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447A -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447A
KR20130067447A KR1020110134811A KR20110134811A KR20130067447A KR 20130067447 A KR20130067447 A KR 20130067447A KR 1020110134811 A KR1020110134811 A KR 1020110134811A KR 20110134811 A KR20110134811 A KR 20110134811A KR 20130067447 A KR20130067447 A KR 20130067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illuminance
light emitting
ja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4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7447A/ko
Publication of KR20130067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3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3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 E05F2015/434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with cameras or optical sensors
    • E05F2015/435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with cameras or optical sensors by interruption of the bea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52Safety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wing motor
    • E05Y2400/53Wing impact prevention or reduction
    • E05Y2400/54Obstruction or resista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가 닫힌상태에서 차폐면을 따라 형성된 터널형태의 감지홀 내에 발광소자를 설치하고 다수개의 조도센서를 통해 조도를 측정하여 도어끼임을 감지함으로써 작은 이물질이라도 감지할 수 있어 저렴한 센서를 활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WEDGE OF CLOTHES ON DOO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가 닫힌상태에서 차폐면을 따라 형성된 터널형태의 감지홀 내에서 발광소자의 조도를 감지함으로써 도어끼임을 감지하는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치원, 보습학원, 예체능계학원 등과 같은 사설교육기관에서는 아이들의 등, 하교시 편의를 위하여 차량을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차량을 이용할 때 부주의로 인해 가방이나 옷자락 등의 이물질이 끼인 상태에서 도어를 닫고 주행할 경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도어를 개방할 경우 추락할 위험이 있으며, 이물질이 끼인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될 경우 이물질로 인해 걸려 넘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이렇게 도어끼임이 발생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어가 개폐되는 부위에 레이저센서를 설치하고 도어의 차폐시 도어에 이물질이 끼었는가 검출하여 경고함으로써 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5-0006864호(2005.01.17.) "승합차량의 도어끼임 검출장치 및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이렇게 도어끼임을 감지하기 위해 레이저센서를 통해 송수신하여 감지할 경우 감지영역을 벗어나서 도어끼임이 이루어질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없어 모든 위치에서의 검출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차량의 도어가 닫힌상태에서 차폐면을 따라 형성된 터널형태의 감지홀 내에서 발광소자의 조도를 감지함으로써 도어끼임을 감지하는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는 도어의 차폐면을 따라 형성된 감지홀 내에 구비된 발광소자; 도어의 차폐시 감지홀 내에서 발광소자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조도센서;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 도어의 개폐상태를 판단하여 발광소자를 작동시켜 다수개의 조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조도변화를 통해 도어끼임을 감지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도어끼임을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가 닫힌상태에서 차폐면을 따라 형성된 터널형태의 감지홀 내에 발광소자를 설치하고 다수개의 조도센서를 통해 조도를 측정하여 도어끼임을 감지함으로써 작은 이물질이라도 감지할 수 있어 저렴한 센서를 활용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에 의한 감지홀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에서 수직 감지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에서 수평 감지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에 의한 감지홀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에서 수직 감지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에서 수평 감지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는 발광소자(40), 조도센서(50), 차속센서(10), 도어감지부(20), 제어부(30) 및 경고부(60)를 포함한다.
발광소자(40)는 도어의 차폐면(25)을 따라 터널형태로 형성된 감지홀(35) 내에 구비되며, LED를 채용할 수 있다.
조도센서(50)는 도어의 차폐시 감지홀(35) 내에 다수개 설치되어 발광소자(40)에서 조사된 빛의 조도를 감지한다.
즉,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감지방식인 경우 발광소자(40)는 감지홀(35)을 따라 일측에 구비되어 감지홀(35) 내로 빛을 조사하고, 조도센서(50)는 감지홀(35) 내에서 일측에서 조사된 빛의 조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수직 감지방식의 작동을 설명하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끼임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일측에 배치된 발광소자(4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감지홀(35)을 따라 진행함으로써 다수의 조도센서(50)를 통해 일정하게 조도값이 측정된다.
그러나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끈이나 옷자락의 이물질(70)이 도어에 끼여 도어끼임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발광소자(4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이물질(70)에 의해 진행이 차단되거나 감소되어 다수의 조도센서(50)를 통해 측정되는 조도값이 서로 상이할 뿐만 아니라 정상값 이하의 값이 측정된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감지방식인 경우 발광소자(40)는 감지홀(35)의 임의의 지점에 배치되어 차폐시 반대면으로 빛을 조사하고, 조도센서는 반대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조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발광소자(40)와 나란하게 감지홀(35) 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수평 감지방식의 작동을 설명하면,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끼임이 발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발광소자(4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차폐면(25)에 반사되어 감지홀(35)을 따라 진행함으로써 다수의 조도센서(50)를 통해 일정하게 조도값이 측정된다. 이때 차폐면(25)에 반사체(55)를 부가하여 반사율을 높일 수도 있다.
그러나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끈이나 옷자락의 이물질(70)이 도어에 끼여 도어끼임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발광소자(40)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차폐면(25)에 반사된 후 이물질에 의해 진행이 차단되거나 감소되어 다수의 조도센서(50)를 통해 측정되는 조도값이 서로 상이할 뿐만 아니라 정상값 이하의 값이 측정된다.
이와 같이 수직 감지방식과 수평 감지방식은 차량의 도어 모양에 따라 승합차와 같이 도어의 모양이 수직에 가까워 차폐면이 직선 구조일 경우에는 수직 감지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승용차와 같이 도어의 모양이 곡선으로 차폐면이 직선이 아닐 경우에는 수평 감지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차속센서(10)는 차량의 출발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차량의 속도를 감지한다.
도어감지부(20)는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한다.
제어부(30)는 도어의 개폐상태와 차량의 속도를 기반으로 발광소자(40)와 조도센서(50)를 작동시킨다.
즉, 도어가 열려있던 상태에서 닫히고, 차량이 출발할 경우 발광소자(40)와 조도센서(50)를 작동시켜 도어끼임이 발생했는지 감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끼임이 발생했는지 감지하기 위해 도어의 개폐상태 및 차량의 속도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어의 닫힘상태만을 감지하여 도어끼임의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감지되지 않을 경우 발광소자(40) 및 조도센서(50)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조도센서(50)에서 측정되는 조도값이 정상값 이하로 감지될 경우 도어끼임에 의한 빛의 차단으로 판단한다.
경고부(60)는 제어부(30)의 감지결과에 따라 도어끼임을 경고하여 운전자에게 도어끼임에 대해 해제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가 도어감지부(20)로부터 도어의 개폐상태를 입력받는다(S10). 이후 제어부(30)는 도어 개폐상태에 따라 도어가 닫힌 상태인가 판단한다(S20).
이때 도어의 개폐상태 뿐만 아니라 차속센서(10)를 통해 차량의 속도를 입력받아 차량의 출발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어가 닫힌 상태일 경우 발광소자(40)를 작동시켜 조도센서(50)로부터 조도값을 입력받는다(S30).
그러나 도어가 열린 상태일 경우에는 초기화시켜 경고가 발생되는 상태라면 해제한다(S30).
발광소자(40)를 작동시킨 후 조도센서(50)로부터 입력된 조도값이 설정값 미만인 경우 경고부(60)를 작동시켜 운전자에게 경고한다(S50)(S60).
이렇게 경고부(60)를 작동시킨 후에는 도어의 개폐상태를 다시 입력받는 단계(S10)로 리턴되어 도어의 개폐상태를 판단하여 도어가 개방된 상태일 경우에는 초기화시켜 경고를 해제시킨다(S20)(S30).
그러나, 조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조도값이 설정값 이상일 경우에는 발광소자(40) 및 조도센서(5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S7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 장치에 따르면, 도어의 차폐면을 따라 형성된 터털형태의 감지홀내에 구비된 발광소자의 조도를 측정하여 도어끼임을 감지함으로써 넓은 영역에서의 작은 이물질에 의한 도어끼임도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차속센서 20 : 도어감지부
25 : 차폐면 30 : 제어부
35 : 감지홀 40 : 발광소자
50 : 조도센서 60 : 경고부

Claims (1)

  1. 도어의 차폐면을 따라 형성된 감지홀 내에 구비된 발광소자;
    상기 도어의 차폐시 상기 감지홀 내에서 상기 발광소자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개의 조도센서;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감지하는 도어감지부;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발광소자를 작동시켜 상기 다수개의 조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조도변화를 통해 도어끼임을 감지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도어끼임을 경고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
KR1020110134811A 2011-12-14 2011-12-14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 KR201300674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811A KR20130067447A (ko) 2011-12-14 2011-12-14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811A KR20130067447A (ko) 2011-12-14 2011-12-14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447A true KR20130067447A (ko) 2013-06-24

Family

ID=4886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811A KR20130067447A (ko) 2011-12-14 2011-12-14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74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0697B2 (en) 2015-12-03 2017-12-26 Korea Electrical Power Corporation Safety power window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50697B2 (en) 2015-12-03 2017-12-26 Korea Electrical Power Corporation Safety power window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6115543A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WO2009075015A1 (ja)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方法
JP2016500818A5 (ko)
MX2015001229A (es) Dispositivo de deteccion de objetos tridimensionales, metodo de deteccion de objetos tridimensionales.
JP5899553B1 (ja) 容器に収容された卵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RU2017102886A (ru) Переключение между камерами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NO20083289L (no) Fyllmaler for pulvermaterial, samt fremgangsmate for a registrere fyllniva i en lagringsenhet
ATE461112T1 (de) Verpackungssystem und verfahren zur erfassung von geschlossenen behältern
DE602007003144D1 (de) Warnleuchtesystem und Warnleuchteverfahren für fahrzeug
JP2015209154A (ja) 車載警報装置
JP2009234435A (ja) 車両用安全装置
WO2010031565A3 (de) Bedien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dienvorrichtung mit verbesserter annäherungserfassung
HK1109384A1 (en) Device for the detection of foreign objects, and particularly fingers, between the doors and the contiguous walls of an elevator car with glass doors, and elevator equipped therewith
MX2017010725A (es) Sistema de control posterior al impacto.
JP2018151911A5 (ko)
KR20130067447A (ko) 차량의 도어끼임 감지장치
RU2016121630A (ru) Строящая карту дальностей камера для внутренней стороны двери
JP6346753B2 (ja) 包装体検査装置
DE502006007640D1 (de) Vorrichtung zur erfassung von umgebungs- und vorfeldlicht in einem kraftfahrzeug
CN102602759B (zh) 一种电梯曳引绳安全隐患自动检测方法及装置
KR100520356B1 (ko) 승합차량의 도어끼임 검출장치 및 방법
JP2018030468A5 (ko)
JP2007131389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GB2526036A (en) A security document and a method of detecting the edge of a security document
JP201511465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