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126A - 셀 카운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셀 카운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126A
KR20130066126A KR1020110132829A KR20110132829A KR20130066126A KR 20130066126 A KR20130066126 A KR 20130066126A KR 1020110132829 A KR1020110132829 A KR 1020110132829A KR 20110132829 A KR20110132829 A KR 20110132829A KR 20130066126 A KR20130066126 A KR 20130066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ell
image
objective lens
sampl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4247B1 (ko
Inventor
임현창
정연철
조근창
Original Assignee
(주)로고스바이오시스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고스바이오시스템스 filed Critical (주)로고스바이오시스템스
Priority to KR1020110132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247B1/ko
Priority to US13/709,378 priority patent/US20130147940A1/en
Publication of KR20130066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C12Q1/06Quantitative determi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34Measuring or testing with condition measuring or sensing means, e.g. colony coun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15/148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microstructural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1Optical details, e.g. image relay to the camera or image sens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5Control or image processing arrangements for digital or video microsco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10Investigating individual particles
    • G01N15/14Optical investigation techniques, e.g. flow cytometry
    • G01N2015/1486Counting the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Toxicology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카운터에 관한 것으로, 셀이 수용되는 샘플 슬라이드; 상기 샘플 슬라이드가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샘플 슬라이드로부터 투영되는 상기 셀의 이미지를 결상시키는 대물렌즈; 상기 대물렌즈와 함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결상된 상기 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유닛;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샘플 슬라이드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샘플 슬라이드로부터 상기 대물렌즈로 투영되는 상기 셀의 이미지 투영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1 반사미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셀 카운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CELL COUN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셀 카운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 및 미려감을 고려할 수 있음은 물론 셀 카운터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도 유리할 수 있도록 높이에 기술적 제한이 없으며, 중력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셀 카운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광학 및 전기/전자 공학이 발달함에 따라, 현미경을 통해 육안으로 셀(cell)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세포의 개수, 특정 형태)를 과거와 달리, 셀 카운터(cell counter)라 불리는 장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셀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셀 카운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카운터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상호 관계상 높이가 어느 정도 높을 수밖에 없어서, 사용자의 편의 및 미려감을 고려할 수 없음은 물론 셀 카운터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도 상당히 어려웠다.
즉, 종래의 셀 카운터는, 사용자가 얻고 싶은 정보를 가진 셀을 수용하는 샘플 슬라이드(30)를 셀 카운터의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에 수평 방향(Ref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할 경우, 하우징에 수직 방향(Ref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에 수직된 방향)에 배치된 대물렌즈(40)와 조준렌즈(20)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샘플 슬라이드(30)의 셀은 조준렌즈(20)를 통해 조정된 광원(10)에서 제공된 빛을 통해 이미지가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셀의 이미지는 대물렌즈(40)에 의해 결상(image formation)되어야 이미지 획득유닛(50)을 통해 획득될 수 있기 때문에, 대물렌즈(40) 및 조준렌즈(20)는 샘플 슬라이드(30)를 기준으로 수직되게 배치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셀 카운터의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높이는 대물렌즈(40) 및 조준렌즈(20)때문에 많은 제한을 받게 될 수밖에 없었으며,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 및 미려감을 고려할 수 없음은 물론 셀 카운터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도 상당히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셀 카운터의 대물렌즈(40)는 셀 카운터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부에 높이(수직)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게 되는 경우 대물렌즈(40)는 중력의 영향을 받아 하측으로 미세하게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한 번 맞춰놓은 초점이 변화하는 문제점도 추가적으로 있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비트로젠’에서 제조된 “Countess”라는 제품명을 갖는 종래의 셀 카운터에서는 대물렌즈 고정장치가 별도로 마련하기도 하였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셀 카운터의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높이에 따른 문제점은 해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편의 및 미려감을 고려할 수 있음은 물론 셀 카운터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도 유리할 수 있도록 높이에 기술적 제한이 없으며, 중력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셀 카운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는, 셀이 수용되는 샘플 슬라이드; 상기 샘플 슬라이드가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샘플 슬라이드로부터 투영되는 상기 셀의 이미지를 결상시키는 대물렌즈; 상기 대물렌즈와 함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결상된 상기 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유닛;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샘플 슬라이드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샘플 슬라이드로부터 상기 대물렌즈로 투영되는 상기 셀의 이미지 투영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1 반사미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반사미러는, 상기 하우징의 높이가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의 배치로 인해 제한받지 않게, 상기 셀의 이미지가 상기 대물렌즈로 투영되는 방향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은, 상기 샘플 슬라이드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에 평행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다른 가상의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은 높이가 50[㎜] 내지 150[㎜]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는,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향해 빛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제공되는 빛을 조정하는 조준렌즈; 및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반사미러의 반대 측에 마련되어, 상기 조준렌즈를 통해 조정된 빛이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향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2 반사미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반사미러는, 상기 하우징의 높이가 상기 광원 및 상기 조준렌즈의 배치로 인해 제한받지 않게,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향하는 빛의 방향을 변경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은 상기 샘플 슬라이드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에 평행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다른 가상의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및 상기 조준렌즈는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에 평행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다른 가상의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하우징은 높이가 50[㎜] 내지 150[㎜]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는,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을 통해 획득된 상기 셀의 이미지로부터 셀의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유닛; 및 상기 연산유닛을 통해 연산된 상기 셀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포인팅 입력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터치될 때, 기설정된 유형으로 상기 셀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는 상기 연산유닛을 통해 연산된 상기 셀의 정보 모두를 저장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표시된 상기 셀의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는, 외부 상단면에 디스플레이유닛을 구비하는 하우징; 셀을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된 슬라이드 삽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하우징의 하단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는 샘플 슬라이드; 상기 샘플 슬라이드로부터 투영되는 상기 셀의 이미지를 결상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단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셀의 이미지를 결상시킬 때 초점을 맞추기 위해 작동하는 작동구간이 상기 하우징의 높이를 구속하지 않도록 하는 대물렌즈; 상기 셀의 이미지가 상기 샘플 슬라이드에서 상기 대물렌즈로 투영될 수 있도록, 상기 샘플 슬라이드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셀의 이미지가 투영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1 반사미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는,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향해 빛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대물렌즈로 투영되는 상기 셀의 이미지의 콘트라스트 값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에서 제공되는 빛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상기 대물렌즈가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하우징의 높이를 구속하지 않도록 하는 조준렌즈; 및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반사미러의 반대 측에 마련되어, 상기 조준렌즈를 통해 조정된 빛이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향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2 반사미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는,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결상된 상기 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유닛 및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을 통해 획득된 상기 셀의 이미지로부터 셀의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획득 유닛 및 상기 연산유닛은 상기 제1 반사미러와 상기 대물렌즈가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가상의 평면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높이가 50[㎜] 내지 150[㎜]가 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를 제조하는 셀 카운터 제조 방법은, 샘플 슬라이드에 수용된 셀의 이미지가 상기 샘플 슬라이드에서 상기 셀의 이미지를 결상하는 대물렌즈로 투영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1 반사미러를 상기 샘플 슬라이드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대물렌즈가 상기 셀의 이미지를 결상시킬 때 초점을 맞추기 위해 작동하는 작동구간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의 높이가 제한되지 않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반사미러 및 상기 대물렌즈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에 평행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다른 가상의 평면상에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향해 빛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서 제공되는 빛을 조정하는 조준렌즈를 추가적으로 배치하되,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반사미러에 대향하는 반대 측에 제2 반사미러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광원에서 상기 조준렌즈까지의 거리로 인해 상기 하우징의 높이가 제한되지 않도록 제조하는 것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 제조 방법의 특징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경우에는,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결상된 상기 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유닛 및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을 통해 획득된 상기 셀의 이미지로부터 셀의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유닛을 추가적으로 배치하되, 상기 제1 반사미러와 상기 대물렌즈가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가상의 평면상에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 및 상기 연산유닛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높이가 50[㎜] 내지 150[㎜]가 될 수 있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면, 대물렌즈 및 조준렌즈가 하우징의 높이를 제한하지 않게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편의 및 미려감을 고려할 수 있음은 물론 셀 카운터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도 유리한 높이를 갖는 셀 카운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하면, 대물렌즈 및 조준렌즈가 하우징의 높이와 무관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이로 인해 장시간 사용하게 되더라도 한 번 맞춰놓은 초점을 다시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셀 카운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 일례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가로, 세로, 상측, 하측과 같이 방향성을 전제로 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기재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는, 샘플 슬라이드(30)와, 대물렌즈(40)와, 제1 반사미러(60) 및 하우징(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샘플 슬라이드(30)는 셀이 수용되도록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셀 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가 결합된 마이크로 칩(micro chip)을 일컫는다.
이러한 샘플 슬라이드(30)는 셀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면, 그 형상 및 구조에 대하여 특별히 제한될 필요는 없다. 다만, 하우징(80)의 슬라이드 삽입구(32)를 통해 제1 반사미러(60)와 제2 반사미러(70) 사이로 삽입되기 용이하게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대물렌즈(40)는 샘플 슬라이드(30)로부터 투영되는 셀의 이미지를 결상(image formation)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요소로서, 이미지 획득유닛(50)에 선명한 셀의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우징(80)의 내부에서 소정의 작동구간(working distance)를 필요로 한다.
즉, 이미지 획득유닛(50)에 선명한 셀의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대물렌즈(40)는 적절한 초점거리를 갖도록 대물렌즈 작동유닛을 통해 도 3에 표시된 S구간 또는 S구간의 일부에 배치되게 된다.
이와 같이 대물렌즈(40)가 도 3에 표시된 S구간 또는 S구간의 일부에 배치된다면, 대물렌즈(40)의 작동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80)의 높이에 아무런 제한을 가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제1 반사미러(60)는, 전술한 바와 같은 대물렌즈(40)가 도 3에 표시된 S구간 또는 S구간의 일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샘플 슬라이드(30)에서 대물렌즈(40)로 투영되는 셀의 이미지의 투영 방향을 변경하는 구성요소이다.
만약, 제1 반사미러(60)가 없는 경우라면, 셀의 이미지가 투영되는 방향은 빛의 직진성에 의해 샘플 슬라이드(30)의 상측 또는 하측이 될 것이고, 대물렌즈(40)는 도 3에 표시된 S구간 또는 S구간의 일부가 아닌 샘플 슬라이드(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마련되어, 하우징(80)의 높이를 결정하는데 많은 제한을 가져올 것이다.
즉, 제1 반사미러(60)가 샘플 슬라이드(30)와 대물렌즈(40) 사이에 마련되기 때문에, 샘플 슬라이드(30)에서 시작되는 셀의 이미지는 상측 또는 하측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투영될 수 있고, 투영된 셀의 이미지를 결상(image formation)시켜야 하는 대물렌즈(40)의 위치도 샘플 슬라이드(30)의 상측 또는 하측이 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따라서, 대물렌즈(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표시된 S구간 또는 S구간의 일부에 대물렌즈(40)가 배치될 수 있을 것이며, 이로부터 궁극적으로 하우징(80)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대물렌즈(40)가 배치되는 공간때문에 하우징(80)을 설계하는 것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할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반사미러(60)와 대물렌즈(40)는 샘플 슬라이드(30)가 하우징(80)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에 평행한 하우징(80) 내부의 다른 가상의 평면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80) 내부의 다른 가상의 평면은 샘플 슬라이드(30)가 삽입되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가 놓여지거나 설치되는 면과 접하는 하우징(80)의 바닥면일 수 있다.
즉, 샘플 슬라이드(30)로부터 하우징(80) 높이 방향으로 투영되는 셀의 이미지를 제1 반사미러(60)를 통해 하우징(80)의 바닥면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투영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대물렌즈(40)가 하우징(80)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대물렌즈(40)로 인해 하우징(80)의 높이가 제한하지 않게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하우징(80)의 높이가 하우징(80)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요소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책상에 올려놓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50[㎜] 내지 150[㎜]의 높이를 갖도록 하우징(80)을 구성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 예를 들면 세포 배양 장치를 제작하는데 있어서도 장착이 용이한 50[㎜] 내지 150[㎜]의 높이를 갖도록 하우징(80)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80)은 다른 구성요소들 대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이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요소로, 그 형상이나 구조에 있어서는 제한이 없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가 다른 장치에 포함되는 경우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유닛(90)을 구비하거나 외형에 있어서 미려감을 고려하지 않고 하우징(80)을 제작하여도 무방하지만, 사용자가 책상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유닛(90)을 구비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려감이 고려하여 하우징(80)을 제작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반사미러(60)를 통해 샘플 슬라이드(30)에서 대물렌즈(40)로 향하는 셀의 이미지 투영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대물렌즈(40)의 배치로 인한 하우징(80)의 높이가 구속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80)의 높이를 낮추어 미려감을 더욱 높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하우징(80)의 외부 상단면에는 대물렌즈(40)로부터 확대된 셀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연산한 결과, 즉 셀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9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유닛(90)은 셀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 구조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즉, 디스플레이유닛(90)은 일반적인 모니터, 스크린과 같이 셀의 정보를 표시하기만 하여도 무방하며,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펜과 같은 포인팅 입력유닛을 이용하여 셀의 정보가 기설정된 다른 유형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이 중에서 후자와 같이 포인팅 입력유닛(미도시)을 디스플레이유닛(90)에 터치할 때 셀의 정보를 기설정된 다양한 유형(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으로 표시한다면 사용자에게 있어 더욱 편리함을 가져다줄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이와 같이 소위 터치스크린과 같이 디스플레이유닛(90)을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포인팅 입력유닛(미도시)을 이용할 때 사용자의 손목의 편안함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우징(80)의 상단면을 전방이 후방보다 낮도록 기울여두는 것도 유리할 것이다. 이때, 이와 같이 하우징(80)의 상단면을 기울이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유닛(90)을 바라보는데 있어서도 사각을 없앨 수 있다는 효과가 있음도 물론이다.
한편, 이러한 하우징(80)의 측면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삽입구(32) 및 초점조절 노브(42)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슬라이드 삽입구(32)는 샘플 슬라이드(30)가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부분이며, 초점조절 노브(42)는 대물렌즈(40)의 초점거리를 수동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을 때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부분이다.
이러한 슬라이드 삽입구(32) 및 초점조절 노브(42)는 반드시 하우징(80)의 측면에 마련될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의 미려감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샘플 슬라이드(30)와, 대물렌즈(40)와, 제1 반사미러(60) 및 하우징(80) 이외에도 광원(10)과, 조준렌즈(20)와, 제2 반사미러(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광원(10)은 하우징(80)이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빛이 들어오지 않아 셀의 이미지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샘플 슬라이드(30)를 향해 빛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광원(10) 역시 샘플 슬라이드(30)를 향해 빛을 제공하면 어떠한 구성요소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빛의 종류에 따라 빛이 한 곳으로 집중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여 광원(10)과 샘플 슬라이드(30) 사이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조준렌드(2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조준렌즈(20)는, 광원(10)에서 제공되는 빛을 조정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연산유닛(미도시)에서 연산하는 방법에 따라 빛의 세기, 조사 방향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셀이 얼마만큼 증식되었는지 확인하고자 할 때 셀 이미지의 콘트라스트 값 차이를 확인하여 셀이 얼마만큼 증식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셀 이미지의 콘트라스트 값의 차이를 확인하기 좋도록 적절하게 광원(10)으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조준렌즈(20)가 필요하다.
또한, 다른 일례로, 샘플 슬라이드(30)로 빛이 퍼지는 경우 셀 이미지가 대물렌즈(40)에 의해 결상되는 것이 방해받을 수 있는바, 샘플 슬라이드(30)에 빛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광원(10)에서 제공되는 빛을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조준렌즈(20)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와 같이 광원(10)에서 제공되는 빛을 조정하기 위해 조준렌즈(20)를 포함하는 경우, 조준렌즈(20)가 어떻게 배치되느냐에 따라 하우징(80)의 높이를 제한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조준렌즈(20)의 위치에 따른 하우징(80)의 높이 제한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2 반사미러(70)를 통해 샘플 슬라이드(30)를 향하는 빛의 방향을 변경시켜 해결할 수 있다.
즉, 제2 반사미러(70)는 조준렌즈(20)로 인한 하우징(80)의 높이 제한을 방지하기 위해, 샘플 슬라이드(30)와 광원(10) 사이에 마련되어 조준렌즈(20)를 통해 조정된 빛이 샘플 슬라이드(30)를 향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2 반사미러(70)는 샘플 슬라이드(30)를 기준으로 제1 반사미러(60)에 대향하는 반대 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준렌즈(20)는 대물렌즈(40)가 하우징(80) 내부에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에 평행한 하우징(80) 재부의 다른 가상의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제2 반사미러(70)로 인해 빛의 방향이 변경되기 때문에, 조준렌즈(20)는 하우징(80)의 내부에서 하우징(80)의 높이와 무관하게 하우징(80)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80)의 높이를 50[㎜] 내지 150[㎜]로 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는, 카메라, 포토 다이오드와 같이 대물렌즈(40)로부터 확대된 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유닛(50)과, 이미지 획득유닛(50)을 통해 획득한 셀의 이미지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셀의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이미지 획득유닛(50) 및 연산유닛(미도시)을 역시 하우징(80)의 높이를 제한하여서는 안 되며, 일 방안으로 이미지 획득유닛(50) 및 연산유닛(미도시)을 제1 반사미러(60)와 대물렌즈(40)가 배치되는 하우징(80)의 가상 평면, 즉 하우징(80)의 바닥면에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획득유닛(50) 및 연산유닛(미도시)을 배치한다면,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80)의 높이를 50[㎜] 내지 150[㎜]로 구성하는데 있어서 아무런 문제가 없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는 연산유닛(미도시)을 통해 연산된 셀의 정보 모두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유닛(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저장유닛(미도시)은 하드디스크와 같이 연산유닛(미도시)과 일체형으로 구성된 메모리일 수 있음은 물론, USB와 같이 하우징(80) 외부로 입출입이 가능한 형태의 메모리일 수 있으며, 어느 경우에나 하우징(80)의 높이를 제한하지 않아야 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저장유닛(미도시)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산유닛(미도시)을 통해 연산된 셀의 정보 모두를 저장할 수 있지만, 사용자의 의사가 반영된 디스플레이유닛(90)에 표시된 셀의 정보만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 일례를 나타낸 사진이다.
먼저, 사용자가 얻고 싶은 정보를 가진 셀을 샘플 슬라이드(30)에 수용시킨다음, 샘플 슬라이드(30)를 하우징(80) 측면에 마련된 슬라이드 삽입구(32)에 삽입시키면, 샘플 슬라이드(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사미러(60)와 제2 반사미러(7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광원(10)에서 빛이 제공되면, 빛은 샘플 슬라이드(30)가 삽입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도면에서 Ref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에 배치되어 있는 조준렌즈(20)에 도달하게 되고, 조준렌즈(20)는 도달된 빛을 목적에 맞게 조정한다.
이와 같이 조정된 빛은 샘플 슬라이드(30)로 향해야 하는데, 이때 제2 반사미러(70)를 통해 방향이 변경되어 샘플 슬라이드(30)로 향하게 되어, 샘플 슬라이드(30)에 수용된 셀의 이미지가 투영되기 시작된다.
이렇게 투영된 셀의 이미지는 대물렌즈(40)에 의해 바로 결상되지 않고 제1 반사미러(60)를 통해 방향이 변경되어 대물렌즈(40)에 의해 이미지 획득유닛(50)에 결상된다. 이와 같이 셀의 이미지가 제1 반사미러(60)를 통해 방향이 변경된 후 대물렌즈(40)를 통해 결상될 수 있으므로, 대물렌즈(40)는 샘플 슬라이드(30)가 삽입된 방향과 평행한 방향(도면에서 Ref 화살표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대물렌즈(40)에 의해 결상된 셀의 이미지는 이미지 획득유닛(50)을 통해 획득되며, 획득된 셀의 이미지는 연산유닛(미도시)을 통해 필요한 셀의 정보가 연산된다.
이와 같이 연산된 셀의 정보는 디스플레이유닛(90)을 통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되는데,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포인팅 입력유닛이 디스플레이유닛(90)에 터치되면 도 8과 같이 기설정된 다른 유형으로 셀의 정보가 표시된다.
이때, 저장유닛(미도시)은 연산유닛(미도시)에서 연산된 셀의 정보 모두를 저장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디스플레이유닛(90)에 표시된 셀의 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가 작동하는 과정 어디에서도 하우징(80)의 높이 방향과 관련된 부분은 없으며, 이에 대해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언급되었던 도 2와 도 3을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셀 카운터에 의하면, 하우징의 높이를 결정하는 구간인 d1 및 d2 사이에 대물렌즈(40) 및 조준렌즈(20)가 배치되므로, 하우징(80)의 높이는 자연스레 대물렌즈(40) 및 조준렌즈(20)의 위치에 제한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80)의 높이를 결정하는 D1 및 D2 사이에 대물렌즈(40) 및 조준렌즈(20)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하우징(80)의 높이는 대물렌즈(40) 및 조준렌즈(20)의 위치에 대하여 전혀 제한을 받지 않으며, 나아가 하우징(80)의 높이를 결정하는 D1 및 D2는 종래기술에 따른 셀 카운터의 하우징의 높이를 결정하는 구간인 d1 및 d2보다 훨씬 작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80)의 높이를 제한하는 기술적 구성이 없으며, 이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충분히 해결되었다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이상 설명한 내용을 정리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의 특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샘플 슬라이드(30)에 수용된 셀의 이미지가 샘플 슬라이드(30)에서 셀의 이미지를 결상하는 대물렌즈(40)로 투영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1 반사미러(60)를 샘플 슬라이드(30)와 대물렌즈(40)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대물렌즈(40)가 셀의 이미지를 결상시킬 때 초점을 맞추기 위해 작동하는 작동구간으로 인해 하우징(80)의 높이가 제한되지 않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제1 반사미러(60) 및 대물렌즈(40)가 하우징(80) 내부에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에 평행한 하우징(80) 내부의 다른 가상의 평면상에 샘플 슬라이드(30)를 향해 빛을 제공하는 광원(10) 및 광원(10)에서 제공되는 빛을 조정하는 조준렌즈(20)를 추가적으로 배치하되, 샘플 슬라이드(30)를 기준으로 제1 반사미러(60)에 대향하는 반대 측에 제2 반사미러(70)를 배치함으로써, 광원(10)에서 조준렌즈(20)까지의 거리로 인해 하우징(80)의 높이가 제한되지 않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대물렌즈(40)에 의해 결상된 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유닛(50) 및 이미지 획득유닛(50)을 통해 획득된 셀의 이미지로부터 셀의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유닛(미도시)을 추가적으로 배치하되, 제1 반사미러(60)와 대물렌즈(40)가 배치되는 하우징(80)의 가상의 평면상에 이미지 획득유닛(50) 및 연산유닛(미도시)을 배치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80)의 높이를 50[㎜] 내지 150[㎜]가 될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 및 미려감을 고려할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를 제조하는데 있어서도 유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카운터를 제조하는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물렌즈(40) 및 조준렌즈(20)가 하우징(80)의 높이와 무관한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이로 인해 장시간 사용하게 되더라도 한 번 맞춰놓은 초점을 다시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광원 20 : 조준렌즈
30 : 샘플 슬라이드 32 : 슬라이드 삽입구
40 : 대물렌즈 42 : 초점조절 노브
50 : 이미지 획득유닛 60 : 제1 반사미러
70 : 제2 반사미러 80 : 하우징
90 : 디스플레이유닛

Claims (18)

  1. 셀이 수용되는 샘플 슬라이드;
    상기 샘플 슬라이드가 외부에서 내부로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샘플 슬라이드로부터 투영되는 상기 셀의 이미지를 결상시키는 대물렌즈;
    상기 대물렌즈와 함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결상된 상기 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유닛;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샘플 슬라이드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샘플 슬라이드로부터 상기 대물렌즈로 투영되는 상기 셀의 이미지 투영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1 반사미러;를 포함하는,
    셀 카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미러는,
    상기 하우징의 높이가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의 배치로 인해 제한받지 않도록, 상기 셀의 이미지가 상기 대물렌즈로 투영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카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은,
    상기 샘플 슬라이드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에 평행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다른 가상의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카운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높이가 5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카운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향해 빛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광원에서 제공되는 빛을 조정하는 조준렌즈; 및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반사미러의 반대 측에 마련되어, 상기 조준렌즈를 통해 조정된 빛이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향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2 반사미러를 더 포함하는,
    셀 카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미러는,
    상기 하우징의 높이가 상기 광원 및 상기 조준렌즈의 배치로 인해 제한받지 않도록,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향하는 빛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카운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은,
    상기 샘플 슬라이드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에 평행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다른 가상의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 및 상기 조준렌즈는,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에 평행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다른 가상의 평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카운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높이가 5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카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을 통해 획득된 상기 셀의 이미지로부터 셀의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유닛; 및
    상기 연산유닛을 통해 연산된 상기 셀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더 포함하는,
    셀 카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포인팅 입력유닛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터치될 때, 기설정된 유형으로 상기 셀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카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카운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유닛을 통해 연산된 상기 셀의 정보 모두를 저장하되,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에 표시된 상기 셀의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유닛을 더 포함하는,
    셀 카운터.
  13. 외부 상단면에 디스플레이유닛을 구비하는 하우징;
    셀을 수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마련된 슬라이드 삽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내부로 상기 하우징의 하단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는 샘플 슬라이드;
    상기 샘플 슬라이드로부터 투영되는 상기 셀의 이미지를 결상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 하단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셀의 이미지를 결상시킬 때 초점을 맞추기 위해 작동하는 작동구간이 상기 하우징의 높이를 구속하지 않도록 하는 대물렌즈;
    상기 셀의 이미지가 상기 샘플 슬라이드에서 상기 대물렌즈로 투영될 수 있도록, 상기 샘플 슬라이드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셀의 이미지가 투영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1 반사미러;를 포함하는,
    셀 카운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향해 빛을 제공하는 광원;
    상기 대물렌즈로 투영되는 상기 셀의 이미지의 콘트라스트 값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에서 제공되는 빛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되, 상기 하우징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상기 대물렌즈가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거리가 상기 하우징의 높이를 구속하지 않도록 하는 조준렌즈; 및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반사미러의 반대 측에 마련되어, 상기 조준렌즈를 통해 조정된 빛이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향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2 반사미러를 더 포함하는,
    셀 카운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결상된 상기 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유닛 및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을 통해 획득된 상기 셀의 이미지로부터 셀의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획득 유닛 및 상기 연산유닛은 상기 제1 반사미러와 상기 대물렌즈가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가상의 평면상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높이가 50[㎜] 내지 150[㎜]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카운터.
  16. 샘플 슬라이드에 수용된 셀의 이미지가 상기 샘플 슬라이드에서 상기 셀의 이미지를 결상하는 대물렌즈로 투영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제1 반사미러를 상기 샘플 슬라이드와 상기 대물렌즈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대물렌즈가 상기 셀의 이미지를 결상시킬 때 초점을 맞추기 위해 작동하는 작동구간으로 인해 상기 하우징의 높이가 제한되지 않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카운터 제조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미러 및 상기 대물렌즈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에 평행한 상기 하우징 내부의 다른 가상의 평면상에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향해 빛을 제공하는 광원 및 상기 광원에서 제공되는 빛을 조정하는 조준렌즈를 추가적으로 배치하되,
    상기 샘플 슬라이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반사미러에 대향하는 반대 측에 제2 반사미러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광원에서 상기 조준렌즈까지의 거리로 인해 상기 하우징의 높이가 제한되지 않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카운터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결상된 상기 셀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유닛 및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을 통해 획득된 상기 셀의 이미지로부터 셀의 정보를 연산하는 연산유닛을 추가적으로 배치하되,
    상기 제1 반사미러와 상기 대물렌즈가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가상의 평면상에 상기 이미지 획득유닛 및 상기 연산유닛을 배치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높이가 50[㎜] 내지 150[㎜]가 될 수 있도록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카운터 제조 방법.
KR1020110132829A 2011-12-12 2011-12-12 셀 카운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14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829A KR101414247B1 (ko) 2011-12-12 2011-12-12 셀 카운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13/709,378 US20130147940A1 (en) 2011-12-12 2012-12-10 Cell coun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829A KR101414247B1 (ko) 2011-12-12 2011-12-12 셀 카운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126A true KR20130066126A (ko) 2013-06-20
KR101414247B1 KR101414247B1 (ko) 2014-07-02

Family

ID=48571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829A KR101414247B1 (ko) 2011-12-12 2011-12-12 셀 카운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47940A1 (ko)
KR (1) KR101414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36111S1 (en) * 2014-08-29 2015-08-11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Fluorometer device
JP1552333S (ko) * 2015-06-23 2016-06-20
JP6437056B1 (ja) * 2017-07-21 2018-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投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9642A (en) * 1990-07-13 1992-10-27 Toa Medical Electronics Co., Ltd. Particle image analyzing apparatus
KR100608498B1 (ko) * 2003-07-19 2006-08-08 주식회사 디지탈바이오테크놀러지 미세입자 계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47940A1 (en) 2013-06-13
KR101414247B1 (ko) 2014-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7368B2 (ja) 空中像表示装置
US20190019344A1 (en) Headset vision system
US20160147057A1 (en) Lens unit and transmission compound microscope
JP2014529094A (ja) 表示装置閲覧モード間の変更
KR101414247B1 (ko) 셀 카운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06796386A (zh) 投影型显示装置
TW201346471A (zh) 顯示裝置
JP5862752B2 (ja) プロンプター
KR20150145160A (ko) 무안경 3d 디스플레이 모바일 장치, 이의 설정방법 및 사용방법
US20130077163A1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JP3215815U (ja) スマートデバイス用レンズユニット及び顕微鏡装置
JP2018146959A (ja) 画像生成装置及び画像生成方法
KR20190090857A (ko) 광학 시스템 및 디옵터 조정 방법
CN110573934A (zh) 面镜装置
JP5732939B2 (ja) プロンプター
JP6564153B1 (ja) 被検レンズ載置台及びレンズチェッカー
US7420667B2 (en) Equipment for capturing the contour, markings, bores, millings and etchings of an ophthalmic lens or template lens for glasses
US10225448B2 (en) Image acquisition system
JP2016527543A (ja) スクリーンの人間工学的に正しい調整の方法およびそれを実行するための設定
JP3077961B2 (ja) プレパラート投影装置
JP7348659B2 (ja) 携帯通信端末の表示画面拡大装置
KR102217584B1 (ko) 선택적 중첩을 통한 굴절 조절 시스템
JP3217259U (ja) スマートデバイス用レンズユニット及び透過型複式顕微鏡装置
JP6029395B2 (ja) 顕微鏡
JP6710815B1 (ja) レンズ光学特性測定装置、レンズ光学特性測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