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118A - 피복된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복된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118A
KR20130068118A KR1020110135600A KR20110135600A KR20130068118A KR 20130068118 A KR20130068118 A KR 20130068118A KR 1020110135600 A KR1020110135600 A KR 1020110135600A KR 20110135600 A KR20110135600 A KR 20110135600A KR 20130068118 A KR20130068118 A KR 20130068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smetic composition
coated
illite
dimeth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언엽
현승수
윤평
김동명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5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8118A/ko
Publication of KR20130068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33Distinct layers, e.g. core/shell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or phosphorus
    • A61K8/585Organosilic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3Coating mediated by organosilicone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코팅액에 의해 피복(被服)된 분체(粉體)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전연성을 높여 퍼짐성 및 뭉침을 해소하고, 피부와의 친화성, 지속성 및 밀착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사용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피복된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Color Tone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ated Illite}
본 발명은 피복된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리에톡시카프리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디메치콘(Dimethicone), 아크릴레이트/트리데실아크릴레이트/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Tridecyl Acrylate/Tri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에 의해 피복된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의 전연성을 높여 퍼짐성과 뭉침을 해소하고, 피부와의 친화성, 밀착성 및 지속성 향상을 도모함은 물론 사용질감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색조화장료는 신체의 일부분, 그 중에서도 얼굴에 도포하여 피부의 결점을 엄폐, 은폐함과 아울러 아름다운 색상을 부여하는 기능, 즉 피부색을 보정하여 피부를 미화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피부에 영양공급, 수렴효과, 보습기능,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보호 등의 기능이 있다. 또한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기능도 있다.
색조화장료는 크게 화장 부위에 따라 투웨이 케이크, 파운데이션, 페이스 파우더 등의 페이스 메이크업 군과 립스틱, 아이새도, 네일 제품 등의 부분 색조화장료로 분류할 수 있으며, 제형에 따라 유화형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등의 유화 타입과 스킨커버, 립스틱 등의 분산형 타입 및 투웨이케익, 페이스 파우더 등의 파우더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색조화장료를 구성하고 있는 원료는 착색안료, 백색안료, 체질안료, 펄안료 등의 분체 부분과 이를 분산시키는 기제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양자의 배합비율을 변화시킨 여러 종류의 제형이 있다. 기제에는 유동파라핀, 바세린, 왁스류, 스쿠알란, 합성에스테르 등의 유분과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보습제,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색조화장료는 화장 효과라는 관점으로부터 특히 피복성과 착색성이 중요하며, 이 기능은 분체 부분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 백색안료는 제품의 색조 조정과 피복력을 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체질안료는 착색안료의 희석제로서 색조를 조절하고 동시에 피부에 대하여 퍼짐성, 부착성, 땀과 피지의 흡수성과 관계있는 사용감촉, 그리고 광택 등의 마무리를 조정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색조화장료에는 요구되는 기능이 있다. 즉 퍼짐성이 우수하면서, 밀착, 지속성의 우수함이 동시에 요구되고, 나아가 피지, 수분 등에 의해 번들거림이 발생되지 않아야 하며, 오일 흡수능에 의해 화장 후 피부가 당기지 않는 건조감 방지 등이 요구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특개평 10-212211호에는 나노미터 단위인 박편상 산화티탄 집합물인 산화티탄 다공체를 사용해 빛을 산란시켜 번들거림을 줄이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으나, 산화티탄 자체가 백색을 띠므로 색조 화장료에 첨가시 화장이 부자연스러우며 성형성이 저하되는 등 적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본 특공평 7-119168호에는 실리콘이나 불소계 표면처리제로 코팅된 분체를 사용해 분체가 땀이나 피지에 젖지 않게 하여 과잉으로 분비된 땀과 피지에 의한번들거림 현상을 줄이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실리콘계 표면처리제로 코팅된 분체는 피지에 의해 젖음으로써 화장 지속성이 유지되지 않고, 불소계 표면처리제로 코팅된 분체는 분체-분체 또는 분체-피부 사이의 부착성이 약하고 분비된 피지 위로 화장막 자체가 들떠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사용감 및 제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흡유성이 우수한 분체를 배합해 분비되는 과잉의 피지를 흡유하게 하는 등의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분체는 화장료 제조시 첨가되는 물이나 오일을 흡수하므로 실제 화장시에는 이미 흡유기능을 상실한 상태가 되며, 특히 분백류 제품에선 배합량이 많을 경우 결합제로 사용되는 오일을 과도하게 흡유하기 때문에 성형이 어려우므로 배합량을 늘리기가 곤란하다.
즉, 표면 처리를 통해 체질안료의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다양한 시도가 있었으나, 파우더의 건조함과 밀착, 그리고 번들거림 등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파우더의 전연성을 높여 퍼짐성 및 뭉침을 해소하고, 피부와의 친화성, 지속성 및 밀착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사용질감을 향상시키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트리에톡시카프리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디메치콘(Dimethicone), 아크릴레이트/트리데실아크릴레이트/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Tridecyl Acrylate/Tri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코팅액을 이용하여 일라이트를 피복하여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매끄러운 사용감, 보습성 및 전연성을 확보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팅액에 의해 피복(被服)된 분체(粉體)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파우더의 전연성을 높여 퍼짐성 및 뭉침을 해소하고, 피부와의 친화성, 지속성 및 밀착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사용질감을 향상시키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트리에톡시카프리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디메치콘(Dimethicone), 아크릴레이트/트리데실아크릴레이트/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Tridecyl Acrylate/Tri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코팅액을 이용하여 일라이트를 피복하여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할 경우, 매끄러운 사용감, 보습성 및 전연성을 확보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코팅액에 의해 피복(被服)된 분체(粉體)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피복(被服)’은 특정 물질의 표면을 다른 물질로 감싸거나 또는 그 일부에 걸쳐 특정물질의 물성을 다른 물질의 물성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코팅액’은 상기 용어 피복(被服)과의 관계에서 특정물질의 표면을 감싸는 다른 물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용액 상태를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분체(粉體)’는 고체입자가 다수 집합한 상태에 있는 물체로 그것을 형성하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나뉘어진다. 즉 0.1 μm 이하를 콜로이드, 0.1-1 μm를 미분(微粉), 1-100 μm를 통상 분체, 0.1-1mm를 조분(粗粉), 1mm 이상을 입체(粒體)로 대별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미분에서 조분에 이르는 것, 즉 0.1 μm 내지 1 mm의 입자 지름을 가진 고체물질의 집합체를 분체로 취급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코팅액은 트리에톡시카프리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디메치콘(Dimethicone), 아크릴레이트/트리데실아크릴레이트/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Tridecyl Acrylate/Tri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트리에톡시카프리릴실란’은 파우더에 지속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코팅하는 코팅 재료를 의미하며, 땀과 피지를 튕겨내는 능력이 뛰어나 화장지속력을 올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아크릴레이트/트리데실아크릴레이트/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는 파우더에 지속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코팅하는 코팅 재료를 의미하며, 땀과 피지를 튕겨내는 능력이 뛰어나 화장지속력을 올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디메치콘’은 통상적으로 실리콘 오일로서 팩트류 제품의 바인더 역할을 수행하는 원료이나, 본 명세서에서는 파우더에 지속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코팅하는 코팅 재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분체는 바람직하게는 분체 형태의 일라이트(Illite)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일라이트’는 단사정계(單斜晶系)에 속하는 미세한 운모족(雲母族)으로서 화학조성은 (K, H3O)Al2(Si, Al)4O10(H2O, OH)2를 나타내는 광물을 말한다. 일라이트는 경도 1-2, 비중 2.6-2.9, 쪼개짐은[001]로 완전하고, 조흔색은 백색이며, 토상(土狀)광택이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분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라이트 광물의 분체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코팅액에 의해 피복된 분체는 (a) 분체에 코팅액을 투입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의 코팅액이 분산된 분체를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의 분체에 코팅액을 투입하여 분산시키는 단계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코팅액을 분체에 투입하여 2분간 1차 분산시킨 이후, 바닥과 외벽에 붙은 분체 군집체를 긁어준 후 다시 2분간 2차 분산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분체 및 상기 코팅액을 분산 처리한 것을 아토마이저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3회 분쇄를 실시하여 상기 코팅액에 피복된 분체를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단계 (a)의 코팅액은 상기 코팅액에 의해 피복된 분체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001-20 중량% 투입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 중량% 투입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0-3.0 중량%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코팅액의 가장 바람직한 양이 2-3 중량%인 이유는 코팅액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에 도포시 건조한 사용감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분체의 뭉침현상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코팅액에 의해 피복된 분체는 (a) 평균입도 : 0.5-10 ㎛; 및 (b) 오일 흡유량 : 40-60 ml/100g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코팅액에 의해 피복(被服)된 분체(粉體)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전연성을 높여 퍼짐성 및 뭉침을 해소하고, 피부와의 친화성, 지속성 및 밀착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사용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코팅액에 의해 피복(被服)된 분체(粉體)의 개략적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코팅액에 의해 피복된 일라이트의 평균입도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피복 처리된 일라이트의 제조
트리에톡시카프리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EVONIKDEGUSSA), 디메치콘(Dimethicone, SHINETSU SILICONE), 아크릴레이트/트리데실아크릴레이트/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Tridecyl Acrylate/Tri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SHINETSU SILICONE) 코팅액 각각 및 이소프로필알코올(Isopropyl Alcohol, LG 화학)을 계량한 후, 완전 혼합하여 분체(양구광업)에 투입하고 2분간 1차 분산(Henschel Mixer, Heung-Bo)시킨 후, 바닥과 외벽에 붙은 파우더 군집체를 긁어준 후 다시 2분간 2차 분산 처리하였다(하기 표 1 참조).
상기 분산 처리한 파우더를 50℃에서 5시간 건조 후, AIR JET MILL(HOSOKAWA ALPINE, JAPAN)를 이용하여 1회 분쇄를 실시하였다.
피복처리한 일라이트의 제조
성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1. 일라이트 98.0 98.0 97.0
2. IPA 6.0 6.0 9.0
3. TRIETHOXYCAPRYLYLSILANE 2.0 - 1.5
4. DIMETHICONE - 2.0 -
5. ACRYLATES/TRIDECYLACRYLATE/TRIETHOXY SILYPROPYL
METH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 - 1.5
실시예 2 : 피복 처리된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탈크, 마이카, 실리카, 이산화 티탄, 산화아연, PMMA, NYLON-12, 상기 실시예 1의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의 피복 처리된 일라이트, 산화철 및 방부제(이하 원료 1-13,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분체, 하기 표 2 참조)을 혼합 분산하였다.
이후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C6-14 올레핀), 에칠헥실 팔미테이트, 페트롤라튬,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및 디메치콘(이하 원료 14-19, 통상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되는 에스터계, 실리콘계 오일, 하기 표 2 참조)을 80℃로 가온하였다.
이후 상기 원료 1-13를 혼합 분산한 것에 상기 원료 14-19를 80℃로 가온한 것을 분산시킨 이후 아토마이저로 2회 분쇄하였다.
이후 분쇄된 파우더는 60 mesh 여과망을 이용해 1회 여과한 후 성형 접시 위에 일정량 충진한 다음 성형천을 대고 120 psi 압력으로 3초간 타정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및 비교예 1의 조성
성분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비교예 1
1. 탈크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마이카 5.0 5.0 5.0 5.0
3. 세리사이트 10.0 10.0 10.0 15.0
4. 실리카 3.0 3.0 3.0 3.0
5. 이산화 티탄 5.3 5.3 5.3 5.3
6. 산화아연 1.8 1.8 1.8 1.8
7. PMMA 3.0 3.0 3.0 3.0
8. NYLON-12 5.0 5.0 5.0 5.0
9. 제조예 1 5.0 - - -
10. 제조예 2 - 5.0 - -
11. 제조예 3 - - 5.0 -
12. 산화철 q.s q.s q.s q.s
13. 방부제 q.s q.s q.s q.s
14.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 (C6-14 올레핀) 1.0 1.0 1.0 1.0
15. 에칠헥실 팔미테이트 2.0 2.0 2.0 2.0
16. 페트롤라튬 0.5 0.5 0.5 0.5
17.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 0.5 0.5 0.5 0.5
18.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2.0 2.0 2.0 2.0
19. 디메치콘 1.5 1.5 1.5 1.5
실험예 1 : 코팅액에 의해 피복된 일라이트의 평균입도 측정
코팅액에 의해 피복된 일라이트의 평균입도를 MASTERSIZER-2000(MALVERN, 영국)을 이용해 측정하였다. 평균입도 측정 결과를 하기 도 2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2 : 코팅액에 의해 피복된 일라이트의 오일 흡유량 측정
코팅액에 의해 피복된 일라이트의 오일 흡유량 측정은 10 g의 분체 샘플을 취하고 여기에 에스터계, 실리콘계의 오일을 0.2 ml씩 떨어뜨려 분체가 오일에 젖게하고 분체의 상이 페이스트 상이 되는 시점에서의 오일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성분 CAPRYLIC/CAPRIC TRIGLYCERIDE DIMETHICONE SQUALANE CETYLETHYL
HEXANOATE
평균
함량(ml)
4.6 4.2 5.8 5.4
실험예 3 : 화장료의 효과시험
본 발명의 피복 처리된 일라이트는 그 사용감이 부드러우면서도 피부 밀착성 향상에 의한 화장 지속성과 전연성이 우수하여 화장 후 번들거림 및 화장 들뜸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실제 사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본 발명의 제조예를 이용 실제 화장료(파우더팩트)를 제조하여 20~30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한달간 사용하도록 한 후, 그 화장료로서의 효과의 평균치를 측정하였다.
먼저, 상기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에서 만들어진 피복 처리된 분체를 제형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으로 하고 기존 제품을 비교예로 하여 보습감, 터치감, 부착감, 지속성, 뭉침 현상 항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파우더팩트의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및 비교예 1의 사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30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30일간 실제 사용하게 한 후, 여러 가지 화장료가 갖추어야 할 특성에 대해 비교, 품평하여 그 결과의 평균치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제형예 1,2,3 및 비교예 1의 화장료로서의 특성
구분 보습감 터치감 부착성 지속성 뭉침 현상 합계
제형예 1 4.1 3.5 3.7 3.3 3.5 17.9
제형예 2 4.0 3.2 3.5 3.5 3.7 17.7
제형예 3 4.5 3.2 3.0 3.2 2.5 16.4
비교예 1 3.5 3.5 3.2 2.8 3.1 16.1
평가 기준
5: 매우 우수함
4: 우수함
3: 보통
2: 나쁨
1: 매우 나쁨
위의 결과, 본 발명에 의한 피복 처리된 일라이트를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보습감, 터치감, 부착성, 지속성 및 뭉침 현상 등의 전 항목에서 우수한 품질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6)

  1. 코팅액에 의해 피복(被服)된 분체(粉體)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은 트리에톡시카프리릴실란(Triethoxycaprylylsilane), 디메치콘(Dimethicone), 아크릴레이트/트리데실아크릴레이트/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Tridecyl Acrylate/Tri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Di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체는 분체 형태의 일라이트(Illi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에 의해 피복된 분체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a) 분체에 코팅액을 투입하여 분산시키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의 코팅액이 분산된 분체를 분쇄하는 단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코팅액은 상기 코팅액에 의해 피복된 분체 전체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0001-20 중량%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에 의해 피복된 분체는 하기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a) 평균입도 : 0.5-10 ㎛; 및
    (b) 오일 흡유량 : 40-60 ml/100g
KR1020110135600A 2011-12-15 2011-12-15 피복된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8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600A KR20130068118A (ko) 2011-12-15 2011-12-15 피복된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600A KR20130068118A (ko) 2011-12-15 2011-12-15 피복된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118A true KR20130068118A (ko) 2013-06-25

Family

ID=48863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600A KR20130068118A (ko) 2011-12-15 2011-12-15 피복된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81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656A1 (ko) * 2016-11-09 2018-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촉촉함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656A1 (ko) * 2016-11-09 2018-05-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촉촉함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005994T2 (de) Verflüssigbare pulverzusammensetzungen
JP6938381B2 (ja) タルク微粒子を含む化粧料組成物
KR102586449B1 (ko) 도포성 및 성형성이 향상된 압축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CN100553604C (zh) 用于涂抹到皮肤、唇、指甲和/或毛发的组合物
KR20160102762A (ko)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70034983A (ko) 대형 합성 운모의 진주광택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KR20170091864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05813B1 (ko) 고함량의 실리콘 오일 및 에몰리언트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US9433565B2 (en) Hydrophilic and highly oil absorbent boron nitride powde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smetic
KR101630825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111261A (ko) 구상 파우더를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5333A (ko) 메이크업 수정용 화장료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1729541B1 (ko) 이산화티탄과 마이카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JP5558061B2 (ja) 固形粉末化粧料
CN104379114A (zh) 包含非干涉型散射粒子及气凝胶粒子的化妆品组合物以及化妆提亮方法
KR20070081994A (ko) 청량감과 펄감을 제공해주는 스틱형 메이크업 화장료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105789A (ko) 커버력 및 밀착성이 우수한 색조 파우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78370B1 (ko) 화장 지속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138793A1 (ja) 固形粉末化粧料及び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KR101659844B1 (ko) 무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5400035A (zh) 珠光眼影及其制备方法
KR101264530B1 (ko) 일라이트 복합 기능성 분체를 함유한 고 보습 파우더 타입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8118A (ko) 피복된 일라이트를 포함하는 색조 화장료 조성물
KR101854536B1 (ko) 촉촉함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17559B1 (ko) 소수성 다공성 파우더 및 수용성 보습성분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보습용 분말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