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943A -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 Google Patents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943A
KR20130068943A KR1020110136417A KR20110136417A KR20130068943A KR 20130068943 A KR20130068943 A KR 20130068943A KR 1020110136417 A KR1020110136417 A KR 1020110136417A KR 20110136417 A KR20110136417 A KR 20110136417A KR 20130068943 A KR20130068943 A KR 20130068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module
vehicle
photographing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754B1 (ko
Inventor
이석범
이종복
노희진
박성민
홍기범
김성운
석동희
민정상
오광명
최진하
신동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6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754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a head-up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5Optical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약속된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 및 상기 약속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촬영 모듈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A imaging system of the vehicle around image using the motion recognition}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제스처, 시선 등의 동작 인식을 통해 차량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이용한 여행 중에 차량의 내부에서 윈도우 글라스를 통해 보이는 외부 풍경을 보이는 그대로 촬영하고 싶은 경우가 많다. 그러나 차량의 내부에서 원하는 풍경을 촬영하기 위해서 운전 중에 카메라를 조작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사용자가 카메라를 조작하는 시간을 감안하면 주행 중에는 원하는 풍경을 놓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사용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제스처를 이용하여 차량의 외부의 풍경을 촬영할 수 있다면 편리함을 줄 수 있으므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약속된 움직임에 따라 차량의 주변을 촬영해주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및 그 촬영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약속된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 및 상기 약속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촬영 모듈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주변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약속된 움직임은 상기 촬영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주변 화면을 상기 표시 모듈을 이용하여 표시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1움직임과, 상기 촬영 모듈에 대해 상기 주변 화면에 대한 방향, 확대 및 축소 여부를 조절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2움직임과, 상기 촬영 모듈에 대해 상기 제2움직임에 따라 촬영 방향, 화면 확대 및 화면 축소 여부가 조절된 주변 화면에 대한 영상 촬영을 시작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3움직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움직임, 제2움직임 및 제3움직임에 따른 상기 촬영 모듈의 동작 설정 값이 저장된 설정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제1움직임은 사용자의 손의 특정 제스처이고, 상기 제2움직임은 상기 주변 화면에 대한 방향을 결정하는 사용자의 눈의 상하좌우로의 움직임과 상기 주변 화면에 대한 확대 및 축소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의 눈의 시선의 깊이 또는 사용자의 머리의 전후 측 움직임이며, 상기 제3움직임은 사용자의 눈의 깜빡임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표시 모듈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방법은 (a) 사용자의 약속된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약속된 움직임에 따라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a) 단계 및 (b) 단계의 사이에는 (a-1)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주변의 화면을 표시 모듈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약속된 움직임은 상기 촬영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주변 화면을 상기 표시 모듈을 이용하여 표시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1움직임과, 상기 촬영 모듈에 대해 상기 주변 화면에 대한 방향, 확대 및 축소 여부를 조절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2움직임과, 상기 촬영 모듈에 대해 상기 제2움직임에 따라 촬영 방향, 화면 확대 및 화면 축소 여부가 조절된 주변 화면에 대한 영상 촬영을 시작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3움직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은 사용자의 상기 약속된 움직임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촬영 모듈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주변을 촬영해준다. 이에 차량의 운전자가 별도로 카메라를 꺼내지 않고도 편리하게 차량의 주변의 화면을 촬영할 수 있어서 편리함으로 준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의 내부에서 보는 그대로를 기록할 수 있게 한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운전자가 자신의 시선 방향, 깊이, 머리의 위치를 통해 효율적으로 촬영 모듈의 줌 조절을 할 수 있게 해줘서 편리함을 줄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움직임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
도 3은 본 발명의 표시 모듈에 차량의 주변 화면이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자가 표시 모듈을 바라보며 시선을 조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
도 5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100)은 촬영 모듈(10), 감지 모듈(20), 설정 저장 모듈(30), 표시 모듈(40), 제어 모듈(50), 데이터베이스(60) 등을 포함한다.
촬영 모듈(10)은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변 즉 전측/후측 방향 또는 양 측면 방향을 촬영한다.
감지 모듈(20)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약속된 움직임을 감지한다.
설정 저장 모듈(30)에는 사용자의 약속된 움직임 즉 제1움직임, 제2움직임 및 제3움직임에 따른 상기 촬영 모듈(10)의 동작 설정 값 예컨대 촬영 준비, 촬영 시작, 촬영 방향 설정, 화면 확대 및 화면 축소 여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표시 모듈(40)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촬영 모듈(10)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주변의 화면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주변의 화면을 표시한다.
제어 모듈(50)은 상기 약속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촬영 모듈(10)의 촬영 동작 즉 기동, 화면 조절, 촬영 등을 제어하여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60)는 상기 촬영 모듈(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저장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100)을 구성 요소별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촬영 모듈(10)은 카메라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카메라는 차량의 주변 예컨대 차량의 전측 방향, 후측 방향,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을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는 전측 방향, 후측 방향,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방향에 설치된다. 이러한 카메라가 복수 개 설치될 경우 사용자가 후술하는 약속된 움직임에 따라 복수 개의 카메라 중 촬영을 원하는 카메라 즉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감지 모듈(20)은 차량의 내부 바람직하게는 센터페시아 부근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신체 예를 들어 손, 머리 등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제스처 감지 장치와 사용자의 눈의 시선 깊이 및 눈동자의 방향을 감지하는 시선 감지 장치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스처 및 사용자 눈의 감지 기술은 이미 공지되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설정 저장 모듈(30)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어 모듈(50)이 사용자의 약속된 움직임의 의미를 분석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움직임 즉 상기 제1움직임, 제2움직임 및 제3움직임에 따른 상기 촬영 모듈(10)의 동작 설정 값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약속된 움직임은 상기 촬영 모듈(10)에 의해 촬영되는 주변 화면을 상기 표시 모듈(40)을 이용하여 표시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1움직임과, 상기 촬영 모듈(10)에 대해 상기 주변 화면에 대한 방향, 확대 및 축소 여부를 결정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2움직임과, 상기 촬영 모듈(10)에 대해 상기 제2움직임에 따라 촬영 방향, 화면 확대 및 화면 축소 여부가 결정된 주변 화면에 대한 영상 촬영을 시작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3움직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움직임은 사용자의 손의 특정 제스처(도 2 참조)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제2움직임은 상기 주변 화면에 대한 방향을 결정하는 사용자의 눈의 상하좌우로의 움직임과 상기 주변 화면에 대한 확대 및 축소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의 눈의 시선의 깊이 또는 사용자의 머리의 전후 측 움직임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제3움직임은 사용자의 눈의 깜빡임을 말한다. 물론 여기서 상기 제1움직임, 제2움직임, 제3움직임은 제조사에 의해 각각 어떠한 동작이든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고 사용자에 의해서도 별도의 설정 장치(미 도시)를 통해 감지 모듈(20)이 인식 가능한 움직임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정이 가능하다.
표시 모듈(40)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촬영 모듈(10)에 의해 촬영할(또는 촬영된)(동영상의 경우 촬영할 영상 및 촬영되고 있는 영상) 있는 주변의 화면을 표시한다(도 3 참조). 이러한 표시 모듈(40)은 차량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와 연동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헤드 업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를 디스플레이로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표시 모듈(40)은 사용자가 자신의 움직임들에 따라 어떠한 화면을 촬영할 지를 보여주는 프리뷰(preview)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 모듈(40)은 사용자의 시선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할 수도 있고 다른 방향에 위치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표시 모듈(40)이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W)에서 사용자의 시선과 동일한 방향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의 시선과 동일한 만큼의 화면이 촬영 장치를 통해 촬영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사용자가 표시 모듈(40)을 바라보며 자신의 시선을 통해 화면에 담을 영상의 크기, 방향 등을 조절할 수 있다(도 4 참조).
제어 모듈(50)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설정 저장 모듈(30)에 저장된 설정 값을 참조하여 상기 약속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촬영 모듈(1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모듈(50)은 감지 모듈(20)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제1움직임 예컨대 사용자가 손으로 네모를 표시하는 제스처가 발생하면 상기 촬영 모듈(10)을 동작시켜 상기 촬영 모듈(10)을 촬영 준비단계로 전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50)은 상기 촬영 모듈(10)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프리뷰로서 실시간으로 표시 모듈(40)을 통해 표시한다. 이에 상기 제어 모듈(50)은 사용자에게 상기 제1움직임에 따라 정상적으로 촬영 모듈(10)이 촬영 준비 단계에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50)은 상기 촬영 모듈(10)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영상을 프리뷰로서 실시간으로 표시 모듈(40)을 통해 초기에 표시할 때 상기 촬영 모드의 방향 또는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상태를 사용자의 현재 상태 예컨대 눈동자의 방향, 시선 깊이에 따라 결정한다. 즉 상기 제어 모듈(50)은 초기 상기 촬영 모듈(10)을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따라 결정하고 이후 후술하는 제2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 모듈(10)에 대해 상기 주변 화면에 대한 방향, 확대 및 축소 여부를 조절한다. 물론 상기 제어 모듈(50)은 초기 상기 촬영 모듈(10)을 기 설정된 설정 값(카메라 기본 설정 값)으로 동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50)은 사용자의 눈의 상하좌우로의 제2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화면에 대한 방향을 결정 및 조절하고 조절된 주변 화면을 실시간으로 표시 모듈(40)을 통해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50)은 사용자의 눈의 시선의 깊이 또는 사용자의 머리의 전후 측 제2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 모듈(10)의 주변 화면에 대한 확대 및 축소 여부를 결정 및 조절하고 조절된 주변 화면을 실시간으로 표시 모듈(40)을 통해 표시한다. 이러한 상기 제어 모듈(50)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움직임을 통해 주변 화면에 대한 방향, 확대 또는 축소 조절을 하는 과정을 표시 모듈(40)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 모듈(50)은 사용자의 눈의 깜빡임 등의 제3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촬영 모듈(10)에 대해 상기 제2움직임에 따라 촬영 방향, 화면 확대 및 화면 축소 여부가 결정된 주변 화면에 대한 영상 촬영을 시작한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차량주변 촬영시스템(100)의 제어 모듈(50)은 감지 모듈(20)로부터 제1움직임을 전달받으면 촬영 모듈(10)을 동작시킨다(S100).
이어서 상기 제어 모듈(50)은 감지 모듈(20)을 통해 사용자의 현재 상태(시선 방향, 시선 깊이)를 감지하고 감지한 정보에 따라 촬영 모듈(10)의 초기 촬영 방향 및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정도를 결정한다(S102).
이어서 상기 제어 모듈(50)은 상기 촬영 모듈(10)에 의해 촬영할 주변 화면을 상기 표시 모듈(40)을 이용하여 표시한다(S104).
이어서 상기 제어 모듈(50)은 감지 모듈(20)로부터 제2움직임을 전달받으면 상기 촬영 모듈(10)의 현재 촬영 상태(초기 촬영 방향 및 화면 확대 또는 축소 정도)에서 상기 주변 화면에 대한 방향, 확대 및 축소 여부를 조절한다(S106).
이어서 상기 제어 모듈(50)은 감지 모듈(20)로부터 제3움직임을 전달받으면 상기 촬영 모듈(10)에 대해 상기 제2움직임에 따라 촬영 방향, 화면 확대 및 화면 축소 여부가 조절된 주변 화면에 대한 영상 촬영(정지 또는 동영상)을 시작하게 한다(S108). 여기서 상기 영상 촬영이 동영상 촬영일 경우 상기 제어 모듈(50)은 감지 모듈(20)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촬영을 중지시키는 제4움직임을 더 감지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 모듈(50)은 상기 촬영 모듈(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지 또는 동영상)을 데이터베이스(60)에 저장한다(S110).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성과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0: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10: 촬영 모듈
20: 감지 모듈
30: 설정 저장 모듈
40: 표시 모듈
50: 제어 모듈
60: 데이터베이스

Claims (8)

  1.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으로서,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약속된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 및
    상기 약속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촬영 모듈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주변의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약속된 움직임은
    상기 촬영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주변 화면을 상기 표시 모듈을 이용하여 표시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1움직임과,
    상기 촬영 모듈에 대해 상기 주변 화면에 대한 방향, 확대 및 축소 여부를 조절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2움직임과,
    상기 촬영 모듈에 대해 상기 제2움직임에 따라 촬영 방향, 화면 확대 및 화면 축소 여부가 조절된 주변 화면에 대한 영상 촬영을 시작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3움직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움직임, 제2움직임 및 제3움직임에 따른 상기 촬영 모듈의 동작 설정 값이 저장된 설정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움직임은 사용자의 손의 특정 제스처이고,
    상기 제2움직임은 상기 주변 화면에 대한 방향을 결정하는 사용자의 눈의 상하좌우로의 움직임과 상기 주변 화면에 대한 확대 및 축소 여부를 결정하는 사용자의 눈의 시선의 깊이 또는 사용자의 머리의 전후 측 움직임이며,
    상기 제3움직임은 사용자의 눈의 깜빡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헤드 업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6.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방법으로서,
    (a) 사용자의 약속된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및
    (b) 상기 약속된 움직임에 따라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의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및 (b) 단계의 사이에는
    (a-1)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주변의 화면을 표시 모듈을 이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약속된 움직임은
    상기 촬영 모듈을 동작시키고 상기 촬영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주변 화면을 상기 표시 모듈을 이용하여 표시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1움직임과,
    상기 촬영 모듈에 대해 상기 주변 화면에 대한 방향, 확대 및 축소 여부를 조절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2움직임과,
    상기 촬영 모듈에 대해 상기 제2움직임에 따라 촬영 방향, 화면 확대 및 화면 축소 여부가 조절된 주변 화면에 대한 영상 촬영을 시작하게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3움직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방법.
KR1020110136417A 2011-12-16 2011-12-16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KR101724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417A KR101724754B1 (ko) 2011-12-16 2011-12-16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417A KR101724754B1 (ko) 2011-12-16 2011-12-16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943A true KR20130068943A (ko) 2013-06-26
KR101724754B1 KR101724754B1 (ko) 2017-04-19

Family

ID=48864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417A KR101724754B1 (ko) 2011-12-16 2011-12-16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7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905A (ko) * 2014-09-17 2016-03-25 주식회사 케이티 운전자의 시선방향에 반응하는 촬상장치, 촬상시스템 및 촬상방법
KR20180011663A (ko) * 2016-07-25 2018-02-02 송영우 후진주행 보조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905A (ko) * 2014-09-17 2016-03-25 주식회사 케이티 운전자의 시선방향에 반응하는 촬상장치, 촬상시스템 및 촬상방법
KR20180011663A (ko) * 2016-07-25 2018-02-02 송영우 후진주행 보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754B1 (ko)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6856B1 (en) Gaze-directed photography via augmented reality feedback
US9621812B2 (en)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RU2649773C2 (ru) Управление камерой посредством функции распознавания лица
JP5848507B2 (ja) 追尾機能付き撮影装置及び方法
JP5409189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970716B2 (ja) 電子カメラ
JP4873762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20140184854A1 (en) Front camera face detection for rear camera zoom function
JP5298425B2 (ja) 投影装置およびカメラ
WO2010136853A1 (en) Self-portrait assistance in image capturing devices
US20110069156A1 (en) Three-dimensional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KR101690646B1 (ko) 시 스루 디스플레이를 위한 카메라 구동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04606A (ko) 촬영자 거리에 기반한 카메라 줌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3183433A (ja) クライアント端末、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622501B (zh) 图像处理装置及电子设备
US20200228726A1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therefor
KR101724754B1 (ko) 동작 인식을 이용한 차량주변 촬영시스템
JP2019022026A (ja) 撮像装置
JP2015091031A (ja) 撮影装置、撮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2124287A1 (ja) 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3755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at least one image of at least one application on a display device
KR20190107898A (ko)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JP5504741B2 (ja) 撮像装置
US10027922B2 (en) Imaging apparatus for displaying a specific scene while continuously photographing, image playback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4236284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