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4514A -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4514A
KR20130064514A KR1020110131161A KR20110131161A KR20130064514A KR 20130064514 A KR20130064514 A KR 20130064514A KR 1020110131161 A KR1020110131161 A KR 1020110131161A KR 20110131161 A KR20110131161 A KR 20110131161A KR 20130064514 A KR20130064514 A KR 20130064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tem
axis
bounding box
specific content
mo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희
심정현
연수진
이용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1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4514A/ko
Priority to PCT/KR2012/010616 priority patent/WO2013085333A1/en
Priority to EP12855801.2A priority patent/EP2788850A4/en
Priority to US13/708,293 priority patent/US9495067B2/en
Publication of KR2013006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4Force feedback applied to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9/00Indexing scheme for 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2219/20Indexing scheme for editing of 3D models
    • G06T2219/2016Rotation, translation, sca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에서 컨텐츠 아이템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을 3차원 공간상에 표시하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편집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편집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 중 특정 컨텐츠 아이템이 이동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이 이동된 경우 상기 이동된 특정 컨텐츠 아이템과 타컨텐츠 아이템의 일부 영역이 겹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영역이 겹치는 경우 상기 일부 영역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최소의 거리만큼 원근 정보를 나타내는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된 특정 컨텐츠 아이템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3D UI IN ELECTRIC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3차원 공간에서 컨텐츠 아이템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전자기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상기 전자기기는 음악 재생 기능, 문자 메시지 송수신 기능, 디지털 방송 수신 기능,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전자기기는 슬림화 및 입력의 편의성으로 인하여 터치스크린을 채용하고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을 채용하는 전자기기는 컨텐츠를 나타내는 다수의 이미지(이하 컨텐츠 아이템)들을 화면(예컨대 홈 화면 또는 메뉴 화면) 상에 표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컨텐츠 아이템들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화면 편집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최근의 전자기기는 3차원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3차원 입체 영상 출력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즉, 최근의 전자기기는 가로(X축) 및 세로(Y축)의 2차원 정보 이외에 공간 정보(Z축)를 더하여 입체적이고, 현실감 있는 3차원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화면이 3차원으로 제공됨에 따라 전자기기의 사용자는 컨텐츠 아이템의 조작(예컨대 재배치)에 어려움 및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아이템들이 3차원 공간상에 자유롭게 배치되어 종래의 전자기기는 컨텐츠 아이템 배치 화면이 시각적으로 복잡해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전자기기의 사용자는 컨텐츠 아이템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컨텐츠 아이템을 다른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타 컨텐츠 아이템들과 간섭(충돌)되는지 확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상기 컨텐츠 아이템들의 모양이 불규칙적이고, 조건에 따라 모양이나 방위 등이 가변되는 경우 더욱 커진다. 따라서, 최근에는 3차원 공간에서 컨텐츠 아이템을 용이하게 조작(예컨대 재배치)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공간에서 컨텐츠 아이템들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텐츠 아이템 재배치 시 아이템들이 겹쳐서 배치되지 않도록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집 모드 시 컨텐츠 아이템들이 차지하는 공간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컨텐츠 아이템의 외곽에 바운딩 박스(Bounding Box)를 제공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집 모드 시 컨텐츠 아이템들이 정렬되는 기준선을 제공하고, 상기 기준선을 따라 컨텐츠 아이템들이 배치되도록 하여 컨텐츠 아이템 배치의 복잡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을 3차원 공간상에 표시하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편집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편집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 중 특정 컨텐츠 아이템이 이동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이 이동된 경우 상기 이동된 특정 컨텐츠 아이템과 타컨텐츠 아이템의 일부 영역이 겹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영역이 겹치는 경우 상기 일부 영역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최소의 거리만큼 원근 정보를 나타내는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된 특정 컨텐츠 아이템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을 3차원 공간상에 표시하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편집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 중 특정 컨텐츠 아이템이 이동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이 이동된 경우 상기 이동된 특정 컨텐츠 아이템과 타컨텐츠 아이템의 일부 영역이 겹치는지 확인하며, 상기 일부 영역이 겹치는 경우 상기 일부 영역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최소의 거리만큼 원근 정보를 나타내는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을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컨텐츠 아이템들이 3차원 공간에서 겹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집 모드에서 상기 컨텐츠 아이템에 할당된 공간을 바운딩 박스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컨텐츠 아이템 재배치 시 타 컨텐츠 아이템과의 간섭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 배치를 위한 기준선을 따라 컨텐츠 아이템이 정렬된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컨텐츠 아이템의 배치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아이템의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아이템의 충돌 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오디오 처리부(160), 무선 통신부(150), 입력부(140), 터치스크린(130), 저장부(120) 및 제어부(11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표시 패널(131) 및 터치 패널(13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110)는 바운딩 박스 생성부(111), 충돌 판단부(112) 및 아이템 정렬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기지국과 통화(음성 통화 및 화상 통화 포함)를 위한 통신 채널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통신 채널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미도시),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미도시) 및 수신 신호와 송신 신호를 분리하는 송수신 분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컨텐츠(예컨대 음악 파일,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위젯 응용프로그램, 전자책, 게임 등)를 타전자기기 또는 웹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하거나, 컨텐츠를 타전자기기 또는 웹서버(미도시)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기기(100)가 무선 통신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상기 무선 통신부(150)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마이크(MIC, Microphone) 및 스피커(SPK, Speaker)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11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 처리부(16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처리부(160)는 제어부(110)의 제어 하에 컨텐츠 아이템 편집 모드에서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이 타컨텐츠 아이템과 충돌되는 경우 즉,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과 타컨텐츠 아이템의 일부 영역이 겹치는 경우 이를 알리는 효과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40)는 숫자 또는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전자기기(100)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4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력부(140)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제어를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 예를 들어, 편집 모드를 온/오프(ON/OFF)하는 입력 신호, 컨텐츠 아이템의 이동을 요청하는 입력 신호 등을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40)는 버튼식 키패드(Key Pad), 볼 조이스틱(Ball Joystick), 옵티컬 조이스틱(Optical Joystick), 휠 키(Wheel Key), 터치 키(Touch key), 터치 패드(Touch Pad), 터치스크린(130) 등과 같은 입력 수단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입력 기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130)은 출력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 패널(131) 및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 패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31)은 전자기기(100)의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 패널(131)은 전자기기(1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대기 화면(홈 화면), 메뉴 화면, 컨텐츠 리스트 화면, 통화 화면, 일정 관리 화면, 주소록 화면, 웹 페이지 출력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 패널(131)은 상기 대기 화면(홈 화면), 메뉴 화면, 컨텐츠 리스트 화면 등과 같이 다수의 컨텐츠 아이템들이 표시되는 화면을 가로(X축), 세로(Y축) 및 깊이(Z축) 정보를 가지는 3차원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3차원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을 3차원 공간상에 배치한다. 상기 컨텐츠 아이템은 3차원 즉,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움직이지 않는 정지된 형태(이하 정적 컨텐츠 아이템) 또는 회전하거나 기정의된 규칙에 따라 모양이 가변되는 동적인 형태(이하 동적 컨텐츠 아이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31)은 편집 모드 시 3차원 화면에 표시 중인 각 컨텐츠 아이템에 할당된 공간을 나타내는 바운딩 박스(Bounding Box)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바운딩 박스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운딩 박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31)은 컨텐츠 아이템의 정렬 기준이 되는 다수의 기준선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기준선은 X축, Y축 및 Z축 각각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31)은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아이템이 재배치된 3차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표시 패널(131)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32)은 표시 패널(131)의 전면에 장착되며, 터치 입력 장치 예컨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등의 접촉에 따라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132)은 터치 입력 장치의 접촉에 따른 물리량(예컨대 정전 용량, 저항 등)의 변화를 통해 터치를 인식하고, 터치의 종류(탭(Tap), 드래그(Drag), 플릭(Flick), 더블 터치(Double-touch), 롱 터치(Long-touch), 멀티 터치(Multi-touch) 등) 및 터치된 위치 정보를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터치 패널(132)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132)은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제어를 위한 다양한 터치 이벤트 예를 들어, 편집 모드를 온/오프(ON/OFF)하는 터치 이벤트, 특정 컨텐츠 아이템을 터치하고 다른 위치로 터치 이동 후 터치 해제하는 터치 이벤트(이하 드래그앤드롭(Drag&Drop)) 등을 제어부(1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20)는 전자기기(100)의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를 비롯하여, 기타 옵션(options)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방송 재생 기능 등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사용자 데이터 및 통신 시 송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는 터치스크린(130)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키 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게임, 음악 파일, 전자책, 위젯 응용 프로그램 등과 같은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20)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편집 모드를 제어하는 편집 모드 응용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편집 모드 응용프로그램은 상기 편집 모드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루틴,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를 생성하는 루틴, 상기 컨텐츠 아이템들의 충돌 여부를 판단하는 루틴, 상기 컨텐츠 아이템들을 기준선을 따라 정렬하는 루틴, 충돌된 컨텐츠 아이템들의 Z축의 중심값을 추출하여 비교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컨텐츠 아이템들의 바운딩 박스 정보(예컨대 크기, 각 꼭지점의 좌표), 상기 컨텐츠 아이템들을 정렬하기 위한 기준선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10)는 각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 사이의 최소 이격 거리(이하 옵셋 값(Offset value))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전자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전자기기(100)의 내부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10)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편집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110)는 바운딩 박스 생성부(111), 충돌 판단부(112) 및 아이템 정렬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운딩 박스 생성부(111)는 편집 모드 실행 시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바운딩 박스는 사용자가 컨텐츠 아이템에 할당된 공간을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하며, 컨텐츠 아이템 이동 시 상기 충동 판단부(112)가 타 컨텐츠 아이템과의 충돌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바운딩 박스 생성부(111)는 컨텐츠 아이템의 타입에 따라 바운딩 박스를 다르게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기나 모양이 변하지 않는 정적 컨텐츠 아이템인 경우 상기 바운딩 박스 생성부(111)는 정적 컨텐츠 아이템의 X축, Y축 및 Z축의 좌표들 각각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이용하여 직육면체 형태의 박스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기정의된 규칙에 따라 회전하거나 모양 또는 방위가 가변적인 동적 컨텐츠 아이템인 경우 상기 바운딩 박스 생성부(111)는 동적 컨텐츠 아이템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바운딩 박스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편집 모드 진입 시 바운딩 박스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새로운 컨텐츠가 설치되거나, 타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바운딩 박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바운딩 박스를 컨텐츠 아이템과 매핑하여 저장한 후 편집 모드 진입 시 매핑된 바운딩 박스를 불러오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충돌 판단부(112)는 편집 모드에서 컨텐츠 아이템이 이동되는 경우 타 컨텐츠 아이템과 충돌이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충돌 판단부(112)는 편집 모드에서 컨텐츠 아이템이 이동되는 경우 타 컨텐츠 아이템과 일부 영역이 겹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돌 판단부(112)는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를 기준으로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충돌 판단부(112)는 컨텐츠 아이템들의 일부 영역이 실제로 겹치지 않더라도 컨텐츠 아이템들의 바운딩 박스들이 겹치는 경우 충돌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운딩 박스를 이용하여 충돌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본 발명의 충돌 판단부(112)는 컨텐츠 아이템의 모양이 불규칙적이고, 가변적이며, 동적으로 움직이는 경우라 하더라도 충돌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아이템 정렬부(113)는 X축, Y축 및 Z축 각각에 대하여 일정 간격으로 표시되는 다수의 기준선을 기반으로 컨텐츠 아이템을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이템 정렬부(113)는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가 기준선과 일치하도록 정렬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이템 정렬부(111)는 X축 방향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 Y축 방향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 Z축 방향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가 해당 방향의 기준선과 각각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모서리라도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아이템 정렬부(111)는 일치하지 않는 방향의 바운딩 박스의 모서리를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것으로 측정된 기준선과 일치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컨텐츠 아이템이 이동되어 타컨텐츠 아이템과 충돌된 경우 상기 아이템 정렬부(111)는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중심값과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중심값을 비교하여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Z축 중심값이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Z축 중심값보다 큰 경우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Z축 값을 증가시켜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앞에 위치하도록 정렬하고,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Z축 중심값이 타 컨텐츠 아이템의 Z축 중심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Z축 값을 감소시켜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뒤에 위치하도록 정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템 정렬부(113)는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과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이 충돌되지 않는 최소한의 거리만큼 Z축 음의 방향 또는 양의 방향으로 상기 이동된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이템 정렬부(113)는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크기와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크기의 합의 반에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중심값과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중심값의 차를 뺀값만큼 Z축 음의 방향 또는 양의 방향으로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크기가 6이고,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크기가 10이며,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중심값이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중심값보다 2만큼 작은 경우 상기 아이템 정렬부(113)는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을 Z축 음의 방향으로 6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크기가 6이고,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크기가 10이며,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중심값이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중심값보다 2만큼 큰 경우 상기 아이템 정렬부(113)는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을 Z축 양의 방향으로 6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템 정렬부(113)는 기 설정된 옵셋값을 더하여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도 1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자기기(100)는 위치 정보 수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방송 수신을 위한 방송 수신 모듈, MP3 모듈과 같은 디지털 음원 재생 모듈 및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 통신 모듈 등의 부가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100)는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100)의 제어부(110)는 201 단계에서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화면을 출력하도록 터치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도 3의 식별 부호 3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30a, 30b, 30c, 30d : 30)들이 3차원 공간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아이템들(30)은 3차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지된 형태(이하 정적 컨텐츠 아이템) 또는 동적으로 움직이는 형태(이하 동적 컨텐츠 아이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동적 컨텐츠 아이템은 제자리에서 회전하거나, 일정 규칙에 따라 모양 및 방위(좌표)가 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아이템들의 위치는 상기 식별 부호 310의 화면 예시도의 좌측 하단에 도시된 좌표계(Coordinate System)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자기기(100)는 좌측 하단을 원점으로 하며, X축, Y축 및 Z축을 포함하는 3차원 좌표계를 이용하여 컨텐츠 아이템들의 위치 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X축 좌표는 가로 위치 정보를 나타내고, Y축 좌표는 세로(높이) 위치 정보를 나타내며, Z축은 깊이(원근) 정보 즉, 사용자와 컨텐츠 사이의 거리 정보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식별 부호 310의 화면 예시도에서 상기 좌표계의 X축 및 Y축은 양의 값을 가지며, Z축은 음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일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제어부(110)는 203 단계에서 편집 모드가 실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편집 모드는 컨텐츠 아이템들의 위치를 이동하거나, 삭제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편집 모드는 기 설정된 키 신호 입력, 메뉴 선택, 홈 화면 또는 메뉴 화면상에서 컨텐츠 아이템의 롱 터치 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편집 모드가 실행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205 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음악 재생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을 수행하거나,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편집 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207 단계로 진행하여 편집 화면을 출력하도록 터치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도 3의 식별 부호 3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컨텐츠 아이템에 바운딩 박스(Bounding Box, 40a, 40b, 40c, 40d : 40)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바운딩 박스들(40)은 각 컨텐츠 아이템에 할당된 공간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하며, 컨텐츠 아이템들의 충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각 컨텐츠 아이템들의 바운딩 박스(40)의 크기(예컨대 바운딩 박스가 차지하는 영역 또는 상기 바운딩 박스가 차지하는 영역에 상기 옵셋값이 더해진 영역)를 기반으로 컨텐츠 아이템들의 충돌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운딩 박스(40)는 컨텐츠 아이템의 유형에 따라 생성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부호 30d의 컨텐츠 아이템과 같이 크기나 모양이 변하지 않는 즉, 즉, 차지하는 공간이 항상 일정한 정적 컨텐츠 아이템인 경우 상기 바운딩 박스(40d)는 상기 정적 컨텐츠 아이템의 최외각 좌표들을 기준으로 만들어지는 직육면체가 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운딩 박스(40d)는 정적 컨텐츠 아이템의 X축, Y축 및 Z축의 좌표들 각각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직육면체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 부호 30a, 30b 및 30c와 같이 일정 규칙에 따라 회전하거나 모양 또는 방위가 가변적인 즉, 차지하는 공간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변하는 동적 컨텐츠 아이템인 경우 상기 바운딩 박스(40)는 상기 동적 컨텐츠 아이템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동적 컨텐츠 아이템이 차지하는 공간의 변화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209 단계에서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이동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후술하는 225 단계로 진행한다. 반면에,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이동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211 단계로 진행하여 이동된 특정 컨텐츠 아이템과 타 컨텐츠 아이템이 충돌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이동 완료 후(즉, 터치가 해제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이동된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와 타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일부 영역이 겹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바운딩 박스의 크기에 상기 오프 셋값이 더해진 영역의 일부가 겹치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211 단계에서 상기 이동된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와 타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일부 영역이 겹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213 단계로 진행하여 X축, Y축 및 Z축 기준선을 따라 상기 이동된 특정 컨텐츠 아이템을 정렬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211 단계에서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와 타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가 겹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215 단계에서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 및 상기 타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중심값을 각각 비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217 단계에서 상기 비교 결과를 토대로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Z축 중심값이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Z축 중심값 이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217 단계에서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Z축 중심값이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Z축 중심값 미만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219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이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뒤쪽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에, 상기 217 단계에서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Z축 중심값이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Z축 중심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221 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이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223 단계에서 X축, Y축 및 Z축 기준선을 따라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을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0)는 225 단계에서 편집 모드가 종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편집 모드가 종료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209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편집 모드가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201 단계로 복귀하여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터치 해제 후 일부 영역이 겹치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이동 중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와 타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가 겹치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시각 피드백, 청각 피드백 및 촉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0)는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과 타 컨텐츠 아이템의 충돌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의 색상을 변경하거나, 효과음을 출력하거나,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 4의 식별 부호 41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은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에서 편집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편집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4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편집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컨텐츠 아이템(30a)의 외곽에 바운딩 박스(40a)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아이템(30a)이 편집 모드 상태에서 우측 상단에 삭제 기능이 할당된 삭제 아이콘(50)이 출력되는 컨텐츠 아이템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식별 부호 42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삭제 아이콘(50)을 포함하도록 바운딩 박스(40a)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운딩 박스를 생성하고자 하는 컨텐츠 아이템이 Y축 성분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정육면체 형태의 컨텐츠 아이템(30c)인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51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정면인 상태를 기준으로 바운딩 박스(40c)의 크기를 결정하지 않고, 식별 부호 5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컨텐츠 아이템(30c)이 45도 회전했을 때를 기준으로 바운딩 박스(40c)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530 및 54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아이템(30c)이 45도 회전했을 때의 X축 및 Z축의 최대값 및 최소값을 이용하여 바운딩 박스(40c)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운딩 박스(40c)의 X축 및 Z축의 크기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30c)의 X축 및 Z축의 대각선 길이와 같아지고, 바운딩 박스(40c)의 Y축의 크기는 컨텐츠 아이템(30c)의 회전에 따라 가변되지 않으므로 컨텐츠 아이템(30c)의 Y축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6의 식별 부호 6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축에 대하여 위치가 반전되도록 움직이는 컨텐츠 아이템(30b)의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6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바운딩 박스(40b)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바운딩 박스(40b)의 X축 크기는 컨텐츠 아이템(30b)의 X축 크기의 2배로 증가하고, Y축 및 Z축의 크기는 컨텐츠 아이템(30b)의 Y축 및 Z축의 크기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운딩 박스 생성은 전자기기(100)의 제조 단계에서 수행되거나, 상기 전자기기(100)에 새로운 컨텐츠가 설치될 때 상기 설치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아이템을 대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아이템의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편집 화면에서 사용자는 식별 부호 7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자기기(100)의 제어부(110)는 상기 컨텐츠 아이템의 X축 및 Y축 방향 이동을 위한 제1화면과 X축 및 Z축 방향 이동을 위한 제2화면으로 분리하여 편집 화면을 출력하도록 터치스크린(130)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0)는 제1화면 출력 후 X축 및 Y축 방향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2화면을 출력하도록 터치스크린(130)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상기 전자기기(100)가 기울기를 인식할 수 있는 센서(예컨대 기울기 센서, 중력 센서, 지자기 센서 등)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기기(100)의 기울기를 통해 Z축 방향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130)상의 터치 이동에 따라 컨텐츠 아이템을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전자기기(100)의 기울기에 따라 컨텐츠 아이템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는 전자기기(100)가 제1기울기 범위(예컨대 0도(터치스크린(130)이 지면과 수평인 상태)에서 45도)를 가지는 경우 터치스크린(130)상의 터치 이동에 대응하여 컨텐츠 아이템을 X축 및 Y축 방향 이동으로 이동시키고, 전자기기(100)가 제2기울기 범위(예컨도 45도에서 90도(터치스크린(130)이 지면과 수직인 상태))를 가지는 경우 터치스크린(130)상의 터치 이동에 대응하여 컨텐츠 아이템을 X축 및 Z축 방향 이동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식별 부호 710의 화면 예시도는 특정 컨텐츠(30d)가 X축 양의 방향, Y축 음의 방향, Z측 음의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컨텐츠 아이템(30d)의 바운딩 박스(40d)가 기 설정된 기준선과 일치하도록 정렬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110)는 X축 방향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 Y축 방향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 Z축 방향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가 해당 방향의 기준선과 각각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적어도 어느 한 방향의 모서리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일치하지 않는 방향의 바운딩 박스(40d) 모서리들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기준선들 사이의 거리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7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일치하지 않는 방향의 바운딩 박스(40d) 모서리를 가장 가까운 것으로 측정된 기준선과 일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Z축 방향을 예로 하여 설명하면, 상기 식별 부호 71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제 1 Z축 방향 모서리와 제1기준선 사이의 거리(d1)가 제 2 Z축 방향 모서리와 제2기준선 사이의 거리(d2)보다 가까운 경우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720의 화면 예시도와 같이 제 1 Z축 방향 모서리와 제1기준선이 일치하도록 상기 컨텐츠 아이템(30d)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X축 및 Y축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아이템의 충돌 시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편집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식별 부호 81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집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각 컨텐츠 아이템들(30c, 30d)에 할당된 영역을 나타내는 바운딩 박스들(40c, 40d) 및 컨텐츠 아이템들(30c, 30d)의 정렬 기준이 되는 다수의 기준선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식별 부호 820 및 식별 부호 83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을 드래그 앤 드롭하여 타컨텐츠 아이템(30c)과 겹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이동된 위치에서의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의 바운딩 박스(40d)의 Z축 중심값(Z1) 및 타컨텐츠 아이템(30c)의 바운딩 박스(40c)의 Z축 중심값(Z2)을 계산한 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의 위치를 Z축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식별 부호 830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면,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의 바운딩 박스(40d)의 Z축 중심값(Z1)이 타컨텐츠 아이템(30c)의 바운딩 박스(40c)의 Z축 중심값(Z2)보다 작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식별 부호 840의 화면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을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30c)의 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10)는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의 바운딩 박스(40d)와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30c)의 바운딩 박스(40c)가 겹치지 않는 최소 범위 내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의 바운딩 박스(40d)의 Z축 크기와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30c)의 바운딩 박스(40c)의 Z축 크기의 합의 반에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의 바운딩 박스(40d)의 Z축 중심값과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30c)의 바운딩 박스(40c)의 Z축 중심값의 차를 뺀값만큼 Z축 음의 방향 또는 양의 방향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을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의 바운딩 박스(40d)의 Z축 크기가 6이고, 상기 타 컨텐츠 아이템(30c)의 바운딩 박스(40c)의 Z축 크기가 10이며,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의 바운딩 박스(40d)의 Z축 중심값이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30c)의 바운딩 박스(40c)의 Z축 중심값보다 2만큼 작은 경우 상기 아이템 정렬부(113)는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을 Z축 음의 방향으로 6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의 바운딩 박스(40d)의 Z축 크기가 6이고, 상기 타 컨텐츠 아이템(30c)의 바운딩 박스(40c)의 Z축 크기가 10이며,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의 바운딩 박스(40d)의 Z축 중심값이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30c)의 바운딩 박스(40c)의 Z축 중심값보다 2만큼 큰 경우 상기 아이템 정렬부(113)는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을 Z축 양의 방향으로 6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이템 정렬부(113)는 기 설정된 옵셋값(예컨대 1)을 더하여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각 컨텐츠 아이템들이 최소한의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의 Z축 방향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10)는 상기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바운딩 박스(40d)의 X축, Y축 및 Z축 방향 모서리가 가장 가까운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기준선과 일치하도록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30d)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된 컨텐츠 아이템을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앞쪽에 위치시키는 방법은 이동 방향만 다를 뿐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컨텐츠 아이템 충돌 시 일정 규칙(기준선)에 따라 정렬하며, 사용자가 이동시키고자 했던 위치에서 컨텐츠 아이템의 이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본 명세서 및 도면을 통해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전자기기 110 : 제어부
120 : 저장부 130 : 터치스크린
140 : 입력부 150 : 무선통신부
160 : 오디오처리부 111 : 바운딩 박스 생성부
112 : 충돌 판단부 113 : 아이템 정렬부
131 : 표시패널 132 : 터치패널

Claims (20)

  1.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을 3차원 공간상에 표시하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편집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편집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 중 특정 컨텐츠 아이템이 이동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이 이동된 경우 상기 이동된 특정 컨텐츠 아이템과 타컨텐츠 아이템의 일부 영역이 겹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일부 영역이 겹치는 경우 상기 일부 영역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최소의 거리만큼 원근 정보를 나타내는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된 특정 컨텐츠 아이템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모드 실행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에 할당된 공간을 나타내는 바운딩 박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시키는 단계는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성분의 중심값과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성분의 중심값의 크기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성분의 중심값이 큰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Z축 좌표값을 증가시켜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앞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성분의 중심값이 작은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Z축 좌표값을 감소시켜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뒤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모드 실행 시 상기 3차원 공간의 X축, Y축 및 Z축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의 정렬 기준이 되는 다수의 기준선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이 겹치지 않는 경우 상기 다수의 기준선을 따라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Z축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위치를 이동시킨 후 상기 3차원 공간의 X축, Y축 및 Z축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기준선을 따라 상기 이동된 특정 컨텐츠 아이템을 정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은
    차지하는 공간이 항상 일정한 정적 컨텐츠 아이템; 및
    기 정의된 규칙에 따라 차지하는 공간이 변하는 동적 컨텐츠 아이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 정의된 규칙에 따라 변화되는 동적 컨텐츠 아이템의 공간의 최대 크기로 상기 동적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된 특정 컨텐츠 아이템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최소의 거리에 기 설정된 옵셋값을 더한 후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영역이 겹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 영역이 겹치는 경우 시각 피드백, 촉각 피드백 및 청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1.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을 3차원 공간상에 표시하는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편집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 중 특정 컨텐츠 아이템이 이동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이 이동된 경우 상기 이동된 특정 컨텐츠 아이템과 타컨텐츠 아이템의 일부 영역이 겹치는지 확인하며, 상기 일부 영역이 겹치는 경우 상기 일부 영역이 겹치지 않도록 하는 최소의 거리만큼 원근 정보를 나타내는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을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 모드 실행 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에 할당된 공간을 나타내는 바운딩 박스를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성분의 중심값과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성분의 중심값의 크기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성분의 중심값이 큰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Z축 좌표값을 증가시켜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앞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의 Z축 성분의 중심값이 작은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Z축 좌표값을 감소시켜 상기 타컨텐츠 아이템의 뒤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집 모드 실행 시 상기 3차원 공간의 X축, Y축 및 Z축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의 정렬 기준이 되는 다수의 기준선을 표시하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영역이 겹치지 않는 경우 상기 다수의 기준선을 따라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을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의 Z축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위치를 이동시킨 후 상기 3차원 공간의 X축, Y축 및 Z축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기준선을 따라 상기 이동된 특정 컨텐츠 아이템을 정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아이템은
    차지하는 공간이 항상 일정한 정적 컨텐츠 아이템; 및
    기 정의된 규칙에 따라 차지하는 공간이 변하는 동적 컨텐츠 아이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 정의된 규칙에 따라 변화되는 동적 컨텐츠 아이템의 공간의 최대 크기로 상기 동적 컨텐츠 아이템의 바운딩 박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최소의 거리에 기 설정된 옵셋값을 더한 후 상기 Z축 방향을 따라 상기 특정 컨텐츠 아이템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부 영역이 겹치는 경우 시각 피드백, 촉각 피드백 및 청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KR1020110131161A 2011-12-08 2011-12-08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30064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161A KR20130064514A (ko) 2011-12-08 2011-12-08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CT/KR2012/010616 WO2013085333A1 (en) 2011-12-08 2012-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in an electronic device
EP12855801.2A EP2788850A4 (en) 2011-12-08 2012-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IN ELECTRONIC DEVICE
US13/708,293 US9495067B2 (en) 2011-12-08 2012-12-07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user interface in an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161A KR20130064514A (ko) 2011-12-08 2011-12-08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514A true KR20130064514A (ko) 2013-06-18

Family

ID=4857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161A KR20130064514A (ko) 2011-12-08 2011-12-08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95067B2 (ko)
EP (1) EP2788850A4 (ko)
KR (1) KR20130064514A (ko)
WO (1) WO20130853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13828A (zh) * 2013-12-11 2014-04-09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两个桌面图标碰撞删除的方法
US10740540B2 (en) * 2013-12-13 2020-08-11 Freedom Scientific, Inc. Techniques for programmatic magnification of visible content elements of markup language documents
CN104317522A (zh) * 2014-11-05 2015-01-28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终端设备、显示装置及其文件图标的展现方法和系统
CN115048007B (zh) * 2014-12-31 2024-05-07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调整界面操作图标分布范围的装置、方法及触摸屏设备
WO2016197247A1 (en) 2015-06-12 2016-12-15 Nurev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 organizing objects in a virtual repository
US10474340B2 (en) * 2016-08-18 2019-11-12 Mapbox, Inc. Providing graphical indication of label boundaries in digital maps
JP6499384B2 (ja) * 2016-08-24 2019-04-10 ナーブ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11113855B2 (en) 2017-11-01 2021-09-07 Mapbox, Inc. Expression interpretation engine for computer map visualizations
CN110389810B (zh) * 2019-07-31 2023-03-31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一种在虚拟画布上快速摆放ui控件的方法、装置及设备
JP6833189B1 (ja) * 2020-04-17 2021-02-24 株式会社セルシス 電子書籍のコンテンツ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52721B1 (en) * 1997-01-24 2003-04-22 Sony Corporation Graphic data generating apparatus, graphic data generation method, and medium of the same
CA2304605A1 (en) * 1998-07-30 2000-02-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 moving image combining apparatus
US20020085219A1 (en) * 2000-08-11 2002-07-04 Victor Ramamoorthy Method of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viewing multi-dimensional images
GB0502891D0 (en) * 2005-02-12 2005-03-16 Next Device Ltd User interfaces
KR100679039B1 (ko) * 2005-10-21 2007-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이를 제공하는 장치 및방법
US20070146360A1 (en) * 2005-12-18 2007-06-28 Powerproduction Software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3D Scenes
JP4163718B2 (ja) 2006-02-28 2008-10-08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オブジェクト表示装置、オブジェクト配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209628B1 (en) * 2008-04-11 2012-06-26 Perceptive Pixel, Inc. Pressure-sensitive manipulation of displayed objects
US20100162151A1 (en) * 2008-12-19 2010-06-24 Microsoft Corporation Techniques for organizing information on a computing device using movable objects
US20100223563A1 (en) * 2009-03-02 2010-09-02 Apple Inc. Remotely defining a user interface for a handheld device
US8648855B2 (en) * 2010-01-12 2014-02-11 Daedal Doodle, LLC Methods for creating developable surfaces
US9398289B2 (en) * 2010-02-09 2016-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n overlay area into a 3D image
JP5589625B2 (ja) * 2010-07-08 2014-09-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293636A1 (en) * 2011-05-19 2012-11-2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utomatic 3-Dimensional Z-Axis Sett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88850A4 (en) 2015-07-22
WO2013085333A1 (en) 2013-06-13
US20130147794A1 (en) 2013-06-13
EP2788850A1 (en) 2014-10-15
US9495067B2 (en) 2016-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64514A (ko) 전자기기의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543940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102459521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671282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button configured according to displayed window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40210740A1 (en) Portable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touch screens and sound output method thereof
KR1022835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88991B2 (en)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90904B1 (ko) 윈도우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AU2014312481B2 (en) Display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screen display methods thereof
JP6113490B2 (ja) 携帯端末機のタッチ入力方法及び装置
KR20160046150A (ko) 도형 컨텐트를 생성 및 해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06180A (ko) 채팅 창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EP2746924B1 (en) Touch input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20140337033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user
KR20150069184A (ko) 휴대형 전자장치의 화면 제어 방법
KR20140118338A (ko) 복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8258B1 (ko) 콘텐츠 편집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기기
US20150128031A1 (en) Contents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20140119546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150002312A (ko) 페이지 표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20160253088A1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20140131051A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