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086A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68086A KR20130068086A KR1020110135427A KR20110135427A KR20130068086A KR 20130068086 A KR20130068086 A KR 20130068086A KR 1020110135427 A KR1020110135427 A KR 1020110135427A KR 20110135427 A KR20110135427 A KR 20110135427A KR 20130068086 A KR20130068086 A KR 201300680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guide
- developing
- pressurizing
- move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4—Frame structures using extractable subframes, e.g. on rails or hing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87—Frame structures using opening shell type machines, e.g. pivoting assembli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69—Cartridge holders, e.g. intermediate frames for placing cartridge parts therei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 개구가 마련된 본체와, 개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트레이와, 현상트레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현상유닛들과, 본체의 내부 양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을 포함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에는 현상유닛들의 하단을 지지하는 복수의 안착홈이 마련되어 프레임에 의해 현상유닛이 지지되므로, 현상유닛의 감광체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다른 구성들 사이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규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현상유닛이 설치되는 현상트레이를 갖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로서 프린터, 복사기, 팩스 및 이들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일측에 개구가 마련된 본체와,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컬러별 현상제를 통해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각각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유닛과, 복수의 현상유닛에 감광체에 광을 주사하여 각 현상유닛의 감광체 상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장치와, 현상제를 통해 감광체에 현상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로 전사하는 전사장치와, 현상제를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 중에는 본체의 일측에 개구가 마련되고, 개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현상트레이를 설치한 후, 현상트레이에 복수의 현상유닛들이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현상제가 소모된 현상유닛을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화상형성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현상트레이를 통해 본체 내에 설치되는 현상유닛들의 이 보다 정확하에 장착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일측에 개구가 마련된 본체와, 개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트레이와, 현상트레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현상유닛들과, 본체의 내부 양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마련되어 복수의 현상유닛들의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안착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측에 복수의 안착홈이 각각 마련되어 한 쌍의 프레임에 각각 배치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안착부재는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안착홈은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현상유닛은 그 외관을 형성하는 현상하우징을 포함하며, 현상하우징은 그 측면 상부에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프레임은 한 쌍의 걸림부들 사이에 지지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에 그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현상트레이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프레임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 가이드와, 커버의 개폐동작에 따라 이동 가이드가 이동하도록 하는 연동링크와, 이동 가이드에 설치되어 이동 가이드가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프레임은 가이드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슬롯을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슬롯은 이동 가이드의 하측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부와, 제 1 가이드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이동 가이드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부와, 경사지게 형성되에 제 1 가이드부와 제 2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연동링크는 이동 가이드를 향해 돌출된 연동부와, 연동부에 마련된 연동돌기를 포함하며, 이동 가이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동돌기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슬롯을 포함한다.
또한 이동 가이드의 이동과 연동하여 현상유닛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가압유닛은 그 외관을 형성하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압 하우징과, 가압 하우징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 프레임과, 가압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와, 가압부재를 하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가압유닛은 가압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가압 프레임이 이동 가이드의 이동과 연동하여 승강하도록 하는 복수의 승강링크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승강링크는 가압프레임의 일단측에 힘을 전달하는 제 1 승강링크와, 가압프레임의 타단측에 힘을 전달하는 제 2 승강링크 및 제 3 승강링크를 포함하며, 제 1 승강링크는 이동 가이드에 지지되는 제 1 캠부와, 가압 프레임의 일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힌지부를 포함하며, 제 2 승강링크는 이동 가이드에 지지되는 제 2 캠부와, 제 3 승강링크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 3 승강링크는 제 1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부와, 승강 프레임의 타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힌지부를 포함하며, 이동 가이드는 제 1 캠부와 상호작용하는 제 1 캠면과 제 2 캠부와 상하작용하는 제 2 캠면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일측에 개구가 마련된 본체와, 개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상트레이와, 현상트레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현상유닛들과, 본체의 내부 양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본체에 그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현상유닛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유닛들은 본체 내부의 프레임에 마련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지지되므로 현상유닛의 감광체와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규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균일한 화상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유닛 및 현상유닛이 장착되는 현상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본체 내부에 장착된 현상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프레임에 설치된 이동 가이드 및 가압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프레임에 마련된 가이드슬롯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커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이동 가이드 및 현상유닛의 동작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커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가압유닛의 동작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현상유닛 및 현상유닛이 장착되는 현상트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본체 내부에 장착된 현상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프레임에 설치된 이동 가이드 및 가압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프레임에 마련된 가이드슬롯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커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이동 가이드 및 현상유닛의 동작을 보인 개략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커버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가압유닛의 동작을 보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인쇄매체가 저장되는 인쇄매체 저장유닛(20)과, 정전잠상을 현상제를 통해 컬러에 따라 가시화상으로 현상하는 복수의 현상유닛(30C, 30M, 30Y, 30K)과, 대전된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의 감광체(31)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노광유닛(40)과, 인쇄매체 저장유닛(20)으로부터 인쇄매체를 전달받아 감광체(31)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인쇄매체에 전사하는 전사장치(50)와, 인쇄매체에 전사된 현상제를 인쇄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유닛(60)을 포함한다.
본체(10)는 그 상부에 화상 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가 적재되는 적재부(10a)가 마련되며, 적재부(10a)의 일측에는 화상형성이 완료된 인쇄매체가 배출되는 배지구(10b)가 마련된다. 본체(10)의 일측에는 현상유닛(30C, 30M, 30Y, 30K) 등의 내부 구성들을 탈착하기 위한 개구(10c)가 마련되며, 개구(10c)에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개구(10c)를 개폐하는 커버(11)가 마련된다.
인쇄매체 저장유닛(20)은 본체(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쇄매체 카세트(21)와, 인쇄매체 카세트(21) 내에 배치되며 인쇄매체들이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22)와, 녹업플레이트(2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한다.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은 대전된 표면에 노광유닛(40)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31)와, 감광체(31)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롤러(32)와 감광체(31)의 표면을 대전시키는 대전롤러(33)과,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술한 감광체(31), 현상롤러(32) 및 대전롤러(33)을 지지하는 현상하우징(34)을 각각 포함한다.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은 내부에 시안(C), 마젠타(M), 엘로우(Y) 및 블랙(K) 색상의 현상제 중 어느 하나가 저장되어 시안(C), 마젠타(M), 엘로우(Y) 및 블랙(K) 색상을 각각 현상할 수 있는 4개의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을 포함하며, 4개의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은 전사장치(50)의 하측에 나란히 배치된다.
노광유닛(40)은 화상 정보가 포함된 광을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에 각각 마련된 감광체(31)들에 조사하여 각 감광체(31)들의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전사장치(50)는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의 감광체(31) 상에 가시화상으로 현상된 현상제가 중첩 전사되는 전사벨트(51)와, 전사벨트(51)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어 전사벨트(51)가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롤러(52) 및 종동롤러(53)와, 전사벨트(51)가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각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의 감광체(31)들과 각각 대향되게 배치되어 감광체(31)들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전사벨트(51)에 전사되도록 하는 복수의 제 1 전사롤러(54)들과, 전사벨트(51)가 개재된 상태로 종동롤러(53)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전사벨트(51)의 가시화상이 인쇄매체에 전사되도록 하는 제 2 전사롤러(55)를 포함한다.
정착유닛(60)은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롤러(61)와, 외주면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인쇄매체를 가열롤러(61)의 외주면에 가압하는 가압롤러(62)를 포함한다.
본체(10)에는 인쇄매체 저장유닛(20)의 상부에 배치되어 녹업플레이트(22)에 적재된 인쇄매체를 한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3)과, 픽업롤러(13)에 의해 픽업된 인쇄매체를 상측으로 안내하는 이송롤러(14)들과, 정착유닛(60) 상측에 배치되며 배지구(10b) 인접부에 배치되어 정착유닛(60)을 통과한 인쇄매체가 배지구(10b)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배지롤러(15)이 배치된다.
또한 본체(10) 내부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 양측면을 형성하며 상술한 화상형성장치 내부 구성들을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프레임(12)이 배치된다. 이때 프레임(12)은 화상형성장치 내부 구성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현상제가 모두 소모된 후에는 새로운 현상유닛(30C, 30M, 30Y, 30K)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따라서 개구(10c)에는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의 설치를 위한 현상트레이(35)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현상트레이(35)에는 상술한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이 차례로 장착되어, 현상트레이(35)가 개구(10c)를 통해 본체(10) 내로 이동함에 따라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이 본체(10) 내에 장착되며, 현상트레이(35)가 이동하며 개구(10c)를 통해 본체(10)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이 본체(10)로부터 인출된다.
현상트레이(35)는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이 장착되는 트레이부(35a)와, 사용자가 용이하게 현상트레이(35)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부(35a)의 일단에 마련된 손잡이부(35b)를 포함한다. 트레이부(35a)의 하면에는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에 각각 마련된 감광체(31)가 트레이부(35a)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그 하측에 배치되는 전사벨트(51)와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35c)과,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이 트레이부(35a)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35d)가 교대로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트레이(35)가 본체(10)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두 프레임(12) 내측에는 현상트레이(35)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레일(16)이 각각 설치되며, 현상트레이(35)의 트레이부(35a) 양측에는 제 1 가이드레일(16)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35e)이 각각 설치된다.
본체(10) 내부에는 현상트레이(35)에 장착된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의 위치 규제를 위한 안착홈(17a)들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홈(17a)들은 프레임(12)에 설치된 안착부재(17)의 상부에 복수개가 나란히 마련된다. 따라서,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의 하단이 각각 안착홈(17a)들에 안착 및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홈(17a)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V자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12)에 고정된 안착부재(17)의 안착홈(17a)에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의 하단이 안착 및 지지되도록 하면,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의 감광체(31)와 프레임(12)에 의해 지지되는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대 위치, 특히 감광체(31)의 상대물인 전사벨트(51)나 제 1 전사롤러(54)와 감광체(31)와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규제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균일한 화상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이 안착홈(17a)에 안착된 상태에서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이 그 하단을 중심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 현상유닛(30C, 30M, 30Y, 30K)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하우징(34)의 일측면에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걸림부(34a)가 각각 마련되며, 프레임(12)에는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이 안착홈(17a)에 각각 안착된 상태에서 두 걸림부(34a) 사이에 걸려 현상하우징(34)의 회전을 막는 걸림돌기(12b)가 배치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의 하단이 안착홈(17a)에 안착되기 위해서는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을 상하로 이동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이 장착된 현상트레이(35)가 커버(11)의 개폐동작과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면서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커버(11)에 의해 개구(10c)가 개방됨에 따라 현상트레이(35)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현상트레이(35)에 담긴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의 하단이 안착홈(17a)으로부터 이탈하고, 커버(11)가 개구(10c)를 폐쇄함에 따라 현상트레이(35)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현상트레이(35)에 담긴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의 하단이 안착홈(17a)에 안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현상트레이(35)가 커버(11)와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두 프레임(12)의 내측에는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가이드(18)가 각각 설치된다. 이동 가이드(18)는 프레임(12)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측에는 상술한 제 1 가이드레일(16)이 설치된다. 따라서 현상트레이(35)는 제 1 가이드레일(16) 및 제 2 가이드레일(35e)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 가이드(18)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 가이드(18)와 함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 가이드(18)가 커버(11)와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하기 위해 커버(11)와 이동 가이드(18) 사이에는 연동링크(19)가 설치된다. 연동링크(19)는 두 이동 가이드(18)와 대응하도록 두 개가 마련되며 그 일단이 커버(11)의 내면 양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본체(10)의 두 프레임(1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커버(11)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연동링크(19)의 중간에는 이동 가이드(18)측으로 돌출된 연동부(19a)가 마련되며, 연동부(19a)에는 이동 가이드(18)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돌기(19b)가 형성된다. 또한 개구(10c)측에 위치한 이동 가이드(18)의 일단에는 연동돌기(19b)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슬롯(18a)이 상하로 길게 마련된다. 따라서 커버(11)의 개폐동작에 따라 이동 가이드(18)가 일정 구간 내에서 수평 이동한다.
이동 가이드(18)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 가이드(18)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두 프레임(12)에는 복수의 가이드슬롯(12b)이 각각 마련되며, 이동 가이드(18)에는 가이드슬롯(12b)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가이드슬롯(12b)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부재(18b)가 설치된다.
가이드슬롯(12b)들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동 가이드(18)의 하측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부(12a-1)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동 가이드(18)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마련되어 이동 가이드(18)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부(12a-2)와,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 1 가이드부(12a-1)와 상기 제 2 가이드부(12a-2)를 연결하는 경사부(12a-3)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의 하단이 안착홈(17a)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70)을 더 포함한다.
가압유닛(70)은 두 이동 가이드(18)들 중 어느 하나의 이동과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외관을 형성하며 프레임(12)에 고정되는 가압 하우징(71)과, 가압 하우징(71) 내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커버(11)의 개폐동작 및 이동 가이드(18)의 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가압 프레임(72)과, 가압 프레임(72)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하단이 현상유닛(30C, 30M, 30Y, 30K)들을 각각 하측으로 가압하는 복수의 가압부재(73)와, 가압부재(73)들을 각각 하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74)와, 이동 가이드(18)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며 가압 프레임(72)이 상하로 승강하도록 하는 복수의 승강링크(75, 76, 77)를 포함한다.
복수의 승강링크(75, 76, 77)는 가압 프레임(72)의 일단측에 힘을 전달하기 위한 제 1 승강링크(75)와, 가압프레임(12)의 타탄측에 힘을 전달하기 위한 제 2 승강링크(76) 및 제 3 승강링크(77)를 포함한다.
제 1 승강링크(75)는 V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측이 가압 하우징(7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동 가이드(18)의 상단에 지지되는 제 1 캠부(75a)와 가압 프레임(72)의 일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힌지부를 포함한다. 제 2 승강링크(76)는 V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측이 가압 하우징(7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동 가이드의 상단에 지지되는 제 2 캠부(76a)와 제 3 승강링크(77)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연결부(76b)를 포함한다. 제 3 승강링크(77)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중앙측이 가압 하우징(7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연결부(76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부(77a)와, 가압 프레임(72)의 타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힌지부(77b)를 포함한다.
한편 이동 가이드(18)의 상단에는 상술한 제 1 캠부(75a)와 상호작용하는 제 1 캠면(18c)과, 제 2 캠부(76a)와 상호작용하는 제 2 캠면(18d)이 마련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1)에 의해 개구(10c)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11)에 힘을 가해 개구(10c)가 개방되도록 하면, 개구(10c)가 개방됨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가이드(18)가 연동돌기(19b) 및 연동슬롯(18a)을 통해 커버(11)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개구(10c)를 향해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18b)가 제 1 가이드부(12a-1)에서 경사부(12a-3)를 통해 제 2 가이드부(12a-2)로 이동하면서 이동 가이드(18)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현상트레이(35) 및 현상트레이(35)에 장착된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은 상측으로 이동하여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의 하단이 안착홈(17a)으로부터 이탈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캠부(75a) 또는 제 2 캠부(76a)를 통해 이동 가이드(18)의 제 1 캠면(18c) 및 제 2 캠면(18d)에 지지되어 있는 제 1 승강링크(75) 및 제 2 승강링크(76)는 이동 가이드(18)의 이동에 따라 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에 따라 가압 프레임(72)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가압 프레임(72)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부재(73)의 하단이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1)에 의해 개구(10c)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11)에 힘을 가해 개구(10c)가 폐쇄되도록 하면, 개구(10c)가 폐쇄됨에 따라 이동 가이드(18)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동돌기(19b) 및 연동슬롯을 통해 커버(11)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본체(10)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재(18b)가 제 2 가이드부(12a-2)에서 경사부(12a-3)를 통해 제 1 가이드부(12a-1)로 이동하면서 이동 가이드(18)가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현상트레이(35) 및 현상트레이(35)에 장착된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은 하측으로 이동하여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의 하단이 안착홈(17a)에 안착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캠부(75a) 또는 제 2 캠부(76a)를 통해 이동 가이드(18)의 제 1 캠면(18c) 및 제 2 캠면(18d)에 지지되어 있는 제 1 승강링크(75) 및 제 2 승강링크(76)는 이동 가이드(18)의 이동에 따라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에 따라 가압 프레임(72)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가압 프레임(72)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부재(73)의 하단이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의 상면에 접촉하여 현상유닛(30C, 30M, 30Y, 30K)을 하측으로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서 안착홈(17a)은 프레임(12)과 별도로 제조되어 프레임(12)에 장착되는 안착부재(17)에 마련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12) 형상을 변경하여 프레임(12)에 안착부재(17)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다는 점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본체 10c: 개구
11: 커버 12: 프레임
12a: 가이드슬롯 17: 안착부재
17a: 안착홈 18:이동 가이드
19: 연동링크 30C, 30M, 30Y, 30K: 현상유닛
40: 노광유닛 50: 전사장치
60: 정착유닛 70: 가압유닛
11: 커버 12: 프레임
12a: 가이드슬롯 17: 안착부재
17a: 안착홈 18:이동 가이드
19: 연동링크 30C, 30M, 30Y, 30K: 현상유닛
40: 노광유닛 50: 전사장치
60: 정착유닛 70: 가압유닛
Claims (16)
- 일측에 개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개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현상트레이와,
상기 현상트레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현상유닛들과,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현상유닛들의 하단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안착홈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측에 상기 복수의 안착홈이 각각 마련되어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각각 배치되는 안착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측을 향하여 개방되며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유닛은 그 외관을 형성하는 현상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현상하우징은 그 측면 상부에 서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걸림부들 사이에 지지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그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현상트레이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 가이드와,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이동 가이드가 이동하도록 하는 연동링크와,
상기 이동 가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가이드가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슬롯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롯은 상기 이동 가이드의 하측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 가이드의 상측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 가이드부와, 경사지게 형성되에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링크는 상기 이동 가이드를 향해 돌출된 연동부와, 상기 연동부에 마련된 연동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동돌기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동슬롯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가이드의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그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압 하우징과, 상기 가압 하우징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 프레임과, 상기 가압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를 하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가압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가압 프레임이 상기 이동 가이드의 이동과 연동하여 승강하도록 하는 복수의 승강링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승강링크는 상기 가압프레임의 일단측에 힘을 전달하는 제 1 승강링크와, 상기 가압프레임의 타단측에 힘을 전달하는 제 2 승강링크 및 제 3 승강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승강링크는 상기 이동 가이드에 지지되는 제 1 캠부와, 상기 가압 프레임의 일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승강링크는 상기 이동 가이드에 지지되는 제 2 캠부와, 상기 제 3 승강링크와 연결되는 제 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승강링크는 상기 제 1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연결부와, 상기 승강 프레임의 타단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가이드는 상기 제 1 캠부와 상호작용하는 제 1 캠면과 상기 제 2 캠부와 상하작용하는 제 2 캠면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일측에 개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개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기 현상트레이와,
상기 현상트레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현상유닛들과,
상기 본체의 내부 양측면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본체에 그 하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개폐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현상유닛을 하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트레이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 가이드와,
상기 커버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이동 가이드가 이동하도록 하는 연동링크와,
상기 이동 가이드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가이드가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부재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슬롯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그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압 하우징과, 상기 가압 하우징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 프레임과, 상기 가압프레임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를 하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가압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가압 프레임이 상기 이동 가이드의 이동과 연동하여 승강하도록 하는 복수의 승강링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5427A KR101520259B1 (ko) | 2011-12-15 | 2011-12-15 | 화상형성장치 |
EP12197327.5A EP2605077B1 (en) | 2011-12-15 | 2012-12-14 | Image forming apparatus |
US13/714,902 US9152075B2 (en) | 2011-12-15 | 2012-12-14 | Image form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5427A KR101520259B1 (ko) | 2011-12-15 | 2011-12-15 | 화상형성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8086A true KR20130068086A (ko) | 2013-06-25 |
KR101520259B1 KR101520259B1 (ko) | 2015-05-18 |
Family
ID=4759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5427A KR101520259B1 (ko) | 2011-12-15 | 2011-12-15 | 화상형성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152075B2 (ko) |
EP (1) | EP2605077B1 (ko) |
KR (1) | KR10152025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10737A1 (ko) * | 2015-07-14 | 2017-01-19 | 에스프린팅솔루션주식회사 | 자동장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KR20200051774A (ko) * | 2017-09-21 | 2020-05-13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22520B (en) | 2012-11-28 | 2016-02-24 | Canon Kk | Image forming apparatus |
JP6065650B2 (ja) | 2013-02-28 | 2017-01-25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541403B2 (ja) * | 2014-05-14 | 2019-07-10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577274B2 (ja) * | 2014-07-17 | 2019-09-18 | 株式会社沖データ | 画像形成装置 |
JP6602051B2 (ja) * | 2015-05-27 | 2019-11-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299680B2 (ja) * | 2015-06-15 | 2018-03-28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540579B2 (ja) * | 2015-06-26 | 2019-07-10 |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566748B2 (ja) * | 2015-07-01 | 2019-08-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736402B2 (ja) * | 2016-07-22 | 2020-08-0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US10241465B2 (en) * | 2016-09-26 | 2019-03-26 | Fuji Xerox Co., Ltd. |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JP6946628B2 (ja) * | 2016-09-30 | 2021-10-06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6455845B2 (ja) * | 2016-11-07 | 2019-01-23 | キヤノン株式会社 |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感光体ユニット |
JP7259603B2 (ja) * | 2019-07-10 | 2023-04-18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80772B2 (ja) * | 2006-12-28 | 2009-06-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084257B2 (ja) * | 2006-12-28 | 2012-11-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JP5414171B2 (ja) * | 2007-11-21 | 2014-02-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5029388B2 (ja) | 2008-01-24 | 2012-09-19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JP4372214B1 (ja) * | 2008-09-29 | 2009-11-25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
2011
- 2011-12-15 KR KR1020110135427A patent/KR10152025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12-14 EP EP12197327.5A patent/EP2605077B1/en active Active
- 2012-12-14 US US13/714,902 patent/US9152075B2/en active Active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7010737A1 (ko) * | 2015-07-14 | 2017-01-19 | 에스프린팅솔루션주식회사 | 자동장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US10768567B2 (en) | 2015-07-14 | 2020-09-08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Automatic moun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same |
KR20200051774A (ko) * | 2017-09-21 | 2020-05-13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현상제 보급 용기 및 현상제 보급 시스템 |
US11150598B2 (en) | 2017-09-21 | 2021-10-19 | Canon Kabushiki Kaisha |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
US11650537B2 (en) | 2017-09-21 | 2023-05-16 | Canon Kabushiki Kaisha |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
US11940753B2 (en) | 2017-09-21 | 2024-03-26 | Canon Kabushiki Kaisha |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developer supplying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156463A1 (en) | 2013-06-20 |
KR101520259B1 (ko) | 2015-05-18 |
EP2605077A2 (en) | 2013-06-19 |
EP2605077A3 (en) | 2013-12-18 |
EP2605077B1 (en) | 2016-08-31 |
US9152075B2 (en) | 2015-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68086A (ko) | 화상형성장치 | |
US961890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606143B2 (en)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ntacting and spacing member | |
US9256197B2 (en)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pace regulated detachable cartridge | |
US7817936B2 (en) |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US7463847B2 (en) | Image-forming apparatus having developing units in removable holding unit | |
US9280128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KR101941552B1 (ko) | 화상형성장치 | |
US10558168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ophotographic toner images | |
US8320794B2 (en) |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CN112526856B (zh) | 盒和成像装置 | |
US8831475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EP2450751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KR20120055431A (ko) |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
US20130107282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US11789401B2 (en) | Cartridge including photosensitive drum and developing rolle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 |
KR101941554B1 (ko) | 화상형성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