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3848A -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 - Google Patents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3848A
KR20130063848A KR1020110130442A KR20110130442A KR20130063848A KR 20130063848 A KR20130063848 A KR 20130063848A KR 1020110130442 A KR1020110130442 A KR 1020110130442A KR 20110130442 A KR20110130442 A KR 20110130442A KR 20130063848 A KR20130063848 A KR 201300638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late
camera
mobile communication
personal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지현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송지현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현, 김동현 filed Critical 송지현
Priority to KR1020110130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3848A/ko
Priority to PCT/KR2012/000682 priority patent/WO2013085107A1/ko
Publication of KR20130063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8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의 사이에 충진되는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에 관한 것으로, 콘택트렌즈의 광학적 굴절률을 사용하여 카메라의 CCD 또는 CMOS의 F값에 따라 수차보정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화각을 보정하며, 접사, 어안, 망원렌즈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 {An optical lens for camera of mobile equipment and mobile phone}
본 발명은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드콘택트렌즈의 곡률을 이용한 SLR렌즈로서 휴대기기에 기본적으로 장착된 CMOS, CCD카메라의 촬영기능을 보강하고 SLR급의 고급촬영이 가능하도록 한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하드콘택트렌즈의 구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DSLR 카메라의 발전과 수요확대로 사진촬영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개인휴대통신장치 또는 기타 소형 전자장치에 장착된 카메라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과 활용도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장치들에 장착된 카메라 렌즈의 기술 역시 발전하고 있다.
한편, 상기 개인휴대통신장치 또는 기타 소형 전자장치에 장착되는 카메라 렌즈의 단점으로 지적되던 이미지 화소 문제는 해당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기존 DSLR에 버금가는 800만, 1000만 화소까지 근접하게 되었으나, 기존 DSLR 카메라의 렌즈를 광각, 어안, 번들, 접사 렌즈 등으로 다양하게 교체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촬영효과를 발휘하기에는 여전히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기기 전용 하드렌즈가 개발되어 사용자는 이를 추가로 구매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현재 출시되고 있는 전용렌즈는 렌즈 자체의 크기가 크고, 거치대를 추가로 설치해야 하므로 부피가 커져 사용자의 편의성과 휴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기기 자체에 내장된 카메라의 DSLR활용을 위하여 실제 DSLR렌즈 또는 유사장치, 렌즈를 부착용 거치대 등 별도의 장치들을 구성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개발된 DSLR렌즈 또는 유사장치, 렌즈를 부착용 거치대 등 별도의 장치들은 특정 모델의 휴대전화장치 전용으로만 제작되어 타 휴대기기나 구형 피처 폰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우므로 호환성이 떨어지고 비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렌즈들을 휴대장치에 장착함에 있어서도, 별도의 부착 또는 거치장치를 이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으로 휴대가 어렵고 활용도가 낮아지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된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기타 소형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장치에 내장된 카메라 렌즈의 DSLR 활용을 위한 방법으로, 하드콘택트렌즈의 광학적 굴절률을 사용하여 카메라의 CCD또는 CMOS의 F값에 따라 수차보정상태를 양호하게 하고 화각을 보정하며, 접사, 어안, 망원렌즈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렌즈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상기 렌즈(접사, 어안, 망원렌즈)의 호환성 및 교체가 용이하고, 상기 렌즈를 휴대기기의 카메라 표면에 장착 또는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휴대기기의 광학렌즈 촬영 및 분해조립성을 개선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기타 소형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의 크기와 부피를 최소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소형 경량화를 이루는 것은 물론, 휴대성과 사용편의성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접합체;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콘택트렌즈를 포함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의 사이에 충진되는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렌즈는 전방구면굴절율을 가지는 렌즈이고, 상기 제2렌즈는 후방구면굴절율을 가지는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렌즈의 굴절율은 2 내지 5디옵터이고, 상기 제2렌즈의 굴절율은 -10 내지 -30디옵터인 것을 특징으로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 두께 대비 상기 제1렌즈의 외부구면의 볼록한 지점과, 상기 제2렌즈의 내부구면의 오목한 지점까지의 이격거리는 1:0.5~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의 화각비가 1:1.5 내지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콘택트렌즈는 후방구면굴절률을 가지는 렌즈이고, 상기 제2콘택트렌즈는 전방구면굴절률을 가지는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렌즈의 굴절률은 10 내지 20디옵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렌즈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2렌즈는 상기 제1렌즈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 두께 대비 상기 제1렌즈의 내부구면의 볼록한 지점과, 상기 제2렌즈의 내부구면의 오목한 지점까지의 이격거리는 1:1~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의 화각비가 1:1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기타 소형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는, 휴대장치에 내장된 카메라 렌즈의 DSLR 활용을 가능하게 하여 접사, 어안, 망원렌즈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렌즈(접사, 어안, 망원렌즈)의 호환성 및 교체가 용이하고, 상기 렌즈를 휴대기기의 카메라 표면에 장착 또는 탈착을 용이하게 하여 휴대기기의 광학렌즈 촬영 및 분해조립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기타 소형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의 크기와 부피를 최소화하여 제작비용을 절감되고 소형 경량화를 이루는 것은 물론, 휴대성과 사용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접사렌즈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합체 어안렌즈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합체 망원렌즈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휴대장치 접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접사렌즈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일반적인 접사렌즈는 피사체에 근접해서 촬영할 경우 사용되고, 접사렌즈의 최대 촬영배율은 대부분 1:1의 비율을 가지므로 사물의 실제 크기 그대로 이미지 센서에 담을 수 있으며, 단점으로는 피사체에 매우 근접하여 촬영할 경우 중앙부와 주변부가 왜곡되어 촬영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접사렌즈의 구조는 도 1을 참조한바, 상기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의 원거리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되고, 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렌즈(101), 플레이트(102) 및 접합체(1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02)의 일측면은 휴대장치(104)와 접합할 수 있고, 타측면은 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렌즈(101)와 고정 접합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은 휴대장치(104)와 접합하기 위한 접합체(103)를 가지며, 상기 접합체(103)는 접착력을 가지는 접합제 또는, 소정의 접합방법으로 휴대장치(104)와 접합 또는 접합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렌즈(101)의 소재 및 성형방법은 글리콜카보네이트, 셀루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late: CAB)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ylmetacrylate: PMMA) 및 실리콘 함유 소수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소재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콘택트 렌즈 재료를 캐스트 몰딩(Cast Molding) 금형주조를 통하여 성형할 수 있다. 이하 후술하게 될 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렌즈의 소재 및 성형방법도 상기와 동일하며, 렌즈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한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방법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렌즈(101)는 전방구면굴절률의 변화에 따라 접사(Macro)의 배율기능이 발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단일 접사렌즈의 전방구면굴절력은 5 내지 20 디옵터(D)이며 상기 렌즈의 전방굴절력의 차이에 따라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의 촬상소자에 맺히는 상이 다르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SLR렌즈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일 접사렌즈는 5 내지 20디옵터(D)의 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볼록렌즈(101)와 약 1mm 내외의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102)가 접합하여 구성되며, 20D 시에는 최대 50배의 확대배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02)는 개인휴대전화장치 또는 전자장치의 카메라 모듈이나 카메라 보호케이스의 모양에 맞도록 제작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약 1mm 내외 두께(d)의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의 소재는 상기 렌즈와 동일한 소재그룹 중에서 선택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체(103)로는 아크릴계 고분자 중합체 또는 제클(Geckel)등의 나노접착물질 또는 소정의 접착력을 가진 접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02)와 접합체(103)는, 렌즈(101)를 휴대장치(104) 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장치이며, 상기 플레이트(102)의 일측면은 휴대장치(104) 카메라 외각의 보호글라스 또는 카메라 보호커버의 평면부분에 부착될 수 있도록 별도의 투명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02)의 가장자리에 접합제를 가공 처리하여 렌즈의 사용 전후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접사렌즈(100)를 상기 플레이트(102)와 접합체(103)를 이용하여 휴대장치(104)에 접합한 사용 상태단면도이다.
이하, 구성되는 이중접합렌즈에 대한 접합 방법도 상기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장치에 상기 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볼록렌즈의 굴절력의 차이에 따라 원하는 렌즈를 장착함으로써,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의 촬상소자에 맺히는 상을 다르게 하여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SLR렌즈의 접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안렌즈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합체 어안렌즈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안렌즈의 구조는 도 2를 참조한바, 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1차렌즈(201), 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2차렌즈(205), 플레이트(102) 및 접합체(1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02)의 일측면은 휴대장치(104)와 접합하고, 타측면은 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1차렌즈(201) 및 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2차렌즈(205)의 이중합체 어안렌즈(200)와 고정 접합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은 휴대장치(104)와 접합하기 위한 접합체(103)를 가지며, 상기 접합체(103)는 접착력을 가지는 접합제 또는, 소정의 접합방법으로 휴대장치(104)와 접합 또는 접합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안렌즈는 휴대장치(104)로부터, 플레이트(102), 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1차렌즈(201) 및 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2차렌즈(205) 순으로 구성되는 이중합체 어안렌즈(2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1차렌즈(201)와 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2차렌즈(205)의 이중합체 어안렌즈(200)는 1차렌즈(201)의 전방구면굴절률의 변화와 2차 렌즈의 후방구면굴절률의 변화에 따라 어안(Fish-eye)의 기능이 발현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합체 어안렌즈의 구조에서, 1차렌즈(201)의 전방구면굴절력은 2 내지 5디옵터(D)이며, 상기 1차렌즈(201)의 하부평면의 둘레에 약 1mm내외의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102)가 접합되고, 상기 1차렌즈(201)의 외부구면의 볼록한 지점과, 상기 2차렌즈(205)의 내부구면의 오목한 지점까지의 이격거리(g1)는 플레이트 두께(d)와 비교하여 d:g1 이 1:0.5~1:3의 이격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2차렌즈(205)의 후방구면굴절력은 -10 내지 -30디옵터(D)이며, 후방구면굴절률을 가지는 2차렌즈(205)가 상기 1차 렌즈(201) 상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1차 렌즈(201)와 2차 렌즈(205)의 화각비(θ)는 상기 1차렌즈(201)의 화각비(θ1)와 상기 2차렌즈(205)의 화각비(θ2)가 1:1.5 내지 1:3.5 화각비(θ)를 가진다.
또한, 상기 1차 렌즈(201)와 2차 렌즈(205)가 상하부 합체된 이중합체렌즈(200)는 이격거리 내에 빈 공간에 실리콘계 오일(106)을 주입하여 화상입사각에 맞추어 포커싱 작업을 실시하면 화면외각에 왜곡을 가지는 어안렌즈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차렌즈(205)의 외측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을 관통하는 오일인젝션 홀(20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일인젝션 홀(206)을 통하여 실리콘계 오일(106)을 바늘 또는 기타 유사한 장치에 의해 충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이 삽입된 후에는 상기 2차렌즈(205)의 소재가 갖는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오일인젝션 홀(206)이 원상태로 복구되어 홀이 메워지게 되므로 별도의 봉합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실리콘계 오일(106)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장치에 상기 전후방구면굴절력을 달리하는 이중합체 어안렌즈를 장착함으로써,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의 촬상소자에 맺히는 상을 다르게 하여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SLR렌즈의 어안렌즈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중합체 망원렌즈의 구조에 해 알아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합체 망원렌즈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망원렌즈의 구조는 도 3을 참조한바, 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1차렌즈(305), 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2차렌즈(301), 플레이트(102) 및 접합체(1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02)의 일측면은 휴대장치(104)와 접합하고, 타측면은 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1차렌즈(305) 및 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2차렌즈(301)의 이중합체 망원렌즈와 고정 접합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은 휴대장치(104)와 접합하기 위한 접합체(103)를 가지며, 상기 접합체(103)는 접착력을 가지는 접합제 또는, 소정의 접합방법으로 휴대장치(104)와 접합 또는 접합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망원렌즈는 휴대장치(104)로부터, 플레이트(102), 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1차렌즈(305) 및 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2차렌즈(301) 순으로 구성되는 이중합체 망원렌즈(3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1차렌즈(305)와 전방구면굴절력을 가지는 2차렌즈(301)의 이중합체 망원렌즈(300)는 1차 렌즈의 후방구면굴절률의 변화와 2차 렌즈의 전방구면굴절률의 변화에 따라 망원(Tele scope)의 기능이 발현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합체 망원렌즈의 구조에서, 1차렌즈(305)의 후방구면굴절력은 -10 내지 -30디옵터(D)이며, 상기 1차렌즈(305)의 하부평면의 둘레에 약 1mm내외의 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102)가 접합되고, 상기 1차렌즈(305)의 내부구면의 오목한 지점과, 상기 2차렌즈(305)의 내부구면의 볼록한 지점까지의 이격거리(g2)는 플레이트 두께(d)와 비교하여 d:g2 가 1:1~1:3의 이격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10 내지 20디옵터(D)의 전방구면굴절률을 가지는 2차렌즈(301)가 상기 1차 렌즈(305)의 오목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1차 렌즈(305)의 화각비(θ3)와 2차 렌즈(301)의 화각비(θ4)는 1:1 내지 1:3 의 화각비(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렌즈(305)와 2차 렌즈(301)가 합체된 이중합체렌즈(300)는 이격거리 내에 빈 공간에 실리콘계 오일을 주입하여 화상입사각에 맞추어 포커싱 작업을 실시하면 원거리의 물체를 가깝게 볼 수 있는 망원렌즈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차렌즈(301)의 외측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을 관통하는 구비된 오일인젝션 홀(30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일인젝션 홀(306)을 통하여 실리콘계 오일(106)을 바늘 또는 기타 유사한 장치에 의해 충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이 삽입된 후에는 상기 2차렌즈(301)의 소재가 갖는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오일인젝션 홀(306)이 원상태로 복구되어 홀이 메워지게 되므로 별도의 봉합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실리콘계 오일(106)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장치에 상기 전후방구면굴절력을 달리하는 이중합체 망원렌즈를 장착함으로써,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의 촬상소자에 맺히는 상을 다르게 하여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SLR렌즈의 망원렌즈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하드콘택트렌즈는 시력교정용의 것이 아닌 휴대장치의 카메라의 화각을 보정하고 접사, 어안, 망원의 기능을 하는 렌즈를 말한다.
먼저, 하드콘택트렌즈의 특성상 산소가 투과되지 않는 산소불투과성이고, 굴절지수가 높은 소재로 구면굴절, 프리즘굴절률에 따라 각각의 디옵터(D)를 가지는 하드콘택트렌즈를 광학설계 한다. (S100)
다음으로, 광학설계한 제품형상을 1차 및 2차 사출금형의 방법으로 금형가공 할 수 있다.
상기 사출금형은 사출성형기에 금형을 부착한 후 적정한 온도로 용융된 수지를 제품형상(하드콘택트렌즈)의 금형 캐비티 내에 적정한 압력과 속도로 충진시킨 다음, 일정한 시간을 두고 충진된 수지를 냉각고화시켜 성형품(하드콘택트렌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성형품(하드콘택트렌즈)과 같은 디자인화 된 금속성 형상부위 중 이동측의 성형품을 코어라고 하고 고정측의 성형품명을 캐비티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제품형상은, 광학설계를 기반으로 가공성 검토에 따라 사출용 금형코어의 소재를 니켈동으로 하고 광학설계의 토릭형상 가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형코어는 토릭 및 오프셋 구면의 복합변 가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3차원 고속가공기(22,000RPM)를 사용하여 황삭, 1차 정삭가공 및 2차 정삭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공된 렌즈사출용 코어는 코어표면에 요구되는 형상정도 PV 0.2㎛, 표면조도(거칠기) Ra 10㎚ 이하의 가공공차를 가질 수 있다. (S200)
다음으로, 금형주조법(Cast Molding)을 이용한 1차, 2차렌즈의 사출성형을 시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출성형의 재료로 글리콜카보네이트, 셀루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late: CAB)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ylmetacrylate: PMMA) 및 실리콘 함유 소수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소재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하드콘택트렌즈 재료를 캐스트 몰딩(Cast Molding) 금형주조를 통하여 성형할 수 있으며, 상기 하드콘택트렌즈 재료를 가소화 시키고 가소화된 용융수지를 성형기(사출기) 노즐을 통해 금형 내 충진 시키고 냉각고화시켜 취출할 수 있다. (S300)
다음으로, 취출된 렌즈를 폴리싱 등 후가공 작업으로 표면처리 할 수 있다. (S400)
다음으로, 제조된 1차렌즈 및 2차렌즈를 본 발명에 따른 단일접사렌즈로 구성하거나, 어안렌즈 또는 망원렌즈로 구성하기 위해 렌즈의 접합부위를 접합제를 사용하여 이중합체 렌즈로 접합할 수 있다. (S500)
다음으로, 이중합체 어안렌즈 또는 이중합체 망원렌즈로 렌즈를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1차렌즈 및 2차렌즈의 이격공간에 실리콘계 오일을 충진한 후 봉합한다.
이때, 상기 1차렌즈 또는 2차렌즈의 외측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을 관통하는 오일인젝션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일인젝션 홀을 통하여 실리콘계 오일을 바늘 또는 기타 유사한 삽입장치에 의해 충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이 삽입된 후에는 상기 1차렌즈 또는 2차렌즈의 소재가 갖는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오일인젝션 홀이 원상태로 복구되어 홀이 메워지게 되므로 별도의 봉합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실리콘계 오일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600)
다음으로, 상기 이중합체된 렌즈를 고정용 플레이트에 접합 고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합체 렌즈를 제조할 수 있다. (S700)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단일접사렌즈 101: 전방구면굴절렌즈
102: 플레이트 103: 접합체
104: 휴대장치 106: 실리콘계 오일
200: 이중복합 어안렌즈 201, 305: 1차렌즈
205, 301: 2차렌즈 206, 306: 오일인젝션홀
300: 이중복합 망원렌즈

Claims (13)

  1.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접합체;
    상기 플레이트의 타측면에 위치하는 콘택트렌즈를 포함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렌즈는 글리콜카보네이트, 셀루로오스 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late: CAB)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ylmetacrylate: PMMA) 및 실리콘 함유 소수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소재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하드콘택트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
  3.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의 사이에 충진되는 실리콘계 오일을 포함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는 전방구면굴절률을 가지는 렌즈이고,
    상기 제2렌즈는 후방구면굴절률을 가지는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굴절률은 2 내지 5디옵터이고, 상기 제2렌즈의 굴절률은 -10 내지 -30디옵터인 것을 특징으로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두께 대비 상기 제1렌즈의 외부구면의 볼록한 지점과, 상기 제2 렌즈의 내부구면의 오목한 지점까지의 떨어진 거리는 1:0.5~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의 화각비가 1:1.5 내지 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트렌즈는 후방구면굴절률을 가지는 렌즈이고,
    상기 제2콘택트렌즈는 전방구면굴절률을 가지는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의 굴절률은 -10 내지 -30디옵터이고, 상기 제2렌즈의 굴절률은 10 내지 20디옵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
  11.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렌즈는 상기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2렌즈는 상기 제1렌즈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두께 대비 상기 제1렌즈의 내부구면의 볼록한 지점과, 상기 제2렌즈의 내부구면의 오목한 지점까지의 이격거리는 1:1~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
  13.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의 화각비가 1:1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장치.
KR1020110130442A 2011-12-07 2011-12-07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 KR2013006384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442A KR20130063848A (ko) 2011-12-07 2011-12-07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
PCT/KR2012/000682 WO2013085107A1 (ko) 2011-12-07 2012-01-30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442A KR20130063848A (ko) 2011-12-07 2011-12-07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848A true KR20130063848A (ko) 2013-06-17

Family

ID=48574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442A KR20130063848A (ko) 2011-12-07 2011-12-07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63848A (ko)
WO (1) WO20130851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092A1 (en) * 2015-01-03 2016-07-07 Corephotonics Ltd. Miniature telephoto lens module and a camera utilizing such a lens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1342A (en) * 1987-09-24 1991-01-01 Allergan Inc. Multifocal birefringent lens system
AU2005267561A1 (en) * 2004-03-31 2006-02-02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Fluidic adaptive lens
KR100842373B1 (ko) * 2007-03-12 2008-07-01 주식회사 모노클 간이형 영상 확대 장치
JP5637675B2 (ja) * 2009-10-29 2014-12-10 株式会社朝日ラバー ハイブリッド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85107A1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03205A1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KR101190824B1 (ko)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이중복합렌즈
CN109491044A (zh) 影像系统镜组、取像装置及电子装置
CN109541778A (zh) 成像透镜组、取像装置及电子装置
US7227703B2 (en) Aspheric le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202068472U (zh) 具有照相功能的移动终端
TWI728690B (zh) 成像鏡頭、相機模組及電子裝置
US9395518B2 (en) Imaging lens
TWI768105B (zh) 光學成像模組、成像系統及其製造方法
KR20220025050A (ko) 렌즈 조립체, 카메라, 및 전자 디바이스
TW200829975A (en) Optical lens assembly for taking image
CN110389482B (zh) 环形光学元件及成像镜头
KR20130063848A (ko) 개인휴대통신장치 및 전자장치 카메라용 렌즈
CN101334509B (zh) 便携式电子装置
JP2013057699A (ja) レンズ鏡筒
CN112406014B (zh) 镜片组的制造方法、镜片组、镜头、成像模组和电子装置
CN110398814B (zh) 环形光学元件与成像镜头模块
CN204790188U (zh) 一种光学变焦的手机摄像头
US11796761B2 (en) High resolution, wide FOV static lens assembly
CN219349242U (zh) 保护玻璃和成像设备
KR100965755B1 (ko) 휴대형 디스플레이용 초소형 초광각 광학모듈
TW201020089A (en) Len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211826685U (zh) 一种光学镜头组件
CN213783355U (zh) 摄像组件和终端
CN107976769A (zh) 一种摄像模组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