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5303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5303A
KR20130065303A KR1020110132109A KR20110132109A KR20130065303A KR 20130065303 A KR20130065303 A KR 20130065303A KR 1020110132109 A KR1020110132109 A KR 1020110132109A KR 20110132109 A KR20110132109 A KR 20110132109A KR 20130065303 A KR20130065303 A KR 20130065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cut filter
infrared cut
image sensor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257B1 (ko
Inventor
권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2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25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5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적외선 차단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와 이미지 센서가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윈도우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윈도우의 벽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고정하는 접착제의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천장면으로 하고, 이미지 센서를 바닥면으로 하는 상기 윈도우 내부 공간에서 인쇄회로기판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은 적외선 차단 필터를 에폭시 수지 등을 이용하여 접착 고정하는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접착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접착제의 경우, 경화 중에 가스가 발생한다. 이 가스가 인쇄회로기판의 바깥쪽으로 배출될 경우에는 상관 없으나, 상기 이미지 센서와 적외선 차단 필터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측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스가 상기 공간부 측으로 매출되면, 배출된 가스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기 때문에, 적외선 필터 등에 흡착되어 퓸(fume)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외선 차단 필터에 퓸이 형성되면, 적외선 차단 필터를 통과하는 이미지의 진행 경로를 방해하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의 해상력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외선 차단 필터에 접착제 경화 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적외선 차단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와 이미지 센서가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윈도우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윈도우의 벽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고정하는 접착제의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천장면으로 하고, 이미지 센서를 바닥면으로 하는 상기 윈도우 내부 공간에서 인쇄회로기판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측면에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되고, 하측면에 상기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가스 배출 유로는, 상기 윈도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터널입구를 가지는 제 1 배출터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부와 연통되는 터널 출구를 가지며, 그 타단은 상기 제 1 배출터널과 연결되는 제 2 배출터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널 입구와 터널 출구의 중심축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터널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스 배출 유로는, 상기 윈도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터널입구를 가지는 제 1 배출터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부와 연통되는 터널 출구를 가지며, 그 타단은 상기 제 1 배출터널과 연결되는 제 2 배출터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널 입구와 터널 출구의 중심축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터널은 서로 같은 층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미지 센서는 플립칩 공정으로 설치되고,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는 접착물질로 접착 고정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접착물질은, 자외선 경화 에폭시 수지 또는 열 경화 에폭시 수지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 개의 레이어(layer) 별로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고온동시소성 세라믹(HTCC, High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 배출 유로는, 각각의 레이어에 형성된 회로패턴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적외선 차단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와 이미지 센서가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윈도우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윈도우의 벽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고정하는 접착제의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천장면으로 하고, 이미지 센서를 바닥면으로 하는 상기 윈도우 내부 공간에서 인쇄회로기판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 하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는 접착물질로 접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착물질은, 자외선 경화 에폭시 수지 또는 열 경화 에폭시 수지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에폭시 경화 과정 중에 발생된 가스가 적외선 차단 필터에 흡착되어 퓸(fume)을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미지 센서의 해상력 저하와 같은 카메라 모듈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회로기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5는 회로기판의 넥 보강 공정으로 가스 배출 유로를 실링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의 각 층별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회로기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5는 회로기판의 넥 보강 공정으로 가스 배출 유로를 실링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인쇄회로기판의 각 층별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은, 인쇄회로기판(10), 적외선 차단 필터(20) 및 가스 배출 유로(100)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1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의 저면에 실장 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윈도우(12)가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은 복수 개의 레이어(layer) 별로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고온동시소성 세라믹(HTCC, High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부면에는, 후술할 적외선 차단 필터(20)가 윈도우(12)를 덮도록 설치되고, 그 외에 카메라 모듈 제어를 위한 제어 칩셋(10a)과 복수 개의 저항(10b)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1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저면에 마련된 장착위치에 플립칩 공정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이미지 센서(11)의 저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센서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 홈(10c)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은 베이스 부재로 대체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에 상기 윈도우(12)가 형성되어, 상기 윈도우(12)를 중심으로 상측에는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0)가 접착 고정되고,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0)를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이미지 센서(11)가 실장된 회로기판이 결합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12)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0)는 상기 윈도우(12)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0)는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외선 경화 접착물질이나, 열 경화 접착물질로 접착 고정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접착물질은 에폭시 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그 외에 접착 테이프 등 가능한 모든 접착 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12)의 천장면은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0)로 형성되고, 상기 윈도우(12)의 바닥면은 상기 이미지 센서(11)로 형성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가스 배출 유로(100)는 상기 윈도우(12)의 벽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20)의 접착 시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윈도우(12) 내부 공간에서 인쇄회로기판(10)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가스 배출 유로(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터널입구(110)를 가지는 제 1 배출터널(101)과,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외부와 연통되는 터널 출구(120)를 가지며, 그 타단은 상기 제 1 배출터널과 연결되는 제 2 배출터널(10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터널 입구(110)와 터널 출구(120)의 중심축은,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터널(101)(102)은 각각 서로 다른 층에 홈 형상으로 마련될 경우에는, 상기 터널 입구(110)와 터널 출구(120)는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지만, 만일,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터널(101)(102)이 동일 층에 형성되어 구성될 경우에는 이들의 중심축은 서로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터널(101)(102)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으로 마련되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터널 입구와 출구(110)(120)가 연통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배출터널(101)은 상기 제 2 배출터널(102)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중심축간 높이 차이(g)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터널(101)(102)의 연결부분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인쇄회로기판(10)의 각 층별로 형성된 회로패턴이 끊어지지 않도록, 이 회로패턴을 회피하는 구성이면 어떠한 것이든 상관 없으므로, 상기 제 2 배출터널(102)이 제 1 배출터널(101) 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단차 진 구성으로 제 1 및 제 2 배출터널(101)(102)을 연결하면, 윈도우 내부 공간의 가스는 바깥으로 빠져나올 수 있으나, 미세 먼지나 파티클 등과 같은 오염물질은 이 단차부에 걸려, 상기 윈도우(12)의 내에 형성된 공간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터널 출구(120)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립 공정 중에 실링(sealing)을 추가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널 출구(120)는 별도의 실링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상기 카메라 모듈의 조립의 다른 공정을 부수적인 효과로 상기 터널 출구(120)를 실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바닥면은 외부 제어유닛과의 연결을 위해 FPCB(F)를 연결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때, 상기 FPCB(F)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바닥면에서 측면으로 빠져 나오는데,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상기 FPCB(F)의 경계면인 넥(neck)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로 에폭시 수지(S)를 도포한다. 이때, 상기 터널 출구(120)를 상기 에폭시 수지(S)가 도포되는 보강부위에 형성하면, 별도의 실링 공정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상기 에폭시 수지 도포를 통한 넥 보강 고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실링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터널 출구(120)의 위치를 카스텔레이션(castellation) 위치(C, 도 1 참조)에 형성하면, 보이스 코일 모터와 같은 액츄에이터(미도시)의 단자와 솔더링 공정을 통해 연결하는 공정 중에 상기 터널 출구(120)가 솔더와 같은 연결물질로 실링 될 수 있다. 상기 카스텔레이션 위치(C)는 최소 3개소 이상에 마련될 필요가 있는데, 상기 카스텔레이션 위치(C)들 중 2개소는 보이스 코일 모터의 +, -단자 연결을 위해 필요하고, 1개소는 그라운드(GND)단자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 단자는 필요에 따라 더 추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내지 제 3 층(10a)(10b)(10c)으로 구성되는 인쇄회로기판(10)의 층별 구성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층(10a)에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 배출 유로(100)를 형성하지 않고, 제 1 층(10a)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2 층(10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층(10c)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상측면에 홈 형상으로 제 1 배출터널(10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배출터널(101)의 상기 윈도우(12) 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터널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층(10b)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3 층(10c)에는 상기 제 2 층(10b)의 상측과 마주보는 제 3 층(10c)의 하측면에 상기 제2 배출터널(102)과 터널출구(120)만이 마련되도록 홈으로 상기 제 2 배출터널(10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및 제 3 층(10b)(10c)의 적층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가스 배출 유로(1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에 마련된 가스 배출 유로(100)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이미지 센서(11)와 적외선 차단 필터(20)에 의해 실링되는 윈도우(22) 내부 공간부를 인쇄회로기판(10)의 외부와 연통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외선 차단 필터(20)의 고정을 위해 도포된 접착물질의 경화 과정 중에 발생하는 가스가, 상기 내부 공간부에서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가스 형태의 접착물질이 적외선 차단 필터(20)나 이미지 센서(11) 표면에 얼룩을 형성하는 이른바 퓸(fume)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층간 구성으로 가스 배출 유로(100)를 형성하면, 각각의 층에 형성된 회로패턴과 가스 배출 유로(100)가 서로 간섭되지 않아, 회로 단선의 우려가 없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인쇄회로기판 10a; 제어 칩셋
10b; 저항모듈 11; 이미지 센서
20; 적외선 차단 필터 100; 가스 배출유로
101; 제 1 배출터널 102; 제 2 배출터널
110; 터널 입구 120; 터널 출구
C; 카스텔레이션 위치 F; 회로기판
S; 에폭시 수지

Claims (13)

  1. 이미지 센서와 적외선 차단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와 이미지 센서가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윈도우를 가지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윈도우의 벽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고정하는 접착제의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천장면으로 하고, 이미지 센서를 바닥면으로 하는 상기 윈도우 내부 공간에서 인쇄회로기판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 유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측면에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가 설치되고,
    하측면에 상기 이미지 센서가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 유로는,
    상기 윈도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터널입구를 가지는 제 1 배출터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부와 연통되는 터널 출구를 가지며, 그 타단은 상기 제 1 배출터널과 연결되는 제 2 배출터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널 입구와 터널 출구의 중심축은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터널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 유로는,
    상기 윈도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터널입구를 가지는 제 1 배출터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외부와 연통되는 터널 출구를 가지며, 그 타단은 상기 제 1 배출터널과 연결되는 제 2 배출터널;을 포함하며,
    상기 터널 입구와 터널 출구의 중심축은 서로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배출터널은 서로 같은 층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는 플립칩 공정으로 설치되고,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는 접착물질로 접착 고정되는 카메라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질은,
    자외선 경화 에폭시 수지 또는 열 경화 에폭시 수지 중 어느 하나인 카메라 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복수 개의 레이어(layer) 별로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고온동시소성 세라믹(HTCC, High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 유로는,
    각각의 레이어에 형성된 회로패턴과 간섭되지 않는 카메라 모듈.
  11. 이미지 센서와 적외선 차단 필터가 구비되며,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와 이미지 센서가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윈도우를 가지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윈도우의 벽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고정하는 접착제의 경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를 천장면으로 하고, 이미지 센서를 바닥면으로 하는 상기 윈도우 내부 공간에서 인쇄회로기판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 배출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베이스 부재 하측에 설치되는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차단 필터는 접착물질로 접착 고정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물질은,
    자외선 경화 에폭시 수지 또는 열 경화 에폭시 수지 중 어느 하나인 카메라 모듈.
KR1020110132109A 2011-12-09 2011-12-09 카메라 모듈 KR102006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109A KR102006257B1 (ko) 2011-12-09 2011-12-09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109A KR102006257B1 (ko) 2011-12-09 2011-12-09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303A true KR20130065303A (ko) 2013-06-19
KR102006257B1 KR102006257B1 (ko) 2019-08-01

Family

ID=4886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109A KR102006257B1 (ko) 2011-12-09 2011-12-09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2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626A (ko) * 2014-12-30 2016-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9590A (ja) * 2002-06-28 2004-01-29 Kyocera Corp 小形モジュールカメラ
KR20060028635A (ko) * 2003-05-30 2006-03-3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7128987A (ja) * 2005-11-01 2007-05-24 Sharp Corp 半導体パッケージ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KR20090016933A (ko) * 2007-08-13 2009-02-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00073336A (ko) * 2008-12-23 2010-07-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9590A (ja) * 2002-06-28 2004-01-29 Kyocera Corp 小形モジュールカメラ
KR20060028635A (ko) * 2003-05-30 2006-03-3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7128987A (ja) * 2005-11-01 2007-05-24 Sharp Corp 半導体パッケージおよ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KR20090016933A (ko) * 2007-08-13 2009-02-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00073336A (ko) * 2008-12-23 2010-07-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626A (ko) * 2014-12-30 2016-07-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24337A (ko) * 2014-12-30 2022-03-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257B1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2542B2 (ja) 固体撮像装置
CN106158894B (zh) 电子模块及其制造方法
US7456483B2 (en)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and module for optical device
US9401463B2 (en) Optoelectronic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8778984B (zh) 电子装置以及制造电子装置的方法和包括电子装置的面板
US20140041214A1 (en) Panelized process for smt sensor devices
KR20070104010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103247650B (zh) 一种板载芯片模组及其制造方法
KR102006257B1 (ko) 카메라 모듈
US20210114866A1 (en) Mems device with particle filter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90016933A (ko) 카메라 모듈
JP201114700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110505372B (zh) 摄像模块的组装方法
JP2013110593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106019577B (zh) 电光装置、电光装置的制造方法、电光单元及电子设备
EP3456682A1 (en) Sensor system, sensor arrangement, and assembly method using solder for sealing
JP5162607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の組み立て方法
CN114070962B (zh) 感光组件、摄像模组及其感光组件的组装方法
KR102185061B1 (ko) 이미지 센서 조립체와 그 제조 방법, 및 카메라 모듈
CN208781832U (zh) 光学芯片模组
TWI741229B (zh) 相機模組及其鏡頭支架
KR20120117553A (ko) 카메라 모듈
US8906177B2 (en) Method for controlling glue flow
KR101792442B1 (ko) 전자 모듈과 그 제조 방법
WO2020171123A1 (ja) 蓋体、パッケージ、電子装置および電子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