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557A - 커넥터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557A
KR20130067557A KR1020110134230A KR20110134230A KR20130067557A KR 20130067557 A KR20130067557 A KR 20130067557A KR 1020110134230 A KR1020110134230 A KR 1020110134230A KR 20110134230 A KR20110134230 A KR 20110134230A KR 20130067557 A KR20130067557 A KR 20130067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astening
fastening lever
connecto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4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7557A/ko
Publication of KR20130067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5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는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로 구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50)의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51)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51)의 외면에는 제1체결레버(55)가 탄성변형가능하게 제1하우징(5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레버(55)의 선단에는 제1걸이턱(56)이 형성되고, 후단에는 제1손잡이(57)가 형성된다. 상기 제2커넥터(60)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61)이 형성하고, 상기 제2하우징(61)의 외면에는 제2하우징(6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제2체결레버(65)가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레버(65)의 선단 근처에는 상기 제1걸이턱(56)이 걸어지는 제2걸이턱(66)이 형성된다. 상기 제1걸이턱(56)과 제2걸이턱(66)의 결합은 상기 제1체결레버(55)와 제2체결레버(65)중 어느 하나의 최대 탄성변형으로는 해제되지 않고, 상기 제1,2 체결레버(55,65)의 일정 이상의 탄성변형에 의해 해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조립체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고, 분리조작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결합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에 각각 체결레버를 두고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체결레버의 조작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커넥터조립체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커넥터조립체는 제1커넥터(1)의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3)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3)은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그 내부를 관통하여 제1터미널안착부(5)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안착부(5)에는 각각 제1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3)의 외면 일측에는 체결레버(7)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7)는 상기 제1하우징(3)에 일측 또는 양측이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자체의 형상과 재질의 특성 때문에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레버(7)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우징(13)과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제1하우징(3)의 일측을 관통하여서는 간섭방지공간(9)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방지공간(9)은 도 1에서 제1하우징(3)의 외면과 상기 체결레버(7)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삽입저지리브(19)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커넥터(1)와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제2커넥터(11)이다. 상기 제2커넥터(11)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13)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13) 역시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2하우징(13)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제2터미널안착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제2터미널안착부(15)에는 상기 제1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제2하우징(13)의 선단 내부에는 상기 제2터미널안착부(15)에 안착된 제2터미널의 선단이 위치되는 삽입공간(17)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17)은 상기 제1하우징(3)의 선단을 포함하는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공간(17)의 내부에는 오삽입저지리브(19)가 형성된다. 상기 오삽입저지리브(19)는 상기 삽입공간(17)의 내부에 상기 제1하우징(3)이 다른 방향으로 삽입된 것을 저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하우징(3)을 포함하는 다른 부품이 상기 삽입공간(17)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삽입공간(17)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터미널이 소성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하우징(3)이 정상적으로 삽입되지 않고, 삐뚤어져 삽입되거나, 상기 삽입공간(17)의 내부로 다른 부품이 임의로 삽입되는 것을 막는 것이다.
상기 오삽입저지리브(19)는 상기 제1하우징(3)이 제2하우징(13)의 삽입공간(17) 내부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1하우징(3)의 간섭방지공간(9)에 삽입되어 제1하우징(3)이 삽입공간(17)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11)는 상기 제1하우징(3)이 제2하우징(13)의 삽입공간(17)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하우징(3)의 체결레버(7)가 상기 제2하우징(13) 내부의 걸림턱(도시되지 않음)에 걸어짐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 상기 체결레버(7)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2하우징(13)의 걸림턱에 걸어짐에 의해 제1하우징(3)과 제2하우징(13)이 서로 체결된다. 하지만, 상기 체결레버(7)가 불의의 외력이 가해져 탄성변형되면 상기 걸림턱에서 분리되어 제1하우징(3)과 제2하우징(13)이 서로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레버(7)는 상기 걸림턱에서 분리되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턱이 돌출된 것보다 더 많이 탄성변형되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체결레버(7)가 탄성변형되어야 하는 양이 커지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조립체에서 체결레버에 작용하는 불의의 외력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결레버의 탄성변형량을 최소화한 커넥터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제1터미널이 설치되는 제1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는 제1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에는 탄성변형되는 제1체결레버가 제1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레버에는 제1걸이턱이 형성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이 설치되는 제2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제1체결레버의 제1걸이턱과 걸어지는 제2걸이턱이 형성되고 탄성변형되는 제2체결레버가 제2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체결레버와 제2체결레버중 어느 일측만이 최대로 탄성변형되더라도 상기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의 결합은 분리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및 제2체결레버 모두가 소정값 이상 탄성변형되어야 상기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 사이가 분리된다.
상기 제1체결레버는 중간부분이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과 일체로 연결되고 선단에는 상기 제1걸이턱 형성되고 후단에는 제1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레버는 선단부가 상기 제2하우징과 일체로 연결되고 후단부가 자유단부 형태인 외팔보 형상이다.
상기 제2체결레버의 선단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2걸이턱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레버의 후단에는 제2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 제1,2 체결레버의 후단에 대응되는 제1,2 하우징의 외면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제1,2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정도를 규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제1 및 제2 커넥터 모두에 체결레버가 있고, 이들 체결레버가 서로 걸어져 체결이 이루어지므로 양측 체결레버가 모두 탄성변형되어야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일측의 체결레버에 불의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체결레버의 체결상태가 해제되지 않게 되어 커넥터조립체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커넥터 및 제2커넥터 각각의 체결레버가 서로 걸어져 체결되므로 동일한 체결정도에 대해 결합해제를 위해 각각의 체결레버가 탄성변형되어야 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므로 체결레버를 조작하는 힘이 크게 줄어들어 조작이 편리해지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의 커넥터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커넥터조립체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는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로 구성된다. 이들 제1,2 커넥터(50,60)는 서로 결합되어 그 내부의 제1,2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제1커넥터(50)의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51)이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51)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1하우징(51)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제1터미널안착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제1터미널이 설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51)의 외면에는 후드부(53)가 형성된다. 상기 후드부(53)는 상기 제1하우징(51)의 외면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하우징(51)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후드부(53)의 내부에는 제1체결레버(55)가 상기 제1하우징(5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제1체결레버(55)는 대략 중간부분이 상기 제1하우징(51)의 외면에 연결부(55')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측방향에서 볼 때, "T"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체결레버(55)의 선단에는 제1걸이턱(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걸이턱(56)은 상기 제1하우징(51)의 외면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제1걸이턱(56)은 상기 제1하우징(51)의 선단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51)의 후단을 향하는 면은 상기 제1체결레버(55)의 외면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걸이턱(56)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60)의 제2체결레버(65)의 제2걸이턱(66)에 걸어진다.
상기 제1체결레버(55)의 후단에는 제1손잡이(5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손잡이(57)는 작업자가 상기 체1체결레버(55)를 탄성변형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2커넥터(60)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61)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61)은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하우징(61)의 선단 내부에 결합공간(62)이 형성되어 상기 제1커넥터(50)의 제1하우징(51) 선단이 삽입된다. 상기 제2하우징(61)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도 제2터미널안착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는데, 이에는 제2터미널이 안착된다.
상기 제2하우징(61)의 외면에는 제2하우징(6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보호리브(63)가 형성된다. 상기 보호리브(63)는 한쌍이 나란히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보호리브(63)의 사이에는 제2체결레버(65)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체결레버(65)에 불의의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상기 보호리브(63)가 한다.
상기 제2체결레버(65)는 제2하우징(61)의 선단에 해당되는 부분이 상기 제2하우징(61)에 연결되어 있고, 제2하우징(61)의 후단에 해당되는 부분은 자유단부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제2하우징(61)의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으로 제2체결레버(65)가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레버(65)의 선단 쪽에는 제2걸이턱(6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턱(66)은 상기 제1체결레버(55)의 제1걸이턱(56)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2걸이턱(66)은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체결레버(65)의 선단을 향해서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2걸이턱(66)에서 상기 제2체결레버(65)의 후단을 향하는 면은 상기 제2체결레버(65)의 외면에 대해 직교하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레버(65)의 후단부에는 제2손잡이(67)가 형성된다. 상기 제2손잡이(67)는 작업자가 상기 제2체결레버(65)를 탄성변형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2하우징(61)의 외면중 상기 제2체결레버(65)의 후단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스토퍼(6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69)는 상기 제2체결레버(65)의 후단부가 상기 제2하우징(61)의 외면으로 인접하게 되는 정도, 즉 제2체결레버(65)가 탄성변형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69)는 상기 제2체결레버(65)가 탄성변형되는 정도를 규제하여 상기 제2체결레버(65)만이 최대로 탄성변형되더라도 상기 제1체결레버(55)의 제1걸이턱(56)과 제2체결레버(65)의 제2걸이턱(66)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스토퍼(69)의 기능은 상기 제2체결레버(65)와 제2하우징(61)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에 의해 해결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는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가 상기 제1 및 제2 체결레버(55,65)의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상기 제1체결레버(55)의 제1걸이턱(56)과 제2체결레버(65)의 제2걸이턱(66)이 서로 걸어져 결합됨에 의해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의 결합상태가 잠금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체결레버(55)와 제2체결레버(65)의 제1걸이턱(56)과 제2걸이턱(66)이 서로 결합되는 것은, 상기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가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제1걸이턱(56)의 하향경사면과 제2걸이턱(66)의 하향 경사면이 서로 안내되면서 상기 제1체결레버(55)와 제2체결레버(65)가 각각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제1걸이턱(56)이 제2걸이턱(66)을 통과하면 상기 제1걸이턱(56)과 제2걸이턱(66)의 평면이 서로 걸어지면서 제1체결레버(55)와 제2체결레버(65)가 서로 걸어져 결합된다. 이 상태가 되면 상기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의 제1 및 제2 터미널이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의 제1체결레버(55)와 제2체결레버(65)가 각각 탄성변형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1체결레버(55)와 제2체결레버(65)의 제1 및 제2 손잡이(57,67)에 각각 힘을 부여하여 상기 제1체결레버(55)와 제2체결레버(65)가 각각 제1하우징(51)과 제2하우징(61)의 외면을 향해 이동하도록 탄성변형되게 한다.
상기 제1체결레버(55)와 제2체결레버(65)가 각각 탄성변형됨에 의해 상기 제1걸이턱(56)과 제2걸이턱(66) 사이가 분리된다. 이때, 상기 제1체결레버(55)와 제2체결레버(65) 모두가 최대로 탄성변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체결레버(55)와 제2체결레버(65)가 각각 일정 정도 이상 탄성변형되어야 상기 제1걸이턱(56)과 제2걸이턱(66)이 서로 분리될 수 있는 것이고, 어느 일측의 체결레버(55,56)만이 최대로 탄성변형되더라도 제1걸이턱(56)과 제2걸이턱(66)이 서로 분리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1체결레버(55)와 제2체결레버(65)가 모두 일정 이상 탄성변형되어야 한다. 하지만, 종래에 하나의 체결레버가 걸림턱에 걸어졌다가 분리되기 위해 탄성변형되는 정도에 비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체결레버(55)와 제2체결레버(65)가 탄성변형되는 정도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 즉, 상기 제1체결레버(55)와 제2체결레버(65)에 가해져야 하는 힘의 정도는 상대적으로 작은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특성상 본 발명의 커넥터조립체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체결레버(55,65) 모두에 힘을 가해 탄성변형이 되도록 해야만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는 불의의 외력이 상기 제1 및 제2 체결레버(55,65)에 동시에 작용하는 확율은 상대적으로 작음을 고려할 때, 커넥터조립체의 동작신뢰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체결레버(55)의 제1손잡이(57)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별도의 제1스토퍼가 없으나, 이에도 제1스토퍼를 두어 상기 제1체결레버(55)의 탄성변형정도를 규제할 수 있다.
50: 제1커넥터 51: 제1하우징
53: 후드부 55: 제1체결레버
56: 제1걸이턱 57: 제1손잡이
60; 제2커넥터 61: 제2하우징
63: 보호리브 65: 제2체결레버
66: 제2걸이턱 67: 제2손잡이
69: 스토퍼

Claims (5)

  1. 내부에 제1터미널이 설치되는 제1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는 제1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에는 탄성변형되는 제1체결레버가 제1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레버에는 제1걸이턱이 형성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터미널이 설치되는 제2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는 제2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는 상기 제1체결레버의 제1걸이턱과 걸어지는 제2걸이턱이 형성되고 탄성변형되는 제2체결레버가 제2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레버와 제2체결레버중 어느 일측만이 최대로 탄성변형되더라도 상기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의 결합은 분리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및 제2체결레버 모두가 소정값 이상 탄성변형되어야 상기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 사이가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레버는 중간부분이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과 일체로 연결되고 선단에는 상기 제1걸이턱 형성되고 후단에는 제1손잡이가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레버는 선단부가 상기 제2하우징과 일체로 연결되고 후단부가 자유단부 형태인 외팔보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레버의 선단에 인접한 위치에 상기 제2걸이턱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레버의 후단에는 제2손잡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체결레버의 후단에 대응되는 제1,2 하우징의 외면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제1,2 체결레버의 탄성변형정도를 규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KR1020110134230A 2011-12-14 2011-12-14 커넥터조립체 KR20130067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230A KR20130067557A (ko) 2011-12-14 2011-12-14 커넥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230A KR20130067557A (ko) 2011-12-14 2011-12-14 커넥터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557A true KR20130067557A (ko) 2013-06-25

Family

ID=4886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230A KR20130067557A (ko) 2011-12-14 2011-12-14 커넥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75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073B1 (ko) * 2017-12-04 2019-01-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2066541B1 (ko) * 2018-09-14 2020-01-15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케이블용 전기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1073B1 (ko) * 2017-12-04 2019-01-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102066541B1 (ko) * 2018-09-14 2020-01-15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케이블용 전기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8557B2 (ja) コネクタ位置決め素子およびこれを組み込んだコネクタ組立装置
US8206170B2 (en) Male and female connectors and electrical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1074196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ical connector
US8403696B2 (en) Connector with a conductive shell with a flange with an integral locking portion for engagement with a mating connector
KR20130067557A (ko) 커넥터조립체
KR101676884B1 (ko) 커넥터
JP5286166B2 (ja) ロック解除構造
WO2014095810A1 (en) Plug type connector and plug type connector system
KR20120120810A (ko) 인터락 커넥터조립체
KR20100013632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001181U (ko) 차량용박스
KR20210084146A (ko) 커넥터 조립체
KR20130022229A (ko) 커넥터조립체
WO2014111133A1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151656B2 (ja) ハーネスコネクタの破壊防止構造
TWM593087U (zh) 連接器
KR101613695B1 (ko) 커넥터조립체
KR101376333B1 (ko) 커넥터
KR20100070833A (ko) 커넥터
KR200469556Y1 (ko) 개선된 커넥터 소켓 잠금 구조
KR20130006956U (ko) 커넥터
JP2574800Y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200471776Y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KR101879819B1 (ko) 커넥터
KR20130042161A (ko) 스페이서를 구비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