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376A -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376A
KR20130061376A KR1020110127647A KR20110127647A KR20130061376A KR 20130061376 A KR20130061376 A KR 20130061376A KR 1020110127647 A KR1020110127647 A KR 1020110127647A KR 20110127647 A KR20110127647 A KR 20110127647A KR 20130061376 A KR20130061376 A KR 20130061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cell
connection
terminal
batter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9116B1 (ko
Inventor
윤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7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116B1/ko
Priority to US13/602,430 priority patent/US9028994B2/en
Priority to EP20120194866 priority patent/EP2600434B1/en
Publication of KR20130061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전극단자와, 제1 연결부를 구비한 제1 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배터리 셀; 상기 제1 배터리 셀의 제1 전극단자와 상기 제2 배터리 셀의 제2 전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한 센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연결부재에 의하여 가압고정되고, 상기 제1 면은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전극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배터리 셀의 상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고에너지 밀도의 비수전해액을 이용한 고출력 배터리 모듈이 개발되고 있으며, 상기한 고출력 배터리 모듈은 고전력을 필요로 하는 기기 예컨대, 전기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에 사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터리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배터리 모듈을 구성한다.
통상, 배터리 셀은 반응성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배터리 셀을 복수개를 채용하는 배터리 모듈에 대해서는 발화 또는 폭발 등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외관을 갖는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 셀의 상태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전극단자와, 제1 연결부를 구비한 제1 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배터리 셀; 상기 제1 배터리 셀의 제1 전극단자와 상기 제2 배터리 셀의 제2 전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한 센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연결부재에 의하여 가압고정되고, 상기 제1 면은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전극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면 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태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개구부에 억지끼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단면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면에서부터 외측으로 테이퍼 (taper)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의 재료는 플라스틱 또는 러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셀은 이웃하여 구비되는 제1 및 제2 배터리 셀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연결부재는 제1 및 제2 배터리 셀의 제1 및 제2 전극단자를 연결하되 상기 제1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연결부를 가압고정할 수 있다.
상기 단자연결부재는 제1 또는 제2 연결부와 접하는 대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면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자연결부재는 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러버 또는 스프링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한 외관을 갖는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셀의 상태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와 센싱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및 센싱부재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및 센싱부재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5b는 제1 및 제2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기타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과 센싱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분해사시도.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배터리 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와 센싱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500)은 제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와, 제1 연결부 (150)를 구비한 제1 면 (11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배터리 셀 (100a, 100b); 상기 제1 배터리 셀 (100a)의 제1 전극단자 (120)와 상기 제2 배터리 셀 (100b)의 제2 전극단자 (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연결부재 (20); 및 상기 제1 연결부 (150)와 결합하는 제2 연결부 (11)를 구비한 센싱부재 (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 (150, 11)는 상기 제1 면 (1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연결부재 (20)에 의하여 가압고정되고, 상기 제1 면 (110)은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셀 (100)은 제1 면 (110)이 개구된 전지 케이스와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은 상기 전지 케이스 내에 수납되어 전기화학적 반응하여 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면 (110)은 캡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는 상기 제1 면 (110)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제1 연결부 (150)는 상기 제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 (150)는 센싱부재 (10)의 제2 연결부 (11)와 결합될 수 있다. 제 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는 전극 조립체와 연결되어 배터리 셀 (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일 수 있다. 벤트부 (140)는 배터리 셀 (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기체를 방출하여 배터리 셀 (100)의 폭발을 막는 안전수단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단자연결부재 (2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 (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배터리 모듈 (500)이 하나의 전원으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자연결부재 (20)는 제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를 연결할 수 있으며, 상기 단자연결부재 (20)는 전기적인 도체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자연결부재 (20)는 버스바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연결부재 (20)는 하나 이상의 홀 (2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홀 (22)은 제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는 홀 (22)을 관통한 후, 너트 (30) 등에 의하여 단자연결부재 (20)에 고정될 수 있다.
센싱부재 (10)는 배터리 셀 (100)의 전압, 전류 등의 전기적 특성과 온도를 센싱할 수 있는데, 예컨대, 온도의 경우 센싱부재 (10)는 배터리 셀 (100)의 온도를 전기적인 신호로서,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등과 같은 보호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재 (10)는 제2 연결부 (11), 헤드부 (12) 및 상기 헤드부 (12)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리드 선 (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연결부 (11)의 재료는 플라스틱 또는 러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는 절연성으로 배터리 셀 (100)의 온도를 측정 동안에 발생할 수 있는 제1 또는 제2 전극단자 (120, 130)와 제1 면 (110) 사이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헤드부 (12)는 배터리 셀 (100)의 온도를 측정하는 부분으로, 예컨대 써미스터 (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써미스터는 저항기의 일종으로, 온도에 따라 물질의 저항이 변화하는 성질을 이용한 전기적 장치이다. 상기 써미스터는 주로 회로의 전류가 일정 이상으로 오르는 것을 방지하거나, 회로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로써 이용된다. 상기 헤드부 (12)에서 측정된 배터리 셀 (100)의 온도는 상기 리드 선 (10)에 의하여 배터리 모듈 (500)의 보호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셀 (100)의 제1 연결부 (150)는 센싱부재 (10)의 제2 연결부 (11)와 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 (150, 11)는 상기 제1 면 (110) 상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연결부재 (2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배터리 모듈 (500)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1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셀 (100)은 이웃하여 구비되는 제1 및 제2 배터리 셀 (100a, 100b)을 포함하고, 단자연결부재 (20)는 제1 및 제2 배터리 셀 (100a, 100b)의 제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를 연결하되 상기 제1 면 (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연결부 (150, 11)를 가압고정할 수 있다.
통상,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배터리 셀은 가역적으로 충방전을 반복하면서 발열한다. 상기 발열은 배터리 셀을 열화시킬 뿐 아니라, 배터리 셀 내의 열을 축적시켜 안전성이 문제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 셀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출되지 못하는 경우, 배터리 셀의 발화 또는 폭발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제어해야 하는데, 통상의 방식으로는 배터리 셀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고, 또한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부재를 배터리 셀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공정효율을 저하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 (500)은 배터리 셀 (100)의 온도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 모듈 (500)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센싱부재 (10)를 배터리 셀 (100)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 (500)에서, 제1 연결부 (150)는 상기 제1 면 (110) 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 (11)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태의 개구부 (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 (150)는 상기 개구부 (15)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부 (150)는 상기 제1 면 (110)에 나란한 방향으로 단면이 원형일 수 있고, 상기 제2 연결부 (11)는 내부에 원형의 개구부 (15)를 갖는 링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 (15)는 제1 연결부 (15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연결부 (150)는 상기 개구부 (15)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연결부 (150)는 상기 제1 면 (110)에서부터 외측으로 테이퍼 (taper)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결부 (11)가 제1 연결부 (150)에 삽입될 때, 상기 제2 연결부 (11)는 제1 연결부 (150)의 단면이 좁은 부분에서 넓은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므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일단 삽입된 후에는 제1 면 (110)에서 인접한 부분인 제1 연결부 (150)의 단면이 넓은 부분은 제2 연결부 (11)의 개구부 (15)에 억지끼움되어 진동 등의 외력에 의하여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부 (150, 11)는 서로 결합하여 단자연결부재 (20)에 의하여 가압고정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단자연결부재 (20)가 제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를 연결할 때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전류의 흐름에 의하여 발열되는 단자연결부재 (20)의 온도도 측정할 수 있을뿐더러, 별도의 공정을 추가함이 없이 센싱부재 (10)는 단자연결부재 (20)에 의하여 배터리 셀 (1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 (150)는 제1 전극단자 (120) 및 제2 전극단자 (130)에 인접한 부분에 어느 일측에 구비되거나, 또는 양측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센싱부재 (10)를 제2 연결부 (11)에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배터리 모듈 (500)의 설계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b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 및 센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셀 (100a, 100b)의 제1 면 (110)에는 제 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와, 벤트부 (14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 (150a, 150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150a, 150b)는 제1 면 (110) 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제1 면 (110)에 나란한 방향으로 그 단면이 원형 (150, 도 3a 참조), 삼각형 (150b), 사각형 (150a)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재 (10a, 10b)는 각각 제1 연결부 (150a, 150b)에 대응하는 형태의 개구부 (15a, 15b)가 형성된 제2 연결부 (11a, 11b)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부 (150a, 150b, 11a, 11b)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고, 또한 하나의 배터리 셀 (100a, 100b) 내에서도 다양한 형태를 갖도록 구비시킬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배터리 셀 (100a, 100b) 내에 서로 다른 형상의 제1 연결부 (150a, 150b)를 구비시킨 경우, 배터리 셀 (100a, 100b)의 위치에 따라 센싱부재 (10a, 10b)를 다양하게 구비시킬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b는 제1 및 제2 연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이웃하는 두개의 배터리 셀 (100)의 제1 면 (110)에는 제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가 구비되고, 이웃하는 제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는 단자연결부재 (40)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 (110)는 제1 연결부 (1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 연결부 (150)는 센싱부재 (10)의 제2 연결부 (1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자연결부재 (40)는 제1 면 (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연결부 (150, 11)를 가압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연결부재 (40)는 대면부 (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면부 (41)는 제1 또는 제2 연결부 (150, 11) 접하는 부분으로,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탄성부재는 러버 또는 스프링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자연결부재 (40)는 하나 이상의 홀 (42)을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는 상기 홀 (42)을 통하여 관통되어, 별도의 너트 (30)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단자연결부재 (40)의 대면부 (41)는 제1 또는 제2 연결부 (150, 11)를 가압할 수 있다.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대면부 (41)는 탄성력을 갖고, 따라서 상기 제1 또는 제2 연결부 (150, 11)를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전극단자 (120, 130)와 단자연결부재 (40)를 고정시킬 경우,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조립공차의 허용범위가 넓어지므로 배터리 모듈의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타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과 센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 (200)은 제1 면 (210)에 제1 및 제2 전극단자 (220, 230)와 벤트부 (24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 전극단자 (220, 230)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 (2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250)는 배터리 셀 (2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싱부재 (50)의 제2 연결부 (5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250)와 제2 연결부 (51)는 서로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제1 연결부 (250)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 (51)는 상기 홈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 셀 (200)을 온도를 측정하고자하는 위치에 제1 연결부 (250)를 구비시킨 후, 상기 제1 연결부 (250)에 대응하도록 센싱부재 (50)의 제2 연결부 (51)를 구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연결부 (51)의 크기가 상기 제1 연결부 (250)에 꼭 맞도록 구비되어 제2 연결부 (51)는 제1 연결부 (25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셀 (300)은 제1 면 (310)는 제1 및 제2 전극단자 (320, 330)와 벤트부 (340), 및 하나 이상의 제1 연결부 (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 (350)는 상기 제1 또는 제2 전극단자 (320, 330)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제1 연결부 (350)는 제1 또는 제2 전극단자 (320, 330)를 가운데 두고 한쌍이 서로 대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 (600)은 하나 이상의 제1 내지 제3 배터리 셀 (300a, 300b, 300c)이 정렬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배터리 셀 (300a, 300b, 300c)은 상기 배터리 셀들 (300a, 300b, 300c)의 넓은면이 대면하도록 정렬될 수 있는데, 이때 이웃하는 배터리 셀 (300a, 300b, 300c)은 단자연결부재 (20)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자연결부재 (20)는 제1 배터리 셀 (300a)의 제1 전극단자 (320)와 제2 배터리 셀 (300b)의 제2 전극단자 (330)를 연결하고, 또한 상기 단자연결부재 (20)는 상기 제2 배터리 셀 (300b)의 제1 전극단자 (320)는 제3 배터리 셀 (300c)의 제2 전극단자 (330)와 연결되어, 복수개의 배터리 셀 (300a, 300b, 300c)이 직렬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자연결부재 (20)로 이웃하는 배터리 셀 (300)의 제1 및 제2 전극단자 (320, 300)를 연결하기 전에, 상기 제1 연결부 (350)와 센싱부재 (10)의 제2 연결부 (15)를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된 제1 및 제2 연결부 (350, 15)는 상기 단자연결부재 (20)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 셀 (300)의 제1 면 (310)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a, 10b: 센싱부재 11: 제2 연결부
20, 40: 단자연결부재 30: 너트
100, 200, 300: 배터리 셀 110, 210, 310: 제1 면
120, 220, 320: 제1 전극단자 130, 230, 330: 제2 전극단자
140, 240, 340: 벤트부 500, 600: 배터리 모듈
150, 150a, 150b, 250, 350: 제1 연결부

Claims (9)

  1. 제1 및 제2 전극단자와, 제1 연결부를 구비한 제1 면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배터리 셀;
    상기 제1 배터리 셀의 제1 전극단자와 상기 제2 배터리 셀의 제2 전극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연결부재; 및
    상기 제1 연결부와 결합하는 제2 연결부를 구비한 센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단자연결부재에 의하여 가압고정되고, 상기 제1 면은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전극단자는 상기 캡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이격되어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면 상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형태의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개구부에 억지끼움되는 배터리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면에 나란한 방향으로 단면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및 다각형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형태로 구비되는 배터리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면에서부터 외측으로 테이퍼 (taper)되도록 돌출되는 배터리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배터리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의 재료는 플라스틱 또는 러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은 이웃하여 구비되는 제1 및 제2 배터리 셀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연결부재는 제1 및 제2 배터리 셀의 제1 및 제2 전극단자를 연결하되 상기 제1 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및 제2 연결부를 가압고정하는 배터리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연결부재는 제1 또는 제2 연결부와 접하는 대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면부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모듈.
KR1020110127647A 2011-12-01 2011-12-01 센싱부재가 마련된 배터리 모듈 KR101669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47A KR101669116B1 (ko) 2011-12-01 2011-12-01 센싱부재가 마련된 배터리 모듈
US13/602,430 US9028994B2 (en) 2011-12-01 2012-09-04 Battery module including sensing member pressed by terminal connecting member
EP20120194866 EP2600434B1 (en) 2011-12-01 2012-11-29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647A KR101669116B1 (ko) 2011-12-01 2011-12-01 센싱부재가 마련된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376A true KR20130061376A (ko) 2013-06-11
KR101669116B1 KR101669116B1 (ko) 2016-10-26

Family

ID=4732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647A KR101669116B1 (ko) 2011-12-01 2011-12-01 센싱부재가 마련된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028994B2 (ko)
EP (1) EP2600434B1 (ko)
KR (1) KR1016691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0269A (ko) * 2015-06-25 2018-02-27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온도 모니터링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KR20200064398A (ko) * 2018-11-29 2020-06-08 박용미 외장형 셀 블록으로 조립되는 배터리 모듈 및 그 설치방법
KR20210133231A (ko) * 2019-04-04 2021-11-05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임피던스 표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59779A4 (en) * 2013-10-16 2017-03-15 Aleees Eco Ark (Cayman) Co. LTD. Mechanism for confirming locked state of electrode contact of electric vehicle and apparatus for confirming locked state of battery module electrode
CN112151703B (zh) 2019-06-28 2022-03-1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CN112151894B (zh) * 2019-06-28 2022-04-2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260A (ja) * 1997-10-02 1999-04-23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蓄電池の端子用接続具
JP2001035547A (ja) * 1999-07-16 2001-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二次電池
JP2009043637A (ja) * 2007-08-10 2009-02-26 Yazaki Corp 電源装置
JP2010267444A (ja) * 2009-05-13 2010-11-25 Toyota Motor Corp 電池の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9107A (ja) 1996-01-12 1997-07-31 Nissan Motor Co Ltd バッテリ端子部面圧不良防止装置および同防止方法
KR19980053602A (ko) 1996-12-27 1998-09-25 김광호 차량 탑재용 오토 체인저에서의 이동 거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26711B1 (ko) 1999-06-22 2002-03-12 이계안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TW418409B (en) 1999-10-14 2001-01-11 Darfon Electronics Corp Core engaging structure for flyback transformer
KR100801635B1 (ko) 2004-11-02 2008-0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팩의 전지 전압 및 온도 측정용 부재
DE102006046347B4 (de) 2006-09-28 2012-06-06 Auto-Kabel Management Gmbh Elektrische Sicherungsvorrichtung und Batterie mit einer derartigen Sicherungsvorrichtung
EP2319108A4 (en) 2008-08-11 2013-09-04 Johnson Controls Saft Advanced OMNIBUS BAR ASSEMBLY
JP5372449B2 (ja) 2008-09-24 2013-12-18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KR101075283B1 (ko) * 2009-02-26 2011-10-1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2010225449A (ja) * 2009-03-24 2010-10-07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接続ユニット
JP4696291B2 (ja) 2009-06-04 2011-06-0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異常検出装置
KR101201748B1 (ko) * 2010-11-05 2012-11-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US8802275B2 (en) * 2012-02-23 2014-08-1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1260A (ja) * 1997-10-02 1999-04-23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蓄電池の端子用接続具
JP2001035547A (ja) * 1999-07-16 2001-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二次電池
JP2009043637A (ja) * 2007-08-10 2009-02-26 Yazaki Corp 電源装置
JP2010267444A (ja) * 2009-05-13 2010-11-25 Toyota Motor Corp 電池の接続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0269A (ko) * 2015-06-25 2018-02-27 티이 커넥티비티 코포레이션 온도 모니터링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배터리 모듈
KR20200064398A (ko) * 2018-11-29 2020-06-08 박용미 외장형 셀 블록으로 조립되는 배터리 모듈 및 그 설치방법
KR20210133231A (ko) * 2019-04-04 2021-11-05 바이에리쉐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임피던스 표준
US11927663B2 (en) 2019-04-04 2024-03-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Impedance stand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0434B1 (en) 2014-07-30
US9028994B2 (en) 2015-05-12
EP2600434A1 (en) 2013-06-05
KR101669116B1 (ko) 2016-10-26
US20130143085A1 (en) 2013-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5471B1 (en) Spacer for battery pack and a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EP1807900B1 (en) Member for measurement of cell voltage and temperature in battery pack
KR102247392B1 (ko) 배터리 모듈
KR102233776B1 (ko) 배터리모듈
KR102047482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30061376A (ko) 배터리 모듈
KR101717144B1 (ko) 온도 센싱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보호회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US20160204481A1 (en) Secondary battery
CN106935780B (zh) 电池模块和电池组
KR20150031861A (ko) 배터리 모듈
EP2337121A4 (en) SECONDARY BATTERY PACK WITH NEW CONSTRUCTION
KR102317503B1 (ko) 배터리 팩
KR101802926B1 (ko) 셀의 신호 처리를 위한 센싱 어셈블리를 가지는 배터리
KR20120135682A (ko) 퓨즈부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20160139807A (ko) 배터리 팩
KR20170040636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2014127418A (ja) 電池パック
KR20130096895A (ko) 탑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1811379B1 (ko) 센싱 어셈블리의 과전류 차단을 위한 퓨즈가 포함된 배터리 팩 시스템
KR101223733B1 (ko) 전극 연결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지 모듈
US10005374B2 (en) Prismatic accumulator cell and accumulator pack
KR102356939B1 (ko) 배터리 모듈
KR20160013638A (ko)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이차전지 팩
KR101794942B1 (ko) 체결부재 및 접속용 만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팩
KR102248594B1 (ko) 전극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