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7641B1 - 원격 단말 장치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원격 단말 장치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7641B1
KR101817641B1 KR1020160135236A KR20160135236A KR101817641B1 KR 101817641 B1 KR101817641 B1 KR 101817641B1 KR 1020160135236 A KR1020160135236 A KR 1020160135236A KR 20160135236 A KR20160135236 A KR 20160135236A KR 101817641 B1 KR101817641 B1 KR 101817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wer
line
main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섭
Original Assignee
(주)규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규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규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13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6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원격 단말 장치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는 제어 전원과 감시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원격 단말 장치(Remote Terminal Unit)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로서, 제1 메인 전원 공급부; 제1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제어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1 전원 변환부; 제2 메인 전원 공급부; 제2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감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 전원 변환부; 및 제1 메인 전원 공급부의 고장시 닫힘으로써 제1 전원 변환부가 제2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제어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제2 메인 전원 공급부의 고장시 닫힘으로써 제2 전원 변환부가 제1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감시 전원으로 변환하도록 하는 제1 우회 릴레이를 포함하는 우회 경로를 가지며, 이중 전원 공급 장치는, 제1 전원 변환부의 출력에 연결되어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보조 전원 공급부; 제2 전원 변환부의 출력에 연결되어 감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보조 전원 공급부; 및 제1 전원 변환부, 제1 보조 전원 공급부, 제2 전원 변환부 및 제2 보조 전원 공급부 각각의 출력에 연결된 고속 회복 다이오드(fast recovery dio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단말 장치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DUAL POWER SUPPLY FOR REMOTE TERMINAL UNIT HAVING CONOUR ROUTE}
본 출원은, 원격 단말 장치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 단말 장치(Remote Terminal Unit)는 원거리에 위치하는 장비의 상태 및 동작을 감시, 제어하는 장치로 운용자는 원격 단말 장치를 통해 원거리에 있는 장비에 대한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원격 단말 장치로는 감시 전원과 제어 전원의 2가지 종류의 전원이 입력되며, 감시 전원은 원격 단말 장치와 연결되어 있는 장비의 모니터링을 위해, 제어 전원은 원격 단말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장비의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
종래 기술의 경우, 장애가 발생한 경우 원격 단말 장치의 전원을 리셋시키거나 또는 경고 신호를 출력하여 운용자에게 통보하는 기술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어 원격 단말 장치의 전원 공급을 어떻게 구성할지에 대한 내용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제어 전원 또는 감시 전원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거나 선로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 정전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기술로는, 예를 들면, 한국공개특허 제2002-0088743호(“원격감시제어장치의 전원 리셋을 이용한 장애복구 시스템 및 검출방법”, 공개일: 2002년11월29일)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2-0088743호(“원격감시제어장치의 전원 리셋을 이용한 장애복구 시스템 및 검출방법”, 공개일: 2002년11월29일)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어 전원 또는 감시 전원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또는 선로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 정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원격 단말 장치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어 전원과 감시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원격 단말 장치(Remote Terminal Unit)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로서, 제1 메인 전원 공급부; 상기 제1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제어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1 전원 변환부; 제2 메인 전원 공급부; 상기 제2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감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 전원 변환부; 및 상기 제1 메인 전원 공급부의 고장시 닫힘으로써 상기 제1 전원 변환부가 상기 제2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제어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메인 전원 공급부의 고장시 닫힘으로써 상기 제2 전원 변환부가 상기 제1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감시 전원으로 변환하도록 하는 제1 우회 릴레이를 포함하는 우회 경로를 가지며, 상기 이중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1 전원 변환부의 출력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보조 전원 공급부; 상기 제2 전원 변환부의 출력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보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제1 전원 변환부, 제1 보조 전원 공급부, 상기 제2 전원 변환부 및 상기 제2 보조 전원 공급부 각각의 출력에 연결된 고속 회복 다이오드(fast recovery diode)를 더 포함하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어 전원 또는 감시 전원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또는 선로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 적절한 릴레이 제어를 통해 다수의 원격 단말 장치들에 제어 전원 및/또는 감시 전원을 우회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정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원격 단말 장치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원격 단말 장치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100)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 전원 공급 장치(100)는 제1 메인 전원 공급부(111), 제1 전원 변환부(112), 제2 메인 전원 공급부(113), 제2 전원 변환부(114), 제1 보조 전원 공급부(115), 제2 보조 전원 공급부(116), 그리고 채널들(CH1 내지 CHM)에 연결된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의) 원격 단말 장치들(미도시)로 제어 전원 및 감시 전원을 공급하는 선로들(120, 130), 우회 경로 생성을 위한 릴레이들(R1, R2, RB1, RB2, RB3, RCH1 내지 RCHM) 및 메인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메인 전원 공급부(111)의 출력은 제1 전원 변환부(112)의 입력에 연결되며, 제1 전원 변환부(112)는 제1 메인 전원 공급부(111)의 전원을 제어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메인 전원 공급부(111)의 전원은 DC 54V일 수 있으며, 제어 전원은 DC 48V일 수 있다.
제1 보조 전원 공급부(115)는 제1 전원 변환부(112)의 출력에 연결되어 제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보조 전원 공급부(115)를 통해 제어 전원을 병렬로 제공함으로써, 제1 전원 변환부(112)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도 무순단으로 제어 전원의 공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상술한 제1 보조 전원 공급부(115)의 전원은 제어 전원과 동일한 DC 48V일 수 있다.
제2 메인 전원 공급부(113)의 출력은 제2 전원 변환부(114)의 입력에 연결되며, 제2 전원 변환부(114)는 제2 메인 전원 공급부(113)의 전원을 감시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메인 전원 공급부(113)의 전원은 DC 48V일 수 있으며, 감시 전원은 DC 24V일 수 있다.
제2 보조 전원 공급부(116)는 제2 전원 변환부(114)의 출력에 연결되어 감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2 보조 전원 공급부(116)를 통해 감시 전원을 병렬로 제공함으로써, 제2 전원 변환부(114)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에도 무순단으로 감시 전원의 공급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제2 보조 전원 공급부(116)의 전원은 감시 전원과 동일한 DC 24V일 수 있다.
제1 전원 변환부(112), 제1 보조 전원 공급부(115), 제2 전원 변환부(114) 및 제2 보조 전원 공급부(116) 각각의 출력에는 고속 회복 다이오드(fast recovery diode)(D1 내지 D4)가 더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메인 선로(120)는 제1 그룹에 속한 원격단말장치들에 제어 전원 및 감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선로로, 제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제어 전원 선로(121)와 감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감시 전원 선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메인 선로(130)는 제2 그룹에 속한 원격단말장치들에 제어 전원 및 감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선로로, 제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제어 전원 선로(131)와 감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감시 전원 선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선로(120)로부터는 다수의 제1 보조 선로들(151)이 병렬로 분기될 수 있으며(분기된 보조 선로들은 채널(CH1 내지 CHM)로 표기함, M은 자연수), 각각의 채널들(CH1 내지 CHM)에는 제1 그룹에 속하는 원격 단말 장치가 연결되어 각각 제어 전원과 감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메인 선로(130)로부터 다수의 제2 보조 선로들(152)이 병렬로 분기될 수 있으며(분기된 보조 선로들은 채널(CH1 내지 CHM)로 표기함, M은 자연수), 각각의 채널들(CH1 내지 CHM)에는 제2 그룹에 속하는 원격 단말 장치가 연결되어 각각 제어 전원과 감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술한 제1 그룹에 속한 원격 감시 장치는 제1 메인 선로(120)를 통해 제어 및 감시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를,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감시 장치는 제2 메인 선로(130)를 통해 제어 및 감시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어 전원 및 감시 전원의 우회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릴레이들(R1, R2, RB1, RB2, RB3, RCH1 내지 RCHM)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우회 릴레이(RB1)는, 메인 제어부(140)의 릴레이 제어 신호(S_RB1)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제1 메인 전원 공급부(111)와 제1 전원 변환부(112)의 접점 및 제2 메인 전원 공급부(113)와 제2 전원 변환부(114)의 접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우회 릴레이(RB1)는, 제1 메인 전원 공급부(111)의 고장시 닫힘으로써 제1 전원 변환부(112)가 제2 메인 전원 공급부(113)의 전원을 입력받아 제어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제2 메인 전원 공급부(113)의 고장시 닫힘으로써 제2 전원 변환부(114)가 제1 메인 전원 공급부(111)의 전원을 입력받아 감시 전원으로 변환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우회 릴레이(RB2)는, 메인 제어부(140)의 릴레이 제어 신호(S_RB2M, S_RB2S)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제1 메인 선로(120)와 제2 메인 선로(13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우회 릴레이(RB2)는, 제1 메인 선로(120)의 제1 제어 전원 선로(121)와 제2 메인 선로(130)의 제2 제어 전원 선로(131)를 연결하는 릴레이(릴레이 제어 신호(S_RB2M)에 의해 개폐됨)와 제1 메인 선로(120)의 제1 감시 전원 선로(122)와 제2 메인 선로(130)의 제2 감시 전원 선로(132)를 연결하는 릴레이(릴레이 제어 신호(S_RB2S)에 의해 개폐됨)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우회 릴레이(RB3)는 메인 제어부(140)의 릴레이 제어 신호(S_RB3M, S_RB3S)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제1 메인 선로(120)와 제2 메인 선로(13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우회 릴레이(RB3)는, 제1 메인 선로(120)의 제1 제어 전원 선로(121)와 제2 메인 선로(130)의 제2 제어 전원 선로(131)를 연결하는 릴레이(릴레이 제어 신호(S_RB3M)에 의해 개폐됨)와 제1 메인 선로(120)의 제1 감시 전원 선로(122)와 제2 메인 선로(130)의 제2 감시 전원 선로(132)를 연결하는 릴레이(릴레이 제어 신호(S_RB3S)에 의해 개폐됨)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릴레이(R1)는, 제2 우회 릴레이(RB2)와 제1 전원 변환부(112) 사이에 구비되며, 제1 전원 변환부(112)의 출력과 제1 메인 선로(120)의 제1 제어 전원 선로(121)를 연결하는 릴레이(릴레이 제어 신호(S_R1M)에 의해 개폐됨)와, 제2 전원 변환부(114)의 출력과 제1 메인 선로(120)의 제1 감시 전원 선로(122)를 연결하는 릴레이(릴레이 제어 신호(S_R1S)에 의해 개폐됨)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릴레이(R2)는, 제2 우회 릴레이(RB2)와 제2 전원 변환부(114) 사이에 구비되며, 제2 전원 변환부(114)의 출력과 제2 메인 선로(130)의 제2 감지 전원 선로(132)를 연결하는 릴레이(릴레이 제어 신호(S_R2M)에 의해 개폐됨)와, 제1 전원 변환부(112)의 출력과 제2 메인 선로(130)의 제2 제어 전원 선로(131)를 연결하는 릴레이(릴레이 제어 신호(S_R2M)에 의해 개폐됨)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선로들(151, 152)의 각 채널에는 릴레이들(RCH1, RCHM)이 더 연결되며, 제1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들 각각은, 제1 그룹의 릴레이(RCH1, RCHM)를 통해 제1 메인 선로(120)의 제1 제어 전원 선로(121) 및 제1 감시 전원 선로(122)로부터 병렬로 분기된 선로들(CH1 내지 CHM)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들 각각은, 제2 그룹의 릴레이(RCH1, RCHM)를 통해 제2 메인 선로(130)의 제2 제어 전원 선로(131) 및 제2 감시 전원 선로(132)로부터 병렬로 분기된 선로들(CH1 내지 CHM)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그룹과 제2 그룹의 릴레이들(RCH1, RCHM) 각각은 메인 제어부(140)의 릴레이 제어 신호(S_CH1M, S_CH1S, S_CHMM, S_CHMS)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메인 제어부(140)는, 전원 고장 신호, 선로 장애 신호, RTU 설비 이상 신호가 입력되면, 릴레이 제어 신호들(S_RB1, S_R1M, S_R1S, S_R2M, S_R2S, S_RB2M, S_RB2S, S_RB3M, S_RB3S, S_CH1M, S_CH1S, S_CHMM, S_CHMS)을 생성함으로써, 상술한 릴레이들(R1, R2, RB1, RB2, RB3, RCH1 내지 RCHM)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메인 전원 공급부(111) 또는 제2 메인 전원 공급부(113)의 상태, 릴레이의 동작 상태 등을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전원 고장 신호는, 제1 메인 전원 공급부(111) 또는 제2 메인 전원 공급부(113)의 고장을 감지하는 신호로, 별도의 전원 감시부(미도시)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선로 장애 신호는 제1 메인 선로(120) 또는 제2 메인 선로(130)의 장애를 감지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RTU 설비 이상 신호는 제1 보조 선로(151) 및 제2 보조 선로(152)의 각 채널들에 연결된 원격 단말 장치의 이상을 감지하는 신호로, 원격 단말 장치 자체에서 출력되는 신호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어 전원 또는 감시 전원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또는 선로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 적절한 릴레이 제어를 통해 다수의 원격 단말 장치들에 제어 전원 및/또는 감시 전원을 우회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정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원격 단말 장치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100)의 정상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전원 공급 장치(10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메인 제어부(140)의 릴레이 제어 신호(S_R1M, S_R1S, S_R2M, S_R2S)에 의해 제1 릴레이(R1) 및 제2 릴레이(R2)는 닫히며, 릴레이 제어 신호(S_RB1, S_RB2M, S_RB2S, S_RB3M, S_RB3S)에 의해 제1 우회 릴레이(RB1) 내지 제3 우회 릴레이(RB3)는 열린다.
이에 따라 제1 전원 변환부(112)에 의해 변환된 제어 전원은, 경로 2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D1), 제1 릴레이(R1), 제1 선로(120)를 통해 제1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됨과 동시에, 제2 릴레이(R2), 제2 선로(130)를 통해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원 변환부(114)에 의해 변환된 감시 전원은, 경로 2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D3), 제1 릴레이(R2), 제2 선로(130)를 통해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됨과 동시에, 제1 릴레이(R2), 제1 선로(120)를 통해 제1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제1 메인 전원 공급부(111) 또는 제2 메인 전원 공급부(113)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제어 전원 또는 감시 전원의 우회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인 전원 공급부(111)가 고장난 경우, 메인 제어부(140)의 릴레이 제어 신호(S_RB1, S_R1M, S_R1S, S_R2M, S_R2S)에 의해 제1 우회 릴레이(RB1), 제1 릴레이(R1) 및 제2 릴레이(R2)는 닫히며, 릴레이 제어 신호(S_RB2M, S_RB2S, S_RB3M, S_RB3S)에 의해 제2 우회 릴레이(RB1) 내지 제3 우회 릴레이(RB3)는 열린다.
따라서, 제1 전원 변환부(112)가 제2 메인 전원 공급부(113)의 전원을 제어 전원으로 변환하게 되며, 변환된 제어 전원은, 경로 3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D1), 제1 릴레이(R1), 제1 선로(120)를 통해 제1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됨과 동시에, 제2 릴레이(R2), 제2 선로(130)를 통해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원 변환부(114)에 의해 변환된 감시 전원은 다이오드(D3), 제1 릴레이(R1), 제1 선로(120)를 통해 제1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됨과 동시에, 제2 릴레이(R2), 제2 선로(130)를 통해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
반면, 제2 메인 전원 공급부(113)가 고장난 경우에는, 메인 제어부(140)의 릴레이 제어 신호(S_RB1, S_R1M, S_R1S, S_R2M, S_R2S)에 의해 제1 우회 릴레이(RB1), 제1 릴레이(R1) 및 제2 릴레이(R2)는 닫히며, 릴레이 제어 신호(S_RB2M, S_RB2S, S_RB3M, S_RB3S)에 의해 제2 우회 릴레이(RB1) 내지 제3 우회 릴레이(RB3)는 열린다.
따라서, 제2 전원 변환부(114)가 제1 메인 전원 공급부(111)의 전원을 감시 전원으로 변환하게 되며, 변환된 감시 전원은, 경로 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D3), 제1 릴레이(R1), 제1 선로(120)를 통해 제1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됨과 동시에, 제2 릴레이(R2), 제2 선로(130)를 통해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1 전원 변환부(112)에 의해 변환된 제어 전원은 다이오드(D1), 제1 릴레이(R1), 제1 선로(120)를 통해 제1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됨과 동시에, 제2 릴레이(R2), 제2 선로(130)를 통해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는 제1 보조 전원 공급부(115) 및 제2 보조 전원 공급부(116)가 함께 도시되어 있으나, 제1 보조 전원 공급부(115) 및 제2 보조 전원 공급부(116)가 없는 경우라도 동작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4는 제1 메인 선로(120) 또는 제2 메인 선로(130) 중 어느 하나의 선로에 장애가 생긴 경우의 제어 전원 또는 감시 전원의 우회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메인 선로(120)에 장애가 생기면, 메인 제어부(140)의 릴레이 제어 신호(S_R1M, S_R1S, S_RB2M, S_RB2S, S_RB3M, S_RB3S)에 의해 제1 릴레이(R1), 제2 우회 릴레이(RB2) 및 제3 우회 릴레이(RB3)는 닫히며, 릴레이 제어 신호(S_R2M, S_R2S, S_RB1)에 의해 제2 릴레이(R2) 및 제1 우회 릴레이(RB1)는 열린다.
따라서, 제1 전원 변환부(112)에 의해 변환된 제어 전원 및 제2 전원 변환부(114)에 의해 변환된 감시 전원은, 경로 4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릴레이(R1), 제2 우회 릴레이(RB2), 제2 선로(130) 및 제3 우회 릴레이(RB3)를 통해 제1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됨과 동시에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
반면, 제2 메인 선로(130)에 장애가 생기면, 메인 제어부(140)의 릴레이 제어 신호(S_R1M, S_R1S, S_RB3M, S_RB3S)에 의해 제1 릴레이(R1) 및 제3 우회 릴레이(RB3)는 닫히며, 릴레이 제어 신호(S_RB1, S_R2M, S_R2S, S_RB3M, S_RB3S)에 의해 제1 우회 릴레이(RB1), 제2 릴레이(R2) 및 제2 우회 릴레이(RB2)는 열린다.
따라서, 제1 전원 변환부(112)에 의해 변환된 제어 전원 및 제2 전원 변환부(114)에 의해 변환된 감시 전원은, 경로 4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릴레이(R1), 제1 메인 선로(120)를 통해 제1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됨과 동시에 제3 우회 릴레이(RB3)를 통해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제1 릴레이(R1), 제2 릴레이(R2), 제1 우회 릴레이(RB1) 내지 제3 우회 릴레이(RB3) 내부에 포함된 2개의 릴레이는 동시에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술한 도 4에서, 제2 메인 선로(130)에 장애가 생기면, 제어 전원은 제1 릴레이(R1), 제1 메인 선로(120), 제3 우회 릴레이(RB3)를 통해(이 경우 릴레이 제어 신호는 S_R1M, S_RB3M만 인가)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되도록 하고, 감시 전원은 제2 릴레이(R2), 제3 우회 릴레이(RB3)를 통해(이 경우 릴레이 제어 신호는 S_R2S, S_RB3S만 인가) 제1 그룹 및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에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2의 실시예에서, 릴레이 제어 신호(S_규3M, S_RB3S)에 의해 제3 우회 릴레이(RB3)를 추가로 닫음으로써, 제1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들과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들에 병렬적으로 제어 전원 및 감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어 전원 또는 감시 전원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된 경우 또는 선로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 적절한 릴레이 제어를 통해 다수의 원격 단말 장치들에 제어 전원 및/또는 감시 전원을 우회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정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메인 제어부'는 다양한 방식, 예를 들면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그램 명령들, 소프트웨어 모듈, 마이크로 코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로직 회로, 어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 펌웨어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11: 제1 메인 전원 공급부 112: 제1 전원 변환부
113: 제2 메인 전원 공급부 114: 제2 전원 변환부
115: 제1 보조 전원 공급부 116: 제2 보조 전원 공급부
120: 제1 메인 선로 121: 제1 제어 전원 선로
122: 제1 감시 전원 선로 130: 제2 메인 선로
131: 제2 제어 전원 선로 132: 제2 감시 전원 선로
140: 메인 제어부 151: 제1 보조 선로
152: 제2 보조 선로

Claims (10)

  1. 제어 전원과 감시 전원을 입력받아 동작하는 원격 단말 장치(Remote Terminal Unit)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로서,
    제1 메인 전원 공급부;
    상기 제1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제어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1 전원 변환부;
    제2 메인 전원 공급부;
    상기 제2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감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제2 전원 변환부; 및
    상기 제1 메인 전원 공급부의 고장시 닫힘으로써 상기 제1 전원 변환부가 상기 제2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제어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상기 제2 메인 전원 공급부의 고장시 닫힘으로써 상기 제2 전원 변환부가 상기 제1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을 상기 감시 전원으로 변환하도록 하는 제1 우회 릴레이를 포함하는 우회 경로를 가지며,
    상기 이중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1 전원 변환부의 출력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보조 전원 공급부;
    상기 제2 전원 변환부의 출력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보조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제1 전원 변환부, 제1 보조 전원 공급부, 상기 제2 전원 변환부 및 상기 제2 보조 전원 공급부 각각의 출력에 연결된 고속 회복 다이오드(fast recovery diode)를 더 포함하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전원 공급 장치는,
    제1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들에 상기 제어 전원 및 상기 감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선로로, 상기 제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제어 전원 선로와 상기 감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 감시 전원 선로를 구비한 제1 메인 선로; 및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들에 상기 제어 전원 및 상기 감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선로로, 상기 제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제어 전원 선로와 상기 감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 감시 전원 선로를 구비한 제2 메인 선로를 포함하는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1 메인 선로와 상기 제2 메인 선로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메인 선로의 제1 제어 전원 선로와 상기 제2 메인 선로의 제2 제어 전원 선로를 연결하는 릴레이와 상기 제1 메인 선로의 제1 감시 전원 선로와 상기 제2 메인 선로의 제2 감시 전원 선로를 연결하는 릴레이를 구비한 제2 우회 릴레이; 및
    상기 제1 메인 선로와 상기 제2 메인 선로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메인 선로의 제1 제어 전원 선로와 상기 제2 메인 선로의 제2 제어 전원 선로를 연결하는 릴레이와 상기 제1 메인 선로의 제1 감시 전원 선로와 상기 제2 메인 선로의 제2 감시 전원 선로를 연결하는 릴레이를 구비한 제3 우회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선로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2 우회 릴레이 및 상기 제3 우회 릴레이가 닫힘으로써, 장애가 발생된 상기 제1 메인 선로를 우회하여 상기 제어 전원 및 상기 감시 전원이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들에 공급되며,
    상기 제2 메인 선로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 상기 제3 우회 릴레이가 닫힘으로써, 상기 장애가 발생된 제2 메인 선로를 우회하여 상기 제어 전원 및 상기 감시 전원이 상기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들에 공급되는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우회 릴레이는,
    상기 제1 메인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1 전원 변환부의 접점 및 상기 제2 메인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제2 전원 변환부의 접점 사이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제2 우회 릴레이와 상기 제1 전원 변환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전원 변환부의 출력과 상기 제1 메인 선로의 제1 제어 전원 선로를 연결하는 릴레이와, 상기 제2 전원 변환부의 출력과 상기 제1 메인 선로의 제1 감시 전원 선로를 연결하는 릴레이를 구비한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2 우회 릴레이와 상기 제2 전원 변환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전원 변환부의 출력과 상기 제2 메인 선로의 제2 감지 전원 선로를 연결하는 릴레이와, 상기 제1 전원 변환부의 출력과 상기 제2 메인 선로의 제2 제어 전원 선로를 연결하는 릴레이를 구비한 제2 릴레이를 더 포함하는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은, DC 54V이며,
    상기 제2 메인 전원 공급부의 전원은, DC 48V이며,
    상기 제어 전원은, DC 48V이며,
    상기 감시 전원은, DC 24V인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들 각각은,
    릴레이를 통해 상기 제1 메인 선로의 제1 제어 전원 선로 및 제1 감시 전원 선로로부터 병렬로 분기된 제1 보조 선로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그룹에 속한 원격 단말 장치들 각각은,
    릴레이를 통해 상기 제2 메인 선로의 제2 제어 전원 선로 및 제2 감시 전원 선로로부터 병렬로 분기된 제2 보조 선로에 각각 연결되는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KR1020160135236A 2016-10-18 2016-10-18 원격 단말 장치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KR101817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36A KR101817641B1 (ko) 2016-10-18 2016-10-18 원격 단말 장치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236A KR101817641B1 (ko) 2016-10-18 2016-10-18 원격 단말 장치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641B1 true KR101817641B1 (ko) 2018-01-12

Family

ID=6100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236A KR101817641B1 (ko) 2016-10-18 2016-10-18 원격 단말 장치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6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987B1 (ko) * 2018-11-15 2020-04-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과부하 방지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용 전기식 와이퍼 시스템
KR102096994B1 (ko) * 2018-11-15 2020-04-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전기식 이중화 와이퍼 시스템
KR20210151504A (ko) * 2020-06-05 2021-12-14 한국전력공사 IoT 기능을 갖는 SCADA 원격소장치 감시 및 제어전원 이중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78773A (ja) * 1998-08-31 2000-03-14 Tokico Ltd 電源装置
JP2002034177A (ja) * 2000-07-13 2002-01-31 Hitachi Ltd 2系統入力電源装置
JP3313032B2 (ja) * 1996-08-12 2002-08-12 株式会社大興電機製作所 誤動作防止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3032B2 (ja) * 1996-08-12 2002-08-12 株式会社大興電機製作所 誤動作防止方法
JP2000078773A (ja) * 1998-08-31 2000-03-14 Tokico Ltd 電源装置
JP2002034177A (ja) * 2000-07-13 2002-01-31 Hitachi Ltd 2系統入力電源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987B1 (ko) * 2018-11-15 2020-04-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과부하 방지 기능을 갖는 철도차량용 전기식 와이퍼 시스템
KR102096994B1 (ko) * 2018-11-15 2020-04-0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철도차량용 전기식 이중화 와이퍼 시스템
KR20210151504A (ko) * 2020-06-05 2021-12-14 한국전력공사 IoT 기능을 갖는 SCADA 원격소장치 감시 및 제어전원 이중화 시스템
KR102366154B1 (ko) 2020-06-05 2022-02-23 한국전력공사 IoT 기능을 갖는 SCADA 원격소장치 감시 및 제어전원 이중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7641B1 (ko) 원격 단말 장치를 위한 우회 경로를 가지는 이중 전원 공급 장치
US20160261117A1 (en) Solar photovoltaic systems
US9591722B2 (en) Lighting system
US10153850B2 (en) Power feed line switching circuit, branching device, submarine cable system, and power feed line switching method
KR100807342B1 (ko) 개별 계전기의 보호요소 동작신호를 사용한 3중화 보호 시스템
US106866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over data lines
CN209739079U (zh) 列车用逻辑控制单元
US8218281B2 (en)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a semiconductor switch system
US10379144B2 (en) Arrangement having two redundant modules
KR102075531B1 (ko) 과전압 위치 검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NO201710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bsea cable ground fault isolation
KR101713353B1 (ko) 이중화 제어기 시스템
US9819181B2 (en) Device for intrinsically safe redundant current supply of field devices
RU2693937C1 (ru) Способ релейной защиты и управле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подстанци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9446482B2 (en) Laser system processing unit connection
JP2006323551A (ja) プラント制御システム
KR101182330B1 (ko) 터빈 속도 제어 시스템
JP5924069B2 (ja) 監視システム
US20160156194A1 (en) Virtual channel abstraction layer for solid state power controls
US20190049911A1 (en) Safety switching apparatus
KR20160072503A (ko) 엔진 제어기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US11056876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switching inverter devices
CN111884896B (zh) 基于通信总线的数字安全链系统及其监测方法
US20180176035A1 (en) Interface expansion device for a network device
JP2016218777A (ja) 配電盤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受配電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