2541744C2 (ru) 2011-12-08 2012-12-07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ушильной машиной
AU2012372144A AU2012372144B2 (en) 2011-12-08 2012-12-07 Mehod for controlling dryer
CN201280007214.0A CN103348057B (zh) 2011-12-08 2012-12-07 具有用于过滤器盖的闩锁装置的过滤器引导件和使用该过滤器引导件的干衣机
EP12855822.8A EP2788540B1 (en) 2011-12-08 2012-12-07 Dryer
EP12855257.7A EP2788539B1 (en) 2011-12-08 2012-12-07 Filter guide having latch device of filter cover and clothes-drying machine using the same
RU2013128376/12A RU2525790C1 (ru) 2011-12-08 2012-12-07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ES12855822.8T ES2635545T3 (es) 2011-12-08 2012-12-07 Secadora
BR112013005385A BR112013005385A2 (pt) 2011-12-08 2012-12-07 método para controlar uma secadora e determinar uma fonte de obstrução em uma secadora.
AU2012372143A AU2012372143B2 (en) 2011-12-08 2012-12-07 Dryer
EP12856275.8A EP2788541B1 (en) 2011-12-08 2012-12-07 Method for controlling a dryer
PCT/KR2012/010646 WO2013085350A1 (en) 2011-12-08 2012-12-07 Dryer
CN201280003746.7A CN103328713B (zh) 2011-12-08 2012-12-07 用于控制烘干机的方法
US13/709,323 US9052142B2 (en) 2011-12-08 2012-12-10 Cabinet drum dryer filter brush
US13/709,285 US9285165B2 (en) 2011-12-08 2012-12-10 Method for controlling dryer
US13/709,316 US20130145648A1 (en) 2011-12-08 2012-12-10 Filter guide having latch device of filter cover and clothes-drying machin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7562A KR101861674B1 (ko) 2011-12-19 2011-12-19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0310A true KR20130070310A (ko) 2013-06-27
KR101861674B1 KR101861674B1 (ko) 2018-07-02

Family

ID=4886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7562A KR101861674B1 (ko) 2011-12-08 2011-12-19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16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039A1 (ko) * 2021-01-29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60031A1 (de) * 2006-12-19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ocknen von Wäsche mittels eines Luftstromes sowie eine solche Vorrichtung enthaltendes Hausgerät
EP3584362B1 (en) * 2010-05-04 2021-01-06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102884244B (zh) * 2010-05-07 2015-08-26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以及过滤技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039A1 (ko) * 2021-01-29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674B1 (ko) 201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7009B2 (en) Controlling method for a washing machine
US9052142B2 (en) Cabinet drum dryer filter brush
EP2386674A2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water filter thereof
WO2013035279A1 (ja) 洗濯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すすぎ方法
EP319022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eaning nozzle thereof
EP3034669B1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6255423A (ja) 糸くずフィルターを改良した家庭用衣類乾燥機
JP6063335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1072497A (ja)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JP2011072464A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EP3132081A1 (en) Method for cleaning an air filter in a washing/drying machine and machine for its execution
KR20130070310A (ko)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JP2021121262A (ja) 衣類乾燥機
JP2011056147A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286847B2 (ja) 洗濯乾燥機
KR101842199B1 (ko) 건조기
JP6207919B2 (ja) ドラム式洗濯乾燥機
TWI660095B (zh) 洗衣乾衣機
JP5297314B2 (ja) 洗濯乾燥機
JP6118682B2 (ja)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2005137503A (ja) 衣類乾燥機
KR101768103B1 (ko) 의류건조기의 오토필터 구동방법
JP6145713B2 (ja) 洗濯乾燥機
JP2011072463A (ja) 乾燥機及び洗濯乾燥機
JP5478578B2 (ja) 洗濯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