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219A - 산성우 분석장치 - Google Patents

산성우 분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219A
KR20130061219A KR1020110127420A KR20110127420A KR20130061219A KR 20130061219 A KR20130061219 A KR 20130061219A KR 1020110127420 A KR1020110127420 A KR 1020110127420A KR 20110127420 A KR20110127420 A KR 20110127420A KR 20130061219 A KR20130061219 A KR 20130061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meter
chromatography analyzer
anion
rain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7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0967B1 (ko
Inventor
이해동
Original Assignee
이해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동 filed Critical 이해동
Priority to KR1020110127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967B1/ko
Publication of KR20130061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eparation into components using adsorption, absorption or similar phenomena or using ion-exchange, e.g. chromatography or field flow fractionation
    • G01N30/02Column chromatograph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4Rainfall or precipitation gauges

Abstract

본 발명은 강우나 강설을 시료로서 수집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집부; 수집부로부터 시료가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시료공급라인; 시료공급라인에 시료의 유량을 통한 강우량, 시료의 pH, 시료의 전도도, 시료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로서 각각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강우랑측정기, pH측정기, 전도도측정기 및 온도측정기; 시료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시료가 채워지는 시료저장부; 시료저장부로부터 펌프의 펌핑에 의해 시료가 이송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시료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는 시료이송라인; 시료이송라인에서 필터의 후단에 설치되고, 양이온용리액공급부로부터 양이온용리액이 전단에 공급됨으로써, 시료에 대한 양이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 및 시료이송라인에서 필터의 후단에 설치되고, 음이온용리액공급부로부터 음이온용리액이 전단에 공급됨으로써, 시료에 대한 음이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로 출력하는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를 포함하도록 한 산성우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산성우에 대한 무인 자동 분석에 의해 산성우의 pH, 전도도, 온도 및 강우량뿐만 아니라, 극미량의 불소, 염소, 질산염, 황산염, 암모니아,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을 분석하여 깨끗한 대기 환경과 녹색 성장에 기여한다.

Description

산성우 분석장치{Apparatus for measurement of acid precipitation}
본 발명은 산성우 분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성우에 대한 무인 자동 분석에 의해 산성우의 pH, 전도도, 온도 및 강우량뿐만 아니라, 극미량의 불소, 염소, 질산염, 황산염, 암모니아,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을 분석하여 깨끗한 대기 환경과 녹색 성장에 기여하고, 이러한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원을 줄이도록 하기 위한 산성우 분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지역이나 그 나라의 환경오염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대기와 수질 및 토양 등의 오염 정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대기오염이나 수질오염 및 토양오염의 정도를 데이터화하여 이들을 토대로 그 오염치를 분석함으로써 종합적인 환경오염 정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 환경오염중에 가장 심각하게 분류되는 것이 대기오염으로서, 이는 산업발달에 맞추어 공장이나 자동차 등에서 배출되는 여러 가지의 유해물질이 대기중에 섞이면서 그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산성우로 인해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며, 산성우는 대기중의 오염된 가스와 먼지가 빗물에 녹아지면서 빗물이 pH 5.6 미만으로 내리는 것을 말하며, 보통의 빗물도 대기의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내리기 때문에 산성을 어느 정도 띠고 있다.
이와 같은 산성우는 성장하는 식물을 쇠약하게 하고, 토양을 메마르게 하고 알루미늄을 증가시킨다. 산성비는 식물과 토양에만 해가 되는 것이 아니고, 인체에도 영향을 미쳐 눈이나 피부를 자극시키며, 특히 호흡기 질환도 유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산성우 분석 장치는 강우시 pH, 전도도, 온도 및 강우량 분석에 그치고 있으며, 채집된 시료를 실험실로 가지고 와서 이온을 다시 분석하기 때문에 시간 경과에 따른 이온 농도가 변화되어 산성우의 정확한 분석을 어렵게 하고, 이러한 분석에 많은 시간과 인원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성우에 대한 무인 자동 분석에 의해 산성우의 pH, 전도도, 온도 및 강우량뿐만 아니라, 극미량의 불소, 염소, 질산염, 황산염, 암모니아,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을 분석하여 깨끗한 대기 환경과 녹색 성장에 기여하고, 이러한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원을 줄이도록 하며, 산성우의 정확한 분석을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강우나 강설로부터 산성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강우나 강설을 시료로서 수집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로부터 상기 시료가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시료공급라인; 상기 시료공급라인에 시료의 유량을 통한 강우량, 상기 시료의 pH, 상기 시료의 전도도, 상기 시료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로서 각각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강우랑측정기, pH측정기, 전도도측정기 및 온도측정기; 상기 시료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시료가 채워지는 시료저장부; 상기 시료저장부로부터 펌프의 펌핑에 의해 시료가 이송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시료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는 시료이송라인; 상기 시료이송라인에서 상기 필터의 후단에 설치되고, 양이온용리액공급부로부터 양이온용리액이 전단에 공급됨으로써, 시료에 대한 양이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 및 상기 시료이송라인에서 상기 필터의 후단에 설치되고, 음이온용리액공급부로부터 음이온용리액이 전단에 공급됨으로써, 시료에 대한 음이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로 출력하는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를 포함하는 산성우 분석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수집부는, 상부에 개폐 가능한 커버가 설치되고, 강우나 강설을 감지하는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동작하는 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커버가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시료공급라인에서 상기 강우량측정기의 후단에 상기 pH측정기, 상기 전도도측정기 및 상기 온도측정기가 설치되고, 상기 강우량측정기의 후단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라인에 상기 시료공급라인을 통한 과잉의 시료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시료저장조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 및 상기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는, 상기 시료이송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시료를 양이온과 음이온을 순차적으로 분석하거나, 음이온과 양이온을 순차적으로 분석하도록 상기 시료이송라인에서 직렬로 설치되고, 상기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는, 시료로부터 암모니아,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을 분석하고, 상기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는, 시료로부터 불소, 염소, 질산염, 황산염을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 및 상기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가 이미 알고 있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값을 비교하여 오류를 보상할 수 있도록 양이온 표준용액과 음이온 표준용액을 상기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 및 상기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의 전단에 공급하도록 하는 표준용액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우량측정기, 상기 pH측정기, 상기 전도도측정기, 상기 온도측정기, 상기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 및 상기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이들이 측정한 측정값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측정결과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성우 분석장치에 의하면, 산성우에 대한 무인 자동 분석에 의해 산성우의 pH, 전도도, 온도 및 강우량뿐만 아니라, 극미량의 불소, 염소, 질산염, 황산염, 암모니아,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을 분석하여 깨끗한 대기 환경과 녹색 성장에 기여하고, 이러한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원을 줄이도록 하며, 산성우의 정확한 분석을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성우 분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성우 분석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성우 분석장치(100)는 강우나 강설로부터 산성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수집부(110), 시료공급라인(120), 강우량측정기(130), pH측정기(140), 전도도측정기(150), 온도측정기(160), 시료저장부(170), 시료이송라인(180),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190), 및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110)는 강우나 강설을 시료로서 수집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제 1 케이스(21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하부에 시료공급라인(120)이 연결된다. 또한, 수집부(110)는 상부에 개폐 가능한 커버(111)가 설치되고, 강우나 강설을 감지하는 레인센서 등과 같은 감지부(112)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동작하는 개폐수단(113)에 의해 커버(111)가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111)는 수집부(110)의 상단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거나, 수평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하는 실린더, 그 밖에 수평왕복 운동이 가능한 다양한 구동수단을 가진 개폐수단(113)에 의해 수집부(110)의 상단을 개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시료공급라인(120)은 수집부(110)로부터 시료가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하는데, 본 실시예에서처럼 중력에 의해 시료가 공급되도록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고, 일례로 제 1 케이스(21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고, 핀치밸브(pinch valve; 122)가 설치될 수 있다.
강우량측정기(130)는 시료공급라인(120)에 시료의 유량을 통한 강우량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로서 출력하도록 설치되고, 일례로 유량감지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pH측정기(140)는 시료공급라인(120)에 시료의 pH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로서 출력하도록 설치되고, 일례로 수소 이온의 농도에 따라 전위가 달라지는 전극을 이용하여 산성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전도도측정기(150)는 시료공급라인(120)에 시료의 전도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로서 출력하도록 설치되고, 일례로 시료에 대하여 전기를 통하는 정도를 이용하여 전도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측정기(160)는 시료공급라인(120)에 시료의 온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로서 출력하도록 설치되고, 일례로 온도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시료공급라인(120)에서 강우량측정기(130)의 후단에 pH측정기(140), 전도도측정기(150) 및 온도측정기(160)가 설치되고, 강우량측정기(130)의 후단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라인(251)에 시료공급라인(120)을 통한 과잉의 시료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오버플로우에 의해 시료공급라인(120)으로 공급하기 위한 시료저장조(250)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시료공급라인(120)에서 강우량측정기(130)의 후단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라인(261)에 시료공급라인(10)을 통한 과잉의 시료를 그 압력에 의해 일시 저장하였다가 시료의 양이 감소됨으로써 압력이 감소되면 시료공급라인(12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시료버퍼부(260)가 연결될 수 있다.
시료저장부(170)는 제 2 케이스(220)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시료공급라인(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시료가 채워지는데, 일례로 오버 플로우가 가능한 용기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부에 시료이송라인(180)이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시료공급라인(120)은 제 1 및 제 2 케이스(210,220)에 설치되기 위하여 커넥터(12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시료이송라인(180)은 시료저장부(170)로부터 펌프(181)의 펌핑에 의해 시료가 이송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시료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182)가 설치된다.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190)는 시료이송라인(180)에서 필터(182)의 후단에 설치되고, 양이온용리액공급부(230)로부터 양이온 용리액(cation eluent)이 전단에 공급됨으로써, 시료에 대한 양이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로 출력하도록 한다.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200)는 시료이송라인(180)에서 필터(182)의 후단에 설치되고, 음이온용리액공급부(240)로부터 음이온 용리액(anion eluent)이 전단에 공급됨으로써, 시료에 대한 음이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로 출력하도록 한다.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190) 및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200)는 흡착능, 분배계수, 휘발성 또는 이온교환능의 차 등을 이용하여 미량 물질의 분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일례로 시료에서 매질 내에서의 이동도 차이를 이용해서 양이온 및 음이온을 각각 분석하도록 한다.
양이온용리액공급부(230)는 양이온 용리액이 저장되는 양이온용리액저장부(231)와, 양이온용리액저장부(231)에 저장된 양이온 용리액을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190)의 전단에 공급하도록 펌핑하는 펌프(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용리액공급부(240)는 음이온 용리액이 저장되는 음이온용리액저장부(241)와, 음이온용리액저장부(241)에 저장된 음이온 용리액을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200)의 전단에 공급하도록 펌핑하는 펌프(242)를 포함할 수 있다.
양이온 용리액 및 음이온 용리액은 컬럼에서 이온을 분리시키는데 사용하는 고정액으로 사용된다.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190) 및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200)는, 시료이송라인(180)을 통해 이송되는 시료를 양이온과 음이온을 순차적으로 분석하거나, 음이온과 양이온을 순차적으로 분석하도록 시료이송라인(180)에서 직렬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190)는 시료로부터 암모니아,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을 분석하고,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200)는 시료로부터 불소, 염소, 질산염, 황산염을 분석할 수 있다.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190) 및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200)가 이미 알고 있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값을 비교하여 오류를 보상할 수 있도록 양이온 표준용액과 음이온 표준용액을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190) 및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200)의 전단에 공급하도록 하는 표준용액공급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용액공급부(270)는 양이온 표준용액이 저장된 양이온표준용액저장부(271)와, 음이온 표준용액이 저장된 음이온표준용액저장부(272)와, 양이온표준용액저장부(271) 및 음이온표준용액저장부(272) 중 어느 하나로부터 공급되는 양이온 표준용액 또는 음이온 표준용액을 시료이송라인(180)에서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190) 및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200)의 전단에 공급하도록 펌핑하는 펌프(2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산성우 분석장치(100)는 강우량측정기(130), pH측정기(140), 전도도측정기(150), 온도측정기(160),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190) 및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200)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이들이 측정한 측정값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측정결과전송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측정결과전송부(280)에 의해 전송된 측정값은 외부의 정보 처리 기기가 수신받아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전송받은 측정값을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나 프린터를 통해 페이퍼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산성우 분석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산성우 분석장치(100)는 산성우의 분석을 위해서 건물 옥상이나 야외에 설치될 수 있고, 강우나 강설을 감지부(112)가 감지하면, 개폐수단(113)의 구동에 의해 커버(111)가 수집부(110)의 상단을 개방시키고, 수집부(110)가 강우나 강설을 시료로서 수집함으로써 강우량측정기(130), pH측정기(140), 전도도측정기(150), 온도측정기(160)를 통해서 시료에 대한 강우량, pH, 전도도, 온도를 각각 측정하도록 한다.
상기한 측정을 마친 시료는 시료공급라인(120)을 따라서 시료저장부(170)에 저장되고, 시료저장부(170)에서 일정량을 초과한 시료는 자동으로 드레인됨으로써 많은 시료가 이상없이 모아지도록 한다.
시료저장부(170)에 저장된 시료는 정밀한 펌프(181)의 펌핑에 의해 양이온 용리액과 음이온 용리액을 최대한 절약하면서 컬럼을 보호하기 위하여 분당 0.2ml 속도로만 이송되도록 한다. 이때, 시료는 필터(182)를 통과한 후 양이온 용리액과 함께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190)에 주입되고,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190)를 통과한 시료가 음이온 용리액과 함께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200)로 공급되고,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에 의해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190)는 시료로부터 암모니아,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을 분석하고,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200)는 시료로부터 불소, 염소, 질산염, 황산염을 분석하도록 한다.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190)와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200)는 측정된 음이온과 양이온의 결과치가 이상없는지를 무인 판독하기 위하여, 강우를 분석시 동시에 자동으로 음이온 표준용액과 양이온 표준용액을 시료에 정량적으로 투여하여 음이온과 양이온의 기지 농도 값을 비교함으로써 현재 분석하고 있는 결과값의 오류를 매번 분석시마다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석이 완료된 결과값은 측정결과전송부(280)에 의해 원격의 정보 처리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강우 또는 강설시 시간별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수집부 111 : 커버
112 : 감지부 113 : 개폐수단
120 : 시료공급라인 121 : 커넥터
130 : 강우량측정기 140 : pH측정기
150 : 전도도측정기 160 : 온도측정기
170 : 시료저장부 180 : 시료이송라인
181 : 펌프 182 : 필터
190 :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 200 :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
210 : 제 1 케이스 220 : 제 2 케이스
230 : 양이온용리액공급부 231 : 양이온용리액저장부
232 : 펌프 240 : 음이온용리액공급부
241 : 음이온용리액저장부 242 : 펌프
250 : 시료저장조 251 : 분기라인
260 : 시료버퍼부 261 : 분기라인
270 : 표준용액공급부 271 : 양이온표준용액저장부
272 : 음이온표준용액저장부 273 : 펌프
280 : 측정결과전송부

Claims (6)

  1. 강우나 강설로부터 산성우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강우나 강설을 시료로서 수집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집부;
    상기 수집부로부터 상기 시료가 공급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시료공급라인;
    상기 시료공급라인에 시료의 유량을 통한 강우량, 상기 시료의 pH, 상기 시료의 전도도, 상기 시료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로서 각각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강우랑측정기, pH측정기, 전도도측정기 및 온도측정기;
    상기 시료공급라인으로부터 공급되는 시료가 채워지는 시료저장부;
    상기 시료저장부로부터 펌프의 펌핑에 의해 시료가 이송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고, 상기 시료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되는 시료이송라인;
    상기 시료이송라인에서 상기 필터의 후단에 설치되고, 양이온용리액공급부로부터 양이온용리액이 전단에 공급됨으로써, 시료에 대한 양이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 및
    상기 시료이송라인에서 상기 필터의 후단에 설치되고, 음이온용리액공급부로부터 음이온용리액이 전단에 공급됨으로써, 시료에 대한 음이온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신호로 출력하는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우 분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상부에 개폐 가능한 커버가 설치되고, 강우나 강설을 감지하는 감지부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동작하는 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커버가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우 분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료공급라인에서 상기 강우량측정기의 후단에 상기 pH측정기, 상기 전도도측정기 및 상기 온도측정기가 설치되고, 상기 강우량측정기의 후단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라인에 상기 시료공급라인을 통한 과잉의 시료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시료저장조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우 분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 및 상기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는,
    상기 시료이송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시료를 양이온과 음이온을 순차적으로 분석하거나, 음이온과 양이온을 순차적으로 분석하도록 상기 시료이송라인에서 직렬로 설치되고,
    상기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는,
    시료로부터 암모니아,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을 분석하고,
    상기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는,
    시료로부터 불소, 염소, 질산염, 황산염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우 분석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 및 상기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가 이미 알고 있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농도값을 비교하여 오류를 보상할 수 있도록 양이온 표준용액과 음이온 표준용액을 상기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 및 상기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의 전단에 공급하도록 하는 표준용액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우 분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량측정기, 상기 pH측정기, 상기 전도도측정기, 상기 온도측정기, 상기 양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 및 상기 음이온크로마토그래피분석기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이들이 측정한 측정값을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측정결과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성우 분석장치.
KR1020110127420A 2011-12-01 2011-12-01 산성우 분석장치 KR101300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420A KR101300967B1 (ko) 2011-12-01 2011-12-01 산성우 분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7420A KR101300967B1 (ko) 2011-12-01 2011-12-01 산성우 분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219A true KR20130061219A (ko) 2013-06-11
KR101300967B1 KR101300967B1 (ko) 2013-08-27

Family

ID=48859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420A KR101300967B1 (ko) 2011-12-01 2011-12-01 산성우 분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09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063B1 (ko) * 2021-04-02 2021-06-08 하갑태 수질 분석을 위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장치 및 분석 결과 정보 제공 방법
CN113049349A (zh) * 2021-03-16 2021-06-29 上海科泽智慧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水质分析仪的抗浊度干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8726B2 (ja) 1992-04-10 2000-03-13 横河電機株式会社 酸性雨自動測定装置
JPH06109721A (ja) * 1992-09-30 1994-04-22 Shimadzu Corp 雨水自動分析装置
JPH08122227A (ja) * 1994-10-21 1996-05-17 Shimadzu Corp 降水サンプリング装置
KR200322759Y1 (ko) 2003-04-15 2003-08-14 (주)이노셈코리아 산성 강우 및 강설 채취를 통한 피에취, 전도도 그리고강우량 측정 및 전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49349A (zh) * 2021-03-16 2021-06-29 上海科泽智慧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水质分析仪的抗浊度干扰装置
CN113049349B (zh) * 2021-03-16 2023-01-31 上海科泽智慧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水质分析仪的抗浊度干扰装置
KR102263063B1 (ko) * 2021-04-02 2021-06-08 하갑태 수질 분석을 위한 이온 크로마토그래피 장치 및 분석 결과 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0967B1 (ko) 2013-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upa Sampling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of precipitation: a review
CN102749260A (zh) 测定大气颗粒物的含水量和吸湿增长率的方法和装置
CN1996023A (zh) 移动式快速水质自动监测系统
CN101059465A (zh) 一种氨检测方法及装置
CN105842725B (zh) 一种空气中氚化水蒸汽的比活度的测定方法
US6526811B2 (en) Analytical apparatus for measurement of low concentration constituent, method of measurement and calibration using the same
CN103616484B (zh) 一种基于颗粒物连续监测仪的大气颗粒物中持久性有机污染物监测方法
CN104849422A (zh) 一种氨氮在线监测系统及方法
Gonski et al. Assessment of the suitability of Durafet-based sensors for pH measurement in dynamic estuarine environments
CN105987883A (zh) 一种水体中硫化物含量测定方法及系统
CN111596002A (zh) 一种用检测废气的lel及v0c智能在线分析处理系统
CN104020119B (zh) 生产环境微纳米气溶胶湿式紫外吸收法在线检测方法
KR101300967B1 (ko) 산성우 분석장치
CN105043826B (zh) 一种智能恒温多路大气采样方法
Ames et al. An automatic rain gauge for continuous, real time determination of rainwater chemistry
KR101275882B1 (ko) 굴뚝배출가스 수분측정 시스템
CN202057665U (zh) 紫外消解法水质总磷在线监测仪
Noguchi et al. Ionic imbalance due to hydrogen carbonate from Asian dust
Durst et al. Analysis of wet deposition (acid rain): determination of the major anionic constituents by ion chromatography
CN105547412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氨氮检测用试剂计量装置
CN105675698A (zh) 一种高温水解-溴离子选择电极测定煤中溴的方法
Oikawa et al. Automatic monitoring system for acid rain and snow based on ion chromatography
KR101315575B1 (ko) 대기와 산성우의 선택적 분석시스템
CN110487850A (zh) 一种脱气电导率测量系统及方法
CN106019412A (zh) 能够自主记录雨量的雨量计量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