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038A -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038A
KR20130066038A KR1020110132699A KR20110132699A KR20130066038A KR 20130066038 A KR20130066038 A KR 20130066038A KR 1020110132699 A KR1020110132699 A KR 1020110132699A KR 20110132699 A KR20110132699 A KR 20110132699A KR 20130066038 A KR20130066038 A KR 20130066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unit
spacers
bus bars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6038A/ko
Publication of KR20130066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0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9Machines characterised by wiring elements other than wires, e.g. bus ring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명은 연결되는 전원의 상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마련되고, 각각 직경이 상이한 환형의 버스바들; 상기 버스바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들 사이를 절연하는 각각 직경이 상이한 환형의 스페이서들; 및 상기 버스바들 및 스페이서들을 수용하고 고정하는 터미널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스페이서 사이에 빈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도전성 이물질의 발생이 감소되므로 절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내부 부품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내진동 및 내충격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Terminal unit of drive motor for veh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구동모터의 전원 공급부인 터미널에 사용되는 구동모터용 전원분배모듈에 관한 것이다.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은 외부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구동모터로 공급하는 모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10)은, 터미널몰드(12), 몰드커버(13), 다수개의 버스바(15)들 및 이들을 각각 절연하는 스페이서(17)로 조립되며, 이들은 실리콘에 의해 고정 및 절연된다. 몰드커버(1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몰드(12)에서 연장 돌출된 부위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종래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10)은 절연되지 않은 다수의 버스바(15)를 터미널몰드(12)에 조립한 후 스페이서(15)를 이용하여 압입하여 버스바(15) 사이의 거리를 확보하고, 실리콘 도포로 스페이서(17)는 가 없는 부분을 충전(充塡)함으로써 절연을 유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스페이서(17)는 다수개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각의 스페이서(17)는 도 1의 확대도와 같은 격벽 형태를 가진다.
그러나, 종래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10)은 격벽 형태를 가진 스페이서(17)의 압입 과정에서 버스바(15)의 도금 이물질 발생 가능성이 증가함으로써 절연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가진다.
도 2는 종래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10) 중 터미널몰드(12)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2의 Ⅲ-Ⅲ'에 따른 단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종래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 후 다수개의 스페이서(15)들 간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공간이 존재함으로써 절연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가진다.
KR 10-2011-0101333, 2011. 09. 16, 첨부도면 도 1
본 발명의 목적은 스페이서 사이의 빈공간이 감소되도록 버스바 및 스페이서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내구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은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에 관한 것으로, 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은 연결되는 전원의 상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마련되고, 각각 직경이 상이한 환형의 버스바들; 상기 버스바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들 사이를 절연하는 각각 직경이 상이한 환형의 스페이서들; 및 상기 버스바들 및 스페이서들을 수용하고 고정하는 터미널몰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버스바들 및 스페이서들은 상기 터미널몰드 내에서 조립되고 오버몰드 또는 레진에 의해 상기 터미널몰드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4 분할된 구조로 조립 시에 직경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의 제조방법은 터미널몰드를 준비하는 단계; 연결되는 전원의 상에 대응하여 각각 직경이 상이한 환형의 버스바들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들 사이가 절연되도록 각각 직경이 상이한 환형의 스페이서들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몰드에 상기 버스바들과 스페이서들을 조립하여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터미널몰드에 조립되어 수용된 상기 버스바들과 스페이서들을 오버몰드 또는 실리콘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는 4 분할된 구조로 조립 시에 직경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은 종래와 달리 스페이서 사이에 빈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도전성 이물질의 발생이 감소되므로 절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내부 부품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내진동 및 내충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은 종래와 달리 버스바에 대해 절연코팅과 같은 전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오버몰드를 이용할 경우 레진 도포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터미널몰드에 스페이서 및 버스바가 조립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의 일부 단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터미널몰드에 스페이서 및 버스바가 조립된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의 제조공정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100)의 일부 단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100)은 버스바(115)들, 스페이서(117)들 및 터미널몰드(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스바(115)들 및 스페이서(117)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몰드(112)에 수용되어 오버몰드(119) 또는 레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후 몰드커버(113)가 조립된다.
버스바(115)들은 연결되는 전원의 상(U, V, W, N)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마련되고, 직경이 상이하여 스페이서(117)를 사이에 두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몰드(112)에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조립될 수 있다.
스페이서(117)들은 버스바(115)들 사이에 삽입되어 버스바(115)들 사이를 절연한다. 스페이서(117)들은 버스바(115)들 사이에 삽입되기 위해 직경이 상이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17)들은 도 4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분할된 구조로 조립시 직경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페이서(117)들은 각 상의 버스바(115)들의 직경에 대하여 별개로 직경이 다른 스페이서(117)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100)은 터미널몰드(112)에 버스바(115)와 스페이서(117)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므로, 종래와 달리, 스페이서(117)들 사이에 빈공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이와 같이 터미널몰드(112)에 조립된 버스바(115)와 스페이서(117)는 도 5와 같이 오버몰드(119)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100)은 종래와 달리 스페이서(117) 사이에 빈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도전성 이물질의 발생이 감소되므로 절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내부 부품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내진동 및 내충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100)은 종래와 달리 버스바에 대해 절연코팅과 같은 전처리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오버몰드(119)를 이용할 경우 레진 도포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의 제조방법은 터미널몰드(112)를 준비하는 단계(S81), 연결되는 전원의 각 상에 대응하여 각각 직경이 상이한 환형의 버스바(115)들을 준비하는 단계(S83), 버스바(115)들 사이에 삽입되어 조립되는 환형의 스페이서(117)들을 준비하는 단계(S85), 터미널몰드(112)에 버스바(115)들과 스페이서(117)들을 조립하여 수용하는 단계(S87), 터미널몰드(112)에 조립되어 수용된 버스바(115)들과 스페이서(117)들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몰드(119)에 의해 고정하는 단계(S89)로 이루어진다.
S85 단계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17)는 4 분할된 구조로 조립 시 직경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각 상들에 대한 스페이서(117)들을 제조하기 위해 3개의 금형이 필요하지 않고, 1개의 금형만으로 스페이서(117)의 제조가 가능하다. 이에 의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117)는 종래에 비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S89 단계에서 고정을 위해 오버몰드(119)를 이용할 경우 레진 도포공정을 삭제할 수 있어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100: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112: 터미널몰드
113: 몰드커버
115: 버스바
117: 스페이서
119: 오버몰드

Claims (5)

  1. 연결되는 전원의 상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마련되고, 각각 직경이 상이한 환형의 버스바들;
    상기 버스바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들 사이를 절연하는 각각 직경이 상이한 환형의 스페이서들; 및
    상기 버스바들 및 스페이서들을 수용하고 고정하는 터미널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들 및 스페이서들은 상기 터미널몰드 내에서 조립되고 오버몰드 또는 레진에 의해 상기 터미널몰드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4 분할된 구조로 조립 시에 직경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4.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터미널몰드를 준비하는 단계;
    연결되는 전원의 상에 대응하여 각각 직경이 상이한 환형의 버스바들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버스바들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들 사이가 절연되도록 각각 직경이 상이한 환형의 스페이서들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터미널몰드에 상기 버스바들과 스페이서들을 조립하여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터미널몰드에 조립되어 수용된 상기 버스바들과 스페이서들을 오버몰드 또는 실리콘으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4 분할된 구조로 조립 시에 직경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의 제조방법.
KR1020110132699A 2011-12-12 2011-12-12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660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99A KR20130066038A (ko) 2011-12-12 2011-12-12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699A KR20130066038A (ko) 2011-12-12 2011-12-12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038A true KR20130066038A (ko) 2013-06-20

Family

ID=4886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699A KR20130066038A (ko) 2011-12-12 2011-12-12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603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2450A1 (fr) * 2019-02-05 2020-08-07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achine électrique tournante pour véhicule hybride et boite de vitesses équipée d’une telle machine électrique tournante
KR102327229B1 (ko) * 2020-05-12 2021-11-1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구동모터용 터미널 어셈블리
CN115122569A (zh) * 2021-03-29 2022-09-30 日本电产株式会社 母线树脂成形品的制造方法及母线树脂成形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986A (ko) * 2009-12-01 2011-06-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dc 브러시리스 모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1333A (ko) * 2010-03-08 2011-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모터용 터미널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0986A (ko) * 2009-12-01 2011-06-09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dc 브러시리스 모터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1333A (ko) * 2010-03-08 2011-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모터용 터미널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2450A1 (fr) * 2019-02-05 2020-08-07 Valeo Equipements Electriques Moteur Machine électrique tournante pour véhicule hybride et boite de vitesses équipée d’une telle machine électrique tournante
KR102327229B1 (ko) * 2020-05-12 2021-11-1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구동모터용 터미널 어셈블리
CN115122569A (zh) * 2021-03-29 2022-09-30 日本电产株式会社 母线树脂成形品的制造方法及母线树脂成形品
CN115122569B (zh) * 2021-03-29 2024-01-02 日本电产株式会社 母线树脂成形品的制造方法及母线树脂成形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6556B2 (en) Bus ba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60072350A1 (en) Terminal unit of vehicle traction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6347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모터용 터미널 장치
JP6053000B2 (ja) バスバー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EP2182614B1 (en) Wiring component for motor coil
CN104584396A (zh) 马达
WO2014174666A1 (ja) 回転電機
US9742236B2 (en) Terminal for vehicle traction mo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900502B1 (ko)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CN213546738U (zh) 用于车辆的驱动电机的端子组件
CN104541438A (zh) 汇流条单元
KR102473243B1 (ko) 구동모터용 버스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KR20130066038A (ko)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636104A (zh) 用于交流发电机的调压器
KR20130117207A (ko)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차량용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KR101754421B1 (ko) 차량 구동모터의 터미널유닛
KR102186879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모터 터미널 고정 방법 및 절연 구조
US20180375410A1 (en) Integrated stator module for an electric motor
CN107005113B (zh) 绕组装置和具有这种绕组装置的电机
US8046913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circle type terminal used in driving motor of hybrid vehicle
CN202651946U (zh) 一种线包连接结构及具有该结构的电机
CN210693608U (zh) 一种电机定子绝缘框架及电机定子
KR101243607B1 (ko) 전류센서
CN104065193B (zh) 一种电动汽车电机绕组的固定结构
CN103996485A (zh) 电磁铁连接头及其封装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