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7236A - 선택 가능한 피봇면을 갖는 단일면 뼈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선택 가능한 피봇면을 갖는 단일면 뼈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7236A
KR20130067236A KR1020120144547A KR20120144547A KR20130067236A KR 20130067236 A KR20130067236 A KR 20130067236A KR 1020120144547 A KR1020120144547 A KR 1020120144547A KR 20120144547 A KR20120144547 A KR 20120144547A KR 20130067236 A KR20130067236 A KR 20130067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one fixation
hole
guide member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쯔 비이더만
빌프리트 맷티스
Original Assignee
비이더만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이더만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 코. 카게 filed Critical 비이더만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30067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7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5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5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 A61B17/7038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to a different extent in different directions, e.g. within one plane on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7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with a frangible part, e.g. by reduced diame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봉(7)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5, 51)로서, 종축선(C), 상기 종축선과 동축상태인 제 1 구멍(51) 및 제 2 구멍(52)을 갖는 수용부(5, 51)와, 뼈 속에 삽입하기 위한 제 1 단부(2) 및 상기 제 2 구멍 내에 위치하며 헤드(3, 3', 3")를 포함하는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종축선을 중심으로 단일면상의 제한된 각도 범위로 상기 수용부(5, 5')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고착 요소(1)와, 상기 제 1 구멍(51)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착 요소의 헤드(3, 3', 3")를 안내하는데, 끼워맞춤 접속이 상기 고착 요소의 단일면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된 안내 부재(4, 4', 4", 400)와, 상기 안내 부재의 회전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안내 부재(4, 41, 4", 400)에 작용하는 제 1 록킹 요소(8) 및 상기 헤드(3, 3")를 고정하도록 상기 헤드에 작용하는 제 2 록킹 요소(9)를 포함하는 록킹 장치(10)를 포함하는 뼈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선택 가능한 피봇면을 갖는 단일면 뼈 고정 장치{Monoplanar Bone Anchoring Device with Selectable Pivot Plane}
본 발명은 뼈 고정 장치, 특히 선택 가능한 피봇면을 갖는 단일면 뼈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뼈 고정 장치는, 봉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뼈 속이나 척추뼈 속에 삽입하기 위한 제 1 단부 및 헤드를 포함하는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종축선을 중심으로 단일면상의 제한된 각도 범위로 상기 수용부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고착 요소를 포함한다. 이 뼈 고정 장치는 제 1 구멍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안내 부재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안내 부재와 상기 고착 요소 사이의 끼워맞춤 접속이 상기 단일면에서의 고착 요소의 움직임을 제한하며, 상기 단일면은 상기 안내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상기 피봇면의 배향은 상기 안내 부재에 작용하는 제 1 록킹 요소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뼈 고정 요소의 각도 위치는 역시 봉을 고정시키는 제 2 록킹 요소에 의해 록크된다.
특허문헌 1은 봉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수용부의 종축선을 중심으로 단일면상의 한정된 각도 범위로 수용부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고착 요소를 포함하는 뼈 고정 장치를 설명한다.
특허문헌 2는 고착부와 봉수용부 같은 헤드부를 포함하며, 헤드부는 고착부와 헤드부 사이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뼈 나사(bone screw) 조립체를 설명한다. 고착부는 헤드부에 대하여 축선을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소정 방향으로 피봇 동작할 수 있다. 제한 부재는 고착부가 헤드부 및/또는 헤드부에 수용된 척추 고정 요소에 대하여 다른 축선을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다른 방향으로 피봇 동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한 부재는 또한 뼈 나사 조립체에 연결된 척추봉을 안착시키기 위한 압축 부재 및/또는 봉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전술한 뼈 고정 장치들은 전부 봉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정해진 위치를 갖는데, 여기서 섕크(shank)는 단일면에서 피봇 동작할 수 있다.
특허문헌 3은 척추뼈 상의 인간 척추를 조정하기 위한 장치의 봉을 조이기 위한 고착 요소를 설명하는데, 이는 봉을 수용하기 위한 리테이너(retainer), 상기 리테이너에 부착할 수 있으며 봉에 대하여 작용하는 고정 요소, 추골체(vertebral body)에 부착하기 위한 조임 요소 및 리테이너와 조임 요소 사이의 클램핑 장치를 가지며, 상기 조임 요소는 링형상의 마운트, 부분적으로 구형인 베어링 및 마운트에 매립되어 베어링을 둘러싸는 중간 요소를 포함한다. 베어링은 양측면에 레벨 안내면을 포함한다. 중간 요소는 서로 짝을 이루는 표면을 갖는데, 이 표면들은 리테이너가 조임 요소에 대해서만 일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한다.
US 7,749,258 B2 US 7,951,172 B2 US 7,766,944 B2
본 발명의 목적은 응용분야가 다양하게 넓으며 편안한 취급을 가능하게 하는 개량된 뼈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뼈 고정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추가의 발전형태는 종속항에 주어져 있다.
이 뼈 고정 장치에 의해, 단일 피봇면의 위치가 종축선을 중심으로 0 - 360도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면이 봉 축선을 포함하는지 또는 예를 들어 봉 축선에 수직인지 또는 봉 축선에 대하여 임의의 다른 각도를 포함하는지에 관계없이 선택될 수 있다. 단일면은 뼈 나사에 대하여 수용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일단 피봇면이 고정되면, 뼈 고정 요소는 그 면에서만 수용부에 대하여 피봇 동작할 수 있다.
안내 부재 및 뼈 고정 요소는 독립적으로 록크될 수 있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택된 피봇면에서의 뼈 고정 요소의 피봇 각도는 수용부의 종축에 대하여 타측에 비하여 일측에서 커진다. 이에 의해 측방향 질량 고정의 용도, 예를 들어 경추에 특히 적합한 뼈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추가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한 실시형태들의 설명으로 명백하여질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뼈 고정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조립 상태의 도 1의 뼈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뼈 고정 장치를 봉 축선에 수직하게 취한 단면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뼈 고정 장치의 수용부를 봉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의 종축선에 수직하게 취한 단면도.
도 5는 뼈 고정 요소의 측면도.
도 6은 뼈 고정 요소의 평면도.
도 7은 뼈 고정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안내 부재의 사시도.
도 8은 안내 부재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선 A-A를 따라서 취한 안내 부재의 단면도.
도 10은 뼈 고정 장치의 가압 부재의 사시도.
도 11은 가압 부재의 다른 사시도.
도 12는 가압 부재의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선 B-B를 따라서 취한 가압 부재의 단면도.
도 14는 변형 안내 부재를 구비한 뼈 고정 요소의 사시도.
도 15는 변형 안내 부재의 사시도.
도 16은 뼈 고정 요소와 다른 변형 안내 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안내 부재의 중심축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18은 뼈 고정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의 분해사시도.
도 19는 뼈 고정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0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뼈 고정 장치를 봉 축선에 수직하게 취한 단면도.
도 21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뼈 고정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2는 조립 상태의 도 21의 뼈 고정 장치의 사시도.
도 23은 도 21의 뼈 고정 장치의 시트 부재의 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시트 부재를 도 23의 선 C-C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25는 도 22에 따른 뼈 고정 장치를 봉 축선에 수직하게 취한 단면도.
도 26은 도 22의 뼈 고정 장치를 봉 축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27은 봉을 뼈 고정 장치에 장착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봉 축선에 수직하게 취한 단면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한 봉을 장착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9는 제 3 실시형태의 뼈 고정 장치의 피봇면을 록크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봉 축선에 수직하게 취한 단면도.
도 30은 도 29의 피봇면을 록크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뼈 고정 장치는 나사부를 구비한 섕크(2) 및 헤드(3)를 갖는 뼈 나사(bone screw) 형태의 뼈 고정 요소(1)를 포함한다. 헤드(3)는 수용부(5) 속에 마련된 안내 부재(4) 속에서 안내된다. 수용부(5)는 뼈 고정 요소를 안정화봉(7)에 연결한다. 안내 부재(4)와 안정화봉(7) 사이에는 가압 부재(6)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안내 부재(4)를 고정하기 위한 제 1 록킹 요소(8)와 안정화봉(7)을 고정하고 헤드(30)를 록크하기 위한 제 2 록킹 요소(9)를 포함하는 록킹 장치(10)가 제공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뼈 고정 요소의 헤드(3)는 실질적으로 구의 최대직경을 포함한 구의 절편 형상이 되는데, 이 절편은 그 회전 축선이 섕크 축선(S)에 수직하도록 배향된다. 따라서, 이 헤드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섕크 축선(S) 및 구형부(3c)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두 개의 양측 평면(3a, 3b)을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부(5)는 제 1 단부(5a) 및 반대측의 제 2 단부(5b)를 갖는다. 제 1 구멍(51)은 제 1 단부(5a)로부터 제 2 단부(5b)에서 일정 거리 지점까지 연장된다. 제 1 구멍(51)은 제 1 단부(5a) 및 제 2 단부(5b)를 통해 연장되는 대칭축선(C)을 규정한다. 제 2 단부(5b)에는 제 1 구멍(5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 2 구멍(52)이 있다. 제 2 구멍(52)은 제 1 구멍(51)과 연통되어 있다. 제 1 단부(5a)에 인접해서는 실질적인 U 형상의 오목부(53)가 제공되는데, 이는 안정화봉(7)을 수용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한다. 오목부(53)에 의해 두 개의 자유 다리가 형성되는데, 이는 제 1 록킹 요소(8)와 상호 작용하는 내측 나사(54)를 구비한다. 도시한 실시형태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용부(5)는 연장형 다리를 가짐과 함께 제 1 단부와 소정의 파단점(55) 사이의 부분을 파단할 수 있게 하는 소정의 파단점(55)을 제 1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에 포함하는 긴머리형의 뼈 고정 장치에 대한 수용부로서 작용한다. 이런 긴머리형 수용부는 예를 들어 침습적 수술(invasive surgery)을 최소로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수용부(5)는 또한 긴머리가 없이도 설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 1 단부(5a)는 대략 소정의 파단점(55)에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 및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부재(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구멍 속에 도입될 수 있게 하고 제 1 구멍(51)과 제 2 구멍(52) 사이의 전이부에 놓이는 외경을 갖는 실질적인 원통부다. 안내 부재(4)는 제 1 단부(4a) 및 반대측의 제 2 단부(4b)와 안내부재를 통해 제 1 단부(4a)로부터 제 2 단부(4b)까지 연장되는 실질적인 사각형 오목부(41)를 포함한다. 오목부(41)는 기다란 측벽(41a, 41b)을 갖는데, 이 측벽은 헤드(3)의 구형부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큰 길이를 갖는다. 짧은 측벽(41c, 41d)은 서로 반대측의 평면(3a, 3b) 사이의 헤드(3)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약간 큰 폭을 갖는다. 따라서, 헤드(3)는 오목부(41) 속에 끼워진다. 헤드가 오목부 속에 삽입되었을 때, 오목부의 긴 측벽은 헤드의 평면을 따라서 연장된다. 긴 측벽(41a, 41b)의 실질적인 중심에는 서로 반대측의 두 개의 원통형 또는 굴곡형 오목부(42a, 42b)가 마련될 수 있는데, 이 오목부는 원통형 안내 부재(4)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므로 헤드(3)가 삽입되었을 때 헤드(3)와 안내 부재(4) 사이에 공간이 생긴다. 이에 따라서 헤드(3)의 평면(3a, 3b)과 맞물려서 뼈 고정 요소(1)를 회전시키는 공구와 맞물릴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부재(4)의 높이는 헤드(3)가 삽입되었을 때 헤드(3)의 일부가 안내 부재(4)의 제 1 단부(4a)로부터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가압 부재(6)는 제 1 단부(6a) 및 반대측의 제 2 단부(6b)를 갖는 실질적인 원통부다. 가압 부재(6)의 사이즈는 가압 부재(6)가 수용부(5) 속에 삽입되어 그 속에서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1 단부(6a)는 수용부의 제 1 단부(5a)와 대향하며, 제 2 단부(6b)는 안내 부재(4)와 대향한다. 제 1 단부(6a)에 인접하게 실질적인 U형상 오목부(61)가 마련되는데 이는 안정화봉(7)이 오목부(61)의 바닥상에 놓여질 때 제 1 단부(6a)가 안정화봉 표면 위의 위치에서 끝나게 되는 깊이를 갖는다. 도 3 및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단부(6a)는 가압 부재의 높이가 외주쪽으로 약간 감소하도록 경사를 갖는 경사면을 갖는다. 오목부(61)의 바닥으로부터 제 2 단부(6b)까지 통공(62)이 연장된다. 통공(62)의 직경은 안정화봉의 직경보다 작다. 게다가 특히 도 12 및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외측으로 굽어진 두 개의 반대측면(63a, 63b)을 갖는 실질적인 사각형 오목부(63)가 U형상 오목부(61)의 바닥에 마련되는데, 여기서 사각형의 장측변은 안정화봉 축선을 따라서 배향된다. 실질적인 사각형 오목부(63)의 길이는 통공(62)의 직경보다 크다. 이에 의해, 안정화봉(7)의 일부가 오목부(63) 속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단부(6b)에는 구멍(65)이 마련되는데, 이는 뼈 고정 장치가 조립되었을 때 헤드(3)의 일부가 구멍(65) 속으로 연장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안정화봉(7)은 그 하측면이 헤드(3) 위로 직접 가압한다. 가압 부재(6)는 뼈 고정 요소의 헤드(3)와 접촉하지 않고서 그 제 2 단부(6b)가 안내 부재(4) 위에 직접 작용한다.
가압 부재(6)는 또한 제 2 록킹 요소(9)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제 1 단부(6a)에서 동축 형상 오목부(64)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록킹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록킹 장치(10)의 제 1 록킹 요소(8)는 제 1 단부(8a)와 수용부의 내부 나사(54)와 상호 작용하는 외부 나사를 갖는 반대측의 제 2 단부(8b)를 구비한 나사다. 나사는 수용부(5)의 채널에 의해 형성된 다리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나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런 나사 형태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나사가 될 수 있다. 제 1 단부(8a)에는 스크류드라이버와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록킹 요소의 제 2 단부(8b)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가압 부재(6)의 제 1 단부(6a)의 경사부에 대응하여 경사질 수 있다. 제 1 록킹 요소(8)는 제 2 록킹 요소(9)를 수용하기 위한 나사 통공을 더 포함한다. 이 나사 형태는 예를 들어 계량 나사 같은 어떤 나사 형태도 될 수 있다. 제 2 록킹 요소(9)는 제 1 단부(9a) 및 제 2 단부(9b)를 갖는 세트 스크류로서 도시되어 있다. 제 2 단부(9b)는 안정화봉(9) 상에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록킹 장치(10)의 사이즈는 제 1 록킹 요소(8)와 제 2 록킹 요소(9)가 조여졌을 때 제 1 록킹 요소(8) 및 제 2 록킹 요소(9)가 수용부(5)의 소정의 파단점(55) 위로 실질적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립 상태에서, 제 1 록킹 요소(8)는 가압 부재(6)에만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압 부재(6)는 안내 부재(4)에만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록킹 요소(9)는 가압 부재(6)에 마련된 동축 상태의 오목부(64) 속에 제 2 단부(9b)가 연장된다. 이에 의해, 제 2 록킹 요소(9)는 가압 부재(6)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가압 부재(6)는 일직선상에 정렬된 위치에 배치되는데, 여기서 실질적인 V 형상의 오목부(61)는 수용부의 실질적인 U 형상 오목부(53)와 일직선상에 정렬된다. 가압 부재(6)는 예를 들어 크림핑에 의해 이 위치에 임시로 유지될 수 있다.
뼈 고정 장치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생체적합성 금속, 예를 들어 티타늄, 스텐레스 스틸 같은 생체적합성 재료, 니티놀 같은 생체적합성 합금, 또는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같은 생체적합성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다.
사용중에 뼈 고정 장치는 미리 조립되어 안내 부재(4)를 구비한 뼈 고정 요소(1)가 수용부(5) 속에 유지되고 가압 부재(6)가 삽입되어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의 평면(31, 3b)을 공구로 물림에 의해 뼈 고정 요소가 뼈 속이나 척추뼈 속에 나사 결합된다. 헤드(3)는 끼워맞춤 방식으로 안내 부재(4)에 연결되기 때문에, 안내 부재(4)는 나사 삽입 동작중에 회전한다. 안내 부재(4)를 회전시킴으로써, 뼈 고정 요소가 수용부에 대하여 피봇 동작할 수 있는 면이 규정된다. 가압 부재(6)가 크림핑에 의해 예비 위치에 유지되어 가압 부재가 수용부(5)와 안내 부재(4) 사이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는 안내 부재(4)에 가압력을 작용하는 경우, 피봇면을 규정하는 수용부(5)에 대한 안내 부재(4)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뼈 고정 장치가 뼈 속이나 인접 척추뼈 속에 삽입된 후, 수용부(5)들은 안내 부재(4)의 위치에 의해 규정된 단일면에서 피봇 동작하므로 안정화봉(7)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직선상에 배열된다. 그 후, 록킹 장치(10)가 삽입된다. 제 1 록킹 요소(8)를 조여줌으로써, 압력이 가압 부재의 제 1 단부에 작용하여 가압 부재(6)가 안내 부재(4)쪽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뼈 고정 요소(1)에 대한 피봇면이 고정된다. 그리고 제 2 록킹 요소(9)는 그 제 2 단부(9b)가 안정화봉(7)을 가압하여, 결국 피봇면에서의 뼈 고정 요소(1)의 각도 위치가 록크될 때까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3)를 가압할 때까지 조여진다. 제 2 록킹 요소를 풀어줌으로써 피봇면의 배향이 고정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안정화봉의 추가의 조정 및 피봇면에서의 뼈 고정 요소의 각도 위치의 추가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의 변형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축선이 나사 축선에 수직한 상태의 구형부(3d) 및 중앙원통부(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헤드(3')의 상호 작용에 의해 단일 피봇면이 규정될 수 있다. 헤드(3')는 대응 구형부(43) 및 대응 원통부(44)와 헤드(3')의 일부가 통과하게 하는 오목부(4a')를 갖는 안내 부재(4')와 상호 작용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또 다른 변형형태에서, 헤드(3")는 제 1 실시형태에서보다 작은 두 개의 반대측 평면(3a', 3b')을 갖는다. 안내 부재(4")는 두 개의 구멍(45a, 45b)을 갖는 실질적인 원통형 링인데, 이 구멍은 핀(46)을 수용하기 위해 링의 양측에 마련되어 있다. 링의 내부에는 중앙공(48)을 갖는 실질적인 돔형상 표면(47)을 갖는다. 핀(46)이 구멍(45a, 45b) 속에 각각 삽입되었을 때, 이 핀들은 안내 부재(4") 내에서의 나사 헤드(3")의 회전을 제한하여 뼈 고정 요소가 단일면에서만 피봇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도 18 내지 도 20은 뼈 고정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보여준다. 이는 수용부의 설계만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뼈 고정 장치와 다르다. 그 외의 모든 부품이나 부분들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이 뼈 고정 장치는 피봇면에 대한 우선적인 배향을 갖는다.
수용부(5')는 그 제 2 단부(5b)에서 카운터싱크 부위(56)를 갖는데, 이는 피봇면이 카운트싱크 부위(56)를 통해 연장하도록 배향되었을 때 뼈 고정 요소(1)가 보다 큰 각도로 피봇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 2 단부(5b)는 단일 피봇면에서 비대칭인 제 2 구멍(52)의 경계를 규정하는 엣지를 형성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뼈 고정 요소가 카운트싱크 부위(56) 속으로 피봇 동작할 때, 최대 피봇 각도는 카운터싱크 부위(56)의 반대 방향에서보다 크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뼈 고정 장치는 안내 부재(4)의 사각형 오목부(41)가 카운터싱크 부위(56)와 일직선상에 정렬되지 않았을 때 특정 위치에서의 피봇 각도의 확대 없이 뼈 고정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봇면이 카운터싱크 부위(56)와 일직선상에 정렬되었을 때 피봇 각도가 확대된 뼈 고정 장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뼈 고정 장치는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뼈 고정 요소와 안내 부재는 도 14 내지 도 17에 따른 뼈 고정 요소 및 안내 부재로서 설계될 수도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뼈 고정 장치의 제 3 실시형태가 설명될 것이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뼈 고정 장치는 안내 부재와 추가의 시트 부재에 의해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뼈 고정 장치와는 다르다. 그 외의 모든 부분들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을 것이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안내 부재(400)는 안내 부재(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축방향으로 더 작은 높이를 갖는다.
시트 부재(140)가 마련되는데, 이는 제 1 단부(140a) 및 제 2 단부(140b)와 제 1 단부(140a)에 인접한 실질적인 중공의 원통부(141)를 갖는다. 중공 원통부(141)는 제 1 구멍의 내경보다 약간만 작은 외경을 가지므로, 제 1 부분(141)은 제 1 구멍(51)과 제 2 구멍(52) 사이의 전이부에 놓일 수 있다. 제 1 부분의 내경은 헤드(3)의 최대 직경보다 작다. 시트 부재(140)는 헤드(3)용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실질적인 구형 내측면(143)을 갖는 제 2 부분(142)을 더 포함한다. 외측면은 역시 구형이지만, 다른 형상도 가질 수 있다. 제 2 부분의 사이즈는 제 2 부분(143)이 제 2 구멍(52)을 통해 적어도 일부 연장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부분(142)은 수용부(5)의 제 2 단부(5b)에 의해 규정되는 면에 대하여 경사진 제 2 단부(140b)를 형성하는 경사진 하측 엣지를 갖는다. 시트 부재(140)가 수용부 속에 삽입되었을 때, 제 2 단부(140b)는 제 2 구멍(52)의 경계를 정하는 엣지를 형성한다. 경하진 하측 엣지에 의해 규정되는 개구는 헤드(3)의 직경보다는 작고 섕크(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제 1 부분(141)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는 헤드(3)의 구형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엣지 부위의 오목부(144)가 구비된다. 따라서 헤드(3)는 오목부(144) 속으로 연장되어 최대 피봇각도를 더 확대시킬 수 있다. 시트 부재의 오목부(144)는 또한 헤드(3)에 끼워 맞추어지는 형태를 제공한다.
시트 부재(140)가 수용부 속에 삽입되었을 때, 제 2 부분(142)은 제 2 구멍(52)을 통해 연장된다. 뼈 고정 요소(1)가 안내 부재(400)에 연결된 시트 부재(140) 속에 유지되어 있을 때, 시트 부재(140)와 안내 부재(400)는 수용부(5)에 대하여 뼈 고정 요소(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시트 부재(140)는 제 2 구멍(52)의 경계를 정하는 엣지를 규정하는데, 이 제 2 구멍은 뼈 고정 요소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축선(C)에 대하여 엣지의 다른 위치보다 오목부(144)가 위치하는 제 1 위치에서 큰 각도로 피봇 동작할 수 있도록 비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3)의 평면(3a, 3b) 때문에 뼈 고정 요소는 단일면에서만 피봇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단일면은 뼈 고정 요소, 안내 부재(400) 및 시트 부재(140)를 수용부(5)에 대하여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뼈 고정 장치의 사용 단계가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되어 있다.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피봇면의 배향은 고착 요소를 안내 부재(400)와 시트 부재와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뼈 고정 요소는 뼈 속에 삽입되었지만 안정화봉(7)은 아직 삽입되지 않았을 때 선택된다. 그리고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정화봉의 삽입 후에 제 1 록킹 요소(8)가 조여져서 가압 부재(6) 상에 작용하여 결국 안내 부재(400) 및 시트 부재(140)에 작용하여 단일 피봇면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뼈 고정 요소는 타측에 비하여 오목부(144)를 포함하는 일측에서 더 큰 최대 피봇각도로 단일면에서 피봇 동작할 수 있다. 제 2 록킹 요소(9)를 조임으로써, 헤드(3)와 전체 조립체가 록크된다.
제 3 실시형태에 대한 변형형태도 가능하다.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한 예에서처럼 나사 헤드 및 안내 부재의 설계가 변형될 수 있다. 뼈 고정 요소의 단일면에서의 피봇 동작을 제한하는, 뼈 고정 요소의 헤드와 안내 부재 사이의 어떠한 접속도 가능하다. 특히, 이런 제한은 헤드와 안내 부재 사이의 끼워맞춤 형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압 부재(6)는 생략될 수 있다. 가압 부재 대신에, 록킹 장치는 안내 부재에 직접 작용하도록 변형되어야 한다.
나사 헤드는 공구와 맞물리도록 추가의 맞물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피봇면 배향의 선택은 특정 공구를 사용하여 나사를 삽입하기 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4)

  1. 뼈 고정 장치에 있어서,
    봉(7)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5, 51)로서, 종축선(C), 상기 종축선과 동축상태인 제 1 구멍(51) 및 제 2 구멍(52)을 갖는 수용부(5, 51)와,
    뼈 속에 삽입하기 위한 제 1 단부(2) 및 상기 제 2 구멍 내에 위치하며 헤드(3, 3', 3")를 포함하는 제 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종축선을 중심으로 단일면 상의 제한된 각도 범위로 상기 수용부(5, 5')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는 고착 요소(1)와,
    상기 제 1 구멍(51)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고착 요소의 헤드(3, 3', 3")를 안내하는데, 끼워맞춤 접속이 상기 고착 요소의 단일면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된 안내 부재(4, 4', 4", 400)와,
    상기 안내 부재의 회전 위치를 고정하도록 상기 안내 부재(4, 41, 4", 400)에 작용하는 제 1 록킹 요소(8) 및 상기 헤드(3, 3")를 고정하도록 상기 헤드에 작용하는 제 2 록킹 요소(9)를 포함하는 록킹 장치(10)를 포함하는, 뼈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5, 5')는 상기 봉(7)이 삽입할 수 있도록 두 개의 개방 다리(leg)를 형성하는 U형 오목부(53)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 다리에는 내부 나사(54)가 마련되는, 뼈 고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록킹 요소(8)는 상기 다리의 내부 나사(54)와 상호 작용하는 외부 나사를 포함하고, 동축상태의 나사 구멍(51)을 더 포함하며, 제 2 록킹 요소(9)는 상기 나사 구멍과 상호 작용하는 부분을 갖는, 뼈 고정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을 지지하는 형상의 오목부(61)를 가지며, 상기 안내 부재와 상기 록킹 장치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가압 요소(6)를 더 포함하는, 뼈 고정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요소(6)는 상기 안내 부재(4', 4", 400)에는 압력을 가하지만 상기 헤드(3)에는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뼈 고정 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요소(6)는 실질적인 원통이며, 상기 록킹 장치(10)와 대향하는 제 1 단부(6a) 및 상기 헤드(30)와 대향하는 제 2 단부(6b)를 가지며, 상기 헤드(3, 3', 3")의 일부를 가압 요소와의 접촉 없이 수용하는 사이즈를 갖는 제 2 단부(6b)에 헤드(3', 3")용 오목부(63)가 마련되어 있는, 뼈 고정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요소(6)는 그 제 1 단부(6a)에 오목부(64)를 가지며, 상기 제 2 록킹 요소(9)는 상기 가압 부재와의 접촉 없이 상기 오목부(64) 속으로 연장될 수 있는, 뼈 고정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멍(52)의 경계를 규정하는 엣지(5b)는, 뼈 고정 요소(8)가 종축선에 대하여 엣지의 다른 위치에서보다 엣지의 제 1 위치에서 더 큰 각도로 피봇 동작할 수 있도록 비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는, 뼈 고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 2 구멍(52)의 경계를 규정하는 엣지(5b)에서 카운터성크 부위(countersunk area)(56)를 갖는, 뼈 고정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시트 부재(140)가 제공되는데, 이는 상기 헤드용 시트(143)를 가지고 상기 수용부(5)에 조립 장착됨으로써, 상기 뼈 고정 요소가 상기 종축선에 대하여 엣지의 다른 위치에서보다 엣지의 제 1 위치에서 더 큰 각도로 피봇 동작할 수 있도록 비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 2 구멍(52)의 경계를 규정하는 엣지(140b)를 정할 수 있는, 뼈 고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140)는 록킹 전에 상기 제 2 구멍 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뼈 고정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 내의 헤드용 시트(143)는 구형인, 뼈 고정 장치.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부재(140)는 상기 헤드와 끼워맞춤 결합되도록 그 엣지(140b)에서 오목부(144)를 갖는, 뼈 고정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3, 3', 3")는 실질적인 구형 절편 형상(segment-shaped)인데, 상기 구의 회전축선은 상기 섕크(shank) 축선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뼈 고정 장치.
KR1020120144547A 2011-12-13 2012-12-12 선택 가능한 피봇면을 갖는 단일면 뼈 고정 장치 KR20130067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69915P 2011-12-13 2011-12-13
EP11193326.3 2011-12-13
US61/569,915 2011-12-13
EP11193326.3A EP2604204B1 (en) 2011-12-13 2011-12-13 Monoplanar bone anchoring device with selectable pivot pla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7236A true KR20130067236A (ko) 2013-06-21

Family

ID=4544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547A KR20130067236A (ko) 2011-12-13 2012-12-12 선택 가능한 피봇면을 갖는 단일면 뼈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192417B2 (ko)
EP (1) EP2604204B1 (ko)
JP (1) JP2013123645A (ko)
KR (1) KR20130067236A (ko)
CN (1) CN103156675A (ko)
ES (1) ES2526880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7522B2 (en) 2008-02-04 2011-08-30 Depuy Spine, Inc. Methods for correction of spinal deformities
US8986349B1 (en) * 2009-11-11 2015-03-24 Nuvasiv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rrecting spinal deformities
ES2436067T3 (es) * 2010-12-13 2013-12-26 Biedermann Technologies Gmbh & Co. Kg Dispositivo de anclaje para huesos
US11103286B2 (en) * 2011-07-15 2021-08-31 Globus Medical, Inc. Orthopedic fixation devices and methods of installation thereof
ES2418604T3 (es) * 2011-08-18 2013-08-14 Biedermann Technologies Gmbh & Co. Kg Dispositivo de anclaje óseo poliaxial
EP2939623A1 (en) 2011-10-27 2015-11-04 Biedermann Technologies GmbH & Co. KG High angulation polyaxial bone anchoring device
US9782204B2 (en) * 2012-09-28 2017-10-10 Medos International Sarl Bone anchor assemblies
US10342582B2 (en) 2013-03-14 2019-07-09 DePuy Synthes Products, Inc. Bone anchor assemblies and methods with improved locking
US9259247B2 (en) 2013-03-14 2016-02-16 Medos International Sarl Locking compression members for use with bone anchor assemblies and methods
DE102014117175A1 (de) 2014-11-24 2016-05-25 Aesculap Ag Pedikelschraubensystem und Wirbelsäulenstabilisierungssystem
DE102014117176A1 (de) 2014-11-24 2016-05-25 Aesculap Ag Pedikelschraubensystem und Wirbelsäulenstabilisierungssystem
CN104799931B (zh) * 2015-04-13 2017-07-07 李贵涛 窝臼轨链式复位固定动态椎弓根螺钉系统
CN104939902B (zh) * 2015-05-06 2017-05-31 山东威高骨科材料股份有限公司 单平面椎弓根螺钉
US9968378B1 (en) * 2015-07-22 2018-05-15 University Of South Florida Adaptation sphere saddle
US10610265B1 (en) 2017-07-31 2020-04-07 K2M, Inc. Polyaxial bone screw with increased ang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7969C1 (de) * 2001-11-27 2003-02-06 Biedermann Motech Gmbh Element mit einem Schaft und einem damit verbundenen Halteelement zum Verbinden mit einem Stab
CN1452942A (zh) * 2002-04-22 2003-11-05 英属维京群岛尚冠亚生技控股集团股份有限公司 椎间可调跨距辅钉固定装置
DE20207851U1 (de) 2002-05-21 2002-10-10 Metz Stavenhagen Peter Verankerungselement zur Befestigung eines Stabes einer Vorrichtung zum Einrichten einer menschlichen oder tierischen Wirbelsäule an einem Wirbelknochen
US8814911B2 (en) * 2003-06-18 2014-08-26 Roger P. Jackson Polyaxial bone screw with cam connection and lock and release insert
WO2005065397A2 (en) * 2003-12-30 2005-07-21 Depuy Spine Sarl Bone anchor assemblies
US7951172B2 (en) 2005-03-04 2011-05-31 Depuy Spine Sarl Constrained motion bone screw assembly
ES2313182T3 (es) 2005-10-12 2009-03-01 Biedermann Motech Gmbh Tormillo poliaxial pivotable en un solo plano.
US8075599B2 (en) * 2005-10-18 2011-12-13 Warsaw Orthopedic, Inc. Adjustable bone anchor assembly
US7722651B2 (en) * 2005-10-21 2010-05-25 Depuy Spine, Inc. Adjustable bone screw assembly
ES2318603T3 (es) * 2006-03-31 2009-05-01 Biedermann Motech Gmbh Sistema de fijacion para asegurar una varilla en una parte de recepcion destinado a usar en cirugia vertebral o traumatologica, dispositivo de anclaje oseo que comprende tal sistema de fijacion y herramienta asociada.
EP2322107B1 (en) * 2006-12-22 2014-06-04 Biedermann Technologies GmbH & Co. KG Bone anchoring device
EP2124776B1 (en) * 2007-01-12 2020-11-04 Lanx, Inc. Bone fastener assembly
US8002803B2 (en) 2007-06-05 2011-08-23 Spartek Medical, Inc. Deflection rod system for a spine implant including an inner rod and an outer shell and method
US8007522B2 (en) * 2008-02-04 2011-08-30 Depuy Spine, Inc. Methods for correction of spinal deformities
ES2392381T3 (es) * 2008-04-22 2012-12-10 Synthes Gmbh Elemento de fijación ósea con lengüetas de reducción
US8382805B2 (en) 2009-06-02 2013-02-26 Alphatec Spine, Inc. Bone screw assembly for limited angulation
US8647370B2 (en) 2010-01-15 2014-02-11 Ebi, Llc Uniplanar bone anch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43678A1 (en) 2016-05-26
EP2604204A1 (en) 2013-06-19
CN103156675A (zh) 2013-06-19
EP2604204B1 (en) 2014-10-01
US20130150904A1 (en) 2013-06-13
ES2526880T3 (es) 2015-01-16
JP2013123645A (ja) 2013-06-24
US9192417B2 (en)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7236A (ko) 선택 가능한 피봇면을 갖는 단일면 뼈 고정 장치
US11432850B2 (en) Polyaxial bone anchors with increased angulation
EP1842503B1 (en) Angled polyaxial bone anchoring device
US7731749B2 (en) Bone anchoring device
JP4994773B2 (ja) 骨固定装置
JP5877042B2 (ja) 多軸骨アンカー固定装置
TWI451857B (zh) 把桿件固定於骨骼或椎骨用之固定裝置
JP6073597B2 (ja) 拡大した回動角度を有する多軸骨アンカー固定装置
JP6076648B2 (ja) 多軸骨アンカー固定システム
US20080015597A1 (en) Large diameter bone anchor assembly
US20080015580A1 (en) Large diameter bone anchor assembly
KR20130073848A (ko) 다축 뼈 고정 장치
US20080015596A1 (en) Large diameter multiple piece bone anchor assembly
US20120165882A1 (en) Polyaxial bone anchoring device
KR20130029725A (ko) 확대된 선회 각도를 갖는 다축 뼈 고정 장치
JP6139988B2 (ja) 多軸骨固定装置
US20210282819A1 (en) Coupling device for use with a bone anchoring element and bone anchoring device with such a coupling device
TW201325544A (zh) 骨骼固定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