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670A -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670A
KR20130062670A KR1020110129065A KR20110129065A KR20130062670A KR 20130062670 A KR20130062670 A KR 20130062670A KR 1020110129065 A KR1020110129065 A KR 1020110129065A KR 20110129065 A KR20110129065 A KR 20110129065A KR 20130062670 A KR20130062670 A KR 20130062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water
washing
flow path
bid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575B1 (ko
Inventor
주일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9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575B1/ko
Publication of KR20130062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는 사용자의 소변의 채취하는 소변채취부와, 상기 소변채취부와 소변이동유로로 연결되며, 상기 소변이동유로를 통하여 유입된 소변을 분석하는 소변 분석 모듈과, 상기 소변이동유로를 세척하도록 세척수유로를 통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수유로로 공급되는 물을 살균수로 전환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에 투입함으로써 상기 소변이동유로를 살균하는 살균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에 의하면, 소변채취부로부터 소변분석모듈로 채취된 소변이 이동하는 동안 번식된 미생물과 오물을 세척 및 살균함으로써 소변분석장치로 인한 비데의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소변분석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BIDET CAPABLE OF ANALYSING URINE AND METHOD FOR CLEANING URINE FLOW PATH}
본 발명은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이동유로를 세척하여 소변분석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변 후 뒤처리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급수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노즐로 분사하여 항문 또는 국부 주위를 세정토록 하는 비데가 요즘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소변을 이용하여 인체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것으로는 예컨대, 뇨단백, 뇨당, 체지방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질병의 예방은 사전에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정기적이고 계속적인 진단을 통하여 조기에 적절한 지도관찰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소변을 통한 건강검진을 위하여 병원 등을 방문하여야 하는 수고로움을 감수해야 한다.
따라서, 최근 소변 검사를 통한 건강검진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일환으로, 비데 사용시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할 때마다 소변 샘플을 채취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일상에서 건강으로 수시로 체크할 수 있는 건강 비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소변을 채취하는 장치는 소변에 의해 오염될 수 있으며, 특히 소변의 경우 다양한 물질을 함께 함유하고 있어 소변이 지나가는 유로에 많은 오염물질이 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오염물질의 증가로 미생물 증식과 부폐가 발생하여 소변 분석에 방해 물질로 작용하게 되어 소변분석시스템의 신뢰성의 저하될 수 있으며 미생물로 인한 2차오염이 문제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소변이동유로의 미생물과 오물을 세척 및 살균함으로써 소변분석장치로 인한 비데의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소변분석의 신뢰도를 높이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소변의 채취하는 소변채취부;와, 상기 소변채취부와 소변이동유로로 연결되며, 상기 소변이동유로를 통하여 유입된 소변을 분석하는 소변 분석 모듈;과, 상기 소변이동유로를 세척하도록 세척수유로를 통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수유로로 공급되는 물을 살균수로 전환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에 투입함으로써 상기 소변이동유로를 살균하는 살균수단;을 포함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세척수유로에서 분기된 세정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유로에 공급된 물에 세정제를 혼합시켜 살균수를 생성하는 세정제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정제공급부는, 세정제가 저장되는 세정제 저장통;과, 상기 세정제 저장통에 상기 세정유로를 매개로 연결되며, 소정시간동안 개방하여 물에 공급되는 세정제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세척수유로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를 살균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세척수유로로 공급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기분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분해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분해장치에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척수유로와 상기 소변이동유로의 접점 부분에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유로를 전환하는 제1유로전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변이동유로를 세척한 후 공기를 유입시켜 물기를 건조시키는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팬에 연결된 건조유로와 상기 세척수유로의 접점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소변이동유로로 세척수 또는 공기를 공급시키는 제2유로전환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팬에 건조유로를 매개로 연결되며, 유입되는 공기에 음이온을 제공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팬에 건조유로를 매개로 연결되며,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소변채취부와 소변 분석 모듈 사이에 소변이 이동되는 소변이동유로를 구비한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의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에 있어서, 세척수와 살균수를 상기 소변이동유로에 공급하는 세척수 및 살균수 공급단계;와, 상기 살균수를 헹구도록 상기 소변이동유로에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 공급단계;와, 상기 소변이동유로를 헹군후 물기를 제거하도록 팬을 이용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의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세척수 및 살균수 공급단계는, 세척수에 세정제를 혼합시키는 세정제 공급부,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세척수를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살균수단을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건조단계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음이온은 발생시키는 단계와, 히터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척수 및 살균수 공급단계는, 소변 분석 모듈의 소변 분석이 완료, 소정시간동안 비데의 미사용 및, 비데의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착좌감지 중 적어도 하나가 인식되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에 의하면, 소변채취부로부터 소변분석모듈로 채취된 소변이 이동하는 동안 번식된 미생물과 오물을 세척 및 살균함으로써 소변분석장치로 인한 비데의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소변분석의 신뢰도를 높이는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의 작동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의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인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적합한 실시예들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하여 적용되거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100)는, 소변채취부(110)와, 소변 분석 모듈(120)과, 세척부(150)와, 살균수단(20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변채취부(110)는 비데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소변을 채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변채취부(110)는, 예를 들어 비데 시트에 구비되어 소변 샘플을 채취하는 소변채취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소변채취부재는 사용자가 조작하거나 미리 설정해놓은 시기에 이동하여 사용자의 소변을 채취하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변분석모듈(120)은 상기 소변채취부(110)와 소변이동유로(130)로 연결되며,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통하여 유입된 소변을 분석할 수 있다.
즉, 상기 소변분석모듈(120)은 상기 소변채취부(110)와 소변이동유로(1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소변채취부(110)에서 채취된 소변 샘플이 소변이동유로(130)를 통하여 상기 소변분석모듈(120)로 이동하면 소변 상태를 분석 및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에는 채취된 소변을 소변분석모듈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펌프(13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소변분석모듈(120)은 분석결과를 저장하는 메모리 블록이나 상기 결과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패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소변채취부(110)와 상기 소변 분석 모듈(120)의 구성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소변을 채취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부(150)는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세척하도록 세척수유로(153)를 통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소변채취부(110)와 상기 소변 분석 모듈(120) 사이에 소변이 이동하면서 상기 소변이동유로(130)가 소변에 의해 오염될 수 있는데, 상기 세척부(150)는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에 연결된 상기 세척수유로(153)를 통하여 세척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에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로 공급된 물을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순회하면서 세척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세척수유로(153)와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의 접점 부분에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유로를 전환하는 제1유로전환밸브(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171)는 상기 비데가 소변분석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소변채취부(110)와 상기 소변분석모듈(120)이 연결되어 소변이 이동하도록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연통시키고, 비데가 세척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세척수유로(153)와 상기 소변이동유로(130)가 연통되도록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171)는 상기 소변분석모듈(120)에 근접하게 설치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최대한 세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살균수단(200)은 상기 세척수유로(153)로 공급되는 물을 살균수로 전환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에 투입함으로써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살균할 수 있다.
즉, 상기 살균수단(2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세척수유로(153)나 세척수유로(153)의 분기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유로(153)에 공급된 물을 살균수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전환된 살균수는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로 공급되어 소변의 이동으로 인하여 발생한 미생물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100)는 소변을 채취한 후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세척하고 살균하여 소변에 의해 미생물 등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변분석장치의 청결을 유지하고 분석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는 상기 살균수단(200)의 일실시예인 세정제 공급부(21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100)의 블럭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비데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세정제 공급부(210)는 상기 세척수유로(153)에서 분기된 세정유로(215)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유로(153)에 공급된 물에 세정제를 혼합시켜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정제 공급부(210)는, 세정제가 저장되는 세정제 저장통(211)과, 상기 세정제 저장통(211)에 상기 세정유로(215)를 매개로 연결되며 소정시간동안 개방하여 물에 공급되는 세정제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밸브(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세정제 공급부(210)는 상기 개폐밸브(213)를 소정시간동안 개방함으로써 일정량의 세정제를 상기 세척수유로(153)에 공급하여, 상기 세척수유로(153)를 이동하는 물과 세정제를 혼합함으로써 살균수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과 세정제의 혼합액은 상기 세척수유로(153)를 통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에 공급되어 유동하면서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살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 후, 상기 세정제의 공급을 중단하고 세척수만 공급되도록 하여 세정제 성분을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상기 살균수단(20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살균수단(200)은 상기 세척수유로(153)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살균하는 가열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상기 가열부(230)는 상기 세척수유로(153)에 장착되어 상기 세척수 공급부(15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고온(예를 들어 80℃ 이상)가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온으로 가열된 물은 상기 세척수유로(153)에 연결된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로 이동하여 소변에 의해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에 발생된 미생물 등을 살균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상기 살균수단(20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살균수단(200)은 상기 세척수유로(153)로 공급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기분해장치(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장치(250)는 상기 세척수유로(153) 상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수유로(153)를 흐르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분해장치(250)는 상기 세척수유로(153)로 공급된 물을 전개분해하여 산화성 혼합물질(MO:Mixed Oxiant), 예컨대 염소나, 잔류염소, 오존 OH 라디칼, 산소 라디칼 등을 생성하도록 양전극과 음전극이 구비된 전해살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기분해장치(25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기분해장치(250)에 유입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산화성 혼합물질을 생성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전기분해를 통하여 여러가지 산화성 혼합물질이 물과 혼합된 살균수는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에 유입되어, 상기 소변이동유로(130) 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산화시키는 간접산화반응을 통하여 소변이동유로(130) 내의 미생물을 살균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전기분해장치(250)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분해장치(250)에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공급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전기분해장치(250)에 연결되는 별도의 전해질공급부(251)를 구비하여 상기 전기분해 장치에 전해질을 공급하여 전기분해를 촉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해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염소계통의 전해질(예컨대 NaCl)을 물에 첨가하여 전기분해하면 강산성수가 생성되는데 이러한 강산성수는 강한 살균력을 가지게 되어,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로 이동하면 살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세척된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의 물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세척한 후 공기를 유입시켜 물기를 건조시키는 팬(1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팬(191)에 연결된 건조유로(192)와 상기 세척수유로(153)의 접점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로 세척수 또는 공기를 공급시키는 제2유로전환밸브(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건조유로(192)는 상기 세척수유로(153)에서 분기된 유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팬(191)은 상기 건조유로(19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173)는 상기 건조유로(192)와 상기 세척수유로(153)의 접점에 설치되어,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에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세척수를 유입시키도록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191)은 상기 세척수 공급이 중단되면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건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173)는 상기 세척수공급부와 상기 소변이동유로(130)가 연통되도록 유로를 전환하여 세척수와 살균수를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에 공급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의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 후,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173)는 상기 건조유로(192)와 상기 소변이동유로(130)가 연통되도록 유로를 전환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건조시키도록 상기 팬(191)에 의해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세척한 세척수를 건조시킴으로써 잔류 세척수로 인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의 미생물의 번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팬(191)에 건조유로(192)를 매개로 연결되며, 유입되는 공기에 음이온을 제공하는 음이온 발생기(19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면, 상기 음이온 발생기(193)는 상기 건조유로(192) 상에 배치되며, 상기 팬(191)과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173)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비데가 건조모드인 경우 상기 팬(191)에서 유입되는 공기에 음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건조시킬 때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로 음이온이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로 유입되는 공기에 음이온이 유입되면서 건조모드에서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의 추가적인 살균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팬(191)에 건조유로(192)를 매개로 연결되며,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195)는 상기 건조유로(192) 상에 연결되며, 상기 팬(191)과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173)를 사이에 배치되어, 건조모드에서 상기 팬(191)에 의하여 공기가 유입되면 유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모드에서 신속히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건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를 60 내지 70℃ 이상으로 가열하면 건조시간에 따라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저온살균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100)의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100)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100)의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은, 소변채취부(110)와 소변 분석 모듈(120) 사이에 소변이 이동되는 소변이동유로(130)를 구비한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100)의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에 있어서, 세척수와 살균수를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에 공급하는 세척수 및 살균수 공급단계(S10)와, 상기 살균수를 헹구도록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에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 공급단계(S30)와,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헹군후 물기를 제거하도록 팬(191)을 이용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건조단계(S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100)의 상기 세척수 및 살균수 공급단계와 상기 헹굼수 공급단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건조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우선 원수밸브(152)가 작동하여 상기 세척수공급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상기 세척수유로(153)에 공급되는 물에 살균수단(200)인 세정제공급부(210)로부터 세정제가 공급되어 살균수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171)와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173)는 상기 세척수유로(153)와 상기 소변이동유로(130)가 연통되도록 유로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살균수는 상기 세척수유로(153)를 통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로 공급되어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살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변채취부(110)로부터 상기 소변분석모듈(120)로 채취된 소변이 이동하는 동안 번식된 미생물과 오물이 제거되어 청결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고 소변분석결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후, 소정시간동안 살균수가 공급되어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의 살균이 완료되면, 상기 개폐밸브(213)를 차단하여 세정제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로 세척수만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에 잔존하는 세정제 성분이 제거될 수 있다.
다음, 소정시간동안의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세척수 공급부(151)로부터의 물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팬(191)을 가동시켜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로 공기를 유입함으로써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유로전환밸브(173)는 상기 건조유로(192)와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를 연통시키도록 유로가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단계는, 음이온 발생기(193)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음이온은 발생시키는 단계와, 히터(195)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음이온 발생기(193)는 상기 팬(191)이 가동되어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로 공기가 유입될 때, 유입되는 공기에 음이온을 발생시켜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로 공급함으로써 건조단계에서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의 추가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유로(192)에 장착되는 히터(195)는 상기 팬(191)에서 공기가 유입될 때,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건조를 신속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가열온도와 건조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130)에 저온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수 및 살균수 공급단계는, 세척수에 세정제를 혼합시키는 세정제 공급부(210),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부(230) 및 세척수를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장치(250) 중 적어도 하나의 살균수단(200)을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세척수 공급부(151)로부터 상기 세척수유로(153)에 공급되는 물은 살균수단(200)에 의해서 살균수로 전환되어 상기 소변이동유로(130)로 공급되는데, 이때 물을 살균수로 전환하는 방법으로 세척수에 세정제를 혼합시키는 세정제 공급부(210),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부(230) 및 세척수를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장치(25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살균수단(200)은 세정제 공급부(210)를 포함하여 상기 세척수유로(153)로 공급된 물에 세정제를 공급함으로써 살균수로 전환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살균수단(200)은 상기 세척수유로(153)에 장착된 가열부(230)(예를 들어 가열히터)를 포함하여 상기 세척수유로(153)로 공급된 물을 가열함으로서 고온의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살균수단(200)은 상기 세척수유로(153)에 구비된 전기분해장치(250)를 포함하여 상기 세척수유로(153)로 공급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성분이 포함된 살균수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수 및 살균수 공급단계는, 소변 분석 모듈(120)의 소변 분석이 완료, 소정시간동안 비데의 미사용 및, 비데의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착좌감지 중 적어도 하나가 인식되면 수행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소변 분석 모듈(120)의 소변분석이 완료되면 상기 세척수 및 살균수 공급단계와, 헹굼수 공급단계 및 건조단계를 통하여 소변이동유로(130)가 살균 및 세척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비데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사용하지 않은 경우나, 상기 비데의 인체감지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어 소변분석모듈(120)이 작동되기 전에, 상기 세척수 및 살균수 공급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건조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100)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대기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유로전환밸브(171)는 상기 소변채취부(110)와 상기 소변분석모듈(120)을 연결하도록 유로가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을 이용하면, 소변채취부로부터 소변분석모듈로 채취된 소변이 이동하는 동안 번식된 미생물과 오물을 세척 및 살균함으로써 소변분석장치로 인한 비데의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소변분석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110 : 소변채취부
120 : 소변 분석 모듈 130 : 소변이동유로
150 : 세척부 191 : 팬
192 : 건조유로 193 : 음이온 발생기
195 : 히터 200 : 살균수단
210 : 세정제 공급부 230 : 가열부
250 : 전기분해장치 251 : 전해질공급부

Claims (15)

  1. 사용자의 소변의 채취하는 소변채취부;
    상기 소변채취부와 소변이동유로로 연결되며, 상기 소변이동유로를 통하여 유입된 소변을 분석하는 소변 분석 모듈;
    상기 소변이동유로를 세척하도록 세척수유로를 통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에 물을 공급하는 세척부; 및,
    상기 세척수유로로 공급되는 물을 살균수로 전환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에 투입함으로써 상기 소변이동유로를 살균하는 살균수단;
    을 포함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세척수유로에서 분기된 세정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유로에 공급된 물에 세정제를 혼합시켜 살균수를 생성하는 세정제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공급부는
    세정제가 저장되는 세정제 저장통; 및,
    상기 세정제 저장통에 상기 세정유로를 매개로 연결되며, 소정시간동안 개방하여 물에 공급되는 세정제의 양을 조절하는 개폐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세척수유로로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를 살균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세척수유로로 공급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전기분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분해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전기분해장치에 전해질을 공급하는 전해질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유로와 상기 소변이동유로의 접점 부분에 연통되도록 배치되어 유로를 전환하는 제1유로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이동유로를 세척한 후 공기를 유입시켜 물기를 건조시키는 팬;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팬에 연결된 건조유로와 상기 세척수유로의 접점부분에 배치되어, 상기 소변이동유로로 세척수 또는 공기를 공급시키는 제2유로전환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팬에 건조유로를 매개로 연결되며, 유입되는 공기에 음이온을 제공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팬에 건조유로를 매개로 연결되며,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12. 소변채취부와 소변 분석 모듈 사이에 소변이 이동되는 소변이동유로를 구비한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의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에 있어서,
    세척수와 살균수를 상기 소변이동유로에 공급하는 세척수 및 살균수 공급단계;
    상기 살균수를 헹구도록 상기 소변이동유로에 헹굼수를 공급하는 헹굼수 공급단계; 및,
    상기 소변이동유로를 헹군후 물기를 제거하도록 팬을 이용하여 상기 소변이동유로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건조단계;
    를 포함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의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및 살균수 공급단계는
    세척수에 세정제를 혼합시키는 세정제 공급부, 세척수를 가열하는 가열부 및 세척수를 전기분해하는 전기분해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살균수단을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의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공기에 음이온은 발생시키는 단계와, 히터를 이용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의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및 살균수 공급단계는, 소변 분석 모듈의 소변 분석이 완료, 소정시간동안 비데의 미사용 및, 비데의 인체감지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착좌감지 중 적어도 하나가 인식되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의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
KR1020110129065A 2011-12-05 2011-12-05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 KR101897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65A KR101897575B1 (ko) 2011-12-05 2011-12-05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065A KR101897575B1 (ko) 2011-12-05 2011-12-05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670A true KR20130062670A (ko) 2013-06-13
KR101897575B1 KR101897575B1 (ko) 2018-09-12

Family

ID=48860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065A KR101897575B1 (ko) 2011-12-05 2011-12-05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5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701A (ko) *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교원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864U (ja) * 1993-04-08 1994-11-04 株式会社アペレ 尿検査装置
JP2005106621A (ja) * 2003-09-30 2005-04-21 Toto Ltd 便器ユニット
KR101031687B1 (ko) * 2010-07-23 2011-04-29 이상덕 당뇨측정수단이 구비되는 소변기와 당뇨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864U (ja) * 1993-04-08 1994-11-04 株式会社アペレ 尿検査装置
JP2005106621A (ja) * 2003-09-30 2005-04-21 Toto Ltd 便器ユニット
KR101031687B1 (ko) * 2010-07-23 2011-04-29 이상덕 당뇨측정수단이 구비되는 소변기와 당뇨측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9701A (ko) * 2018-12-26 2020-07-06 주식회사 교원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575B1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705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RU2560267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и отображения степени гигиенической чистоты белья и/или прибор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в приборе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и прибор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данного способа
CN107177951B (zh) 一种洗衣机智能除菌方法
EP2377458B1 (en) Device for cleaning and disinfecting endoscope and method of cleaning and disinfecting endoscope
KR20080090929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00041572A (ko) 살균장치와 살균비데시스템
CN110420951B (zh) 一种基因检测试剂瓶清洁灭菌设备
KR100934696B1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206632081U (zh) 一种检验科用试管清洗装置
KR20130062670A (ko) 소변 분석이 가능한 비데 및 소변이동유로 세척방법
CN102389581B (zh) 消毒机
JP4757178B2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及び内視鏡洗浄消毒装置の装置内管路の消毒方法。
CN216586856U (zh) 带过流式uvc杀菌的冲洗盖板
JPH08323307A (ja) 器具洗浄装置
KR20130000064U (ko) 살균세정 족욕기
JP2002263066A (ja) 内視鏡用洗浄消毒装置
CN213287796U (zh) 一种医疗设施清洗消毒设备
JP3183118B2 (ja) 食器洗浄機
CN210410253U (zh) 一种臭氧水溶液混合装置
JP2012066018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及び内視鏡洗浄消毒方法
WO2001058500A1 (en) Medical device disinfection
JP2005270590A (ja) 排泄物回収処理装置
KR20090070853A (ko) 잔수 살균장치를 구비한 식기 세척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624700B1 (ko) 내시경 오존 세척 소독장치
KR101090211B1 (ko) 전기분해방식을 이용한 샴푸기기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