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433A -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433A
KR20130068433A KR1020110135588A KR20110135588A KR20130068433A KR 20130068433 A KR20130068433 A KR 20130068433A KR 1020110135588 A KR1020110135588 A KR 1020110135588A KR 20110135588 A KR20110135588 A KR 20110135588A KR 20130068433 A KR20130068433 A KR 20130068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mmunication
control room
main terminal
monito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0112B1 (ko
Inventor
김태봉
김현대
김석광
최천형
박인택
이창열
이청일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오리온테크놀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오리온테크놀리지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11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propulsion power units being controlled from exterior of engine room, e.g. from navigation bridge; Arrangements of order tele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선박 등을 위한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를 연결할 때, 엔진과 이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신호 전달을 통신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연결 배선 포설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편리해질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박의 엔진(20)과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에서 엔진(20) 측의 센서 신호 및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엔진(20)으로의 제어 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메인 터미널 박스(50)가 이와 근접한 위치의 센서들과 스위치들이 연결되도록 엔진 주위에 복수개 분산 설치되고, 각 메인 터미널 박스(50)는 다른 메인 터미널 박스(50)와 다중 통신(31)을 통해 각각의 데이터를 공유하되, 적어도 2개의 메인 터미널 박스(50)가 상기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와 별도의 케이블 회선으로 통신하는 이중화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Connecting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Sensors in a Engine and an Alarm Monitoring Device in Control Room of Ship}
본 발명은 대형 선박 등을 위한 엔진과 콘트롤 룸 장치 간의 연결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 선박과 같이 엔진과 이 엔진을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콘트롤 룸 장치가 원격으로 위치하는 경우 엔진과 이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신호 전달을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연결 배선 포설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편리해질 수 있도록 한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력을 발생하는 프로펠러(40)를 구동하는 엔진(20)이 선박 하부에서 프로펠러(40)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반면에, 선박의 항해를 위한 선박 콘트롤 룸(30)은 선박의 상부에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엔진(20)과 콘트롤 룸(30)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는 선박의 크기에 따라 큰 거리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며, 그 사이에는 엔진을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전기전자 배선들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배선들은 조선소에서 선박을 제조할 때 연결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우선 엔진(20)을 안착하고 난 후 엔진(20) 근처에 정션박스(10)를 설치한 후, 이 정션박스(10)로부터 선박의 콘트롤 룸(30) 장치, 즉 알람 모니터링 장치까지 결선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엔진(20)에는 통상적으로 여러 종류의 센서와 스위치들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엔진의 동작 상태를 측정 또는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엔진에 부착되는 장치들로서 예컨대 압력 스위치, 압력 트랜스미터, 온도 스위치, 저항 벌브, 자기 스위치, 온도 센서, 유속 센서, 리미트 스위치 등이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엔진에 부착되는 장치들인 센서와 스위치들은 해당 센서와 스위치로부터 정션박스(10)까지 배선을 통해 결선된다. 그리고 이 정션박스(10)는 다시 선박의 콘트롤 룸(30) 장치, 즉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까지 배선을 통해 결선하게 된다. 이렇게 엔진(20)에 부착되는 장치들인 센서와 스위치들과 콘트롤 룸(30) 장치인 알람 모니터링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결선 작업에는 엔진에 부착되는 장치들의 개수만큼이나 많은 각종 전선 케이블과 이들을 고정하거나 이들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등의 부자재가 상당히 필요하다.
이 때문에 조선소에서 전기, 전자 배선을 포설하는 작업에 인건비 및 자재비가 과도하게 소요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선박의 운행 중 케이블의 접촉 불량이나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보수 시간이 길어지고 또한 보수 완료시까지 운행을 중단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선박에 대형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엔진과 이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신호 전달 방식을 통신 방식으로 전환함으로써 엔진과 콘트롤 룸을 연결하는 대부분의 연결 배선을 제거하여 연결 배선의 포설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문제 발생시 엔진에 장착된 중앙처리장치(CPU)와 통신하여 문제 발생 위치를 빠르게 파악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해질 수 있도록 한 장치가 개발되어, 등록실용신안 20-0447766호(고안의 명칭: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통신방식 연결장치)로 등록된 바 있다.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공보에 개시된 선박의 엔진에 부착되는 장치들과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엔진(20)과 콘트롤 룸(30) 장치 사이에서 엔진에 부착되는 장치들로부터 센서 신호 및 하나의 입출력만을 구비하는 콘트롤 룸 장치로부터 엔진으로 제어 신호를 송신용과 수신용의 2라인 케이블 회선을 통해 상호 연결하기 위한 하나의 정션박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정션박스(10)는, 일측부에 센서 감지, 즉 모니터링 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 선의 인입 케이블 글랜드(13)와 다른 측부에 센서 감지, 즉 모니터링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 선의 인출 케이블 글랜드(12)를 구비하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 내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블 글랜드(12, 13)를 통해 센서 감지 신호 및 통신 신호를 위한 케이블에 양측이 각각 연결되고, 일방향으로는 엔진측의 센서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통신 신호로 변환 출력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입출력(I/O) 모듈(15)과, 상기 입출력 모듈(15)로부터 상기 통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콘트롤 룸 장치에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콘트롤 룸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를 상기 입출력 모듈로 전달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통신 CPU(1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은 대형 선박과 같이 엔진과 이 엔진을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콘트롤 룸 장치가 원격으로 위치하는 경우 엔진과 이 엔진을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장치인 콘트롤 룸 장치간 신호 전달을 통신 방식으로 함으로써 대부분의 연결 배선을 제거하여 연결 배선 포설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편리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는 엔진의 동작 상태를 측정 또는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여러 종류의 엔진에 부착되는 장치들인 다양한 센서 및 스위치들이 하나의 정션박스(10)에 연결된 후 이 하나의 정션 박스(10)에서 콘트롤 룸(30) 장치로 송신용과 수신용의 2라인 케이블 회선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엔진측 장치들과 하나의 정션박스(10) 사이에는 배선 구조가 조밀하고 복잡하며, 또 정션박스(10)가 하나 밖에 없어 이 하나의 정션박스(10)에 노이즈나 버그 등 이상이 생겨 고장이 나면 선박 엔진의 동작 상태를 콘트롤 룸(30) 장치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없어 선박 전체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상기 종래의 정션박스(10)가 콘트롤 룸(30) 장치와 송신용과 수신용의 2라인 케이블 회선으로만 연결되어 이 송신용과 수신용의 2라인 케이블 회선 중 어느 하나의 회선에 노이즈나 이상(절단, 훼손, 노후)이 생기는 경우 송신이나 수신이 안되는 등 콘트롤 룸(30) 장치가 정션박스(10)로부터 실시간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 없어 선박 항해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고 비상시에 실시간 대응이 어려워 대형 선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엔진에 설치되는 정션박스(10)와 선박의 콘트롤 룸(30) 장치 사이에는 연결 배선이 상당부분 제거되어 배선의 포설 작업이 최소화되고 유지보수가 편리해졌으나, 엔진에 부착되는 장치들에서 발생하는 모든 센서 신호는 엔진측에 부설되는 하나의 정션박스(10)로 입력되었기 때문에 이 정션박스(10)의 사이즈가 크다고 하는 문제점과, 이 정션박스(10)는 콘트롤 룸 장치로 전달되는 신호만을 처리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그 밖의 장치로 전달되는 신호에 대해서는 별도의 정션박스를 설치하여야 하였기 때문에 그 밖의 장치로 전달되는 신호들이 많은 경우에는 별도의 정션박스들이 엔진 주위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여 오히려 케이블 포설과 작업성이 불량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박의 엔진에 부착되는 센서나 스위치와 같은 엔진의 동작 상태를 측정 또는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엔진측 장치들과 선박의 콘트롤 룸 장치를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되, 이 엔진측 장치들과 통신하는 메인 터미널 박스를 엔진의 서로 다른 곳에 복수개 설치하여 엔진측의 배선 구조를 분산시켜 이들 배선의 설치나 유지보수를 간단하게 하고, 또 입출력 기능과 통신 기능을 모두 구비한 메인 터미널 박스를 엔진의 서로 다른 곳에 복수개 설치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메인 터미널 박스 자체의 구성을 간단히 하고 하나의 메인 터미널 박스 자체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여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를 엔진에 부착시에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한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과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통신과 더불어 엔진측에 있는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들 사이에 데이터를 공유하는 다중 통신을 수행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 기능을 구비하여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들 중 어느 하나의 박스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도 상호 데이터를 공유하는 다른 메인 터미널 박스를 통해 엔진측과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거나 이에 대처할 수 있게 한 엔진과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엔진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들 중 적어도 2개의 박스와 복수의 입출력을 구비하는 선박의 콘트롤 룸 장치(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에 별도의 케이블 회선으로 통신하는 이중화 통신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복수의 케이블 회선 중 어느 하나의 회선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도, 다른 케이블 회선을 통해 엔진의 동작 상태를 측정 또는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거나 이에 대처할 수 있게 한 엔진과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측 장치들에서 발생하는 각종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를 선박의 진동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이들 신호를 특성별로 구분하여 수신하여 다중화하고 디지털 변환하여 처리하여 콤팩트한 구성으로 신호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한 엔진과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동작시 오류 및 불량을 자가 진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엔진과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급작스러운 전원의 변동이나 정전기로부터 보호되는 엔진과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에서 엔진측의 센서 신호 및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엔진으로의 제어 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메인 터미널 박스가 이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센서들과 스위치들이 연결되도록 엔진 주위에 복수개 분산 설치되고, 각 메인 터미널 박스는 다른 메인 터미널 박스와 다중 통신을 통해 각각의 데이터를 공유하되, 적어도 2개의 메인 터미널 박스가 별도의 케이블 회선으로 상기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와 별도의 케이블 회선으로 통신하는 이중화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에 따르면, 상기 메인 터미널 박스는 센서 감지 또는 모니터링 신호와 제어신호의 입력을 위한 인입 케이블 글랜드와, 센서 감지 또는 모니터링 신호와 제어신호의 출력을 위한 인출 케이블 글랜드, 그리고 접지 볼트가 각각 측면에 설치된 정사각 단면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덕트 및 터미널 블록과;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글랜드를 통해 센서 감지 또는 모니터링 신호와 제어신호를 위한 케이블이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일방향으로는 엔진측의 센서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신호로 변환 출력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통신신호를 전달받아 제어신호로 전환 출력하는 입출력 기능과 다른 모듈과의 다중 통신 및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모두 구비한 통신 입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에 따르면, 상기 통신 입출력 모듈은 RS-232, RS-422, RS-485 규격의 시리얼 통신과 CAN 방식의 다중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에 따르면, 상기 통신 입출력 모듈은 엔진측 장치에서 온 각종 신호를 특성별로 구분 수신하여 다중화하는 다중화기(Mux)와, 특성별로 구분되어 다중화된 신호를 동일한 특성의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와, 변환된 다중화된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 MCU(Master Control Unit)와, 다른 메인 터미널 박스 및 콘트롤 룸 장치와 각각 통신하기 위한 공유(다중) 통신(CAN) 단자대 및 이중화 통신(MODBUS) 단자대와, 각종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마더 보드와; 상기 마더 보드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엔진측 장치들에서 온 각종 신호를 상기 다중화기에 특성별로 구분하여 제공하기 위해 저항 출력용 RTD 단자대와 전류 출력용 커런트(Current) 단자대 및 스위치 출력용 바이너리(Binary) 단자대가 구비되는 서브 보드와; 상기 서브 보드의 외곽을 둘러싸고 마더 보드와 서브 보드를 선박의 진동으로부터 보호하는 알루미늄재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에 따르면, 상기 상태 디스플레이부는 동작시 오류 및 불량을 자가 진단하여 이상 여부를 나타내는 LCD 또는 LE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에 따르면, 상기 통신 입출력 모듈은 전원안정화회로 및 정전기 방전 보호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는, 선박의 엔진에 부착되는 센서나 스위치와 같은 엔진의 동작 상태를 측정 또는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엔진측 장치들과 선박의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를 통신 방식으로 연결하되, 종래 엔진측에 하나의 메인 터미널 박스가 제공되던 것과는 달리, 엔진 측 장치들과 통신하는 메인 터미널 박스가 서로 다른 곳에 복수개 구비되어 그 주위에 있는 센서 및 스위치들이 연결되므로 엔진측의 장치들과 메인 터미널 박스와의 배선 구조가 분산 배치되어 배선 연결과 유지보수가 간단하게 됨은 물론, 하나의 메인 터미널 박스 자체의 구성을 간단히 하고 하나의 메인 터미널 박스 자체가 차지하는 면적을 줄여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를 엔진에 부착시에 레이아웃을 용이하고, 이로 케이블 및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작업이 최적화되어 비용 및 작업 공수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엔진측 장치들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에 따르면, 엔진에 분산 배치된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들이 상호 데이터를 공유하는 다중 통신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어느 하나의 메인 터미널 박스에 이상(노이즈, 버그 등)이 생긴 경우에도 데이터를 공유하는 다른 메인 터미널 박스를 통해 엔진의 동작 상태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로 실시간으로 전달할 수 있고 또 이상이 생긴 메인 터미널 박스를 신속히 파악하여 이를 통해 이상이 생긴 메인 터미널 박스를 새 것으로 교체하는 것에 의해 신속히 선박의 안전을 지속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엔진측 장치들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에 따르면, 복수(예를 들어 2개)의 입출력을 구비하는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 이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와 엔진측에 분산 배치된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들 중 적어도 2개의 박스들 사이에 별도의 케이블 회선으로 이중화 통신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와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들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케이블 회선 중 어느 하나의 회선에 이상(노이즈, 절단, 훼손, 노후 등)이 생겨 통신이 불량하거나 통신이 차단된 경우에도 다른 회선을 통해 엔진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 단일 회선의 이상시 발생할 수 있었던 엔진 모니터링이나 제어의 불능으로 인한 사고가 미연에 예방되거나 이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추가의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에 따르면, 엔진측 장치들에서 발생하는 각종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를 선박의 진동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이들 신호를 특성별로 구분하여 수신하고 다중화하며 디지털 변환하여 처리하여 콤팩트한 구성으로 신호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에 따르면, 동작시 오류 및 불량을 자가 진단하여 LED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고 LCD를 통해 오류 및 불량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되므로, 이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에 따르면, 전원안정화회로가 설치되어 급작스러운 전원의 변동에 대응할 수 있고 정전기 방전 보호회로가 설치되어 정전기로부터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요부 구성인 정션박스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통신 연결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메인 터미널 박스가 도시된 구성도.
도 6은 도 5의 메인 터미널 박스에 있는 통신 입출력 모듈의 확대도.
도 7은 도 6의 통신 입출력 모듈의 분해도.
도 8은 도 7의 마더 보드에 배설된 신호 처리 회로와 그 주변 회로의 연결 구성도.
도 9는 도 8의 신호 처리 회로와 그 주변 회로에서 수행되는 동작 단계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엔진(20)과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에서 엔진(20)에 부착된 센서들과 스위치들과 같은 엔진측 장치들로부터 나오는 각종 센서 신호 또는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엔진(20)으로의 제어 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메인 터미널 박스(50)가 이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센서들 및 스위치들이 연결되도록 엔진 주위에 복수개, 예를 들어 3개 이상 분산 설치되고, 각 메인 터미널 박스(50)는 다른 메인 터미널 박스(50)와 다중 통신(31)을 통해 각각의 데이터를 공유하되, 적어도 2개의 메인 터미널 박스(50)가 상기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와 별도의 케이블 회선으로 통신하는 이중화 통신으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 터미널 박스(50)는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의 서로 다른 3곳에 분산 배치되며, 각 메인 터미널 박스(50)는 이와 인접한 곳에 위치한 센서와 스위치와 같은 엔진측 장치들이 밀집된 곳 부근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래 1개의 정션박스(10)에서 모든 센서 신호들이 취합된 것과 달리, 본 메인 터미널 박스(50)는 엔진의 서로 다른 3곳에 분산 배치되어 그 인근의 센서 신호만을 취합하므로 메인 터미널 박스 자체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고 이에 엔진에 설치할 수 있는 공간 확보가 용이한 잇점이 있다. 또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50)가 복수개 분산 배치되어 케이블 포설 및 케이블 트레이 포설 작업을 최적화하여 비용 및 작업공수를 개선시킬 수 있다.
여기서 다중 통신(31)이란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50) 간에 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기 위해 상호 간에 주고 받는 통신을 말하며 이로써 각 메인 터미널 박스(50)는 엔진측 장치들의 모든 센서 신호를 상호 공유하여 보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다중 통신(31)은 각 메인 터미널 박스(50)에 있는 통신 입출력 모듈(60)의 공유(다중) 통신 단자대(66)(도 6 내지 도 7 참조)에 물리적인 통신선 연결을 통해 일어나며, 이러한 다중 통신(31)으로서 예컨대 CAN 통신, 이더넷 통신, 디바이스넷 통신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메인 터미널 박스(50)는 엔진측 장치들의 모든 센서 신호를 상호 공유하며,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50) 중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메인 터미널 박스(50)들이 콘트롤 룸(30)과 각각 별도의 케이블 회선(32)을 통해 연결되어 이중화 통신을 수행하여, 2개의 케이블 회선들 중 어느 하나의 회선에 통신선의 단락, 단선 또는 통신 오류 등이 일어나는 경우에도 다른 회선을 통해 엔진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잇점이 있다. 이때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50)와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은 RS-232, RS-422, RS-485 규격의 MODBUS RTU 프로토콜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 CAN 통신, 이더넷 통신, 디바이스넷 통신 등과 같은 다중 통신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제 상술된 메인 터미널 박스(50)의 내부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메인 터미널 박스(50) 각각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측 장치들로부터 오는 센서 감지 또는 모니터링 신호와 제어 신호의 입력을 위한 인입 케이블 글랜드(53)와, 센서 감지 또는 모니터링 신호와 제어신호의 출력을 위한 인출 케이블 글랜드(54)와, 접지 볼트(52)가 각각 측면에 설치된 정사각 단면의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덕트(55) 및 터미널 블록(56)과; 상기 케이스(51) 내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글랜드(53, 54)를 통해 센서 감지 또는 모니터링 신호와 제어신호를 위한 케이블이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일방향으로는 엔진측의 센서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신호로 변환 출력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통신신호를 전달받아 제어신호로 전환 출력하는 입출력 기능과 다른 모듈과의 다중 통신 및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모두 구비한 통신 입출력 모듈(6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입출력 모듈(60)은 엔진측 장치들로부터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로 전달되는 신호를 취합하여 처리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터미널 블록(56)은 콘트롤 룸(30) 장치, 즉 알람 모니터링 장치 이외의 장치로 전달되는 신호를 취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엔진의 서로 다른 곳에 복수개의 메인 터미널 박스(50)를 분산 배치하는 것에 의해 이 메인 터미널 박스 자체의 소형화가 가능하면서, 분산 배치된 메인 터미널 박스(50)를 통해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로 전달되는 신호 뿐 아니라 알람 모니터링 장치 이외의 장치로 전달되는 신호를 모두 취합할 수 있어, 엔진에 배설된 여러 케이블들을 그 목적지에 따라 최단 거리로 케이블 포설할 수 있고 이에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메인 터미널 박스(50)에 있는 통신 입출력 모듈(60)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6의 통신 입출력 모듈(60)의 층상 분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신 입출력 모듈(60)은 각종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도 8 참조)를 내장하는 마더 보드(70)와, 이 마더 보드(70)의 일측면에 장착되는 서브 보드(80)와, 이 서브 보드(80) 위에 씌워져 선박의 진동이나 물리적 충격이나 외부 전기적 영향으로부터 서브 보드(80)와 마더 보드(70)를 보호하는 알루미늄재 구조물(8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서브 보드(80)는 엔진측 장치에서 오는 각종 신호들을 그 신호 특성별로 구분하여 수신하기 위해 저항 출력용의 RTD(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단자대(61)와, 전류 출력용의 커런트(Current) 단자대(62) 및 스위치 출력용의 바이너리(Binary) 단자대(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엔진에 부착되는 여러 센서 및 스위치 장치들에서 출력되는 신호들 중 저항 출력 신호는 서브 보드(80)의 저항 출력용의 RTD(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단자대(61)에 연결되고, 전류 출력 신호는 서브 보드(80)의 전류 출력용의 커런트(Current) 단자대(62)에 연결되며, 바이너리(Binary) 출력 신호는 서브 보드(80)의 스위치 출력용의 바이너리(Binary) 단자대(63)에 연결된다. 이렇게 엔진측 장치에서 온 각종 신호를 그 신호 특성별로, 즉 저항, 전류 및 바이너리 별로 구분하여 처리하면 구분된 신호들끼리의 특성이 동일하여 이들 구분된 신호들끼리 이후 다중화하는데 유리하고 이후 디지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것이 용이하여 콤팩트한 구성으로도 신호 처리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도 8 참조).
그리고, 상기 마더 보드(70)에는 상기 서브 보드(80)로부터 각종 신호를 그 신호 특성별로, 즉 저항, 전류 및 바이너리 별로 구분하여 수신하기 위해 서브 보드(80)를 장착할 수 있는 영역(도 7의 마더 보드의 중앙 우측 영역)과, 이 서브 보드(80)로부터 온 각종 신호를 다중화하고 디지털 변환하여 데이터 처리하는 신호 처리 회로(도 8 참조)와, 타측면에 신호 처리 회로의 각종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디스플레이부와, 다른 메인 터미널 박스(50)의 통신 입출력 모듈과 통신하며 처리된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공유(다중) 통신(CAN) 단자대(66)와, 선박의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와 통신하며 처리된 데이터를 별도의 케이블 회선으로 이중으로 통신하기 위한 이중화 통신(MODBUS) 단자대(67,68,69)와, 그 밖에 전력선 단자대(79)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력선 단자대(79)는 마더 보드(80)의 신호 처리 회로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며(도 8 참조), 상기 상태 디스플레이부는 신호 처리 회로의 각종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동작시 오류 및 불량을 자가 진단하여 이상 여부를 나타내는 LCD(64) 및 LED(65)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LED(65)는 이상의 발생 여부를 사용자에게 경고하게 되며, 상기 LCD(64)는 오류 및 불량이 발생한 위치를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7의 마더 보드(70)에 배설된 신호 처리 회로를 상술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더 보드(70)에 배설된 신호 처리 회로는 엔진측 장치에서 오는 각종 신호를 그 신호 특성별로, 즉 상기 저항, 전류 및 바이너리 별로 구분하여 RTD(저항) 단자대(61)와 커런트(Current) 단자대(62)와 바이너리(Binary) 단자대(63)를 통하여 수신하여 다중화하는 다중화기(Mux)(71,72,73)와, 그 신호 특성별로 구분되어 다중화된 신호를 하나의 동일한 특성의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참조부호 미부여)와, 변환된 다중화된 신호를 디지털로 고속으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신호 처리 MCU(Master Control Unit)(7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엔진측 장치들에서 오는 아날로그 신호들을 그 신호 특성에 따라 RTD(저항), 전류(Current), 바이너리(Binary) 출력 신호를 구분하여 입력이 가능하고 이렇게 구분된 다수의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동시에 처리하기 위해 MUX에서 정한 입력 순서에 따라 다중화하고 이어 동일한 특성의 전압 신호로 변환한 후 MCU에서 디지털화할 수 있어, 고속으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처리 회로는 RTD(저항) 출력, 전류 출력, 바이너리(스위치) 출력 신호를 하나의 동일한 전압 레벨로 변환하는 변환 회로(converter)를 내장하고 있어, 서로 다른 특성의 출력(R,I,B)을 동일한 특성의 출력(V)으로 변환시켜 MCU(75)에서 모든 신호를 취합할 수 있게 한다(도 9의 STEP 1 참조). 이렇게 디지털화되고 상호 취합된 데이터는 MCU(75)에서 데이터 베이스화되고, 각종 통신 인터페이스(66,67,68,69)를 통해 통신으로 출력된다(도 8 참조).
이제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50)와 콘트롤 룸(30) 장치의 전체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메인 터미널 박스(50)를 복수개 엔진의 서로 다른 3곳에 분산 배치하고 메인 터미널 박스(50)에 있는 통신 입출력 모듈(60)의 공유(다중) 통신 단자대(66)를 다른 메인 터미널 박스(50)의 것과 물리적 통신선으로 서로 연결하고, 이들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50) 중 적어도 2개의 메인 터미널 박스(50)의 이중화 통신 단자대(67,68,69)를 선박의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에 별도의 케이블 회선에 의해 이중화 통신으로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선박의 엔진(20)을 동작시키면, 엔진측에 설치된 센서와 스위치와 같은 엔진측 장치들로부터 각종 센서 신호들이 이와 인접한 메인 터미널 박스(50) 내 서브 보드(80)를 거쳐 마더 보드(70)에 배설된 통신 입출력 모듈(60)에 입력된다. 이렇게 입력된 각종 센서 신호는 그 신호 특성 별로 구분되어 통신 입출력 모듈(60)에 내장된 신호 처리 회로에서 먼저 다중화기(Mux)(71,72,73)(도 8 참조)에 입력되고, 다중화된 신호는 변환기(converter)에 의해 하나의 동일한 특성의 전압 신호로 변환되고, 이어 MCU(75)에서 디지털로 변환되어 처리된 후 취합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도 8 및 도 9의 STEP 1).
이후 MCU(75)에서 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는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50)들의 통신 입출력 모듈(60)에 있는 공유(다중) 통신 단자대(66)를 통해 다른 메인 터미널 박스(50)에 전달되어 데이터를 공유하게 된다(도 8 및 도 9의 STEP 2), 여기서, 각 통신 입출력 모듈(60)은 양방향 CAN (31) 통신으로 다른 통신 입출력 모듈(60)과 연결되어 서로 신호를 공유하므로, 각 통신 입출력 모듈(50)은 사실상 모든 엔진측 장치의 신호 정보를 가지고 있게 된다.
또 MCU(75)에서 처리된 이들 디지털 데이터는 적어도 2개의 메인 터미널 박스(50)의 이중화 통신 단자대(67,68,69)와 선박의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를 연결하는 별도의 케이블 회선(32)에 의해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에 이중화 통신으로 전달된다(도 8 및 도 9의 STEP 3).
즉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50)와 2개의 케이블 회선(32)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 정상 동작시에는, 도 4에 있는 3개의 메인 터미널 박스(50)들 중 좌우측 2개의 메인 터미널 박스(50)는 별도의 케이블 회선(32)을 통해 동시에 이중화 통신으로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로 처리된 디지털 데이터를 전달한다.
그러나, 엔진이 동작하던 도중에, 만약 좌측 메인 터미널 박스(50)가 오동작할 경우, 중앙 및 우측 메인 터미널 박스(50)는 이를 인지하고 2개의 케이블 회선(32) 중 우측 케이블 회선을 이용하여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로 데이터를 전달한다. 이때 좌측 메인 터미널 박스(50)의 LED 또는 LCD가 깜빡이거나 점등되어 알람 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에도 좌측 메인 터미널 박스(50)가 오동작한다는 것을 표시하여 이 좌측 메인 터미널 박스(50)에 고장이나 오류가 있다는 것을 오퍼레이터에 알려주어 이를 신속히 교체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만약 중앙 메인 터미널 박스(50)가 오동작할 경우에는, 좌측 및 우측 메인 터미널 박스(50)는 좌측 또는 우측의 케이블 회선(32)을 통해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메인 터미널 박스에 오류가 나더라도 알람 모니터링 장치의 전체 시스템 동작에는 영향을 주지 않아, 콘트롤 룸(30)에서 엔진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을 뿐만 아니라 콘트롤 룸(30)에서도 신속히 오류 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이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메인 터미널 박스(50)가 적어도 2개의 별도의 케이블 라인을 통해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와 이중으로 통신함으로써 두 라인이 동시에 손상되지 않는 한 엔진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본원의 구성에 의해 메인 터미널 박스(50)와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에 대한 신뢰성과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를 위해 각 메인 터미널 박스(50)에 있는 통신 입출력 모듈(60)은 상기 콘트롤 룸(30)과의 통신을 위해 RS-232, RS-422, RS-485 규격의 시리얼 통신 및 다른 입출력 모듈(60)과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방식의 다중 통신을 모두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통신 입출력 모듈(60)은 신호 처리 회로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통상 알려져 있는 전원안정화회로(Voltage Stabilizing Circuit) 및 정전기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보호 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는 엔진측에 복수개, 예를 들어 3개의 메인 터미널 박스(50)가 엔진의 서로 다른 곳에 분산 설치되고, 그 중 적어도 2개의 메인 터미널 박스(50)가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와 별도의 케이블 회선을 통해 이중으로 통신하는 것에 의해 콘트롤 룸(30)에서 별도의 이중화 통신(32)을 통해 엔진측을 어느 장소에서 사고가 일어나더라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터미널 박스(50)들은 다중통신(31)을 통해 데이터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상기 콘트롤 룸(30)에 어느 메인 터미널 박스(50)가 통신으로 연결되더라도 엔진을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하는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우기, 엔진측에 복수개, 예를 들어 3개의 메인 터미널 박스(50)가 엔진의 서로 다른 곳에 분산 설치되고, 엔진측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 및 스위치가 자신이 설치된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메인 터미널 박스(50)에 연결되므로 기존과 같이 하나의 정션 박스에 모든 센서 및 스위치가 연결되는 경우에 비해 엔진측의 배선 구조가 간단해지고 케이블 및 케이블 트레이의 포설 작업이 최적화되어 비용 및 작업 공수가 개선되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하나의 정션 박스가 3개의 메인 터미널 박스(50)로 분할됨에 따라 메인 터미널 박스(50)의 사이즈가 정션 박스에 비해 축소되어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게 된다. 반면, 기존의 정션 박스는 입출력 모듈에 통신 CPU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어 콘트롤 룸과의 통신만 가능하고 그 밖의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정션 박스가 필요하므로, 본원에서는 공간 활용도를 크게 향상된다는 잇점이 있다.
또, 엔진 측에 구비된 각종 센서 및 스위치의 신호를 3개의 메인 터미널 박스로 분산하여 입력받게 되므로 메인 터미널 박스(5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메인 터미널 박스(50) 내에 통신 입출력 모듈(60)과 더불어 터미널 블록(56)이 탑재됨에 따라 콘트롤 룸(30)과의 통신 외에 다른 장치와 연결되는 신호를 취합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30...콘트롤 룸
31...다중통신
32...이중화 통신
50...메인 터미널 박스(MTB, Main Terminal Box)
51...케이스
52...접지볼트
53...인입 케이블 글랜드
54...인출 케이블 글랜드
55...케이블 덕트
56...터미널 블록
60...통신 입출력 모듈
61...RTD(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단자대
62...커런트(Current) 단자대
63...바이너리(Binary) 단자대
64...LCD
65...LED
66...공유(다중) 통신 단자대
67,68,69...이중화통신 단자대
70...마더 보드
71,72,73...다중화기(Mux)
75...MCU
79...전력선
80...서브 보드
82...알루미늄재 구조물

Claims (6)

  1. 선박의 엔진(20)과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에서 엔진(20)에 부착되어 엔진(20)의 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장치들로부터 나오는 각종 센서 감지 또는 모니터링 신호 및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엔진(20)으로의 제어 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메인 터미널 박스(50)가 이와 근접한 위치에 있는 센서들과 스위치들이 연결되도록 엔진 주위에 복수개 분산 설치되고,
    각 메인 터미널 박스(50)는 다른 메인 터미널 박스(50)와 다중 통신(31)을 통해 각각의 데이터를 공유하되, 적어도 2개의 메인 터미널 박스(50)가 상기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와의 별도의 케이블 회선으로 통신하는 이중화 통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터미널 박스(50)는,
    센서 감지 또는 모니터링 신호 및 제어신호의 입력을 위한 인입 케이블 글랜드(53)와 센서 감지 또는 모니터링 신호 및 제어신호의 출력을 위한 인출 케이블 글랜드(54), 그리고 접지 볼트(52)가 각각 측면에 설치된 정사각 단면의 케이스(51)와;
    상기 케이스(51)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 덕트(55) 및 터미널 블록(56)과;
    상기 케이스(51) 내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 글랜드(53, 54)를 통해 센서 감지 또는 모니터링 신호 및 제어신호를 위한 케이블이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일방향으로는 엔진측의 센서 감지 신호를 입력받아 통신신호로 변환 출력하고 다른 방향으로는 통신신호를 전달받아 제어신호로 전환 출력하는 입출력 기능과 다른 모듈과의 다중 통신 및 콘트롤 룸(30)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기능을 모두 구비한 통신 입출력 모듈(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입출력 모듈(60)은 RS-232, RS-422, RS-485 규격의 시리얼 통신과 CAN(Controller Area Network) 방식의 다중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입출력 모듈(60)은 엔진측 장치에서 온 각종 신호를 특성별로 수신하여 다중화하는 다중화기(Mux)(71,72,73)와, 다중화된 신호를 변환하는 변환기와, 변환된 다중화된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고 처리하는 신호 처리 MCU(75)와, 다른 메인 터미널 박스(50) 및 콘트롤 룸(30) 장치와 각각 통신하기 위한 공유(다중) 통신(CAN) 단자대(66) 및 이중화 통신(MODBUS) 단자대(67,68,69)와, 각종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마더 보드(70)와; 상기 마더 보드(7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엔진측 장치들에서 온 각종 신호를 상기 다중화기(71,72,73)에 특성별로 구분하여 제공하기 위해 저항 출력용의 RTD(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단자대(61)와 전류 출력용의 커런트(Current) 단자대(62) 및 스위치 출력용의 바이너리(Binary) 단자대(63)가 구비되는 서브 보드와; 상기 서브 보드의 외곽을 둘러싸고 마더 보드와 서브 보드를 선박의 진동으로부터 보호하는 알루미늄재 구조물(8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디스플레이부는 동작시 오류 및 불량을 자가 진단하여 이상 여부를 나타내는 LCD(64) 또는 LED(6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입출력 모듈(60)은 전원안정화회로(Voltage Stabilizing Circuit) 및 정전기 방전(Electrostatic Discharge) 보호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
KR1020110135588A 2011-12-15 2011-12-15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 KR101450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588A KR101450112B1 (ko) 2011-12-15 2011-12-15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588A KR101450112B1 (ko) 2011-12-15 2011-12-15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433A true KR20130068433A (ko) 2013-06-26
KR101450112B1 KR101450112B1 (ko) 2014-10-14

Family

ID=48864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588A KR101450112B1 (ko) 2011-12-15 2011-12-15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01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219A (ko) 2014-03-13 2015-09-23 킹스마린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을 활용한 선박 조타 알람 시스템
CN107612803A (zh) * 2017-11-02 2018-01-19 上海辛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转换桥装置
KR20180129418A (ko) * 2017-05-26 2018-12-05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선박용 통신 장치
CN113327383A (zh) * 2021-05-21 2021-08-31 深圳市腾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基于船载物联网终端的渔民作业风险预测平台
CN113741326A (zh) * 2021-08-31 2021-12-03 广州达意隆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新型走线布局的灌装设备控制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603B1 (ko) 2015-04-01 2017-02-16 주식회사 파나시아 데이타 수집부를 갖는 선박의 동적 위치설정 제어시스템에 대한 검증시스템
KR101774421B1 (ko) * 2016-05-12 2017-09-19 주식회사 세화씨엔엠 선박의 엔진/조타 일괄 제어 장치 및 그 시스템
KR102264970B1 (ko) * 2019-10-31 2021-06-15 에이치에스디엔진 주식회사 센서 데이터 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443B1 (ko) * 2002-04-10 2007-02-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자동화 제어용 원격단말장치
KR100749525B1 (ko) * 2005-02-04 2007-08-14 주식회사 아이뉴정보통신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계용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47766Y1 (ko) * 2007-11-23 2010-02-19 에스티엑스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 장치 사이의 통신방식 연결 장치
JP5351611B2 (ja) 2009-05-29 2013-11-27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船舶制御システム、船舶推進システムおよび船舶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7219A (ko) 2014-03-13 2015-09-23 킹스마린 주식회사 데이터 통신을 활용한 선박 조타 알람 시스템
KR20180129418A (ko) * 2017-05-26 2018-12-05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선박용 통신 장치
CN107612803A (zh) * 2017-11-02 2018-01-19 上海辛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转换桥装置
CN113327383A (zh) * 2021-05-21 2021-08-31 深圳市腾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基于船载物联网终端的渔民作业风险预测平台
CN113741326A (zh) * 2021-08-31 2021-12-03 广州达意隆包装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新型走线布局的灌装设备控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0112B1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8433A (ko) 선박의 엔진과 콘트롤 룸의 알람 모니터링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장치
CA2287695C (en) Intrinsically safe data aquisition system and apparatus
EP1771054B1 (en) On-machine backplane mounted modular power and data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20130102091A (ko)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상을 모니터링하는 측정 시스템
JP2014216027A (ja) 煙探知ユニット、煙探知システムおよび煙探知装置
CN102221819A (zh) 用于现场设备的连接装置和用于运行的方法
KR100825359B1 (ko) 변전소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지탈 축소형 모자익배전반의 마스터씨피유 이중화구조
KR101817641B1 (ko) 원격 단말 장치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NO201710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bsea cable ground fault isolation
WO2018158942A1 (ja) バスダクト用分岐ユニット
US8026810B2 (en) Device f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sequential subsections of an installation
JP2001157381A (ja) 変電機器制御監視装置
JP2014059800A (ja) 設備制御システム、コネクタ接続不良検出方法、およびi/oモジュール
PT1695158E (pt) Dispositivo de transmissão de dados intrinsecamente seguro
KR20180115451A (ko) 보호 계전 상태를 표시하는 디지털 배전 장치
CN208738921U (zh) 配电箱监控装置和系统
KR101740145B1 (ko) 차량용 종합 제어 장치
CN217445012U (zh) 基于硬件系统的故障保护装置
KR102122715B1 (ko) 단일 pcb 기반의 통합 릴레이형 영상통합계측용 무인 선박의 제어반
KR200490075Y1 (ko) 항공기 데이터처리기 점검장치
CN203871801U (zh) 一种信号监测防雷分线柜
CN102574530B (zh) 电缆传送设备的控制装置及控制方法
KR20120034857A (ko) 서지(Serge) 방지용 회로 차단 장치 및 구동방식
KR101418244B1 (ko) 선박의 엔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00023024A (ko) 전기적 프로세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에서의 전기 전도 엘리먼트의 전압 측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