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858A - 외장타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외장타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858A
KR20130068858A KR1020110136267A KR20110136267A KR20130068858A KR 20130068858 A KR20130068858 A KR 20130068858A KR 1020110136267 A KR1020110136267 A KR 1020110136267A KR 20110136267 A KR20110136267 A KR 20110136267A KR 20130068858 A KR20130068858 A KR 20130068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fixing groove
exterior
dry
dry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관옥
Original Assignee
윤관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관옥 filed Critical 윤관옥
Priority to KR1020110136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8858A/ko
Publication of KR2013006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8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E04F13/12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with an outer layer of wire mesh, wire grid or the like, e.g. 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건축물의 외벽에 간편하게 부착시공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외장타일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외장타일은 타일을 건축물의 벽체에 용이하게 부착 시공 할 수 있도록 일측면과 타측면 각각에 벽체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bracket)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홈체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조방법은 소성 가능한 건식 파우더를 성형틀에 투입하고, 상기 투입된 건식 파우더의 위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체가 단부에 결합된 메시를 적층하며, 상기 성형틀의 메시 상부에 건식파우더를 2차로 투입하여 실 성형압력 250∼350kg/㎠으로 타일로 성형하는 건식성형단계; 상기 건식타일을 일정시간동안 건조하여 그 표면에 유약을 시유하는 시유단계와; 상기 시유된 건식타일을 소성가마에서 1100~1200℃로 40~60분 동안 소결시키는 소성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외장타일 및 그 제조방법{Exterior decoration ti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장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외벽에 간편하게 부착시공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외장타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일은 바닥·벽 등의 표면을 피복하기 위하여 만든 평판상(平板狀)의 점토질 소성제품으로, 내장(內裝)타일, 외장타일, 모자이크타일, 내산타일, 바닥타일, 염전타일, 쿼리타일 등이 있는데, 시공이 간단하고 시공 후에 균열을 일으키거나 변색하는 일이 거의 없어 건축물의 모든 곳에 사용되고 있다.
위와 같은 타일의 부착 시공은 건축물의 부착대상물에 따라 그 시공방법이 상이하다. 예를 들면, 건축물의 바닥면에 타일을 부착 시공할 경우, 바닥면에 시멘트 몰탈(mortar, 모르타르) 또는 타일전용 접착제를 도포한 후 그 상부에 타일의 이면을 부착하는 형태로 시공된다. 이러한 경우 바닥면에 골고루 도포된 시멘트 접착용 몰탈 또는 접착제에 타일의 이면이 전체적으로 밀착됨으로써 그 부착강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며, 바닥에 붙이는 관계로 박리는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건축물의 벽체(1)에 타일(2)을 부착 시공할 경우, 타일(2)을 부착하기 위한 시멘트 몰탈 또는 타일 접착제(3)를 타일(2)의 이면에 적당량 도포한 후 벽체(1)의 표면에 눌려 부착되도록 시공한다. 또한, 타일(2)의 부착 틈새에는 코킹재(5)로 메워 넣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타일 부착 시공방법은 타일(2)의 이면에 몰탈과 같은 접착제를 적당히에 도포한 후 벽체(1)에 밀여 부착함으로써 타일(2)의 네 귀퉁이가 들떠 타일(2)과 타일(2) 사이에 빈공간(4)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4)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타일(2)의 표면에 가하여졌을 때 자기질, 석기질, 도기질의 재료로 만들어진 타일(2)이 쉽게 파손되는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타일(2)의 표면에 가하여지는 밀착 압력 강도에 따라 벽체(1)와 타일(2)간의 접착제(3)의 두께가 다르게 되어 시공자의 작업능력에 따라 타일이 부탁된 시공 면이 매끄럽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끝으로, 타일(2)의 이면에 도포되어 건축물의 벽체(1)의 사이에 위치하는 접착제(3)의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건축물의 외벽에 강한 풍압이 가하여지는 경우, 타일(2)이 벽체(1)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통상적인 외장용 타일은 접착제로 부착 시공하는 관계로 그 크기가 약 25 ㅧ 40cm로 제한되어 생산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대형 건축물의 외벽 전체를 타일 시공하는 경우 시공 기간이 매우 길고, 건축물의 외벽에 타일을 시공하였다 하더라도 초기 시공 후 타일의 무게에 의하여 접착제가 벽체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문제로 30 ㅧ 30 cm를 초과하는 타일은 건축물의 외장 마감재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외벽에 용이하게 부착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외장타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외벽에 부착시공 시 외부의 충격에 쉽게 깨지지 않는 구조를 갖는 외장타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50ㅧ50cm 이상의 크기로 제작 하더라도 건축물의 외벽에 쉽게 부착 시공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외장타일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타일을 건축물의 벽체에 용이하게 부착 시공 할 수 있도록 일측면과 타측면 각각에 벽체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bracket)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홈체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홈체는 일측이 개구되어 그 내부에 고정홈이 형성된 통형상의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일은 금속와이어로 엮어진 메시(mesh)와 상기 고정홈체를 그 내부에 내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홈체는 상기 메시에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일의 일측면에는 니은자 형태로 단차를 갖는 결합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일의 타측면에는 이웃하는 타일의 결합받침부에 얹어지는 기역자 형태의 결합덮개가 형성되어 타일 상호간의 측면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타일의 제조 방법은 건식 파우더를 성형틀에 투입하고, 상기 투입된 건식 파우더의 상부에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체가 결합된 메시를 적층하며, 상기 성형틀의 메시 상부에 건식파우더를 2차로 투입하여 실 성형압력 250∼350kg/㎠로 프레스 성형하는 건식성형단계, 상기 건식타일을 일정시간동안 건조하여 그 표면에 유약을 시유하는 시유단계와, 상기 시유된 건식타일을 소성가마에서 1100~1200℃로 40~60분 동안 소결시키는 소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유단계는 표면에 유약이 시유한 후, 유약 페이스트를 디자인에 맞게 실크 스크린인쇄하거나 로토컬러 프리트 머신으로 인쇄하는 인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식 파우더는 석기질의 파우더이며, 상기 유약 페이스트는 타일의 표면이 석재질감으로 표현되는 유약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외장타일은 상측면 및 하측면에 고정홈을 갖는 고정홈체가 형성되어 있어 이를 벽체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에 용이하게 끼워서 외장타일을 벽체에 간단히 부착 시공 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일의 사이즈를 크게 제작할 경우 건축물의 외장을 보다 아름답게 마감할 수 있다. 또한, 외장타일의 표면에 석재질감을 갖는 유약을 시유하여 소결시키는 경우, 자연산의 석재 이용을 저감시킬 수 있어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타일 부착 시공 후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외장타일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외장타일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외장타일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외장타일의 내부에 묻혀진 메시와 고정홈체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외장타일의 측면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외장타일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시예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장타일은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타일바탕(Tile foundation)(10)의 상측면과 하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18)이 형성되고, 일측면은 니은자 형태로 단차를 갖는 결합받침(14)이 형성되며, 상기 타일바탕(10)의 타측면에는 이웃하는 타일에 형성된 결합받침(14)에 얹어지는 기역자 형태의 결합덮개(16)가 형성되어 타일 상호간의 측면 결합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타일바탕(10)은 석기질, 자기질, 도기질의 건식파우더를 프레스 성형하여 만들 수 있으며, 프레스 성형시 고정홈(18)을 형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외장타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과 하측면 각각에 적어도 1이상의 고정홈(18)들을 형성함으로써 벽체에 고정된 브래킷의 결속편에 상기 고정홈(18)을 상하로 끼워 벽체에 용이하게 부착 시공할 수 있다. 이때 벽체에 고정되는 브래킷의 예로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2011. 1. 21.자 특허출원 제10-2011-0006349호에 개시(開示)된 "고정구조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 2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외장타일은 도 3에 도시된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다.
도 1에 도시된 타일바탕(10)은 도기질, 석기질 또는 자기질의 건식파우더의 원재료를 칭량한 후, 볼밀(ball mill)에 물과 함께 넣고 마분쇄하여야 한다. 이때, 도기질, 석기질 또는 자기질의 건식파우더를 만들기 위한 원재료와 그에 따른 제조 공정은 주지된 공정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석기질의 원재료를 칭량하여 마분쇄한 건식 파우더를 사용하였다.
석기질의 건식파우더가 만들어지면, 도 3의 (A)와 같이 프레스 베이스(51)의 상부 양측을 막는 저부형성프레임(53)을 올려놓고, 상기 저부형성프레임(53)의 내부에 1차로 건식파우더(52)을 투입하여 평탄화한 한다. 이후 도 3의 (A)와 같이 저부형성프레임(53)의 윗면에 유압프레스의 압력플레이트(54)를 올려놓은 후,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250∼350kg/㎠의 실성형 압력으로 프레스 성형한다. 이때, 상기 프레스 베이스(51)의 전후면은 막혀져 있고, 양측면은 저부형성프레임(53)에 의해 측면들이 막혀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프레스 압력 성형하면, 도 3의 (A)의 건식파우더(52)는 도 3의 (B)와 같이 압축된다.
상기와 같이 1차로 투입된 건식파우더(52)가 압축된 상태에서 프레스 베이스(51)의 양측에 결합된 저부형성프레임(53)을 탈형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된 1차 건식파우더(52)의 상부에 접착제, 예를 들면, 물을 스프레이하거나 타일전용 접착제를 스프레이한 후 홈형성프레임(55)의 홈돌기(57)의 저면을 도 3도의 (B)와 같이 맞추어 조립한다. 이때, 상기 홈형성프레임(55)의 테두리에는 강한 압력이 상기 홈형성프레임(55)의 상부에 가하여질 때 쉽게 탈형되지 않도록 고정프레임을 결합하는 것이 좋다.
도 3의 (B)와 같은 상태에서 1차 건식파우더(52)의 상부에 2차로 건식파우더(52A)를 투입하여 도 3의 (C)와 같이 평탄화 한 후 2차 건식파우더(52A)의 상부에 압력플레이트(54)를 올려놓고, 도 3의 (D)와 같이 250∼350kg/㎠의 실성형 압력으로 프레스 성형한다,
이후, 도 3의 (D)와 같이 프레스 베이스(51)의 상부에 결합된 압력플레이트(54)을 제거한 후 홈셩성프레임(55)을 탈형하면 도 2에 도시되 바와 같이 고정홈(18)이 상측면과 하측면에 형성된 타일바탕(10)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실시 예에서는 건식파우더(52)(52A)를 2차에 걸쳐 투입하는 예를 기술하였으나, 도 3의 (C)와 같이 프레스 베이스(51)의 상부에 홈형성프레임(55)을 결합한 후 1번에 건식파우더(52)를 투입하여 도 2와 같은 타일바탕(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홈돌기(57)의 아래 부분까지 건식파우더(52)가 잘 투입되도록 건식파우더(52)를 잘 다져 넣어야 한다.
이후 건조 단계에서 도 3의 (D)와 같이 성형틀(50)의 내부에서 프레스에 의해 건식 성형된 그린타일을 분리하여 건조실(Vertical Dryer 또는 Mangle Dryer)에서 건조온도 100∼150℃, 건조시간 55∼65분 동안 건조한다. 이어서 시유단계에서, 건조된 그린타일 윗면에 유약을 도포하게 된다.
유약 도포단계는 1차 엔고베유약(engobe glaze)을 400∼800gr/㎡시유하고, 2차 무광택유약(matt glaze) 또는 광택유약(opaque 및 transparent glaze)을 900∼1300gr/㎡ 시유한 다음, 유약 페이스트를 디자인에 맞게 망사규격(24HD∼170T)을 선정하여 인쇄하거나 또는 로토컬러(roto color)로 프린트로 인쇄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약 페이스트에 석재질감, 타일재 등과 같은 과립상태의 석재분말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소성단계에서, 상기 시유제품을 컨테이너에 임시 보관하면서 연속소성가마에서 최고대 소성온도 1150∼1190℃, 최고대 유지시간 0.5∼5분, 총 소성시간 40∼60분 조건에서 소성시켜 석기질의 타일을 완성시킨다.
위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진 외장타일은 상측면과 하측면에 고정홈체(12)의 고정홈(18)이 노출되고, 그 내부에 메시(20)가 넣어짐으로써 상기 고정홈(18)을 벽체에 고정 결합된 고정구조물의 브래킷에 삽입하는 동작만으로 건축물 외벽에 신속 정확하게 부착시공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실시에 따른 외장타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타일바탕(Tile foundation)(10)의 상측면과 하측면 각각에 고정홈(18)을 갖는 고정홈체(12)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타일바탕(10)의 내부 중심에서 길이방향으로는 와이어 또는 와이어 메시(20)가 넣어져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타일바탕(10)의 일측면은 니은자 형태로 단차를 갖는 결합받침(14)이 형성되고, 상기 타일바탕(10)의 타측면에는 이웃하는 타일에 형성된 결합받침(14)에 얹어지는 기역자 형태의 결합덮개(16)가 형성되어 타일 상호간의 측면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타일바탕(10)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서 개구된 일측면, 즉 고정홈(18)이 노츨된 고정홈체(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또는 와이어 메시(20)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홈체(12)와 와이어 메시(20)는 금속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이 구성된 외장타일의 타일바탕(10)의 측면과 단면은 도 5의 (A) 및 (B)와 같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석기질의 건식 파우더를 소성하여 만든 타일바탕(10)의 측면에는 고정홈(18)이 형성된 고정홈체(12)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홈체(12)는 타일바탕(10)의 내부에 넣어진 메시(20)에 도 4 및 도 5의 (A)와 (B)와 같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체(12)와 메시(20)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하는 경우 사출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만들 수 있고, 금속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호 접합시켜야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외장타일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면과 하측면 각각에 적어도 1이상의 고정홈체(12)들을 형성함으로써 벽체에 고정된 브래킷의 결속편에 상기 고정홈체(12)를 상하로 끼워 벽체에 용이하게 부착 시공할 수 있다. 이때 벽체에 고정되는 브래킷의 예로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2011. 1. 21.자 특허출원 제10-2011-0006349호에 개시(開示)된 "고정구조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도 4 내지 도 6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외장타일은 도 7에 도시된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다.
도 4에 도시된 타일바탕(10)은 도기질, 석기질 또는 자기질의 건식파우더의 원재료를 칭량한 후, 볼밀(ball mill)에 물과 함께 넣고 마분쇄하여야 한다. 이때, 도기질, 석기질 또는 자기질의 건식파우더를 만들기 위한 원재료와 그에 따른 제조 공정은 주지된 공정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석기질의 원재료를 칭량하여 마분쇄한 건식 파우더를 사용하였다.
석기질의 건식파우더가 만들어지면, 도 7의 (A)와 같은 성형틀(50)에 1차로 건식파우더(50)를 투입하여 평탄화하고, 도 7의 (B)와 같이 평탄화된 건식파우더(50)의 상부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체(13)와 메시(20)가 결합된 걸이보호망(40)을 올려놓는다.
이어서, 도 7의 (B)와 같이 메시(20)의 상부에 건식 파우더(52A)을 채워 넣되, 하부에 채워진 건식파우더(52)의 두께만큼 투입하여 걸이보호망(40)을 도 7의 (C)와 같이 완전히 덮는다. 이후 성형틀(50)의 상부측의 개구에 유압프레스의 압력플레이트(54)를 올려놓은 후, 유압프레스를 이용하여 실 성형압력 250∼350kg/㎠로 도 7의 (D)와 같이 프레스 성형한다.
이후 실시 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건조단계, 유약도포단계 및 소성단계를 수행하여 도 4에 도시된 타일바탕(10)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외장타일은 상측면 및 하측면에 벽체에 고정된 브래킷에 끼워 결합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어 외장타일의 부착시공을 신속 정확하게 할 수 있고, 그 내부에 메시가 넣어져 있어 외부충격에 쉽게 파손되지 않는 이점을 갖는다.
10 타일바탕, 12 고정홈체, 14 : 결합받침, 16 결합덮개, 18 고정홈, 20 메시, 40 걸이보호망, 50 성형틀, 52, 52a 건식파우더, 54 압력 플레이트,

Claims (8)

  1. 외장타일에 있어서,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에 끼워지는 고정홈이 일측면과 타측면 각각에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타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은 금속체의 고정홈체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타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체는 일측이 개구되어 그 내부에 고정홈이 형성된 통형상의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타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금속와이어로 엮어진 메시와 상기 고정홈체를 그 내부에 넣어져 소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타일.
  5.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타일의 일측면에는 니은자 형태로 단차를 갖는 결합받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일의 타측면에는 이웃하는 타일의 결합받침부에 얹어지는 기역자 형태의 결합덮개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타일.
  6. 외장타일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프레스 베이스의 상부 양측에 홈형성프레임의 홈돌기가 대향하도록 결합하여 성형틀을 조립하는 단계와; 건식파우더를 상기 성형틀에 투입하여 실 성형압력 250∼350kg/㎠으로 프레스 성형하고, 홈형성프레임을 탈형시키는 건식성형단계; 상기 건식타일을 일정시간동안 건조하여 그 표면에 유약을 시유하는 시유단계와; 상기 시유된 건식타일을 소성가마에서 1000~1200℃로 40~60분 동안 소결시키는 소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타일 제조방법.
  7. 외장타일 제조 방법에 있어서, 소성 가능한 건식 파우더를 성형틀에 투입하고, 상기 투입된 건식 파우더의 위층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체가 단부에 결합된 메시를 적층하며, 상기 성형틀의 메시 상부에 건식파우더를 2차로 투입하여 실 성형압력 250∼350kg/㎠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건식성형단계; 상기 건식타일을 일정시간동안 건조하여 그 표면에 유약을 시유하는 시유단계와; 상기 시유된 건식타일을 소성가마에서 1100~1200℃로 40~60분 동안 소결시키는 소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타일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유단계는 표면에 유약이 시유한 후, 유약 페이스트를 디자인에 맞게 실크 스크린인쇄하거나 로토컬러 프리트 머신으로 인쇄하는 인쇄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타일 제조방법.
KR1020110136267A 2011-12-16 2011-12-16 외장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688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267A KR20130068858A (ko) 2011-12-16 2011-12-16 외장타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267A KR20130068858A (ko) 2011-12-16 2011-12-16 외장타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858A true KR20130068858A (ko) 2013-06-26

Family

ID=4886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267A KR20130068858A (ko) 2011-12-16 2011-12-16 외장타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88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643B1 (ko) * 2017-05-29 2018-06-28 강경구 외장용 타일
KR20220015684A (ko) * 2020-07-31 2022-02-08 강기병 스코리아 원석 분말을 압착하여 제공되는 스코리아원석 구들장 및 구들장 제조방법
KR102463642B1 (ko) * 2022-03-07 2022-11-07 주식회사 위드코 타일시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타일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643B1 (ko) * 2017-05-29 2018-06-28 강경구 외장용 타일
KR20220015684A (ko) * 2020-07-31 2022-02-08 강기병 스코리아 원석 분말을 압착하여 제공되는 스코리아원석 구들장 및 구들장 제조방법
KR102463642B1 (ko) * 2022-03-07 2022-11-07 주식회사 위드코 타일시트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타일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70214A2 (en) Light transmitting three-dimensional objec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09072795A2 (en) Brick usable as a mold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wall using the same
KR20130068858A (ko) 외장타일 및 그 제조방법
CN204343622U (zh) 一种复合地砖的连接结构
CN205330078U (zh) 一种地面复合装饰板的铺装结构
CN201746964U (zh) 凹凸型烧结空心砖
CN204510659U (zh) 一种适用于墙体阳角的陶瓷砖组合
US20060101751A1 (en) Metal tile for interior and exterior decoration of building
CN203271045U (zh) 一种室内墙面用可拆卸塑料墙面砖
CN207538305U (zh) 一种改进结构的夹心砖
CN101012692B (zh) 一种蜂窝砖
CN101767372A (zh) 一种复合装饰板及其制造方法
KR20210029435A (ko) 폐도자기를 활용한 퍼즐타일과 이의 제조방법
CN205637461U (zh) 一种抗震陶瓷砖
KR101874687B1 (ko) 벽체 부착형 기능성 벽돌
KR101872643B1 (ko) 외장용 타일
CN203188447U (zh) 一种预制外墙的砌体
CN204781729U (zh) 高性能墙砖
KR20160034584A (ko) 조립형 황토벽돌
CN218779847U (zh) 一种榫卯锚固墙地砖
CN216340569U (zh) 一种矿物质复合装饰板
KR101947729B1 (ko) 자개가 부착된 건축용 마감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CN219411587U (zh) 一种具有卡槽的烧制砖
KR102474586B1 (ko) 디자인 콘크리트 패널
CN103382765A (zh) 一种柔性饰面砖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