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9603A - 파티션 - Google Patents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9603A
KR20130059603A KR1020110125654A KR20110125654A KR20130059603A KR 20130059603 A KR20130059603 A KR 20130059603A KR 1020110125654 A KR1020110125654 A KR 1020110125654A KR 20110125654 A KR20110125654 A KR 20110125654A KR 20130059603 A KR20130059603 A KR 20130059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ost
panel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윤지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국산업기술대학
이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국산업기술대학, 이윤지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국산업기술대학
Priority to KR1020110125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9603A/ko
Publication of KR20130059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96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실내 공간의 분할을 위한 파티션을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한 특정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므로서,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고 신미감도 우수한 파티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파티션은,상면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중량물로서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부재와;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하단이 상기 받침부재의 삽입공에 삽입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 및; 천이나 직물, 합성수재 재질로 일정 형상 및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수직방향으로 설치홀이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에 끼워져 설치되는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파티션{PARTITION}
본 발명은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티션을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간편하게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남녀노소 누구나 용이하게 특정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이란 실내의 일정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칸막이 기능을 갖는 패널 형태의 제품을 일컫는다.
상기 파티션은 일정 규격의 패널 형태로 제조되어 유통되며, 이에 사용자는 일정 공간을 구획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특정 규격의 파티션 및 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를 구비한 후, 상기 연결구를 매개로 파티션의 조립 및 설치작업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파티션에 있어서는, 대략 사각기둥 형태를 갖는 특정 구조의 연결구를 매개로 사각판 형태를 갖는 패널을 연속적으로 결합시켜 파티션의 설치작업을 행하게 되므로, 파티션을 바닥면에 고정 설치하는 작업 및 연결 작업등에 기술적인 요인이 필요하여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파티션을 설치 또는 해체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파티션은 각 구성요소가 큰 부피를 갖도록 이루어진 구조이므로, 임의의 장소에 보관하거나 운반하는데에도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실내 공간의 분할을 위한 파티션을 조립 및 분리가 간편한 특정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므로서,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하고 신미감도 우수한 파티션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은, 상면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중량물로서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부재와;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하단이 상기 받침부재의 삽입공에 삽입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 및; 천이나 직물, 합성수재 재질로 일정 형상 및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수직방향으로 설치홀이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에 끼워져 설치되는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 중앙에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설치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설치부와 동일한 재질 및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는 직경의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패널은 정방향 삼각형 형태 및 역방향 삼각형 형태를 이루어도록 형성되어, 상이한 형태를 갖는 각각의 패널이 차례차례 연속적으로 배열되면서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의 공간을 분할하기 위한 파티션을 조립 및 분리가 매우 간편한 구조를 갖는 받침부재와 포스트 및 패널 등을 포함하는 특정 구조로 구성하므로서, 파티션의 보관 및 운반 등의 작업을 매우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구조의 파티션은 남녀노소 누구나 설치 및 해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되며, 패널을 다양한 재질과 색상 및 독특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함에 따라, 기존의 파티션과는 차별화 되는 우수한 신미감을 갖는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의 연속된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이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의 연속된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이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은, 실내 공간의 분할을 위한 파티션을 받침부재(10)와 포스트(20), 패널(30) 등을 포함하는 특정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파티션의 설치 및 해체 작업, 제품의 운반 및 보관 등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은, 바닥면의 일정 지점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부재(10)와, 상기 받침부재(20)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포스트(20), 상기 포스트(20)에 설치되는 다양한 재질 및 색상, 형상을 갖는 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재(10)는 파티션을 바닥면에 지지하도록 일정 중량을 갖는 금속재질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그 평면의 형상이 대략 타원형상이나 원형상, 직사각형 형상 등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그 상면 중앙에는 포스트(20)의 결합을 위한 삽입공(1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14)은 상기 받침부재(10)의 상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설치부(12) 중앙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20)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패널(30)을 지지하되, 대략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하단이 상기 받침부재(10)의 삽입공(14)에 삽입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포스트(20)는 상기 설치부(12)와 동일한 재질 및 색상,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상기 삽입공(14)과 대응되는 직경의 끼움돌기(22)가 형성되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받침부재(10) 및 포스트(20) 상호간의 결합력을 보다 견고히 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공(14) 및 끼움돌기(22)에 나사체결 구조를 적용시킬 수도 있다.
상기 패널(30)은 천이나 직물, 합성수재 재질 등으로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포스트(2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길이 및 직경을 갖는 설치홀(32)이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20)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패널(30)은 신미감을 표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가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방향 삼각형 및 역방향 삼각형 형상이 쌍을 이루도록 이루어진다.
그 이외에도, 상기 패널(30)은 독특한 디자인 및 문양, 색상을 갖도록 보다 다양하게 형성될 수가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패널(30)을 천이나 직물 등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임의적인 형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단이나 가장자리 부분 등에 철심 등과 같은 다양한 보강부재를 추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라, 받침부재(10)와 포스트(20) 및 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 파티션을 설치하는데 있어서는, 파티션의 설치를 위한 바닥면 일정 지점에 받침부재(10)를 안착시킨 후, 상기 받침부재(10)의 삽입공(14)에 포스트(20)의 끼움돌기(22)를 끼워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10) 상부에 포스트(20)가 설치된 후에는 상기 패널(30)의 설치홀(32)을 포스트(20)에 끼워 결합시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의 설치작업이 완료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설치된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은 소정 재질을 매개로 다양한 디자인 및 문양, 색상 등을 갖도록 이루어진 패널(30)을 통해 파티션이 설치된 실내 공간에 독특한 신미감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정방향 삼각형 및 역방향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패널(30)을 순차적으로 연속 배열하여 파티션을 설치한 경우, 해당 형상이 리듬감을 주면서 시각적인 유쾌함을 부여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파티션은 사용이 완료된 후, 간편하게 패널(30) 및 포스트(20), 받침부재(10) 등을 상호 분리시켜 해체할 수가 있음은 물론, 각각 매우 적은 부피를 갖도록 분리된 각 부재를 편리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기재된 내용과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10: 받침부재, 12: 설치부,
14: 삽입공, 20: 포스트,
22: 끼움돌기, 30: 패널,
32: 설치홀.

Claims (3)

  1. 상면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중량물로서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받침부재와;
    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하단이 상기 받침부재의 삽입공에 삽입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 및;
    천이나 직물, 합성수재 재질로 일정 형상 및 면적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수직방향으로 설치홀이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에 끼워져 설치되는 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 중앙에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중앙에 삽입공이 형성된 설치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포스트는 상기 설치부와 동일한 재질 및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삽입공과 대응되는 직경의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정방향 삼각형 형태 및 역방향 삼각형 형태를 이루어도록 형성되어, 상이한 형태를 갖는 각각의 패널이 차례차례 연속적으로 배열되면서 설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티션.
KR1020110125654A 2011-11-29 2011-11-29 파티션 KR201300596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54A KR20130059603A (ko) 2011-11-29 2011-11-29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654A KR20130059603A (ko) 2011-11-29 2011-11-29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9603A true KR20130059603A (ko) 2013-06-07

Family

ID=4885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654A KR20130059603A (ko) 2011-11-29 2011-11-29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96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4114A (zh) * 2021-05-17 2021-09-10 浙江理工大学 一种竹皮制可动隔断的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4114A (zh) * 2021-05-17 2021-09-10 浙江理工大学 一种竹皮制可动隔断的结构
CN113374114B (zh) * 2021-05-17 2022-02-18 浙江理工大学 一种竹皮制可动隔断的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16484A1 (en) Partition panel, panel structure and connecting structure of panels
CN201714763U (zh) 自组装家具
KR20180134006A (ko) 조립과 분해가 용이한 전시용 부스
KR20130059603A (ko) 파티션
CN207892285U (zh) 一种便于拆装和扩展的展览房
KR20130007219U (ko) 조립용 파티션
CN203388516U (zh) 组合式超窄拉篮
CN107965168A (zh) 一种便于拆装和扩展的展览房及其制作方法
CN103255858A (zh) 组合式框架的接驳组件
KR20130093318A (ko) 조립식 칸막이
CN105963983B (zh) 梯形磁性积木
CN205457305U (zh) 一种可以调节的抽屉分隔架及含有其的抽屉
KR20130007263U (ko) 반조립 수납장
CN203821635U (zh) 展示墙以及展示墙挂板
CN105963984A (zh) 滑梯磁性积木
KR20110004846U (ko) 전시패널 체결 시스템
KR101907464B1 (ko) 조립식 칸막이
KR101108698B1 (ko) 파티션의 연결장치
KR200464797Y1 (ko) 지지구가 구비된 마네킹
CN205672558U (zh) 大型圆顶磁性积木
KR102023102B1 (ko) 전시 모듈 및 전시 모듈 조립체
CN203943293U (zh) 一种办公台台架
CN204127873U (zh) 新型可拆装式灯笼
RU164362U1 (ru) Трёхмерный каркас
KR200371631Y1 (ko) 수납가구 제작용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