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727Y1 -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 Google Patents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727Y1
KR200460727Y1 KR20120001081U KR20120001081U KR200460727Y1 KR 200460727 Y1 KR200460727 Y1 KR 200460727Y1 KR 20120001081 U KR20120001081 U KR 20120001081U KR 20120001081 U KR20120001081 U KR 20120001081U KR 200460727 Y1 KR200460727 Y1 KR 200460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ceiling
wire
fix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01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호
Original Assignee
조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윤호 filed Critical 조윤호
Priority to KR20120001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7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7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8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eans for connecting partition walls or panels to the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공간을 용도에 따라 구획하는데 사용되는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중심바; 상기 중심바의 하측에 결합되고, 복수 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조립된 판넬; 천장에 연결되어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중심바를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연결고리에 의해 각 판넬이 끼움 조립되어 와이어를 통해 천장에 걸림 고정되어 실내 공간을 분할, 구획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티션을 아주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 및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운반 및 해체도 용이하여 실내 공간의 다른 위치로 쉽게 옮겨 재설치할 수 있어 실내 상황에 따라 실내 공간의 분위기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고, 와이어를 이용하여 파티션의 높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어 어떠한 설치 공간이라도 구획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PARTITION HANGED ON CEILING FOR DIVIDING INTERIOR SPACE}
본 고안은 실내 공간을 분할하거나 구획하는데 사용되는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간을 분할하거나 구획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실내 공간 구획용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티션(partition)이란 실내 공간을 용도에 따라 분할하거나 구획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인테리어 기구중 하나이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파티션은 분할이나 구획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에 일체로 부착되는 패널(3)이 하나의 단위체(1)로 구성되며, 이러한 단위체(1)를 일렬로 연결하거나 "ㄱ"자형 또는 "T"자형으로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원하는 형태로 공간을 분할하거나 구획하는 것이다.
즉, 상기 종래의 파티션은 파티션의 틀에 해당하는 프레임(2)을 만든 후, 내부 공간을 채우고 양측면에 합판이나 철판의 패널(3)을 붙여서 그 외피를 천이나 도색으로 마감하여 하나의 단위체(1)를 형성하고, 상기 단위체(1)를 각종 연결부재에 의하여 조립 연결함에 의하여 제조되었다.
그러나, 프레임(2) 및 패널(3) 이외에 단위체(1) 간을 연결하기 위한 각종 연결부재가 요구되어, 조립 및 해체가 번거롭고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단 파티션을 조립 또는 연결하여 실내 공간에 설치한 후에는 그 외관 변경이 어려워 실내 공간의 분위기가 획일적이거나 단조롭게 되는 문제가 있고, 이러한 실내 분위기의 전환을 위해서는 별도로 새로운 파티션을 설치하거나 기존에 설치된 파티션을 전면적으로 교체할 수 밖에 없어, 설치나 교체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파티션은 하나의 단위체(1)를 이루는 프레임(2)과 패널(3)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되기 때문에, 조립 및 설치를 위해서는 파티션의 판재 전체를 일체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운반을 비롯한 설치 및 해체가 불편하고, 작업 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 공간을 분할, 구획하여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티션을 아주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 및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운반 및 해체도 용이하여 실내 공간의 다른 위치로 쉽게 옮겨 재설치할 수 있어 실내 공간의 분위기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고, 와이어를 이용하여 파티션의 높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어 어떠한 설치 공간이라도 구획할 수 있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실내 공간을 용도에 따라 구획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티션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중심바; 상기 중심바의 하측에 결합되고, 복수 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조립된 판넬; 천장에 연결되어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중심바를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을 제공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상기 중심바는 하측에 걸이홈이 형성된 다수의 걸이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본 고안에서 상기 패널은 패턴 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에서 상기 판넬은 모서리에 연결홀이 형성되고, 각 판넬의 상기 연결홀과 연결홀 사이에 연결고리가 세로 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각 판넬이 서로 이격된 채 연결 조립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는,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 연결되도록 내부홀이 형성된 조임볼트; 나사부의 일부가 천장 내부로 삽입되고, 헤드부가 하측을 향해 설치되는 고정나사; 하부에 상기 조임볼트가 연결되고 상부에 상기 고정나사가 연결되는 내부에 형성된 소켓홀과,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와이어의 일단이 인출되는 높이조정홀이 포함된 원통형 소켓; 상기 소켓과 천장 사이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나사의 나사부가 관통되는 고정원반; 천장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나사의 나사부를 천장에 고정하는 나비앙카;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 연결되도록 내부홀이 형성된 조임볼트; 천장면에 부착되는 고정원반; 나사부는 상기 고정원반을 관통하여 천장에 고정되고 헤드부가 하측을 향해 소켓의 내부로 설치되는 고정피스; 하부에 상기 조임볼트가 연결되고 상부에 상기 고정피스가 연결되는 내부에 형성된 소켓홀과,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와이어의 일단이 인출되는 높이조정홀이 포함된 원통형 소켓;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본 고안에서 상기 중심바는 와이어와 행거볼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연결고리에 의해 각 판넬이 끼움 조립된 후 와이어를 통해 천장에 걸림 고정되어 실내 공간을 분할 및 구획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티션을 아주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 및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운반 및 해체도 용이하여 실내 공간의 다른 위치로 쉽게 옮겨 재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를 이용하여 파티션의 높이 조정이 용이하여 설치 공간에 제한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며, 외관이 미려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된 판넬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분리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분리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파티션의 높이조절 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고안자는 종래의 파티션이 프레임과 패널의 조립을 위한 각종 연결부재가 요구되어 조립 및 해체가 번거롭고 제조 원가가 상승되며, 파티션을 조립 연결하여 실내 공간에 설치 후에는 그 외관 변경이 어려워 실내 공간의 분위기가 획일적이거나 단조롭고, 별도의 새로운 파티션 설치 또는 기존 파티션 교체로 인해 설치나 교체 비용이 크게 증가하며, 파티션의 판재 전체를 일체로 이동시켜 설치해야 하므로 운반을 비롯한 설치 및 해체가 불편하고 작업 능률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들이 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와 노력을 거듭한 결과, 연결고리에 의해 각 판넬이 끼움 조립된 후 와이어를 통해 천장에 걸림 고정되어 실내 공간을 분할 및 구획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티션을 아주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 및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운반 및 해체도 용이하여 실내 공간의 다른 위치로 쉽게 옮겨 재설치할 수 있고, 와이어를 이용하여 파티션의 높이 조정이 용이하여 설치 공간에 제한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며, 외관이 미려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에 관한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은 실내 공간을 용도에 따라 구획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크게 중심바(10), 판넬(20), 고정부재(30) 및 와이어(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바(10)는 천장(C)에 고정된 와이어(40)에 의해 연결되어 실내 공간 상에 걸림되어 지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측에 조립 연결될 다수의 판넬(20)을 지지함은 물론, 상기 판넬(20)들의 중심을 잡아주며, 무게가 가벼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중심바(10)는 하측에 다수의 판넬(20)을 연결고리(22)에 의해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걸이구(11)가 형성되고, 상기 걸이구(11)에는 상기 연결고리(22)의 일단을 걸림 연결하기 위한 걸이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심바(10)는 행거볼트(13)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4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판넬(20)은 상기 중심바(10)의 하측에 결합되되, 복수 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조립된 조립체를 형성한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판넬(20)은 외곽 모서리 부분에 연결홀(21)이 형성되고, 각 판넬(20)에 형성된 상기 연결홀(21)과 연결홀(21) 사이를 상기 연결고리(22)가 걸림 연결하여 복수 개의 각 판넬(20)이 세로 방향으로 체결되며, 복수 개의 각 판넬(20)이 서로 이격된 채 연결 조립되는 것이다.
이로써, 파티션을 아주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 및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운반 및 해체도 용이하여 실내 공간의 다른 위치로 쉽게 옮겨 재설치할 수 있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20)은 외부 모서리에 여백(24)이 형성되고, 상기 여백(24)의 내측에는 다양한 컬러와 종료를 갖는 패턴 무늬(23)가 형성되도록 차별화시킴으로써, 실내 공간을 분할 및 구획하는 기능과 함께 실내 공간의 분위기에 변화를 주고, 파티션의 외관이 미려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와이어(40)는 고정부재(30)에 의해 천장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행거볼트(13)를 통해 상기 중심바(10)와 연결되어 상기 중심바(10)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하며, 안정된 지지를 위하여 2개 이상의 와이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와이어(40)는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중심바(10)와 복수 개의 판넬(20)들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하고, 실내 공간의 경관을 고려하여 그 지름이 1.0 ~ 2.0 mm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천장(C)에 연결되어 와이어(40)를 고정하는 부재인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C)이 합판이나 석고보드만으로 이루어져 천장(C)이 보강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재(30)는 크게 조임볼트(31), 고정나사(32), 소켓(33), 고정원반(34) 및 나비앙카(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조임볼트(31)는 상기 와이어(40)가 통과되도록 내부에 내부홀(3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나사(32)는 헤드부(321)와 나사부(322)로 이루어지되, 상기 나사부(322)의 일부가 천장(C)을 관통하여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헤드부(321)는 하측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소켓(33)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된다.
또한, 상기 소켓(33)은 상기 조임볼트(31)와 고정나사(32)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소켓홀(331)이 관통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즉, 상기 소켓(33)의 하부에는 상기 조임볼트(31)가 연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고정나사(32)가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높이조정홀(332)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40)의 일단이 상기 조임볼트(31)의 내부홀(311)을 통과한 후에 상기 고정나사(32)와 접촉되는 부분에서 상기 높이조정홀(332)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원반(34)은 상기 소켓(33)과 천장(C) 사이에 설치되어, 천장(C)의 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소켓(33)이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상기 와이어(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도와 주며, 상기 고정원반(34)의 중앙에는 원반홀(341)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고정나사(32)의 나사부(322)가 상기 원반홀(341)에 관통 연결된다.
더불어, 상기 나비앙카(35)는 대략 "∧"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로서, 상기 고정나사(32)의 나사부(322)에 체결된 상태로 천장(C)에 뚫려진 구멍을 통하여 천장(C)의 내부로 넣으면, 상기 나비앙카(35)의 날개(351)가 일자에 가깝게 펴지면서 천장(C)의 내부면에 밀착됨으로써 파티션을 천장(C)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C)이 보강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정부재(30)는 크게 조임볼트(31), 고정피스(36), 소켓(33), 고정원반(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조임볼트(31)는 상기 와이어(40)가 통과되도록 내부에 내부홀(3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원반(34)은 소켓(33)과 천장(C) 사이에 설치되어, 천장(C)의 면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소켓(33)이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상기 와이어(4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또한, 상기 고정피스(36)는 헤드부(361)와 나사부(362)로 이루어지되, 상기 나사부(362)가 상기 고정원반(34)을 관통하여 의 일부가 천장(C)을 관통하여 천장(C)에 고정되고, 상기 헤드부(361)는 하측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소켓(33)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33)은 상기 조임볼트(31)와 고정피스(36)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소켓홀(331)이 관통 형성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소켓(33)의 하부에는 상기 조임볼트(31)가 연결되고 상부에는 상기 고정피스(36)가 연결되며, 그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높이조정홀(332)이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40)의 일단이 상기 조임볼트(31)의 내부홀(311)을 통과한 후에 상기 고정피스(36)와 접촉되는 부분에서 상기 높이조정홀(332)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은 설치 현장에서 녹다운(knock-down) 방식으로 조립이 가능한 바, 먼저 준비된 패턴무늬(23)가 형성된 복수 개의 판넬(20)을 연결고리(22)에 의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조립하고, 이와 같이 조립된 판넬(20)의 상측과 중심바(10)도 연결고리(22)에 의해 서로 연결한다.
천장(C)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나비앙카(35)가 통과될 수 있을 만한 크기의 구멍을 뚫고, 소켓(33)에 조임볼트(31)와 고정나사(32)를 체결하고, 고정나사(32)의 나사부(322)에 고정원반(34)를 체결한 상태에서, 나비앙카(35)를 상기 구멍을 통해 천장(C)의 내부로 삽입시키면 나비앙카(35)의 날개(351)가 일자에 가깝게 펴지게 된다.
와이어(40)의 하단을 중심바(10)의 행거볼트(13)에 연결하고, 와이어(40)의 나머지 상단을 조임볼트(31)의 내부홀(311)을 통과시킨 후에 고정나사(32)의 헤드부(321)와 접촉되는 부분에 이르면, 소켓(33)의 외주면에 형성된 높이조정홀(332)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시킨다.
이때,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4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파티션의 전체 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인출된 와이어(40)는 나머지 와이어(40) 부분과 매듭(41)을 짓도록 마무리한다.
도 7(b)는 천장이 보강된 상태에서 파티션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인 바, 천장(C)에 설치하는 과정은 상술한 바와 거의 동일하고, 다만, 이 경우에는 천장(C)에 구멍을 뚫지 않은 채, 고정원반(34)을 관통 연결한 고정피스(36)를 천장에 고정시킴으로써, 조임볼트(31)와 고정피스(36)가 체결된 소켓(33)을 천장(C)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와이어(40)의 하단을 중심바(10)의 행거볼트(13)에 연결하고, 와이어(40)의 나머지 상단을 조임볼트(31)의 내부홀(311)을 통과시킨 후에 고정피스(36)의 헤드부(361)와 접촉되는 부분에 이르면, 소켓(33)의 외주면에 형성된 높이조정홀(332)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시킨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 인출되는 와이어(4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파티션의 전체 높이를 조정할 수 있고, 인출된 와이어(40)는 나머지 와이어(40) 부분과 매듭(41)을 짓도록 마무리한다.
결국, 본 고안에 의하면, 연결고리에 의해 각 판넬이 끼움 조립된 후 와이어를 통해 천장에 걸림 고정되어 실내 공간을 분할 및 구획함으로써, 실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티션을 아주 간편하고 신속하게 연결 및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운반 및 해체도 용이하여 실내 공간의 다른 위치로 쉽게 옮겨 재설치할 수 있고, 와이어를 이용하여 파티션의 높이 조정이 용이하여 설치 공간에 제한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며, 외관이 미려하여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단위체 2. 프레임
3. 패널 10. 중심바
11. 걸이구 12. 걸이홈
13. 행거볼트 20. 판넬
21. 연결홀 22. 연결고리
23. 패턴무늬 24. 여백
30. 고정부재 31. 조임볼트
311. 내부홀 32. 고정나사
321. 헤드부 322. 나사부
33. 소켓 331. 소켓홀
332. 높이조정홀 34. 고정원반
341. 원반홀 35. 나비앙카
351. 날개 36. 고정피스
361. 헤드부 362. 나사부
40. 와이어 41. 매듭
C. 천장

Claims (7)

  1. 실내 공간을 용도에 따라 구획하기 위해 사용되는 파티션에 있어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중심바;
    상기 중심바의 하측에 결합되고, 복수 개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조립된 판넬;
    천장에 연결되어 와이어를 고정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중심바를 지지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바는 하측에 걸이홈이 형성된 다수의 걸이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은 패턴 무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은 모서리에 연결홀이 형성되고,
    각 판넬의 상기 연결홀과 연결홀 사이에 연결고리가 세로 방향으로 체결됨으로써 각 판넬이 서로 이격된 채 연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 연결되도록 내부홀이 형성된 조임볼트; 나사부의 일부가 천장 내부로 삽입되고, 헤드부가 하측을 향해 설치되는 고정나사; 하부에 상기 조임볼트가 연결되고 상부에 상기 고정나사가 연결되는 내부에 형성된 소켓홀과,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와이어의 일단이 인출되는 높이조정홀이 포함된 원통형 소켓; 상기 소켓과 천장 사이에 부착되고 상기 고정나사의 나사부가 관통되는 고정원반; 및 천장의 내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고정나사의 나사부를 천장에 고정하는 나비앙카;을 포함하는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내부에 상기 와이어가 관통 연결되도록 내부홀이 형성된 조임볼트; 천장면에 부착되는 고정원반; 나사부는 상기 고정원반을 관통하여 천장에 고정되고 헤드부가 하측을 향해 소켓의 내부로 설치되는 고정피스; 및 하부에 상기 조임볼트가 연결되고 상부에 상기 고정피스가 연결되는 내부에 형성된 소켓홀과,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와이어의 일단이 인출되는 높이조정홀이 포함된 원통형 소켓;을 포함하는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바는 와이어와 행거볼트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KR20120001081U 2012-02-13 2012-02-13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KR200460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1081U KR200460727Y1 (ko) 2012-02-13 2012-02-13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1081U KR200460727Y1 (ko) 2012-02-13 2012-02-13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727Y1 true KR200460727Y1 (ko) 2012-06-04

Family

ID=47320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01081U KR200460727Y1 (ko) 2012-02-13 2012-02-13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7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590B1 (ko) 2013-04-30 2015-05-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복사패널 연결기구
KR20210037846A (ko) 2019-09-30 2021-04-07 안준희 블록형 파티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365Y1 (ko) 2001-03-12 2001-10-06 정이범 광고물 걸이구
KR200388485Y1 (ko) 2005-03-30 2005-06-30 주식회사 삼호산업 천정 마감용 몰딩
KR100794286B1 (ko) 2007-10-18 2008-01-11 (주)혜덕 조립식 파티션
KR100929009B1 (ko) 2002-12-27 2009-11-26 주식회사 포스코 높이 및 폭 조절이 자유로운 블록형 파티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365Y1 (ko) 2001-03-12 2001-10-06 정이범 광고물 걸이구
KR100929009B1 (ko) 2002-12-27 2009-11-26 주식회사 포스코 높이 및 폭 조절이 자유로운 블록형 파티션
KR200388485Y1 (ko) 2005-03-30 2005-06-30 주식회사 삼호산업 천정 마감용 몰딩
KR100794286B1 (ko) 2007-10-18 2008-01-11 (주)혜덕 조립식 파티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590B1 (ko) 2013-04-30 2015-05-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복사패널 연결기구
KR20210037846A (ko) 2019-09-30 2021-04-07 안준희 블록형 파티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1872Y1 (ko) 조립식 선반
CN206016146U (zh) 干挂式墙体安装结构
KR200460727Y1 (ko) 실내 공간 구획용 천장 걸이 파티션
KR101174115B1 (ko) 조립식 파티션
CN203475675U (zh) 一种结构简单的装饰吊顶组件
KR20090002002U (ko) 건축물의 장식판넬 설치구조
JP6836758B2 (ja) ハンガーフックとそれを用いた壁面活用システム
CN202714576U (zh) 一种屏风结构
CN205728790U (zh) 便于门板安装的调味品篮
CN214402378U (zh) 一种格栅管装饰结构及装饰格栅
CN209053284U (zh) 一种磁性构件安装隔断
CN207453243U (zh) 一种吊顶结构
US20150345756A1 (en) Alignment base for elongated lighting fixture
KR200349015Y1 (ko) 드레스실용 선반
CN205386005U (zh) 带顶蓬的秋千床结构
CN112360047A (zh) 一种模块式吊顶用耐高温轻钢龙骨安装结构
KR100889023B1 (ko) 입체 커튼월
KR200464797Y1 (ko) 지지구가 구비된 마네킹
CN209277453U (zh) 一种金属装饰盒天花吊顶
KR102095332B1 (ko) 공동주택용 실내 벽면 마감재
CN201190929Y (zh) 一种适合吊挂的灯具
CN202430521U (zh) 一种可拆装衣架
CN209799240U (zh) 一种天花板装饰用龙骨架
CN213682989U (zh) 一种带装饰线的可拆卸嵌入式墙板用龙骨结构
KR20110081508A (ko) 양방향 조립식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