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1120A -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 방법 및 그 기기 - Google Patents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 방법 및 그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1120A
KR20130061120A KR1020120138247A KR20120138247A KR20130061120A KR 20130061120 A KR20130061120 A KR 20130061120A KR 1020120138247 A KR1020120138247 A KR 1020120138247A KR 20120138247 A KR20120138247 A KR 20120138247A KR 20130061120 A KR20130061120 A KR 20130061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jor surface
glass sheet
edge surface
side edge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8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195B1 (ko
Inventor
니콜라스 도미닉 3세 카발라로
케이쓰 밋첼 힐
하리 조셉 레이디
리밍 왕
제밍 젱
나이유 조우
Original Assignee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61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15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ribbon being in a substantially vertic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49/00Aspects relating to conveying systems for the manufacture of fragile sheets
    • B65G2249/04Arrangements of vacuum systems or suction c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10Methods
    • Y10T225/12With preliminary weake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30Breaking or tearing apparatus
    • Y10T225/307Combined with preliminary weakener or with nonbreaking cutter
    • Y10T225/321Preliminary weak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30Breaking or tearing apparatus
    • Y10T225/307Combined with preliminary weakener or with nonbreaking cutter
    • Y10T225/321Preliminary weakener
    • Y10T225/325With means to apply moment of force to weakened 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30Breaking or tearing apparatus
    • Y10T225/371Movable breaking tool
    • Y10T225/379Breaking tool intermediate spaced work supports
    • Y10T225/386Clamping suppor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유리 시트의 비드 구역과 같은 주변부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은 가압 바와 같은 가압 기구와, 이에 대응하는 기기를 사용하여 상기 주변부에서의 유리 시트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압 기구를 사용한 결과로서, 석션 컵이 사용된다면 상기 석션 컵의 결합 완료 시간은 상당하게 감소된다. 석션 컵을 사용하지 않는 공정은 양품률의 향상을 가능하게 한다. 증가된 공정 안정성과 커진 공정 윈도우가 고 가요성을 갖는 유리 시트를 처리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Description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 방법 및 그 기기{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ERIPHERAL PORTION OF A GLASS SHEET}
본 발명은 유리 시트의 주변부를 피니싱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유리 시트의 주변부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용 유리 기판으로 사용하기 위해 하향-인발 공정으로부터 성형된 유리 시트의 비드 구역을 제거하는데 유용하다.
얇은 유리 시트는 LCD(liquid crystal displays),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태양 전지와 같은 많은 광학 장치, 전자 장치 또는 광전자 장치에서, 반도체 장치 기판, 칼라 필터 기판, 커버 시트 등과 같이 사용된다고 알려졌다. 수 마이크로미터로부터 수 밀리미터의 두께를 갖는 얇은 유리 시트가 플로트 공정, 융합 하향-인발 공정(미국 뉴욕 코닝에 위치한 Corning Incorporated에 의해 개발된 방법), 슬롯 하향-인발 공정 등과 같은 많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많은 분야의 얇은 유리 시트에 있어서, 유리 시트가 (i) 스크래치, 파티클 및 여러 결함이 반드시 없는 최초의 표면 품질; (ii) 높은 두께 일정도; (iii) 표면의 낮은 거칠기 및 파형을 갖는다면 매우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리 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성형 공정에 있어서, 단단한 표면으로써 성형된 바와 같이 유리 시트의 주 표면의 중앙 구역의 전형적인 직접적인 접촉이 피해진다. 대신에, 유리 시트의 주변 구역만이 엣지 롤, 인장 롤, 엣지 가이드 롤 등과 같은 단단한 표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었다. 따라서, 때때로 소위 "비드"라 칭해지는 융합 하향-인발 공정의 또는 슬롯 하향-인발 공정의 하부-인발 영역(bottom-of-draw area)에서 처럼, 성형 장치로부터 성형되어 직접적으로 얻어진 바와 같은 유리 시트의 양면의 주변부가 주 표면의 중앙 구역보다 저 표면 품질을 갖는 경향이 있다. 더욱이, 사용된 특정 성형 장치에 따라, 주변부는 중앙 구역보다 상이한 두께 변화와 상당히 큰 두께 변화를 갖는 경향이 있다.
다양한 유리 시트 비드 제거 기술이 상이한 양품률(yield), 양품률 일관성, 그리고 공정 및 설비의 비용으로 종전에 사용되거나 제안되었다.
디스플레이 시장은 고 가요성의 유리 시트, 즉, 큰 시트 폭 및/또는 길이, 및/또는 매우 작은 두께를 갖는 유리 시트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고 가요성을 유리 시트에 대해, 비드 제거가 유리 시트 제조 공정에 있어서 상당한 도전이고 전반적인 양품률을 저해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비교적 저 가요성을 갖는 유리 시트에 대해 허용가능한 비드 제거 공정이 상당히 큰 가요성을 갖는 유리 시트에 대해 허용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고 가요성 및/또는 저 가요성을 갖는 유리 시트에 대해 허용가능한 특성을 갖는 확실한(robust) 유리 시트 비드 제거 공정이 정말로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여러 요건을 만족한다.
본 발명의 여러 특징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징은 서로 합쳐지거나 합쳐지지 않을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특징의 일부가 다른 하나의 특징의 범주 내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이와 반대로 다른 하나의 특징의 일부가 하나의 특징의 범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특징이 많은 실시예로 나타나 있고, 이 결과 상기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특정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서로 합쳐지거나 합쳐지지 않을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실시예의 일부, 또는 특정 실시예가 다른 하나의 실시예나 또는 다른 하나의 특정 실시예의 범주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며, 이와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를 제거하는 공정이며, 상기 공정은:
(I) 제1 주 표면, 상기 제1 주 표면 반대쪽 제2 주 표면, 중앙 두께(Th(C))를 갖는 중앙 구역, 상부 엣지 표면, 하부 엣지 표면, 제1 측면 엣지 표면 및 제2 측면 엣지 표면을 갖는 유리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II) 상기 상부 엣지 표면 부근의 상기 제1 주 표면과 상기 제2 주 표면을 서스펜션 장치에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유리 시트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키는 단계;
(III) 단계 (II) 이후에, 상기 상부 엣지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엣지 표면까지 뻗어있는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1)로, 상기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상기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2 주 표면을 구속하는 단계;
(IV) 단계 (III) 이후에,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2)로, 상기 엣지 표면 부근으로부터 상기 하부 엣지 표면 거리 부근까지 뻗어있는 상기 제1 주 표면 상에 스코어-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V) 제1 쌍의 클램프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3)로, 상기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상기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2 주 표면을 클램핑하는 단계;
(VI) 상기 스코어-라인과 마주한 노우징(nosing) 스트립과 상기 제2 주 표면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VII) 단계 (V) 및 단계 (VI) 이후에, 상기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상기 유리 시트의 상기 제1 주변부가 노우징 스트립에 대해 구부러지고, 상기 유리 시트의 상기 중앙 구역으로부터 상기 스코어-라인을 따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쌍의 클램프로써 상기 제1 주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주 표면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엣지 표면은 상기 제1 주 표면과 상기 제2 주 표면, 그리고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 부근의 상기 제1 주변부를 연결하고,
거리(D2) < 거리(D1)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단계 (II) 내지 단계 (VII)에 있어서, 유리 시트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III)는 단계 (V)에 선행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III) 및 단계 (V)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V)에 있어서, 제1 쌍의 클램프는 실질적으로 수직의, 즉, 중력 가속 벡터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유리 시트가 실질적으로 실내 온도로 일정한 온도를 갖고 외력을 받지 않을 때, 단계 (I)에 있어서, 제공된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가 상부 엣지 표면으로부터 하부 엣지 표면까지의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VI)에 있어서, 제1 쌍의 클램프와 제1 주변부의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의 결합은 기껏해야 1.5 초에서,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1 초에서,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0.5 초에서,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0.4 초에서,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0.3 초에서 완료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II)에 있어서, 상부 엣지 표면 부근의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은 클램프를 사용하여 서스펜션 장치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III)에 있어서,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은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1)에서 제2 수직 쌍의 클램프에 의해 체결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수직 쌍의 클램프는 상부 엣지 표면으로부터 하부 엣지 표면까지 뻗어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VI)는 단계 (IV)에 선행하고, 그리고 상기 단계 (IV)에 있어서, 기계적인 스코어 휠은 제1 주 표면을 가압하고 스코어-라인을 형성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I)에 있어서, 유리 시트의 중앙 두께(Th(C))는 기껏해야 500 ㎛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400 ㎛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300 ㎛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200 ㎛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100 ㎛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I)에 있어서, 유리 시트의 높이는 적어도 100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200 cm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500 cm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800 cm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000 cm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500 cm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3000 cm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유리 시트의 높이는 상부 엣지 표면으로부터 하부 엣지 표면까지의 가장 짧은 거리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I)에 있어서, 유리 시트의 폭은 적어도 100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200 cm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500 cm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800 cm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000 cm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500 cm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3000 cm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유리 시트의 폭은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 제2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까지의 가장 짧은 거리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유리 시트는 융합 하향-인발 공정, 슬롯 하향-인발 공정 또는 재인발(redraw) 하향-인발 공정과 같은 하향-인발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IV)에 있어서, 스코어-라인은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성형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5 cm ≤ D1 ≤ 50 cm 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5 cm ≤ D1 ≤ 40 cm 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5 cm ≤ D1 ≤ 30 cm 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5 cm ≤ D1 ≤ 20 cm 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5 cm ≤ D1 ≤ 15 cm 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5 ≤ D1 ≤ 10 cm 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4 cm ≤ D2 ≤ 5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4 cm ≤ D2 ≤ 4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4 cm ≤ D2 ≤ 3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4 cm ≤ D2 ≤ 2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4 cm ≤ D2 ≤ 15 cm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4 cm ≤ D2 ≤ 10 cm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0.5 cm ≤ D3 ≤ 2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0.5 cm ≤ D3 ≤ 15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0.5 cm ≤ D3 ≤ 1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0.5 cm ≤ D3 ≤ 8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0.5 cm ≤ D3 ≤ 5 cm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0.5 cm ≤ D3 ≤ 3 cm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V)에 있어서, 제1 쌍의 클램프는 상부 엣지 표면으로부터 하부 엣지 표면까지 뻗어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V)에 있어서, 제1 쌍의 클램프는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과 제2 주 표면에 200 내지 2000 파스칼 범위의 압력을,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300 내지 1500 파스칼 범위의 압력을,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400 내지 1000 파스칼 범위의 압력을,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500 파스칼 내지 1000 파스칼 범위의 압력을 가한다. 예를 들면, 대략 1900 mm의 높이를 갖는 유리 시트에 대하여, 제1 쌍의 클램프의 클램프 스트립의 폭이 대략 2 mm일 때, 상기 클램프에 의해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에 가해진 필요한 힘은 2 파운드력(4.45 뉴턴)으로부터 대략 20 파운드력(44.5 뉴턴)까지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II)에서의 서스펜션 장치는 유리 이송 장치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IV)는 단계 (VI)에 선행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VI)는 단계 (IV)에 선행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VI)에 있어서, 노우징 스트립은 유리 시트보다 적지 않은 경도를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노우징 스트립의 쇼어 A 경도는 적어도 40,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50,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60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VI)에 있어서, 노우징 스트립은 충분한 강성을 갖는 지지부 상에 장착되어, 단계 (IV) 동안에, 상기 노우징 스트립은 스코어 휠이 유리의 제1 주 표면을 노우징 스트립에 대해 가압할 때 실질적으로 선형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제1 주 표면, 상기 제1 주 표면 반대쪽 제2 주 표면, 중앙 두께(Th(C))를 갖는 중앙 구역, 상부 엣지 표면, 하부 엣지 표면, 제1 측면 엣지 표면 및 제2 측면 엣지 표면을 갖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를 제거하기 위한 기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기기는,
(A) 상부 엣지 표면 부근의 상기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2 주 표면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유리 시트를 수직 위치로 배치하도록 적용된 유리 서스펜션 장치;
(B) 제1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한 상기 제1 주 표면의 측면에 위치된 제1 엣지 구속 타워와, 제2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한 상기 제2 주 표면의 측면에 위치된 제2 엣지 유리 타워;
(C)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2)로, 상기 상부 엣지 표면 부근으로부터 상기 하부 엣지 표면까지 뻗어있는, 상기 제1 주 표면상에 스코어-라인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주 표면과 접촉하여 수직 이동하도록 적용된 상기 제1 엣지 구속 타워 상에 설치된 기계적인 스코어링 휠;
(D)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3)로, 상기 제1 주변부의 상기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2 주 표면을 결합하고 클램핑하도록 적용된 제1 쌍의 엣지 클램프;
(E) 상기 제2 주 표면과 접촉하도록 적용된 상기 스코어-라인과 마주한 노우징 스트립; 및
(F) 상기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상기 유리 시트의 상기 제1 주변부가 상기 노우징 스트립에 대해 구부러지고, 상기 유리 시트의 상기 중앙 구역으로부터 상기 스코어-라인을 따라서 분리하도록, 상기 제1 쌍의 클램프에 의해 상기 제1 주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주 표면을 이동시키도록 적용된 힘 적용기(force applicator)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엣지 표면은 상기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2 주 표면, 그리고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 부근의 상기 제1 주변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과 상기 제2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 사이의 거리는 상기 상부 엣지 표면에서의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엣지 표면까지의 거리(D1)로, 상기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상기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2 주 표면을 구속하도록 적용되고 조정가능하고,
거리(D2) < 거리(D1)이고,
거리(D3) < 거리(D2)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노우징 스트립은 유리 시트보다 적지 않은 경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노우징 스트립은 충분한 강성을 갖는 시트로써 지지되어, 상기 노우징 스트립은 스코어 휠이 유리의 제1 주 표면을 상기 노우징 스트립에 대해 가압할 때, 실질적으로 선형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노우징 스트립은 알루미늄, 스틸, 구리 및 이들의 합금, 그리고 폴리이미드 중에서 선택된 재료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의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 및/또는 특징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스코어-라인이 형성되기 전에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3)로,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을 구속하기 위하여, 첫번째로 제1 쌍의 클램프를 사용함으로써,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의 이동이 스코어링 동안에 상당히 감소하게 되어, 상기 스코어-라인의 형성 신뢰도와 그의 품질이 기껏해야 500 ㎛의 두께(Th(C))를 갖는 얇은 유리 시트에 대해, 특히 기껏해야 300 ㎛의 두께(Th(C))를 갖는 얇은 유리 시트에 대해 실질적으로 증가되고, 그리고 기껏해야 200 ㎛의 두께(Th(C))를 갖는 얇은 유리 시트에 대해서도 더욱 유리하다. 이에 따라, 주변 제거 공정의 총 양품률이 상당하게 향상된다. 둘째로, 제1 쌍의 클램프에 의해 제공된 부가적인 구속 때문에, 공정 및 기기가 상부로부터 하부 엣지 표면까지의 시트 구부러짐에 덜 민감하고, 이에 따라 고 가요성 및 비교적 큰 시트 구부러짐을 갖는 유리 시트, 예를 들면 기껏해야 500 ㎛, 기껏해야 400 ㎛, 기껏해야 300 ㎛, 또는 기껏해야 200 ㎛까지의 두께를 갖는 유리 시트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이 아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고, 이들 사항은 당업자가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면 보다 명확하게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재한 일반적인 설명과 아래 기재된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개략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들 기재된 설명들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로 특징지워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더욱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일부를 이룬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라 주변부가 제거되는 2개의 비드 구역과 중앙 구역을 포함한 유리 시트의 개략적인 단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2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를 제거하기 위해 제1 쌍의 클램프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유리 시트의 주변부를 제거하기 위해 석션 컵과 함께 가압 바를 사용하는 비교예에서의 기기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유리 시트의 주변부를 제거하기 위해 석션 컵만을 사용하는 다른 한 비교예에서의 기기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선택적인 비드를 가열하기 전에 비드 구역을 갖는 유리 시트에서의 잔여 스트레스 분포를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정과 기기는 특히 유리 시트의 비드 구역을 제거하는데 유리하고, 이처럼 본 명세서에서 비드 구역 제거와 관련하여 순차로 순차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가 본 발명의 명세서를 살펴보고 본 발명의 장점을 파악한다면, 본 발명의 공정 및 기기는 임의의 유리 시트의 주변부를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리 시트는 비드를 포함한 구역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공정 및 기기가 비드 구역 없이 유리 시트 크기를 재 성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간단하게 이야기 하자면, 유리 시트는 2개의 주 표면 즉, 제1 주 표면과 제2 주 표면을 갖는 유리 재료의 한 부분이고, 상기 유리 시트는 폭, 길이, 및 상기 제1 주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 주 표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된 두께를 갖는다.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은 4개의 면에 의해, 즉, 상부 엣지 표면, 하부 엣지 표면, 제1 측면 엣지 표면 및 제2 측면 엣지 표면에 의해 연결된다. 상부 엣지 표면, 하부 엣지 표면, 제1 측면 엣지 표면 및 제2 측면 엣지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거나 만곡될 수 있다. 엣지 표면이 만곡되는 경우에, 상기 엣지 표면은 제1 주 표면 및/또는 제2 주 표면과 연결되기 전에 기껏해야 1 cm의 거리로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 유리 시트의 중앙선까지의 방향으로 뻗어있다.
간단하게 이야기 하자면,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 및 실시예에 따른 공정의 다양한 단계가 로마자 (I), (II), … (VIII), 등으로 넘버링 되어 있다. 따로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다면, 임의의 순서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유리 시트(101)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유리 시트는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에 의해 중단된 융합 하향-인발 공정으로 하부-인발(bottom-of-the-draw)에서 성형된다. 이러한 유리 시트(101)는 본 발명의 기기 및 방법을 사용하여 유리하게 마무리될 수 있다. 유리 시트(101)는 제1 주 표면(103); 제2 주 표면(105); 상기 제1 주 표면의 중심선으로부터 최대 거리의 단부를 갖는 만곡된 제1 측면 엣지 표면(104), 및 상기 제1 주 표면의 중심선으로부터 최대 거리의 단부를 갖는 만곡된 제2 측면 엣지 표면(110)을 가지며, 이들 각각은 제1 주 표면(103) 및 제2 주 표면(105)을 각각 연결한다. 유리 시트(101)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Th(C))를 갖는 중앙 구역(CR), 제1 측면 엣지 표면(104)에 인접하고 대응하는 제1 비드 구역(BD1), 그리고 제2 측면 엣지 표면(110)에 인접하고 대응하는 제2 비드 구역(BD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은 상기 유리 시트의 각각의 면 상에서 만곡된 제1 비드 표면(107)과 만곡된 제2 비드 표면(109)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면 엣지 표면은 만곡된 제3 비드 표면(111) 및 만곡된 제4 비드 표면(113)을 갖는다. 중앙 구역에서 평탄화된 제1 주 표면(103) 및/또는 제2 주 표면(105)에 수직한 가상 평면에 의해 중단될 때 그 최대 두께로 정의된 제1 비드 구역(BD1)의 최대 두께는 Th(B1)로 지시된다. 제2 비드 구역(BD2)은 두께(Th(B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최대 두께(Th(B2))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1 비드 구역(BD1) 및 제2 비드 구역(BD2)의 폭은 상이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도 1b는 제1 주 표면(103)으로부터 제2 주 표면(105)까지의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 동일한 유리 시트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높은, 최초의 표면 품질을 갖는 유리 시트의 중앙 구역(CR)을 때때로 품질 구역이라 한다. 통상적으로, 유리 기판상에 기초한 전자/광학 장치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반도체 장치, 여러 전자 장치 및 광학 장치 등과 같은 작동 장치는 제1 비드 구역 및 제2 비드 구역이 제거된 이후에만 유리 시트의 주 표면 상에 형성된다. 엣지의 양 부분을 제거한 이후에, 유리 시트가 이후 그라인딩 및 폴리싱과 같은 엣지 피니싱 처리될 수 있고, 이어서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작동 장치가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 중 하나의 표면이나 2개의 표면 중 품질 영역(CR) 상에 배치되기 전에, 세정 및 건조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가 상기 유리 시트의 나머지부로부터 제거될 제1 측면 엣지 표면 부근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기 엣지 표면에 대응하는 상기 유리 시트의 부분이다. 유리 시트의 중앙 구역은 통상적으로 다음 분야에서 유지되고 사용되도록 의도된 부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살펴보면, 유리 시트(101)의 제1 주변부가 유리하게도 제1 비드 구역(BD1)에 대응한다. 아래 본 발명은 제1 주변부에 관해서만 기재되어 있고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파악하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장점을 이해한 당업자라면, 실제 유리 시트 주변부 피니싱 공정에 있어서, 제1 주변부 및 제2 주변부 모두 또는 이들 주변부 중 어느 한 주변부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양한 특징에 따른 기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공정의 실시예와 다양한 특징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상부 엣지 표면 및 하부 엣지 표면에 인접한 유리 시트의 주변부가 또한 유리 시트가 90° 회전할 때, 제1 주변부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유리 시트의 다수의 주변부의 이러한 공정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순차로 실행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및 제2 주변부가 실질적으로 동기화되고 대칭적인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동시에 처리될 수 있다.
단계 (II)에 있어서, 유리 시트(101)는 중력 가속 벡터가 평탄해진 제1 주 표면(103)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 또는 유리 시트(101)의 제1 주 표면(103)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와 같은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모든 단계 (II) 내지 단계 (VII) 동안에, 유리 시트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안정적인데, 이는 즉, 중력 가속 벡터와 제1 주 표면 사이의 각도는 10°이상 변하지 않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8° 이상 변하지 않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6° 이상 변하지 않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5° 이상 변하지 않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4° 이상 변하지 않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3° 이상 변하지 않으며,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2° 이상 변하지 않도록 매우 요구된다. 소정의 위치로 유리 시트를 배치하는 것은 상부 엣지 표면 부근의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을 서스펜션 장치로 구속함으로써 유리한 영향을 받게 된다.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리 시트는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로 배치되는데, 이는 즉,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 및/또는 제2 주 표면이 중력 가속 벡터에 대해 기껏해야 10° 의 각도로,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8°의 각도로,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6°의 각도로,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4°의 각도로,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2°의 각도로,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1°의 각도로 정위된다는 것이다.
유리 시트가 무-중력 환경에서의 실내 온도와 비슷한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를 갖는다면, 유리 시트가 겪게 되는 독특한 기계적인 및/또는 열적 히스토리의 결과로서 유리 시트에 분포된 다양한 레벨의 내부 스트레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융합 하향-인발 공정, 플로트 공정 또는 슬롯 하향-인발 공정과 같은 실제 유리 시트 제조 공정에서 만들어진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갖는 비교적 큰 유리 시트가 때때로 소위 "구부러짐(warp)"라 할 수 있는 자체 곡률을 나타낼 것이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융합 하향-인발 공정에 있어서, 유리 시트는 상기 유리 시트를 점탄성 상태로 냉각하고, 결국에는 탄성 상태로 냉각하면서, 아이소파이프(isopipe)로 지칭된 성형 장치의 루트에서 성형된 점성의 유리 리본을 필요한 폭과 두께로 인발함으로써 성형된다. 기계적인 롤러가 소위 비드일 수 있는 주변부와 접촉하는 한편으로, 유리 리본이 하향 인발된다. 통상적으로 비드가 제 위치에 유지된 상태에서, 별개의 유리 시트가 이후 연속의 유리 리본으로부터 절단되고, 최종적으로 실내 온도와 비슷한 온도로 냉각된다. 유리 시트에서의 유리 재료가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그리고 상부로부터 하부로 약간 상이한 열적 히스토리를 겪게 된다. 예를 들면, 유리 리본의 비드 구역은 통상적으로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며, 이에 따라 통상적으로 동일한 냉각 환경에서, 보다 얇은, 중앙 구역과 비교하였을 경우보다 느린 속도로 냉각된다. 유리 시트가 실내 온도와 실질적으로 비슷한 일정한 온도에 있을 경우 상이한 열적 히스토리에 의해 유리 시트에서는 내부 잔여 스트레스가 야기된다.
도 5는 융합 하향-인발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일례의 유리 시트의 일부의 스트레스 분포 프로파일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수평 축선은 유리 시트의 중앙선으로부터의 거리이고, 수직 축선 시트의 상부 엣지로부터의 거리이다. 비드를 포함한 최우측 주변부는 3225 psi에 이르는 최고의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한편, 중앙 구역은 실질적으로 제로 스트레스를 갖는다. 이러한 잔여 스트레스 분포 프로파일은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때때로 구부러짐이라 지칭된 유리 시트에 대한 곡률을 부여할 수 있다. 구부러짐은 원래 3차원이며: 상부 엣지 표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나타나고, 제1 측면 엣지 표면으로부터 제2 측면 엣지 표면까지 수평으로 나타난다.
유리 시트가 무-중력 환경에서 자연적인 구부러짐을 나타낼 때, 상기 유리 시트가 중력장에서 상부 엣지로부터 매달려 있고 또 다른 외측 구속이 내부 스트레스에 반하도록 부가되지 않는다면, 상기 유리 시트는 통상적으로 자연적인 구부러짐을 나타낼 것이다. 유리 시트의 내부에 잔여 스트레스가 남아 있고 상기 유리 시트의 자연적인 곡률이 있기 때문에, 수직 위치를 유지할 때, 비드 구역과 같은 주변부의 제거를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의 방법과 기기는 특히 유리 시트의 주변부를 제거하는데 유리하여, 상기 유리 시트가 실내 온도와 비슷한 실질적으로 일정한 온도에 있을 때,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고 깊이 있게 설명될 이유 때문에, 무-중력 구부러짐을 통상적으로 나타낼 것이다.
융합 하향-인발 성형 공정과 관련하여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점성의 상태에서의 유리 재료의 인발 작동을 포함한 임의의 유리 성형 공정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유리는, 예를 들면, 주변부의 양면을 집는 한 쌍의 롤러에 의해, 엣지 영역에서 구속된다. 보다 높은 온도와 낮은 유리 점도에서 롤러와 유리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은 비드 구역에서의 융기형성된 표면의 형성을 초래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비드 구역은 가변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도 1a는 중앙 구역의 두께(Th(C)) 보다 상당히 더 두꺼운 최대 두께(Th(B1) 및 Th(B2))를 갖는 비드형성된 구역(BD1 및 BD2)을 나타낸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융기형성된 표면이 형성된 구역과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Th(C))를 갖는 품질 중앙 구역 사이에, 엣지 롤러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으므로 실질적으로 매끈한 표면을 갖지만, 중앙 구역에서의 두께 프로파일만큼 일정하지 않은 가변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 중간 구역이 존재한다. 만곡된 엣지 표면(104)을 갖는 구역과, 융기형성된 표면을 갖는 구역과, 실질적으로 매끈한 표면 및 가변 두께 프로파일을 갖는 구역의 조합은 본 발명에 따른 기기와 공정을 사용하여 제거될 제1 주변부를 이룬다. 과거에는, 석션 컵이 제1 섹션(즉, 융기형성된 표면을 갖는 섹션)이 아닌, 제2 섹션(즉, 매끈한 표면을 갖는 섹션)과 직접적으로 결합하여, 비드 구역 제거 공정 동안에, 누출이 발생되지 않고 강건한 접촉을 보장하며 석션 컵에 대한 결합 완료 시간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공정에 있어서, 단계 (V), 즉, 제1 쌍의 클램프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3)(이 경우, D3 < D2)로, 상기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상기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2 주 표면을 클램핑하는 단계를 포함한 결과로서,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과 클램프의 결합은 유리 시트를 구속하는 대신에 석션 컵이 사용되는 공정에 비해 매우 용이하다. 제1 쌍의 클램프 대신에 석션 컵을 사용하는 공정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공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 완료 시간이 적어도 1/4 만큼,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3 만큼,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2 만큼 감소된다. 석션 컵이 제1 쌍의 클램프 대신에 유리 시트를 구속하도록 사용되는 과거에는, 이들 사이에서 확실하고 강건하게 결합하게 하기 위하여, 산업용 석션 컵에서 전형적인 바와 같이, 상기 유리 시트의 표면과 석션 컵의 결합은 전형적으로 상기 석션 컵의 내부 공동에 진공을 적용한 이후에, 상기 석션 컵과 상기 유리 시트의 표면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리 시트의 표면과 석션 컵의 확실하고 강건한 결합은 유리 시트를 통해 상기 유리 시트의 인장이 가능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석션 컵의 결합 완료 시간은 제1 석션 컵이 제2 주 표면과 접촉하는 순간과, 모든 석션 컵이 상기 제2 주 표면과 단단하게 결합되는 순간, 예를 들면, 모든 석션 컵 공동 내측의 내측 공기 압력이 기껏해야 60 kPa로,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50 kPa로,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40 kPa로 감소되는 순간 사이의 시간 간격으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제1 쌍의 클램프의 결합 완료 시간은 상기 제1 쌍의 클램프가 먼저 결합을 위해 기동되는 순간으로부터 상기 클램프가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 모두와 확실하게 접촉하는 순간까지의 시간 간격으로 정의된다. FXTY = LD/Th ≥ 1000인 유리 시트, 즉, 고 가요성을 갖는 유리 시트에 대하여, 상기 FXTY는 가요성이고, LD는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 제2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까지 측정된 폭과, 상부 엣지 표면으로부터 하부 엣지 표면까지 측정된 높이의 유리 시트의 mm 단위의 보다 큰 치수이고, 그리고 Th는 mm 단위로서 상기 유리 시트의 품질 영역의 두께이고, 석션 컵 및/또는 제1 쌍의 클램프와 유리 시트의 결합은 공정 안정성 및 석션 컵에 대해 중요한 공정 파라미터이고, 상기 유리 시트는 꽤 길 수 있다. 전형적으로, 유리 시트의 가요성이 크면 클수록, 상기 유리 시트가 평면을 가로질러 더욱 구부러질 것이고, 상기 유리 시트가 석션 컵과 더 오래 결합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정은 특히 FXTY ≥ 1000일 경우의 유리 시트의 비드 제거에 유리하고, FXTY ≥ 2000일 경우의 유리 시트의 비드 제거에 더욱 유리하고, FXTY ≥ 3000일 경우의 유리 시트의 비드 제거에 더욱 유리하고, FXTY ≥ 4000일 경우의 유리 시트의 비드 제거에 더욱 유리하고, FXTY ≥ 5000일 경우의 유리 시트의 비드 제거에 더욱 유리하고, FXTY ≥ 6000일 경우의 유리 시트의 비드 제거에 더욱 유리하고, FXTY ≥ 7000일 경우의 유리 시트의 비드 제거에 더욱 유리하고, FXTY ≥ 8000일 경우의 유리 시트의 비드 제거에 더욱 유리하고, FXTY ≥ 9000일 경우의 유리 시트의 비드 제거에 더욱 유리하며, FXTY ≥ 10000일 경우의 유리 시트의 비드 제거에 더욱 유리하다. 더욱이, 부분적으로 단계 (V)의 실행 및 포함 때문에, 본 발명의 공정은 가동 개시서부터 가중 중단까지의 제1 쌍의 클램프 결합 완료 시간의 다양성과, 하나의 FXTY를 갖는 유리 시트로부터 상이한 FXTY를 갖는 상이한 유리 시트까지의 클램프 결합 완료 시간의 다양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정은 큰 공정 윈도우를 갖는 매우 다양한 유리 시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공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II)에서, 상부 엣지 표면 부근의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은 클램프를 사용하여 서스펜션 장치에 체결된다. 클램프는 오버헤드 유리 시트 컨베이어 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클램프는 유리 시트가 주변부 제거를 위한 본 발명의 기기로 이동하고, 이후에 유리 시트 주변부 피니싱용 기기로 이송되기 전에, 상기 유리 시트와 결합될 수 있다. 유리 시트가 제1 쌍의 클램프와 결합되기 전에, 유리 시트의 상부 부분을 체결하는 클램프가 실질적으로 유리 시트의 중력에 반하는 힘을 제공하고, 상기 유리 시트를 수직 위치로 현수한다. 선택적으로, 석션 컵은 클램프 대신에 유리 시트의 상부 부분을 체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클램프, 석션 컵 등에 의해 체결된 상부 엣지 표면 부근의 위치가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최소 거리(D0)를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III)에서, 제1 측면 엣지 표면 부근의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은 상부 엣지 표면으로부터 하부 엣지 표면까지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로, 클램프(또는 석션 컵 또는 다른 체결 장치)에 의해 체결된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5 cm ≤ D1 ≤ 5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5 cm ≤ D1 ≤ 4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5 cm ≤ D1 ≤ 3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5 cm ≤ D1 ≤ 2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5 cm ≤ D1 ≤ 15 cm이며,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5 ≤ D1 ≤ 10 cm이다. 통상적으로, D1 ≤ D0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공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VI)는 단계 (IV)에 선행하고, 상기 단계 (IV)에서, 기계적인 스코어 휠이 제1 주 표면을 가압하고 스코어-라인을 형성하도록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기계적인 스코어-휠이 유리 시트의 표면상에 스코어-라인을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경우에, 상기 유리 시트의 마주한 면 상에서 노우징 스트립과 같은 지지 장치는, 유리 시트의 표면에 대한 스코어-휠의 충분한 접촉력과, 상기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상에서의 일정한, 연속의 스코어-라인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요구된다. 노우징 스트립의 존재는 스코어링 유리 시트가 고 FXTY를 가질 때 특히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스코어-라인은 레이저 공정으로써, 예를 들면, CO2 레이저로써 이어서 통기구를 형성하기 위해 냉각 제트로써 스캐닝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레이저 스코어링이 사용되는 경우에, 백-업(back-up) 노우징이 스코어-라인 성형 공정에서 불필요할 수 있고 이처럼, 단계 (VII)는 필연적으로 단계 (IV)를 선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특징 및 제2 특징에 따른 공정 및 기기가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고 가요성 FXTY를 갖는 유리 시트를 피니싱하는데 특히 유리한 한편으로, 기껏해야 500 ㎛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400 ㎛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300 ㎛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200 ㎛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150 ㎛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기껏해야 100 ㎛의 중앙 두께(Th(C))를 갖는 유리시트를 피니싱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이는, 유리 시트의 Th(C)가 매우 작을 때, 제1 주변부 및 제2 주변부에 따른 유리 시트의 구부러짐이 커서 석션 컵과의 결합이 매우 어렵게 될 수 있고, 주변부를 결합해 구속하는 석션 컵의 사용이 실현불가하게 되는 한편으로, 클램프의 양 아암과 결합하는 것이 기술적 도전을 취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제1 주변부와 제1 쌍의 클램프를 구속하는 단계를 포함한 단계 (V)가 존재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1 특징 및 제2 특징에 따른 공정 및 기기는 고 가요성을 갖는 대형의 유리 시트를 피니싱할 수 있는 큰 공정 윈도우의 장점을 갖는다. 이는 특히 큰 수직 높이(HT)를 갖는 유리 시트에 유리하고, 높이 방향에서 상기 유리 시트는 석션 컵이 사용된다면 실질적인 구부러짐을 나타낼 수 있고 제2 주 표면과의 결합을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정 및 기기가 적어도 1000 mm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200 mm의,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500 mm의,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800 mm의,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000 mm의,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500 mm의,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3000 mm의 높이를 갖는 유리 시트에 대해 특히 유리하다.
이와 유사하게, 공정 및 기기는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 제2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까지 측정된 큰 폭(WD)을 갖는 유리 시트에 대해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특징 및 제2 특징에 따른 공정 및 기기는 적어도 1000 mm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200 mm의,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500 mm의,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1800 mm의,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000 mm의,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2500 mm의,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3000 mm의 폭을 갖는 유리 시트를 피니싱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공정 및 기기가 미국 뉴욕 코닝에 위치한 Corning Incorporated가 개발한 융합 하향-인발 공정과 같은 하향-인발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유리 시트를 피니싱하는데 특히 유리하다. 이는 하향-인발 공정에 있어서, 아이소파이프 및 슬롯과 같은, 성형 장치 아래의 유리 리본이 만들어진 유리 시트에서의 실질적인 열적 잔여 스트레스를 초래하는 온도 구배 프로파일을 나타내므로, 이후 피니싱 단계에서의 구부러짐의 제거를 문제삼지 않는 주변부에서의 구부러짐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제1 특징 및 제2 특징에 따른 공정 및 기기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스코어-라인으로부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까지의 거리가 D2이고, 이 경우 4 cm ≤ D2 ≤ 4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4 cm ≤ D2 ≤ 35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4 cm ≤ D2 ≤ 3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4 cm ≤ D2 ≤ 2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4 cm ≤ D2 ≤ 15 cm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4 cm ≤ D2 ≤ 10 cm이면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스코어-라인은 유리 시트의 두께가 상기 유리 시트의 품질 영역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형성되고, 이에 따라서 엣지로부터 엣지까지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로 공정의 끝부분에서 절결(as-cut) 유리 시트를 초래하는데 필요하다.
단계 (V)에 있어서, 제1 쌍의 클램프는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과 결합한다. 제1 쌍의 클램프의 접촉 위치는 스코어-라인과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 사이의 거리, 즉, D3 < D2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0.5 cm ≤ D3 ≤ 2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0.5 cm ≤ D3 ≤ 15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0.5 cm ≤ D3 ≤ 10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0.5 cm ≤ D3 ≤ 8 cm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0.5 cm ≤ D3 ≤ 5 cm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0.5 cm ≤ D3 ≤ 3 cm이다. 클램프의 기동은 공기 실린더 또는 유압 아암, 선형 서보 모터 등을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쌍의 클램프의 2개의 면이 단일의 공기 실린더나 또는 유압 아암을 통해 기동될 수 있는 공통의 힌지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쌍의 클램프의 2개의 면은 별개의 선형 서보 모터에 각각 부착되고, 상기 선형 모터는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과 결합하기 위하여 클램프 스트립을 동시에 또는 별도로 가압하도록 기동되어 제어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쌍의 클램프에 의해 유리 시트의 제1의 및 주 표면에 가해진 압력이 성공적인 주변부 제거에 중요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압력이 매우 낮다면, 클램프가 일정하고 성공적인 유리 시트 스코어링 및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정도로 유리 시트를 평탄화시킬 수 없다. 다른 한편으로, 압력이 매우 높다면, 클램프가 스코어링 및 분리 작동에 불리한 정도로 유리 시트에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부여할 것이다. 유리 시트 상에서의 클램프 압력의 제어는 기껏해야 300 ㎛의 두께,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껏해야 200 ㎛의 두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기껏해야 150 ㎛의 두께를 갖는 유리 시트에 특히 중요하다. 기껏해야 300 ㎛의 두께를 갖는 유리 시트에 대하여, 클램프에 의해 가해진 압력의 필요한 범위는 200 내지 2000 파스칼이고,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300 내지 1500 파스칼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400 내지 1000 파스칼이고, 특정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500 내지 1000 파스칼이다. 예를 들면, 대략 1900 mm의 높이를 갖는 유리 시트에 대하여, 제1 쌍의 클램프의 클램프 스트립의 폭이 대략 2 mm일 경우, 클램프에 의해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에 가해진 필요한 힘은 2 파운드력 (4.45 뉴턴)으로부터 대략 20 파운드력 (44.5 뉴턴)까지 변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쌍의 클램프에 의해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에 가해진 압력의 일관성이 성공적인 주변부 제거에 중요할 수 있다고 알려졌다. 압력이 일정할 수 있도록, 제1 쌍의 클램프의 2개의 면에 가해진 힘이 바람직하게 일정할 수 있고, 그리고 2개의 측면이 겪는, 예를 들면, 공통의 힌지를 통한 저항이 바람직하게는 일정하고 낮을 수 있다. 공통의 힌지는 2개의 면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에서의 저항이 일정하게 되도록, 베어링은 바람직하게 항상 잘 윤활될 수 있다.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의 윤활의 규칙적이고, 주기적인 검사가 일정한 주변부 제거에 안내된다. 제1 쌍의 클램프가 비교적 높은 온도에 노출되는 경우에, 이러한 규칙적인 메인티넌스가 더욱 중요하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의 공정의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III)는 단계 (V)에 선행하고;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단계 (III) 및 단계 (V)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된다. 더욱이, 고 FXTY를 갖는, 특히 기껏해야 300 ㎛의 중앙 두께(Th(C))를 갖는, 유리 시트에 대하여, 단계 (IV)가 단계 (III) 및 단계 (V)의 완료 이후에 실행되는 것이 매우 요구된다. 이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리 시트의 주변부는 상기 유리 시트가 스코어될 때 단단하게 구속되어, 실질적으로 스코어-휠 미끄러짐이나 또는 스코어-휠로 상기 유리 시트에 가해진 비정상적으로 큰 가압력을 감소시키고, 그리고 스코어링 단계와 총 공정의 양품률을 상당히 향상시킨다. 실제로, 단계 (IV) 동안에, 단계 (III)에서 실행된 구속 수단과 제1 쌍의 클램프는 함께 장력을 유리 시트에 가하여, 상기 구속 수단과 상기 클램프 사이의 상기 유리 시트가 실질적으로 평탄하게 유지되어, 일정한 스코어-라인의 성공적인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마주한 표면을 지지하는 노우징 스트립은 유리 시트가 스코어될 때 매우 필요하다.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재료가 충분한 강성을 가져서, 유리 시트가 피니싱될 때 상당한 형상 변경을 겪지 않게 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 주 표면 및/또는 제2 주 표면과 직접 적촉하는 클램프의 일부와 노우징 스트립의 재료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 또는 경질의 실리콘 고무 재료와 같은 고무 재료나 또는 경질의 내구성 있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른 공정의 특정 실시예를 실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기기에 관한 것이다. 기기는 유리하게도,
(A) 상부 엣지 표면 부근의 상기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2 주 표면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유리 시트를 수직 위치로 배치하도록 적용된 유리 서스펜션 장치;
(B) 제1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한 상기 제1 주 표면의 측면에 위치된 제1 엣지 구속 타워와, 제2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한 상기 제2 주 표면의 측면에 위치된 제2 엣지 구속 타워;
(C)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2)로, 상기 상부 엣지 표면의 부근으로부터 상기 하부 엣지 표면까지 뻗어있는 상기 제1 주 표면 상에 스코어-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주 표면과 접촉하여 수직 이동하도록 적용된 상기 제1 엣지 구속 타워 상에 설치된 기계적인 스코어링 휠;
(D)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3)로, 상기 제1 주변부의 상기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2 주 표면을 결합하고 클램프하도록 적용된 제1 쌍의 엣지 클램프;
(E) 상기 제2 주 표면과 접촉하도록 적용된 스코어-라인과 마주한 노우징 스트립; 및
(F) 상기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상기 유리 시트의 상기 제1 주변부가 노우징 스트립에 대해 구부러지고, 상기 유리 시트의 중앙 구역으로부터의 상기 스코어-라인을 따라서 분리하도록, 상기 제1 수직 쌍의 클램프에 의해 상기 제1 주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주 표면을 인장하도록 적용된 힘 적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과 상기 제2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 사이의 거리는 상기 상부 엣지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엣지 표면까지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1)로, 상기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상기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2 주 표면을 구속하도록 적용가능하고,
거리(D2) < 거리(D1)이고,
거리(D3) < 거리(D2)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른 기기의 특정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 노우징 스트립의 쇼어 A 경도는 유리 시트보다 더 낮지 않다. 노우징 스트립의 고 경도는 유리 시트가 기계적인 스코어-휠에 의해 가압될 때, 과도하게 국부 변형되지 않도록, 일정한 통기구 깊이를 갖고 유리 시트의 표면과 스코어-휠의 접촉 손실 없이 이에 따라 통기구의 손실 없이 스코어-라인이 일정하게 형성되게 한다. 상부 엣지 표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엣지 표면 부근까지 뻗어있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통기구 깊이를 갖는 연속의 스코어-라인은 날카로운 엣지, 과도한 유리 칩, 곡선의 엣지 및 여러 불필요한 특징부를 만들지 않으면서 단계 (VII)에서 주변부의 분리에 유리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노우징 스트립 재료는 알루미늄 및 상기 알루미늄 합금,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음 금속, 경질의 플라스틱 그리고 필요한 온도 특성 및 경도를 갖는 고무 재료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더욱이, 노우징 스트립이 충분한 강성을 갖는 시트에 의해 지지되어, 스코어 휠이 상기 노우징 스트립에 대해 유리의 제1 주 표면을 가압할 때, 상기 노우징 스트립이 실질적으로 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아래 기재된 실시예로 더욱 설명되어 있으며,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로써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특징 및 제2 특징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작동되는 유리 시트 비드 제거 기기(200)의 일 단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단부에 실질적으로 대칭인 다른 단부가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유리 시트는 수직의 유리 시트 서스펜션 컨베이어와 같은 서스펜션 장치(도시 생략)에 고정된 클램프의 2개의 클램핑 아암(201, 203)에 의해 체결된다. 통상적으로, 유리 시트가 주변부 제거 기기(200) 외측의 클램핑 아암(201 및 203)과 먼저 결합되고, 이후 컨베이어에 의해 기기(200)로 이동된다. 주변부 제거 기기(200) 내부에, 제1 측면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204)을 포함한 제1 측면 엣지 구속 타워(205)는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103)의 면에 위치되고, 그리고 제2 측면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206)을 포함한 제2 측면 엣지 구속 타워(207)는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105)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측면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204 및 206)은 작동되는 동안에, 일단 유리 시트가 기기(200)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유리 시트와 결합하고, 비드형성된 구역 근방의 상기 유리 시트의 부분을 구속하고, 그리고 다음 단계를 위해 상기 유리 시트를 체결하면, 서로를 향해 이동한다.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3)로 이격된 위치에서, 제1 쌍의 클램프(231 및 233)가 이후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및 제1 주 표면을 결합하도록 기동된다. 클램핑 타워(205 및 207)뿐만 아니라 제1 쌍의 클램프(231 및 233)의 결합은 매우 짧은 시간 간격 내에서 달성될 수 있다. 유리 시트가 구속 타워(205 및 207) 및 제1 쌍의 클램프(231 및 233)에 의해 클램프 된다면, 제1 측면 엣지 구속 타워(205)에 설치된 스코어-휠(209)은 상부 엣지 표면 부근의 위치에서 상기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103)과 접촉하지만, 상기 상부 엣지 표면의 맨 바깥쪽 엣지 라인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제2 측면 엣지 구속 타워(207)에 설치되고 상부 엣지 표면으로부터 하부 엣지 표면까지 뻗어있는 노우징 스트립(211)으로 지지되어, 스코어-휠은 유리 시트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의 스코어링에 의해 상부 엣지 표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엣지 표면 부근까지 뻗어있는 스코어-라인을 형성한다. 일단 스코어링이 완료되면, 스코어-휠이 제1 주 표면으로부터 후퇴된다. 이후, 결합되는 경우의 제1 쌍의 클램프는 제1 주 표면으로부터 제2 주 표면까지의 방향으로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를 가압하도록 기동되는 한편, 상기 유리 시트는 제2 주 표면상의 노우징 스트립 상에 놓여진다. 최종 스트레스는 쓰레스홀드 레벨로 증가할 때, 스코어-라인을 따라서 주변부가 파단될 것이다. 이후, 제1 쌍의 클램프(231 및 233)가 유리의 분리된 부분으로부터 구속해제되어, 기기 아래의 바닥이나 또는 수집기로 분리된 주변부를 떨어뜨릴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제1 쌍의 클램프(231 및 233)는 파단된 주변부를 다른 한 위치를 이송하도록 기동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한 위치에서 절단된 주변부를 안전하게 구속해제 하도록 분리된다.
이러한 기기(200)를 사용한 실험이 비드 제거를 위해 300 ㎛의 두께를 갖는 유리 시트를 처리할 때, 적어도 85%의 양품률을 달성하였다.
(비교) 실시예 2
도 3은 비교예에 따라 작동하는 유리 시트 비드 제거 기기(200)의 일단부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단부에 실질적으로 대칭인 다른 단부가 도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비교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유리 시트는 수직의 유리 시트 서스펜션 컨베이어와 같은 서스펜션 장치(도시 생략)에 고정된 클램프의 2개의 클램핑 아암(201, 203)에 의해 체결된다. 통상적으로, 유리 시트는 주변부 제거 기기(200) 외측의 클램핑 아암(201 및 203)과 먼저 결합되고, 이후 컨베이어에 의해 기기(200)로 이동된다. 주변부 제거 기기(200) 내부에, 제1 측면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204)을 포함한 제1 측면 엣지 구속 타워(205)는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103)의 면에 위치되고, 그리고 제2 측면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206)을 포함한 제2 측면 엣지 구속 타워(207)는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105)의 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측면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204 및 206)은 작동 중인 동안에, 일단 유리 시트가 기기(200)의 내측에 위치되고, 유리 시트를 결합시키고, 비드형성된 구역 근방의 상기 유리 시트의 부분을 구속시키며, 그리고 다음 단계를 위해 상기 유리 시트를 체결하면, 서로를 향해 이동한다. 일단 유리 시트가 구속 타워에 의해 (상기 도면에서 단 하나의 면만 도시됨) 양 면에서 클램프된다면, 제1 측면 엣지 구속 타워(205) 상에 설치된 스코어-휠(209)은 상부 엣지 표면 부근의 위치에서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103)과 접촉하지만, 상부 엣지 표면의 맨 바깥쪽 엣지 라인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스코어-휠은 제2 측면 엣지 구속 타워(207)에 설치되고 상부 엣지 표면으로부터 하부 엣지 표면까지 뻗어 있는 노우징 스트립(211)으로 지지되면, 유리 시트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의 스코어링에 의해 상부 엣지 표면 부근으로부터 하부 엣지 표면 부근까지 뻗어있는 스코어-라인을 형성한다. 일단 스코어링이 완료되면, 스코어-휠은 제1 주 표면으로부터 후퇴된다. 직선형 가압 바(217)가 이후 유리 시트의 제1 주 표면 쪽 방향(219)으로 진행하고, 상기 유리 시트의 주변부와 접촉하며, 그리고 상기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 쪽으로 상기 주변부의 제1 주 표면을 가압한다. 평균 시간으로, 일련의 석션 컵(213)(단지 하나만 도시됨)이 제2 주 표면(105) 쪽으로 진행하고 유리 시트의 주변부의 제2 주 표면의 면과 결합한다. 가압 바(217)와 석션 컵(213) 사이의 협동 때문에, 상기 석션 컵과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의 결합을 완료하기 위한 시간은 아래 기재되고 도 4에 도시된 비교예의 실시예에 비해 감소된다. 일단 석션 컵이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과 단단하게 결합된다면, 상기 유리 시트의 주변부가 이후 제1 주 표면으로부터 제2 주 표면까지의 방향으로 상기 석션 컵에 의해 당겨진다. 가압 바(217)는 유리 시트를 더욱 가압하지 않고도, 제2 주 표면으로 석션 컵의 결합이 완료된 이후에, 즉시 후퇴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석션 컵과 함께 유리 시트를 계속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이 쓰레스홀드 레벨에 도달할 때, 비드형성된 구역을 포함한 주변부는 스코어-라인을 따라 분리된다. 이후, 석션 컵은 유리 시트의 제2 주 표면과 분리되어, 제거된 주변부를 유리 부스러기 수집기로 하향 이동시키도록 구속해제시킨다. 구속 타워의 제1 및 제2 구속 클램프 스트립(204 및 206)은 이후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하여, 남아 있는 품질 영역의 2개의 면 부분을 구속해제 시킨다. 유리 시트의 품질 부분은 이후 서스펜션 컨베이어에 의해 주변부 제거 기기(200) 외측으로 엣지 피니싱, 세척, 세정 등과 같은 다음 공정 단계로 이동된다.
이러한 기기(300)를 사용하는 실험은 비드 제거를 위해 300 ㎛의 두께를 갖는 유리 시트를 처리할 때 46%의 양품률을 달성하였다.
(비교) 실시예 3
도 4는 비교예로서, 작동 중인 유리 시트 주변부 제거 기기(400)의 일 단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한 단부와 대칭인 다른 단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기기(300)와 비교하면, 기기(400)는 가압 바(217)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러한 간략화된 기기(400)는 적어도 500 ㎛의 비교적 큰 두께(Th(C))를 갖는, 예를 들면 600 ㎛ 및 700 ㎛의 두께를 갖는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에 사용될 수 있는 한편으로, 비드 제거 공정의 사이클 시간은 석션 컵 결합을 완료하는데 보다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기재된 기기(200 및 300)에 요구되는 것보다 길다.
이러한 기기(400)를 사용하는 실험은 비드 제거를 위해 300 ㎛의 두께를 갖는 유리 시트를 처리할 때 30%의 양품률을 달성하였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대한 여러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에 대한 여러 변경 및 수정이 행해질 수 있다.

Claims (10)

  1.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공정으로서,
    (I) 제1 주 표면, 상기 제1 주 표면 반대쪽 제2 주 표면, 중앙 두께(Th(C))를 갖는 중앙 구역, 상부 엣지 표면, 하부 엣지 표면, 제1 측면 엣지 표면 및 제2 측면 엣지 표면을 갖는 유리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II) 상기 상부 엣지 표면 부근의 상기 제1 주 표면과 상기 제2 주 표면을 서스펜션 장치에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유리 시트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시키는 단계;
    (III) 단계 (II) 이후에, 상기 상부 엣지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엣지 표면까지 뻗어있는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1)로, 상기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상기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2 주 표면을 구속하는 단계;
    (IV) 단계 (III) 이후에,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2)로, 상기 상부 엣지 표면 부근으로부터 상기 하부 엣지 표면 부근까지 뻗어있는 상기 제1 주 표면 상에 스코어-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V) 제1 쌍의 클램프를 사용하여,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3)로, 상기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상기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2 주 표면을 클램핑하는 단계;
    (VI) 상기 스코어-라인과 마주한 노우징 스트립과 상기 제2 주 표면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VII) 단계 (V) 및 단계 (VI) 이후에, 상기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상기 유리 시트의 상기 제1 주변부가 상기 노우징 스트립에 대해 구부러지고 상기 유리 시트의 중앙 구역으로부터 상기 스코어-라인을 따라서 분리되도록, 상기 제1 쌍의 클램프에 의해 상기 제1 주 표면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주 표면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각의 엣지 표면들은 상기 제1 주 표면과 상기 제2 주 표면, 그리고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 부근의 상기 제1 주변부를 연결하고,
    거리(D2) < 거리(D1)인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공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단계 (I)에 있어서, 상기 유리 시트가 실질적으로 실내 온도로 일정한 온도를 갖고 외력을 받지 않을 때, 제공되는 상기 유리 시트의 상기 제1 주변부가 상부 엣지 표면으로부터 하부 엣지 표면까지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공정.
  3. 청구항 1에 있어서,
    단계 (VI)에 있어서, 상기 제1 주변부의 상기 제2 주 표면과 상기 제1 주 표면에 대한 상기 제1 쌍의 클램프의 결합은 기껏해야 1.5 초 내에서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공정.
  4. 청구항 1에 있어서,
    단계 (II)에 있어서, 상부 엣지 표면 부근의 상기 제1 주 표면 및 제2 주 표면은 클램프를 사용하여 서스펜션 장치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공정.
  5. 청구항 1에 있어서,
    단계 (III)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상기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2 주 표면은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1)로, 제2 수직 쌍의 클램프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공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직 쌍의 클램프는 상기 상부 엣지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엣지 표면까지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공정.
  7. 청구항 1에 있어서,
    단계 (VI)는 단계 (IV)에 선행하고, 상기 단계 (IV)에 있어서, 기계적인 스코어 휠은 상기 제1 주 표면을 가압하고 스코어-라인을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공정.
  8. 청구항 1에 있어서,
    단계 (V)에 있어서, 상기 제1 쌍의 클램프는 상기 상부 엣지 표면으로부터 상기 하부 엣지 표면까지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공정.
  9. 청구항 1에 있어서,
    단계 (VI)에 있어서, 상기 노우징 스트립은 충분한 강성을 갖는 지지부 상에 장착되어, 단계 (IV) 동안에, 상기 스코어 휠이 상기 노우징 스트립에 대해 상기 유리의 상기 제1 주 표면을 가압할 때, 상기 노우징 스트립이 실질적으로 선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공정.
  10. 제1 주 표면, 상기 제1 주 표면 반대쪽 제2 주 표면, 중앙 두께(Th(C))를 갖는 중앙 구역, 상부 엣지 표면, 하부 엣지 표면, 제1 측면 엣지 표면 및 제2 측면 엣지 표면을 갖는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기기로서,
    (A) 상기 상부 엣지 표면 부근의 상기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2 주 표면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유리 시트를 수직 위치로 배치하도록 적용된 유리 서스펜션 장치;
    (B) 상기 제1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한 상기 제1 주 표면의 면에 위치된 제1 엣지 구속 타워와, 제2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을 포함한 상기 제2 주 표면의 면에 위치된 제2 엣지 구속 타워;
    (C)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2)로, 상기 상부 엣지 표면의 부근으로부터 상기 하부 엣지 표면까지 뻗어있는 상기 제1 주 표면 상에 스코어-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주 표면과 접촉하여 수직 이동하도록 적용된 상기 제1 엣지 구속 타워 상에 설치된 기계적인 스코어링 휠;
    (D)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의 거리(D3)로, 상기 제1 주변부의 상기 제1 주 표면과 상기 제2 주 표면을 결합해 클램프하도록 적용된 제1 쌍의 엣지 클램프;
    (E) 상기 제2 주 표면과 접촉하도록 적용된 스코어-라인과 마주한 노우징 스트립; 및
    (F) 상기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상기 유리 시트의 상기 제1 주변부가 상기 노우징 스트립에 대해 구부러지고, 상기 유리 시트의 상기 중앙 구역으로부터 상기 스코어-라인을 따라 분리되도록, 상기 제1 쌍의 클램프에 의해 상기 제1 주 표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주 표면을 이동시키도록 적용된 힘 적용기;를 포함하고,
    각각의 엣지 표면은 상기 제1 주 표면과 상기 제2 주 표면, 그리고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 부근의 상기 제1 주변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과 상기 제2 엣지 유지 클램프 스트립 사이의 거리는 상기 상부 엣지 표면에서의 상기 제1 측면 엣지 표면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 엣지 표면까지 거리(D1)로 상기 제1 측면 엣지 부근의 상기 제1 주 표면 및 상기 제2 주 표면을 구속하도록 적용되어 조정가능하고,
    거리(D2) < 거리(D1)이고,
    거리(D3) < 거리(D2)인 유리 시트의 제1 주변부 제거 기기.
KR1020120138247A 2011-11-30 2012-11-30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 방법 및 그 기기 KR1020231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07,478 US8820599B2 (en) 2011-11-30 2011-11-30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eripheral portion of a glass sheet
US13/307,478 2011-11-3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681A Division KR20190106974A (ko) 2011-11-30 2019-09-09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 방법 및 그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120A true KR20130061120A (ko) 2013-06-10
KR102023195B1 KR102023195B1 (ko) 2019-09-19

Family

ID=4846590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8247A KR102023195B1 (ko) 2011-11-30 2012-11-30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 방법 및 그 기기
KR1020190111681A KR20190106974A (ko) 2011-11-30 2019-09-09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 방법 및 그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681A KR20190106974A (ko) 2011-11-30 2019-09-09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 방법 및 그 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20599B2 (ko)
JP (1) JP6239226B2 (ko)
KR (2) KR102023195B1 (ko)
CN (2) CN202988963U (ko)
TW (1) TWI5936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6817B2 (en) * 2011-11-30 2014-06-24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peripheral portion of a glass sheet
US20140103088A1 (en) * 2012-10-16 2014-04-1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reaker and breaking method for liquid crystal panel
US9216924B2 (en) * 2012-11-09 2015-12-22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of processing a glass ribbon
JP6872903B2 (ja) * 2014-02-28 2021-05-19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処理装置およびガラス処理方法
DE102014106817A1 (de) * 2014-05-14 2015-11-19 Schott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Dünnglas-Bands und verfahrensgemäß hergestelltes Dünnglas-Band
US20190185363A1 (en) * 2016-06-03 2019-06-20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managing mechanically induced stress on a crack tip when separating a flexible glass ribbon
JP7320534B2 (ja) 2018-05-14 2023-08-03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ガラスシートを処理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210269351A1 (en) * 2018-07-16 2021-09-02 Corning Incorporated Handheld sheet edge strip separation devices and methods of separating glass sheets
JP2021024760A (ja) * 2019-08-05 2021-02-22 日東電工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20220134587A (ko) * 2020-01-27 2022-10-05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인라인 가공 중 유리 기판의 에지를 트리밍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22075174A (ja) * 2020-11-06 2022-05-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3647A2 (en) * 1991-03-15 1992-09-16 BOTTERO S.p.A. Method for cutting a laminated glass sheet along predetermined lines
JP2005162604A (ja) * 2003-11-12 2005-06-2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80009327A (ko) * 2005-05-17 2008-01-2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취성재료의 이동하는 리본으로부터 취성재료의 유리판을절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100860A2 (en) * 2008-03-13 2009-09-16 Macotec S.R.L. Machine for cutting glass sheets in general and laminated glass sheets in particular
KR20100097049A (ko) * 2009-02-24 2010-09-02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취성 재료 시트의 스코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8900A (en) * 1987-12-23 1989-05-09 Ppg Industries, Inc. Discrete glass cutting and edge shaping
DE19918936A1 (de) * 1999-04-27 2000-11-02 Schott Gla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Einzelglasscheiben
FR2819505B1 (fr) * 2001-01-12 2003-02-28 Saint Gobain Procede de decoupe des bords d'un ruban continu de verre,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plateau de verre decoupe selon ce procede
JP5550107B2 (ja) * 2010-03-15 2014-07-16 株式会社シライテック Lcdパネルuv硬化前基板のエッジカット加工装置
JP5370776B2 (ja) 2010-03-15 2013-12-18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基板搬送装置及びガラス基板搬送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03647A2 (en) * 1991-03-15 1992-09-16 BOTTERO S.p.A. Method for cutting a laminated glass sheet along predetermined lines
JP2005162604A (ja) * 2003-11-12 2005-06-2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80009327A (ko) * 2005-05-17 2008-01-28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취성재료의 이동하는 리본으로부터 취성재료의 유리판을절단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2100860A2 (en) * 2008-03-13 2009-09-16 Macotec S.R.L. Machine for cutting glass sheets in general and laminated glass sheets in particular
KR20100097049A (ko) * 2009-02-24 2010-09-02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취성 재료 시트의 스코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34199A1 (en) 2013-05-30
KR20190106974A (ko) 2019-09-18
US8820599B2 (en) 2014-09-02
JP6239226B2 (ja) 2017-11-29
CN202988963U (zh) 2013-06-12
TW201341326A (zh) 2013-10-16
CN103130407B (zh) 2015-09-02
TWI593650B (zh) 2017-08-01
JP2013112606A (ja) 2013-06-10
CN103130407A (zh) 2013-06-05
KR102023195B1 (ko)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3195B1 (ko)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 방법 및 그 기기
KR101969608B1 (ko) 유리 시트의 주변부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921207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ress variations in glass sheets produced from a glass ribbon
CN102557418B (zh) 用于切割玻璃带的方法和设备
KR102022134B1 (ko) 유리 시트의 주변 부분을 제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78230B1 (ko) 유리 시트를 연속의 유리 리본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
TWI593637B (zh) 用於從玻璃帶體分離出玻璃片的分離裝置及方法
US20110226832A1 (en) Mechanical scoring and separation of strengthened glass
WO2007053265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stress variations in glass sheets produced from a glass ribbon
TWI624437B (zh) 玻璃片材刻痕器與用於從玻璃片材移除珠狀物的方法
WO2021034501A1 (en) Edge defect mitigation using laser based glass s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